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대한민국 관련 문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max(10%, 5em); min-height: 2em" {{{#!folding [ 역사 ] {{{#!wiki style="margin: -5px 0 -5px" |
<colbgcolor=#cd313a><colcolor=#fff>일반 | 한국의 역사( 단군 이래) · 역대 국호 · 역대 지도자 · 역대 국가 깃발 · 대한민국 임시정부 · 대한민국의 역사 |
기타 | 통일 한국 · 간도 · 녹둔도 · 대마주 · 역사왜곡 |
- [ 지리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지명 · 수도 지리적 구분 한반도 · 수도권 · 충청 ( 대전·세종·충남 · 충북) · 호남 ( 광주·전남 · 전북) · 영남 ( 부울경 · 대구·경북) · 강원 ( 영서 · 영동) · 해서 · 관북 · 관서 · 제주 · 남한 · 북한 자연지리 산/고개 · 섬 · 강/하천 · 내륙 지역 · 동해 · 서해( 황해) · 남해 · 동중국해 · 100대 명산 도시권 · 생활권 수도권 · 부산·울산권 · 대구권 · 광주권 · 대전권 · 생활권 행정구역 지방자치단체 · 광역자치단체 ( 특별시 · 광역시 · 도 · 특별자치시 · 특별자치도) · 기초자치단체 ( 인구 순위 · 인구 밀도 순위 · 면적 순위) · 행정구역 개편 · 도로명주소 · 팔도 · 이북 5도 교통 교통 · 공항 · 철도 · 고속도로 생물 생물자원 · 포유류( 견종) · 파충류 · 어류( 담수어류) · 양서류 · 조류 · 피낭동물 · 두족류 · 선류 · 태류 · 각류 · 양치식물 · 나자식물 · 현화식물 과학기지 세종 과학기지 · 장보고 과학기지 · 다산 과학기지 · 옹진소청초 해양과학기지 영토분쟁 독도 · NLL · 백두산 · 7광구 · 녹둔도 · 이어도 · 가거초 · 격렬비열도
- [ 군사 ]
- [ 정치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cd313a><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정치 · 대한민국 훈장 · 법정 공휴일 국가 상징 국명 · 국기 · 국가 · 국화 · 국장 · 홍익인간 · 국새 정당 정당 · 보수정당 · 민주당계 정당 · 진보정당 · 극우정당 · 기독교정당 · 종교정당 · 제3지대 정당 · 단일쟁점정당 · 극좌정당 정부조직 국회 ( 국회의장 · 국회부의장 · 국회의원 · 국회의사당) · 정부 ( 대통령 · 국무총리 · 국무회의 · 행정각부 · 감사원) · 법원 ( 대법원 · 대법원장 · 대법관 · 각급법원) · 헌법재판소 ( 헌법재판소장 · 헌법재판소 재판관) 제도 헌법 · 10차 개헌 · 국민의 4대 의무 선거 대통령 선거 · 국회의원 선거 · 전국동시지방선거 ·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이념 대한민국의 사회주의 · 대한민국의 진보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주의 · 대한민국의 자유지상주의 · 대한민국의 보수주의 · 한국 내셔널리즘 · 틀:대한민국의 이념 기타 정부24 · 대한민국 정부상징 · 공공누리 · 대한민국 대통령실( 대한민국 대통령 관저) · 청와대
- [ 경제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경제 · 한강의 기적 · 3저 호황 ·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소득 · 자원 · 예산 · 긍정적 전망 · 부정적 전망 산업 한국의 산업 · 농축산업 · 수산업 · 공업 · IT · 과학기술력 · 우주개발 · 메이드 인 코리아 기업 한국의 기업 · 재벌 · 대기업 · 준대기업 · 중견기업 · 중소기업 · 자영업 무역 무역 지표 GDP · 경제성장률 · 환율 · 물가 · 물가지수 · 소비자 물가상승률 · 부채 · 가계부채 경제난 부정적 전망 · 실업 · 청년실업 · N포 세대 · 88만원 세대 · 수저계급론 · 86세대 책임론 기타 넥스트 일레븐 · 아시아의 네 마리 용 · 기초과학
- [ 사회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사회 · 인구 · 세대 · 북한이탈주민( 한국 외부의 탈북자, 탈북자 소재 매체 및 탈북민 인물) · 실향민 · 이산가족 · 이민 · 재외동포 · 검은 머리 외국인 · 재한 외국인 · 다문화가정 · TCK · 출산율 · 생애미혼율 · 혼인율 · 사망률 · 자살률 민족 한국인 · 한민족 · 중국계 한국인 · 일본계 한국인 · 한국계 중국인 · 한국계 일본인 · 한국계 미국인 · 고려인 · 화교 · 조선적 교육 한국의 교육 · 틀:교육 관련 문서 · 교육열 · 입시 위주 교육 · 문제점 종교 한국의 종교 · 개신교 · 불교 · 천주교 · 원불교 · 유교 · 천도교 · 증산도 · 대순진리회 · 대종교 · 무속 사건 · 사고 한국의 사건 및 사고 · 범죄 통계 사회 문제 · 갈등 한국 사회의 문제점 · 헬조선 · 국뽕 · 자국 혐오 · 니트족 · 열정페이 · 저출산 · 고령화 · 인종차별 · 난민 수용 논란 · 외국인 노동자 문제 · 지역 갈등 · 젠더 분쟁 · 성소수자 · 세대 갈등 · 강한 자만이 살아남는 90년대 · 인터넷 검열 · 권위주의· 황금 티켓 증후군
- [ 외교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 [ 문화 ]
-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c1d1f><colbgcolor=#0047a0><colcolor=#fff><width=20%>일반
한국의 문화 · 한류 · 콘텐츠 · 전통문화 · 민속놀이 · 신화 · 요괴 · 명절 ( 설날 · 추석 · 민족 최대의 명절 논쟁) · 성씨 · 대한민국 표준시 · 세는나이 · 예절 · 문화 검열 · 성문화 관광 한국의 관광 · 축제 · 국립공원 국가유산 국가유산 · 국보 · 보물 · 무형문화재 · 사적 · 명승 · 천연기념물 · 민속문화재 · 등록문화재 · 세계유산 · 세계기록유산 · 인류무형문화유산 · 세계유산 잠정목록 언어 · 문자 한국어 ( 표준어 · 방언) · 한국어의 높임법 · 한글 · 한글만능론 · 한자 ( 정체자 · 약자 · 한국의 한자 사용) 건축 건축 · 한옥 · 궁궐 · 성 · 무덤 · 사당 · 서원 · 향교 · 사찰 · 마천루 · 서낭당 · 신사 · 온돌 · 홍살문 의복 · 무기 한복 · 백의민족 · 갑옷 · 무기 · 한선 음식 음식 · 한정식 · 한과 · 전통음료 · 전통주 · 지리적 표시제 · 한민족의 식사량 스포츠 스포츠 · 태권도 · 씨름 · 택견 · 수박 · 활쏘기 · 족구 · e스포츠 문예 · 출판 문학 · 베스트셀러 · 웹소설 · 판타지 소설 미술 · 만화 현대미술 · 한국화 · 고화 · 만화 · 웹툰 · 애니메이션 · 만화 검열 게임 비디오 게임 · 온라인 게임 ( MMORPG) · 게임 업계 현황 · 게임규제 음악 음악 · K-POP · 힙합 · 트로트 · 국악 · 판소리 · 사물놀이 · 아리랑 · 한국 대중음악 명반 100 ( '98, '07, '18) 영화 · 연극 영화 · 천만 관객 돌파 영화 · 뮤지컬 방송 방송 · 드라마 · 예능 프로그램 · 웹드라마 · 웹예능 · 인터넷 방송 기타 한국형 · 한국적 · K- · 고요한 아침의 나라 · 변질된 유교적 전통 · 명절증후군 · 한국 기원설
1. 개요
결혼과 관련된 통계.혼인신고 여부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다소 왜곡된 측면도 있는데 2020년대 들어 부동산 청약, 주택 관련 대출[1], 간단한 이혼 절차, 딩크족 등의 이유로 결혼식을 마치고 동거하면서도 혼인신고는 나중으로 미루는 경우가 이전보다 눈에 띄게 늘어났기 때문이다.[2]
우리나라는 서구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동거와 혼외자가 적은 이유도 있는 까닭에[3], 혼인 건수가 출생아 수의 선행지수 역할을 한다고 익히 알려져 있으나 이는 어디까지나 초산에 해당하는 첫째아 출생아 수에만 해당한다는 반론도 있다. 이를테면 2010~2014년의 연간 평균 혼인 건수는 1970~1974년의 연간 평균 혼인 건수보다 약 6만 2천건 가량 더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연간 평균 출생아 수는 후자의 절반에도 채 미치지 못했는데 이는 다산 여부에서 서로 매우 큰 차이를 보였기 때문이다.
전체 출생아 중 첫째 비율이 일정한 수준(49~53%)을 유지한 1984~2017년에는 대체로 전년도 결혼 건수와 올해 출생아 수가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지만 출산율 감소폭이 컸던 1970~1983년에는 결혼은 증가하는데 출생아 수는 감소하는 등 서로 반대로 가는 경우가 나타났다. 또한 최근에는 딩크족과 외동 자녀의 증가 추세 및 결혼 후 2~3년 이상 지나고 첫째를 낳는 경우 증가가 또 다른 변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셈법이 점차 복잡해지고 있다.[4]
2. 대한민국의 혼인 통계
조혼인율(Crude Marriage Rate)은 특정 1년간 신고한 총 혼인건수를 당해 연도의 연앙인구(7월 1일 기준 인구수)로 나눈 수치로서 인구 1,000명 당 혼인건수를 의미한다. 아래 표의 총 혼인건수는 초혼과 재혼 및 외국인과의 결혼 등이 전부 포함된 기록이다.||<tablewidth=8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0f0f0,#28292d><colbgcolor=#f0f0f0,#28292d><-6> 대한민국의 혼인 통계 ||
연도 |
총 혼인건수 (쌍) |
조혼인율 (천명 당) |
평균 초혼연령 (만 나이) |
비고 | |
남 | 여 | ||||
2023 | 193,657 | 3.8 | 33.97 | 31.45 | [5] |
2022 | 191,690 | 3.7 | 33.72 | 31.26 | [6] |
2021 | 192,507 | 3.8 | 33.35 | 31.08 | [7] |
2020 | 213,502 | 4.2 | 33.23 | 30.78 | [8][9] |
2019 | 239,159 | 4.7 | 33.37 | 30.59 | [10] |
2018 | 257,622 | 5.0 | 33.15 | 30.40 | |
2017 | 264,455 | 5.2 | 32.94 | 30.24 | |
2016 | 281,635 | 5.5 | 32.79 | 30.11 | [11] |
2015 | 302,828 | 5.9 | 32.57 | 29.96 | [12] |
2014 | 305,507 | 6.0 | 32.42 | 29.81 | |
2013 | 322,807 | 6.4 | 32.21 | 29.59 | |
2012 | 327,073 | 6.5 | 32.13 | 29.41 | |
2011 | 329,087 | 6.6 | 31.90 | 29.14 | [13] |
2010 | 326,104 | 6.5 | 31.84 | 28.91 | [14] |
2009 | 309,759 | 6.2 | 31.61 | 28.71 | [15] |
2008 | 327,715 | 6.6 | 31.38 | 28.32 | |
2007 | 343,559 | 7.0 | 31.11 | 28.09 | [16] |
2006 | 330,634 | 6.8 | 30.96 | 27.79 | [17] |
2005 | 314,304 | 6.5 | 30.87 | 27.72 | |
2004 | 308,598 | 6.4 | 30.53 | 27.52 | |
2003 | 302,503 | 6.3 | 30.14 | 27.27 | |
2002 | 304,877 | 6.3 | 29.77 | 27.01 | |
2001 | 318,407 | 6.7 | 29.55 | 26.78 | |
2000 | 332,090 | 7.0 | 29.28 | 26.49 | |
1999 | 360,407 | 7.6 | 29.07 | 26.29 | |
1998 | 373,500 | 8.0 | 28.83 | 26.02 | |
1997 | 388,960 | 8.4 | 28.59 | 25.71 | |
1996 | 434,911 | 9.4 | 28.40 | 25.45 | [18][19] |
1995 | 398,484 | 8.7 | 28.36 | 25.32 | |
1994 | 393,121 | 8.7 | 28.21 | 25.14 | |
1993 | 402,593 | 9.0 | 28.09 | 25.01 | |
1992 | 419,774 | 9.6 | 28.01 | 24.93 | |
1991 | 416,872 | 9.6 | 27.91 | 24.84 | |
1990 | 399,312 | 9.3 | 27.79 | 24.78 | |
1989 | 410,708 | 9.7 | 자료없음 | ||
1988 | 410,129 | 9.8 | |||
1987 | 390,276 | 9.4 | |||
1986 | 390,229 | 9.5 | |||
1985 | 384,686 | 9.4 | |||
1984 | 385,188 | 9.5 | |||
1983 | 412,984 | 10.3 | |||
1982 | 387,468 | 9.9 | |||
1981 | 406,795 | 10.5 | [20] | ||
1980 | 403,031 | 10.6 | |||
1979 | 353,824 | 9.4 | |||
1978 | 343,013 | 9.3 | |||
1977 | 303,156 | 8.3 | |||
1976 | 285,910 | 8.0 | |||
1975 | 283,226 | 8.0 | |||
1974 | 259,604 | 7.5 | |||
1973 | 259,112 | 7.6 | |||
1972 | 244,780 | 7.3 | |||
1971 | 239,457 | 7.3 | [21] | ||
1970 | 295,137 | 9.2 | [22] |
- 출처
3. 대한민국의 국제 혼인 통계
||<tablewidth=800><tablebgcolor=#fff,#1c1d1f><tablebordercolor=#f0f0f0,#28292d><colbgcolor=#f0f0f0,#28292d><-5> 대한민국의 국제 혼인 통계[23] ||
연도 |
한국인 남편+ 외국인 아내 |
한국인 여성+ 외국인 남편 |
국제 혼인 건수 합계 |
국제 혼인 비율[24] |
2023 | 14,710 | 5,007 | 19,717 | 10.18% |
2022 | 12,007 | 4,659 | 16,666 | 8.69% |
2021 | 8,985 | 4,117 | 13,102 | 6.81% |
2020 | 11,100 | 4,241 | 15,341 | 7.19% |
2019 | 17,687 | 5,956 | 23,643 | 9.89% |
2018 | 16,608 | 6,090 | 22,698 | 8.81% |
2017 | 14,869 | 5,966 | 20,835 | 7.88% |
2016 | 14,822 | 5,769 | 20,591 | 7.31% |
2015 | 14,677 | 6,597 | 21,274 | 7.03% |
2014 | 16,152 | 7,164 | 23,316 | 7.63% |
2013 | 18,307 | 7,656 | 25,963 | 8.04% |
2012 | 20,637 | 7,688 | 28,325 | 8.66% |
2011 | 22,265 | 7,497 | 29,762 | 9.04% |
2010 | 26,274 | 7,961 | 34,235 | 10.50% |
2009 | 25,142 | 8,158 | 33,300 | 10.75% |
2008 | 28,163 | 8,041 | 36,204 | 11.05% |
2007 | 28,580 | 8,980 | 37,560 | 10.93% |
2006 | 29,665 | 9,094 | 38,759 | 11.72% |
2005 | 30,719 | 11,637 | 42,356 | 13.48% |
2004 | 25,105 | 9,535 | 34,640 | 11.22% |
2003 | 18,750 | 6,025 | 24,775 | 8.19% |
2002 | 10,698 | 4,504 | 15,202 | 4.99% |
2001 | 9,684 | 4,839 | 14,523 | 4.56% |
2000 | 6,945 | 4,660 | 11,605 | 3.49% |
1999 | 5,370 | 4,453 | 9,823 | 2.73% |
1998 | 7,744 | 3,848 | 11,592 | 3.10% |
1997 | 9,276 | 3,197 | 12,473 | 3.21% |
1996 | 12,647 | 3,300 | 15,947 | 3.67% |
1995 | 10,365 | 3,128 | 13,493 | 3.39% |
1994 | 3,072 | 3,544 | 6,616 | 1.68% |
1993 | 3,109 | 3,436 | 6,545 | 1.63% |
- 출처
- 한국인 남편과 외국인 아내의 혼인 건수: KOSIS 국가통계 포털>주제별 통계>인구동향조사>혼인>외국인과의 혼인건수>한국인 남편의 혼인종류/외국인 아내의 국적별 혼인(1993~2023년)
- 한국인 아내와 외국인 남편의 혼인 건수: KOSIS 국가통계 포털>주제별 통계>인구동향조사>혼인>외국인과의 혼인건수>한국인 아내의 혼인종류/외국인 남편의 국적별 혼인(1993~2023년)
4. 관련 문서
[1]
기사
[2]
이 때문에 2024년의 혼인신고 급증의 원인을 정부가 청약 제도를 신혼부부에게 유리하게 개정했기 때문으로 보기도 한다.
[3]
정확히는
사실혼에 해당하는 동거를 의미. 단순히 결혼이나 출산을 전제하지 않은 젊은 세대의 동거 자체는 늘어나고 있지만 동거 관계에서 출산과 육아가 이루어지는 비율은 낮다. 이 점에서는
일본과 비슷하다. 다만 2018년까지 2.0% 정도를 유지하던 혼외자 비율이 2023년에는 4.7%까지 증가하는 등 조금씩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4]
최근 시점인 2022년에도 출생아 중 첫째아 수가 전년 대비 0.1%밖에 줄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둘째아와 셋째아 이상이 각각 9.3%, 11.8%씩 크게 감소하면서 전체 통계를 끌어내리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5]
2011년 이후 12년만에 혼인건수가 증가했다.
[6]
코로나19 관련 규제가 대부분 해제된 영향으로 낙폭이 전년 대비 크게 줄어들었다.
1991년생 이후 세대의 상대적으로 많은 인구도 영향이 있을 수 있다.
[7]
이 해 역시 작년과 동일한 이유로 혼인건수가 급감했으며, 통계 작성 이후 처음으로 10만건대를 기록했다.
[8]
2월 하순부터
코로나19의 확산으로 혼인건수가 급감했다.
[9]
혼인건수가 20만건 이상인 마지막 해.
[10]
1971년의 기존 최저기록을 48년만에 경신했다.
[11]
신혼 부부 통계 작성 시작
[12]
혼인건수가 30만건 이상인 마지막 해.
[13]
2012년 흑룡해 출산을 준비하기 위해 혼인건수가 반짝 상승했다.
[14]
세계금융위기와 신종플루가 끝나고 일시적인 경제 회복으로 혼인건수가 반등했다.
[15]
세계금융위기와 신종플루 여파로 혼인건수가 급감하였다.
[16]
쌍춘년 속설로 인한 여파와 황금돼지해 속설로 혼인건수가 2000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하였다.
[17]
쌍춘년이라는 속설로 혼인건수가 많이 늘었다.
[18]
동성동본 결혼이 합법화되면서 혼인건수가 크게 올라갔다. 다만 동성동본 합법화가 없었다면 1993~1995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실질적으로는 1992년이 혼인건수가 가장 많았던 해라고 볼 수 있다.
[19]
혼인건수가 40만건 이상인 마지막 해이자 혼인건수가 가장 많았던 해.
[20]
월별 집계 시작
[21]
기존 최저기록. 일제강점기 때에는 출생아 수가 적어서 아직 결혼 적령기의 사람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22]
다음 년도보다 유독 혼인건수가 많은데 통계작성이 시작된 것이 원인으로 추정. 실제로는 1971년과 비슷하거나 약간 적었을 것이다.
[23]
초혼+재혼을 포함한 통계이다. 결혼을 통해 한국으로 국적을 바꾼 후 다른 나라와 결혼한 통계도 한국인으로 잡힌다는 뜻이니 유의할 것. 초혼과 재혼이 분리된 문서는
국제결혼 문서 참고.
[24]
국제 혼인 건수/총 혼인 건수×1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