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3 19:31:56

코모로

코모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동아프리카 아이콘.png 동아프리카의 국가 및 지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지부티 소말릴란드 소말리아
파일:남수단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남수단 에티오피아 우간다 케냐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파일:말라위 국기.svg
르완다 부룬디 탄자니아 말라위(a)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모잠비크(a) 마다가스카르(a) 모리셔스 세이셸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마요트 기.svg 파일:레위니옹 기.svg 파일:하드라마우트 기.png
코모로 마요트 파일:프랑스 원형.png 레위니옹 파일:프랑스 원형.png 소코트라 파일:예멘 원형.png
(a): 남아프리카로 분류하기도 함. }}}}}}}}}

[[아랍 연맹|
파일:아랍 연맹 휘장.svg
아랍 연맹
جامعة الدول العربية | League of Arab States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6233><colcolor=#fff>회원국
참관국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프랑스어권 국제기관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
{{{#!wiki style="margin: 0 -10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회원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2em"
파일:가나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가나 가봉 그리스 기니*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연방 국기.svg 파일:라오스 국기.svg
기니비사우 니제르* 도미니카 연방 라오스
파일:레바논 국기.svg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레바논 루마니아 룩셈부르크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나코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마다가스카르 말리* 모나코 모로코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몰도바 국기.svg 파일:바누아투 국기.svg
모리셔스 모리타니 몰도바 바누아투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베트남 국기.svg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왈롱-브뤼셀 연방 로고.svg
베냉 베트남 벨기에 왈롱-브뤼셀 연방 파일:벨기에 원형 국기.svg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부룬디 부르키나파소* 북마케도니아 불가리아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세네갈 세르비아 세이셸
파일:세인트루시아 국기.svg 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세인트루시아 스위스 아랍에미리트 아르메니아
파일:아이티 국기.svg 파일:안도라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아이티 안도라 알바니아 이집트
파일:적도 기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적도 기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지부티 차드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카메룬 카보베르데 카타르 캄보디아
파일:캐나다 국기.svg 파일:퀘벡 주기.svg 파일:뉴브런즈윅 주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캐나다 퀘벡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뉴브런즈윅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코모로
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코소보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키프로스 토고 튀니지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40%"
{{{#!folding [ 참관국 목록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감비아 대한민국 도미니카 공화국 라트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파일:멕시코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리투아니아 멕시코 모잠비크 몬테네그로
파일:몰타 국기.svg 파일:루이지애나 주기.svg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몰타 루이지애나 파일:미국 원형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슬로바키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아르헨티나 아일랜드 에스토니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파일:온타리오 주기.svg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오스트리아 우루과이 온타리오 파일:캐나다 원형 국기.svg 우크라이나
파일:조지아 국기.svg 파일:체코 국기.svg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조지아 체코 코스타리카 크로아티아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일:헝가리 국기.svg
태국 폴란드 헝가리 }}}}}}}}}}}}

[[이슬람 협력기구|
파일:이슬람 협력기구 기.svg
이슬람 협력기구
منظمة التعاون الاسلامي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정회원국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차드 국기.svg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기니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알제리 차드 이집트 기니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파일:이란 국기.svg 파일:요르단 국기.svg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파일:레바논 국기.svg
인도네시아 이란 요르단 쿠웨이트 레바논
파일:리비아 국기.svg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파일:말리 국기.svg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리비아 말레이시아 말리 모리타니 모로코
파일:니제르 국기.svg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파일:세네갈 국기.svg
니제르 파키스탄 팔레스타인 사우디아라비아 세네갈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파일:튀니지 국기.svg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파일:예멘 국기.svg
소말리아 수단 튀니지 튀르키예 예멘
파일:바레인 국기.svg 파일:오만 국기.svg 파일:카타르 국기.svg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파일:시에라리온 국기.svg
바레인 오만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시에라리온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파일:가봉 국기.svg 파일:감비아 국기.svg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방글라데시 가봉 감비아 기니비사우 우간다
파일:부르키나파소 국기.svg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이라크 국기.svg 파일:몰디브 국기.svg
부르키나파소 카메룬 코모로 이라크 몰디브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베냉 국기.svg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지부티 베냉 브루나이 나이지리아 아제르바이잔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알바니아 키르기스스탄 타지키스탄 투르크메니스탄 모잠비크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파일:수리남 국기.svg 파일:토고 국기.svg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수리남 토고 가이아나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코트디부아르
회원자격 정지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참관국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파일:태국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북키프로스 태국 러시아
탈퇴국
파일:잔지바르 기.svg
잔지바르
회원 가입 시도 국가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중국 국기.svg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벨라루스 브라질 중앙아프리카공화국 중국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인도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라이베리아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네팔 국기.svg
인도 케냐 라이베리아 모리셔스 네팔
파일:필리핀 국기.svg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필리핀 세르비아 남아프리카 공화국 스리랑카 }}}}}}}}}

코모로와 마요트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고대 중근세 근현대
말라가시인 이슬람화 여러 술탄국 프랑스령 코모로 프랑스령 마다가스카르 코모로 영토 코모로 연방
마요트
}}}}}}}}} ||
코모로 연방
Union des Comores | Udzima wa Komori
الاتحاد القمري[1]
Union of the Comoros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장.svg
국기 국장
Unité, Solidarité, Développement
وحدة، تضامن، تنمية
[2]
통일, 정의, 진보
상징
국가 위대한 섬 연합
지리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수도 모로니
면적 1,862km2[3]
마요트를 포함하면 2,235km²
}}}}}}}}}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인구 852,075명(2023년) | 세계 162위[4]
민족 구성 코모로인 97.1%
마쿠아인 1.6%
기타 1.3%
인구밀도 477.15명/km2[5]
공용어 코모로어[6]
국민어 프랑스어, 아랍어
종교 이슬람 수니파 98%, 가톨릭 2%
군대 코모로 국가발전군 }}}}}}}}}
정치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민주주의 지수 3.04점, 권위주의 (2023년)
(167개국 중 122위)
정치 체제 공화제, 연방제, 대통령제
대통령 아잘리 아소우마니
국회의장 무스타드루안 아브두
(Moustadroine Abdou)
여당
코모로 부활을 위한 협약
}}}}}}}}}
경제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명목 GDP 5억 8,900만 달러
1인당 명목 GDP 737 달러
GDP(PPP) 8억 3,000만 달러
1인당 GDP(PPP) 1,220 달러
통화 코모로 프랑 }}}}}}}}}
외교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남북수교현황 대한민국
1979년 2월 19일[7]
북한
1975년 11월 13일 수교
1983년 12월 3일 단교[8]
1989년 11월 30일 재수교[9]
여행경보 여행자제 : 코모로 전 지역 }}}}}}}}}
위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코모로 위치.sv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Cn-map.png
}}}}}}}}}

1. 개요2. 언어3. 주민4. 영토5. 영토분쟁 분리주의6. 상징
6.1. 국가6.2. 국기
7. 역사8. 정치9. 경제10. 문화11. 자연 및 관광12. 스포츠13. 외교14. 사고15. 기타

[clearfix]

1. 개요

아프리카 동남쪽, 마다가스카르 모잠비크 사이의 모잠비크 해협에 위치한 조그만 섬나라다. 국호는 아랍어로 ''을 뜻하는 카마르(قَمَر / qamar)에서 유래한 것으로 코모로를 지칭하는 경우에는 통상적으로 주주르 알쿠무르(جُزُر الْقُمُر / Juzur al-Qumur), 즉 쿠무르라고 한다. 모로코랑 이름이 비슷해서 헷갈리기 쉬운데, 의외로 아프리카, 이슬람권, 프랑스 식민지였다는 등 비슷한 점이 많다. 지리적으로는 스와힐리와 관계가 있기 때문에 스와힐리어권에 포함되기도 한다.

2. 언어

공용어는 코모로어, 프랑스어, 아랍어다. 이 중 코모로어가 공식적인 제1언어이나, 주로 일상언어로만 사용되는 스와힐리어 계통의 언어이다. 프랑스의 지배를 받은 적도 있어서 프랑스어도 공용어고 프랑코포니에도 가입되어 있다.

3. 주민

주민의 대부분이 스와힐리족 계통의 코모로인이다. 코모로인들은 아랍 페르시아의 영향으로 이슬람교를 믿는 비중이 높다. 그리고 코모로는 아랍 연맹의 정회원국이다. 코모로 내에도 소수의 말라가시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4. 영토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8px-Flag_of_Grande_Comore.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8px-Flag_of_Moh%C3%A9li_%28official%29.svg.png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88px-Flag_of_Anjouan_%28official%29.svg.png
그랑드코모르 섬 (Grande Comore)[10]
코모로어명: 응가지자 (Ngazidja)
모엘리 섬 (Mohéli)
코모로어명: 므왈리 (Mwali)[11]
앙주앙 섬 (Anjouan)
코모로어명: 은주와니 (Ndzuwani)
면적 : 1,025km² 면적 : 211km² 면적 : 424km²

코모로 제도의 4개 섬 중 3개의 섬이 코모로의 영토이며, 동쪽 끝에 있는 마요트 섬(Mayotte, 코모로어로 마오레·Maore)은 프랑스의 해외 레지옹이다.

5. 영토분쟁 분리주의

코모로 정부에서는 마요트 섬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마요트 섬은 주민들이 원해서 계속 프랑스령으로 잔류했다. 독립에 대한 주민투표를 한 결과 다른 3개 섬은 찬성의 여론이 높았으나 마요트만 유일하게 독립 반대와 프랑스령 잔류 목소리가 높았다.

쿠데타 및 여러가지 불안요소로 경제가 엉망이 되던 1997년에 앙주앙 섬이 자체 주민투표에서 99%의 지지로 독립을 선포하였고, 모엘리 섬도 그 뒤를 따라 독립을 선포했다.

앙주앙 섬은 프랑스령으로 복귀를 청원했지만 프랑스는 이를 받아 들이지 않았다. 프랑스로선 제국주의가 종말한 현 상황에서 앙주앙 섬을 자국령으로 편입시켜도 크게 이득이 없기 때문이다. 그리고 앙주앙이 프랑스령이 된다면 주민들도 프랑스 시민권을 얻고 대거 프랑스 본토 이주를 요청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급속하게 이슬람계 인구가 늘어나는 본토의 상황에서 달갑지 않다.

모엘리 섬은 독립 선포 얼마 뒤 코모로에 복귀하였고, 앙주앙 섬도 결국 2002년 재출범한 코모로 연방에 합류하게 되었다. 그나마 2000년대에 들어선 안정된 편이지만 2008년에 앙주앙 섬에서 정부에 반기를 들었다가 중앙정부군과 아프리카 연합군에 무력 진압당했다.

6. 상징

6.1. 국가


6.2. 국기

파일:코모로 국기.svg
현재

코모로의 국기는 초록색의 삼각형과 이슬람교를 상징하는 초승달과 4개의 5각별 그리고 노란색, 하얀색, 빨간색, 파란색으로 이뤄졌다. 초승달은 이슬람교를 상징하고 4개의 5각별은 코모로령의 섬들을 상징하는데 앙주앙, 모엘리, 그랑드코모르, 마요트 섬을 상징한다. 노란색은 모엘리 섬, 하얀색은 마요트 섬, 빨간색은 앙주앙 섬, 파란색은 그랑드코모르 섬을 뜻한다.

이전의 국기는 초록색 바탕에 초승달과 4개의 섬을 상징하는 별만 새겨넣은 국기였다. 한때는 초록색에 빨강색 바탕을 혼합한 기도 들어갔으나 이후 다시 초록색으로 복귀하였고 초승달과 별 부분이 일부 눕혀지거나 우측으로 기울어진 편으로도 나왔고 1996년경에는 '신' 이라는 뜻의 아랍 문자를 새겨넣기도 하였다. 이슬람 국가라 초록색과 초승달, 별은 그대로 유지되었다.

1975년 독립 직후부터 2001년까지 26년간 무려 6회나 국기가 바뀌었는데[12], 현행 코모로 국기는 2001년 12월 23일 제정하여 오늘에 이른다.

다만 마요트 섬은 프랑스의 자치령이라 프랑스는 물론 마요트 섬에서도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마요트 섬 자체도 프랑스령으로 남길 희망하고 있어서 국기 수정을 요청하기도 하였다. 이전에도 4개 별 중 마요트 섬을 상징하는 별 하나를 빼달라는 요청도 있었다.

7. 역사

코모로와 마요트의 역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373a3c> 고대 중근세 근현대
말라가시인 이슬람화 여러 술탄국 프랑스령 코모로 프랑스령 마다가스카르 코모로 영토 코모로 연방
마요트
}}}}}}}}} ||


꽤 오래 전부터 사람이 살고 있었다. 최초로 거주한 사람들은 말라가시인으로 생각되며, 아프리카나 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 사람들이 계속 이주했다. 이후 중동의 상인들에 의해 이슬람이 전파되어 이슬람화되었다. 그리고 상당히 번창했으며 마다가스카르 해적의 습격을 받았고 이 작은 동네에 수십 명의 술탄이 있었다. 실질적으로는 술탄이 아니라 그냥 아미르급 지역 유지 정도로 보는 게 맞다. 가령 그랑드코모르 섬에는 12명의 술탄이 있었다. 19세기 프랑스가 이 섬들을 차지하게 되었다. 1912년에는 프랑스령 말라가시의 일부로 통합되었다.

코모로는 1975년 프랑스로부터 독립하였다. 그러나 마요트에서는 주민의 60% 정도가 프랑스 잔류를 지지했고 코모로 독립 이후인 1976년에는 99.4%가 프랑스 잔류를 지지했다. 어쨌든 아메드 아브달라 아브데레만(Ahmed Abdallah Abderemane)이 코모로의 초대 대통령이 되었으나 그는 프랑스인 용병 보브 드나르(Bob Denard)의 후원을 받은 사이드 모아메드 자파르(Saïd Mohamed Jaffar)의 쿠데타로 1975년 8월에 축출당한다. 하지만 사이드 모아메드 자파르 역시 1976년 사회주의자였던 알리 수알리(Ali Soilih)에 의해 축출당하였으며 수알리 역시 1978년 보브 드나르에 의해 암살당하여 아메드 아브달라가 다시 대통령에 집권하였다.

아메드 아브달라는 1989년까지 집권했으나 그의 집권 기간 내내 보브 드나르의 정치 개입과 수알리를 지지하는 청년층들로 인해 영 아닌 상태를 유지하였다. 1989년 아메드 아브달라가 암살당한 이후 임시정부의 지도자였던 사이드 모아메드 조아르(Saïd Mohamed Djohar)가 대통령으로 취임하였으나 그 역시 보브 드나르 주도의 쿠데타에 의해 1995년 9월에 전복되었다. 코모로의 정치를 좌지우지했던 보브 드나르는 GIGN에 의해 감행된 진달래 작전(Opération Azalée)을 통해 1995년 10월에 프랑스로 송환당하여 몰락하게 된다.

1996년 선거를 통해 모아메드 타키 아브둘카림(Mohamed Taki Abdoulkarim)이 대통령이 되었으나 1997년 앙주앙 섬과 모엘리 섬이 독립을 선언하는 등 정치불안 속에서 1998년 임기중에 사망하였다. 이후 전 총리였던 타지딘 벤 사이드 마순데(Tadjidine ben Saïd Massounde)가 임시 대통령이 되었으나 1999년 5월 6일에 군사 쿠데타로 인해 아잘리 아수마니(Azali Assoumani)가 집권하게 되었다. 쿠데타로 집권한 아수마니는 대통령이 되었고, 앙주앙 섬에서도 쿠데타가 일어나 모아메드 바카르(Mohamed Bacar) 대령이 장악하게 되었다. 모엘리 섬은 1998년에 이미 복귀하였고, 2002년 앙주앙 섬이 코모로 연방으로 복귀하는 것으로 하면서, 3개 섬은 별도의 대통령을 가지되 연방대통령은 윤번제로 선출하기로 하였다.[13] 신헌법에 기한 첫 선거인 2006년 대선에서 앙주앙 섬의 아메드 삼비가 연방대통령에 당선되었고, 아잘리 아수마니(Azali Assoumani)로부터 첫 평화적 정권교체를 받았다. 바카르는 2008년 앙주앙 대통령으로 재선되는 과정에서 정부에 반기를 들었으나 얼마 못 가 진압당했다. 이후 2011년 대선에서는 모일리 섬의 이킬릴루 두아닌(Ikililou Dhoinine)이 연방대통령으로 당선되었고, 그랑드코모르 순번이 된 2016년 대선에서 다시 아잘리 아수마니(Azali Assoumani)가 연방대통령으로 복귀하였다.

아수마니는 2030년까지 코모로를 개발도상국으로 올려놓겠다는 비전을 추진하였고, 2018년 7월에는 자신의 임기를 2년 단축하는 대신 윤번제를 2019년부터 10년 간격으로 리셋하는 헌법개정안을 국민투표로 통과시켰으며, 결국 2019년 3월 24일 치러진 대선에서 압도적인 득표율로 다시 당선되었다. 2019년 3월 28일에는 총격사태가 발생해 수명의 사상자가 발생되는 등 정치적 불안이 커지고 있다. 2020년 치러진 총선에서는 거의 전부가 정부지지파 의원으로 채워졌다.

8. 정치

동아프리카 정치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정치
파일:남수단 국기.svg
정치
파일:르완다 국기.svg
정치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정치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남수단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모리셔스
정치
파일:부룬디 국기.svg
정치
파일:세이셸 국기.svg
정치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정치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부룬디 세이셸 소말리아 소말릴란드i
정치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정치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정치
파일:우간다 국기.svg
정치
파일:잔지바르 기.svg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잔지바르ii
정치
파일:지부티 국기.svg
정치
파일:케냐 국기.svg
정치
파일:코모로 국기.svg
정치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지부티 케냐 코모로 탄자니아
i : 미승인국
ii :탄자니아의 속령
}}}}}}}}}

코모로의 정치 정보
부패인식지수 20점 2023년, 세계 162위
언론자유지수 62.25점 2023년, 세계 75위
민주주의 지수 3.04점 2023년, 세계 122위

9. 경제

동아프리카 경제
[[에리트레아#경제|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지부티#경제|
파일:지부티 국기.svg

지부티]]
[[에티오피아#경제|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소말리아#경제|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소말리아]]
[[케냐/경제|
파일:케냐 국기.svg

케냐]]
[[탄자니아#경제|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
[[세이셸#경제|
파일:세이셸 국기.svg

세이셸]]
[[코모로#경제|
파일:코모로 국기.svg

코모로]]

코모로 경제 정보[14]
인구 758,316 명[15] 2017년, 세계 159위
경제 규모(명목 GDP) 13억 1,000만 달러 2022년, 세계 195위
경제 규모( PPP) 32억 600만 달러 2022년, 세계 191위
1인당 명목 GDP 1,371 달러 2022년, 세계 182위
1인당 PPP 3,355 달러 2022년, 세계 167위
GDP 대비 공공부채 비율 22.3% [16] 2020년

10. 문화

동아프리카 문화
파일:남수단 국기.svg 파일:레위니옹 기.svg 파일:르완다 국기.svg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남수단 레위니옹 파일:프랑스 원형.png 르완다 마다가스카르
파일:마요트 기.svg 파일:말라위 국기.svg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마요트 파일:프랑스 원형.png 말라위 모리셔스 모잠비크
파일:부룬디 국기.svg 파일:세이셸 국기.svg 파일:소말리아 국기.svg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부룬디 세이셸 소말리아 소말릴란드
파일:하드라마우트 기.png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파일:우간다 국기.svg
소코트라 파일:예멘 원형.png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우간다
파일:지부티 국기.svg 파일:케냐 국기.svg 파일:코모로 국기.svg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지부티 케냐 코모로 탄자니아

10.1. 식문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모로 요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2. 종교

인구 대다수가 이슬람 수니파를 믿는다. 남부 지역이 적도에 약간 걸쳐 있는 소말리아를 제외하면, 코모로는 아랍 연맹의 가맹국 중 유일하게 남반구에 위치해 있다.

이슬람이 주 종교이지만 세속주의 성향이 강하며 개종도 불법이 아니라고 알려져 있다. 그리고 위키피디아에서 무종교인이된 코모로의 전 대통령에 관한 문서도 있다.

11. 자연 및 관광

세계적인 바닐라 생산국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열대성 기후의 섬나라라는 지리적 조건 덕에 관광지로 떠올랐다. 근처의 유명 관광지인 모리셔스 세이셸보다는 덜 유명하지만, 조용하고 색다른 경험을 하기 위해 찾는 관광객들이 있다. 다만 2000년대 와서 안정화되면서 관광지로 알려졌지 90년대에는 위의 막장 역사를 보면 알겠지만 여행금지국가급이었다. 또한 실러캔스의 서식지이기도 하다.

12. 스포츠

축구가 인기있지만 지부티, 소말리아에 이어 동아프리카 축구에서 피파랭킹 바닥인 198위( 2014년 1월)이다. 그나마 유럽파 축구 선수들은 있다. 이렇게 축구 쪽에서도 정말 별볼일 없는 나라지만, 사상 최초로 진출한 2021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카메룬에서 놀랍게도 16강에 진출하는 기염을 토했다. 코모로 축구 국가대표팀 참고.

13. 외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코모로/외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4. 사고

1996년 11월 23일 에티오피아 항공 961편이 3명의 납치범에 의해 하이재킹을 당하여 그랑드코모르 섬 인근 해안에 추락하였다. 탑승자 163명중 50명이 생존했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에티오피아 항공 961편 납치 사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06년 6월 29일 사나 국제공항에서 모로니 국제공항으로 가는 예메니아 626편이 모로니 공항에 접근 중 추락하는 사고가 벌어졌다.전 탑승자 142명 중 14살 소녀를 제외한 모두가 사망하였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예메니아 항공 626편 추락 사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5. 기타



[1] al-Ittiḥād al-Qumuriyy [2] waḥda, taḍāmun, tanmiya [3] 대한민국에서 가장 면적이 넓은 지자체인 강원도 홍천군 혹은 제주도보다 약간 넓다. 즉, 영토를 구성하는 섬들의 면적 총 합이 제주특별자치도 수준이다. [4] 월드오미터 기준. 통계마다 차이가 있기 때문에, 참고만 하자. [5] 마요트를 제외한 면적이다. [6] 헌법상 공용어는 코모로어이며 프랑스어와 아랍어는 국민어로 되어 있지만, 행정은 프랑스어로 이루어지고 있다. [7] 박정희 정부 시절 수교하기 시작했다 [8]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로 인해 단교 [9] 약 6년 만에 재수교 하기 시작했다 [10] 수도 모로니의 소재지. [11] 또는 음왈리. [12] 짧은 기간 동안 이 정도로 많이 국가가 바뀐 경우는 아프가니스탄이 전부다. 2001년 이전 쓰인 국기는 1978년부터 1992년까지 쓰인 깃발 하나 빼고는 대개 쓰인 기간이 5년을 넘지 못했다. [13] 해당 섬의 프라이머리를 통과한 상위 3명을 상대로 전국 결선투표를 한다 [14] https://en.wikipedia.org/wiki/Economy_of_Comoros [15] https://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and_dependencies_by_population [16] http://en.wikipedia.org/wiki/List_of_countries_by_public_debt [17] 미승인국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