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2 12:05:55

호박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보석에 대한 내용은 호박(보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웹툰 호박장군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호박(호박장군)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채소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color=#fff> 십자
화과
<colcolor=#fff> 배추속 Brassica oleracea: 양배추 · 콜라비 · 콜리플라워 · 브로콜리 · 케일 · 콜라드 · 적채
Brassica rapa: 배추(봄동 · 얼갈이배추) · 순무 · 채심 · 청경채 · 물냉이
Brassica juncea: · 자차이
Brassica napus: 유채 · 루타바가 · 쌈추
기타 마카 · ( 무청 · 시래기 · 우거지) · 열무 · 알타리무 · 냉이 · 와사비 · 로켓(루꼴라)
가지
가지과 (고추속) 고추 · 피망 · 파프리카 · 페페론치노 · 할라피뇨 · 청양고추 · 부트 졸로키아 · 하바네로
가지과 (가지속) 가지 · 감자 · 토마토
나팔꽃과 고구마 · 공심채 ·
천남성과 토란 · 타로 · 구약감자
범의귀과 돌나물 · 돌단풍
박과 · 수박 · 여주 · 멜론 · 호박( 애호박 · 늙은호박) · 오이 · 단호박 · 수세미 · 울외 · 동아
석죽
비름과 시금치 · 비름 · 명아주 · 사탕무 · 근대 · 비트 · 퉁퉁마디
기타 쇠비름 · 루바브 · 하수오
미나
리목
미나리과 미나리 · 셀러리 · 당귀 · 흥거 · 신선초 · 참나물 · 시호 · 당근 · 파스닙 · 고수 · 파슬리
두릅나무과 두릅 · 인삼
비짜
루목
비짜루과 아스파라거스 · 둥굴레 · 무릇 · 용설란 · 비짜루
수선화과(부추속) 마늘 · 대파 · 양파 · 샬롯 · 부추 · 쪽파 · 삼동파 · 달래 · 락교 · 리크( 코끼리마늘) · 차이브 · 명이나물
아욱과 아욱 · 목화 · 오크라 · 카카오 · 말아욱
국화
국화과 곤드레 · 엔디브 · 치커리 · 곤달비 · · 쑥갓 · 우엉 · 참취 · 곰취 · 민들레 · 씀바귀 · 상추 · 양상추 · 야콘 · 아티초크 · 머위 · 로메인 상추 · 돼지감자 · 부지갱이 · 고들빼기
초롱꽃과 도라지 · 더덕 · 잔대
콩과 · 대두( 콩나물 · 풋콩) · 녹두( 숙주나물) · 강낭콩 · 렌틸 · 작두콩 · 땅콩 · 서리태 · 완두 · 병아리콩 · · 구아 · 아피오스 ·
버섯류 송이버섯 · 능이버섯 · 표고버섯 · 팽이버섯 · 영지버섯 · 참송이버섯 · 새송이버섯 · 트러플 · 양송이버섯 · 목이버섯 · 살구버섯 · 도장버섯 · 노루궁뎅이버섯 · 느타리버섯 · 만가닥버섯
기타 고사리 · 연근 · 죽순 · 생강 · 카사바 · · 으름 · 파극천 · 옻순
※: 과채류, 견과류, 곡류, 균류이지만 채소로 보기도 함
비가공 식품/재배물 기타 틀: 고기 · 곡물 · 과일 · 채소 · 해조류 · 향신료 }}}}}}}}}
파일:호박 모임.jpg
다양한 종류의 호박들

1. 개요2. 설명3. 효능4. 한국인에게 잘 알려진 호박 종류5. 속어6. 언어별 명칭7. 기타8. 호박으로 만드는 요리 및 제품

[clearfix]

1. 개요

호박[1]은 작게는 호박속(Cucurbita)에 속하는 식물들과 그 열매를 칭하는 말이며, 크게는 박과(Cucurbitaceae)의 식용 가능한 박들을 칭하는 말이다. 호박속에는 C. maxima, C. argyrosperma, C. moschata, C, pepo 의 4종이 있으며, 몇천년에 걸친 오랜 품종 개량을 통해 셀수없이 많은 품종이 있다. 한국에서는 주로 C. moschata(동양계 호박)과 해당 종의 품종들이 소비된다.

2. 설명

세계에서 가장 큰 열매를 맺는 식물로, C. maxima 종의 품종 중 자이언트 펌킨이란 종은 1톤이 넘어가는 거대한 열매를 맺는 걸로 유명하다. 현재 세계에서 제일 큰 열매로 기록된 열매는 이탈리아의 1,226kg 짜리 Stefano Cutrupi이다.[2]

수확시 성장정도에 따라 애호박 늙은호박으로 분류된다. 품종에 따라 애호박을 이용하는 품종이 있고 늙은호박을 이용하는 품종이 있다. 물론 둘 다 가능한 품종도 존재. 특유의 부드러운 단맛으로 여러 요리에 사용되어 왔다.

대표적인 덩굴식물이며 호박이 넝쿨째 굴러온다는 등의 표현이 있다. 호박 덩굴은 그냥 씨앗을 땅에다가 심어만 놓으면 아무데서나 잘 자라며 딱히 큰 관심을 주지 않아도 알아서 호박도 잘 맺는다. 그늘진 곳에서는 열매를 맺기 어렵지만 덩굴은 잘 자란다. 농촌 지역에서는 누가 기르는 호박이 아니더라도 길가에 핀 민들레마냥 호박꽃이 피어있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농작물 주제에 혼자만 놔둬도 잡초랑 경쟁하면서 그럭저럭 잘 자라는 비범한 식물. 이렇게 사람이 관심을 주지 않은 야생호박은 식용 자체는 가능하나 맛도 떨어지고 재배호박보다 호박의 크기가 작은데다 껍질도 두껍고 질겨서 상품성이 떨어진다.

호박 열매는 수확하고 나서도 오래 저장이 가능해서 비축해두고 먹기에도 매우 좋아 과거에는 나름대로 시골에서 중요한 식량자원이기도 했다. 과채류 중에는 녹말 함량이 가장 높다. 칼로리로 봐도 감자, 고구마, 콩 다음이다.

씨 수가 파인 부분의 숫자( 피보나치 수열)에 따라 바뀐다.

한국에서 재배하는 호박은 크게 3가지 종류인데 중앙 아메리카/멕시코 남부 원산의 동양계 호박(Cucurbita moschata, 다른 호박보다 고온 습윤한 환경에 잘 견딘다.), 남아메리카 원산의 서양계 호박(Cucurbita maxima), 멕시코 북부 원산의 페포계 호박(Cucurbita pepo)이 있다. 이 외에 오이 참외 등 다른 박과 채소의 대목으로 쓰기 위해 흑종호박(Cucurbita ficifolia)이 재배되고 있다.

청나라에서 넘어온 이란 의미로 오랑캐 '胡' 자를 써서 호박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실제로 호박은 중국 만주 지역에서 처음 전래되어 한반도 북부에서부터 남하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런 연원 때문에 한국의 재래종 늙은호박은 일본 호박보다 중국 호박과 더 비슷하다. 단호박의 경우 일본을 통해 전파되었고, 1970년대~ 1980년대부터 일본 시장에 수출하기 위해 경작한 바 있기 때문에 일본 단호박과 생김새와 풍미가 같다. 최근에는 다양화된 시장 수요를 맞추기 위해 유럽, 북미 등에서 개량된 품종들도 재배되고 있다.

호박꽃을 요리 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예시 베트남 요리 등에 쓰인다고. 멕시코에서도 먹는다. 한국의 민간 요법에서도 사용하는데, 쇠붙이(이나 가위 등)로 생긴 상처에 빻아 붙이면 잘 낫는다고 한다.

호박씨 견과류처럼 볶아 먹는걸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아서 중국 등에서는 씨앗만 먹기 위한 호박이 따로 재배될 정도다.

호박잎도 깻잎처럼 을 싸먹을 때 사용된다. 잎에 털이 많아서 까끌까끌한 느낌이 강하지만 호박처럼 달달한 특유의 풍미가 있다. 까끌거림 때문에 생으로는 못먹고 쪄야 먹을 수 있다. 잎이 좀 커서 쌈을 크게 쌌다간 입 안에 안 들어갈 수도 있다. 한국에서는 꽤나 흔히 먹는 쌈밥 재료이지만 이북에서는 전혀 먹지 않는다고 한다.

울릉도 트위스트(1966)의 "둘이 먹다가 하나 죽어도 모르는 호박엿" 때문에 울릉도가 호박의 주산지인 것처럼 알려져있으나 애초에 울릉도 호박엿은 후박나무 열매로 만든 후박엿호박엿으로 잘못 구전되어 알려진 것이다. 물론 지금은 후박나무가 워낙 귀해지고 호박엿이라는 명칭이 굳은 터라 울릉도에서도 호박으로 , 조청을 만들어 팔고 있다. 여러 모로 청양고추와 비슷한 케이스.
파일:external/s18.postimg.org/243914345651318017_D1_CA.jpg
멸종됐었다고 알려진 호박 "게테-오코소민"의 다 자란 모습
파일:iTep09K.jpg
게테-오코소민의 속 모습
2015년에는 미국 위스콘신 주에서 멸종됐었던 800년 전의 호박 씨앗이 토기에 담긴 채 발견되었는데, 캐나다 대학생들이 이 종자를 발아시키는 데 성공했다. 사실 이 게테-오코소민(Gete-Okosomin)이라고 알려진 호박의 씨앗이 진흙 토기에서 나온게 아니라 원래 메노미 원주민들이 5천년동안 재배한걸 현재 인디아나의 마이애미 부족이 품종을 관리하고 있다고 한다. 위의 기사에 나온 호박은 한 캐나다 대학이 미국 미네소타 주에 있는 White Earth 씨앗 도서관에서 이 호박 씨앗을 받아서 키운 것이다. #

북미 지역에서는 오래 전 아메리카 원주민들이 '세 자매(Three Sisters)[3]라고 부르며 주식으로 여겨왔던 작물이다.

할로윈 전후로 매우 자주 볼 수 있는 채소. 특히 할로윈이 한 번 끝나고 나면 명절음식 비빔밥처럼 파낸 호박 속을 처치하기가 곤란할 때가 많은데 이 때는 호박 속으로 호박 파이를 만들어 11월 내내 즐겨 먹는다. 마트에 가면 할로윈 전후로 남아도는 호박 재고를 처리하려고 만든 호박 파이들이 넘쳐난다.

이런 호박을 이용해 할로윈을 기념하는 풍습은 아일랜드에서 시작해 미국에서 크게 인기를 끈 것으로, 영연방 국가들과 유럽 지역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미국 문화 컨텐츠의 영향으로 크게 유명해졌다. 한국에서와 비슷하게 할로윈 호박은 여전히 영연방과 유럽 각국의 기성세대들에게는 낯설게 여겨지고 있으며, 젊은 세대에서는 크게 기념하는 경우[4]와 별 의미를 두지 않는 경우 모두 존재한다. 또한 한국에서와 마찬가지로 호박, 코스프레 등 미국식 할로윈 문화에 반감을 가지는 경우도 많은데, 특히 기성세대에서 그런 경향이 강하지만 젊은 세대 사이에서도 제법 존재한다.

3. 효능

호박에는 베타카로틴이 들어있다. 베타카로틴은 항산화 성분으로서 활성산소로부터 몸의 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보호해주는데 중요한 작용을 한다. 따라서 피로회복, 면역력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비타민 A가 많고 의 독성을 해독해주는 역할도 있다. 또한 해당 항산화 물질은 심혈관 건강과 혈압, 콜레스테롤, 뼈 건강까지 향상시키는 효능이 있다. 관련 기사

비타민 C, E 성분이 많아 피부 미용 및 피로회복에도 좋고 미네랄 식이섬유도 풍부하여 소화흡수에도 좋다.

상기된 영양분들은 다이어트를 하는 데에도 필수적인 것들인데, 마침 호박의 칼로리는 100g당 29kcal 정도로 낮아서 아는 사람들만 아는 다이어트계의 요물이다.

호박은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영양소가 더 풍부해지니 가을철 수확한 호박을 겨울에 먹는게 더 좋다.

4. 한국인에게 잘 알려진 호박 종류

파일:조선호박.jpg
조선호박
파일:external/file.foodbalance.co.kr/131119_1.jpg * 주키니(Zucchini): 애호박보다 조금 길고 녹색이 짙으며 각진 모양의 호박이다. 페포계 호박으로, 애호박과 유사한 호박 종류. 돼지호박이라고도 한다. 용도는 애호박과 동일하나 단맛이 덜하고 식감이 가지처럼 좀 무른편이기 때문에 인기가 상대적으로 적다. 다만 단맛이 덜하다는 점 때문에 칼로리는 매우 낮아 애호박의 반도 안되는 100g에 14kcal정도로, 거진 오이에 가까운 칼로리를 가지고 있어 다이어트 식품으로 유용하다. 대체로 애호박보다 더 길고(오이 비슷한 길이) 푸른 빛을 지니며 털이 없고 매끈해 애호박과 차이를 보인다. 다른 호박처럼 덩굴줄기를 길게 뻗으며 자라지 않아 가정에서 화분같은 좁은 공간에서 키우기 적합한 품종이다. 덩굴을 길게 뻗지 않는 특성상 관리가 용이해 일반 애호박보다 저렴하다. 때문에 식당, 급식 등 대량으로 호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주키니를 많이 사용한다.일부 품종은 시커먼 색을 띠기도 하는데 이 때문에 좀 큰 녀석을 불발탄으로 오인하여 경찰이 출동한 일도 있었다.

5. 속어

크고 왠지 이상하게 생긴데다 꽃마저 못생겨서 못생긴 사람을 약올리는 말로도 쓰인다. 흔히 사용하는 '호박에 줄 긋는다고 수박 되냐'는 말이 대표적이다. 지금은 사실상 사어화가 됐지만, 못생긴 사람, 보통 추녀를 놀리는 '박호순'이라는 말도 옛날에는 있었는데, 얼핏 보면 사람 이름 같지만 사실은 '순호박'을 거꾸로 뒤집은 말이다.[13] 겉모습은 그렇더라도 엄청난 효능을 가진 호박이 들으면 섭섭할 노릇. 튀르키예에서도 못생긴 것, 혹은 속이 덜 차서 달지 않은 수박을 가지고 '호박'이라고 부른다. 물론 항상 이렇게 부정적인 언사로만 쓰이는 건 아니고 뭔가 뜻밖의 행운이 올 경우 '호박이 넝쿨째 굴러 들어 온다'라는 말도 있다.

반면 서양권에서는 그 반대. 오히려 호감 있는 사람, 혹은 애인, 손주나 자식 등을 부르는 애칭으로 호박(펌킨)을 사용한다. 이는 호박이 , 사탕처럼 달콤하기 때문에 그런 것으로 추정. 참고로 이 두 가지 의미의 호박들은 둘 다 늙은 호박을 의미한다.[14] 한편으로는 NASA 우주왕복선 발사/재돌입 여압복이 너무도 강렬한 주황색을 띠면서도 크고 아름다운지라 호박복이라 불리기도 한다.

단호박의 경우 SNS의 유행과 함께 단호한 사람을 일컫는 말로 쓰기도 한다. 본래는 "애태우시네요, 유모차세요?", "단호하시네요, 단호박이세요?", "박력있으시네요, 박력분이세요?" 같은 양산형 개드립 중 하나였으나, 남자의 찝쩍댐을 단호하게 거절하는 대화 내용에 '단호박'이라는 이름이 붙는 등, 무한한 변형이 가능하기 때문에 잠시 유행했었다.[15]

속어는 아니지만 야물지 않고 물렁한 살을 '호박살'이라고 부른다.

6. 언어별 명칭

<colbgcolor=#f5f5f5,#2d2f34> 언어별 명칭
한국어 호박
그리스어 κολοκύθι
라틴어 pepō, peponis
러시아어 тыква
스페인어 calabaza
아이누어 kanpocha
영어 pumpkin(펌킨)[16], squash[17]
일본어 [ruby(南瓜, ruby=カボチャ)](카보차)[18]
튀르키예어 kabak
폴란드어 tykwa
표준중국어 [ruby(南瓜, ruby=nánguā)]
프랑스어 potiron, citrouille
독일어 Kürbis

아메리카 대륙에서 전래되었기 때문에 기본어휘가 아니다.

7. 기타

한편으로는 도 쓰이는데 국에 넣어 끓여먹거나 쪄서 쌈에 싸 먹는등 특유의 풀내음이 나는 식재가 된다. 향은 좋게도 나쁘게도 말하면 시골 냄새가 나는 편이라, 구수하다고 좋아하는 사람도 있는 반면, 역하다 하는 사람도 있다. 특이하게도 옛날에는 호박잎을 뒤처리용으로 사용했다고 한다. 잎이 넓찍한데다가 여름철에는 구하기도 쉬워서 많이 애용되었다고. 단 여름철에만 나니 한철용이었을 것이고 까실까실하니 피부가 좋지 않은 사람 입장에서는 쓰기 곤란했을 듯.

의 일종인 호박엿은 호박+엿이라는 이름을 가졌지만 원래는 호박이 들어가지 않는다. 후박나무의 진액을 엿기름과 섞어 만들었기 때문에 본래 이름은 '후박엿'이 맞다. 그러나 워낙 호박엿으로 유명해진데다가 다수가 호박으로 알고 있어서 그 이름을 쓰기 위해서라도 공산품 호박엿들은 대부분 호박을 첨가해서 일단 호박이 들어가긴 한다. 여기에 후박나무가 귀해진 것도 컸다.

푸바오가 무서워하는 것 중 하나이다.

호죠 사토코가 싫어하는 채소다.

뜬금없이 우주관련 게임인 유니버스 샌드박스에서 소환 가능한 개체로나온다.

파일 드라이버(프로레슬링)를 가리키는 속어 '호박찍기'는 식물 호박을 찍는 행위에서 유래한 것 같다.

당연한 소리지만 송진이 굳어져 만들어진 보석 호박(琥珀)은 식물 호박과는 다르다. 보석 호박은 한의학에서 약재로도 쓰이는데, 이때문에 한의학서에 '호박(琥珀)'이 붓기를 빼준다고 돼있는 것이 식물 호박으로 잘못 알려지기도 했다. 관련 기사 식물 호박은 한자어로는 남과(南瓜)라고 한다. 영어로 하면 보석 호박은 Amber라고 하고 먹는 호박은 Pumpkin이라고 하므로 당연히 다르다. 한편 서양은 Amber glass pumpkin이라 하여 보석 호박으로 식물 호박을 본뜬 공예품을 만들기도 한다.

김용 무협소설의 쌍수호박(雙手互搏)은 두 손이 서로 친다는 뜻이다. 쌍꺼풀 수술을 한 호박일 수도 있다

8. 호박으로 만드는 요리 및 제품



[1] 고유어 앞에 오랑캐 호(胡) 자가 붙은 조어이기는 하지만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공식적으로 한자 표기는 없다. 다만 과거 한자를 빌려 표기하는 차자표기로 ‘’이 사용된 바 있다. [2] 이전에는 벨기에에서 재배된 1,190kg 짜리의 C. maxima 호박이 가장 큰 열매였다. 미국에서는 해당 품종으로 매년 품평회를 열 만큼 인기가 좋다. [3] 아메리카의 농업혁명에 큰 발전을 가져온 3대 작물로 호박(squash), 강낭콩, 옥수수를 뜻한다. 원주민들은 이 세 종류의 작물을 함께 조화롭게 재배하는 독특한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농경지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농산물 생산을 극대화하는 지혜를 발휘하였다. 콩은 질소를 고정하여 옥수수와 호박이 자라는 데 도움을 주고, 옥수수는 콩이 타고 오르거나 기댈 수 있는 든든한 지지대가 된다. 호박은 넓은 잎으로 땅에 그늘을 만들어 수분을 유지하고 잡초 발생을 막아준다. ​세 작물을 각각 재배하는 것보다 함께 재배하는 것이 수확량이 더 많고 그 맛과 질도 한결 좋아진다고 한다. [4] 소위 만성절이라는 종교적 의미보다는 축제적 의미. 이태원동 등 이국적인 문화가 많은 동네에서 해당 시즌에 여러 행사를 하는 것을 볼 수 있다. [5] 속을 호박긁게로 긁으면 끊어진 국수 비슷한 것이 나온다. 그것을 밀가루와 무친 후 삼성당을 넣고 냉장고에 반나절 정도 놔두면 호박에서 자연스럽게 물이 나와 질펀해진다. 질펀해진 반죽을 굽으면 완성이다. 주로 경상도에서 먹는다. [6] 배우 한지민 역시 아침에 붓기해소 및 독소배출을 위해 호박즙을 상시 복용하고 있으며 효과를 보고 있다고 인터뷰에서 언급했던 바 있다. [7] 참고로 이렇게 물러진 껍질도 먹을 수 있어서 그냥 껍질째로 익힌 단호박을 먹는 사람들도 있다. 대신 단호박을 껍질째로 호박죽 만들 때 쓰면 색감이 칙칙해진다. [8] 잘 고르면 밤고구마와 흡사한 식감의 단호박을 맛볼 수 있다! [9] 죽으로 만들 경우, 단호박만 사용해 만들면 설탕을 따로 넣지 않아도 될 만큼 달달하고 색깔도 예쁘게 잘 나오지만 아무래도 크기가 작아 많이 준비해야 되어 돈이 많이 든다. 그렇기 때문에 늙은 호박과 일정 비율로 섞어서 쓰기도 한다. 단맛은 다소 줄어들지만 호박의 깊은 맛을 낼 수 있어 이쪽을 더 좋아하는 사람들도 많다.여담으로 본죽의 단호박죽은 소금 설탕 간을 안하면 아무 맛도 안 난다. 중국산을 쓰는 것 같다... [10] 단호박은 가루로 만들어 떡, 빵, 과자반죽의 색소로도 쓰이고, 각종 디저트의 토핑이나 앙금으로도 들어간다. 단호박을 쪄서 으깬 다음에 계란, 베이킹파우더와 섞은 반죽을 전자레인지에 익히면 빵과 거의 비슷한 모양이 된다. [11] 먹는 사람들도 있다. 먹어도 별 탈은 없는듯. [12] 아무렇게나 버리면 구더기들이 성충으로 자라 번식해서 추가피해가 발생하므로, 밀봉/소각 등 방법으로 폐기한다. 폐기처분이 어려울 경우 소나 닭, 돼지의 먹이로 준다고도 한다. [13] 동요 사과 같은 내 얼굴에도 나오지만 가사는 서로 다르게 생긴 얼굴을 예쁘게 보자는 내용이다. [14] 반대로 매력이 부족한 사람, 질 나쁜 물건 등은 레몬이라 부른다. [15] 이런 동음이의어(pun)를 이용한 개그는 여러 나라에서 목격된다. 대표적으로 미드나 영미권 개그 프로그램서 종종 나오는 'knock knock' joke류. 사실 어느 나라를 가나 언어유희의 기본이다. [16] 늙은호박이나 단호박 등 둥근 모양의 열매를 맺는 종. [17] 애호박, 주키니 등의 긴 열매를 맺는 종. [18] 한국어에서 호박이라고 하면 대개 늙은호박을 지칭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일본어에서 カボチャ(카보차)는 대개 단호박을 의미한다. 늙은호박을 가리킬 때도 카보차라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