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25 21:03:14

장성군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름이 비슷한 북한 자강도(舊 평안북도)의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자성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ffcd00>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자치시
파일:목포시 CI.svg
목포시
파일:여수시 CI.svg
여수시
파일:순천시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파일:나주시 CI.svg
나주시
파일:광양시 CI.svg
광양시
자치군
파일:담양군 CI.svg
담양군
파일:곡성군 CI.svg
곡성군
파일:구례군 CI.svg
구례군
파일:고흥군 CI.svg
고흥군
파일:보성군 CI.svg
보성군
파일:화순군 CI.svg
화순군
파일:장흥군 CI.svg
장흥군
파일:강진군 CI.svg
강진군
파일:해남군 CI.svg
해남군
파일:영암군 CI.svg
영암군
파일:무안군 CI.svg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파일:함평군 CI.svg
함평군
파일:영광군 CI.svg
영광군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파일:완도군 CI.svg
완도군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파일:진도군 CI.svg
진도군
파일:신안군 CI.svg
신안군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FFD900><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FD90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군청
장성읍
남면 동화면 북이면 북일면 북하면
삼계면 삼서면 서삼면 진원면 황룡면
}}}}}}}}} ||
전라남도 자치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1c1d1f><tablebgcolor=#fff,#1c1d1f>
파일:장성군 CI.svg
장성군
長城郡
Jangseong County
}}}
<colbgcolor=#FFD900><colcolor=#373a3c> 군청 소재지 장성읍 영천로 200 (영천리)
광역자치단체 전라남도
하위 행정구역 1 10
면적 518.4㎢
인구 42,058명[1]
인구밀도 81.13명/㎢[2]
군수
김한종 (초선)
군의회
6석[3]

1석[4]

1석[5]
도의원
2석[6]
국회의원
이개호
상징 <colbgcolor=#FFD900><colcolor=#373a3c> 군화 백양난
군목 단풍나무
군조 비둘기
지역번호 061
홈페이지 www.jangseong.go.kr
SNS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카카오스토리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인구4. 교통5. 산업
5.1. 금융
6. 관광
6.1. 목록6.2. 축제6.3. 옐로우시티
7. 교육8. 정치9. 군사10. 하위 행정구역11. 출신 인물12. 여담

[clearfix]

1. 개요

<colbgcolor=#FFD900>
파일:장성군청_2021.jpg
장성군청[7] 장성호 전경
파일:장성옐로우게이트.jpg
옐로우게이트[8] 황룡강 노란꽃축제
전라남도 북부에 위치한 .

북쪽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서쪽으로는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전라남도 영광군, 함평군이 접하며, 남쪽으로는 광주광역시, 동쪽으로는 전라남도 담양군,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과 접한다. 호남고속도로 철도 호남선, 호남고속선을 이용할 경우 수도권, 천안, 대전, 전주, 익산 지역에서 광주로 향할 때 반드시 거치게 되는 일종의 전라남도의 입구 역할을 한다. 또한 광주권에 속하는 광주의 위성 도시이다. 호남고속도로 광주 톨게이트 또한 장성군 남면에 소재한다.

순우리말갈재( 노령)라고 불리기도 한다.[9]

2. 역사

3세기 중반 진원면 일대에는 마한 구사오단국(臼斯烏旦國)이 있었다. 장성군 지역이 백제에 편입된 이후에는 고시이현(古尸伊縣: 북일면), 구사진혜현(丘斯珍兮縣: 진원면), 소비혜현(所非兮縣: 삼계면)이 설치되었다.

통일신라 때인 757년 경덕왕의 전국 지명 한화 정책에 따라 고시이현은 갑성군(岬城郡), 구사진혜현은 진원현(珍原縣), 소비혜현은 삼계현(森溪縣)으로 개칭되었다.

고려 초 갑성군은 장성군으로 개칭되었다. 1018년 장성군과 삼계현은 영광군의 속현이 되고 진원현은 나주목에 예속되었다. 1172년 장성군과 진원현이 영광과 나주에서 분리되고 감무가 파견되었으며 1256년 몽고 제 6차 침공이 있을 때 입암산성에서 몽고군을 격퇴하였다.

조선 초인 1413년 장성과 진원에 현감이 파견되었다. 당시 장성현 중심지는 북일면 오산리였다. 1590년 필암서원이 건립되었다. 임진왜란으로 인해 왜군의 대량학살로 1600년 장성현이 진원현을 흡수하여 읍치를 영천리에 두었다. 1665년 장성현이 도호부로 승격되어 읍치가 성산리로 이전하였다.

1894년 동학농민군 황룡촌 전투에서 관군을 대파하였다. 1895년 23부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전주부 장성군이 되었다. 1896년 13도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전라남도 장성군이 되었으며 1906년 창평군 갑향면과 영광군 현내면, 내동면, 외동면, 외서면, 삼남면, 삼북면이 장성군에 편입되었다.

1914년 4월 1일 갑향면이 담양군에 편입되었다. 영광군 삼북면, 내동면, 현내면을 합해 삼계면으로, 영광군 삼남면, 외서면을 합해 삼서면으로, 영광군 외동면과 함평군 대화면을 합해 동화면으로 장성군에 편입되어 장성면, 진원면, 남면, 동화면, 삼서면, 삼계면, 황룡면,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삼면, 북상면, 북하면의 13개면으로 개편되었다. 동시에 남면 비아리, 안청리는 광주군에 편입되었다. 1921년 장성군청을 지금의 위치로 이전하였다. 1930년 북삼면을 장성면에 합면하여 12개면으로 바뀌었다.

1943년 10월 1일 장성면이 장성읍으로 승격되고 읍소재지가 성산리에서 다시 영천리로 이전되면서 1읍, 11개면으로 바뀌었다. 1975년 10월 1일 장성호 건설로 북상면이 폐지되어 장성읍, 북일면, 북하면에 분할 편입되어 1읍, 10개면으로 바뀌었다. 1983년 남면 삼태리 일부가 광주시로 편입되었다.

3. 인구

파일:장성군 CI.svg 전라남도 장성군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9,934명
1970년 117,544명
1975년 115,859명
1980년 94,869명
1985년 81,631명
1990년 61,838명
1995년 58,898명
2000년 55,986명
2005년 49,165명
2010년 46,514명
2015년 46,360명
2020년 44,464명
2024년 10월 42,058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읍면별 인구 통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장성읍 13,519명
삼계면 5,303명
황룡면 3,811명
남면 3,621명
진원면 3,587명
삼서면 3,004명
북이면 2,652명
북하면 1,994명
동화면 1,801명
서삼면 1,504명
북일면 1,333명
2024년 9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

===# 읍면별 인구 #===
파일:장성군 CI.svg 장성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26,571명
1970년 25,153명
1975년 10월 1일
장성군 북상면 폐지
북상면 용곡리 → 장성읍 편입
북상면 수성리·오월리·조양리 → 북이면 편입
북상면 덕재리·동현리·쌍웅리·신성리 → 북하면 편입
1975년 26,246명
1980년 24,163명
1985년 23,081명
1990년 19,249명
1995년 16,415명
2000년 14,808명
2005년 13,410명
2010년 13,446명
2015년 13,499명
2020년 13,517명
2024년 9월 13,519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75만 명
파일:장성군 CI.svg 진원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453명
1970년 8,102명
1975년 7,814명
1980년 6,259명
1985년 5,074명
1990년 3,755명
1995년 3,724명
2000년 3,654명
2005년 3,288명
2010년 3,276명
2015년 3,607명
2020년 3,694명
2024년 9월 3,587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장성군 CI.svg 남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1,309명
1970년 9,985명
1975년 9,829명
1980년 7,965명
1983년 2월 15일 장성군 남면 삼태리 일부 → 광주시 북구 삼소동 편입
1985년 6,549명
1990년 4,668명
1995년 4,408명
2000년 4,242명
2005년 3,869명
2010년 3,806명
2015년 3,565명
2020년 3,726명
2024년 9월 3,62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장성군 CI.svg 동화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7,828명
1970년 6,947명
1975년 6,567명
1980년 5,080명
1985년 4,202명
1990년 3,129명
1995년 2,945명
2000년 2,839명
2005년 2,378명
2010년 2,114명
2015년 2,021명
2020년 1,852명
2024년 9월 1,80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파일:장성군 CI.svg 삼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4,132명
1970년 12,272명
1975년 12,194명
1980년 9,257명
1985년 7,314명
1990년 4,975명
1995년 4,393명
2000년 3,957명
2005년 3,495명
2010년 3,048명
2015년 3,268명
2020년 3,378명
2024년 9월 3,0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파일:장성군 CI.svg 삼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3,500명
1970년 12,418명
1975년 12,158명
1980년 9,434명
1985년 7,689명
1990년 4,978명
1995년 7,486명
2000년 8,728명
2005년 7,485명
2010년 7,160명
2015년 7,134명
2020년 6,152명
2024년 9월 5,30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장성군 CI.svg 황룡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12,887명
1970년 12,069명
1975년 11,550명
1980년 9,933명
1985년 8,395명
1990년 6,234명
1995년 6,596명
2000년 6,178명
2005년 5,251명
2010년 4,546명
2015년 4,515명
2020년 4,098명
2024년 9월 3,811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파일:장성군 CI.svg 서삼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5,845명
1970년 5,181명
1975년 5,117명
1980년 4,027명
1985년 3,226명
1990년 2,719명
1995년 2,176명
2000년 2,023명
2005년 1,798명
2010년 1,707명
2015년 1,685명
2020년 1,556명
2024년 9월 1,50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6천 명
파일:장성군 CI.svg 북일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6,531명
1970년 5,774명
1975년 5,680명
1980년 4,834명
1985년 4,498명
1990년 3,241명
1995년 2,475명
2000년 2,148명
2005년 1,826명
2010년 1,616명
2015년 1,561명
2020년 1,387명
2024년 9월 1,333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7천 명
파일:장성군 CI.svg 북이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1966년 9,480명
1970년 8,479명
1975년 10월 1일
장성군 북상면 폐지
북상면 용곡리 → 장성읍 편입
북상면 수성리·오월리·조양리 → 북이면 편입
북상면 덕재리·동현리·쌍웅리·신성리 → 북하면 편입
1975년 9,921명
1980년 7,928명
1985년 6,803명
1990년 5,220명
1995년 4,702명
2000년 4,164명
2005년 3,532명
2010년 3,255명
2015년 3,077명
2020년 2,886명
2024년 9월 2,652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만 명
파일:장성군 CI.svg 북하면 인구 추이[舊]
(1966년~현재)
1966년 12,391명[1966북하면]
1970년 11,164명[1970북하면]
1975년 10월 1일
장성군 북상면 폐지
북상면 용곡리 → 장성읍 편입
북상면 수성리·오월리·조양리 → 북이면 편입
북상면 덕재리·동현리·쌍웅리·신성리 → 북하면 편입
1975년 8,761명
1980년 5,979명
1985년 4,800명
1990년 3,670명
1995년 3,578명
2000년 3,245명
2005년 2,833명
2010년 2,540명
2015년 2,428명
2020년 2,218명
2024년 9월 1,994명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25만 명

4. 교통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성군/교통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광주의 관문 역할을 하는 지역이다. 수도권, 천안, 대전, 전주에서 광주로 올 때 제일 먼저 맞이 하는 곳이 장성군이며[13], 호남고속도로 광주 요금소도 장성군에 소재하고 있기 때문이다.[14] 철도 또한 호남고속선[15], 호남선[16]도 장성을 지나야 광주, 나주, 목포로 갈 수 있다.

5. 산업

쌀농사 위주의 농업 지역이며, 특별한 자원이 없어 공업은 그리 발전하지 않았다. 장성읍과 인접해 있는 고려시멘트나 유진기업 등 시멘트 공장이 그나마 큰 공장이었으나 2023년 7월 31일부로 공장 가동이 중지 되었다.

대부분 농업 지역이다. 그러나 잎새주로 유명한 보해양조 주조공장과 동화 농공단지 또한 빼놓을 수 없다. 광주지역 고등학생들이 수능 끝나고 주로 현장학습 가는 곳 중에 하나다.

나노기술일반산업단지 및 현재 조성중인 광주연구개발특구 개발사업 부지의 대부분이 남면에 위치하고 있고, 그 밖에 삼계면의 삼계농공단지와 동화전자종합농공단지도 있다.

서삼면 용흥리에 장성복합물류터미널이 조성되어 있다.

삼서면의 지역 특산물로는 천연잔디로서 전국 생산량의 57%를 재배·공급하고 있다.


2029년 국립심뇌혈관연구소가 건립될 예정이다.

5.1. 금융

장성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제1금융권 [괄호]
국가기관
장성우체국 (13)
국책은행
중소기업은행 (1)
특수은행
농협은행(중앙회) (3)
시중은행
국민은행 (1)
지방은행
광주은행 (1)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농업협동조합
장성농협 (4) 황룡농협 (2) 삼계농협 (1) 삼서농협 (1)
백양사농협 (2) 남면농협 (1) 진원농협 (1) 장성축산농협 (1)
새마을금고
담양새마을금고 (1)
신용협동조합
장성우리신용협동조합 (2) 장성신용협동조합 (2)
산림조합
장성군산림조합 (1)
지점이 없는 시중은행
신한은행[수완] 우리은행[하남공단]
SC제일은행[상무] 하나은행[수완]
한국씨티은행[광주]

6. 관광

내장산 국립공원 전북특별자치도와 같이 걸쳐져 있고, 주변에 백양사와 농업용 댐이지만 관광지로 개발된 장성호가 있어 관광도 이뤄지고 있다. 내장산과 백양사는 단풍 시즌에는 광주를 비롯한 전북, 전남 지역에서 많은 관광객이 찾아든다. 다만 백양사 지역은 같은 내장산인 정읍 내장사 지구에 비해선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편이다.[24]

유네스코 세계유산 필암서원이 있고, 조림 생태숲이 있어 산림욕에 좋은 축령산이 있다. 홍길동이 장성에서 태어났다고 했던걸 이용했는지, 홍길동생가와 홍길동테마파크가 있다.

사적으로 지정된 입암산성, 여름에도 시원한 남창계곡, 영화 태백산맥, 내 마음의 풍금, MBC 드라마 왕초 등의 촬영지인 금곡영화촌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장성군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6.1. 목록

6.2. 축제

6.3. 옐로우시티

파일:장성군-옐로우시티.png
민선 6기 유두석 군수가 취임하고 군 차원에서 『 옐로우시티』 컬러 마케팅을 진행해오고 있다. 이를 위해 옐로우시티 건축디자인 지원사업을 하고 있으며 주민들도 동참중이라고 한다. # 옐로우시티는 황룡강에서 모티브를 따왔으며 황색은 금색을 연상케 해 부를 부르는 색으로 알려진 지라 추진했다고 군은 설명한다. 이미지 구축을 위해 군청에서 상당한 노력을 쏟고 있기 때문에 차를 타고 군내를 둘러보면 정말 옐로우시티라는게 바로 느껴질 정도이다. 도로변 화단은 온통 황금사철나무 등 노란색을 띄는 식물로 채워져있으며 심지어는 전봇대 보호대, 인도 그늘막까지도 노란색, 장성군 관용차와 군내버스의 도색도 노란색으로 변경했다. 최근에는 군내 아파트 외벽 페인트까지도 지원비를 주고 노란색으로 맞추고 있어 이름만 옐로우시티가 아닌 진정한 옐로우시티가 되어가고 있다. 이 덕에 황룡강 노란꽃잔치에 매년 100만 명이라는 관광객이 찾는 등 효과도 거뒀다. #

다만 옐로우시티 때문에 과도한 행정력과 세금낭비라는 지적도 끊이지 않고 있다. 대표적으로 지난 2018년 국도 1호선 광주와 장성 경계부분에 ‘옐로우게이트’라는 폭 34m, 높이 28m짜리 조형물을 예산 10억원을 들여 설치했는데, 장성의 정체성이 그닥 반영되지 않았고 디자인에 대해 호불호가 갈리면서 세금 낭비라는 비판을 받기도 했으며, 2021년에는 14억원을 들여 군청 입구에 LED 미디어파사드로 덮힌 대형 문주를 설치했는데 이 역시도 세금낭비라는 지적을 피할 수 없었고 무자격자가 시공했다는 논란도 생기면서 KBS광주 뉴스에서 보도되기도 했다. 해당 기사 또한 일부 주민들 사이에서 옐로우시티 마케팅이 너무 과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고 ‘주의’를 뜻하는 노란색을 너무 남발하면 안전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전문가들의 지적도 있다. 2020년에는 유 군수로부터 집 지붕을 노란색으로 칠하라는 강요를 받은 군청 직원이 이를 폭로하는 사건이 발생하기까지 했다.

군수가 바뀐 이후부터는 군민이 모두 공감하는 브랜드를 만들고 있으나 옐로우시티 자취는 남아 있다. 장성 내 지붕이 노랑색으로 칠해져 있고, 회전교차로[26]도 노란색 조형물이 있으며, 광주-장성 1번 국도에도 조형물이 남아 있으며, 정류장도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장성호 수변길 화장실에도 부분적으로 노란색이 칠해져 있고, 장성호 수변길도 출렁다리. 의자, 편의점과 카페 등이 노란색으로 칠해져 있다.[27]

7. 교육

파일:장성군 CI.svg 전라남도 장성군 초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동화초등학교 북이초등학교 북일초등학교 분향초등학교
사창초등학교 삼서초등학교 서삼초등학교 약수초등학교
월평초등학교 장성성산초등학교 장성중앙초등학교 진원동초등학교
진원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장성군 CI.svg 전라남도 장성군 중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삼계중학교 장성남중학교 장성백암중학교 장성삼서중학교
장성여자중학교 장성중학교 장성황룡중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파일:장성군 CI.svg 전라남도 장성군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문향고등학교 삼계부사관고등학교 장성고등학교 장성하이텍고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학교 틀 둘러보기

초등학교 13개, 중학교 8개, 고등학교 4개, 대학교 특수학교는 없다. 특이하게도 지역 이름인 '장성'만 사용한 초등학교가 없다. 장성읍내에 있는 초등학교의 이름은 장성중앙초등학교이다.

8. 정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성군/정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군사

광주광역시 서구 일대에 있던 상무대가 1994년 장성군 삼서면과 삼계면으로 이전했다. 과거 상무대가 있던 자리가 지금의 광주 상무지구다. 상무대 소속의 육군기계화학교가 있어 전차의 무한궤도의 흔적을 국도에서 심심치않게 볼 수 있다. 상무대에 있는 주요 교육기관은 아래와 같으며, 상무대 자체에서 발생하는 경제활동도 상당한 편이다. 동화면에도 육군포병학교 예하 부대가 있다. 정작 장성군 예비군들은 예비군관리대대가 관내에 없어서 이웃 담양군으로 훈련받으러 가야 한다.

10. 하위 행정구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장성군/행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 출신 인물

12. 여담


[1] 2024년 10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2] 2024년 10월 기준. [3] 장성군 가선거구 (장성읍,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하면): 김연수, 차상현
장성군 나선거구 (진원면, 남면, 황룡면): 서춘경, 심민섭
장성군 다선거구 (동화면, 삼서면, 삼계면): 나철원
장성군 비례대표: 최미화
[4] 장성군 가선거구 (장성읍,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하면): 오원석 [5] 장성군 다선거구 (동화면, 삼서면, 삼계면) 고재진 의원 사직으로 인한 공석 [6] 장성군 제1선거구 (장성읍, 서삼면, 북일면, 북이면, 북하면): 정철 (초선)
장성군 제2선거구 (진원면, 남면, 동화면, 삼서면, 삼계면, 황룡면): 김회식 (초선)
[7] 주소는 장성군 장성읍 영천로 200 [8] 1번 국도 광주광역시와 장성군의 경계에서 약간 북쪽에 있다. [9] 장성군과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를 잇는 고개명이 갈재(노령)인데, 바로 여기서 따온 것이다. [舊] 舊 북상면 폐지 직전 면사무소 소재지가 현재 북하면 관할인 덕재리였음. [1966북하면] 북상면 5,904명 + 북하면 6,487명 [1970북하면] 북상면 5,310명 + 북하면 5,854명 [13] 물론 광주뿐만 아니라, 전남의 관문이라 해도 이상하지는 않지만, 전남은 호남고속도로로만 오는 게 아니라 서해안고속도로, 순천완주고속도로로 올 수 있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고속도로가 호남고속도로만 존재하던 시절에는 전남의 관문이라 불렸지만 지금은 여기까지 내려오면 대부분 목적지가 광주이기 때문에 장성까지만 와도 광주에 다 왔다는 걸 대부분 직감하기 때문에 광주의 관문이라 붙어도 이상하지 않다. [14] 비슷한 케이스로, 서울의 관문 중 하나인 경부고속도로 서울 요금소 역시 서울이 아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에 위치하고 있다. [15] 호남고속선은 지나지만 역은 없다. [16] 백양사역, 장성역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수완]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하남공단]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상무]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수완]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광주] 지점이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24] 고로쇠 출하 기간에는 주변 마을에 고로쇠를 오기도 하고, 매화가 피는 기간에 백양사 안에 아름다운 천연기념물인 고불매가 있다. [25] 평일은 입장료를 받지 않는다. [26] 장성호수변길 가는 곳, 회전교차로 주변에도 노란 지붕을 칠했다. [27] 장성호 수변길을 올라가는 계단 옆에도 노란색을 띄는 식물도 있다. [28] 태어난 곳만 이 곳이지 광주광역시에서 유년 시절과 학창 시절을 보내 광주광역시가 고향이라 해도 이상 없다. [29] 지역구 : 서울특별시 성북구 을. [30] 당시 지역구는 광주광역시 북구 을이었다. [31] 강의자가 강의하기 전에 공연도 한다. 최태성, 정호승, 허태균, 윤흥길, 전 전남도지사이자 장관, 현 제주특별자치도지사도 강의했다. 많은 사람들이 강연해서 역사도 깊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