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명· 지명 한자 약칭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대륙 | |||||||
亞 | 歐 | 阿 · 非 |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국가 | ||||
南 · 韓 | 北 · 朝 | 華 · 臺 · 台 |
中 ·
漢 唐 |
日 和 |
||||
대한민국 | 북한 |
대만 중화민국 |
중국 | 일본 | ||||
蒙 | 美 · 米 | 英 | 加 | 濠 · 澳 | ||||
몽골 | 미국 | 영국 | 캐나다 | 호주 | ||||
佛 · 法 | 獨 · 德 | 墺 · 奥 | 伊 | 蘭 | ||||
프랑스 | 독일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네덜란드 | ||||
西 | 葡 | 露 · 俄 | 印 | 印 尼 | ||||
스페인 | 포르투갈 | 러시아 | 인도 | 인도네시아 | ||||
末 · 馬 · 馬 聯 | 泰 | 比 | 越 | 埃 | ||||
말레이시아 | 태국 | 필리핀 | 베트남 | 이집트 | ||||
波 | 厓 · 愛 | 丁 | 瑞 | 那 · 諾 | ||||
폴란드 | 아일랜드 | 덴마크 | 스웨덴 | 노르웨이 | ||||
希 | 芬 | 南 阿 共 | 白 | 匈 · 洪 | ||||
그리스 | 핀란드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벨기에 | 헝가리 | ||||
瑞 西 | 土 | 墨 | 阿 根 廷 | 巴 西 | ||||
스위스 | 튀르키예 | 멕시코 | 아르헨티나 | 브라질 | ||||
과거의 국가 | ||||||||
伽 | 高 · 麗 | 濟 | 羅 | 朝 | ||||
가야 [A] |
고구려 ·
고려 [A] |
백제 [A] |
신라[A] | 조선[A] | ||||
大 秦 | 蘇 | 普 | 倭 | 琉 | ||||
로마 제국 | 소련[B] | 프로이센[C] |
왜국 [D] |
류큐 왕국
/열도 [D] |
||||
지역 및 도시 | ||||||||
亞 太 | 滿 | 加 州 | 羅 城 | 桑 港 | ||||
아시아-태평양 | 만주 지역 | 캘리포니아주 | 로스앤젤레스 | 샌프란시스코 | ||||
華 盛 頓 | 莫 斯 科 | 伯 林 | 羅 馬 | 倫 敦 | ||||
워싱턴 D.C. | 모스크바 | 베를린 | 로마 | 런던 |
}}}}}}}}} ||
美 아름다울 미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羊, 3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9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ビ, ミ
|
||||||
일본어 훈독
|
うつく-しい, ほ-める, よ-い
|
||||||
-
|
|||||||
표준 중국어
|
měi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美는 '아름다울 미'라는 한자로, '아름답다'를 뜻한다.유니코드에는 7F8E에 배당되었다.
갑골 문자에는 머리에 장식물[1]을 인 사람의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머리에 장식을 한 사람의 형태가 화려하고 보기 좋다는 의미에서 화려하다, 예쁘다, 아름답다는 뜻을 나타낸 것으로 해석한다. 설문해자에서는 羊(양 양)과 大(큰 대)로 이루어진 회의자로 보며, '양은 가축 중에서 주로 양식을 제공한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일본의 문자인 히라가나 중에서 ' み'는 이것을 초서체로 쓴 것이 형태가 달라져 만들어진 문자다.
미국이나 아메리카 대륙을 한자식으로 부를 때 이 글자를 쓰는데, 아메리카에서 가운데 'me' 발음을 음차한 것이다. 앞의 A는 발음이 약해지기 때문이다.[2]
참고로 美는 장음으로 발음하나, 미국을 뜻하는 경우 단음으로 발음한다.
2. 용례
2.1. 단어
- 각선미(脚線美)
- 구미(歐美)
- 남미(南美)
- 중남미(中南美)
- 미관(美觀)
- 미국(美國)
- 미국 단위계(美國 單位系)
- 미군(美軍)
- 주한미군(駐韓美軍)
- 미남(美男)
- 미녀(美女)
- 미덕(美德)
- 미려(美麗])
- 미모(美貌)
- 미술(美術)
- 미식(美式)
- 미식가(美食家)
- 미식축구(美式蹴球)
- 미용(美容)
- 미의식(美意識)
- 미인(美人)
- 미장(美粧)
- 미장원(美粧院)
- 미주(美洲)
- 미주기구(美洲機構)
- 미중(美中)
- 미추(美醜)
- 미학(美學)
- 미화(美化)
- 반미(反美)
- 방미(訪美)
- 북미(北美)
- 방미(訪美)
- 찬미(讚美)
- 친미(親美)
2.2. 고사성어/ 숙어
2.3. 인명
주로 여자 이름에 많이 쓰인다. 한국, 중국, 일본에서 용례가 차이가 나는 한자 중 하나인데, 한국과 중국에서는 뜻답게 여자 이름에만 사용하고[3] 남자 이름에는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4], 일본에서는 茂美, 裕美[5] 등 남자 이름에도 자주 쓰이는 한자. 한자문화권에서만이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남자 이름에 아름답다는 뜻이 들어간 글자를 넣는 케이스는 매우 드물기 때문에, 이 美가 들어가는 남자 이름이 일본의 옛 관습인 와카슈도 문화의 흔적이 아닌가 보기도 한다. 일본은 그래도 남자가 이 한자를 쓰긴 하지만 헤이세이 이후로 태어나는 아이들에게는 촌스러운 인식으로 잘 붙이지 않아 여자 이름으로 굳어가고 있다. 한국에서도 1950년대 후반부터~1990년대 초반 출생자까지 여성에게 많이 쓰이고 1950년대 중반생까지의 노인들이나[6] '미' 의 인기가 떨어지기 시작한 1990년대 중반~2000년대 초반 출생자까지도 다소 쓰이지만 2000년대 중반 출생자부터는 '미나', '미소', '나미', '다미', '보미', '소미', '미르', '미루', '미래', '장미', '찬미', '윤미' 를 제외하면 '미' 자가 들어간 이름이 촌스러워져서 드물어졌다.[7]2.3.1. 실존 인물
- 간미연( 簡美 姸)
- 강미나( 姜美 那)
- 강유미( 姜 留美)
- 김무미( 金 茂美)
- 김미랑( 金美 琅)
- 김미려( 金美 麗)
- 김미숙( 金美 淑)
- 김미현( 金美 賢)
- 김미화( 金美 花)
- 김유미( 金 瑜美)
- 김주미( 金 主美)
- 김혜미( 金 惠美)
- 김혜미( 金 惠美)
- 김혜미(1995)( 金 惠美)
- 나바타메 히토미( 生 天 目 仁美)
- 나카가와 미유우 ( 中 川 美 優)
- 나혜미( 羅 惠美)
- 남상미( 南 相美)
- 노토 마미코( 能 登 麻美 子)
- 누마쿠라 마나미( 沼 倉 愛美)
- 다카라 데츠미( 高 良 鉄美)
- 라미란( 羅美 蘭)
- 마토노 미오( 的 野 美 青)
- 맹미기( 孟美 岐)
- 미사토 아키(美 郷 あき)
- 미즈마 토모미( 水 間 友美)
- 미천왕(美 川 王)
- 무라야마 미우( 村 山 美 羽)
- 박미선( 朴美 善)
- 박미연( 朴美 妍)
- 박미영( 朴美 英)
- 박로미( 朴 璐美)
- 박보미( 朴 寶美)
- 배정미( 裵 諪美)
- 사와이 미쿠( 沢 井 美 空)
- 사토 사토미( 佐 藤 聡美)
- 소유미( 蘇 有美)
- 송선미( 宋 善美)
- 스즈모토 미유( 鈴 本 美 愉)
- 세키 유미코( 関 有美 子)
- 세토 아사미(( 瀬 戸 麻 沙美)
- 아마노 사토미( 天 野 聡美)
- 아이미(성우)( 愛美)
- 아케사카 사토미( 明 坂 聡美)
- 안소미( 安 素美)
- 안영미( 安 英美)
- 야가미 쿠미( 矢 神 久美)
- 에노사와 마나미( 江 野 沢 愛美)
- 오오와다 히토미( 大 和 田 仁美)
- 오오조라 나오미( 大 空 直美)
- 오오쿠보 루미( 大 久 保 瑠美)
- 오쿠이 마사미( 奥 井 雅美)
- 요요미( 姚 姚美)
- 육정미( 陸 貞美)
- 윤미라( 尹美 羅)
- 윤미래( 尹美 來)
- 윤미진( 尹美 進)
- 윤미향( 尹美 香)
- 윤보미( 尹 普美)
- 은수미( 殷 秀美)
- 이가라시 히로미( 五 十 嵐 裕美)
- 이마이 아사미( 今 井 麻美)
- 이미선( 李美 善)
- 이미영( 李美 英)
- 이미자( 李美 子)
- 이미주( 李美 珠)
- 이바 미나미( 射 場 美 波)
- 이선미( 李 善美)
- 이아유미( 李 亞 由美)
- 이은미( 李 恩美)
- 이정미(법조인)( 李 貞美)
- 이채미( 李 彩美)
- 이토 미유( 伊 藤 美 優)
- 이토 미쿠( 伊 藤 美 来)
- 임세미( 林 世美)
- 전미도( 田美 都)
- 장미란( 張美 蘭)
- 정경미( 鄭 京美)
- 정미경(정치인)( 鄭美 京)
- 정미미( 鄭美美)
- 정미홍( 鄭美 鴻)
- 정유미(1983)( 鄭 裕美)
- 정유미(1984)( 鄭 柔美)
- 조미혜( 趙美 慧)
- 진선미( 陳 善美)
- 최윤미( 崔 允美)
- 추미애( 秋美 愛)
- 추상미( 秋 相美)
- 카네코 마유미( 金 子 真 由美)
- 카이 아사미( 甲 斐 麻美)
- 카토 에미리( 加 藤 英美 里)
- 칸노 미호( 菅 野 美 穂)
- 코이케 미나미( 小 池 美 波)
- 코하라 코노미( 小 原 好美)
- 키쿠치 미카( 菊 地 美 香)
- 타나카 치에미( 田 中 ちえ美)
- 타네자키 아츠미( 種 﨑 敦美)
- 타카노 아사미( 髙 野 麻美)
- 타카모리 나츠미( 高 森 奈 津美)
- 태미( 跆美)
- 토미타 미유( 富 田 美 憂)
- 표혜미( 表 慧美)
- 하라타케 히로미( 原 武 裕美)
- 한유미( 韓 有美): 대한민국의 배구 선수
- 혼다 히토미( 本 田 仁美)
- 홍세미( 鴻 世美)
- 후쿠엔 미사토( 福 圓 美 里)
- 황미영( 黃美 永)
2.3.2. 가상 인물
- 미사카 미코토( 御 坂 美 琴)
- 우츠쿠시스기 미미미(美 杉 美々美)
- 코바야시 타마미( 小 林 玉美)
- 코우가미 타이가( 香 賀美 タイガ)
- 챠바타케 미쿠( 茶 畑 美 紅)
- 츠키시로 히토미( 月 白 瞳美)
- 히나타 나츠미( 日 向 夏美)
- 호시노 루비( 星 野 瑠美 衣)
2.4. 지명
-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미탄면(美 灘 面)
-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遠美 區)
-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구미동( 九美 洞)
- 경상남도 진주시 미천면(美 川 面)
- 대구광역시 동구 미대동(美 垈 洞)
- 부산광역시 수영구 망미동( 望美 洞)
- 전라남도 영암군 미암면(美 岩 面)
- 충청남도 당진시 정미면( 貞美 面)
-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 海美 面)
- 황해도 신계군 다미면( 多美 面)
- 황해도 곡산군 멱미면( 覓美 面)
2.5. 창작물
- 太完美
- 痴漢されそうになっているS級美少女を助けたら隣の席の幼馴染だった( 성추행당할 뻔한 S급 미소녀를 구해주고 보니 옆자리 소꿉친구였다)
- 완미세계(完美世界)
2.6. 기타
3. 유의자
4. 상대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형태는
羊(양 양)의 갑골 문자와 비슷·동일하다.
[2]
미국인들 스스로도 A발음을 생략한
'MURICA라는 밈이 있을 정도.
[3]
이름에 '미'자가 들어가면 거진 이거라고 보면 된다. 가끔 薇(장미 미)나 渼(물놀이 미)를 쓰는 경우도 있다.
[4]
남성적인 글자랑 조합해도 여자 이름이 대부분이지만 그래도 매우 남성적인 글자와 합하면 드물게 있다. 전 국립국악원장 윤미용, 전 권투 감독 김승미, 전 근대5종 선수 김미섭, 전 프로야구 선수 김미호, 전 건국대학교 교수
하미승 등이 있다.
[5]
물론 裕美는 여자 이름으로 훨씬 많이 쓰이지만, 남자가 쓰는 경우도 가끔 있다.
[6]
'미자' 의 경우는 주로 60대 이상이 많으며, 오히려 40대만 가도 촌스러워져서 잘 쓰이지 않는다.
[7]
또한 미르, 미래, 미루, 다미 같은 경우는 이 한자 대신 순우리말로 쓰는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