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계의 7남인 무안군(撫安君) 이방번(李芳蕃)에 대한 내용은 무안대군 문서
, 전국시대 인물인 무안군(武安君) 백기에 대한 내용은
백기(전국시대)
문서
참고하십시오.2024년 12월 29일 9시 3분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에 대한 내용은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ffcd00> | }}} |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자치시 | ||||||||||||
목포시 |
여수시 |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dc6b31 21%, #dc6b31); font-size: 1em" ]]
순천시
|
나주시 |
광양시 |
|||||||||
자치군 | |||||||||||||
담양군 |
곡성군 |
구례군 |
고흥군 |
보성군 |
|||||||||
화순군 |
장흥군 |
강진군 |
해남군 |
영암군 |
|||||||||
[[전라남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FFCD00 21%, #018755 21%, #018755); font-size: 1em" ]]
무안군
|
함평군 |
영광군 |
장성군 |
완도군 |
}}} {{{#!wiki style="margin: -31px -1px -11px" |
진도군 |
신안군 |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 <tablebordercolor=#f36717><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f36717>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4098> 읍 |
군청
무안읍
|
삼향읍 | 일로읍 | |||
면 |
<colbgcolor=#f36717> 전라남도의 자치군{{{#!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240><tablebordercolor=#fff,#1c1d1f> |
무안군 務安郡 Muan County |
}}} | |||
군청 소재지 | 무안읍 무안로 530 (성동리) | |||||
광역자치단체 | 전라남도 | |||||
하위 행정구역 | 3읍 6면 | |||||
면적 | 450.41㎢[1] | |||||
인구 | 92,687명[2] | |||||
인구 밀도 | 205.34명/㎢[3] | |||||
군수 |
|
김산 (재선) | ||||
군의회 |
|
7석[4] | ||||
|
2석[5] | |||||
도의원 |
|
2석[6] | ||||
국회의원 |
|
서삼석 (
영암·무안·신안 / 3선)
|
||||
상징 | <colbgcolor=#f36717> 군화 | 국화 | ||||
군목 | 느티나무 | |||||
군조 | 백로 | |||||
IATA 도시 코드 | MWX | |||||
지역번호 | 061 | |||||
웹사이트 | www.muan.go.kr | |||||
SNS | | | | |
|
슬로건[7] |
|
마스코트 무아니[8] |
[clearfix]
1. 개요
|
무안군청 전라남도 무안군 무안읍 무안로 530 |
군 남부 삼향읍 남악신도시에 전라남도청이 있는데, 지역 주민들은 남악신도시를 사실상 목포시의 연장선으로 여기는 경향이 강하다. 특산품은 낙지와 양파.[9] 지리적 표시제/대한민국에는 무안군 양파와 무안군 백련차가 등록되어 있다.
2. 역사
백제 | 신라 | 고려 | 조선 | 1896년~ | 1897년~ | 1910년~ | 1914년~ | 1949년~ | 1969년~ |
물아혜군 | 무안군 |
물량군 무안군 무안현 |
무안군 무안현 |
무안부 | 목포부 | 목포부 | 목포시 | ||
무안군 | 무안군 | ||||||||
아차산현 | 압해군 |
장산현 육창현 임치현 압해현 |
나주목 광주목 지도군 영광군 해남현 |
지도군 | 신안군 |
삼국시대에는 원래 마한의 신미국을 중심으로 한 소국 연맹체인 침미다례의 영역이었다. 침미다례는 독자적으로 중국에 사신을 파견할 정도로 상당히 세력이 있었으나 백제에게 정복당한 뒤 물아혜군(勿阿兮郡)이 설치된다. 백제 멸망 후 남북국시대엔 통일신라의 영역이 되었다가 경덕왕 때 전국 지명 한화정책으로 개칭되면서 무안군으로 바뀌었다.
구한말에는 목포의 개항과 함께 부로 승격되었을 만큼 번성하였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인 1914년, 부군면 통폐합으로 기존의 개항장 지역만 목포부로 분리되고 나머지는 무안군이 되면서 무안반도의 복잡한 행정구역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한편 현재의 학교면, 엄다면 지역이 함평군에 편입되었다.
1939년 석곡면이 몽탄면으로 개칭되었다. 1957년 면성면이 무안면으로 개칭되었다. 1962년 이로면의 대부분이 목포시로 편입되었고 나머지는 삼향면에 편입되었다. 1969년 군청이 목포시에서 무안면으로 재이전하였다. 1979년 무안면이 무안읍으로 승격되었다. 1980년 일로면이 일로읍으로 승격되었다. 1987년 삼향면의 일부가 목포시로 편입되었다.
2005년 11월 11일 전라남도청이 광주광역시로부터 이전해 오면서 새로운 전라남도의 도청소재지로 거듭나게 되었고, 전라남도청 주변으로 남악신도시가 들어와 이로 인한 인구증가의 여파로 2008년 삼향면 남악출장소가 개설되었고, 2011년 삼향면이 삼향읍으로 승격되었다.
3. 지리
동북쪽으로는 함평군, 서쪽으로는 서해 및 신안군 섬 지역과, 남서쪽으로 목포시와 접한다. 이 지역을 무안반도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목포와 무안 쪽은 한국에서 가장 조수간만의 차가 큰 지역인데다 해안선이 복잡한 리아스 해안의 특성상 갯벌이 엄청나게 넓게 퍼진 것으로도 유명하며 세계적인 수준이라고 한다. 따라서 갯벌에서 나오는 어패류나 낙지도 많이 잡힌다.몇몇 지역은 작은 반도와 같은 형태를 하고 있기에 자동차를 타고 가다 보면 좌우로 바다가 보이는 지역도 꽤나 존재한다. 산도 별로 없어서 전체적으로 탁 트였다는 인상을 받기 쉬우나 평야같이 극단적으로 평평한 지역은 별로 없기 때문에 논농사보다도 밭농사 위주로 농업이 돌아간다. 물론 논이 없는건 아니고 일부 평탄한 지역에는 꽤 있는 편이다.
한편 동쪽의 몽탄면, 일로읍이 80년대 건설된 영산강하굿둑 덕분에 면적이 꽤나 늘어났다. 또한 영암군과의 거리가 짧아졌다.
2005년 전라남도청이 삼향읍 남악리 일대의 남악신도시( 목포시 - 무안군 경계 지역)로 이전해 오면서 남악리 일대는 급성장하는 중이지만, 그 외 지역은 농어촌 지역이다. 남악리를 포함한 삼향읍, 일로읍의 생활권은 목포에 속한다. 상당수 주민들이 목포 시내로 출퇴근하고, 특히 삼향읍은 사실상 목포시 생활권이다.
4. 인구
무안군 인구추이 |
1896년
8월 4일 13도 개편 후
전라남도 무안군,
지도군 1906년 10월 1일 전라남도 무안군 → 무안부 승격 1910년 10월 1일 전라남도 무안부 → 목포부 개칭 |
1911년 80,925명
|
1914년
4월 1일 전라남도 목포부 개항장 + 부내면 → 목포부 분리 목포부 잔여지역 + 지도군 + 완도군 팔금면 + 진도군 도초면· 안창면·기좌면 → 무안군 통폐합( 부군면 통폐합)[상세내용1] |
1915년 135,664명
|
1917년 10월 1일 행정구역 개편[상세내용2] |
1920년 148,807명
|
1925년 167,362명
|
1930년 185,306명
|
1932년 1월 4일 무안군 이로면 산정리· 죽교리· 용당리 등 지역 → 목포부 편입 |
1935년 189,187명
|
1940년 204,359명
|
1943년 222,499명
|
1949년 248,558명
|
1955년 256,668명
|
1960년 293,368명
|
1963년
1월 1일 무안군 이로면 폐지 무안군 이로면 산정리·상리·용당리·달리·율도리(혹은 눌도리) → 목포시 편입 이로면 대양리·석현리·옥암리 → 무안군 삼향면 편입 |
1966년 317,742명
|
1969년 1월 1일 무안군 → 무안군, 신안군 분군 |
1970년 129,942명
|
1973년 7월 1일 무안군 삼향면 석현리 → 목포시 이로동 편입 |
1975년 128,058명
|
1980년 115,325명
|
1985년 102,688명
|
1987년 1월 1일 무안군 삼향면 옥암리· 대양리 + 목포시 이로동 일부 → 목포시 편입 및 삼향동 신설 |
1990년 90,497명
|
1995년 75,037명
|
2000년 70,331명
|
2005년 10월 21일 남악신도시 건설 |
2005년 62,569명
|
2010년 74,475명
|
2015년 82,236명
|
2020년 86,132명
|
2024년 11월 92,487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50만 명, 참고용으로 신안군, 목포시 인구를 그래프에 포함(인구수는 표기하지 않음) |
읍면 및 출장소별 인구 통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삼향읍 남악출장소 33,305명
|
일로읍 20,872명
|
|
무안읍 10,788명
|
|
청계면 6,345명
|
|
삼향읍(본청) 5,064명
|
|
해제면 4,525명
|
|
현경면 4,305명
|
|
몽탄면 2,763명
|
|
운남면 2,718명
|
|
망운면 1,802명
|
|
2024년 11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전라남도의 군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다. 제헌 총선~제3대 총선까지는 무안군 갑/을, 이후 제4대국회의원 선거와 제5대 국회의원 선거를 치룰 때는 무안군 갑/을/병으로 나누었고[12], 1966년에는 무려 317,742명[13]을 기록하여 정점을 찍었다. 이 당시에는 대전시(314,991명)보다 많았고, 지금의 춘천시보다도 더 많을 정도이다. 그러나 1969년 도서지역을 신안군으로 분리하고[14] 이촌향도 현상으로 인구 감소세가 이어지면서 2005년 61,915명으로 저점을 찍었다.
2005년 남악신도시가 들어서면서 인구가 증가 추세로 바뀌어 2021년 9월 9만 명 선을 넘었고, 이로 인해 전남 군 지역 중 유일하게 인구감소지역에서 제외되었다. 그러나 신도시가 들어선 남악·오룡지구를 제외하면 감소 추세이고 이마저도 해당사업이 끝나면 더 이상의 인구 유입 요인이 없어, 10만명 달성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 읍면별 인구 #===
무안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1,789명
|
1970년 11,734명
|
1973년 7월 1일 몽탄면 성암리 → 무안면 편입 |
1975년 13,005명
|
1979년 5월 1일 무안군 무안면 → 무안읍 승격[15] |
1980년 12,752명
|
1985년 11,871명
|
1990년 10,615명
|
1995년 10,843명
|
2000년 11,914명
|
2005년 11,539명
|
2010년 10,759명
|
2015년 11,175명
|
2020년 10,646명
|
2024년 11월 10,78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일로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21,838명
|
1970년 20,301명
|
1975년 19,689명
|
1980년 20,565명
|
1980년 12월 1일 무안군 일로면 → 일로읍 승격 |
1985년 14,652명
|
1990년 14,959명
|
1995년 11,638명
|
2000년 10,299명
|
2005년 9,097명
|
2010년 8,024명
|
2015년 7,197명
|
2020년 12,902명
|
2024년 11월 20,87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25만 명
|
삼향읍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3년
1월 1일 무안군 이로면 폐지 이로면 대양리·석현리·옥암리 → 삼향면 편입 |
1966년 18,767명
|
1970년 17,322명
|
1973년 7월 1일 무안군 삼향면 석현리 → 목포시 이로동 편입 |
1975년 15,260명
|
1980년 14,088명
|
1985년 14,364명
|
1987년 1월 1일 무안군 삼향면 대양리·옥암리 + 목포시 이로동 일부 → 목포시 편입 및 삼향동 신설 |
1990년 10,143명
|
1995년 8,797명
|
2000년 8,768명
|
2005년 7,745명
|
2010년 25,020명
|
2011년 1월 1일 무안군 삼향면 → 삼향읍 승격 |
2015년 36,866명
|
2020년 38,371명
|
2024년 11월 38,30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4만 명
|
몽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6,950명
|
1970년 15,107명
|
1973년 7월 1일 몽탄면 성암리 → 무안면 편입 |
1975년 13,398명
|
1980년 10,702명
|
1985년 8,219명
|
1990년 7,552명
|
1995년 6,095명
|
2000년 5,183명
|
2005년 4,419명
|
2010년 3,995명
|
2015년 3,566명
|
2020년 3,120명
|
2024년 11월 2,763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청계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5,514명
|
1970년 13,857명
|
1975년 13,538명
|
1980년 12,647명
|
1985년 11,665명
|
1990년 10,359명
|
1995년 9,353명
|
2000년 9,098명
|
2005년 8,713명
|
2010년 7,570명
|
2015년 6,838명
|
2020년 6,367명
|
2024년 11월 6,34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5만 명
|
현경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20,774명
|
1970년 18,393명
|
1975년 17,446명
|
1980년 14,670명
|
1985년 12,981명
|
1990년 11,512명
|
1995년 8,873명
|
2000년 7,812명
|
2005년 6,672명
|
2010년 6,195명
|
2015년 5,296명
|
2020년 4,701명
|
2024년 11월 4,30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망운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7,121명
|
1970년 14,831명
|
1975년 16,116명
|
1980년 13,805명
|
1983년 2월 15일 망운면 운남출장소 → 운남면 승격 분리 |
1985년 5,739명
|
1990년 5,095명
|
1995년 3,983명
|
2000년 3,515명
|
2005년 2,968명
|
2010년 2,650명
|
2015년 2,229명
|
2020년 2,017명
|
2024년 11월 1,802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1.75만 명
|
해제면 인구 추이 (1966년~현재) |
1966년 19,993명
|
1970년 18,397명
|
1975년 19,571명
|
1980년 16,098명
|
1985년 15,861명
|
1990년 13,739명
|
1995년 9,809명
|
2000년 8,637명
|
2005년 7,214명
|
2010년 6,386명
|
2015년 5,710명
|
2020년 5,017명
|
2024년 11월 4,525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2만 명
|
운남면 인구 추이 (1985년~현재) |
1983년 2월 15일 망운면 운남출장소 → 운남면 승격 분리 |
1985년 7,339명
|
1990년 6,524명
|
1995년 5,646명
|
2000년 5,105명
|
2005년 4,202명
|
2010년 3,876명
|
2015년 3,359명
|
2020년 2,991명
|
2024년 11월 2,718명
|
인구는 현재 행정구역이 아닌 해당 연도 행정구역 기준, 그래프 최대 값은 8천 명
|
4.1. 무안군 단독 인구
무안군 단독 인구 추이(1911년~현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1911년 80,925명
|
1915년 135,664명
|
|
1920년 148,807명
|
|
1925년 167,362명
|
|
1930년 185,306명
|
|
1935년 189,187명
|
|
1940년 204,359명
|
|
1943년 222,499명
|
|
1949년 248,558명
|
|
1955년 256,668명
|
|
1960년 293,368명
|
|
1966년 317,742명
|
|
1970년 129,934명
|
|
1975년 128,060명
|
|
1980년 115,325명
|
|
1985년 102,691명
|
|
1990년 90,498명
|
|
1995년 75,037명
|
|
2000년 70,331명
|
|
2005년 62,569명
|
|
2010년 74,475명
|
|
2015년 82,236명
|
|
2020년 86,132명
|
|
2024년 10월 92,339명
|
|
출처: 위 목포시+무안군+신안군 표로 갈음하며, 군계(郡界) 변경 역시 위의 표로 갈음함. 그래프 최대 값은 35만 명 |
5. 교통
자세한 내용은 무안군/교통 문서 참고하십시오.6. 경제
과거 광주광역시에 있던 전라남도청이 여기로(정확히는 남악신도시 쪽) 옮겨진 덕분에 공무원들의 유입 등으로 무안의 경제는 성장하고 있다. 도청 이전 효과 외에도 과거부터 농업과 어업으로도 경제활동을 꾸준히 하고 있어서 전라남도에서도 경제력이 제법 상위권이다.
혁신도시, 도청 등의 신도시를 유치한 여타 군 지역과 마찬가지로 시 승격을 꿈꾸고 있지만, 저출산 및 갈수록 점점 심화되는 수도권 집중 현상은 여기도 피해갈 수 없는지라 시 승격 가능성은 시 승격 기준을 억지로 낮추지 않는 이상은 상당히 낮다. 분명 도청 유치로 인구수가 늘어나기는 했지만 그 효과가 언제까지 지속될지, 시 승격을 바라볼 만큼 늘 수 있을지는 기약이 없다. 2만명 증가하는데 5년 여 걸렸으나 이후로 인구 증가 속도가 확연히 줄어들고 있다. 또한 2024년 이후 임성지구가 추진 중에 있지만, 인구가 얼마나 증가할지 기약이 없다.[16]
상업시설로는 남악 롯데쇼핑몰이 있다.
6.1. 금융
무안군에 위치한 금융기관 | |||
제1금융권 [괄호] | |||
국가기관 | |||
무안우체국 (10) | |||
특수은행 | |||
농협은행(중앙회) (5) | |||
시중은행 | |||
신한은행 (1) | 하나은행 (1) | ||
국민은행 (1) | |||
지방은행 | |||
광주은행 (4) | |||
제2금융권(상호금융) [괄호] | |||
농업협동조합 | |||
무안농협 (6) | 목포무안신안축협 (4) | 삼향농협 (3) | 일로농협 (2) |
몽탄농협 (1) | 운남농협 (1) | 청계농협 (1) | 전남서남부채소농협 (1) |
<colbgcolor=#1d1e23> 수산업협동조합 | |||
목포수협 (1) | |||
새마을금고 | |||
해제새마을금고 (1) | 남악새마을금고 (3) | ||
무안새마을금고 (3) |
시중은행은 신한은행 목포대학교지점을 제외하곤 모두 삼향읍에 있다.
7. 교육
전라남도 무안군의 초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악초등학교 | 망운초등학교 | 몽탄초등학교 | 무안초등학교 |
무안행복초등학교 | 삼향동초등학교 | 삼향북초등학교 | 삼향초등학교 | |
오룡초등학교 | 운남초등학교 | 일로동초등학교 | 일로초등학교 | |
일로초등학교 청망분교장 | 청계남초등학교 | 청계북초등학교 | 청계초등학교 | |
해제남초등학교 | 해제초등학교 | 현경북초등학교 | 현경초등학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학교 틀 둘러보기 |
전라남도 무안군의 중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남악중학교 | 망운중학교 | 무안몽탄중학교 | 무안북중학교 | ||
무안중학교 | 무안청계중학교 | 무안행복중학교 | 무안현경중학교 | ||
오룡중학교 | 전남체육중학교 | 해제중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전라남도 무안군의 고등학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남악고등학교 | 무안고등학교 | 백제고등학교 | ▣ 전남예술고등학교 | ▣ 전남체육고등학교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각종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무안군의 대학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각 대학의 제1캠퍼스(본교)는 캠퍼스를 표기하지 않고, 2캠퍼스(이원화)부터 "OO대학교(AA캠퍼스)"과 같이 표기함. 분교는 캠퍼스명 표시에서 OO대학교 AA캠퍼스로 괄호 없이 표시함. |
국립 | ㄱ |
국립목포대학교(도림캠퍼스) 국립목포대학교(남악캠퍼스) |
사립 | |||
ㅊ | 초당대학교 | ||
기능대학 | |||
ㅎ | 한국폴리텍Ⅴ대학(전남캠퍼스) | }}}}}}}}} |
일반계 고등학교의 경우 무안읍 권역과 남악 권역으로 나눌 수 있다. 무안읍 권역의 경우 무안고, 백제고가 있으며 남악 권역의 경우 남악고가 있다. 무안고는 현재 거점 고등학교로 지정한 상태인데 만약에 학생 수가 크게 줄어든다면 백제고를 폐교시키고 무안고로 통합할 가능성이 높다.[19] 남악고는 남악신도시에 있는 유일한 고등학교인데 학교 건물이 비정상적으로 작게 지어졌으며 근처에 사는 학생들이 너무 많아서 많은 학생들이 다른 지역으로 튕겨져 나가고 있다. 이 때문에 오룡고를 신설하려고 하는데 학교 총량제 때문에 신설 여부가 불투명한 상황였다. 결국 신설은 확정됐지만 비정상적으로 작게 지어질 예정이라 남악신도시의 고교 대란은 여전히 끝나지 않을 예정이다.
8. 음식
타 지역에 비해 특출난 것은 없으나 일단 낙지, 양파로 유명한 곳이고 음식도 그에 맞춰져 있다. 어지간한 데는 낙지 음식점이 다 있는 정도. 물론 뻘낙지 특성상 가격은 꽤나 비싸다. 되도록이면 낙지가 본격적으로 잡히기 시작하는 늦여름 이후에 먹도록 하자. 전라도의 도서에 속하기 때문에 전반적으로 음식이 다채롭고 맛이 좋은 편이다. 곳곳에 숨은 맛집은 현지인에게 물어보면 된다.한 가지 주의할 점은, 최근 들어 지나친 연작으로 인해 지력이 빠질 대로 빠져 양파의 질이 정말 나빠졌다. 품질 악화를 막으려고 농업 교육 기관 등에서 제발 양파 좀 그만 재배하라고 해도 양파 농사로 먹고사는 농민들이 말을 안 듣는다.
9. 정치
자세한 내용은 무안군/정치 문서 참고하십시오.10. 군사
특별한 군사시설은 없고 전남 서부권의 방위를 담당하는 제31보병사단 예하 제96보병여단 본부가 삼향읍 1번 국도변에 있다. 목포시 예비군훈련장이 삼향농공단지 가장 안쪽에 있으며, 무안군 예비군훈련장은 무안읍 매곡리 24번 국도변에 있다.광주 군공항을 이전하는 데 기득권들이 반대하고 있어 논란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광주공항/공항 이전 문서 참고하십시오.
11. 하위 행정구역
자세한 내용은 무안군/행정 문서 참고하십시오.12. 사건사고
12.1. 중학생 노인 살인사건
중학생이 70대 노인을 때려서 사망하게 하는 사건이 발생했다.2024년 10월 13일 오후 5시 40분께 전남 무안군 현경면에 거주하던 70대 남성 이웃이 16세 중학생 A군에게 주먹으로 두 차례 폭행당했다. 이들은 7년간 돈독하게 지냈던 이웃으로, 70대 남성은 두개골 골절로 인한 뇌출혈로 17일 병원에서 숨졌다. 이렇게 70대 남성 사망 후에도 A군 가족은 어떠한 사과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12.2. 지역 이기주의 관련 사건사고
님비와 핌피 문제가 골고루 일어나고 있으며 무안국제공항 문제( 광주공항/공항 이전, 호남고속선 2단계 무안공항역 문제), 목포 통합 문제, 남악신도시 문제 등 지역 이기주의와 관련된 여러 문제가 현재 진행형이다.12.3. 서이남 전 부군수 불법 농막
서이남 부군수(4급/서기관)가 불법으로 건물을 지어 논란이 되었다. 무안읍 교촌리의 밭 약 1,300m²를 부인 명의로 사들여 2022년 3월부터 해서 2층짜리 농막을 지었는데 문제는 해당 건물이 농막이 아니라 별장에 가깝게 보여 문제가 되었다.집 안에는 에어컨, 집 밖에 비 가림 시설 및 야외 테이블은 기본이고 잔디, 돌 징검다리, 거대한 소나무 7그루에 비닐하우스에서 고추 재배까지 하는 등 해당 건물은 단순한 농막이라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또한 여기에 부군수는 농지 매입 시 필요한 농지취득자격증명신청서 및 농업경영계획서도 제출하지 않았다.
농막의 경우는 최소한의 기준만 충족하면 건축 허가 절차가 필요 없기 때문에 농막으로 신청을 해 놓고 별장처럼 건축한 게 아니냐는 논란이 일자 부군수는 잔디는 200만 원 정도 들여 식재했고 소나무, 조경석은 지인에게 선물 받았다고 해명했으나 조경업계에 따르면 약 300평 잔디 식재에 통상적으로 600만 원이 든다 이야기했기에 부군수가 주장한 200만 원는 의구심이 들고 또한 소나무, 조경석의 경우 청탁금지법 저촉 가능성이 있는데 이에 대해 부군수는 누가 선물을 했는지 밝히지 않았다.
전라남도에서 서이남 부군수를 전라남도로 불러들여 대기 발령을 시키고 그 후임으로 김성훈 전라남도 사회재난과장을 임명했다. 전라남도 감사관실에서 서 부군수의 비위 행위에 대해 김영록 도지사의 특별 지시에 따라 사실 확인을 시작했는데 문제는 감사가 몇 주 동안이나 지연되고 있으며 징계 의결 요구도 이뤄지고 있지 않다는 것이며 무안경찰서에서도 수사를 시작하긴 했는데 "전라남도 감사관실 측에서 자기들이 농막 부분은 크기 측정을 다 했다며 농지법상 아무런 위반이 아니라고 통보했다." 밝혔다. 경찰에선 소나무가 서 전 부군수에게 전달된 과정을 수사 중이라 밝혔다.
12.4.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2024년 12월 29일 오전 9시 3분경 제주항공 2216편이 태국 방콕 수완나품 공항에서 출발하여 대한민국 무안군 무안국제공항으로 착륙 도중 불명의 이유로 랜딩 기어를 내리지 못해 동체 착륙을 시도하던 중 활주로를 이탈하여 로컬라이저가 설치된 철근 콘크리트 소재의 둔덕을 들이받고 기체가 폭발하여 181명의 사상자가 발생한 대형 항공 사고다.자세한 내용은 제주항공 2216편 활주로 이탈 사고 문서 참고하십시오.
13. 기타
2021년 7월, UFO가 목격된 영상이 인터넷에서 크게 화제가 됐다. #2024년 7월 9~13일에 여자배구단 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가 하계 전지훈련을 수행하기 위해 무안에 방문했다. 무안스포츠파크 실내체육관, 무안황토갯벌랜드, 보건소 체력단련실에서 훈련을 진행했다. 11일에 일일 배구교실을 열었고, 12일 15시에 무안스포츠파크 실내체육관에서 광주 페퍼저축은행 AI 페퍼스와 최대 3세트로 연습경기를 실시했다. 제47~48대 무안군수 김산(1958)은 "현대건설 배구단의 방문을 환영하며 머무시는 동안 무안의 멋과 맛을 만끽하시어 아름답고 즐거운 추억을 만들어가길 바란다. AI페퍼스 배구단과의 연습경기 및 사인회에 군민들의 많은 관심 부탁드린다"는 환영사를 남겼다.
군 이름이 무안하다는 말과 같은 단어라 관련 개그에 쓰인다.
14. 출신 인물
- 고석: 前 국방부 고등군사법원장
- 기길운
- 기대서
- 김대현: 야구 선수. LG 트윈스 소속 투수
- 김병도
- 김산: 現 무안군수
- 김용무
- 김용범: 前 기획재정부 제1차관
- 김용현
- 김윤식: 前 경기도 시흥시장. 현경면 출신
- 김정수: 대한민국 육군 대장. 前 제2작전사령관, 前 수도방위사령관
- 김준곤: 목사. 한국대학생선교회 설립자
- 김철주: 前 무안군수. 몽탄면 출신
- 김호산
- 나광국
- 나상웅
- 나이균
- 나판수
- 노인옥
- 박경민: 현 국가경찰위원회 상임위원. 제15대 해양경찰청장
- 박나래: 코미디언
- 박상기: 前 법무부장관
- 박석무: 前 국회의원. 다산 정약용 연구의 권위자이기도 하다. 현경면 출신
- 박세라: 모델
- 박종팔: 복싱 선수. IBF, WBA 세계 챔피언. 무안읍 출신
- 박진주[20]: 배우, 방송인
- 박창수
- 박현출: 한국스마트팜산업협회 회장. 前 서울특별시농수산식품공사 사장, 前 농촌진흥청장
- 배기선: 前 국회의원. 일로읍 출신
- 배종렬
- 배종무: 前 국회의원
- 배칠수: 방송인
- 백종훈
- 서삼석: 제20-22대 국회의원.[21] 전 군수. 현경면 출신
- 안형환: 前 국회의원. 삼향읍 출신
- 옥만호: 대한민국 공군 대장. 제12대 공군참모총장. 몽탄면 출신[22]
- 옥현진: 신부. 천주교 광주대교구장 대주교
- 유원일: 前 국회의원
- 윤부식
- 윤성민: 前 국방부장관. 해제면 출신
- 이동현
- 이연구(1953)
- 이윤석: 前 국회의원. 삼향읍 출신
- 이은주: 前 서울특별시의회 의원
- 이재록: 만민중앙교회 당회장, 교주
- 이재영: 현 한국지역개발원장. 前 행정안전부 차관
- 이재현: 前 무안군수
- 이정운(1958)
- 이길호
- 이혜자
- 임인현
- 임종기: 前 국회의원. 몽탄면 출신.
- 임택: 現 광주광역시 동구청장
- 장상기
- 장응철
- 장태평: 현 농어업·농어촌특별위원회 위원장(장관급). 前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前 마사회장
- 정규수
- 정규식: 독립유공자
- 정길수: 정치인
- 정대운
- 정승현: 정치인
- 정아라: 미스코리아 광주-전남 미(美)
- 정윤경: 경기도의회 의원
- 정철재
- 최미선: 양궁 선수. 2016 리우 올림픽 금메달리스트. 일로읍 출신
- 최병호: 가수
- 최성락
- 한창훈: 치안감. 현 광주광역시 경찰청장
- 황의선: 광복군 출신 독립유공자
- 그 외에 배우 오지호가 일로초등학교를 나왔고, 코미디언 박나래[23], 배우 박진주 역시 일로읍의 같은 유치원을 나왔다. 다만 일로읍, 삼향읍 등의 목포 접경지역은 간혹 출신을 목포라고 말하는 경우가 있다.[24][25]
1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경기도 |
강원특별자치도 |
충청북도 |
충청남도 |
전북특별자치도 |
수원시 도청 의정부시 북부
|
춘천시 도청 강릉시 제2청사
|
청주시 도청 제천시 북부 옥천군 남부
|
홍성군 도청 금산군 남부
|
전주시 | |
전라남도 |
경상북도 |
경상남도 |
제주특별자치도 |
이북 5도 |
|
무안군 도청 순천시 동부
|
안동시 도청 포항시 동부
|
창원시 도청 진주시 서부
|
제주시 |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f,#1f2023> 경기 | 남한산성 | 수리산 | 연인산 | |||
강원·충청 | 고복 | 경포 | 대둔산 | 덕산 | 칠갑산 |
철원DMZ 성내산 |
|
경상 | 가지산 | 금오산 | 문경새재 | 연화산 | 청량산 | ||
전라 | 대둔산 | 두륜산 | 마이산 | 모악산 | 무안갯벌 | 벌교갯벌 | |
불갑산 | 선운산 | 신안증도갯벌 | 조계산 | 천관산 | |||
제주 | 제주곶자왈 | 서귀포해양 | 성산일출해양 | 마라해양 | 우도해양 | 추자해양 | |
■ 산, ■ 저수지, ■ 해안, ■ 도서, ■ 갯벌 | |||||||
※ 같이 보기: 국립공원 | 도립공원 | 군립공원 | }}}}}}}}} |
[1]
2021년 12월 기준 제62회 무안군 통계연보(2023년 6월 발행).
[2]
2024년 12월 기준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통계.
[3]
2024년 11월 기준.
[4]
무안군 가선거구 (무안읍, 일로읍, 몽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이호성, 임현수
무안군 나선거구 (삼향읍, 청계면): 김경현, 김봉성, 임동현, 임윤택
비례대표: 정은경 [5] 무안군 가선거구 (무안읍, 일로읍, 몽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김원중, 박쌍배 [6] 무안군 제1선거구 (무안읍, 일로읍, 몽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정길수 (초선)
무안군 제2선거구 (삼향읍, 청계면): 나광국 (재선) [7] 요즘 무안군에서 많이 볼 수 있다. [8] 구 마스코트는 연꽃인 연이랑이었으나 특산물인 양파를 모티브로 한 무아니로 바뀌었다. [9] 예전에 스펀지에도 소개가 된 적이 있는데, 무안군 슈퍼에서는 양파로 만든 양파 음료도 존재한다. 맛은 미에로 화이바와 비슷하다. 군 복무 경험자라면 알 법한 버디언이 그 주인공이다. [상세내용1]
목포부 이로면(二老面) 일부 → 무안군 이로면(二老面)
목포부 삼향면(三鄕面) → 무안군 삼향면(관할 변경)
목포부 일로면(一老面) + 이로면(二老面) 일부 → 무안군 일로면(一老面)
목포부 이로면(二老面) 일부 + 박곡면(朴谷面) → 무안군 박곡면(朴谷面)[석곡면합면][몽탄면개칭]
목포부 석진면(石津面) → 무안군 석진면(관할 변경)[석곡면합면][몽탄면개칭]
목포부 일서면(一西面) + 이서면(二西面) → 무안군 청계면(淸溪面)
목포부 외읍면(外邑面) → 무안군 외읍면(관할 변경)[30][31]
목포부 현화면(玄化面) 일부 + 다경면(多慶面) → 무안군 현경면(玄慶面)
무안군 현화면(玄化面) 일부 + 망운면(望雲面) → 무안군 망운면(望雲面)
목포부 해제면(海際面) + 진하산면(珍下山面) → 무안군 해제면(海際面)
지도군 군내면(郡內面) → 무안군 지도면(智島面)
지도군 임자면(荏子面) → 무안군 임자면(관할 변경)
지도군 사옥면(沙玉面) → 무안군 사옥면(관할 변경)
지도군 자은면(慈恩面) → 무안군 자은면(관할 변경)
지도군 비금면(飛禽面) → 무안군 비금면(관할 변경)
진도군 도초면(都草面) → 무안군 도초면(관할 변경)
지도군 흑산면(黑山面) → 무안군 흑산면(관할 변경)
지도군 하의면(荷衣面) → 무안군 하의면(관할 변경)
지도군 장산면(長山面) → 무안군 장산면(관할 변경)
진도군 안창면(安昌面) → 무안군 안창면(관할 변경)
진도군 기좌면(箕佐面) → 무안군 기좌면(관할 변경)
완도군 팔금면(八禽面) → 무안군 팔금면(관할 변경)
지도군 암태면(巖泰面) → 무안군 암태면(관할 변경)
지도군 압해면(押海面) → 무안군 압해면(관할 변경)
지도군 선도면(蟬島面) → 무안군 선도면(관할 변경) [상세내용2]
지도면(智島面) + 사옥면(沙玉面) + 선도면(蟬島面) 일부 → 지도면(智島面) 합면
안창면(安昌面) + 기좌면(箕佐面) + 팔금면(八禽面) → 안좌면(安佐面) 합면
암태면(巖泰面) + 선도면(蟬島面) 일부 → 암태면(巖泰面) 합면
압해면(押海面) 일부 + 선도면(蟬島面) 일부 → 압해면(押海面) 합면
압해면 일부 → 이로면 편입
압해면 치하도 → 해남군 화원면 편입
일로면 나불리 → 영암군 곤일종면(昆一終面) 편입
지도면 수도리·영광군 낙월면 만지도·작도 → 임자면 편입 [12] 현재는 인구가 50만명 후반을 넘는 도시만이 가지고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15~25만명이 갑/을, 25만~35만이 갑/을/병으로 나누었음을 감안해야 한다. [13] 현재까지 이 기록을 깬 군은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 1979년 당시 삼척군이 인구 30만을 눈앞에 두었으나 곧바로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무안군을 역전하지 못했고, 그 이후로는 광역시 산하 군인 달성군이 26만명을 넘겼으나 무안군의 기록을 깨지는 못했다. [14] 2024년 10월 기준 현재는 무안과 신안의 인구 수를 합쳐도 13만명 수준으로, 전성기 시절인 31만에서 18만명이 줄어든 셈이다. [15] 군사무소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 수 있다에 따라 승격 [16] 당장 똑같이 도청을 이전받은 충청남도 홍성군도 처음에는 인구가 쭉쭉 늘어나면서 홍주시로 승격이 머지 않았다고 행복회로를 열심히 돌렸지만, 그 기대는 인구 10만을 찍은 이후로 인구 성장이 뚝 그침으로써 산산조각났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9] 다만 백제고는 초당대학교와 같은 재단의 사립학교이다. [20] 출생한 곳은 광주광역시이다. [21] 지역구 : 전라남도 영암군·무안군·신안군 [22] 고향 몽탄면 사창리에 본인이 사재를 털어서 지은 호담항공우주전시장이 있다. [23] 초등학교, 중학교는 목포시 상동에서 나왔다. [24] 사실 고향이 목포시와 뿌리가 같은 무안군(특히 목포시 접경 지역)이나 신안군 출신들이 자신의 고향을 알려 줄 때 상대가 지명을 잘 몰라서 그냥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목포시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박노준(신안군 압해읍 출신)이 그 예 . 위에 나온 인물들도 더러는 목포로 알려진 경우가 꽤 있다. [25] 게다가 신안군이 1969년 분군되기 전에는 무안군에 속했기 때문에 간혹 실제 신안군 출신 인물들이 무안군 출신 인물로 오기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유지태의 할아버지인 유옥우 전 의원(현재의 신안군 비금면 출신)이 지역구를 보고 무안군 출신이라고 오기되는 경우가 있는데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시절의 무안군 을 선거구는 현재의 신안군 지역이다. 물론 출생 당시에는 무안군이었지만 현재는 별개의 군으로 독립되었기 때문에 오해를 살 수 있다.
무안군 나선거구 (삼향읍, 청계면): 김경현, 김봉성, 임동현, 임윤택
비례대표: 정은경 [5] 무안군 가선거구 (무안읍, 일로읍, 몽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김원중, 박쌍배 [6] 무안군 제1선거구 (무안읍, 일로읍, 몽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정길수 (초선)
무안군 제2선거구 (삼향읍, 청계면): 나광국 (재선) [7] 요즘 무안군에서 많이 볼 수 있다. [8] 구 마스코트는 연꽃인 연이랑이었으나 특산물인 양파를 모티브로 한 무아니로 바뀌었다. [9] 예전에 스펀지에도 소개가 된 적이 있는데, 무안군 슈퍼에서는 양파로 만든 양파 음료도 존재한다. 맛은 미에로 화이바와 비슷하다. 군 복무 경험자라면 알 법한 버디언이 그 주인공이다. [상세내용1]
목포부 이로면(二老面) 일부 → 무안군 이로면(二老面)
목포부 삼향면(三鄕面) → 무안군 삼향면(관할 변경)
목포부 일로면(一老面) + 이로면(二老面) 일부 → 무안군 일로면(一老面)
목포부 이로면(二老面) 일부 + 박곡면(朴谷面) → 무안군 박곡면(朴谷面)[석곡면합면][몽탄면개칭]
목포부 석진면(石津面) → 무안군 석진면(관할 변경)[석곡면합면][몽탄면개칭]
목포부 일서면(一西面) + 이서면(二西面) → 무안군 청계면(淸溪面)
목포부 외읍면(外邑面) → 무안군 외읍면(관할 변경)[30][31]
목포부 현화면(玄化面) 일부 + 다경면(多慶面) → 무안군 현경면(玄慶面)
무안군 현화면(玄化面) 일부 + 망운면(望雲面) → 무안군 망운면(望雲面)
목포부 해제면(海際面) + 진하산면(珍下山面) → 무안군 해제면(海際面)
지도군 군내면(郡內面) → 무안군 지도면(智島面)
지도군 임자면(荏子面) → 무안군 임자면(관할 변경)
지도군 사옥면(沙玉面) → 무안군 사옥면(관할 변경)
지도군 자은면(慈恩面) → 무안군 자은면(관할 변경)
지도군 비금면(飛禽面) → 무안군 비금면(관할 변경)
진도군 도초면(都草面) → 무안군 도초면(관할 변경)
지도군 흑산면(黑山面) → 무안군 흑산면(관할 변경)
지도군 하의면(荷衣面) → 무안군 하의면(관할 변경)
지도군 장산면(長山面) → 무안군 장산면(관할 변경)
진도군 안창면(安昌面) → 무안군 안창면(관할 변경)
진도군 기좌면(箕佐面) → 무안군 기좌면(관할 변경)
완도군 팔금면(八禽面) → 무안군 팔금면(관할 변경)
지도군 암태면(巖泰面) → 무안군 암태면(관할 변경)
지도군 압해면(押海面) → 무안군 압해면(관할 변경)
지도군 선도면(蟬島面) → 무안군 선도면(관할 변경) [상세내용2]
지도면(智島面) + 사옥면(沙玉面) + 선도면(蟬島面) 일부 → 지도면(智島面) 합면
안창면(安昌面) + 기좌면(箕佐面) + 팔금면(八禽面) → 안좌면(安佐面) 합면
암태면(巖泰面) + 선도면(蟬島面) 일부 → 암태면(巖泰面) 합면
압해면(押海面) 일부 + 선도면(蟬島面) 일부 → 압해면(押海面) 합면
압해면 일부 → 이로면 편입
압해면 치하도 → 해남군 화원면 편입
일로면 나불리 → 영암군 곤일종면(昆一終面) 편입
지도면 수도리·영광군 낙월면 만지도·작도 → 임자면 편입 [12] 현재는 인구가 50만명 후반을 넘는 도시만이 가지고 있는 수준이었다. 그러나 당시에는 15~25만명이 갑/을, 25만~35만이 갑/을/병으로 나누었음을 감안해야 한다. [13] 현재까지 이 기록을 깬 군은 하나도 나오지 않았다. 1979년 당시 삼척군이 인구 30만을 눈앞에 두었으나 곧바로 감소세로 돌아서면서 무안군을 역전하지 못했고, 그 이후로는 광역시 산하 군인 달성군이 26만명을 넘겼으나 무안군의 기록을 깨지는 못했다. [14] 2024년 10월 기준 현재는 무안과 신안의 인구 수를 합쳐도 13만명 수준으로, 전성기 시절인 31만에서 18만명이 줄어든 셈이다. [15] 군사무소 소재지의 면은 읍으로 할 수 있다에 따라 승격 [16] 당장 똑같이 도청을 이전받은 충청남도 홍성군도 처음에는 인구가 쭉쭉 늘어나면서 홍주시로 승격이 머지 않았다고 행복회로를 열심히 돌렸지만, 그 기대는 인구 10만을 찍은 이후로 인구 성장이 뚝 그침으로써 산산조각났다.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괄호] 안의 숫자는 지점수를 뜻함. [19] 다만 백제고는 초당대학교와 같은 재단의 사립학교이다. [20] 출생한 곳은 광주광역시이다. [21] 지역구 : 전라남도 영암군·무안군·신안군 [22] 고향 몽탄면 사창리에 본인이 사재를 털어서 지은 호담항공우주전시장이 있다. [23] 초등학교, 중학교는 목포시 상동에서 나왔다. [24] 사실 고향이 목포시와 뿌리가 같은 무안군(특히 목포시 접경 지역)이나 신안군 출신들이 자신의 고향을 알려 줄 때 상대가 지명을 잘 몰라서 그냥 상대적으로 잘 알려진 목포시라고 말하는 경우가 많다. 박노준(신안군 압해읍 출신)이 그 예 . 위에 나온 인물들도 더러는 목포로 알려진 경우가 꽤 있다. [25] 게다가 신안군이 1969년 분군되기 전에는 무안군에 속했기 때문에 간혹 실제 신안군 출신 인물들이 무안군 출신 인물로 오기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유지태의 할아버지인 유옥우 전 의원(현재의 신안군 비금면 출신)이 지역구를 보고 무안군 출신이라고 오기되는 경우가 있는데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시절의 무안군 을 선거구는 현재의 신안군 지역이다. 물론 출생 당시에는 무안군이었지만 현재는 별개의 군으로 독립되었기 때문에 오해를 살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