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명의 게임에 대한 내용은 아스파라거스(게임) 문서 참고하십시오.
🥬 채소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colcolor=#fff> 십자 화과 |
<colcolor=#fff> 배추속 |
Brassica oleracea:
양배추 ·
콜라비 ·
콜리플라워 ·
브로콜리 ·
케일 ·
콜라드 ·
적채 Brassica rapa: 배추(봄동 · 얼갈이배추) · 순무 · 채심 · 청경채 · 물냉이 Brassica juncea: 갓 · 자차이 Brassica napus: 유채 · 루타바가 · 쌈추 |
기타 | 마카 · 무( 무청 · 시래기 · 우거지) · 열무 · 알타리무 · 냉이 · 와사비 · 로켓(루꼴라) | ||
가지 목 |
가지과 (고추속) | 고추 · 피망 · 파프리카 · 페페론치노 · 할라피뇨 · 청양고추 · 부트 졸로키아 · 하바네로 | |
가지과 (가지속) | 가지 · 감자※ · 토마토※ | ||
나팔꽃과 | 고구마 · 공심채 · 메 | ||
천남성과 | 토란 · 타로 · 구약감자 | ||
범의귀과 | 돌나물 · 돌단풍 | ||
박과 | 박 · 수박※ · 여주※ · 멜론※ · 호박( 애호박 · 늙은호박) · 오이 · 단호박 · 수세미 · 울외 · 동아 | ||
석죽 목 |
비름과 | 시금치 · 비름 · 명아주 · 사탕무 · 근대 · 비트 · 퉁퉁마디 | |
기타 | 쇠비름 · 루바브 · 하수오 | ||
미나 리목 |
미나리과 | 미나리 · 셀러리 · 당귀 · 흥거 · 신선초 · 참나물 · 시호 · 당근 · 파스닙 · 고수 · 파슬리 | |
두릅나무과 | 두릅 · 인삼 | ||
비짜 루목 |
비짜루과 | 아스파라거스 · 둥굴레 · 무릇 · 용설란 · 비짜루 | |
수선화과(부추속) | 마늘 · 대파 · 양파 · 샬롯 · 부추 · 쪽파 · 삼동파 · 달래 · 락교 · 리크( 코끼리마늘) · 차이브 · 명이나물 | ||
아욱과 | 아욱 · 목화 · 오크라 · 카카오 · 말아욱 | ||
국화 목 |
국화과 | 곤드레 · 엔디브 · 치커리 · 곤달비 · 쑥 · 쑥갓 · 우엉 · 참취 · 곰취 · 민들레 · 씀바귀 · 상추 · 양상추 · 야콘 · 아티초크 · 머위 · 로메인 상추 · 돼지감자 · 부지갱이 · 고들빼기 | |
초롱꽃과 | 도라지 · 더덕 · 잔대 | ||
콩과※ | 콩 · 대두( 콩나물 · 풋콩) · 녹두( 숙주나물) · 강낭콩 · 렌틸 · 작두콩 · 땅콩 · 서리태 · 완두 · 병아리콩 · 팥 · 구아 · 아피오스 · 칡 | ||
버섯류※ | 송이버섯 · 능이버섯 · 표고버섯 · 팽이버섯 · 영지버섯 · 참송이버섯 · 새송이버섯 · 트러플 · 양송이버섯 · 목이버섯 · 살구버섯 · 도장버섯 · 노루궁뎅이버섯 · 느타리버섯 · 만가닥버섯 | ||
기타 | 고사리 · 연근 · 죽순 · 생강 · 카사바 · 마 · 으름 · 파극천 · 옻순 | ||
※: 과채류, 견과류, 곡류, 균류이지만 채소로 보기도 함 | |||
비가공 식품/재배물 기타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 |
아스파라거스 Asparagus |
|
|
|
학명 |
Asparagus officinalis L. |
분류 | |
<colbgcolor=#d7ffce,#0f4a02> 계 | 식물계(Plantae) |
분류군 | 속씨식물군(Angiospermae) |
외떡잎식물군(Monocots) | |
목 | 비짜루목(Asparagales) |
과 | 비짜루과(Asparagales) |
속 | 비짜루속(Asparagus) |
종 | 아스파라거스(A. officinalis) |
[clearfix]
1. 개요
남유럽이 원산지인 비짜루목(舊 크론키스트 체계에선 백합목)의 식용식물. 여러 포기를 묶으면 빗자루와 모양이 비슷해져 '비짜루'라고도 부른다.[1] 전세계에 대략 300여 종이 존재하며 한국에도 6종의 토종 식물이 존재한다. 그 중 원예종도 몇몇 있기는 하지만 보통 아스파라거스라고 하면 그린 아스파라거스, 퍼플 아스파라거스 품종들을[2] 가리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국의 두릅 나물과 약간 비슷하다.언어별 명칭 | |
한국어 | 아스파라거스 |
영어 | Asparagus |
스페인어 | Espárragos |
독일어 | Spargel |
중국어 | 芦笋 |
일본어 | アスパラガス[3] |
2. 키우기
아스파라거스는 대한민국 기후에 잘 맞아 전국 어디서든 키울 수 있는 식물이다. 씨앗 파종은 보통 1~2월에 하며 사람이 먹는 것은 새순 부분이다. 씨앗을 뿌리고 최소 3년 동안은 뿌리를 발달시키기 위해 수확하지 않는다. 뿌리가 꽉 차기 전에 수확하거나 병충해를 입으면 생산량이 줄어든다. 그러나 3년 이후에는 관리만 잘하면 15년 가까이 과실수처럼 반복적으로 수확할 수 있다.순(筍)을 자르지 않고 놔두면 높이가 2m 정도 되는 덤불로 자란다. 아스파라거스는 암수가 나뉘는데 빨간 열매를 맺는 쪽이 암그루다. 이 열매는 독성이 있으므로 먹지 못한다. 암그루는 먹을 수는 있지만 열매를 맺느라 좋은 줄기를 내놓지 못하기 때문에 일반 농가에선 채종용으로만 쓰이고 주로 수그루를 식용으로 쓴다.
햇빛이 잘들고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두어야 하며 가지가 가늘고 1.5m까지 자라기 때문에 지주대를 설치해 쓰러지지 않도록 해 줘야 한다. 토양은 ph6의 약산성으로 질소 퇴비를 주는 것이 좋다.
3년차가 되면 4월 중순에서 6월 중순 정도에 줄기가 12~15cm 정도 자랐을 때 수확한다. 25cm 이상 자라면 질겨져 먹기가 어렵다. 줄기는 5~6가지 정도 남겨둔다. 이후에는 5월 중순에서 7월 중순 쯤에 수확한다.
3. 상세
영양소가 꽤나 풍부하다. 아미노산 중 아스파라긴이 아스파라거스의 녹즙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정력을 증진시킨다는 속설이 있어 중세 유럽의 수도원에서는 먹어서는 안 되는 채소로 간주했는데 절에서 승려들에게 오신채를 먹지 못하게 하는 것과 같은 이유다.[4] 화이트 아스파라거스는 영양이 좀 떨어지는 편인데 그린 아스파라거스를 기르는 과정에서 햇빛을 배제한 상태에서 기르는 것이라서 그렇다.루틴이 풍부해 혈압을 낮추는 데도 좋고 신진대사를 촉진해 주는데 이게 결과적으로 간 해독 기능에 큰 도움을 줘서 연쇄적으로 피로 회복, 노폐물 배출, 피부 개선 등 수많은 효과로 이어진다. 간 기능 회복 및 향상 효과 때문에 비정상적으로 단백질을 많이 섭취하고 약물을 사용하느라 하루가 멀다 하고 간이 고통받는 보디빌더들에게도 자주 추천하는 음식이다. 별개로 콩팥의 노폐물 배출 향상에도 자체적으로 도움을 주며 다른 음식들과 마찬가지로 알러지가 있는 체질은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모든 음식들과 마찬가지로 좋다고 과하게 그저 막 먹어대면 안 된다.
황을 함유한 아스파라거스산을 대사시키면 메탄에티올이 나오는데 이게 스컹크의 방귀 냄새와 사촌 관계라서 고약하기 짝이 없고 오줌에서 배출해내기 때문에 아스파라거스를 많이 먹으면 오줌 냄새가 지독해지기로 유명했다고 한다.[5] 오줌뿐만 아니라 땀도 냄새가 상당히 괴상해진다. 생물학적으로 땀이 오줌을 희석한 것이다 보니 당연한 이치지만.
서양에는 탈모 개선에 좋다는 인식이 있는데 실제로 탈모를 겪고 있는 웨일스 공 윌리엄과 서식스 공작 헨리 왕자의 식탁에 빠지지 않고 꼭 올라온다는 말이 있다.
의외로 놀랍게도 한약재로도 쓰이는 모양이다. 한약재로서는 소백부(小百部)라고 부르지만 사촌 뻘인 천문동(天門冬, Asparagus cochinchinensis)을 훨씬 많이 쓴다.
한국 기후에 잘 맞는 식물이라지만 정작 한국인들이 흔하게 쓰는 채소는 아닌데 한국 서민들 기준으로는 막 쟁여놓고 먹자니 값도 좀 나가는 편에 냉장고를 동원해도 떨어지는 보관성, 바로바로 먹어야 하는 특성 등 여러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6] 일단 강원도 등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그래도 조리법이 제법 알려져서 한국에도 소비자들이 없지는 않다.
4. 요리법
고급식품이라는 인식이 강하여 요리법이 상당히 다양하다. 머리 부분은 생으로 먹을 수도 있지만 살짝 데쳐서 윗부분의 봉우리만 양념을 살짝 묻혀 먹는 것이 가장 일반적이다. 달걀 노른자로 만든 홀랜다이즈 소스[7]나 맵지 않고 단 맛이 강한 겨자가 아스파라거스에 곁들이는 대표적인 소스. 서양식 소스가 없어도 데친 다음 초장만 찍어 먹어도 맛있다. 반면 줄기 부분은 질기고 풀냄새가 나기 때문에 줄기까지 다 먹으려면 데치는 것만으로는 모자라고 볶아주는 것이 좋다. 소금을 살짝 뿌려 버터에 볶으면 버터의 향에 더해 짭짤하고 고소한 맛에 은근한 단맛이 섞여 매우 맛있다.아스파라거스는 지방과도 잘 어울리기 때문에 볶음요리에 사용해도 맛이 좋다. 베이컨을 말아서 굽거나[8] 튀김옷을 입혀서 튀겨도 훌륭한 요리가 된다. 튀기거나 구운 감자와 함께 스테이크의 단골 가니쉬이기도 하다. 간장에 볶아도 꽤 먹을 만하며 마늘과 토마토 혹은 피망과 함께 소금, 후추를 뿌려 오븐에 구워내도 그럴 듯한 한 끼 요리가 되고 상당히 맛있다. 삼겹살을 구울 때 나오는 기름에 구워 먹으면 단맛이 돋보이는 천하 일미이다.
단, 상당히 보관성이 떨어진다. 사포닌이 많아 수확하고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쓴맛이 생기기 때문에 수확하고 나서 되도록이면 빨리 먹는 것이 좋다.
심지어 아스파라거스는 절대로 1주일 이상 보관하지 말라고 하는 식재료라 요리 프로그램에 나올 때면 주부들에게 '저렇게 냉장고에서 만능으로 꺼낼 수 있으면 우리도 진작에 했다.'는 볼멘 소리를 듣곤 하는데 이는 요리 방송 코너들이 현실과 동떨어진 푸드 트렌드를 이끄는 데 한 몫 한 재료였다. 재료는 잘못이 없지만 소개한 사람이나 프로그램이나 퀄리티와 서양 / 유럽권의 레시피 재현도에만 신경쓰다보니 생긴 참사로, 요리의 퀄리티에만 집중하고 오늘날 주부나 1인 가구의 사정을 파악하지 못한 요리 프로그램들이 공중파에서 대거 퇴출된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이후 1인 식단, 간단 식단 등 새로운 트렌드가 찾아오면서 일반 소비자들을 잘 찾지 않으며, 오로지 쉐프가 마지막에 허세부리기 위해 쓰는 식재료라는 인식이 생겼다. 백종원도 마리텔과 집밥 백선생에서 '요리 채널에서 자주 소개하는 아스파라거스 있으면 좋은데, 냉장고에 아스파라거스 그런 거 없지유? 그럼 딴 걸로 하면 돼요.'라고 하면서 시청자들의 공감대를 끌어내며 동시에 값싸고 구하기 쉬우며 익숙한 식재료라는 선택권을 소비자에게 부여해 주었다.
냉동 아스파라거스를 사면 위에서 설명한 보관 문제는 확실하게 해결된다. 냉동인 만큼 당연히 생물 아스파라거스의 맛이나 아삭한 식감 같은 건 따라잡을 수 없긴 한데 장기보관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다.
장아찌 혹은 김치로도 만들어 먹을 수 있다.
영화 모범시민을 보고 구이 요리를 시도하는 사람이 많은데 초보가 하면 그렇게 아삭한 식감을 살리기 어렵다. 그냥 스테이크 집 가는 게 낫다.
5. 대중 매체
- 암호명: 이웃집 아이들에서는 어린이가 싫어한다는 통념이 적극 반영되어 '어린이에게 해로운 것'으로 정의되고 있으며 어느 에피소드에서는 이웃집 아이들을 습격하는 괴물로 등장한다. 작중에서 죠스와 오픈워터 패러디로 5호를 제외한 이웃집 아이들을 다 잡아먹고 아예 아스파라거스로 바다를 뒤덮었을 정도였으나 끈끈이 수염에게 공격당해서 리타이어.
- CQ의 작가 권권규가 맥주 감상 만화 '맥주는 많다'를 연재할 때 오너캐로 사용하기도 한다. (본인은 의도하지 않았다고는 해도) 숙취해소 물질 아스파라긴이 이 아스파라거스에서 비롯된 물질임을 생각해 볼 때 적절하다.
- 야채극장 베지테일의 아스파라거스 아치볼드, 주니어의 모티브다.
- 윔피키드 등장인물 중 하나인 그레그 헤플리가 아스파라거스를 진짜 싫어한다. 결국 이 때문에 흑역사가..
- 시메지 시뮬레이션의 주역중 하나인 마지메와 묘하게 자주 엮이는 식물이다.
- 김경호의 노래 중에도 동명의 제목이 있다.
- 마리아님이 보고 계셔의 등장인물 오가사와라 사치코는 편식이 심하여 가리는 음식이 많았는데, 아스파라거스도 그 중 하나였다. 그러나 릴리안 여학원 고등부 3학년 여름방학 때 절친한 쁘띠 쇠르(후배) 후쿠자와 유미의 어머니 후쿠자와 미키가 만들어주신 도시락을 계기로, 아스파라거스도 잘 먹을 수 있게 된다. (12권 어린양들의 휴가에 다루어진다.)
- 와카코와 술에서도 아스파라거스가 꼬치 그 자체인 아스파라거스 튀김이 나온다
6. 기타
- 아스퍼거 증후군과 엮여 드립 소재로 나오는 적도 많은 채소기도 하다. 넷상에서만의 드립도 아닌데 실제로 토니 애트우드의 저서에서도 "아스퍼거 증후군 아이들을 통합교육 시킨다고 무작정 증상 설명하고 비 아스퍼거 학생들이랑 섞어놓으면 아스퍼거 학생은 아스파라거스 증후군 또는 햄버거 증후군 등으로 놀림받을 수도 있을 것이다"라는 언급이 나온다.
- 아돌프 히틀러가 채식으로 식단을 바꾼 후 가장 좋아하는 식재료였다.
- 2020년 COVID-19로 농작물 유통과 판매가 부진해진 농가를 대상으로 강원도에서 자체 핫딜(...)을 운영해 성공했는데 감자 이후 4월 20일부터 매주 월, 목요일 오전 10시 한정수량 판매한 아스파라거스도 불티나게 팔렸다. 일본으로 수출하던 1~2호라 질기지 않고 아삭아삭하다는 호평을 들어서 1분 내외로 완판 행진을 기록했다.
- 3월 18일의 탄생화다.
[1]
다만 비짜루(Asparagus schoberioides)라고 하는 비짜루속 식물이 따로 있다. 비짜루도 어린 순을 데쳐서 나물로 먹는다는 점은 비슷하다.
[2]
화이트 아스파라거스는 연화 재배 해서 나온 결과물이다.
[3]
일상에서는 보통 '아스파라(アスパラ)'라고 줄여 부른다.
[4]
공교롭게도
흥거를 제외하면 모두 아스파라거스와 같은 비짜루목에 속한 채소다.
[5]
마르셀 프루스트의 소설 <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서도 아스파라거스를 먹고 난 후 오줌 냄새가 묘사(...)되는 장면이 있다.
[6]
장기 보관은
끓는물에 살짝 데치고 물기 제거 후 지퍼백에 담아 보관하면 된다고 한다.
[7]
마요네즈와 다소 유사하나 식물성 기름이 아닌
버터와
레몬즙 혹은 식초를 넣고 만든다.
[8]
실제로 서양에선
프로슈토 햄을 아스파라거스에 싸서 먹기도 한다. 감싸는 햄의 안쪽 표면에 치즈를 발라 말아 먹기도 하고 소스를 바르기도 하는 듯하다. 나름 고급 음식인지 레스토랑에서 코스 요리의 첫 번째 요리로도 나온다 카더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