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새벽(동음이의어) 문서 참고하십시오.
☀️하루🌙 | |||||||||||||||||||||||
오전 | 오후 | ||||||||||||||||||||||
새벽 | 아침 | 낮 | 저녁 | 밤 | |||||||||||||||||||
^
자정^
|
^
정오^
|
해돋이 |
1. 개요
원래 새벽이란 일출이 가까운 밤의 끝자락, 먼동이 터올 즈음을 가리킨다. 현대 한국에서는 흔히 자정으로부터 오전 6시 사이까지, 특히 시간을 말할 때 '새벽 ○○시'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잦다.[1]본 문서에서는 광의로 새벽에 들어가는 심야 시간대와 협의의 새벽을 한 문서로 통합했다. 다만 한밤중일 때와 아침이 밝아오는 시간대는 특성이 상당히 다르므로 분리해 설명한다.
2. 특징
해가 가장 일찍 뜰 무렵인 6월 중순에는 4시 40분경부터 상용 박명이 시작되고, 5시 10분경에 일출이 일어나며, 6시가 되기도 전에 아침노을조차 사라질 정도로 꽤 환하다. 독도 지역은 아예 5시가 되기도 전에 일출이 일어난다. 따라서 여름철에는 오전 5시부터는 새벽이 아니라 아침으로 생각하는 경우도 많다. 그래도 보통 4시대까지는 새벽이라고 부른다.겨울철[2]에는 6시에도 완전히 어두우며, 일반 밤과 다를 게 없으며, 특히 12월 중순~2월 상순에는 6시에는 천문박명조차 시작되지 않은 완전한 밤이며,[3] 7시에도 항해박명 때라서 매우 어둡다. 하지만 그렇다해도 7시부터는 새벽이라고는 잘 부르지 않는다.[4]
3월 초중순, 10월 중하순~11월 초 때도 6시에 항해박명 때라서 매우 어둡지만 차츰 밝아지고 7시가 되면 일출이 시작된 후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으로 태양이 지평선 위로 올라오고 있어 밝다.
이름으로도 쓰이며, 주로 여성의 이름으로 쓰이지만 드물게 남성의 이름으로 쓰이기도 한다. 송새벽은 말 그대로 새벽에 출생해서 이름이 이렇게 지어졌다. 새벽을 이름으로 차용한 유명한 가상 인물은 너는 내 운명의 장새벽, 오징어 게임의 강새벽이 있다.
3. 종류
3.1. 심야
深 夜 / Midnight24시간 중 가장 어두운 시간인 00시 30분(오전 12시 30분, 대한민국 표준시 기준)이 있는 시간대다. 민가는 수면을 위해 건물들의 불이 꺼지고 번화가(상업 지역)는 도심 공동화가 발생하기 때문에 지역 가리지 않고 저녁 ~ 자정 시간대보다 야경이 더 어둡다.
이 시간대에 방송 프로그램을 편성할 경우 시청률은 당연히 바닥을 설설 기는 암흑 시간대에 해당한다. 새벽에 쿨쿨 자는 사람들은 당연히 TV를 켜지 않을 것이고 새벽에 깨 있는 사람들은 출근 준비를 하느라 바쁘기 때문이다. 그나마 오전 6시가 넘어가면 뉴스[5]를 보기 위한 목적으로 TV를 켜는 사람들도 있다. 따라서 새벽에 편성하는 방송 프로그램들은 대부분 뉴스 프로그램이거나 시간 때우기용 재방송, 혹은 심야 애니메이션이나 옴부즈맨 프로그램, 정파 방송 등이다. 다만 새벽 시간대(00시 ~ 05시)에 올림픽,[6] 월드컵 등 대한민국 선수들이 출전하는 중요한 스포츠 경기가 열릴 때에는 그나마 시청률이 높다.[7] 그리고 가끔 영화 채널을 돌리다보면 선정적인 장면들이 자주 나오는 시간대이기도 하다. 새벽에 성욕이 가장 많이 높아지기도 하고, 어린이가 선정적인 장면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시청률이 가장 낮은 시간대에 편성하는 것이다. 그리고 지상파 게임방송이 이시간대에 편성되는데, 이는 방통위가 심야시간에만 방송할 수 있게 규정을 세웠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하철도 심야 때에 막차를 운용한 뒤에 운행을 종료하고 쉰다.
해가 뜨기 전 가장 어두운 01 ~ 03시, 특히 02시에는 가장 몽환적인 시간이므로 무섭다는 이미지가 있다. 공포 영화에서 자주 등장하는 시간대이기도 하며, 무속인들도 이때가 귀신이 제일 많이 움직이는 순간이라고 한다.[8] 왜냐하면 사람들이 대부분 잠에 들어있어 신체 활동이 둔화되기 때문. 물론 야간에 일하는 사람이나 밤에 깨어 있는 게 몸에 맞는 사람이라는 예외는 있다. 다만 비슷한 21시 ~ 00시(오후 09시 ~ 오전 12시)는 무섭다는 이미지는 있어도 01시 ~ 03시만큼 어둡게 묘사되지는 않는데, 당연히 사람들의 활동량이 더 많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시간대, 특히 21시 ~ 23시(오후 09시 ~ 11시)쯤은 심야로 잘 여겨지지 않는다.
노인이나 중환자, 영아 등 몸이 약한 사람의 사망률이 가장 높은 시간이 새벽이다. 새벽에 신체 에너지가 가장 낮아지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 밤이 고비입니다라는 표현이 등장했다. 또한 저체온증의 종류 중 하나인 시간성 저체온으로 새벽에 돌연사하는 사람들도 있다.
주침야활과 유사한 이 시간에 활동하는 게임 유저들을 흔히 새벽러라고 부른다. 매칭이 잘 잡히지 않고 잡혀도 고인물들이 많이 들어온다. 가끔 잼민이를 피하려고 새벽러가 되기도 하며, 아니면 대개 밤 늦게까지 게임하면서 자연스레 새벽러가 된다. 인터넷 커뮤니티에도 새벽러가 많이 서식하는데, 비새벽러가 많이 빠지기 때문에 당연히 글리젠은 줄어든다.
사람들의 활동량이 매우 적으나 아예 없지는 않기 때문에 이 시간에 산책해본 사람들의 경험담에 따르면 드물지만 가끔씩 사람이 지나간다 한다. 심야 산책을 하면 밤 산책보다 더 어둡게 산책을 즐길 수 있다. 밤 시간대라 공기도 좋기 때문에 시도할 만하다. 다만 치안이 불안정한 지역(국가)에서는 절대로 하지 말도록 하자. 새벽에도 안심하고 산책할 수 있는 나라는 굉장히 적다. 웬만한 선진국에서도 하지 않기를 추천한다. 그나마 홍콩, 한국, 대만, 일본, 싱가포르 정도가 가능한 나라. 하지만 그렇더라도 새벽에 단독 산책은 사실상 권장되지 않는다. 유럽, 북미, 오세아니아, 아프리카에서 저 행동을 하면 더 위험하며 특히 젊은 여성의 경우에는 완전히 목숨을 내놓는 행동이다. 새벽에 납치와 성범죄가 가장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감성이 증가하는 시간대이다. 이 현상을 새벽 감성이라고도 한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새벽감성이 증가해 슬픈 노래를 듣거나 페이스북과 같은 SNS에 뻘글을 싸지르는 행위 등으로 인해 흑역사를 쓰기도 한다. 이는 행복감을 느끼게 해 주는 호르몬인 세로토닌의 분비가 줄고 우울감을 유발하는 멜라토닌[9]이 늘어나기 때문이라는 과학적 설명도 있으며, 주침야활족들이 우울함을 느끼는 이유이기도 하다.
서울에서 부산, 울산, 광주 등 멀리 떨어진 지방으로 갈 때는 심야 시간대에 심야버스를 타고 출발해서 가야 당일치기 여행이 가능하다. 그래서 일부러 심야 고속버스를 타서 잠을 버스 안에서 해결하고 새벽에 도착해 첫차를 타고 일정을 시작하는 경우도 많이 있다. 물론 심야인 만큼 할증이 추가되며 심야 우등버스로 운행하는 경우 기존요금에 50% 이상 가산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코레일은 야간선로작업으로 인한 모든열차는 운행하지 않지만 화물열차는 정차역 도중에 장시간 정차하는 경우가 있다. 변압기 수송열차 가끔식 운행하기도 한다.
고속도로의 휴게소에서 대형트럭이나 트레일러 기사들이 차 안에서 잠을자는 경우가 있다.
3.2. 이른 아침
일반적으로 새벽이 되면 어둡던 하늘이 서서히 파래지고 동쪽 하늘이 붉어지며 해가 솟아오른다. 사람들이 서서히 잠에서 깨어나기 시작하는 시간.서울 기준으로는 오전 4시부터 버스가 다니기 시작하고 오전 5시 정각부터 지하철이 다니며[10] 시장에서 물건을 파는 사람들이나 멀리 일하러 출근하는 사람들이 부지런히 움직이는 등 의외로 사람들의 활동이 많다.
버스 및 지하철의 첫차 시간이기도 하며 건물 청소부, 경비원, 일용직 노동자, 재래시장을 찾는 이용객 및 상인들을 많이 볼 수 있다.
어두운 밤에서 날이 밝아오는 아침의 중간 시기여서 그런지 긍정적인 이미지가 있으며 어두운 현실에서 밝아오는 미래, 즉 희망을 비유하는 말로도 자주 쓰인다. 한국에서 이 비유로 유명한 사례가 김영삼 전 대통령이 유신정권 당시 의원직 제명안 가결 직후에 말한 "닭 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가 있다. 영화 다크 나이트에서도 하비 덴트는 동트기 전의 새벽이 가장 어두운 시간이라고 말한 바 있다.[11]
군사에선 이 새벽이 은폐와 기습에 가장 효율적인 시간대라는 설이 있다. 왜냐하면 곧 해가 뜨는 아침이 되므로 밤새 경계에 지친 경계 인원도 긴장이 풀리며 피곤함이 더 몰려오거나 상대적으로 해이해지기 쉽고 어중간하게 밝은 빛은 아예 어두운 때보다 오히려 경계에 집중하는 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겨울철에 아침과 더불어 가장 춥게 느껴지는 시간대이며, 실제로도 하루 중 기온이 제일 낮은 시간은 해 뜨기 직전의 새벽 시간이다. 그래서 정작 희망이 오기 직전인 새벽이 가장 춥고 어둡다는 아이러니함을 얘기하거나 그런 가장 춥고 어두운 시기를 버텨내야만 비로소 희망을 맞이할 수 있다는 식의 표현도 종종 보인다.
비슷한 한자말 중에 여명이라는 단어도 있는데 이 말은 아침이 다가오는 새벽에 밝아오는 희미한 빛을 일컫는 말이라 의미는 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문학적으로는 새벽보다는 좀 더 희망의 의미가 강하다.
비슷한 순우리말로 먼동이라는 단어도 있다. 이 단어는 이른 아침이긴 하지만, 여명보다는 조금 늦은 시간을 의미한다.
4. 매체
- 새벽의 저주
- 새벽의 황당한 저주
- 天空の夜明け(천공의 새벽)
5.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새벽, 여명(黎明), 먼동 |
한자 | 曉(효), 昢( 불), 曙( 서), 晨( 신), 昕( 흔) |
독일어 | Morgengrauen, Morgendämmerung |
러시아어 | заря́(zarjá, 자랴),[12] рассве́т(rassvét) |
마인어 | subuh, fajar(인도네시아어) |
스웨덴어 | gryning |
스페인어, 오크어, 이탈리아어 | alba(알바) |
스페인어 | amanecer, aurora(오로라), madrugada, crepúsculo matutino, dilúculo, lubricán matutinal |
아랍어 | فَجْر(fajr) |
영어 | dawn( 돈/ 던[13]), daybreak(데이브레이크) |
일본어 | [ruby(明, ruby=あ)]け[ruby(方, ruby=がた)], [ruby(夜明, ruby=よあ)]け(yoake), [ruby(暁, ruby=あかつき)](akatsuki, 아카츠키) |
중국어 | 晓(xiǎo), 晨(chén), 黎明(límíng), 拂曉/拂晓(fúxiǎo), 破曉/破晓(pòxiǎo), 旦(dàn) |
포르투갈어 | alvorecer, alvorada, amanhecer, aurora(오로라), alva |
프랑스어 | aube |
힌디어 | उषा(uṣā), ऊषा(ūṣā), प्रभात(prabhāt), तड़का(taṛkā), सवेरा(saverā), सुबह(subah), सहर(sahar), भोर(bhor), फजर(phajar) |
سحر(sahr), سویرا(saverā), تڑکا(taṛkā), صبح(subah), اشا(uṣā), اشراق(išrāq), پربهات(prabhāt)( 우르두어) |
6. 관련 문서
[1]
영어권에서도 예컨대 오전 3시를 three in the morning 등으로 표현하고는 한다
[2]
11월 5일~3월 4일
[3]
11월 5일~12월 상순, 2월 중순~3월 4일은 정확히는 천문박명 때로 일반인이 보기에는 완전한 밤과의 구분은 불가능하다.
[4]
아무리 해가 가장 늦게 뜨는 1월 상순 무렵이라도 늦어도 6시 45분 무렵에는 항해박명이 시작되기 때문에 이 시간부터는 완전히 어둡지는 않다.
[5]
모닝와이드,
KBS 뉴스광장,
MBC 뉴스투데이 등
[6]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기간 동안 24시간 임시방송은
KBS 2TV 방송 한 적이 있었다.
[7]
새벽에 밤 새며 TV를 봤다고 하면 십중팔구 이 케이스다. 새벽을 못 버티는 사람들은
재방송으로 해당 경기를 시청하기도 한다.
[8]
특히 여러 괴담이나 도시전설에서 새벽 1~2시에 귀신이 자주 출몰한다는 말이 돌아다닌다. 대표적으로 2000년대 후반에서 2010년대 초반에 국내에서도 유명했던 괴담인
나홀로 숨바꼭질이 있다.
[9]
멜라토닌은
수면 호르몬이지만 우울감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있다.
[10]
구로역 기준, 대부분의 역은 오전 5시 20~30분대에 첫차가 있다.
[11]
실제로는
오전 12시 30분이 가장 어둡다.
[12]
오버워치 시리즈의 캐릭터
자리야는 자신의 호출명인데 새벽(заря)+신성(新星)(нова), 즉
샛별을 뜻하는 성씨인 Зарянова(자랴노바)에서 따온 것이다.
[13]
원래는
돈([dɔ:n])이라고 적어야 한다. 그런데 [ɔ]는 발음할 때
한국어의 ㅗ보다 더 많이 입이 열려서 ㅓ로 들릴 수도 있다. 한국어 '돈'을 피하려는 이유도 조금 있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