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8 20:57:52

목포시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cd00>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 동부지역본부|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자치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5cb52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5cb52f> 용당1동
시청
용당동 (일부)
산정동 (일부)
용당2동 용당동 (일부)
연동 산정동 (일부) 용당동 (일부)
산정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산정동 (일부) 연산동 (일부) 용당동 (일부) }}}
연산동 산정동 (일부) 연산동 (일부)
원산동
대성동 대성동 연산동 용당동
목원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죽동 창평동 측후동
동명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광동1가 광동2가 광동3가
동명동 산정동 (일부) 호남동 (일부) }}}
삼학동 산정동 (일부)
만호동 만호동
복만동
유동
축복동1·2·3가 항동
유달동 금화동 달동
서산동
온금동 유달동 율도동
죽교동 죽교동 (일부)
북항동 산정동 (일부) 죽교동 (일부)
용해동 용해동 (일부)
이로동
상동 상동 (일부) 석현동 (일부)
하당동
신흥동 상동 (일부)
삼향동 대양동 석현동 (일부)
옥암동 옥암동 (일부)
부흥동
부주동 }}}
}}}}}}

전라남도 자치시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木浦市
Mokpo City
}}}
<colbgcolor=#78BE20><colcolor=#fff> 시청 소재지 양을로 203 ( 용당동)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23
면적 51.62㎢
인구 213,376명[1]
인구밀도 4133.59명/㎢[2][3]
시장
박홍률 (재선)
시의회
17석[4]


[[녹색정의당|
파일:녹색정의당 흰색 로고타입.svg
]]
3석[5]

2석[6]
도의원
5석[7]
국회의원
김원이 ( 목포 / 재선)
상징 <colbgcolor=#78BE20><colcolor=#fff> 시화 백목련
시목 비파나무
시조
시가 목포시민의 노래
지역번호 061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징3. 역사4. 지리
4.1. 인구
5. 교통6. 경제7. 관광
7.1. 관광지7.2. 지역 축제
8. 교육
8.1. 공립유치원8.2. 초/중/고등학교
8.2.1. 도심 공동화에 따른 학교 불균형 문제
8.3. 대학교8.4. 특수학교 / 평생교육시설8.5. 기타
9. 생활문화
9.1. 지역 특징9.2. 관내 기관9.3. 의료기관9.4. 문화시설9.5. 스포츠9.6. 방송전파 환경
10. 정치11. 군사12. 하위 행정구역13. 기타14. 출신 인물15. 무대탐방16. 자매결연 지역
16.1. 국외16.2. 국내16.3. 우호교류도시
1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파일:목포시청.jpg
목포시청
전라남도 목포시 양을로 203
파일:AD37C3F7-C096-45A8-A442-DFEA19D2304C.jpg
목포 시내 전경 (2022년)
가운데가 목포 시가지, 오른쪽이 [[남악신도시|{{{#fff
남악신도시}}}]], 왼쪽은 [[영암군|{{{#fff 영암군}}}]] 삼호읍(대불 국가산업단지)이다.

목포는 항구다.
- 이난영 노래

전라남도. 광양시, 여수시와 함께 전라남도의 3대 항구 도시 중 하나로 개항하면서 부터 항구 도시로 발전해왔다. 호남선이 끝나고 서해안고속도로가 시작하는 곳으로 교통의 시발점 역할도 하고 있다.

일제강점기 1940년대만 해도 부산광역시, 인천광역시, 원산시와 함께 조선 4대 항구 도시 중 하나였고, 1950년대 10만 명을 훌쩍 넘는 인구 증가(11만 명)로 한때 남한 6대 도시였다. 하지만 목포항은 수심이 얕아 대규모 무역항으로 쓰기에 입지가 나빴고, 교통 인프라가 부실해서 목포항은 화물 운송량이 급속도로 줄게 되었다. 그래서 목포항에 의지하던 목포시의 경제는 큰 타격을 받았고 목포는 대도시로 성장하지 못했다.

전라남도 서부의 중심도시다. 전라남도의 경제력은 동부(여수, 순천, 광양 등)가 압도적이며 목포는 공업이라고는 거의 찾아볼 수도 없는 순수 소비도시이니 자체 경제력은 떨어진다. 역내 총생산을 비교해보면 목포시는 4조 5,305억 원이지만 여수 25조 8,706억 원, 순천 6조 1,250억 원, 광양 10조 0,602억 원에 달하며, 2020년 기준 재산세는 목포시는 224억 원으로 여수시 507억 원, 순천시 301억 원, 광양시 279억 원에 이어 4번째다. 목포와 가까운 영암군 삼호읍 현대삼호중공업과 대불산단이 있고 영암군의 전남 내 수출액 비중은 10.4%다. 하지만 전남 동부의 수출비중은 80%를 넘기 때문에 어떤 식으로 따져보든 목포의 경제력은 도무지 동부권과 비교할 수 없는 차이를 보인다. 하지만 도청신도시가 서부에 올 수 있었던 게 상대적인 낙후 지역이라는 점이 작용한 바가 크고, 소비도시 규모로서는 전남의 다른 도시들보다 더 크다고 볼 수 있다. 작은 도시 면적과 그에 따른 높은 인구밀도를 바탕으로 도시 인프라의 구축은 여.순.광.에 비해 훨씬 큰 도시로 보이게 만든다. 마천루[8], 대형마트와 아울렛, 영화관 등이 다른 도시에 비하면 많은 편이다.

면적은 광주광역시 동구와 비슷하다. 비수도권에서 가장 면적이 작은 고, 전국에서는 경기도 구리시, 과천시, 군포시, 광명시, 오산시에 이어서 6번째로 좁은 시다.

목포는 일제강점기부터 발전해온 도시라서 도시 구획이 잘 되어있다. 대성동과 유달산 아래쪽은 도시구획이 잘 안 돼 있지만 일제가 도시구획을 잡고 개발한 목포역 남쪽과 동쪽은 도로들이 사각형 형태로 뻗어있다. 옛날엔 목포역 근처까지 바닷물이 들어왔는데 대부분 도시가 바다를 매립한 곳이다. 하당과 남악도 다 바다를 매립해서 만들어진 동네다.
사공의 뱃노래 가믈거리며
삼학도 파도 깊이 스며드는데
부두의 새악시 아롱젖은 옷자락
이별의 눈물이냐 목포의 설움

삼백 년 원한 품은[9] 노적봉 밑에
님 자취 완연하다 애달픈 정조
유달산 바람도 영산강을 안으니
님 그려 우는 마음 목포의 노래

깊은 밤 쪼각달은 흘러가는데
어쩌다 옛 상처가 새로워진다
못 오는 님이면 이 마음도 보낼 것을
항구에 맺은 절개 목포의 사랑

목포의 눈물이라는 노래가 이 지역을 소재로 해서 만들어졌다.

2. 상징

파일:목포시 브랜드.svg
슬로건 | 2019~현재
파일:목포랑.jpg
관광브랜드 디자인 | 2023~현재
파일:Mokpo_mascot.jpg
마스코트 포포, 포미' | 2011~현재

3. 역사

백제 신라 고려 조선 1896년~ 1897년~ 1910년~ 1914년~ 1949년~ 1969년~
물아혜군 무안군 물량군
무안군
무안현
무안군
무안현
무안부 목포부 목포부 목포시
무안군 무안군
아차산현 압해군 장산현
육창현
임치현
압해현
나주목
광주목
지도군
영광군
해남현
지도군 신안군

삼국시대에는 원래 마한 신미국을 중심으로 한 소국 연맹체인 침미다례의 영역이었다. 침미다례는 독자적으로 중국에 사신을 파견할 정도로 상당히 세력이 있었으나 백제에게 정복당한 뒤 물아혜군(勿阿兮郡)이 설치된다. 백제 멸망 후 남북국시대 신라의 영역이 되었다가 경덕왕 때 전국 지명 한화정책으로 개칭되면서 무안군으로 바뀌었다. 이후 그대로 가다가 개화기에 목포가 개항하면서 도시로 발전, 무안에서 독립한다.

목포라는 이름은 후삼국시대에 최초로 등장한다. 태봉시대의 일인데 궁예 휘하의 장수였던 왕건이 태봉 수군을 끌고 목포라는 포구에 도착해 현지 호족 오다련과 정략결혼으로 맺어지고 현재 전라남도 서남부 일대를 복속하여 현 광주광역시인 후백제의 거점도시 무진주를 위협하였다. (그러나 당시의 목포의 위치에 대해서는 지금의 목포시가 아니라 나주시 내라는 설도 있다. )

'목포'라는 지명이 어디에서 유래했는지는 정확하지 않다. 앞의 목(木)을 단순히 나무라 해석해 나무가 많은 포구라서 붙었다는 설도 있고, 목화가 많이 나서 붙었다는 설, 목련이 많이 자란다는 데서 유래했다는 설도 있다. 이외에도 사투리나 관습적으로 부르던 지명을 한자로 음차하여 발생했다는 등 많은 설이 존재하지만 현재로서 확인할 길은 없다. 하지만, 서해로부터 영산강을 타고 육지로 들어가는 '길목'에 위치한 포구(목개)라는 뜻으로 한자를 차자해 목포라고 썼을 것이라는 견해가 가장 유력하다.

이후 목포라는 이름이 영산강 유역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기 시작해 조선 태종 때 현재의 목포시 지역에 목포진(木浦鎭)을 설치하여 지명이 확정되었다. 한편 목포 일대는 무안군의 일부였으며, 고을의 행정 중심지 역할은 목포가 아닌 현 무안읍내 지역이었다.
파일:목포간척_1900-1990.gif
목포 간척의 역사(1900-1990년대)[출처][참고]

오늘날과 같은 항구 도시로서의 시작은 1897년 10월 1일 대한제국 목포항 개항과 동시에 무안군이 무안부로 승격되면서이다. 형식적으로는 외국과의 조약에 의한 개항이 아닌 정부의 자발적인 개항으로써 첫 번째였다. 이때 형성된 유달동, 만호동에 해당하는 목포의 구도심은 일본 등 외국 자본에 의해서 간척된 계획도시이기에 도로가 격자식으로 잘 형성이 되어있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2e2e2e>
파일:고시치노키리_White.svg
''' 일제강점기
{{{+1'''
}}}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경기도 평안남도
파일:경성부 휘장(1925-1945).svg 파일:인천부 마크(1921~1945).png 파일:개성부 휘장.png 파일:신의주부 마크(1929~?).png 파일:평양부 마크(1922~?).png 파일:진남포부 마크(1924~?).png
경성부 인천부 개성부 평양부
함경북도 함경남도
파일:청진부 마크(1933~?).png 파일:나진부 마크(1937~?).png 파일:성진읍(1938~?)의 마크.png 파일:원산부 마크(1926~?).png 파일:함흥부 마크(?~?).png 파일:흥남읍(일제강점기)의 마크.png
청진부 나진부 성진부 원산부 함흥부 흥남부
황해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파일:대전부 2기(1939~?) 마크.png 파일:군산부 마크(1928~?).png 파일:목포부 마크(1926~?).png 파일:광주부 마크(1925~?).png
해주부 대전부 군산부 전주부 목포부 광주부
경상남도
파일:대구부 마크(1927~?).png 파일:부산부 마크(?~?).png 파일:마산부 마크(1936~?).png 파일:진주부 마크(1940~?).png
대구부 부산부 마산부 진주부 }}}}}}}}}

1910년 일제강점기에 들어서면서 무안부가 목포부로 개칭되었으며[12],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개항장(현 유달동, 만호동, 대성동, 목원동)을 제외한 목포부의 나머지 지역을 무안군으로 분리하였다.[13] 무안군청은 목포부 내에 두었다. 1932년에는 무안군 이로면의 죽교리(유달산과 뒷개라 불리는 해안지역 모두 포함), 산정리(산정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목포에서 남으로 북까지 쭉 뻗은 목포 구도심의 1/3을 차지하는 법정동), 용당리(목포시청과 목포상고 인근)를 목포부에 편입하였다. 1944년 인구 69,000명으로 당시 한반도 15대 도시 중 하나였고 38선 이남에선 7번째로 큰 도시 였다.[14]

해방 직후에는 인구가 불어났으나, 이후 1949년 국공내전에서 국민당군이 패배하여 대만으로 도주하면서 건국된 중화인민공화국 및 해방 후 일본과의 교역이 단절된 목포는 크게 성장하지 못하였다. 그래도 이 당시 항구 도시라는 이점때문에 전국(남한) 6번째로 큰 도시로서의 명성을 얻었다.

영산강으로부터 흘러 들어오는 토사에 의해 목포항의 수심이 얕아지는 것은 목포의 발전에 악영향을 주고 있었다. 이에 목포시는 1962년 현 동명동사거리에서 대삼학도 서측을 잇는 방조제 공사를 시작으로 하여, 삼학도 전체를 육지화시켜 외항을 건설하였다. 또한 대삼학도 북측에서 현재 제일중학교까지를 방조제로 연결하여 생긴 땅에 차관을 빌려 4차주택단지를 건설하였다. 이로 인해 삼학도는 현재까지도 공원화가 되어 있긴하나 완전 복원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삼학도의 흑역사

1963년 무안군 이로면(석현리, 대양리, 옥암리 제외)[15]이 목포시에 편입되어, 목포시의 영역이 확장되었다. 하지만 부산 동래군의 면을 몇 개씩 편입하고, 서울특별시가 부근 군(당시의 광주군, 지금의 성남시, 하남시, 광주시.)의 면을 몇 개씩 편입하는 동안, 목포시는 무안군의 1개 면을, 그것도 완전히 편입한 것도 아니었다. 이로면의 잔여 지역은 삼향면에 편입되었다가, 1973년에 석현리를, 1987년에서야 대양리와 옥암리를 편입하게 된다.

1969년 무안군에서 신안군이 분군되면서, 목포시 내에 있던 기존 무안군청은 신안군청으로 전환되고(이후 압해도로 이전), 새 무안군청은 무안군 무안면(이후 무안읍)에 설치되었다.

1970년대 목포는 나름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는데, 1호광장-2호광장-3호광장으로 이어지는 광로가 이때 개통된 것이다. 이전에는 대성동-산정초등학교- 전남제일고앞 작은 길-이로시장-굴다리로 이어지는 도로가 목포의 간선도로였다. 1972년에는 상동에 최초의 현대적인 공업단지가 설립되었다. 하지만 그 규모는 매우 작았고 그나마 호남고무나 행남자기와 같은 경공업 위주로 구성되었다. 1974년에는 옛 일본영사관에 있던 목포시청이 현 용당동 청사로 옮겨가고, 그 옆에는 목포마리아회고등학교가 개교하였다. 현 초원관광호텔 자리에 있던 경찰서, 소방서와 기업은행 맞은 편 교회 자리에 있던 법원 등도 이 시기에 용당동 청사로 이전하였으며, 현 유달산우체국 자리에 있던 목포우체국과 유달산 기슭에 있던 MBC가 각각 1987년, 1989년에 용당동으로 이전을 완료한다. 비슷한 시기에 시역을 넓혀나간 다른 경쟁도시들이 이미 1970년대 중반에 이러한 변화를 마친 반면, 목포는 이러한 변화를 1980년대 말에서야 마무리를 한 것이다.

그렇기에 목포는 1990년대 초반까지 별 다른 변화 없이 전혀 발전이 없는 상태가 지속되었다. 하지만 1989년 노태우 대통령 지시에 의해 목포와 마주한 영암군 삼호에 대불공단이 세워지고, 1995년 한라조선소가 건설되면서 도시의 정체된 발전을 벗어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1993년에는 20년 이상 끌어오던 하당지구 개발이 완료되었고, 하당지구는 목포의 대표적인 신도심으로 성장하였다. 2001년에는 서해안고속도로 전면개통, 2004년에는 KTX가 목포까지 운행되면서 수도권과의 이동시간이 대폭 단축되었다. 2006년에는 인접한 무안군 삼향면 남악신도시 전남도청이 개청하고 2007년에는 영암에 있던 목포공항을 폐쇄하고 무안국제공항이 개항하게 되었다.

항구 도시답게 대한민국 해군의 주요 기지 가운데 하나였고, 한국전쟁 초반에 대통령이었던 이승만과 정부 인원들이 이곳을 통해 해군 함정을 타고 부산으로 철수했다. 휴전 이후에도 해군이 계속 주둔해 목포해역방어사령부를 제3함대사령부 휘하로 두고 있다가, 2008년 3함대 사령부가 강 건너 삼호읍으로 옮겨 오면서 목방사를 해체했다.

4. 지리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목포시/지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 인구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인구 추이
1896년 8월 4일 13도 개편 후 전라남도 무안군, 지도군
1897년 목포항 개항
1906년 10월 1일 무안군무안부 승격
1910년 10월 1일 무안부목포부 개칭
1911년 80,925명
1914년 4월 1일 종래 목포부에서 항구 지역만 목포부로 분리
나머지 지역과 지도군, 완도군 팔금면, 진도군 도초면을 합해 무안군 관할로 함( 부군면 통폐합)
1915년 12,782명
1920년 16,701명
1925년 25,762명
1930년 31,817명
1932년 ?월 ?일 무안군 이로면 산정리· 죽교리· 용당리 등 지역 → 목포부 편입
1935년 59,046명
1940년 69,183명
1943년 72,981명
1949년 8월 15일 목포부목포시 개칭
1949년 111,128명
1955년 113,492명
1960년 129,650명
1963년 1월 1일 무안군 이로면 상리· 달리· 율도리목포시 편입
1966년 162,166명
1969년 1월 1일 무안군에서 신안군 분리[16]
1970년 177,669명
1973년 7월 1일 무안군 삼향면 석현리목포시 편입
1975년 192,888명
1980년 221,754명
1985년 236,038명
1987년 1월 1일 무안군 삼향면 옥암리· 대양리목포시 편입
1990년 243,035명
1995년 239,423명
2000년 245,492명
2005년 10월 21일 남악신도시 조성과 전라남도청 이전
2005년 242,988명
2010년 245,422명
2015년 238,382명
2020년 224,044명
2024년 1월 213,98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참고용으로 무안군, 신안군(지도군) 인구를 그래프에 포함(인구수는 표기하지 않음)
행정동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주동 22,746명
상동 21,388명
용해동 16,610명
신흥동 16,152명
하당동 13,041명
원산동 12,175명
옥암동 11,106명
이로동 10,455명
연산동 10,448명
용당1동 9,875명
산정동 9,179명
북항동 8,826명
부흥동 8,284명
목원동 6,874명
삼학동 5,779명
동명동 4,927명
대성동 4,816명
용당2동 4,766명
삼향동 4,553명
연동 4,233명
유달동 3,933명
죽교동 2,898명
만호동 2,528명
2023년 4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2.5만 명
}}}}}}}}} ||

1997년 24만 9천 명을 정점으로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인구 감소의 원인으로 저출산, 인근 남악신도시로의 이주, 일자리 부족 등이 꼽힌다. #

5.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목포시/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경제

파일:전남지역별GRDP.png
항구 도시였던 과거와는 달리, 현재의 목포시는 소비도시로서의 정체성이 강하다. 물론 과거보단 못하지만 일정 규모의 수산업은 유지하고 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목포시/경제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관광



바닷물을 끌어와서 해상분수를 만든다는 프로젝트를 시에서 추진했다. 그러나 물을 높이 뿜을수록 바닷물이 주변으로 퍼져서 주변 토양에 염해 피해를 입힐 가능성이 높다는 이유로 시민단체에서 해상분수를 반대하였고 목포대학교의 실험결과에서도 염해피해가 우려되었으나 시에서는 계속해서 추진하였다. 이에 대해 추적60분에서도 취재를 했다.

그런데 2010년 여름 실제로 해상분수가 완공되어 해양문화축제 때 선보이자, 예상 외로 이쁘다보니 그간 안좋았던 여론이 사라져 버렸다. 해양분수는 "춤추는 바다분수"로 명명되었고, 4~11월 동안 비가 오거나 강풍이 부는 날을 제외하고는 매일 공연을 한다. 중간 중간 쉬는 타이밍에 사연과 신청곡도 들려준다. 외지에서 오는 사람들의 평이 좋은지 실제로 목포에 방문하는 내일러들에게도 필수 방문코스다. 다만 인근 주민들은 몇 번 봐서 식상해하기도 한다.

주요 관광지로 유달산이 있으며 바다를 면한 박물관 밀집지역인 문화의 거리가 있다.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구 국립해양유물전시관[17]), 목포자연사박물관, 남농[18]기념관 등이 가깝게 붙어 있으며 목포문화예술회관[19]과 목포문학관도 그 근처에 있다. 이 근처에 있는 갓바위는 2009년 천연기념물 제500호로 지정되었다.

유달산과 가까운 연안여객선 터미널을 통해 흑산도, 홍도와 같이 관광지로 유명한 섬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인근 횟집들에서 상당히 저렴한 가격으로 다양한 수산물을 즐길 수 있으며, 목포에서만 잡히는 수산물도 많다.
파일:목포케블카1.jpg 파일:목포케블카2.jpg
목포해상케이블카

유달산 관광사업으로 케이블카를 추진하고 2018년에 완공을 목표로 하였으나 2018년 6월 1일 오후 12시 경에 케이블카 기둥이 무너지는 일이 발생해 완공이 미뤄졌고, 약 1년 후인 2019년 9월 6일 목포해상케이블카가 개통되었다.

개통 후, 총 길이 3.23km의 압도적인 탑승거리와 볼거리로 베트남 빈펄 케이블카를 능가하는 아시아 최고의 노선으로 평가를 받은 영향으로, 전국 각지에서 목포해상케이블카를 타려고 몰려들어서 지금은 목포의 대표 관광코스로 지정되었다. 도시 크기가 크지 않아 주요 관광지들이 한곳에 다 모여있어 짧은 이동거리로도 거의 다 쉽게 볼 수 있다는 것은 큰 장점이다. 대부분 도보로 둘러볼수 있으며 택시를 타도 부담없는 거리 안에 대부분 볼거리가 모여있다.

과거 공출항 역할을 하면서 일본인들이 많이 거주한 역사가 있다보니 일제강점기 시기의 건물들이 많이 남아 있다. 각각 목포근대역사관 1관 및 2관으로 지정된 구 목포 일본영사관[20]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 등이 유명하다. 두 건물은 모두 목포역 근처에 있어 도보나 택시로 접근이 가능하다. 그외에도 다양한 근대건축물이 구도심 곳곳에 보존되어 있다.
파일:C9nSe8PVYAY38J3.jpg
산정동순교자기념성당

종교시설로는 2021년 11월 건립된 산정동순교자기념성당이 특기할만하다. 건축 당시 이름인 성 미카엘 대성당으로도 많이 알려져 있다. 준대성전으로 승격되어 현존하는 국내에서 가장 높은 격의 가톨릭성당이 되었다.

7.1. 관광지

7.2. 지역 축제

8. 교육

8.1. 공립유치원

8.2. 초/중/고등학교

파일:목포시 CI_White.svg 전라남도 목포시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광주교육대학교
목포부설초등학교
목포남초등학교 목포대성초등학교 목포대연초등학교
목포동초등학교 목포미항초등학교 목포부영초등학교 목포북교초등학교
목포산정초등학교 목포삼학초등학교 목포상동초등학교 목포서부초등학교
목포서산초등학교 목포서산초등학교
충무분교장
목포서해초등학교 목포석현초등학교
목포신흥초등학교 목포애향초등학교 목포연동초등학교 목포연산초등학교
목포영산초등학교 목포옥암초등학교 목포용해초등학교 목포용호초등학교
목포유달초등학교 목포유달초등학교
달리분교장
목포유달초등학교
율도분교장
목포이로초등학교
목포임성초등학교 목포중앙초등학교 목포청호초등학교 목포하당초등학교
목포한빛초등학교 목포항도초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력인정 평생교육시설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목포시 CI.svg 전라남도 목포시 중학교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목포덕인중학교 목포애향중학교 목포여자중학교 목포영화중학교
목포옥암중학교 목포유달중학교 목포정명여자중학교 목포제일중학교
목포중앙여자중학교 목포청호중학교 목포하당중학교 목포항도여자중학교
목포혜인여자중학교 목포홍일중학교 문태중학교 영흥중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목포시 CI_White.svg 전라남도 목포시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목상고등학교 목포고등학교 목포공업고등학교 목포덕인고등학교 목포마리아회고등학교
목포성신고등학교 <colbgcolor=#f9e9e9,#280a0a> 목포여자고등학교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 목포정명여자고등학교 목포제일여자고등학교
목포중앙고등학교 목포혜인여자고등학교 목포홍일고등학교 문태고등학교 영흥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고등학생들의 수준은 다른 지방도시들과 비교해서 특별히 잘난 편도 못난 편도 아니다. 그런데 인근에 있는 광주광역시가 전국 수능 평균 상위권이라서, 목포에서 중학교를 졸업하고 타지 광주의 고등학교로 가는 학생도 있고 전남외국어고등학교 전남과학고등학교 로 가는 학생들도 있다. 또 수시 지역 균형으로 서울대에 합격은 하나 최저에서 떨어지는 경우가 굉장히 많다.

다른 지역에 비해 고등학교가 공립학교는 굉장히 적고 사립학교가 많은 편이다. 최초의 고등학교는 1920년에 도립 목포상업전수학교(현 목상고등학교)이며,[22] 40년대에 목포고등학교의 전신인 목포중학교가 개교, 40년대 후반에 목포여자고등학교가 개교되면서 본격적으로 인문계 교육의 양성이 시작됐다고 볼 수 있다. 이후 50년대 후반에서 70년대 초반까지 영흥고등학교, 문태고등학교, 홍일고등학교로 위시되는 사립학교가 우후죽순으로 생겨나면서, 공립학교를 세울 조건도, 땅도 마련되지 않아 목포제일여자고등학교를 이후로 공립학교는 더이상 세워지지 않고 있다. 공립학교는 현재 목상고등학교, 목포고등학교, 목포여자고등학교, 목포제일여자고등학교가 일반계로서 운영중이고, 목포공업고등학교가 특성화계로서 유일하게 공립으로 운영중이다. 반면, 사립학교는 남학교인 목포홍일고등학교, 목포마리아회고등학교, 목포덕인고등학교가, 여학교인 목포정명여자고등학교, 목포혜인여자고등학교,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가, 남녀공학으로 영흥고등학교, 문태고등학교 등이 목포시에 위치하고 있다.[23]

이 지역 중고등학교는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시행 이후로 사립이 강세고, 공립은 굉장히 약하다. 2005년 이전 고교 비평준화 시절에는 거꾸로 공립이 강세, 사립이 약세였다. 이 시기에는 공립학교인 목포고등학교가 제일 위에서 군림하고 역시 공립학교인 목포여자고등학교, 사립학교인 영흥고등학교, 문태고등학교 전남제일고등학교가 그 뒤를 따르는 형세였고 목포고는 신성불가침의 영역에 있었으나 대학들이 수시를 통해 내신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뽑기 시작하면서 영흥고, 문태고, 홍일고를 필두로 하는 사립 고등학교들이 같은 재단의 사립중학교와 공립중학교에서 장학금, 기숙사 제공 등의 혜택을 내걸고 우수학생들을 유치하여서 좋은 내신점수를 만들어 주어 수시로 대학들을 보내기 시작하자 목포고의 위상이 흔들리기는 하였지만, 그래도 대다수의 학생들을 정시로 뽑던 시기에는 정시를 통해 명문대 입학생을 많이 배출하며, 위세를 유지하다가 2005년 고교 입학생부터 평준화로 학생들을 받기 시작하면서부터 하락세를 탔다. 결국 비평준화 마지막 세대인 2007년 수능의 응시생인 2004년 입학생에서 인문계 광주전남 수석[24] 및 자연계 광주전남 수석을 배출한 것을 마지막으로 배출하지 못하고 있다.

또 다른 공립고등학교인 목포상고는 일반계인 전남제일고등학교[25]로 바뀐 뒤 더 하락세다.[26]

상술했듯 목포고등학교가 평준화 이후 맥을 못추는 틈을 영흥고등학교, 문태고등학교, 목포덕인고등학교, 목포홍일고등학교 등의 사립고들이 잘 나가고 있다. 평준화 후부터 2012년 즈음까진 영흥고가 홍일고와 함께 명문대 배출자를 두고 우위를 겨누다 교내에서 안 좋은 일로 인하여 분위기가 많이 가라앉은 상태고 그 틈을 타서 홍일고가 성장하여 14년 현재 가장 명문고로 언급되고 있다. 13년에 수능 자연계 만점을 맞은 모 학생도 이 홍일고 출신이다. 이후 14년도 입시 성적도 일반고를 뛰어넘는 모습을 보였다. 15년에 수시에서 말도 안 되는 포텐이 터지고 수능 성적으로는 전남 문과 수석 이과 차석이 배출되어 전남권에서는 명문 사학으로 자리매김을 했다.

목포 지역 중학생들은 학교를 잘 생각하자. 참고로 고교평준화 지역이므로 뺑뺑이다. 물론 일부 사립중학교에서 자교의 성적 중하위권 학생들은 절대로 같은 재단 고등학교를 못 쓰게 하고, 공립고등학교인 목포고등학교 목상고등학교(구 전남제일고)에다가 다 몰아줘 버린 다음에 일부러 미달 혹은 정원에 가까운 인원 정도만 지원하도록 만든 후 타 중학교 상위권 학생들에게도 이러한 점을 어필해서 상위권 학생들을 끌어모으는 식의 '장난질'이 벌어지고 있다는 소문도 있다.[27]

8.2.1. 도심 공동화에 따른 학교 불균형 문제

현재 목포시 교육의 문제는 원도심 공동화에 따른 학생 수 편중 문제이다. 목포시의 구도심+하당지구[28]+ 전남도청의 인구는 하당신도심을 거쳐 남악신도시까지 지속적으로 동쪽으로 이동하고 있는데 이를 못 따라가고 있어서 원도심 학교들의 학생수 감소 현상이 심각한 수준이다. 서부초등학교는 북항의 버프를 받아 현재까지 약 1,000명 가까이인 850여 명의 학생수로 살고있다. 원도심이야 이미 심각한 지 한참 되었지만 남악신도시가 개발된 2010년대에 들어서는 여파가 퍼지고 있다. 유달, 산정, 연동, 남, 중앙, 북교 등 원도심 초등학교는 학년당 한두 학급 겨우 유지하는 수준이고, 서산초등학교는 한 학년당 인원이 10명 이내로 거의 섬 초등학교 수준이고, 1990년대~2000년대 초반에 미어터지는 수준으로 열심히 교사(校舍)를 증축하고 신설학교를 추가로 개교시키던 하당지구나 북항지역 초등학교들마저 교실이 남아돌고 있다. 게다가 단순히 택지개발뿐만이 아니라 출산율까지 떨어지며 남악신도시를 개발하는 동안 초등학교 신입생수가 1천여 명 이상 감소해서 더욱 학생수 감소현상은 심화될 전망이다.[29]

초등학교야 통학거리 등의 문제로 소규모 학교라도 유지시켜야겠지만 중, 고등학교는 신도심이 생길 때마다 새로운 학교 신설만 하고, 기존 학교 정리나 이전 등의 대책은 세우지 않아서 원도심 학교 진학 기피 현상으로 인해 구도심 학교들이 여파를 입고 있다. 게다가 고교평준화의 영향으로 사립중학교들이 새로이 명문고가 된 사립고등학교에 들어가기 위한 발판 등으로 인식되면서 지원률도 떨어져 애꿎은 공립중학교들만 미니학교가 되가고 있다. 목포 버스 13-1번이라는 전용 통학 노선까지 만들어가며 유치한 목포여중의 2021년 총 학생수는 6학급 122명(특수학급 1학급 3명 포함)이다.[30] 거기에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던 원도심 공립 3개 남학교( 목포제일중, 목포유달중, 청호중)들도 학급감소가 심각하다. 목포제일중의 경우 한때 목포시 인구 1/4가 하당지역에 있던 유일한 남중이었던 영흥중학교가 1999년부터 남녀공학이 되면서 하당중학교가 개교한 2005년까지 남학생이 갈 수 있는 학교가 0.5개뿐이라 신도심 근처에 위치한 관계로 미어터졌지만 이마저도 이제는 학급이 줄고 있다.[31]

어쨌든 이러한 수요 불균형에도 일단 원도심 학교들이 학급수를 줄여서라도 유지는 되고 있는데 뺑뺑이 추첨에서 운 나쁘면 누군가는 신도심에서 원치 않은 원도심 중학교로 진학하게되니 이에 대한 신도심이나 남악신도시 옥암지구 주민들의 불만도 많고, 해마다 구도심으로 진학하게된 학생들이 대량으로 위장 전입을 써서 무안군 관내인 남악신도시 남악지구의 남악중학교로 전학신청을 하는 사태도 발생하였다. 이에 또 2013년에는 남악중학교 교사들이 과밀학급으로 교육의 질 저하가 우려된다며 관할 교육청에 배정중지 요청을 하는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관련 기사 거기에 원도심 고등학교들도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으로 인한 사립학교로의 학생 쏠림 및 도심 공동화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결국 학생 수 감소를 버티다 못한 청호중학교는 새로운 택지개발지구인 용해지구로 학교를 이전하였다. 관련 기사 위에서 언급한 목상고등학교 역시 옥암지구로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관련 기사 [32]

최근 목포고와 목포여고가 옥암지구 통합 이전을 추진하고 있다. 부지는 옥암지구 내 대학교 부지이다. 사실 2037년쯤 되면 목포시 내 일반계 고등학교가 단 3개교만 남을 가능성이 높아서[33] 통폐합이 필연적이였다.

8.3. 대학교

종합대학교는 목포대학교 목포캠퍼스[34], 목포해양대학교, 목포가톨릭대학교가 있고, 전문대학은 목포과학대학교가 있다.

8.4. 특수학교 / 평생교육시설

8.5. 기타

목포 근처의 타 지역에서 목포로 유학오는 경우도 있다. 특히 목포 근처의 지역이 대부분 섬과 같은 지역이라 섬 내에 고등학교가 없어서 아예 목포로 오는 경우도 있고, 질 좋은 교육이나 체육특기생 등의 이유로 목포로 오기도 한다. 목포가 죽었다고는 하지만 아직도 전남 서남부에서는 목포만한 도시가 없기 때문. 이렇게 시내로 들어오는 많은 학생들이 목포고등학교에 입학하는 경우가 많았다. 기숙사 시설이 잘 갖춰져 있고 애초에 시내로 유학오는 이유가 잘나가는 학교에 들어가기 위함이었으니, 하지만 평준화 이후 엣말이 되어 지금의 목포고등학교는 기숙사 방이 남아돌아 4인실을 3인실로 바꿨다.

목포에서 우수한 인재들이 광주로 가기 때문에 이를 잡아두기 위하여 목포시에서는 목포시내 고등학교 출신자가 서울대학교에 합격하면 4년 전액 장학금을 지원해주는 제도를 운영하고 있다. 실력이 있는 학생은 노려볼 만하다!

전라남도의 22개 시군 중 유일하게 '읍과 면 지역 및 도서와 벽지지역 교육진흥법'의 적용이 되지 않는 지역이다. 그게 당연한 게 법 이름에서부터 명시하고 있는 사실이지만 적용 대상은 읍면지역 한정이다. 그런데 목포는 전남에서 유일하게 도농통합이 안 이뤄진 도시라서 읍면이 전혀 없다. 이걸 따지겠다면 읍면 지역에만 일괄적으로 적용하는 법을 탓해야지 이미 도농통합을 한 전남 다른 시들과 비교해서 지역차별하고 있다는 걸로 받아들이면 안 된다. 여순광 지역이라도 시내 지역은 전혀 적용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결국은 그게 그거다.

도서관은 목포시에서 운영하는 목포시립도서관과 전라남도교육청 산하의 목포공공도서관이 있다. 공공도서관은 원도심 쪽에서도 인구가 많은 북항지역에 있고 13번, 60번 버스를 이용할 수 있어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다만 주택가 한 가운데에 있어서 이면도로를 따라 들어가기 때문에 초행자들이 접근하기 어렵고 어린 학생들의 경우에는 골목을 운행하는 차량들로 인해 통행하기 위험한 것이 단점이다. 시립도서관은 접근성 면에서 최악[35]인데다가 도서관과 연계되는 대중교통 편마저 없어서 이용객이 적다. 시의회에서 시립도서관 운영에 대해 여러 차례 문제제기는 되고 있고 아직도 민간 위탁운영을 하고 있어서 시설 개선도 잘 안 되고 있는데 시립도서관의 존재감이 너무나 떨어져서 이마저도 묻히는 실정이다. 작은도서관과 이동도서관 운영을 통해 수박 겉핥기 식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시립도서관 산하의 어린이도서관과 영어도서관은 청호시장 부근에 위치하는데 입지가 다소 애매한 편이다.

대학교가 위치한 도시들의 경우 중고등학생 및 주변 주민들의 도서관 이용으로 갈등이 발생하는 반면 목포시의 경우 인구에 비해 대학 수가 제법되는데도 학교들의 위치나 입지가 좋지 않아서인지 대학교 도서관 이용도 상당히 드물다. 목포대학교는 목포 밖에 있고 목포해양대는 원도심에서도 아예 바다쪽으로 더 가야 갈 수 있다. 목포가톨릭대도 목포시내 끄트머리에 있는 편이라 잘 가지 않게 된다. 목포과학대가 그나마 입지가 괜찮은데 언덕길을 한참 올라가야 해서 선호되는 곳이 아니다. 목포시 행정구역 내는 아니지만 옥암지구에 거주하는 경우는 바로 옆에 있는 전남도립도서관을 이용할 수 있어서 그나마 도서관을 이용하기 수월하다.

9. 생활문화

9.1. 지역 특징

개발도 많이 안 되었고 일제강점기에는 꽤 잘나가던 항구[36][37]라서, 일제강점기에 지은 건물이 많이 남아있다.

일제강점기의 건축물+근대건축물의 산실로 일본인 구역이었던 유달산 아래 목포여자중학교 근방과 구시가지에는 눈에 띄는 건물들이 다 준문화재급으로 오래된 건축물들이다. 그러나 이는 보존하려고 해서 보존한 것이 아니라, 이 지역이 그 이후로 거의 개발되지 않아서이다.[38] 예를 들어 경성, 부산, 대구, 대전 등지에는 목포보다 훨씬 많은 일본인들이 거주했지만, 개발의 물결을 타고 일제의 잔재가 전부 사라졌다. 반면 목포는 해방 이후 개발이 더디어 이런 적산가옥들이 아직도 남아있는 것이다.

일제의 잔재로는 목포해양대학교 근처의 해안가에서 볼 수 있는 건너편 섬들에 웬 동굴들이 여러개 뚫려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건 태평양 전쟁 당시 일본이 미군을 막겠다며 군수물자나 군인들을 폭격등으로부터 방어하기 위해 인공적으로 만든 것이라고 한다. 현재까지도 슬픈 역사의 상징이 그 모습 그대로 보존되어 있다.

한편, 유달초등학교 내부에는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로 알려진 호랑이의 박제가 전시되어 있으며, 운동장 쪽에 공중폭격에 대비한 방공호가 있다. 현재는 입구를 막아놔서 들어갈 수 없지만 목포문화원에서 대략의 모습을 재현해놓은 것이 있다. 광주와 목포의 유력한 한국인 자본가 24명이 참여한 호남은행의 목포지점 건물이 있는데, 해방 후 조흥은행 목포지점으로 사용하였다. 목포에 현존하는 유일한 금융계 근대건축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 2002년 5월 31일 등록문화재 제29호로 등록·관리되고 있다. 현재는 목포문화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국도 1-2호선 기점 비석 인근의 구 일본영사관 건물은 1900년에 완공된 건물로 일제강점기 때는 목포부청으로 사용되었고, 해방 후에는 1974년까지 목포시청으로, 그 후 1989년까지는 시립도서관으로, 1990년 이후로는 목포문화원으로 사용되다가 2014년 목포근대역사관 1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이 건물은 사적 제286호로 역사적, 건축학적 가치가 높은 개화기의 근대 건축물이다.

목포근대역사관은 총 2개의 건물로 운영중인데, 구 일본영사관이 1관, 인근에 있는 구 동양척식주식회사 목포지점이 2관으로 1관에서 관람료를 내고 관람한 다음 2관까지 다 보면 된다. 유물보다는 당시의 서류 자료나 사진을 주로 전시해 놓았고, 일제강점기의 목포 거리를 일부 재현해 놓기도 했다. 단, 2관에 있는 독립군을 처형하는 사진의 경우 정말 적나라하게 시체가 드러나는 사진이 일부 있기 때문에 관람에 주의를 필요하다.

쌀수출항에 일본인 거주구역이 많았던지라, 일제강점기에 젊은 시절을 보내신 구시가지 지역의 어르신들은 거의가 다 일본어를 원어민 수준으로 하는 특이한 동네이다.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유로 제주도 출신들이 많이 살기도 한다. 특히 4.3사건 이후 이주자가 많았다. 일례로 박영수 부좌현이 있다. 따라서 제주도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성씨들도 목포시에서 유의미하게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통영과 함께 최고의 다도해 경치를 자랑하는 도시이기도 하다. 저녁에 유달산에 올라 석양에 붉게 물든 다도해의 바다는 정말 천하일품.[39]

전국에서 마지막으로 남아있는 프리머스시네마가 있는 도시였다. 2016년 1월 31일까지만 프리머스시네마로 운영하였고, 이후에는 메가박스로 운영되고 있다. 도서관은 목포시립도서관과 목포공공도서관, 목포어린이도서관, 전라남도립도서관[40]이 있다. 목포시립도서관의 경우 고도가 높은 곳에 위치해 있어, 책 읽으러 가다가 뻗는 학생들이 부지기수다.

9.2. 관내 기관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5cb531><tablebgcolor=#5cb53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cb531> 행정 목포시청
입법 목포시의회
사법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우정 목포우체국
세무 목포세무서
소방 목포소방서
관세 목포세관
치안 목포경찰서 서해지방해양경찰청 목포해양경찰서
금융 한국은행 목포본부 한국산업은행 목포지점 중소기업은행 목포지점
보건/검역 목포시보건소 국립목포병원 목포시의료원
국립목포검역소
중앙행정기관 광주지방고용노동청 목포지청 광주출입국관리사무소 목포출장소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
법무부 목포준법지원센터 목포보훈지청
환경 목포기상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서부사무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교육 목포교육지원청 목포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문화 한국방송공사 목포방송국 목포문화방송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목포시립도서관
선거관리 목포시선거관리위원회
}}}}}}}}} ||

9.3. 의료기관

목포시에서 가장 큰 종합병원 목포한국병원(577병상)이며, 그 뒤를 목포중앙병원(435병상)과 목포기독병원(357병상), 세안종합병원(376병상), 목포의료원(299병상)이 잇고 있다. 이 중 세안종합병원은 정신과 전문 병원이기도 하다. 현재 목포대학교와 함께 의대 유치를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으나, 중소도시인데다 의대 설립을 제한하는 정부 분위기 때문에 계속해서 의대 설립이 되지 않고 있다.

한국병원, 중앙병원, 기독병원의 3대 종합병원은 90년대 이후 종합병원 급으로 급성장하거나 새로 생긴 병원이며 원래 목포에 가장 큰 병원으로 대성동에 성골롬반병원이 있었다. 언덕 위에 있어 대중교통으로는 접근이 불가능하고 택시로만 접근이 가능했지만 사실상 유일한 종합병원이라 내원하는 환자들이 많았다. 병원 주변에 약국이 없어서 약 처방으로 벌어들이는 수익도 많았는데 의약분업이 실시되고 한국병원과 기독병원이 확장이전하면서 수익이 급감하여 임금이 체불될 정도가 되자 노사분규로 문을 닫게 되었다.

목포한국병원은 1988년 3호광장 광주은행 옆에 병상 77개로 설립된 중형급 병원이었다. 외과 응급환자는 이 곳을 찾는다 할 정도로 유명했고 확장 이전 후에도 외상환자들이 많이 찾았다. 1990년대 초반 현 위치로 이전하면서 급성장했으며 현재는 보건복지부 지정 권역응급의료센터로 지정되어 있다. 기독병원 또한 1991년 동명동사거리에 70병상 규모로 설립된 중형급 병원이었으며 1997년 하당의 현 위치로 이전하여 하당 지역 내원객들을 받아들이면서 성장했다. 2008년에서야 법적으로 종합병원의 요건을 갖추었으나 이후 급성장하여 뉴스위크 한국판에서 선정하는 병원순위에 들어가 있는 유일한 목포지역 병원이다. 석현동 버스차고지 맞은편에 있어 대중교통편이 많은 목포중앙병원은 1999년에서야 설립된 종합병원이다. 병원 자체의 역사는 짧지만 유달이비인후과 시절부터 따지면 역사는 나름 길다고 할 수 있다. 어쨌든 3대 종합병원의 역사는 그렇게 길지 않은 편이며 옛 한국병원과 기독병원 자리에는 현재도 병원이 운영중이라 당시 크기를 대충 짐작해 볼 수 있다. 세안종합병원은 2008년에서야 목포씨티병원으로 개원하여 인지도가 떨어지고 원도심에 있음에도 큰 도로변에 있지 않아 접근성이 애매하다는 단점이 있다. 목포시의료원은 성골롬반병원과 함께 목포의 중추적인 의료기관이었으나 1978년 현 위치[41]로 이전한 이후 2014년 리모델링 하기전까지는 건물이 오래된 데다가 대중교통 접근성이 떨어지고 부지도 협소해 선호도가 많이 떨어지는 편이다. 대부분의 공공병원이 광역자치단체 산하인데 비해 목포시의료원은 1914년부터 시에서 운영해오고 있다. 그렇다보니 광역자치단체가 운영하는 공공병원에 비해 경쟁력이 부족할 수 밖에 없는데 상급종합병원이 없는 목포시 실정에서는 아쉬울 수 밖에 없다.

의대나 의대병원은 없으며 2003년 들어서야 목포동신대학교한방병원이 하당에 들어왔다. 입지가 가장 좋으며 건물도 오래되지 않았으나, 한의대 부속병원 치고 시설이 뒤쳐진다는게 중론이다.

9.4. 문화시설

9.5. 스포츠

파일:FC 목포 엠블럼.svg
파일:2106106579_bPj0FRu9_fedb183c7202a35bcc411f354bfe3d3bc38809c0.jpg
FC 목포 목포국제축구센터

대한민국 3부 축구리그인 K3리그에 참가하는 세미프로 축구팀 FC 목포의 소재지이다. 또한 실업팀으로 목포시청 여자하키팀이 있는데 1982년 창단하여 현존하는 여자하키팀 중 가장 오래된 팀이다. 1984년 창단된 KT, 경북체육회(구.경주시청)와 함께 국내 여자하키의 발전을 이끌어 오고 있다.

스포츠 시설은 목포종합경기장, 목포국제축구센터, 목포실내체육관, 목포실내수영장, 목포야구장, KBS스포츠월드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다. 전국적인 시설인 축구센터와 KBS 자회사에서 운영하는 스포츠센터 등을 갖추고 있어 정규 체육시설은 나쁘지 않은 편이다. 모든 시설의 접근성이 안 좋은 것은 흠이지만 정규리그 경기가 거의 없기에 큰 문제는 안 되는 듯 하다.

가장 최근에 지어진 시설은 목포종합경기장인데 국제축구센터 바로 남쪽 부지에 건립돼 2023년 문을 열었다. 개장 후 처음으로 연 행사가 제104회 전국체육대회. 목포종합경기장 이전에 사용되었던 유달경기장은 인구 25만의 도시 규모에 비해 관중석 의자도 없는 11,000명 수용 규모의 작은 공설운동장이었으나 1990년대에는 유공 코끼리와 전남 드래곤즈의 K리그 경기를 일부 유치한 바 있다. 목포실내체육관 또한 농구대잔치와 배구 슈퍼리그의 지방 순회 경기장으로 사용된 바 있다. KBL 출범 이후로는 나산 플라망스의 6강 플레이오프 경기를 개최한 적이 있다.[42]

목포시청 실업팀과 중고등학교 여자하키팀의 존재로 인해 목포국제축구센터에는 소규모 관중석을 갖춘 필드하키 경기장이 설치되어 있다.

시설 수준이 약간 떨어지기는 하지만 프로 경기를 치를 정도의 시설들은 갖추고 있으나, 인구 규모에 비해 생활체육 시설은 정말 미비한데 체육공원 시설은 부주산체육공원과 북항 중앙하이츠 뒤에 있는 작은 산정생활체육공원이 전부다. 이 곳들도 접근성은 좋지 않다. 사회인야구 시설은 축구센터 옆 목포야구장과 옥암지구에 야구장 두 곳이 있는데 목포야구장은 인조잔디 구장이고 옥암지구 구장은 흙바닥이다.

학원스포츠팀으로 목포여자상업고등학교 배구부가 유명하다. 김주하, 염혜선이 목포 출신으로 목포여상을 졸업하였고, 각 팀에 목포여상 출신 선수 한 명씩은 있는 강팀이다. 남자 배구로는 목포고등학교 배구부가 있었다. 목포고 출신은 아니지만 강성형 감독이 청호중학교 배구부 출신이다.

농구는 과거에 목포상고 농구부가 있었다. 김현국 경희대 감독, 박종천, 백인선, 우승연 등 KBL 1군 현역으로 활약한 목포상고 출신 선수들이 몇 몇 있었다.

야구는 목포시 출신 선수가 거의 없지만 신안군 출생으로 산정초, 영흥중고를 졸업한 최향남이 가장 성공한 케이스다. 올림픽 국가대표까지 승선하여 해태의 1차 지명을 받았던 오철민도 있었으나 프로에서는 성공하지 못했다. 영흥고 출신으로 야구팬들에게 가장 유명한 야구인이라면 KBO 심판으로 활동하는 문승훈, 추평호가 있다. 70년대에는 목포상고에도 야구부가 있었으나 광주가 직할시가 되기 전에는 지역예선에서 밀려 전국대회 출전을 거의 못하다 1985년 해체되었다. 여담으로, 두산 베어스의 레전드 정재훈이 목포 출신이다. 그러나 태어나자마자 바로 서울로 이사를 가서 사실상 서울 사람 취급을 받는다.

축구는 제일중, 목포공고 축구팀이 꾸준하게 운영은 되고 있으나 전남 드래곤즈와 광주 FC에서 뛰었던 이인규 외에는 두각을 나타내는 선수가 없다. 이인규도 중학교까지는 충남에서 다니다 축구하기 위해 목포로 넘어온 케이스다.

필드하키는 중앙여중과 목포여고 하키팀이 현재도 운영되고 있으며 이 곳을 졸업한 선수들 다수는 목포시청 실업팀에서 활약하는 편이다.

9.6. 방송전파 환경

KBS목포방송국, 목포MBC, 목포극동방송 등 전남 서남부 지역을 관할하는 지역 방송사들의 소재지이다. 하지만 평야지대가 펼쳐진 전라남도 서남부의 지형 특성 때문에 광주지역 방송사 전파가 잘 들어오며,[43] 이 때문에 kbc MyFM, 광주CBS, TBN 광주교통방송 등 출력 3kW 이상인 광주지역 FM 방송국들은 목포에 중계소를 설치하지 않았다. 심지어 1kW 출력의 광주극동방송, 광주영어방송 광주원음방송, 0.5kW 출력의 국방FM 전파까지 잡힌다![44]

10.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목포시/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군사

인근 무안과 영암에 육군과 해군 부대가 있지만 목포시 관내에는 군부대는 없다. 예비군훈련장도 무안군 삼향읍 삼향공단 안쪽에 있다.

12. 하위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5cb52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5cb52f> 용당1동
시청
용당동 (일부)
산정동 (일부)
용당2동 용당동 (일부)
연동 산정동 (일부) 용당동 (일부)
산정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산정동 (일부) 연산동 (일부) 용당동 (일부) }}}
연산동 산정동 (일부) 연산동 (일부)
원산동
대성동 대성동 연산동 용당동
목원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죽동 창평동 측후동
동명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광동1가 광동2가 광동3가
동명동 산정동 (일부) 호남동 (일부) }}}
삼학동 산정동 (일부)
만호동 만호동
복만동
유동
축복동1·2·3가 항동
유달동 금화동 달동
서산동
온금동 유달동 율도동
죽교동 죽교동 (일부)
북항동 산정동 (일부) 죽교동 (일부)
용해동 용해동 (일부)
이로동
상동 상동 (일부) 석현동 (일부)
하당동
신흥동 상동 (일부)
삼향동 대양동 석현동 (일부)
옥암동 옥암동 (일부)
부흥동
부주동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5cb53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5cb53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용당1동 용당2동 연동 산정동 연산동 원산동
대성동 목원동 동명동 삼학동 만호동 유달동
죽교동 북항동 용해동 이로동 상동 하당동
신흥동 삼향동 옥암동 부흥동 부주동
시청소재지 : 용당1동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목포시/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1. 행정구역 통합 문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행정구역 개편/호남 문서
3.4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기타

이 도시에 있는 오거리문화센터는 굉장히 특이한 이력을 가진 건물이다. 원래 일제강점기 히가시혼간지의 말사인 '목포별원'으로 세워졌다가, 해방과 6.25 전쟁을 거친 뒤 1957년 한국기독교장로회 목포중앙교회가 사들여 안에 있는 것들을 없애고 교회로 개조해서 2007년까지 사용했었다. 2008년 목포중앙교회가 옥암동으로 이전한 뒤에는 목포시에서 다시 사들여 바꾸었다.

세월호가 거치된 곳이 목포시 달동에 있는 목포 신항만이다. 그리고 빠르면 2024년에 세월호가 이동될 장소도 인근 유달동 고하도로 확정됐다.

도시가 면적이 매우 좁아서 택시를 탈 때 굳이 동 단위를 말하지 않아도 된다. 대부분의 목포 시민들은 택시 탈 때 목적지 주변 건물 이름으로 말한다. 버스 탈 때 역시 마찬가지로 목포 시민들은 목적지 주변 건물 이름으로 말해도 기사들이 대부분 다 알아듣고 해당 버스를 타야 될지 아니면 다른 버스를 타야 될 것인지 안내해준다. 전 금호고속 버스 기사인 달리는거북이가 목포시 시내버스인 유진운수에서 약 7년 무사고로 근무한 사실이 있다.한편, 곽튜브에서 목표의 영업용 택시를 타니까 "다음부터는 가까운 거리는 개인택시 타세요"라고 말해, 가까운 거리를 떠넘기는 택시 기사의 모습이 논란이 된 적이 있다. 물론 모든 목포 택시기사가 그런 건 아니니 일반화하지는 말자. 관련 기사

2010년에 목포 여대생 살인 사건이 발생했으나, 근방 CCTV가 고장나 제 역할을 할 수 없었던 점, 발견된 피해자의 유류품들이 바닷물에 젖어[45] 국립과학수사연구원도 감정불가능한 점, 목격자의 제보가 전무한 점 등 때문에 2010년부터 계속 미제사건으로 남아 있다.

다우치 치즈코라는 일본 여성이 일제강점기에 한국인 남편과 함께 공생원이라는 고아원을 세우고, 해방 후를 거쳐 1968년 타계할 때까지 평생 고아들을 돌보며 살았던 곳이기도 하다.

14. 출신 인물

15. 무대탐방

16. 자매결연 지역

16.1. 국외

16.2. 국내

16.3. 우호교류도시

17. 둘러보기

파일:국제슬로시티 로고.svg 대한민국 국제슬로시티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ed9149
강원특별자치도
파일:강원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영월군
춘천시
충청북도
파일:충청북도 휘장_White.svg
제천시 충청남도
파일:충청남도 휘장_White.svg
예산군
태안군
서천군
전북특별자치도
파일:전북특별자치도 휘장_White.svg
전주시 전라남도
파일:전라남도 휘장_White.svg
담양군
목포시
신안군
완도군
장흥군
경상북도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상주시 경상남도
파일:경상남도 휘장_White.svg
김해시
청송군 하동군
영양군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cd00>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 동부지역본부|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자치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5cb52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행정동 법정동
<colbgcolor=#5cb52f> 용당1동
시청
용당동 (일부)
산정동 (일부)
용당2동 용당동 (일부)
연동 산정동 (일부) 용당동 (일부)
산정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산정동 (일부) 연산동 (일부) 용당동 (일부) }}}
연산동 산정동 (일부) 연산동 (일부)
원산동
대성동 대성동 연산동 용당동
목원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죽동 창평동 측후동
동명동 {{{#!wiki style="margin: -16px -11px" 광동1가 광동2가 광동3가
동명동 산정동 (일부) 호남동 (일부) }}}
삼학동 산정동 (일부)
만호동 만호동
복만동
유동
축복동1·2·3가 항동
유달동 금화동 달동
서산동
온금동 유달동 율도동
죽교동 죽교동 (일부)
북항동 산정동 (일부) 죽교동 (일부)
용해동 용해동 (일부)
이로동
상동 상동 (일부) 석현동 (일부)
하당동
신흥동 상동 (일부)
삼향동 대양동 석현동 (일부)
옥암동 옥암동 (일부)
부흥동
부주동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5cb53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5cb53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용당1동 용당2동 연동 산정동 연산동 원산동
대성동 목원동 동명동 삼학동 만호동 유달동
죽교동 북항동 용해동 이로동 상동 하당동
신흥동 삼향동 옥암동 부흥동 부주동
시청소재지 : 용당1동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480><tablebordercolor=#5cb531><tablebgcolor=#5cb531>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5cb531> 행정 목포시청
입법 목포시의회
사법 광주지방법원 목포지원
우정 목포우체국
세무 목포세무서
소방 목포소방서
관세 목포세관
치안 목포경찰서 서해지방해양경찰청 목포해양경찰서
금융 한국은행 목포본부 한국산업은행 목포지점 중소기업은행 목포지점
보건/검역 목포시보건소 국립목포병원 목포시의료원
국립목포검역소
중앙행정기관 광주지방고용노동청 목포지청 광주출입국관리사무소 목포출장소 광주지방검찰청 목포지청
법무부 목포준법지원센터 목포보훈지청
환경 목포기상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서부사무소 국립호남권생물자원관
교육 목포교육지원청 목포대학교 목포해양대학교
문화 한국방송공사 목포방송국 목포문화방송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목포시립도서관
선거관리 목포시선거관리위원회
}}}}}}}}} ||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교통체계
<colbgcolor=#228B22> 철도 호남선 목포역, 임성리역
도로 국도 1번 국도, 2번 국도
지방도 820번 지방도, 825번 지방도
버스 시내버스, 고속(시외)버스 목포시 시내버스, 목포종합버스터미널
항구 달리도항, 목포항, 목포외항, 목포내항, 북항선착장, 율도항
전라남도의 교통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5cb531><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5cb531>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colbgcolor=#5cb531> <colbgcolor=#ffffff,#191919> 공단중앙로 · 관해로 · 교육로
남농로 · 남악1로 · 남악2로 · 남악로 · 남해로 · 녹색로
다순구미로 · 당가두로 · 대양로 · 대양산단로 · 동명로 · 동명들목로 · 동부로 · 둥근섬로
마인계터로 · 마파지로 · 만세로 · 만호로 · 미항로
번영로 · 번화로 · 보리마당로 · 부주로 · 부흥로 · 북항로 · 북항주택로 · 비파로
산대로 · 산양로 · 산정로 · 산정공단로 · 산정안로 · 산정언덕로 · 삼각로 · 삼일로 · 삼학로 · 삼향천로 · 삽진산단로 · 상동로 · 상리로 · 서산로 · 석현로 · 선곡로 · 송림로 · 수강로 · 수문로 · 신촌로 · 신항로 · 신흥로
안장산로 · 압해로 · 양을로 · 양을마을로 · 연동로 · 연산로 · 연산백련로 · 영산로 · 옥암로 · 용당로 · 용당국민로 · 용두로 · 용해로 · 용해지구로 · 원산로 · 원산정로 · 원산주택로 · 원산중앙로 · 원형로 · 원형동로 · 원형서로 · 유달로 · 유동로 · 이로로 · 임성로 · 입암로 · 입암천남로 · 입암천북로
자유로 · 잔등로 · 장미로 · 정의로 · 죽교천로 · 죽산로 · 죽선로 · 지적로
청호로
터진목로 · 텃골로
평화로 · 포미로
하당로 · 하당남부로 · 해안로 · 해양대학로 · 허사로 · 호남로 · 호정로
전라남도의 도로 틀 둘러보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4cbb1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 }}}
{{{#!wiki style="color:#4cbb17; margin:-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colcolor=#fff> 좌석
간선
지선
순환
낭만
섬지역 마을버스
폐지된 노선은 목포시 시내버스/폐선 문서 참조.
}}}}}}}}} ||

파일:목포시 CI_White.svg 목포9경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죽교동 유달산 목포대교에서 본 야경
용해동 갓바위
상동 목포 춤추는 바다분수
대의동2가 노적봉
만호동 목포진
산정동 삼학도 이난영공원
서해 다도해
달동 외달도
}}}}}} ||



[1] 2024년 3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2] 2024년 3월 기준. [3] 비수도권 시 중 부산광역시에 이어 인구밀도가 2번째로 높으며, 대구광역시, 광주광역시, 대전광역시를 가볍게 뛰어넘는다. 다만 예시로 언급한 지역들은 땅이 넓은 데다 그린벨트로 묶인 곳이 많으며, 목포시는 도시 면적이 부산광역시 해운대구와 비슷할 정도로 워낙 좁아서 포화 상태이기 때문이라는 차이점이 있다. [4] 목포시 가선거구 (용당1동, 용당2동, 연동, 삼학동): 김귀선, 박용식, 박효상
목포시 나선거구 (이로동, 하당동): 김관호, 최환석
목포시 다선거구 (산정동, 대성동, 죽교동, 북항동): 박창수
목포시 라선거구 (목원동, 동명동, 만호동, 유달동): 유창훈, 이형완, 정재훈
목포시 마선거구 (연산동, 원산동, 용해동): 고경욱, 조성오
목포시 바선거구 (상동, 삼향동, 옥암동): 문차복
목포시 사선거구 (신흥동, 부흥동, 부주동): 박용준, 최지선
목포시 비례대표: 박수경, 최유란
[5] 목포시 마선거구 (연산동, 원산동, 용해동): 최현주
목포시 사선거구 (신흥동, 부흥동, 부주동): 백동규
목포시 비례대표: 박유정
[6] 목포시 다선거구 (산정동, 대성동, 죽교동, 북항동): 송선우
목포시 바선거구 (상동, 삼향동, 옥암동): 이동수
[7] 목포시 제1선거구 (용당1동, 용당2동, 연동, 삼학동, 이로동, 하당동): 최선국
목포시 제2선거구 (산정동, 대성동, 목원동, 동명동, 만호동, 유달동, 죽교동, 북항동): 조옥현
목포시 제3선거구 (연산동, 원산동, 용해동): 박문옥
목포시 제4선거구 (상동, 삼향동, 옥암동): 최정훈
목포시 제5선거구 (신흥동, 부흥동, 부주동): 전경선
[8] 전남 내에 완공된 마천루는 5개가 있는데 이 중 2개가 목포에 있으며 목포하당 중흥S-클래스 센텀뷰는 현재 명실상부 전라도에서 가장 높은 마천루다. 이런건 인구 20만 초반대의 중소도시에서 나올만한 수준이 아니다. [9] 처음에는 일제의 검열을 피하기 위해 '삼백련(三栢淵) 원안풍(願安風)은' 으로 바꾸어 부르다가 광복 후 고쳤다. [출처] 김자경. (2009). 목포의 도시구조 형성과 특성에 관한 연구(석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참고] 1. 호남선은 1913년에 개통됐지만 1910-1960년대 지도에 표시돼있지는 않다. 1910년대 지도에 파란색으로 표시된 부분이 목포역 건설과 함께 간척된 땅이다. 2. 지도 영역 밖에 있는 남악신도시 지역은 1981년 영산강하굿둑으로 간척됐다. [12] 법적으로는 종래의 무안군의 영역에 새로 설치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13] 이는 전라남도에서 첫 부 승격으로, 이는 현재 광역시 광주보다도 앞선다.(광주는 1935년에야 부로 승격.) 그 당시의 부(府)는 일본인이 많이 거주하던 개항장 위주로 지정되었다. [14] 서울 98만 명, 부산 33만 명, 인천 21만 명, 대구 20만 명, 광주 8만 2천 명, 대전 7만 6천 명, 전주 6만 7천 명, 진주 5만 3천 명. [15] 당시 이로면사무소는 현재 목포의료원 자리. [16] 당시 관할구역 : 지도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장산면, 안좌면, 암태면, 압해면(11면) [17] 국립해양박물관 승격을 지속적으로 요청했으나 정부의 반대로 지지부진했고, 결국 부산 영도에 별도로 국립해양박물관을 지어버렸다. 현재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로 개칭. [18] 남농 허건(1907~1987): 한국화가. 한국화에서 남화를 잇는 중요한 화가로 꼽힌다. [19] 2023년 가을 전남수묵화비엔날레를 이곳에 개최하였다. [20] 호텔 델루나 촬영지로 유명하다. [21] 시장이 바뀌면서 축제 이름도 바뀌었다. 목포대의 한 교수가 오래전부터 이름변경을 권고한 결과. [22] 당시에 목포와 광주가 고등보통학교 유치전을 벌였는데 광주에 유치되면서 총독부에서 일종의 회유책으로 실업계 고등학교를 개교시킨 것이다. 그래서 한인과 일본인의 공동 재학 학교로 개교하였다. [23] 두 학교 모두 남학교에서 남녀공학으로 전환했다. [24] 이 학생은 이후 사법연수원을 차석으로 수료했다. 모종의 사태만 없었다면 공동 수석이었기에 사실상 수석 취급을 받기도 한다. [25] 2014학년도부터 장사 상(商)자를 으뜸 상으로 재해석한 목상고등학교로 교명 변경 [26] 명색이 대통령을 배출한 학교지만 목포에서의 인식이 낮아졌다가, 2015학년도 고입 이후부터는 여타 다른 고등학교와 비슷한 수준이다. [27] 하지만 이러한 장난질을 막기 위해 2015학년도 고입부터는 성적을 고려하여 목포시 전 고등학교의 입학생의 성적이 동일하도록 뺑뺑이를 돌리게 되었다. 예를 들면 내신 0~4%가 66명이고 내신 4~10%가 99명일때 학교가 11개면 한 학교당 내신 0~4%는 6명, 내신 4~10%는 9명을 배정하는 식이다. [28] 행정구역상 상동 옥암동이다. [29] 목포MBC보도에 따르면 2007년 3,729명이던 초등학교 신입생 수가 2013년 2,623명 까지 감소하였다. [30] 2021년 2월 졸업자수는 40명, 2021년 3월 입학자수는 44명이다. [31] 1995년 입학생은 총 9학급, 1997년 입학생은 총 7학급이었다. [32] 그런데 옥암지구의 학교 부지들이 워낙 콩알만 해서 옥암지구로 가면 교지 면적이 지금의 1/4~5로 줄어들 것이다. 목상고 부지는 목포시내 학교 중에서도 가장 넓기로 유명하다. [33] 2021년 출생자 수가 790명대였다. 2023년 출생자 수는 831명. [34] 이름은 목포대학교인데 대학본부와 단과대학 건물 모두 청계면 도림리에 있다. 원래 용해동에 있던 목포교육대학에서 시작해 무안 청계로 이전한 것. 용해동에는 경영대학원과 평생교육원밖에 없다. [35] 가파른 언덕배기를 올라가서 도서관 정문에 도착하면 도서관 출입구까지 대략 2층 높이의 계단을 이용해야 한다. 이렇게 높은 곳에 있는데 정작 시내에서 두드러지게 잘 보이는 것도 아니고 경치나 야경이 좋은 것도 아니라서 오는 사람이 적다. [36] 과 면화 수출항이었다. 일제강점기 경상도 지역의 쌀은 부산항을 통해, 충남 전북지역의 쌀은 군산항을 통해, 그리고 전남 지역의 쌀은 목포항을 통해 일본으로 보내졌기에 목포에는 많은 일본인 미곡상들이 거주하여, 호남지역에서 가장 일본인들이 많이 모여사는 곳이었다. [37] 지금의 목포를 보면 상상도 못할 일이지만, 광복 당시만 해도 전국 10대 도시 중 하나로 뽑힐 정도였다. 1966년 당시 인구 순위는 전국 8위였다. 10대 도시는 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전주 - 목포 - 마산 - 수원 순. 대전까지 끊어서 직할시 승격을 이루었고 마산은 통합을 통해 100만급의 창원시로, 수원은 통합 없이 100만급으로 커져 광역시 떡밥을 물고 전주도 과거보다 위세가 줄었지만 여전히 전북 최대 거점 도시로 호남 북부권의 대표 역할을 하고 있는 것과 비교하면 목포는 개발에서 많이 소외되었음을 알 수 있다. [38] 하당과 남악신도시가 개발되면서 이 지역은 더더욱 재개발의 꿈도 희망도 사라지고 있다. 그나마 유달산 근방은 나름의 정취라도 있지만, 1970-80년대 주택들과 점포들이 위치한 삼학도 일대는 그런 것도 아니다. [39] 어쩌면 다도해해상국립공원은 아니지만 굳이 섬에 들어갈 필요 없이 국립공원을 감상할 수 있는 최고의 장소가 아닐까 싶다. [40] 행정상으로는 무안군이지만 목포와 지척에 있다. [41] 이전에는 목포시 원도심 여러 곳을 옮겨 다녔다. [42] 원년인 1997시즌 기업은행 농구팀을 인수하여 뒤늦게 들어온 나산은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지 못할 것으로 생각하고 정규시즌 후 광주 염주체육관을 임대하지 않았는데, 플레이오프에 진출하여 구장을 사용하려다 보니 이미 일정이 잡혀 부랴부랴 목포를 대체구장으로 선정했다. [43] 인근의 영암과 해남, 심지어 신안군 압해도, 지도 일대도 그러하다. 반대로 산지가 많은 전남 동부권에는 광주지역 라디오 방송 중계소가 많이 설치되어 있다. [44] 단, 광주CBS 음악FM(98.1MHz)은 인접 주파수의 KBS목포 FM(98.3MHz) 때문에 목포까지 전파가 넘어오지 못한다. [45] 하지만 사건현장은 바닷가와 꽤 거리가 있다. [46] 배우 고두심이 데뷔 전부터 좋아했던 배우였다고 한다. [47] 영암군에서 태어났고 7살때 목포로 이사를 가서 성장기를 목포에서 보냈다. [48] 정의당 소속 비례대표 [49] 2006년 3월 경기도 파주시 광탄면 용미리에 있던 묘를 목포로 옮겼다. [50]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에서 성장했다. [51] 지역구는 서울특별시 관악구 갑 [52] 지역구는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갑 [53] 소속 정당은 자유한국당이다. [54] 지역구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갑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