1. 개요
한자: 提巖里 虐殺事件일본어: 提岩里教会事件(ていがんりきょうかいじけん), 提岩里事件(ていがんりじけん)
EBS 다큐 제암리 100년의 기억 |
2. 배경
MBN 시사기획 맥 중에서 |
시위대가 일본 제국 경찰 주재소로 다가오자 육군 헌병들이 출동해 경고 사격 후 칼을 마구 휘둘러 유학자 이정근과 그의 제자 2명이 칼에 맞아 사망했고 시위를 주도했다는 혐의로 천도교인과 기독교인 몇 명이 체포되어 고문당한 후 석방되었다. 사태가 이렇게 흘러가자 격분한 주민들이 인근의 일본인들의 주택, 학교에 불을 질러 정미업자 사사키를 비롯한 수십 명의 일본인들이 대피했다. 사사키는 이에 앙심을 품고 스스로 자원하여 일본군 헌병의 길잡이 노릇을 하게 되었다.
이에 일본은 철저한 초강경 진압 작전을 시작했다. 4월 2일 발안 장터 시위에 참여한 마을 주민들을 색출, 검거하기 위해 육군 헌병과 경찰 등으로 구성된 부대를 파병해 마을들을 습격하여 불태우고 주민들을 검거하기 시작했다. 일본 군경의 폭압에 제암리 인근 주민들은 더욱 격앙되었고 인근 화수리와 수촌리의 천도교와 기독교 지도자인 백낙열(白樂烈, 1865년 12월 20일 ~ 1937년 1월 4일)과 김교철(金敎哲, 1880년 7월 27일 ~ 1954년 10월 6일) 그리고 주민들이 주축이 되어 4월 3일, 2차로 만세 시위가 일어났다. 이 과정에서 가와바타 도요타 순사가 귀가 잘리고 치아가 뽑히고 척추가 꺾일 정도로 곤봉을 두들겨 맞아 사망하였다. 일본인 남성 9명이 마을에 남기로 결정하고 40여명의 여성과 노인과 아이들이 산계리(三渓里)마을로 대피하였다.
3. 전개
4월 5일 일본 육군은 수촌리에 들이닥쳐 만세시위 주동자를 색출한다면서 주민들을 마구 학살하고 마을 가옥 42호 중에서 38호를 불태우는 만행을 저질렀다. 수촌리에서 교회당이 불타고 사람들이 죽거나 체포되었다는 소문을 들은 개신교 선교사들은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수촌리를 찾았다. 이들 중에는 영국계 캐나다인 선교사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Frank William Schofield, 1889년 3월 15일 ~ 1970년 4월 16일, 한국명 석호필)도 있었다.이런 가운데 4월 5일 발안 장날이 되자 만세시위운동이 다시 일어났다. 이러자 일본 육군은 아리타 도시오(有田俊夫) 육군 헌병 중위가 지휘하던 부대를 4월 13일 제암리로 보내 만세시위운동 주모자들을 색출하도록 지시했다. 이 과정에서 아리타 중위는 15세 이상의 남자들을 모두 교회당으로 모이게 했는데 "만세시위 진압 과정에서 너무 심한 매질을 한 걸 사과하러 왔다."는 명분을 내세웠지만 이것은 새빨간 거짓말이었다.
이미 아리타는 사사키 등을 통하여 제암리 개신교인들의 명단을 확보했고 아리타가 교회당을 나서는 것을 신호로 일본군은 교회당에 사격을 시작하는 동시에 짚더미와 석유를 끼얹고 불을 질렀는데 이로 인해 민가 28채가 소실되었다. 바람이 거세 교회당 아래의 민가로 불이 번졌고 교회당 위쪽으로는 일본군들이 불을 질렀다. 일본군이 교회당 안에 있던 사람들을 못 나오게 하려고 문에 못질을 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공식적인 기록에는 문을 잠근 것으로만 되어 있다. 탈출하다가 사망한 사람들은 벽을 부수고 탈출했다고 한다. 한 여인이 아기를 창밖으로 내보내며 살려달라고 하자 칼로 찔러 죽였다고도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 제암리 학살 사건에 대한 공식 기록에 의하면 교회당 안에 모인 사람들은 여성이 없는, 15세 이상의 남자들 22명이다. 교회 안에 들어갈 때 키를 재서 총의 길이보다 키가 큰 사람들만 들어가게 했다고 한다.
19명이 교회당 안에서 사망했으며 3명이 교회당에서 탈출하던 중 2명은 사망하고, 1명은 산으로 피신하여 겨우 목숨을 건졌다고 한다. 가족을 찾아 교회로 달려오는 부인 2명이 죽기도 했다.[2] 다음날 일부 군인들은 고주리로 가서 화성지역의 천도교 지도자였던 김홍렬의 일가족 6명도 살해했다. 불 탄 집에 들어갔을 땐 "...이게 니 뼉다구인지 내 뼉다구인지도 모르겄고..."[3]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말 그대로 참혹 그 자체였다. 양일간 제암리 교회에서 23명, 고주리에서 6명이 학살당했다.
현재도 남아 있는 제암리 교회에서 영상물과 교육자료 등을 통해 제암리 학살사건 당시의 내용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가끔 시간만 잘 맞추면 당시 생존자의 후손들도 종종 만나 볼 수 있다.
4. 파장
묻힐 뻔한 이 사건은 수촌리에서 벌어진 학살 사건을 파악하기 위해 수촌리로 가던 스코필드가 "제암리에서도 학살 사건이 벌어졌다"는 소식을 듣고 제암리로 달려가 상황을 파악하여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스코필드는 유골을 수습하는 한편 제암리 학살의 증거들을 사진으로 찍고 《 꺼지지 않는 불꽃(Unquenchable Fire)》이라는 보고서를 저술해 전 세계에 제암리에서 일어난 학살 사건을 폭로했다.제암리 학살 사건이 알려져 국제적 여론이 악화되자 일본은 제암리 학살을 지휘한 아리타 중위에게 30일의 중근신 처분만 내리고 사태를 덮으려고 했다. 그러나 제암리 학살 사건이 전 세계적으로 알려져 일본에 대한 세계의 여론은 안 좋은 방향으로 흘러가게 되었다.
일본은 "아리타 중위가 미숙하고 주민들이 저항하여 우발적으로 사건이 발생했다"고 주장했으며, 후일 김완섭은 "당시 조선 땅에 일본군이 없었는데 어떤 일본군이 학살을 하나?"라는 주장을 해 논란이 되었다.
그러나 당시 조선 주둔 일본 육군이 " 조선군" 이라는 이름으로 주둔하고 있었던 것은 분명한 사실이고 이 중 헌병 병력 일부는 일반 치안 임무를 하고 있었던 것도 사실이다. 김완섭은 "이들은 치안 업무에 종사했으니 군인이 아니라 경찰"이라고 우겼지만 이들은 경찰 업무뿐만 아니라 헌병 업무까지 하고 있었던 것도 분명하며 엄연히 이들의 법적 신분은 군인이다. 더욱이 당시 조선 주둔군 사령관인 우쓰노미야 다로 장군의 일기가 발견되면서 일본이 제암리에서 벌어진 학살 사건을 조직적으로 은폐하려 한 사실이 드러났다. 그리고 관여한 군인들은 30일간 근신처분을 받았고 나중에 군법회의 결과 살인, 방화에 대해 무죄 처분을 받았다.[4][5]
5. 뒷이야기
해방되기 전까지 제암리 사건은 언급조차 못 되다가 1959년 4월이 되어서야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로 된 순국 기념탑을 세울 수 있었다.1969년 촬영된 제암교회 모습 (1938년 재건) | 제암리 3.1운동 순국 기념탑 모습 |
1973년에 촬영된 제암교회 사죄의 교회당 | 1980년에 촬영된 뒷편 모습 |
이 사건을 폭로한 스코필드 교수는 후에도 한국인을 돕다가 조선총독부에 의해 강제 출국당했지만 1968년 건국공로훈장을 수여받았고 외국인으로써는 최초로 국립현충원에 안장되었다.
현재도 명맥을 이어오고 있는 제암교회에서는 영상물과 교육자료 등을 통해 제암리 학살사건 당시의 내용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가끔 시간만 잘 맞추면 당시 생존자의 후손들도 종종 만나볼 수 있다.
도쿄대학 영문과 교수와 도쿄여자대학 학장으로 재직한 영문학자 사이토 타케시(斎藤勇, 1887년 2월 3일 ~ 1982년 7월 4일)는 자국 군인이 저지른 잔인함에 대한 비판과 처참하게 살해당한 조선 백성들에게 조의를 담은 〈어떤 살육사건(或る殺戮事件)〉이라는 작품을 1919년 5월 22일 《복음신보(福音新報)》지에 발표하기도 하였다.
일본어 | 한국어 번역 |
それはトルコ領アルメニアの蛮行ではない。 300年前ピエドモントにあった殺戮ではない。 アジア大陸の東端に行なわれた惨事である。 永遠の平和を期する会議中の出来事である。 |
그것은 터키령
아르메니아의 만행이 아니다. 300년 전 피에몬테에서 있었던 살육이 아니다.[8] 아시아 대륙의 동쪽 끝에서 행해진 참사다. 영원의 평화를 기약하는 회의 중의 사건이다. |
我らの愛する祖国においては、 人種差別を撤退すべしと、 いわゆる志士がいきまきどよめいた時、 五大列強の一と誇る君子国の方伯(つかさ)は、 その託された領土の民が結束して起ち、 君子国圧制を非とし、 一個の人として与えられるべき自由と権利を 要求するため示威運動を行なった時、 これ畢竟邪教の迷わすところと、 剣を按じて、布令をまわした、 某月某日某会堂に集まるべしと。 |
우리가 사랑하는 조국에서는 인종 차별을 철폐해야 한다고 소위 지사들이 떠들고 있을 때이다. 5대 열강의 하나인 군자국의 방백(方伯)은 맡은바 영토의 백성(民)이 결속하여 일어나 군자국 관헌의 압제를 주장하고 한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자유와 권리를 요구하기 위해서 시위 운동을 했을 때 필경 서양에서 온 종교가 미혹한 것이라고 검을 차고 포령(布令)을 돌렸다. 아무 달 아무 날 아무 교회당에 모이라고. |
そこは都を離れたさびしいひな里(ざと)、 木造りの粗末な魂のほこらが立っている。 白い着物をつけた土地の人々、 或る者は大病の老いたる父をはなれて、 或る者は産褥に入りし妻を残して、 或る者は辛くもその日を過すたづきをやめて、 今日(きょう)は日曜でもないのになぜ集まるのか。 お布令のためだ、いかめしい憲兵のためだ。 集まる者二十、三十。中には未信者もいた。 官憲は詰(なじ)った、「なぜ暴動に加わったか」と。 ああ己れの母国が滅びて不平なきを得ようか。 |
거기는 서울을 멀리 떠난 외딴 외딴 시골, 목조의 초라한 교회당이 서 있다. 하얀 옷을 입은 동네 사람들 어떤 이는 큰 병에 걸린 늙은 아버지를 떠나서, 어떤 이는 애기를 낳은 아내를 두고 어떤 이는 겨우 그날을 지낼 양식을 떠나서, 오늘은 일요일도 아닌데 왜 모이는가. 포령(布令) 때문이요, 엄격한 헌병 때문이요. 모인 자 이삼십, 그 중에는 그리스도를 믿지 않은 자도 있었다. 관헌은 따졌다. 왜 폭동에 가담했는가고. 아아, 자기 모국이 멸망했는데 불평이 없을 수 있겠는가. |
しかも当局が善政をもって慕わせなければ、 誰が喜んで屈辱と侮蔑とを忍べよう。 しかももし、武断と暴力とを用いて、 民の慴(しょう)服をこれ計る為政者ありとすれば・・・。 信仰ある者は、官憲に対(むか)って 魂の自由を求めたかも知れない。 その言激越の調を帯びたとしても、 偶像礼拝をしいられる者に、 それはいけない、不柔順だと、 どうして我らは言えよう。 |
더욱이 당국자가 선정(善政)으로 따르게 하지 않으니 누가 기꺼이 굴욕과 모욕을 참겠는가. 더욱이 만일, 무기와 폭력을 사용하여, 백성의 복종을 꾀하는 위정자가 있다고 한다면… 그리스도인은 관헌에게 신교의 자유를 요구했는지도 모른다. 그 말투가 격했더라도 우상 예배를 강요하는 자에게, 그것은 나쁘다, 불순종이라고 어찌 말할 수 있으리요. |
忽ち砲声、五発、十発・・・。 見るまに会堂は死骸(むくろ)の堂宇(ほこら)。 尚あきたらずして火をもって見舞う者があった。 赤い炎の舌は壁を嘗めたが、 官憲の毒手に撃たれた亡国の民を―― 「西洋邪教」を信ずる者を―― 憚る如く、恐るる如く、守る如く、 彼等の死骸(むくろ)を焼き払わない。 それと見て、風上の民家にも火をつけた 燃える、燃える。四十軒の部落は、 一軒も焼き尽くされざるはない。 君は茅屋の焼跡に立って、 まだいぶり立つ臭気が鼻につかないか。 乳呑み児をだいたままの若い母親、 逃げまどうて倒れた年よりなどの 黒焦げになった惨状が見えないか。 何、「ヘロデの子殺しよりもひどくない」というのか。 「ピエドモントやアルメニアのより人数が少ない」というのか。 「島原や長崎あたりの昔の事もあった」というのか。 「君子国にはそんな例が珍しくはない」というのか。 |
갑자기 총성이 한 발, 두 발… 순간 회당은 사체의 사당. 그것도 모자라서 불을 지르는 자가 있었다. 빨간 불길은 벽을 핥았으나, 관헌의 독수(毒手)에 넘어진 망국의 백성을 ―서양 사교를 믿는 자를― 내외하듯, 두려워하듯, 지키는 듯, 그들의 사체는 불태우지 않는다. 그것을 보고 바람은 윗쪽의 민가에도 불을 붙였다. 탄다, 탄다, 사십 호의 부락은 하나도 남은 것이 없이 탔다. 초가집의 불탄 자리에 서서 아직도 스며오르는 취기(臭氣)가 코에 맡아지지 않는가. 젖먹이를 안은 채인 젊은 어머니, 도망가다 넘어진 늙은이 등의 까맣게 탄 참상(慘狀)이 보이지 않는가. 저, 헤로데의 어린이 살해보다 비참하지 않다고 말하는가. 피에몬테나 아르메니아보다 인원수가 적다고 말하는가. 시마바라(島原)나 나가사키(長崎) 등지의 옛날 일도 있었다고 하는가. 군자국에서는 그런 예가 드문 것이 아니라고 하는가. |
もしこれをも恥とすることなければ、 呪われたるかな、東海の君子国。 或る新聞は簡単に伝えていう。 併合国土のキリスト教徒は、 群り集まって騒擾を起こし、 解散を命じた官憲にていこうしたため、 暴徒の死者二十、焼失家屋十数戸と。 また或る新聞は一言半句これを記(しる)さない、 さながら春風に吹き散る花を見るよう。 |
만일 이것도 수치로 삼지 않는다면, 저주받을진저, 동방 군자의 나라. 어떤 신문은 간단히 전해서 말한다. 병합 국토(倂合國土)의 기독교인은 모여서 소요를 일으키고 여기에 해산을 명령한 관헌에게 반항했으므로, 폭도 가운데 사자(死者) 이십, 소실 가옥 십수 호라고. 또 어느 신문은 일언반구 이것을 쓰지도 않는다. 마치 봄바람에 흩날리는 꽃을 보듯이. |
ya022978. "斎藤勇「或る殺戮事件」全文." http://d.hatena.ne.jp, 2011년 04월 17일, 원문, 의역이 가미된 한국어 번역본
1980년대에 이 사건의 유일한 생존자인 전동례 할머니의 증언을 담은 영상이 있다. #
2019년 2월 일본의 기독교인들이 제암리를 찾아 사죄했다. 제암리 찾은 日기독교계 17인 제암교회서 사죄의 눈물
1971년에 제암리 학살사건을 다룬 영화가 촬영됐다. 제목은 '두렁바위'다. 일제 제암리 학살사건 영화로 만들어“첫선”
2021년 제암리 순국유적지 인근 부지에 화성시 독립운동기념관이 착공에 들어갔다. 제암리 학살사건을 비롯해 화성 지역에서 전개된 독립운동 관련 기록과 역사 자료들을 볼 수 있다고 하며, 2024년 4월 15일에 개관이 예정되어 있다.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bgcolor=#0047a0><colcolor=#fff> 배경 | 파리 강화 회의 · 민족자결주의 · 러시아 혁명 · 고종 |
사건 | 2.8 독립 선언 · 파리 장서 사건 · 제암리 학살사건 | |
인물 / 단체 | 우드로 윌슨 · 블라디미르 레닌 · 신한청년당 · 여운형 · 민족대표 33인( 손병희) · 유관순 ·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
기타 | 삼일절 | |
틀 | 독립선언서 | }}}}}}}}} |
[[일제강점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fff><colbgcolor=#b31c31> 상징 | 국기(일장기) · 국가(기미가요) |
시대 |
1910년대(
무단 통치) 1920년대~1930년대 초반( 문화 통치) 1930년대 중반 ~1945년( 민족 말살 통치) |
|
통치기관 | 조선총독부( 청사) | |
언어 | 일본어 · 조선어 | |
정치 | 조선 주둔 일본군 · 일본 제국 경찰 · 조선물산공진회 · 토지 조사 사업 · 산미증식계획 · 민의창달 · 북선개척사업 · 농공병진 · 남면북양 · 농촌진흥운동 · 국가총동원법 · 전시증세령 · 내선일체 · 창씨개명 · 황국신민서사 암송 · 궁성요배 · 신사참배 · 정오묵도 · 가미다나 | |
악법 | 조선 사상범 보호관찰령 · 조선 사상범 예방 구금령 · 군기보호법 · 치안유지법 · 보안법 | |
독립운동 유형 | 애국계몽운동 · 실력양성운동 · 항일무장투쟁 · 외교론 | |
주요 독립운동 | 신민회 105인 사건 · 3.1 운동 · 6.10 만세 운동 · 물산장려운동 · 광주학생항일운동 · 신간회 · 조선어학회 사건 · 일장기 말소사건 | |
주요 학살사건 | 제암리 학살사건 · 관동대학살 · 간도참변 · 배화폭동 | |
학설 | 식민지 수탈론 · 식민지 근대화론 · 식민지 근대성론 · 자본주의 맹아론 · 근대화 회의론 · 식민사관 | |
단체 | 조선사편수회 · 식량영단 |
<rowcolor=#fff> 대한민국의 군 관련 사건 사고 | ||
<bgcolor=#fff,#1c1d1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정부수립 전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tablewidth=100%><rowcolor=#000,#fff> 고조선~대한제국 위만의 정변(B.C. 194)C 강조의 정변(1009)C 김훈·최질의 난(1014)C 무신정변(1170)C 위화도 회군(1388)C 이괄의 난(1624)C 임오군란(1882)C 대한제국군 해산(1907.8.)I |
}}}}}}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광복~195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제주 4.3 사건(1948)A P 여수·순천 10.19 사건A C P 1946-1950년 한국군의 숙군Na 해상의용군 사건(1948)Na 국민방위군 사건(1950~1951)Na 불륜처 타살사건(1954)P 하늘집 유아 학대 사건(1955)A P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1959)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6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5.16 군사정변(1961)C 최영오 일병 살인 사건(1962)A Na 무장군인 법원 난입 사건(1964)A 해병대 공군비행학교 습격사건(1966)F N 안학수 하사 월북 조작 사건(1966)A Na Nk 서울 청구동 C-46 추락사고(1967)F 1.21 사태(1968)Nk P 국방부 초병 강간치상 사건(1968)F P 육군 하사 수류탄 투척 사건(1968)A P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7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유네스코 지하다방 인질사건(1974)A P 서울 UFO 격추미수 사건(1976)A ? 12.12 군사반란(1979)C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8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5.17 내란(1980)C 5.18 민주화운동/학살A Na P 제주 C-123 추락사고(1982)A F 청계산 C-123 추락사고(1982)A F 최승균 소위 사망사건(1984)A 제28보병사단 화학지원대 총기난사 사건(1985)A 여우고개 사건(1985)A 정연관 상병 구타 사망사건(1987)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199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000,#fff>
국군보안사령부 민간인 사찰 폭로 사건(1990)A Na 공군 구조헬기 서해상 추락 사고(1990)F P 밀양 C-123 추락사고(1991)F 군 부재자투표 부정 폭로 사건(1992)A Na 17사단 종교시설 무단폐쇄 사건(1992)A 연천 예비군 훈련장 폭발 사고(1993)A 혜화동 무장 탈영병 총격 난동사건(1993)A P 53사단 장교 무장탈영 사건(1994)A 1996년 군부대 막사 매몰사고(1996)A F 화성 해안초소 K2 소총 사취 사건(1997)A ? 김훈 중위 사건(1998)A ? 제5공수특전여단 동사사고(1998)A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0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00년 | <colcolor=#373a3c,#ddd> |
2001년 | 염순덕 상사 피살사건A ? 부천 탈영장교 살인사건A P | |
2002년 | 함광열 이병 의문사 사건A ? 미군 여중생 압사 사고I P | |
2003년 | 육군 21항공단 헬기추락 사건A | |
2004년 | ||
2005년 | 논산 육군훈련소 인분 사건A 해군 동검도 제초제 사건N 노충국 사건A | |
2006년 | 가평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 |
2007년 | 일산 육군 중사 애인 토막 살인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총기 탈취 사건N P | |
2008년 | ||
2009년 | 대청해전N Nk |
<rowcolor=#fff>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2010년대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677718><colcolor=#fff> 2010년 | <colcolor=#373a3c,#ddd> 천안함 피격 사건N Nk 연평도 포격전N Nk P |
2011년 | 양구 고등학생 군인 집단 폭행 사건A P 강화도 해병대 동료 총격 사건N | |
2012년 | 특전사 중사의 이명박 상관모욕 사건A 북한군 노크 귀순 사건A | |
2013년 | 임진강 월북 시도자 사살 사건A 국군춘천병원 도끼 살인사건A 김지훈 일병 자살 사건F | |
2014년 | 제28보병사단 의무병 살인사건A 제22보병사단 총기난사 사건A 제1전투비행단 가혹행위 은폐 사건F 17사단장 성범죄 사건A | |
2015년 | 내곡동 예비군 훈련장 총기 난사 사건A 공릉동 살인사건A P DMZ 목함지뢰 매설 사건A Nk 서부전선 포격 사건A Nk 군 부상자 치료비 부담 논란A 영월 혹한기 훈련 이등병 무장탈영 사건A | |
2016년 | 분당 예비군 사망사건? 진해 해군기지 잠수정 폭발사건N 울산 군부대 폭발 사고A 홍정기 일병 사망 사건A | |
2017년 | 성폭력 피해 해군 대위 사망사건N 박찬주 육군 대장 부부 갑질 사건A 제6보병사단 소속 일등병 유탄 사망사건A 제5포병여단 K-9 자주곡사포 폭발 사고A 2017년 판문점 귀순 북한군 총격 사건A Nk | |
2018년 | 2017년 계엄령 문건 사건D Na 제203특공여단 사격장 총기 사망사건A 문재인 정부 GP 파괴 부실검증 의혹Na Nk 육군 통신장교 석면 사망사고A 포항 해병대 헬기추락 사고N 양구 GP 일병 총기 사망 사건A ? | |
2019년 | 2019년 러시아 군용기 독도 영공 무단 침범 사건I 고양시 여자화장실 군인 묻지마 폭행 사건A P |
대한민국의 살인 사건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font-size:0.9em" A:
방화 살인 · C:
연쇄살인 · F:
외국인 연루 · H:
가정폭력 살인 · I:
보험 살인 · K:
납치 살인 · L:
아동 살해 · M:
대량살인 · N:
국가행정조직 연루 · R:
강도살인 · S:
성폭력 살인 · St:
스토킹 살인 · V:
SNS 연루 · Y:
청소년 범죄 · ?:
미제사건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3%; min-height:2em"{{{#!folding [ 고조선 ~ 대한제국 ] |
섭하 사건F (B.C. 109) · 저고여 피살 사건F N ? (1225) · 다루가치 살해사건F (1232) · 임오화변H (1762) · 평안 박여인 살인사건 (1784) · 김은애 사건H (1790) · 민승호 암살 사건M N ? (1874) · 을미사변F M N S (1895) · 치하포 사건F N (1896) |
- [ 일제강점기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 제암리 학살사건F A M N (1919) · 백백교 사건M (1920~1941) · 이판능 사건M (1921) · 주문학 살인사건 (1921) · 김립 피살 사건N (1922) · 진남포 소아 참살 사건L S ? (1924) · 빈주 사건M N (1925) · 고무신 살인사건 (1926) · 전주 소학생 유괴 살인사건K L S (1926) · 불륜처 변사사건 (1927) · 머슴 살인사건 (1928) · 이관규 연쇄살인 사건C L S (1929) · 청양 소년 살인사건? (1930) · 부산 마리아 참살사건S ? (1931) · 이승만 살인사건? (1932) · 평남 모친 살해 사건H (1932) · 사천 복수극 사건 (1932) · 옥관빈 피살사건N (1933) · 신의주 비행장 여성 시체 사건 (1933) · 순안 유부녀 알몸 살인 사건 (1936) · 강원도 유부녀 독살범 사건C (1939)||
- [ 광복 ~ 196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width=1000> 윤명선 피습 사건N R (1946) · 여운형 암살사건 (1947) · 백범 김구 암살 사건? (1949) · 문경 양민 학살사건A L M N (1949) · 고양 금정굴 학살 사건N M (1950) · 서울 홍제리 집단총살 사건N M (1950) · 열차 내 강간 살인 사건S ? (1953) · 불륜처 타살사건N (1954) · 이금순 피살 사건 (1957) · 진보당 사건N (1958) · 제28보병사단 사단장 살인사건N (1959) · 장기 훈수 살인 사건 (1960) · 최영오 일병 살인 사건N (1962) · 창신동 치정 살인 사건 (1962) · 고재봉 살인 사건M N (1963) · 수원 지지대고개 살인 사건 (1963) · 춘천호 여인 토막 살인사건 (1965) · 평창동 불륜처 살해 사건 (1965) · 김근하 유괴 살인 사건K ? (1967) · 마산 소년 토막 살인 사건L ? (1967) · 이천 여교사 알몸 피살 사건? (1968) · 육군 하사 수류탄 투척 사건M N (1968) · 종암동 여관방 유부녀 살인 사건S (1968) · 교북동 자매 살인 사건 (1969)||
- [ 197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1970 || 정인숙 살해사건N ? · 탤런트 유연우 피살 사건 · 양구 다방 인질극 사건 · 양주 두 어린이 유괴 살인 사건K L ||
1971 공덕동 유부녀 반나체 피살 사건? 1972 춘천 강간살인 조작 사건N S ? · 구로동 카빈 강도사건C K R (~1974) 1974 박정희 대통령 저격 미수 사건N · 김상범 유괴 살인 사건K L ? · 임병석 법정증인 살인사건 · 인천 일가족 살인사건 · 박분례 보험 살인사건I (~1975) · 유네스코 지하다방 인질사건N R 1975 김대두 사건C S R · 부산 어린이 연쇄살인 사건C L ? · 월배 가출소녀 강간 살인 사건S · 이팔국 아내 살인 사건 1976 방영근 사건R 1977 박흥숙 살인 사건M · 왜관역 토막 살인 사건L ? 1978 백화양조 여고생 살인 사건Y 1979 금당 골동품상 부부 납치 살해사건K R · 부산 송도 40대 여인 토막 살인 사건H · 완주·목포·남양주 연쇄살인사건C L Y (~2023) · 이양길 토막 살인 사건 · 여의도 반도호텔 현지처 살인 사건 · 10.26 사건M N ?
- [ 198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1980 ||<width=1000> 5.18 민주화운동/학살M N · 이윤상 유괴 살인 사건K (~1981) · 주남마을 버스 총격 사건M N ||
1981 원효로 윤노파 피살사건? 1982 우순경 사건M N · 사진작가 이동식 살인사건S 1983 강동 카바레 독살 사건? · 청산가리 우유 독살 사건I · 공주 연쇄살인 사건C S R (~1987) 1984 홍석진 유괴 살인 사건K L ? 1985 제28보병사단 화학지원대 총기난사 사건M N 1986 서진 룸살롱 집단 살인 사건M · 김선자 연쇄 독살사건C (~1988) · 이춘재 연쇄살인 사건C S R (~1991) 1987 수원 여고생 강간 살인 사건S ·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N K · 전용운 연쇄살인 사건C S R · 원혜준 유괴 살인 사건K L 1988 화성 연쇄살인 8차 사건N S · 남양파출소 경관 피살사건 · 미국인 학원강사 피살사건? · 부산 백양산 연쇄살인 사건C ? (~1991) · 화양동 세 남매 살인 사건L M · 중곡동 세 모자 살인 사건L M 1989 오이균 미성년자 연쇄살인 사건C L S Y · 신창원 강도치사 사건R · 5.3 동의대학교 사태A K M N · 유엔군사령부 소속 필리핀군 사병 한국인 살해 사건N · 화성 초등학생 실종사건K L N S · 심영구 사건C R · 설인종 고문치사 사건
- [ 199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1990 || 샛별룸살롱 살인 사건C S R · 부산 엄궁동 2인조 살인사건S R ? · 경부·호남고속도로 트럭 연쇄 피습 사건C R ? · 곽재은 유괴 살인 사건K L · 혈액형 살인사건L M · 부산 새마을금고 권총 강도 살인 사건R · 서울 노량진 살인 사건 · 지춘길 사건C A R · 영천 갈마골 토막 살인 사건? · 유명 공인회계사 피살사건? · 김희성 유괴 살인 사건K L · 이완희 유괴 살인 사건K L · 양평 일가족 생매장 사건C · 선산군 여고생 토막 살인 사건 · 인천 송림동 토막 살인 사건 · 구미 애인 강간범 살해사건S ||
- [ 200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2000 || 서울 종로구 여중생 살인사건Y · 김해선 사건C S · 부산 미용사 살인사건S ? · 부산 온천동 오락실 강도살인사건R · 안산 부녀자 연쇄살인 사건C S R · 무기수 김신혜 사건? · 이은석 존속살해 사건H · 인천 계양구 놀이터 살인 사건L ? · 익산 약촌오거리 택시기사 살인사건N R Y · 만봉천 예비간호사 살인 사건? · 청주 미용강사 살인 사건? · 분당 여자 변사체 전소사건? · 전주 택시회사 경비원 살인 사건? · 엄 여인 보험 살인사건C A I (~2005) ||
- [ 201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2010 || 김길태 살인사건S K L · 대구 아내 살인사건? · 남양주 아파트 밀실 살인사건? · 목포 여대생 살인 사건? · 부산 부전동 모텔 여주인 살인사건? · 부산 시신 없는 살인 사건 · 진주 연쇄 살인사건C R · 경기도 양주 친모 성폭행 살인사건S · 울산 부곡동 살인 사건? · 잠원동 묻지마 살인사건 · 하왕십리동 방화 살인 사건A Y · 함안 방앗간 노파 살인 사건? · 홍은동 여중생 살해 시신 유기 사건Y · 화성 여고생 살인 사건 ||
- [ 2020년대 ]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fff,#010101><width=8%> 2020 || 광진구 클럽 살인사건 · 종로구 주점 살인사건 · 효창동 묻지마 살인사건 · 진주 일가족 살해사건 · 최신종 사건C K R S · 동작구 장롱 시신 살인사건L · 창원 고깃집 여주인 살해사건 · 천안 계모 아동학대 사망사건L · 평택파주고속도로 음주운전 뺑소니 사건 · 용인 토막 살인 사건 · 인천 미추홀구 50대 남성 살해사건? · 경인아라뱃길 훼손 시신 사건? · 원주 아파트 일가족 살인사건A · 제주 오일장 살인사건R · 당진 자매 살인사건R · 무의도 가방 시신 사건 · 대구 새마을금고 살인 사건 · 인제 등산객 살인사건 · 양산 60대 여성 살인 및 사체유기 사건 · 인천 강화군 친누나 살인사건 (~2021) · 김해 응급구조사 살인사건 · 수원 영아 아동학대 사망사건L · 속초 폭행 사망 사건 · 양천구 입양아 학대 사망 사건H L · 해남 이혼부부 살인사건H ||
[1]
현재도
기독교대한감리회
제암교회라는 이름으로 남아 있다.
수원역에서
9802번을 타면 바로 갈 수 있다.
[2]
제암리 3.1운동 순국기념관 뒤쪽 언덕에 이 때의 순국선열 23인의 합동묘지가 있다.
[3]
제암리 학살사건 목격자 전동례 할머니의 증언. 참고로 제암리 학살사건의 최후의 생존자로 1992년 11월 10일에 노환으로 사망했다. 향년 94세
[4]
近年発見された、当時の朝鮮軍司令官、宇都宮太郎の日記によれば、「事実を事実として処分すれば尤も単簡なれども」とし「虐殺、放火を自認することと為り、帝国の立場は甚しく不利益」となるという判断から、幹部と協議した結果「抵抗したるを以て殺戮したるものとして虐殺放火等は認めざることに決し、夜十二時散会す。」とある。関与した有田俊夫中尉の処分は30日間重謹慎処分とされたが、その後の軍法会議による判決(1919年8月21日付)で殺人・放火に関して無罪が確定した。- 번역 "근년 발견된 당시 조선군사령관 우츠노미야 타로의 일기에 의하면 "사실을 사실로써 처분하면 가장 간단하겠으나,"라고 하면서 "학살, 방화를 스스로 인정하는 결과가 되어 제국의 입장에 심히 불이익"이 된다는 판단하에 간부와 협의한 결과 "저항했었으니 살육도 있었던 것이라 하여 학살, 방화 등은 인정할 수 밖에 없다고 결론내리고, 밤 12시에 회의를 마쳤다."고 되어 있다. 관여한 아리타 토시오 중위의 처벌은 30일간 엄중한 근신처분으로 결정되었으나 그 후 군법회의에서 내린 판결(1919년 8월 21일자)에서 살인방화에 관해서 무죄 확정을 받았다.
[5]
보면 알겠지만 아리타 토시오는 결국 무죄 처리되었고 학살당한 피해자들에 대해서도 은근슬쩍 책임을 떠넘기는 식으로 논의가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6]
1898년생으로 1992년 11월 10일에 향년 94세로 노환으로 작고했다. 별세하기 전까지 제암리의 만행을 생생하게 알리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도 했다.
[7]
이 무렵은 쌀 80㎏ 1가마가 5천원 남짓 하던 시절이었다.
[8]
1655년에
이탈리아 북서부
피에몬테 지방에서
발도파 신자들이 대량 학살당한 사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