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1 15:28:06

대한민국의 명승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4px -1px -11px"
국가지정유산
국보 보물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 국가무형유산 국가민속문화유산
시도지정유산
시도유형문화유산 시도기념물 시도무형유산 시도민속문화유산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기타
문화유산자료 국가등록문화유산 시도등록문화유산
이북5도 무형유산 향토유산 비지정유산 }}}}}}}}}
대한민국의 명승
명승
| Scenic spot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다국어 표기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중국어 风景
일본어 名勝 }}}}}}}}}
파일:해금강.jpg
▲ 대표 명승: 거제 해금강
<colbgcolor=#943b58><colcolor=#000,#fff> 분류 명승, 국가유산
관리·운영 국가유산청 산하 각 기관
대표전화 1600-0064
링크 명승 목록
문화경관 목록
자연경관 목록
역사문화경관 목록
1. 개요2. 법령3. 목록
3.1. 1~100호3.2. 101~134호3.3. 지정번호 폐지 이후

[clearfix]

1. 개요

뛰어나게 아름다워 이름난 경치를 뜻하며, 문화경관, 자연경관, 역사문화경관이 있다.

2. 법령

국가유산기본법 제2조(정의)
① 이 법에서 "국가유산"이란 인위적이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국가적ㆍ민족적 또는 세계적 유산으로서 역사적ㆍ예술적ㆍ학술적 또는 경관적 가치가 큰 문화유산ㆍ자연유산ㆍ무형유산을 말한다.
3. 기념물: 다음 각 목에서 정하는 것
가. 절터, 옛무덤, 조개무덤, 성터, 궁터, 가마터, 유물포함층 등의 사적지(史蹟地)와 특별히 기념이 될 만한 시설물로서 역사적ㆍ학술적 가치가 큰 것
나. 경치 좋은 곳으로서 예술적 가치가 크고 경관이 뛰어난 것
다. 동물(그 서식지, 번식지, 도래지를 포함한다), 식물(그 자생지를 포함한다), 지형, 지질, 광물, 동굴, 생물학적 생성물 또는 특별한 자연현상으로서 역사적ㆍ경관적 또는 학술적 가치가 큰 것

제25조(사적, 명승, 천연기념물의 지정)
국가유산청장은 문화유산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기념물 중 중요한 것을 사적, 명승 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사적, 명승, 천연기념물의 지정기준과 절차 등에 필요한 사항은 대통령령으로 정한다.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별표1
명승
1. 자연경관이 뛰어난 산악·구릉·고원·평원·화산·하천·해안·하안(河岸)·섬 등
2. 동물·식물의 서식지로서 경관이 뛰어난 곳
가. 아름다운 식물의 저명한 군락지
나. 심미적 가치가 뛰어난 동물의 저명한 서식지
3. 저명한 경관의 전망 지점
가. 일출·낙조 및 해안·산악·하천 등의 경관 조망 지점
나. 정자ㆍ누각 등의 조형물 또는 자연물로 이룩된 조망지로서 마을·도시·전통유적 등을 조망할 수 있는 저명한 장소
4. 역사문화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명산, 협곡, 해협, 곶, 급류, 심연(深淵: 깊은 못), 폭포, 호수와 늪, 사구(砂丘: 모래언덕), 하천의 발원지, 동천(洞天), 대(臺), 바위, 동굴 등
5. 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庭苑) 및 중요한 전설지 등으로서 종교·교육·생활·위락 등과 관련된 경승지
가. 정원, 원림(園林), 연못, 저수지, 경작지, 제방, 포구, 옛길 등
나. 역사·문학·구전(口傳) 등으로 전해지는 저명한 전설지
6. 「 세계문화유산 및 자연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 제2조에 따른 자연유산에 해당하는 곳 중에서 관상적 또는 자연의 미관적으로 현저한 가치를 갖는 것

3. 목록

{{{#!wiki style="margin:-12px 0" <tablebordercolor=#943b5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명승 名勝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 명주 청학동 소금강
  1. 거제 해금강
  2. 완도 정도리 구계등
  3. 울진 불영사계곡 일원
  4. 여수 상백도·하백도 일원
  5. 옹진 백령도 두무진
  6. 진도의 바닷길
  7. 삼각산
  8.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 일원
  9. 진안 마이산
  10.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11. 영월 어라연 일원
  12.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
  13. 예천 회룡포
  14. 부산 영도 태종대
  15. 소매물도 등대섬
  16. 예천 선몽대 일원
  17. 제천 의림지와 제림
  18. 공주 고마나루
  19. 영광 법성진 숲쟁이
  20. 봉화 청량산
  21. 부산 오륙도
  22. 순천 초연정 원림
  23.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51 예천 초간정 원림
  1. 구미 채미정
  2. 거창 수승대
  3.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
  4. 무주 구천동 일사대 일원
  5. 무주 구천동 파회·수심대 일원
  6. 담양 식영정 일원
  7. 담양 명옥헌 원림
  8.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
  9.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10. 속리산 법주사 일원
  11. 가야산 해인사 일원
  12. 부여 구드래 일원
  13. 지리산 화엄사 일원
  14. 조계산 송광사· 선암사 일원
  15. 두륜산 대흥사 일원
  16. 서울 백악산 일원
  17. 양양 하조대
  18. 안면도 꽃지 할미 할아비 바위
  19.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20.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21. 지리산 한신계곡 일원
  22. 태백 검룡소
  23. 대관령 옛길
  24. 영월 한반도 지형
1.#76 영월 선돌
  1. 제주 서귀포 산방산
  2. 제주 서귀포 쇠소깍
  3. 제주 서귀포 외돌개
  4. 진도 운림산방
  5. 포항 용계정과 덕동숲
  6. 안동 만휴정 원림
  7. 사라오름
  8. 영실기암과 오백나한
  9. 함양 심진동 용추폭포
  10. 함양 화림동 거연정 일원
  11. 밀양 월연대 일원
  12. 거창 용암정 일원
  13. 화순 임대정 원림
  14. 한라산 백록담
  15. 한라산 선작지왓
  16. 제주 방선문
  17. 포천 화적연
  18.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
  19. 설악산 비룡폭포 계곡 일원
  20. 설악산 토왕성폭포
  21. 설악산 대승폭포
  22. 설악산 십이선녀탕 일원
  23. 설악산 수렴동·구곡담 계곡 일원
  24. 설악산 울산바위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설악산 비선대와 천불동계곡 일원
  1. 설악산 용아장성
  2. 설악산 공룡능선
  3. 설악산 내설악 만경대
  4. 청송 주산지 일원
  5. 강릉 용연계곡 일원
  6. 광주 환벽당 일원
  7. 강릉 경포대 경포호
  8. 남양주 운길산 수종사 일원
  9. 괴산 화양구곡
  10. 구례 오산 사성암 일원
  11. 화순 적벽
  12.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
  13.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
  14. 강진 백운동 원림
  15. 부안 직소폭포 일원
  16. 신안 가거도 섬등반도
  17. 서울 성북동 별서
  18. 장흥 천관산
  19. 울주 반구천 일원
  20. 고흥 지죽도 금강죽봉
  21. 완주 위봉폭포 일원
  22. 부안 우금바위 일원
  23. 칠곡 가산바위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3.1. 1~100호

<colbgcolor=#943b58><rowcolor=#fff><colcolor=#fff> 번호 명칭 지정일자 해제일자 비고
1 명주 청학동 소금강 1970. 11. 23. [1]
2 거제 해금강 1971. 3. 23.
3 완도 정도리 구계등 1972. 7. 24.
4 속리산 법주사 일원 2009. 12. 9. [2]
5 가야산 해인사 일원 2009. 12. 9. [3]
6 울진 불영사계곡 일원 1979. 12. 11.
7 여수 상백도·하백도 일원 1979. 12. 11.
8 옹진 백령도 두무진 1997. 12. 30.
9 진도의 바닷길 2000. 3. 14.
10 삼각산 2003. 10. 31. [4]
11 청송 주왕산 주왕계곡 일원 2003. 10. 31.
12 진안 마이산 2003. 10. 31.
13 부안 채석강·적벽강 일원 2004. 11. 17.
14 영월 어라연 일원 2004. 12. 7.
15 남해 가천마을 다랑이 논 2005. 1. 3.
16 예천 회룡포 2005. 8. 23.
17 부산 영도 태종대 2005. 11. 1.
18 소매물도 등대섬 2006. 8. 24.
19 예천 선몽대 일원 2006. 11. 16.
20 제천 의림지와 제림 2006. 12. 4.
21 공주 고마나루 2006. 12. 4.
22 영광 법성진 숲쟁이[5] 2007. 2. 1.
23 봉화 청량산 2007. 3. 13.
24 부산 오륙도 2007. 10. 1.
25 순천 초연정 원림 2007. 12. 7.
26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일원 2007. 12. 7.
27 양양 낙산사 의상대와 홍련암 2007. 12. 7.
28 삼척 죽서루 오십천 2007. 12. 7.
29 구룡령 옛길 2007. 12. 17.
30 죽령 옛길 2007. 12. 17.
31 문경 토끼비리[6] 2007. 12. 17.
32 문경새재 2007. 12. 17.
33 광한루원 2008. 1. 8. [7]
34 보길도 윤선도 원림 2008. 1. 8. [8]
35 성락원 2008. 1. 8. 2010. 9. 2. [9]
36 서울 부암동 백석동천 2008. 1. 8. [10]
37 동해 무릉계곡 2008. 2. 5.
38 장성 백양사 백학봉 2008. 2. 5.
39 남해 금산 2008. 5. 2.
40 담양 소쇄원 2008. 5. 2. [11]
41 순천만 2008. 6. 16.
42 충주 탄금대 2008. 7. 9.
43 제주 서귀포 정방폭포 2008. 8. 8.
44 단양 도담삼봉 2008. 9. 9.
45 단양 석문 2008. 9. 9.
46 단양 구담봉 2008. 9. 9.
47 단양 사인암 2008. 9. 9.
48 제천 옥순봉 2008. 9. 9.
49 충주 계립령로 하늘재 2008. 12. 26.
50 영월 청령포 2008. 12. 26.
51 예천 초간정 원림 2008. 12. 26.
52 구미 채미정 2008. 12. 26.
53 거창 수승대 2008. 12. 26.
54 고창 선운산 도솔계곡 일원 2009. 9. 18.
55 무주 구천동 일사대 일원 2009. 9. 18.
56 무주 구천동 파회·수심대 일원 2009. 9. 18.
57 담양 식영정 일원 2009. 9. 18.
58 담양 명옥헌 원림 2009. 9. 18.
59 해남 달마산 미황사 일원 2009. 9. 18.
60 봉화 청암정과 석천계곡 2009. 12. 9.
61 속리산 법주사 일원 2009. 12. 9.
62 가야산 해인사 일원 2009. 12. 9.
63 부여 구드래 일원 2009. 12. 9.
64 지리산 화엄사 일원 2009. 12. 9.
65 조계산 송광사· 선암사 일원 2009. 12. 9.
66 두륜산 대흥사 일원 2009. 12. 9.
67 서울 백악산 일원 2009. 12. 9.
68 양양 하조대 2009. 12. 9.
69 안면도 꽃지 할미 할아비 바위 2009. 12. 9.
70 춘천 청평사 고려선원 2010. 2. 5.
71 남해 지족해협 죽방렴 2010. 8. 18.
72 지리산 한신계곡 일원 2010. 8. 18.
73 태백 검룡소 2010. 8. 18.
74 대관령 옛길 2011. 10. 15.
75 영월 한반도 지형 2011. 6. 10.
76 영월 선돌 2011. 6. 10.
77 제주 서귀포 산방산 2011. 6. 30.
78 제주 서귀포 쇠소깍 2011. 6. 30.
79 제주 서귀포 외돌개 2011. 6. 30.
80 진도 운림산방 2011. 8. 8.
81 포항 용계정과 덕동숲 2011. 8. 8.
82 안동 만휴정 원림 2011. 8. 8.
83 사라오름 2011. 10. 13.
84 영실기암과 오백나한 2011. 10. 13.
85 함양 심진동 용추폭포 2012. 2. 8.
86 함양 화림동 거연정 일원 2012. 2. 8.
87 밀양 월연대 일원 2012. 2. 8.
88 거창 용암정 일원 2012. 4. 10.
89 화순 임대정 원림 2012. 4. 10.
90 한라산 백록담 2012. 11. 23.
91 한라산 선작지왓 2012. 12. 17.
92 제주 방선문 2013. 1. 4.
93 포천 화적연 2013. 1. 4.
94 포천 한탄강 멍우리 협곡 2013. 2. 6.
95 비룡폭포|설악산 비룡폭포 계곡 일원 2013. 3. 11.
96 설악산 토왕성폭포 2013. 3. 11.
97 설악산 대승폭포 2013. 3. 11.
98 설악산 십이선녀탕 일원 2013. 3. 11.
99 설악산 수렴동·구곡담 계곡 일원 2013. 3. 11.
100 설악산 울산바위 2013. 3. 11.

3.2. 101~134호

<colbgcolor=#943b58><rowcolor=#fff><colcolor=#fff> 번호 명칭 지정일자 해제일자 비고
101 설악산 비선대와 천불동계곡 일원 2013. 3. 11.
102 설악산 용아장성 2013. 3. 11.
103 설악산 공룡능선 2013. 3. 11.
104 설악산 내설악 만경대 2013. 3. 11.
105 청송 주산지 일원 2013. 3. 21.
106 강릉 용연계곡 일원 2013. 3. 21.
107 광주 환벽당 일원 2013. 11. 6.
108 강릉 경포대 경포호 2013. 12. 30.
109 남양주 운길산 수종사 일원 2014. 3. 12.
110 괴산 화양구곡 2014. 8. 28.
111 구례 오산 사성암 일원 2014. 8. 28.
112 화순 적벽 2017. 2. 9.
113 군산 선유도 망주봉 일원 2018. 6. 4.
114 무등산 규봉 주상절리와 지공너덜 2018. 12. 20.
115 강진 백운동 원림 2019. 3. 11.
116 부안 직소폭포 일원 2020. 4. 20.
117 신안 가거도 섬등반도 2020. 9. 2.
118 서울 성북동 별서 2020. 9. 2.
119 장흥 천관산 2021. 3. 8.
120 울주 반구천 일원 2021. 5. 4.
121 고흥 지죽도 금강죽봉 2021. 6. 9.
122 완주 위봉폭포 일원 2021. 6. 9.
123 부안 우금바위 일원 2021. 6. 9.
124 칠곡 가산바위 2021. 9. 9.

3.3. 지정번호 폐지 이후

<rowcolor=#fff> 명칭 지정일자 해제일자 비고
포항 보경사 내연산 폭포 2021. 12. 3.
고창 병바위 일원 2021. 12. 7.
삼남대로 갈재 2021. 12. 8.
삼남대로 누릿재 2021. 12. 8.
백운산 칠족령 2021. 12. 8.
창녕 남지 개비리[12] 2021. 12. 8.
관동대로 구질현 2022. 1. 12.
영덕 옥계 침수정 일원 2022. 2. 25.
지리산 쌍계사와 불일폭포 일원 2022. 11. 11.
여수 금오산 향일암 일원 2022. 12. 20.
연천 재인폭포 2023. 8. 8.
곡성 함허정 일원 2023. 12. 28.
창녕 관룡산 관룡사 일원 2023. 12. 28.
영광 불갑사 산지 일원 2024. 2. 19.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50
, 2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50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



[1] 예전 지명을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는 유일한 곳이다. [2] 사적 제503호 '법주사'와 명승 제61호 '법주사 일원'으로 분리되었다. [3] 사적 제504호 '해인사'와 명승 제62호 '해인사 일원'으로 분리되었다. [4] 유일하게 관리단체가 복수로 되어있다.( 서울특별시 강북구, 경기도 고양시) [5] 여기서 쟁이는 성(城)을 뜻하며, 즉 숲+성이다. 포구와 마을의 방풍림 역할을 한다. [6] 비리는 벼랑을 뜻한다. 영강의 협곡과 벼랑 위를 따라 나있는 좁은 벼랑길이다. [7] 옛 사적 제303호. 2008년에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명승으로 재지정되었다. [8] 옛 사적 제432호. 2008년에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명승으로 재지정되었다. [9] 1992년에 사적 제378호에 지정되었다가 2008년에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명승 제35호로 재지정되었다. 명승으로 지정될 당시의 근거는 철종때의 이조판서 심상응의 별장이라는 점이었는데 2019년에 이곳이 일반인들에게 개방된 후 이 심상응에 대한 실존 여부 등 여러 의혹이 제기되었으며 조사 결과 이 사람이 허구의 인물임이 밝혀지면서 문화재적 가치를 재평가하게 되었다. 조사 결과 고종때의 내시 황윤명의 별서였다는 기록이 발견됐고 몇 안남은 민가의 정원이라는 점이 반영되어 제35호에서는 해제되면서 명승 제118호 '성북동 별서'로 재지정되었다. [10] 옛 사적 제462호. 2008년에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명승으로 재지정되었다. [11] 옛 사적 제304호. 2008년에 문화유산의 보존 및 활용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이 개정되면서 명승으로 재지정되었다. [12] 개는 물가를 뜻하며 비리는 벼랑을 뜻한다. 남지 가장 자리의 벼랑길이라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