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5 14:46:15

국한문혼용체

국한문혼용에서 넘어옴
한국어 문체 문법의 종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87cefa,#01558a> 존댓말
(높임)
아주높임
하십시오체
( 하소서체)
예사높임
하오체
두루높임
해요체
낮춤말
(낮춤)
아주낮춤
해라체
예사낮춤
하게체
두루낮춤
해체
( 반말)
구어체 음성적 잉여표현 반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
문어체 간결체 만연체 강건체 우유체 건조체 화려체
표기법 로마자 표기법 외래어 표기법 국문법 맞춤법
모아쓰기 / 풀어쓰기 띄어쓰기 가로쓰기/ 세로쓰기
국한문혼용체 국한문병용체 한영혼용체 병기 ( 한자 병기)
개조식 발음대로 적기 읍니다 압존법
일반 문체 / 방언 문체
}}}}}}}}} ||

한국어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문자 한글 · 옛한글 · 한자 · 한글 점자
표기 한글전용 · 국한문혼용체 ·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이두 · 향찰 · 구결) · 맞춤법 ( 역사)
시대별 분류 한국조어 · 고대 국어 · 중세 국어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국가별 표준 남한 표준 · 북한 표준
방언 한국어의 방언
관련 언어 고구려어 · 백제어 · 신라어 · 가야어 · 발해어 · 탐라어 · 제주어
관련 문서 국문법 · 한국 한자음 · 한국어족 · 한국어의 외래어 · 존비어 문화 · 한자 사용 · 한글의 문제점과 논쟁 · 한글로 표기할 수 없는 발음 · 국어기본법 · 점자법 · 한국수화언어법
타 문자
전사
<colbgcolor=#3492da><colcolor=#fff> 로마자 한국어의 로마자 표기 · 표기법별 대조표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 한글의 로마자 표기법 · 조선어의 라틴문자 표기법 · 예일식 표기법 · ISO식 표기법 · 한글학회 로마자 표기법 · 한글을 로마자로 적는 법 · 한세회식 표기법 · 유만근식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 김복문식 표기법 · 양병선식 표기법 · 21세기 표기법 · 국립국어원식 표기법 · 루코프식 표기법 · 홀로도비치 표기법
키릴 문자 한국어의 키릴 문자 표기
홀로도비치 표기법 · 콘체비치 표기법 · 북한식 표기법
가나 국어의 가나 문자 표기법 }}}}}}}}}

1. 개요2. 역사 및 양상3. 비슷한 예4. 혼용하는 정도
4.1. 극한 국한문혼용체
5. 예시
5.1. 극한 혼용문5.2. 현행 혼용문
6. 기타7. 관련 문서8. 둘러보기

1. 개요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知識[1]의 나무.

한국어 문장을 작성할 때에 한자어 한자로 쓰고 다른 낱말만 한글로 쓰는 것을 말한다.

2. 역사 및 양상

국한문혼용체가 사용된 선조(宣祖) 언간 (1604년)

조선 초기에는 《훈민정음 언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자 한글을 섞어 쓰더라도 한자 옆에 음을 달거나 아예 음 옆에 한자를 쓰는 경우가 많았다. 현대에도 혼용을 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경우 괄호를 사용하는 대신 이 방법을 쓰기도 한다. 과거 한국에서 한글은 주로 한문과 한자를 모르는 사람들에게 사용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한문과 한글을 모두 아는 선비가 다른 선비에게 글을 보낼 때는 둘 다 한문을 알고 있으니 당연히 한문 문장으로 글을 쓸 것이고 한문을 모르지만 한글은 아는 아내나 어린이, 아랫사람에게 글을 쓸 때는 상대방이 글을 못 알아먹으면 의미가 없으니까 한글로 쓸 것이다. 예를 들자면 조선 시대의 왕실에서는 궁이 넓어 아침 문안을 제하면 왕이나 왕족들끼리 전할 것이 있다면 글로 적어 보냈다. 조선 시대에는 공주라고 해도 여자에게 한문을 가르치지 않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므로 받는 사람이나 쓰는 사람 중 한 사람이라도 여성이면 한글을 썼지만 조선 후기에 들어서 양반들이 시조와 가사를 쓰면서 한문에 한글을 섞어 쓰는 서체가 많이 퍼지기는 하였다. 1565년에 이황이 쓴 도산십이곡이나 1580년에 쓰여진 관동별곡도 국한문혼용체[2]다. 1610년의 무예제보번역속집 또한 국한문혼용체를 볼 수 있다.

참고로 한글 창제 이전에 공문서에서 쓰이던 이두문은 한자어를 그대로 두고 문법형태소에 이두를 사용하는 혼용문이었으나 표기는 다 한자라서 이두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보면 어디가 이두 부분인지 한눈에 알아보기는 어렵다. 20세기에 개정 출판된 대명률직해와 같은 곳에서는 이두 표현에 윗줄을 그어서 표시해주었다.

근대에는 1886년에 창간한 한성주보에서, 1895년에 유길준이 지은 《서유견문》(西遊見聞)이 국한문혼용체로 적혔다. 유길준 자신은 최대한 국문(한글)을 살려 쓰려 했다고 밝혔는데 당시 그가 지은 책을 본 사람들은 언문을 섞어 쓴 것은 문장이 아니라며 비웃었다고 한다. 제대로 된 한문이야말로 격조 높은 문장으로 여겼던 때문이기도 하다. 그러나 이후에 갑오개혁으로 1895년에 공문서에 (한자와) 한글로 공문서를 작성하는 칙령이 반포되며 신문 조선왕조실록에도 간간이 나오게 될 정도로 사용 빈도가 더더욱 늘었다. 이 즈음부터 침탈하려는 외세에 대한 저항이나 계몽주의의 영향으로 고유 글이 인식이 높아지면서 순한글로 된 신문이나 인쇄물은 물론이고 한문과 한글전용 사이의 일종의 과도기 형태로 국한문혼용체로 된 신문이나 인쇄물들이 공적인 용도로 쓰이기 시작했다. 일제강점기 때에도 조선인들을 대상으로 한 신문이나 잡지에서 국한문혼용체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기에 지속적으로 국한문혼용체가 쓰였고 해방 후에도 한자를 많이 아는 것이 지식의 척도였던 것은 매한가지인지라 그대로 이어졌다.

구한말에 사용된 국한문혼용체는 갈수록 일본식 문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황현 역시 자신의 책 《 매천야록》에서 이를 지적하며 한탄하기도 했다. 당시 한문 교육을 제대로 받았던 지식인은 국한문혼용체에 사용된 어투를 보고 글쓴이가 어떤 배경에서 교육을 받았는지까지 가늠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문체 차이는 세대 차이로도 이어져서, 기미독립선언서의 초안을 잡은 최남선 같은 일본 유학파 들은 한문 구사 세대인 오세창에게 "요즘 젊은것들은 글도 제대로 못 쓴다"며 쓴소리를 듣기도 했다.

국한문혼용체는 비교적 최근까지 주류로 쓰였다. 199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대학생 이상의 식자층은 대부분 일상생활에서도 국한문혼용체를 사용하고 이해했으며 고졸 이하 학력의 일반인이라도 일상생활에 쓰일 한자로 쓰여진 국한문혼용체는 읽을 수 있는 사람이 많았다. 일례로 서강대학교에서는 1990년대까지 읽기/쓰기 교양 수업에서 독후감을 국한문혼용체로 쓰지 않으면 페널티를 매겼다. 대부분 한국의 주요 신문들은 세로쓰기, 국한문혼용으로 발행되었다. 신문이 가로쓰기, 한글전용으로 바뀐 것은 한겨레신문을 제외하면 1990년대 중반 들어서다. 이때가 민주화와 시기를 같이 하지만 사실 정책적으로 한글전용을 실시한 주체는 박정희 정부였다. 박정희는 한글전용을 요구하며 시위를 벌인 대학생들과 얘기를 나눈 뒤 한글전용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게 됐다. 그는 대학생들이 가져온 한글전용 계획을 살핀 뒤 1968년 5월 내각에 1973년을 목표로 한 "한글전용 5개년 계획"을 수립하라고 지시했다. 이후 자신도 문서 작성과 명패 등을 모두 한글로 바꾸었다. 10월에는 목표 연도를 1970년으로 3년 앞당기게 하는 등, 7개항의 강력한 한글전용 지시를 다시 내렸다. 거기에 한자 교육을 일시적으로 폐지하기까지 했다. 물론 엄청난 반발이 일어나 중·고등학교에서 한자 교육을 재개했지만 한자 교육 자체가 이미 크게 축소된 뒤였다. 그때 교육을 받은 세대들이 사회의 중역이 되기까지 대략 25년 정도 걸렸는데 그게 1990년대다. 동시에 사회 전반에 걸쳐 컴퓨터가 보급되고 전산화, 정보화가 급속히 진행되면서 국한문혼용체 사용은 더욱 줄어들었다. 그럼에도 그 흔적으로 1990년대까지 신문 기사에서 사실상 한글전용 수준으로 한글이 보급되었지만 기사 하단에 명기되는 기자 이름은 여전히 한자로 표기된 경우도 많았고[3][4] 2000년대 초까지만 해도 대학 교재나 주간지에서 국한문혼용을 드물게나마 일상에서 접할 수 있었고 눈으로나마 한자를 독해할 수 있는 사람들이 많이 있었으나 이마저도 2010~20년대부터 격감했다. 다만 여전히 대기업, 대학 논문 학술 등에서는 자주 사용한다. 고려대학교 등에서도 졸업을 위한 한자시험 인증은 여전히 50% 이상 존재한다.
제3 조 논문 작성 규정 - 문장은 한글 국한문 혼용을 원칙으로 하며, 외국어 논문의 경우에는 영문을 원칙으로 한다.[5] 서울대학교[6]
한자문화권에 직간접적으로 속해 있는 대한민국 한국인[7]이라면, 정도는 상식으로 알아두면 좋다. 大韓民國을 읽지 못하는 정도까지만 아니면 된다.[8]
국한문혼용의 예 1
e.g. 그룹 계열사 퇴사 인원 [9]
e.g. 소니 관련 리포트 송부의 [10]
국한문혼용은 애초에 정확성을 요구하는 논문 등에서는 당연한 일이다. 한글전용화도 편리하고 좋다. 다만,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국한문혼용이 꼭 필요한 이유는 정확성이 필요할 때 한글은 같지만 한자 속뜻은 다른 동의어가 남발되면 확대해석 당하거나 해서 정말 답이 없기 때문이다. 한자가 어려운 독자를 위해서는 한자병기도 가능하긴 하다. 다만 보고서 등에서 한자를 읽을 수 있는 대상을 위해 병기는 자리를 차지해서 굳이 병기를 해줄 필요는 없고, 한자 지식이 있는 경우 십중팔구 국한문혼용으로 진행한다.
국한문혼용의 예 2
e.g. ... [ruby(定, ruby=정)][ruby(款, ruby=관)]의 절대적 기재사항이 아니므로 자본의 증가는 [ruby(定, ruby=정)][ruby(款, ruby=관)][ruby(變, ruby=변)][ruby(更, ruby=경)]의 [ruby(事, ruby=사)][ruby(由, ruby=유)]가 되지 않으나, [ruby(有, ruby=유)][ruby(限, ruby=한)][ruby(會, ruby=회)][ruby(社, ruby=사)]에 있어서는 [ruby(定, ruby=정)][ruby(款, ruby=관)][ruby(變, ruby=변)][ruby(更, ruby=경)]을 요한다. [ruby(株, ruby=주)][ruby(式, ruby=식)][ruby(會, ruby=회)][ruby(社, ruby=사)]의 자본증가는보통 [ruby(新, ruby=신)][ruby(株, ruby=주)][ruby(發, ruby=발)][ruby(行, ruby=행)]에 의하여 행하여지며, 그 밖에 준비금의 [ruby(資, ruby=자)][ruby(本, ruby=본)][ruby(轉, ruby=전)][ruby(入, ruby=입)], [ruby(轉, ruby=전)][ruby(換, ruby=환)][ruby(社, ruby=사)][ruby(債, ruby=채)]의 [ruby(轉, ruby=전)][ruby(換, ruby=환)] 등에 의하는경우도 있다. 그리고 유한회사에 있어서는 [ruby(出, ruby=출)][ruby(資, ruby=자)][ruby(座, ruby=좌)][ruby(數, ruby=수)]의 증가, [ruby(出, ruby=출)][ruby(資, ruby=자)][ruby(一, ruby=일)][ruby(座, ruby=좌)]의 [ruby(金, ruby=금)][ruby(額, ruby=액)]의 증가 및 양자의 병용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자본증가는 [ruby(登, ruby=등)][ruby(記, ruby=기)][ruby(事, ruby=사)][ruby(項, ruby=항)]이며 ... (상법416, 461, 40, 317②(2) 등). #
상기와 같은 단어를 상당수 한자로 바꾸는 식의 국한문혼용은 많이 줄어들긴 했다. 삼성그룹에서도 2021년부터는 경계현 사장의 지침을 시작으로 국한문혼용을 자제하고 있다. 다만, 대한민국에서 국한문혼용은 여전히 격식을 차린 메일 등에서는 자주 사용되며 요약 측면에서는 상술한 좋은 예처럼 국한문혼용만큼 편한 게 없을 때가 있다.

이외에 현재까지도 '국한문혼용의 예 1'과 같이 언론 등에서 자주 쓰이는 한자들은 한국의 한자 사용 현대의 여러 가지 용례 문단에서 확인할 수 있다.

유독 법전 같은 문서에서 국한문혼용체를 많이 사용했는데 동음이의어 때문에 의미를 혼동함을 막기 위해서였지만 법조계에서 일반에서 사용하지 않는 한자어를 남발하니까 법 공부를 하지 않은 대중들은 전혀 알아들을 수 없었다. 단순히 어휘력 부족의 문제가 아니었다. 21세기 들어서는 고유어가 있으면 고유어로, 어려운 한자어는 쉬운 한자어로 바꾸고, 한글을 전용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중이다. 21세기에 제정 또는 개정된 법들은 보통 한글로만 적는다. 중간 과정으로 잠시 '한문(漢文)'식으로 괄호 치고 한자 병기를 하던 시기가 있다. 법령은 원문 그대로 적어야 하는 원칙이 있어 시중에 나온 법전을 보면 한자만 적힌 법, 한자를 병기한 법, 한글만 적힌 법이 전부 실리곤 했다. 참고로 최초로 한글화된 법은 민사소송법이다.

대한민국 항공사인 아시아나항공은 2024년 기준으로도 일부 기종의 좌석 앞의 안전 문구가 '救命胴衣는 座席 밑에 있습니다', '着席中에는 安全帶를 매십시오'[해석A]와 같은 국한문혼용체로 적혀 있으며 비상구 표시도 "非常口(EXIT)"로만 적혀 있는 기종이 다수다. 물론 한자를 모르면 영어를 보면 되지만 한자도, 영어도 모르는 어린이가 이해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모기업인 금호아시아나그룹이 한자를 중요하게 생각한 데다 서비스 스타일 자체가 중화권 환승객을 주요 대상으로 한 경향도 있었기 때문이다. 아시아나항공을 리뷰한 몇몇 외국인 유튜버들도 이런 표기를 신기하게 본 경우가 있다. 대한항공도 1990년대~2000년대 초반까지 국한문혼용체 안전 안내 문구를 사용했으나 2000년대 중반부터는 모두 한글 및 영문으로만 적고 있다.

북한에서는 해방 후 1946년 사이에 간행된 로동신문 세로쓰기에 국한문혼용체였고 당시까지는 대중매체와 다수의 서적에서 국한문혼용체를 썼다. 북한에서 전면적으로 한글 전용을 시행한 때는 로동신문이 가로쓰기로 발행되기 시작한 1948년의 일이다. 남한 역시 동년 한글날에 '한글 전용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여 한글 전용을 법제화한 바 있다. 남한에서 한글 전용이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데 오랜 세월이 걸렸고 지금도 국한문혼용을 주장하는 이들이 나오는 것에 비해 북한에서는 한글 전용이 별다른 논란이나 마찰 없이 비교적 빠르게 보급되었다. 물론 단순히 명령만으로 일상생활에서 국한문혼용체가 100% 없어진것은 아니었고, 1950년대 북한 원에서 한자표기가 남아 있다던가, 좀 배웠다고 하는 사람들이 국한문혼용체로 된 오래된 책을 읽거나 자랑삼아 한자를 섞어 글을 쓰는 경우가 여전히 많이 있었다. 그러나 대중매체와 신규발행서적 대부분이 한글전용이었기 때문에 몇 달 속성교육으로 한글을 익힌 사람들이나 일반 학생들은 한자를 수천자씩이나 추가로 익힐 필요성을 느끼지 않았고[12] 이 때문에 1960년대 즈음이 되면 한글전용이 일상생활에서도 확고히 정착되었고 국한문혼용체는 학식이 높다고 자랑하기 좋아하는 사람들이나 쓰는 문체로 전락했던 상황이었다. 이렇게 한글전용이 일상에 확고히 정착되면서 한자실력의 퇴보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자 김일성이 이러한 우려를 받아들여서 한자교육을 재강화했지만 이미 한자가 일상생활에서 잘 쓰이지 않게 된 상황에서 큰 효과는 없었다.

한편 연변에서는 북한의 영향으로 국한문혼용체가 잘 쓰이지 않고 한자 병기를 하는 편이다. 그래도 남북한과 다르게 한자를 쓰는 비중이 높다. 연변 자치주의 공용어가 조선어(한국어)지만 엄연히 중국에 속하고 중국에서 전국적으로 쓰이는 공용어 표준 중국어라 연변 주민들은 한자를 기본적으로 배우기 때문이다. 물론 중국 본토 간체자를 쓰는 나라이므로 이들은 한국/ 대만의 정체(번체)자와 달리 간체자를 쓴다.

2.1. 존폐 논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국한문혼용체/논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비슷한 예

비슷한 예로 근래에는 한글과 로마자를 섞어 쓰는 국영문혼용체도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나 한글 전용이 확산되면서 국영문혼용체의 사용 빈도 역시 국한문혼용체 못지않게 줄어들었다. 이공계를 비롯한 학문에서는 당장 사용되는 개념이나 장치들에 마땅한 한국어 번역이 없어서 현재도 국영문혼용체가 빈번하게 쓰이는 편이지만 그 외에는 사실 보기 어렵다. 사실 한국인 교수가 한국어로 강의를 해도 영어 교재 영어 PPT에 하는 말도 조사만 빼면 전부 영어다. 당장 도서관에 가서 80년대 이전에 출판된 대학 교재들이나 각종 논문들을 보면 국문, 한자, 영문이 뒤범벅된 환상적인 문장들을 감상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는 독자가 영문을 읽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하기 때문에 주로 대학생 이상의 고학력층을 대상으로 한 서적에서 많이 사용되었다. 2020년대 기준으로도 영미권 유학생이 포진한 대기업 일부 부서, 영미권 회사의 한국지사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

4. 혼용하는 정도

섞어 쓰는 정도는 때와 글쓴이마다 다르다. 대표적으로 2000년에도 한자로 도배한 월간조선( 조선일보에서 발간하는 월간지) 을 제외한 신문, 잡지가 1980~90년대까지 일부 고유명사, 약어만 한자로 표기하는 정도였다. 심한 경우 기미독립선언서 원문같이 조사만 빼놓고 모두 한자로 도배하기도 한다. 오늘날 이렇게 쓴 글은 명사 투성이라 별로 좋은 평가를 받지 못한다.

한자를 음과 훈으로 읽어 한자를 써도 고유어를 살리는 일본과 달리 한국에서는 한문 독법에서 훈독은 사라져 한자를 음으로만 읽기 때문에 기미독립선언서 같은 심각한 국한문혼용체는 토씨 외에는 고유어의 씨가 말라 버린다. 개화기 이후의 과도기 문체에서, 얻다를 '[ruby(得, ruby=득)]하다', 열다를 '[ruby(開, ruby=개)]하다' 따위로 적는 등 명사뿐 아니라 동사까지 외자 한자에 '다/하다'만 붙여 쓰기 때문에 지금의 관점으로 요즘에는 영어에서 나타나는 [ruby(get, ruby=겟)]'하다', '[ruby(open, ruby=오픈)]하다'처럼 아는 사람은 아무래도 좋지만 모르는 사람은 꽤나 답답한 문체이다. 또 이렇게 되면 형태가 일본어 동사 중 종지형이 -す인 한문투 동사와 비슷해진다.

4.1. 극한 국한문혼용체

나무위키、諸公이養해進하는知識의木。
實質的意를有하는諸單語를漢字或漢字語로標記한當히極限的國漢文混用體다。卽助詞乃至語尾와幾種의例外를除한餘는全部漢字로標記한다고說해도無妨하다。如此히文을記할境遇、文章의形은加一層現代日本語文章과似할事다。何故라하니、 假名漢字交文을用하는日本語에서는漢字語는勿論實質的意를有하는固有語도亦是大部分他와似한意를有하는漢字와對應시켜標記함으로因해서다。然韓國式極限國漢文混用文과假名漢字交文의間에는幾種의決定的差異가在한데、一:現代日本語에서는實質形態素라도普通漢字로記하지않는單語가在한다。
{{{#!folding [국문 해석]
실질적인 뜻이 있는 모든 단어를 한자 혹은 한자어로 표기하는 것이 극단적 국한문혼용체다. 즉, 조사 내지 어미, 몇몇 예외를 뺀 나머지 전부 한자로 표기한다고 말해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글을 쓸 경우, 현대 일본어와 비슷할 것이다. 가나 한자 혼용을 쓰는 일본어의 한자어는 물론, 실질적인 뜻이 있는 고유어도 대부분 다른 것과 비슷한 뜻을 가진 한자와 대응시켜 표기함으로 인해서다. 그리고 한국식 극한 국한문혼용문과 가나 한자 교문의 사이에는 몇몇 결정적 차이가 있는데, 현대 일본어에서는 실질적 형태소라도 보통 한자로 쓰지 않는 단어가 있다.}}}
▲ 위 예시는 아래 첫번째 문단의 일부를 극한 국한문혼용체로 작성한 것이다.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는 여러 단어를 전부 한자나 한자어로 표기한 극단적 국한문혼용체이다. 조사 혹은 어미와 몇 종의 예외를 뺀 나머지는 전부 한자로 쓴다고 봐도 무방하다. 이렇게 글을 쓸 경우, 문장의 형태는 조사만 교체한다면 사실상 과거 일본에서 쓰이던 일본어의 가나·한자 혼용문 문장과 굉장히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참고로 일본어에서도 이 정도의 가나·한자 혼용문은 더이상 쓰지 않는다. 과거 일본에서는 극한 국한문혼용체처럼 한자어는 물론 실질적인 의미를 가지는 고유어도 전부 비슷한 의미를 가지는 한자와 대응시켜 표기한 역사가 있다. 예를 들어 '이', '그'와 같은 비인칭 지시대명사는 현대 일본어는 「これ(고레)」、「それ(소레)」 등 간단하게 가나로 적지만, 과거에는 「此れ」、「其れ」와 같이 한자로 썼었다.

극한 국한문혼용체는 1920년~1930년대까지 주로 쓰였다. 따라서 기미독립선언서 역시 극한 국한문혼용체를 택하고 있다. 단, '것'을 '事'로 쓴 것은 선언문과 살짝 다르다. 이로 인해 선언문을 직접 소리내어 읽으면 도대체 무슨 뜻인지 알 수 없다. 1920년대 초반 동아일보 동아일보 창간호 동아일보 1922년 신년호에 이러한 문체를 사용했다.

위의 문체는 (현토)를 붙여 읽은 정석적인 한문 문장과는 엄연히 다르다는 점을 주의해야 한다. 구한말부터 1920년~1930년대까지 사용된 극한국한문혼용체는 어순과 세세한 기능어 면에서 고전 한문과 다르고, 구문 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음수율을 고려하지 않으며, 조사 혹은 어미 역시 당대 형태를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문 문장 식으로 위 예시의 첫 문장을 고쳐 쓰고 현토를 붙일 경우, 아래와 같은 형태에 가까울 것이다.
有實質意之單語어든而皆以漢字或漢字語로標記之者를則可謂之極限國漢文混用體也라。[13]

5. 예시

5.1. 극한 혼용문

5.2. 현행 혼용문

파일:A4F4193D-F38B-4D70-92BC-091740FEF2DD.jpg
파일:이북괴뢰불법남침.jpg
以北傀儡不法南侵

25日 早曉 三八全線에걸쳐

國防部政訓局長 李瑄根大領은 二十五日早曉부터 三八線全域에걸처以北傀儡集團이 大擧不法南侵하여와서 戰鬪가 벌여지고있다고 二十五日正午 다음과같은 談話를發票하였다

【國防部政訓局長談】二十五日早曉五時부터八時사이에 三八線全域에걸쳐 以北傀儡集團은大擧하여不法南侵하고있다 即甕津前面으로부터 開城 長湍 議政府 東豆川 春川 江陵等各地前面의 傀儡集團은 거의同一한時刻에行動을開始하여 南侵하여왔고 東海岸에는 傀儡集團이船艇을利用하여 上陸을企圖하여왔음으로 全地域에걸처 우리國軍部隊는 이를擊退,目下前設各地域의 우리國軍部隊는 이를邀擊하여 緊急適切한作戰을展開하였다 其中東豆川方面戰鬪에서는 敵側이戰車까지出動시커 來襲하였으나 我軍對戰車砲에擊破當하고말었다 今次이들의無謀한來襲은第二次總選擧以來 對內對外로 加一層隆盛發展되는 우리大韓民國을 侵害破壞함으로써 傀儡集團自家의頹勢를挽回하려는 意圖아래所謂『祖統』을通하여 和平統一이니 南北協商이니를 謀略放送하다가 何等의反響도없음으로 焦燥한끝에敢行하게된 共產徒輩의常套手段임에틀임없다

이제軍으로서는 저들叛逆匪徒에對하여 確固한决意아래 斷乎膺懲의態勢를取하여 各地에서 果敢한 作戰을展開하고있으니 全國民은 우리國軍將兵을 信賴하며 微動도 하지말고 各自의職場에서 萬端의態勢로 軍의行動과作戰에 積極協力하기바라는 바이다 軍에서는 命令이없이 三八線을넘어 攻勢作戰을取할수없는 苦衷이있으나 萬全의防禦態勢로 저들이不法南侵할때 이를捕捉殲滅할수있는 準備와態勢가 具備되었으니 全國民은以北謀略放送및 流言蜚語等에속지말것이며安心하고 局部的戰况에 特히動搖되지말라 이러한時期를利用하야 秋毫라도 後方의治安이나 民心을攪亂하는者 가 있다면 이또한嚴重히 團束할것이니 各界各層에서 軍의意圖에 積極協力하기를 付託한다【號外再錄】
출처: 조선일보
△위는 6·25 전쟁 발발 직후의 기사이다.
[ 국문 해석 ]
>이북괴뢰불법남침

25일 조효 삼팔전선에 걸쳐

국방부 정훈국장 이선근 대령은 이십오일 조효부터 삼팔선 전역에 걸쳐 이북 괴뢰집단이 대거 불법 남침하여 와서 전투가 벌여지고 있다고 이십오일 정오 다음과 같은 담화를 발표하였다

【국방부정훈국장담】이십오일 조효 오시부터 팔시 사이에 삼팔선 전역에 걸처 이북 괴뢰집단은 대거하여 불법 남침하고 있다 즉 옹진 전면으로부터 개성 장단 의정부 동두천 춘천 강릉 등 각지 전면의 괴뢰집단은 거의 동일한 시각에 행동을개시하여 남침하여 왔고 동해안에는 괴뢰집단이 선정을 이용하여 상륙을 기도하여 왔음으로 전 지역에 걸처 우리 국군 부대는 이를 격퇴, 목하 전설 각 지역의 우리 국군 부대는 이를 요격하여 긴급적절한 작전을 전개하였다 기중 동두천 방면 전투에서는 적측이 전차까지 출동시커 내습하였으나 아군 대전차포에 격파당하고 말었다 금차 이들의 무모한 내습은 제일차총선거 이래 대내대외로 가일층 융성발전되는 우리 대한민국을 침해파괴함으로써 괴뢰집단 자가의 퇴세를 만회하려는 의도 아래 소위『조통』을 통하여 화평통일이니 남북협상이니를 모략방송하다가 하등의 반향도 없음으로 초조한 끝에감행하게 된 공산도배의 상투수단임에 틀임없다

이제 군으로서는 저들 반역비도에 대하여 확고한 결의 아래 단호응징의 태세를 취하여 각지에서 과감한 작전을 전개하고 있으니 전 국민은 우리 국군장병을 신뢰하며 미동도 하지 말고 각자의 직장에서 만단의 태세로 군의 행동과 작전에 적극 협력하기 바라는 바이다 군에서는 명령이 없이 삼팔선을 넘어 공세작전을 취할 수 없는 고충이 있으나 만전의 방어태세로 저들이 불법 남침할 때 이를 포착섬멸할 수 있는 준비와 태세가 구비되었으니 전 국민은 이북 모략방송 및 유언비어 등에 속지 말 것이며 안심하고 국부적 전황에 특히 동요되지 말라 이러한 시기를 이용하야 추호라도 후방의 치안이나 민심을 교란하는 자가 있다면 이 또한 엄중히 단속할 것이니 각계각층에서 군의 의도에 적극 협력하기를 부탁한다【호외재록】

6. 기타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자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닫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eee,#333> 서체와 자형 갑골문 · 금문 · 전서 ·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 정자( 표준자형) · 간체자( 간체자 논쟁) · 신자체( 목록 · 변화 규칙) · 본자 · 속자 · 약자 · 이체자 · 한중일 한자
성질과 분류 획(필순) · 구조 · 파자 · 육서 · 상형자 목록 · 훈음 · 부수 · 부수(중국) · 부수(설문해자)
표준화 상용한자 ( 한문 교육용 기초 한자 · 통용규범한자표 · 당용한자 · 일본의 상용한자 ( 목록) · 학년별한자배당표) · 한국어문회 한자검정시험 · 어문회 급수 · 대한검정회 한자급수자격시험 · 검정회 급수 · 한자한문지도사시험 · 인명용 한자표 · 광동어 정음 운동
주음·표음화·한자음 반절 · 주음부호 · 병음 ( 한어병음 · 월어병음) · 한글( 동국정운) · 훈독 · 음독 · 속음 · 한국 한자음 · 중국 한자음 ( 문백이독 · 상고음 · 중고음 · 근고음 · 양안 간 독음) · 일본 한자음 · 베트남 한자음 · 다음자
옥편 자전 · 설문해자 · 강희자전 · 옥편 · 이아 · 운서 · 광운 · 절운 · 집운 · 오음편해 · 한어대사전 · 대한화사전 · 중문대사전 · 이체자자전 · 한한대사전
색인 부수별 · 음별 · 획수별
국가별 사용 한자문화권 · 한문 · 백화문 · 한국의 한자 사용 · 한자어( 한국식 한자어 · 중국식 한자어 · 일본식 한자어 · 베트남식 한자어) · 언어간 동형이의 한자어( 고유명사) · 언어간 이형동의 한자어 · 우리말 새김
파생 문자 한글 전 한국어 표기 ( 국자 · 이두 · 향찰 · 구결) · 방언자 · 주음부호 · 가나 ( 히라가나 · 가타카나 · 헨타이가나 · 만요가나) · 측천문자 · 쯔놈 · 고장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 서하 문자
입력 · 검색 한자/입력기 · 창힐수입법 ( 목록) · 오필자형수입법 · 대이수입법 · 사각호마검자법 · 재춘법
전산화 KS X 1001 · KS X 1002 · KPS 9566 · GB 2312 · JIS X 0208 · Big5 / 유니코드: 한중일 통합 한자 · BMP( 통합 한자 · 통합 한자 확장 A · 호환 한자) · SIP(통합 한자 확장 B~F) · TIP(통합 한자 확장 G) · 한자 모양 설명 문자
기타 고사성어 · 천자문 · 한시 · 어조사 · 음역 · 서예 · 올해의 사자성어 · 올해의 한자 · 국한문혼용체( 논쟁) · 국한문병용체 · 한자 교육 ( 한문(교과) ( 2022 개정 교육과정/한문과) · 한자 교육 찬반 논쟁) · 중복 한자 · 벽자 · 통자 · 갖은자 · 한자오자 · 미상 한자 · 유령 문자 · 특이한 한자 · 닮은꼴 한자 · 국호 · 주기율표 · 음률 · 한자문화권 고유명사 표기 · 자주 틀리는 한자어 · 훈을 혼동하기 쉬운 한자 · 부수를 혼동하기 쉬운 한자 · 한자를 혼동하기 쉬운 단어 · 발음이 여럿인 한자어 · 한국의 성씨( 인구분포 · 지역별) · 후리가나 · 창작 한자 }}}}}}}}}



[1] 지식 [2] 엄밀히 말하자면 관동별곡은 한자에 독음을 따로 달아놨으므로 국한문병용체에 가깝다. 더 정확히는 일본어 후리가나와 비슷한 용법이다. [3] 2000년대부터는 기자 이름도 한글로 표기된다. [4] 다만 몇몇 보수 성향 월간지 등은 2010년대 넘어서까지도 드물게 기자 이름이 한자로 표기되는 경우가 소수 잔존해 있다. [5] 2020년대 기준으로도 제목은 국한문 혼용이 정말 많다. [6] 이외에도 대한민국 모든 대학 및 학회, 학술지 등은 논문에서 국한문혼용 규정을 두고 있다. # # # # # [7] 특히 대학생 혹은 직장인 [8] 실제로 대한민국이라고 기재한 한자 닉네임을 보고 중국인 비하 용어를 사용한 사람을 까는 이 있었다. [9] 중국 그룹 계열사 내부적으로 퇴사 인원이 많다는 말을 편하게 줄여 기재 가능하다. [10] 일본 소니라는 회사에 대한 리포트를 보낸다는 의미. 한자만 알아두면 길게 풀어두지 않고 읽기 편하다. [해석A] '구명동의(구명조끼)는 좌석 밑에 있습니다', '착석중에는 안전대(안전띠)를 매십시오'. [12] 반대로 남한에서는 1980년대까지도 대부분의 신문과 시사잡지에서 한자를 섞어쓰는것이 일반적이었기 때문에 정보를 알려면 일정수준의 한자는 익혀야 했다. [13] 해석: 실질적인 뜻의 단어가 있다면 이를 모두 한자 또는 한자어로 쓰는 것을 일러 극한 국한문혼용체라 할 수 있다. [14] 표지만 한문으로 적혀져 있으며, 다음 페이지부터 이어지는 실질적인 내용은 국문화가 되어있다. [15] 보좌관들이 한자를 모르지는 않았지만, 김대중 대통령이 한자를 초서체로 흘려 쓴 탓에 고생했다고. [16] 박정희도 생전 남긴 자필 원고들을 보면 3김 못지 않은 수준의 국한문 혼용으로 쓰인 글들이 절대 다수이다. 자신의 한글전용 정책에 반대하는 국어학 교수들에게 보냈던 한글전용 설득 편지도 역설적으로 대부분의 한자어를 한자로 적은 국한문혼용체로 쓰여 있었다. [해석B] 산타 방문에 관한 안내문

이 안내문은 영어와 한자를 섞어서 쓰고 봉해서 보내는 이유는 우리 어린이들에게 산타에 대한 신비감을 지니게 하여 동심의 즐거운 추억을 주기 위해서 입니다.

유아들에게는 비밀로 해 주세요.

어린이들이 산타께 보내는 카드를 만들어 가정으로 보내드립니다. (12월 12일 금요일) 산타께 직접 카드를 보낼 수 없으므로 산타 카드를 현관문 밖에 붙여 놓으면 밤사이 산타 요정이 와서 카드를 살짝 보시고 가서 선물을 준비해 주시는 것으로 유아들에게 이야기했습니다. 우리 어린이들은 이러한 기대감에 산타 카드를 예쁘게 꾸미고 받고 싶은 선물을 2, 3가지 적었습니다. 받고 싶은 선물을 2, 3가지 쓴 이유는 한 가지만 쓰면 산타께서 그 선물을 준비 못 하시는 경우가 생길 수 있으므로 2, 3가지를 써 그중에 한 가지를 골라서 준비하시라고 우리 친구들이 배려(*゚▽゚*)한 것입니다.

학부모님께서 자녀의 산타가 되어 선물을 준비해 주세요.
2014-1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