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지구 평면설(地球平面說, "Flat Earth" beliefs), 지평설(地平說)은 지구가 구체이지 않고 평평하다는 반지성주의, 음모론, 종교 근본주의에 기반한 주장들을 말한다.지구가 평평하다는 생각은 선사 시대인의 관념이었으나,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이 고대에서부터 과학적인 근거로 밝혀진 이후로는 대중적인 지지를 받지는 않지만 주로 몇몇 인터넷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기독교 근본주의와 음모론이 결합한 형태로 세를 떨치고 있다.
2. 역사
2.1. 고대
신화 시대의 인류는 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했다.[1] 과학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대에는 복잡한 도구나 계산이 존재하지 않았고, 비행기와 같은 비행 수단 같은 것도 없었기에 당시 사람들은 맨눈으로 관찰한 땅의 모양을 토대로 윤곽을 추정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고대 그리스의 탈레스는 지중해를 항해하면서 관찰한 땅의 모습을 근거로, 지구가 방패처럼 가운데가 부풀어 오른 원반 모양이라고 주장한 적 있다.[2]그러나 이미 기원전부터 피타고라스를 필두로 지구가 구형이라고 생각하는 학자들은 여러 국가들과 지역들에 상당히 많이 있었다.[3] 아리스토텔레스는 월식 때 달에 드리워지는 그림자, 수평선에서 선박이 나타날 때 돛대부터 보인다는 사실 등을 근거로 지구가 구체라고 주장했다. 여기에 에라토스테네스는 기원전 240년에 위도에 따라 태양의 그림자 길이가 달라지는 것에 착안하여 지구의 둘레[4]를 구했다. 심지어 남반구를 항해하지 않았으면 나올 수 없는 천문 관측 기록이 전해 온다. 이러한 철학자들의 주장으로 지구 구형설이 존재했지만, 학자들의 상호 검증이나 학자들의 주장을 널리 전파할 수 있는 수단이 거의 없다시피 했던 시대였기 때문에 가설 중 하나에 그치는 것으로 남았다.[5] 사실 현대인의 시점에서는 위의 몇 가지 일화만으로도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은 이미 증명된 것이나 다름없으나, 문제는 고대의 과학 지식으로는 중력이라는 개념에 접근하지 못한 탓에[6] 대지가 구형이라면 어떻게 온전히 발을 붙이고 서 있을 수 있는가에 대해서 명쾌히 이해할 수 없었다.
동아시아사의 지구 평면설은 우주론/동아시아사 문서로.
물론 동서양을 막론하고 그런 논의에 대한 접근 기회 자체가 없었던 대다수의 사람들에게는 먼 이야기였다.
2.2. 중세
자세한 내용은 플랫 에러 문서 참고하십시오.중세 유럽인, 특히 르네상스 전후의 항해사나 천문학자들은 이미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을 널리 알고 있었다. 흔히 크리스토퍼 콜럼버스의 위인전에서 나오는, 당시 선원들이 '지구는 평평하므로 떨어져 죽기 싫어서 항해에 반대했다'는 이야기는 완전한 허구. 이런 중세에 대한 잘못된 인식이 어찌나 많은지 ' 플랫 에러'라고 아예 이름까지 붙었다. 사람들은 서쪽 끝으로 가면 세상의 끝이 나올까 봐서가 아니라, 콜럼버스의 엉터리 거리 계산을 믿지 못했기 때문에 항해에 대한 지원을 거부한 것이고, 실제로 그 계산은 완전히 틀렸다.[7] 그리고 페르디난드 마젤란이 세계 일주(1519~1522)에 성공하면서,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이 입증되었다. 또한 단테의 신곡 같은 기독교 문학에서조차 남반구가 묘사되는 등 세상이 둥근 것으로 표현된다.
하지만 "세계가 거대한 거북의 등껍질 위에 있다"고 우기는 중산층과 새로운 과학 지식을 강연하는 연사의 이야기가 여전히 일화로 인용될 정도로,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은 대다수의 사람들에게 보급되지는 못하였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지구의 모양은커녕 읽고 쓰는 법도 모르고, 평생을 살며 만나게 되는 그나마 학자 비슷한 사람은 시골 동네 신부가 고작인 경우가 흔했고, 어느 정도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여유가 있는 계층도 원양 항해사 같은 경우가 아니면 먹고사는 것, 혹은 당시 사회에서 교양으로 취급받던 분야와 관련 없는 부분에 대해선 무지한 것이 보통이었고, 지구 과학은 교양에 해당하지 않았다.
2.3. 근대 이후
근대 이후 국가에서 대다수의 국민들이 보통 교육을 받을 수 있게 되었고, 미디어를 통해 많은 사람들에게 과학적 사실을 보급할 수 있는 시대에 오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지구가 구체라는 과학적 사실을 교육받으며 지구 평면설의 입지는 급격히 약해졌다.[8] 하지만 아직도 관련 교육을 받지 못한 경우나, 교육을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성경 또는 음모론 등을 이유로 구형론의 증거를 부정하고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소수 존재한다.2.3.1. 평평한 지구 학회
평평한 지구 학회라는 단체도 있는데, 이름 그대로 지구가 평평하게 생겼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모인 단체다. 이들은 2017년 11월 9일, 10일 이틀에 걸쳐서 노스캐롤라이나의 캐리에서 제1회 콘퍼런스를 열기도 했다. 기사.2.3.1.1. Zetetic Astronomy
꽤 유서 깊은 단체로, 영국의 발명가이자 과학자인 사무엘 로버텀[9][10](1816~1884)으로부터 시작되었다.사무엘 로버텀은 본인이 지구 평면설이 맞다는 걸 증명하기 위해 베드퍼드강에서 높이 실험을 하였는데, 측량 결과 지구가 공 모양이라면 나와야 할 곡률이 나오지 않았으며, 그런 만큼 자기가 주장하는 지구 평면설(정확히 원반 모양이라는 이야기)가 사실이라고 주장하였지만, 이는 그 당시에도 수많은 사람들이 수많은 근거로 측량 자체가 틀렸음을 증명했다. 하지만 로보톰은 포기하지 않고 '지구는 구체이지 않다(Earth Not a Globe)'라는 이름의 430페이지에 달하는 책까지 써 내며 자신의 주장을 고집했다.
그의 주장에 따르면, 지구는 구형이 아니라 원반형이다. 지구의 중심에는 북극이 있으며, 원반의 가장자리에는 얼음벽(그러니까 남극 대륙)이 테두리처럼 둘러쳐져 있다는 것. 원반의 한쪽 면에 전 세계가 올려져 있으며, 태양과 달은 땅에서 4,800 km 높이에 있고, 우주는 그보다 조금 높은 5,000km 위에 있다고 주장했다.
그리고 천체 운동의 관측 결과를 이 원반형 지구에 끼워 맞추기 위해 온갖 설정을 추가한다. 예를 들면 태양이 북반구에서는 남쪽 하늘에, 남반구에서는 북쪽 하늘에 보이는 이유는 태양이 (원반형인) 지구의 (평면상의 원형인) 적도를 따라 매우 가까운 고도(5,000 km 미만)에서 돌고 있기 때문이다. 당연히 이렇게 가깝다고 설정했기 때문에 태양의 크기나 밝기는 현실에 비해 매우 줄어든다. 그 계산에 따르면 직경 32마일(약 50 km). 지구가 원반형인데 해가 뜨고 지고 낮과 밤이 생기는 이유는, 대기의 빛의 굴절 현상으로 해가 지는 것처럼 보인다는 주장이다. 때문에 대기권의 높이(와 밀도)도 실제보다 훨씬 높다고 하고 있어, 우주와 지구와의 경계는 현실의 1,000km가 아니라 5,000km라고 하고 있고, 태양은 대기권 안에 있다고 주장한다. 수소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중에 뜬다고. 여기까지는 그렇다 쳐도 그럼 이 대기권 내의 초소형 항성이 무엇을 중심으로, 어떤 원리로 도는가에 대한 질문에는 답변하지 못했다. 그러면서 우주 밖은 물로 차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우주 밖이 물이라면, 그들이 주장하는 달의 물결 무늬가 논리적으로 성립이 안 된다. 플랫 어스에서도 달은 대기권 안에 있고, 물은 대기권 밖에 있기 때문이다.
행성급 질량을 가진 물체가 원반형이면 중력 때문에 스스로 무너져서 구형이 되겠지만, 이 지구는 신의 권능이 어린 물질로 되어 있기 때문에 만유인력 따위 무시하고 형상을 유지한다는 것이다. 게다가 지구를 덮고 있는 돔도 알 수 없는 투명한 물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인간이 상공 2,000 km 이상 상승할 수 있는 기술력이 없고, 인공위성은 모두 엘리트들의 거짓말이라고 진심을 담아서 호소한다. 또한 원반형이면 가장자리(지구상으로 보면 남쪽)로 갈수록 중력이 수직이 아니라 북쪽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작용하겠지만, 그것도 가장자리의 밀도가 높아서 그렇다고 간단하게 설명. 다른 버전으로는 상대성 이론을 버무려서 물질은 중력을 만들어내지 않고, 원반 지구가 하늘 방향으로 초속 9.81m/s2로 가속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이론도 있다.[11]
이러한 주장이 나오게 된 계기는 사무엘 로버텀이 베드퍼드강에서의 측량 실험을 하기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 사람은 자칭 근본주의적인 기독교 신자로, 요한의 묵시록에 적힌 대로 지구가 평평하다고 주장하기 시작했다.[12] 지구를 평면체로 해석할 여지가 있는 애매모호한 구절이 있다.
그 뒤에 내가 보니 땅 네 모퉁이에 천사가 하나씩 서서 땅의 네 바람을 제지하여 땅에나 바다에나 어떤 나무에도 불지 못하게 하고 있었습니다. - 요한계시록 7장 1절
로보텀은 또 다른 책자에서, "성경은 우리의 감각과 함께, 지구가 평평하고 고정되어 있다는 생각을 지지한다."는 주장을 펼쳤다. 그러면서 그는 성경에 나오는 단어를
독자적으로 해석하여, 지구가 평평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자신의 주장을 Zetetic Astronomy라고 명명했다.사무엘 로버텀은 영국에서뿐만 아니라 미국에서도 협회를 설립하여 책자를 발간했다.
2.3.1.2. Universal Zetetic Society
사무엘 로버텀이 죽은 뒤, 엘리자베스 블런트(Elizabeth Blount)라는 여성이 Universal Zetetic Society라는 단체를 설립하였다. 이들은 The Earth Not a Globe Review라는 잡지를 발간하고, Earth: a Monthly Magazine of Sense and Science라는 신문도 1901년부터 1904년까지 발간하였다.1901년에 그녀는 로보텀의 실험을 재현하고 그 결과를 사진으로 남겼는데, 이 사람도 마찬가지로 과학자들에게 다양한 각도에서 까였다. Universal Zetetic Society는 20세기 초반이 지나도록 기세가 수그러들지 않았으나,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러한 운동은 하락세에 접어들었다.
2.3.1.3. International Flat Earth Society
그렇게 사라지나 싶었던 평평한 지구에 대한 주장은 1956년에 또 되살아났다. 마찬가지로 영국의 간판/서체 디자이너인 새뮤얼 셴턴(Samuel Shenton)이라는 사람이 국제 평평한 지구 학회(International Flat Earth Society)를 설립하고 Universal Zetetic Society를 계승했다. 이 사람은 과학에 대한 관심이 좀 있어서 종교적인 발언을 줄이기는 했지만, 지구가 평평하다는 소리는 변하지 않았다.마침 이 사람이 평평한 지구 학회를 설립한 시기가 한창 미국과 소련이 우주 경쟁에 미쳐서 로켓과 인공위성, 우주선을 쏘아 올리던 시기였기 때문에[13], 얼마 지나지 않아서 지구가 평평하지 않다는 것이 인류 역사상 최초로 직접 관측되어 버렸다. 정상적인 사고방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쯤에서 지구가 평평하지 않다는 것을 인정하겠건만, 셴턴은 훈련되지 않은 눈을 사진으로 속이는 것은 쉽다고 말하며 자신의 주장을 꺾지 않았다.
이제 온 세상 사람들이 지구가 공 모양이라는 걸 명백하게 알게 된 시대에 여전히 지구가 평평하다고 주장하다 보니, 꽤 유명해지기는 했다. 뉴욕 타임즈에서는 1964년 1월과 6월에 이 인간을 특집으로 다뤘고, 평면 지구인(flat-earther)이라는 별명도 붙게 되었다. 나중에 이 별명은 잘못되거나 쓸모없어진 생각을 고집하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되며, 사전에도 그런 의미로 실려 있다.
1969년에 새뮤얼 셴턴은 영국의 과학 기술 전문 학교인 폴리테크닉의 강사인 엘리스 힐먼(Ellis Hillman)을 설득해서 그를 평평한 지구 학회의 회장으로 임명했다. 하지만 이 사람은 활동을 거의 하지 않았고, 셴턴이 죽은 뒤에 셴턴의 장서 대부분을 자신이 직접 설립한 SF 재단의 서고에 넣어버렸다.
2.3.1.4. Flat Earth Society
찰스 존슨이 죽고 나서도 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없어지지 않았는지, 2004년에 대니얼 셴턴[14]이라는 사람이 인터넷을 기반으로 평평한 지구 학회를 부활시켰다. 트위터[15]나 페이스북에서도 활동한다. 쪽팔리는 걸 아는지, 오프라인 정모는 하지 않는다.2012년 3월 기준으로 회원 수가 약 420명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과거와는 달리 핵심적인 모델을 공유하고 있지는 않다. 공통적인 면이 있다면 진화론, 빅뱅 이론, 지구 구형론이 인간을 마음의 감옥에 가두는 3대 매트릭스라고 믿고 있다는 점이다. 또한 평평한 지구로 인해 자기처럼 교육을 못 받은 사람들도 과학자가 될 수 있다고 주장하며, 외계인의 침공에 대해서 둥근 지구는 아무 대항도 못 하지만 평평한 지구는 외계인의 침공에 대항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들이 사람들을 환상에서 구할 구세주라고 진심으로 믿는다.
하지만 당연히 지구가 평평하다는 것을 증명하지는 못하고 있다. 그나마 서적 같은 것이라도 냈던 이전의 학회들과는 다르게, 책으로 발간한 공통 이론조차 없을 정도. 창조 과학자들이 누구는 젊은 지구설을, 누구는 늙은 지구설을 주장하고, 누구는 진화 자체가 없었다고, 누구는 소진화는 있지만 대진화는 없었다고 주장하는 것과 마찬가지다. 각 회원들에 따라서 어느 정도 과학적인 사실을 받아들이는 경우도 있고, 전혀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왜 계속해서 이런 부류가 나오는가 하면... 성경은 “신의 말씀이므로 문자 그대로 받아들여야 하는 절대 진리”라는 대전제를 깔고 들어가는 가장 답 없는 사람들 때문이다. 그들의 주장대로라면 일단 지구가 이들이 주장하는 모양이라는 표현들이 성경에 나오는 것은 사실이다. 심지어 한 번도 아니고 여러 번 등장한다.[16] 성경을 성경에 저술된 문자 표현 그대로 완벽 무결한 신의 말씀이라고 철석같이 믿는 이들 입장에서는, 지구의 나이는 6천 년이고[17] 모양은 평평한 원반 위에 솥뚜껑 같은 하늘이 얹혀져 있는 것 외에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말. 당연히 성경은 신의 인류 구원을 위한 메시아를 중심으로 기술한 경전이고, 저술 기간도 수십 명의 저자가 수천 년의 긴 기간을 둔 서적이기에, 과학 기술적인 정확도를 따져서, 그것을 목적으로 저술된 것이 아니라 저술된 시기를 기준으로[18] 해당 시대 사람들, 또는 해당 성경권에서 지목한 독자들을 대상으로 읽어보고 통용되고 이해할 만한 언어와 상식을 기준으로 적혀 있다. 그렇기 때문에 성경은 성경 저술자가 야훼의 뜻을 받아 해가 뜨는 장면을 성경 저술로 묘사하면서 '지구가 태양을 자전함에 따라 태양의 핵융합으로 복사된 가시광선을 가리던 지평선이 비껴나면서, 가시광선이 대기 산란을 뚫고 나의 망막에 투영되어 시신경을 거쳐 미세한 전기 신호로 뇌세포에 전달되어 인식되었다'라고 저술할 성격의 글 자체가 아니고, 그냥 '해가 떴다'라고 저술되는 것이 그 목적에 부합되는 글이다. 그랬던 것을 이들은, 이런 성경 저술의 당대 인식과 의도가 담긴 언어 표현들을 감안하지 않고, 그리고 그 표현들이 몇 단계의 번역 과정을 거치면서 여러 시대의 문화와 상식을 담았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고, 오로지 21세기 초에 통용되는 과학 언어 인식을 기준으로 재단한다.[19] 그래서 위의 예시로 든 표현인 '해가 떴다'라는 문구가 나왔다면, '지구의 끝단 경계선인 지평선을 기준으로 지평선 아래에 위치하던 태양이 수직 상승 운동하여 지평선 위로 모습을 드러냈다'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만약에 평평설자들이 자기들의 주장을 성경을 통해 합리화받으려고 자기들 딴에 근거라고 내민 21세기 초 기준의 과학적이라는 전제가 과학의 발전을 거친 23세기에쯤에 수정된다면 그들은 뭐라고 변명할 것일까? 2천 년이 넘는 시대를 망라해 1700 페이지를 넘게 기록된 성경이기에 그 방대한 기록들 속에서 당시 그 지역 그 시대의 과학이나 기술을 담은 표현이 간혹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어디까지나 그런 표현들은 과학적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서 기록에 포함된 것이 아니라, 신이 의도한 바를 성경 저자가 기록을 하는데 있어서 필요하기에, 신의 뜻을 인간에게 전하는 데 필요해서 당시에 통용되는 수준의 표현으로 포함시킨 것들이다. 만약에 평평설자들이 성경을 대하는 것처럼, 성경의 저술은 모두 과학 기술을 묘사하는 문구들 역시 과학적인 오류가 절대로 없다고 간주한다고 전제하면, 그리고 기독교에서 말하는 전지전능한 신을 전제로 한다면 과연 신은 평평설자들이 대는 것처럼 '조잡한 수준의 과학 개념'으로 성경 저자들에게 성경을 기록시켰을까? 현대 과학이 상당한 성취를 보이고 있지만, 아직 차원이나 시공간이나 양자 상태나 중력 같은 개념을 '인간이 이해할 수 있게 해석'해 내는 데까지 나아가진 않았다. 전지전능한 신이라면 당연히 이런 모든 것을 다 통찰하고 그 이상을 알고 이해해야 할 것이다. 그런 존재가 인간에게 성경을 저술시킬 때 그 지고에 이른 수준의 과학적 정확도까지 고려해서 저술했다면, 성경은 겨우 1700페이지 가지고 '과학적으로도 정확한' 기록을 담을 수 있었을까? 설령 그렇게 저술한다고 한들, 과연 그 '과학적으로 무오한 표현을 사용한' 성경의 독자/청자들이 그걸 보고듣고 제대로 이해나 할 수 있었을까?
아주 확연한 예시를 하나 가져온다면 신약 성경 고린도 전서 13장 12절 "우리가 지금은 거울을 보는 것같이 희미하게 보지만 그때에는 얼굴과 얼굴을 맞대고 볼 것이며"를 들 수 있다. 고린도 전서가 저술된 AD 50~100년 사이 시대에 통용되는 의미의 거울이라는 말은 현대의 거울과 달라서 금속 거울이었고, 얼굴이 비치기는 하지만 실물과 비교해서는 흐릿한 편이고, 자주 표면을 닦아줘야 제 기능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현대에 통용되는 '거울'이라는 말은 거기에 비치는 모습을 정확하게 보여주는 도구를 의미한다. 이를테면 같은 거울을 비유의 대상으로 삼고 있다는 공통점은 있지만 현대 철학자 자크 라캉의 거울 단계 이론 같은 경우엔 거울은 자신의 몸을 명료하게 인식할 수 있는 수단이라는 전제 위에서 논지를 전달하고 이게 현대인의 거울에 대한 상식이라고 볼 수 있지만 이런 인식 위에서 전술된 성경의 문장을 읽으면 저자가 의도한 의미에 도달하기가 어려워지는 것이다.[20] 이 구절을 평평설자들의 방식으로 해석하면 어떻게 받아들여야 할까? 기준을 성경이 저술된 시점의 과거와 해당 고린도전서의 대조 표현을 근거로 '거울이란 시대 불문하고 희미한 것을 비추는 물건'으로 해석해야 할까, 기준을 그들이 적용하는 현대 배경이 반영된 언어를 기준으로 '거울에 비친 깨끗하고 정확하고 반듯한 상을 희미한 상이라고 억지로 간주'해야 할까? 그냥 성경에 적용된 언어들이 저술 당대 역사와 사회를 고려하여 목적에 맞게 선택되어 저술된 것을 인정하면 될 일을 그들은 억지로 문자 하나하나의 절대 무오성에 집착하다가 이런 모순을 만들어 낸다.
신학자 카를 바르트의 비유를 굳이 댈 필요도 없이, 평평설자들이 그들의 주장의 근거로 성경을 인용하는 것은 연애편지 문구에다 대고 물리학적 해석을 하자는 헛짓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이 기독교와 결부시켜서 주장하는 지구 평면설은 기독교를 부정하는 입장에서 봐도 애시당초 성경을 인용한 것 자체가 근거가 될 수 없다. 그리고 상술하는 기독교를 긍정하는 입장에서 봐도 성경을 저술한 계시적 목적, 문학적 목적, 예언적 목적, 그리고 그것을 표현하는 당대의 관점과 언어의 역사성/사회성을 싹 무시해 버리고, 성경 문장이 의도하지도 않았는데 마치 평평설자들이 취사선택한 21세기 초 기준의 자연 과학적인 전제가 깔려 있는 양, 주객이 전도된 해석 과정을 거친다는 문제가 생긴다.
참고로 이 양반들이 페이스북 계정에 "The Flat Earth Society has members all around the globe." #라고 했다가 인터넷의 비웃음거리가 되었다. 지구라는 관용적 의미의 globe라고 했을 수도 있지만, globe는 '동그란 물체'의 통칭이기도 하기 때문이다.
한 천체 물리학자가 이들의 학회에 잠입해서 그 실상을 유튜브에 올리기도 했다. #
2.3.2. 지구 평면설을 믿는 사람들
세계 각지에는 지구 평면설을 믿는 사람들이 조금씩 존재하고 있다. 특히 2020년대 이후로 지구 평면설이 하나의 인터넷 밈처럼 인식되었기 때문에 몇몇 유명 인플루언서들 중에 소위 어그로를 끌기 위해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사람들도 꾸준히 나타나고 있다.- 2009년에는 나이지리아의 악명 높은 테러 단체 보코 하람의 창시자 모하메드 유수프(Mohammed yusuf)가 BBC와 gks 인터뷰에서 '지구는 구체이지 않다.'고 이야기해서 화제가 되었다.
- 2016년에도 여러 활동을 지속하는 래퍼 B.o.B, 연예인 틸라 테킬라 등이 SNS에 지구 평면설을 주장했으며, 보다 못한 닐 디그래스 타이슨 박사가 이를 반박하자, B.o.B는 타이슨 박사를 디스질하는 노래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후에도 지구가 평평하단 걸 증명하기 위해 인공위성을 쏠 자금을 크라우드펀딩을 통해 모으는 중이라고 한다. # 닐 타이슨 박사는 2017년에 지구 평평설자들을 조롱하는 이미지를 SNS에 올리기도 하였다. ##
- NBA 댈러스 매버릭스의 가드 카이리 어빙과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의 포워드 드레이먼드 그린도 지구가 평평하다고 주장했다.[21] 샤킬 오닐도 지구가 평평하다고 주장하였다. 하지만 샤킬 오닐[22]과 카이리 어빙[23]은 후에 농담으로 밝혀졌다.
- 격투기 선수 에디 브라보가, 친구이자 UFC 커멘터인 조 로건의 팟캐스트에 나와 나사의 달 착륙을 부정하던 과정에서 지구가 둥근 것도 부정했다. 조 로건의 팟 캐스트엔 동종 직업의 격투기 선수들이 다수 출연하는데, 동료 이상의 친구들이었기에 그의 발언에 충격과 경악을 금치 못했다.
- 2017년 12월 8일 방영된 궁금한 이야기 Y에서 지구 평면설을 믿는 사람들이 나왔다. 지구 평면설을 믿는 사람들은 지구에 관한 과학을 잘 알지 못할 것이라는 고정관념과 달리, 방송에 출연한 사람들은 공학도들이었다.[24] 지구 평면설을 믿는 사람들이 ISS 관측 불가설부터 남극 여행 불가능설, 우주여행 조작설, 먼바다로 나간 배에서 관측한 육지 등등 근거를 가장한 궤변을 댈 때마다 그걸 다 실험, 인터뷰로 반박하는 게 하이라이트. ISS 관측 후 당황하는 지구 평면설 찬성론자들의 반응을 보면, 방송국이 설마 자신들의 근거를 독하게 하나하나 현실 세계로 끄집어낼 거라고 생각하진 못한 듯. 마지막에는 천문학 / 물리 과학 / 지구 과학 분야의 교수들과 전문가까지 불러서 토론까지 진행했다. 결론은 유튜브를 통해 확산되는 가짜 뉴스의 위험성과 음모론에 대한 경각심으로 마무리되었다.
- 2020년 2월 22일 몇몇 서구권에서 지구 평면설을 신봉하던 음모론자 마이크 휴즈가 지구 평면설을 입증하기 위해서 스스로 만든 사제 로켓에 탑승하여 '칼만선'까지 올라가려고 하였으나 캘리포니아주 모하비 사막에 추락하여 사망했다. ‘지구는 평평하다’ 입증하려 사제 로켓에 몸 실은 美 남성 추락사.[25]
2.3.3. 대한민국
한국에서는 상대적으로 지구 평면설의 세가 적은 편이다. 공교육의 근간이 체계적으로 잘 잡혀 있는데다, 애초에 '지구'라는 단어부터가 한자로 땅 지, 공 구 자를 써서 구형이라는 것을 무의식적으로 인지시키고 있는 덕분이다. 영어의 'Earth'라는 단어는 그 자체로 특정한 형태를 암시하는 의미는 없으며, 단순히 '지면, 지표면'으로 사용되기도 하기 때문에 확실히 한국보다 지구 평면설에 빠지기 쉽다고 볼 수 있다.물론 한국인이라고 해서 지구 평면설을 믿는 바보들이 아예 없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전에는 대부분 자기네만의 사이비 과학을 연구하는 블로그 수준의 규모로 제한되어 세를 거의 떨치지 못하고 있었다가, 유튜브의 부흥으로 인해 허위 선동과 음모론의 확산이 쉬워진 환경이 갖춰지면서 점점 눈에 띄게 설치기 시작하고 있다. 폐쇄적인 성향의 블로그들과는 달리, 지구가 평평한 이유와 함께 온갖 음모론[26]을 게시한다. 이는 같은 기독교계의 주장인 ' 진화론을 부정하는 창조설'이 학교 교과서에 영향을 줄 정도로 기세가 강한 것을 보면 매우 대조적이다. 창조설 전파에 매우 적극적인 한국창조과학회에서는 오히려 이사야 40장 22절을 갖고 와서 지구가 구체라는 과학적 진실이 성경에 있으니 창조 과학도 진실이라는 요지의 글을 쓰기도 했다. 창조과학회 자료실 글 - 성경이 진실이라는 것을 우리는 어떻게 알 수 있는가?
한국에서 하이퍼팝으로 조금 인지도가 있는 Yes Junior 24는 음악적 기믹이 아니라 실제로도 지구 평면설을 믿었었다고 한다.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단체에도 회원으로 가입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재는 지구는 구체라고 생각이 바뀌었으며, 해당 단체에서도 탈퇴한 상태라고 밝혔다.
한국에서 그나마 인지도가 있는 평면설 지지자로는 김국일이 있다. 한때 성순출판사라는 출판사를 통해서 <사랑한다 평평한 지구>를 출판[27]했고 평면 지구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하는 등 평면설을 주장한다.
그와중에 지구의 '구'는 한자로 공 구임에도 지구라고 표기했다. 이는 구의 한자 뜻이 Sphere인 것을 인지하지 못했거나, 지구를 우리가 사는 행성의 의미로만 받아들인 것이다. 애초에 지구가 평평하다는 것을 주장하려면, '지면' 등의 단어를 활용해야 맞다.
기사[28]
현재 원래 우주에 대해 다루던 디시인사이드 우주 갤러리에 올드 유저들이 다 떠나버리고 정전 갤이 된 틈을 타, 평면설자들이 난입해 반쯤 점령해 버렸다. 지금도 우주 갤러리에서 평면설자들을 몰아내기 위한 싸움은 진행 중이다. 하지만 평면설자들은 평평 갤러리에서 평면 지구를 올리는 게 왜 잘못이냐고 주장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주장들은 유튜브와 같은 거대한 커뮤니티에서 받아들여지는 일은 거의 없고, 오히려 반박당하고 조롱당하기 일수인 경우가 많다.
몇몇 서구권에서 지구 평면설은 기독교 근본주의를 거쳐 정치적 우파와 자주 결합하는데, 이 영향으로 한국에서는 특히 정치 성향이 보수이면서 기독교인 이들 중에 지구 평면설을 믿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위의 창조과학회에서도 보다시피 이들은 한국 기독교에서조차 소수고, 같은 보수들 사이에서도 비정상으로 취급받곤 한다. 대다수의 보수들은 지구 평면설 지지자들을 대놓고 비정상으로 여길 정도. 심지어는 보수를 싫어하는 사람들조차도 오죽 멍청하면 똑같은 보수 꼴통들에게조차 대놓고 비정상 취급하겠냐고 학을 뗄 정도다.
지구 평면설 지지자들이 자신들과 의견이 반대인 사람들한테 하는 주장중엔 몇몇 서구권에서 지구 평면설 관련 재판이 열렸을 때 법원이 지구 평면설 지지자들의 손을 들어줬다는 주장을 하기도 하는데, 애초에 국내외를 막론하고 판사들이 상식을 완전히 뒤엎는 판결을 내리는 사례들은 생각보다 많고, 이들 지구 평면설 지지자들은 그걸 알면서도 어째선지 간과한 것이다.
3. 지구 단어 한자
지구(地球)는 원래 중국에서 만들어진 한자어였다. 17세기 말~18세기 초, 예수회 선교사들이 서양의 천문학 지식을 중국에 전할 때 'Earth(지구)'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地球'라는 용어를 만들었다. 에도 시대(1603-1867) 때 네덜란드를 통해 서양 과학이 일본에 들어오면서, 중국에서 만들어진 한자 학술용어들도 함께 들어왔다. '蘭学(란가쿠, 네덜란드학)'을 통해 서양 과학을 배우는 과정에서 중국에서 만들어진 '地球'라는 번역어를 그대로 채택했기 때문에 일본어와 한국어에서는 입체적 구를 뜻하는 공 구(球) 한자를 계속 써오는 것이다. 중국에선 지평설(地平說)라고 말한다. 한국이 한자에 대한 무지가 많아서 지구(地球)라는 한자를 계속 쓰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4. 지구 평면설의 주장 및 근거
현대의 지구 평면설자들이 주장하는 지구 모델.
달과 해는 따로 움직이며 놀랍게도 월식과 일식이 일어난다고 주장한다. 물론 궤도는 없다. 아니, 존재할 수가 없다.
평면설자들의 전반적인 주장과 근거는 여기로.
많은 평평설자들의 채널들이 시간이 지나서 유튜브 정책위반으로 폭파되거나 유튜브 정책위반으로 영상이 내려가는 경우가 반 이상이다.
이들의 주장을 종합해 보면 현재 평면설 공론화에 가장 큰 장애물은 모델이 중구난방이라는 점이다. 물론 이 점에 대해서도 우리는 지구를 디자인한 신이 아니기 때문에 정확히는 모른다고 반박한다.
지구 평면설자들은 과학에서 제일 증요한 것은 책상에 책을 펴서 수학 공식으로 깨닫는 것이 아니라, 도로에서 차를 몰 때 기후, 바람, 무게, 사람, 공사, 경찰, 시위, 주변 동물, 신호등, 도로의 재질 상태 등으로 영향을 받기에 그에 따라 운전자가 상황에 따라 주의를 조절해야 하여 절대적 예측이 불가능한 것처럼, 그리고 세상은 게임의 시뮬레이터처럼 작동되지 않기 때문에, 관찰과 경험이 핵심이라고 주장하며, 과학에서 관찰과 경험이 중요한 이유는 현상을 직접적으로 검증하여 이론의 신뢰성을 확보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지렛대의 원리로 유명한 아르키메데스는 부력의 법칙을 실험을 통해 직접 경험함으로써 유체의 원리를 이해했다. 과학적 지식은 반복적인 실험과 직접 체험을 통해 얻어진 데이터에 의해 뒷받침될 때만 타당성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책상 위의 계산이 아닌, 실제 환경에서 관찰하고 경험함으로써 그 이론이 현실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확인하는 것이 진정한 과학적 접근을 그들은 중요하다고 주장한다. 그래서 대개의 지구 평면설자 활동가들은 사진 증거나, 영상 증거나 글로된 주장만 가져오는 것이 아니라 직접 실험을 통하여 지구는 평평하다고 주장하는 활동가들이 많아지게 된 계기가 발 벗고 나가 직접 증명을 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하지만 우리의 일상적 관찰과 경험은 때때로 실제 현상을 이해하는 데 한계가 있다. 지평선이 평평해 보이는 것은 인간의 시각적 한계와 관찰 지점의 제한성 때문이다. 과학적 접근은 이러한 감각적 한계를 뛰어넘어 현상의 본질을 이해하게 해준다. 과학은 단순한 관찰을 넘어서는 체계적 검증 방법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지구의 자전은 우리가 직접 체감할 수 없지만, 푸코의 진자 실험이나 인공위성의 궤도 계산을 통해 명확히 증명된다. 또한 멀어지는 배의 선체가 먼저 사라지는 현상은 지구의 곡률을 보여주는 직접적인 증거다. 중요한 것은 과학이 우리의 경험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더 넓은 맥락에서 설명한다는 점이다. 우리 눈에 보이지 않는 공기의 존재나 지구의 자전과 같은 현상들도 과학적 방법을 통해 이해할 수 있게 된다. 결론적으로, 진정한 과학적 이해는 단순한 관찰을 넘어서 현상의 원리를 탐구하고 검증하는 것에서 시작된다. 이는 우리의 감각적 경험의 한계를 극복하고 자연 현상을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게 해준다.
지구 평면설자들은 과학적 접근법과는 거리가 먼 개인이 둥근 지구의 증거들을 부정하는 데만 몰두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히 합의된 지구 모델 자체가 존재하지 않는다.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99.99%는 '기존 과학자들은 뭔가 잘못 알고 있다'라는 풍으로 온건하게 반박하는 것이 아닌, '기존 과학자들을 사기꾼'이라는 풍으로 비난하는 옳지 않은 특성의 성향을 보인다. 거기다 여러 과학을 불신하는 태도가 나타나는 경우가 상대적으로 들어가면서 정작 기존 과학 원리가 둥근 지구를 부정하는 데 필요하다면 써먹는 취사선택을 하는 행보도 보인다. 그럼에도 이론과 증명에 대한 어설픈 이해도를 보이고, 구형론에 대해서도 제대로 이해하고 있지 않아 구형론의 과학적인 모순이라는 주장들도 그저 기본 상식이 처참한 것이 원인인 경우가 대부분이다. 여기에 근본주의 신앙까지 섞인 평평설자까지 섞여 들어가기 때문에, 평면설자의 성향마다 각자의 주장은 뒤죽박죽. 그럼에도 평평설자들은 아무튼 평평하다는 주장만 있으면 합리적이라고 착각하고, 이를 전혀 검증 없이 받아들인다. 억지 주장의 대표적인 행위인 '결과를 정해두고 근거를 결과에 끼워 맞추는' 식으로 만든 거짓 증거와 엉터리 공식, 극단적인 불가지론[29], 구형론자의 반박은 배격해 버리는 폐쇄주의, 남들과는 다른 주장을 펼치고 있다는 점에 근거해, 자신들이 합리적인 의심을 하고 있으며 의심이 가능한 자신들은 깨어 있다는 선민의식에 빠져 무엇이 문제인지 인지를 못한 채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30]
4.1. 지구 평면설이 말하는 지구 / 우주 모델
아래 내용은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지구 / 우주의 형태에 대해 주로 하는 주장이다.- 중력은 존재하지 않는다.
- 해와 달은 지구 표면에서 5,000km 떨어져 있는 지름 50km의 구(球)이며,[32] 이들이 공전함으로 인해 낮과 밤이 생겨난다. 재밌는 것은 해와 달이 떨어져 있다고 주장하는 거리, 해와 달의 지름 수치도 평면설자마다 다르기 때문에 추측이라고 얘기하는 경우도 있다. 심지어 어떤 이는 달이 홀로그램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들은 태양이 홀로그램이 아니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비행기에서 태양 빛은 보이기 때문이다.
-
알려진
우주 모델은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지구에서 밖으로 나가면 물이 있다. 그래서 인류는 우주로 나간 적이 없으며, 우주로 나가서 행성을 조사하는 기계는 전부 그래픽 사진과 그래픽 영상들이며, 우주사들은 그냥 와이어를 달거나 수영장 안에 우주복을 입고 들어가
그린 스크린 앞에서 연기하는 돈 많이 받은 연기자들이다.
- 해와 달은 존재 또는 해는 존재하며 달은 물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홀로그램이라는 의견으로 나뉘기도 한다.
- 수평선 너머의 고도 물체가 보이지 않는 건, 인간의 시력 한계가 존재하며, 각 지평마다 고도가 다르며, 원근법의 소실점과 때에 따라 대기의 먼지로 잘 보이지 않는 것이다.
4.2. 지구 평면설의 주장들
보통 지구 평면설을 믿는 사람들의 주장은 뉴턴의 기본 물리 법칙( 관성의 법칙, 가속도의 법칙, 작용 반작용의 법칙, 등가속 원운동의 개 념, 만유인력의 법칙)들을 모르거나 오해해서 인간 관측자가 오감으로 느낄 수 있는 기준으로 받아들이고, 그러자 생기는 의문점을 가지고 '이것이 지구 평면설의 증거다!'라고 주장하는 경우가 많이 보인다. 그래서 그것을 반박하려면 물리 법칙의 기본 개념을 설명해 주면 해결된다. 그러나, 그럴 때는 아예 물리 기본 법칙까지도 부정하고 나오는 경우마저 생긴다. 그럴 때는 물리 기본 법칙을 성립시킨 아이작 뉴턴이나 갈릴레오 갈릴레이 등의 실험 자료를 이해시키면 된다. 뉴턴은 사기라고 주장하는 평평설자도 있다. 그것은 아래 '중력 / 원심력 관련' 부분에 서술되어 있다. 애초에 그 사람은 뉴턴, 아인슈타인을 능가하는 인류 역사급의 물리학의 신성이거나, 아니면 더 이상 말이 통하지 않는 사람으로 정도로 간주하면 될 것이다. 어느 쪽이건 더 이상의 대화는 불가능하니 말이다.요즘 이들은 과학을 아예 부정하는 추세이다. 아폴로 계획 음모론 항목에도 설명되어 있는 "음모론의 확장"의 전형적인 사례인데, 각종 과학적 근거로 자신들의 주장이 여지없이 논파당하자 최근에는 아예 현대 과학을 통째로 부정하고 자신들의 음모론 체계에 스스로 매몰되어 심취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아래 내용들은 기초적인 과학 지식을 이해하고 있다는 전제 하에, 혹시나 있을 음모론자들의 유사과학적 설명을 반박하고 진실을 알려주기 위해 여러 위키 문서 기여자들이 지혜를 모아 편집한 내용이다. 이러한 취지를 잘 이해하도록 하자.
다만 온라인 커뮤니티에서의 논쟁을 위해서라면, 본 문서의 과학적 내용을 읊어주는 것보다 더 좋은 방법이 있다. 과학적 사실을 하나하나 읊어서 반박해 주다 보면 무조건 평평설자 측에서 자신의 주장을 뒷받침할 근거로 일루미나티 등의 더욱 거대한 음모론을 끌고 오게 될 텐데, 아예 처음부터 이 거대한 음모론을 지적하면서 시작하는 편이 진행이 더욱 빠를 수도 있다.
4.2.1. 중력 / 원심력 관련
- 중력은 존재하지 않는다.
- (평평설자 주장 설명): 진짜로 중력이 존재한다면 지구의 중력이 무거운 달은 끌어당기는데 가벼운 나비는 끌어당기지 않는다는 말이 된다. 또한 헬륨 풍선이나 연, 새가 나는 일 따윈 없을 것이다. 그리고 중력이 있다면 왜 만조 때 달이 지구의 바닷물은 잡아당기면서 지상의 물체는 잡아당기지 않는지 설명이 불가능하며, 지구의 대기가 공기의 확산으로 인해 우주로 빠져나가지 못하는 것도 설명할 수 없다. 또한 중력이 존재한다면, 원심력 때문에 극지방과 적도의 중력이 달라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가 중력이라고 느끼는 것은 사실 중력이 아니라 밀도에 따라 물체가 가라앉고 뜨는 것에 불과하다.
- (반박): 기본적으로 중력이 뭔지 이해하지 못하니 이런 허황된 주장을 하는 것이다. 밀도에 따라 물체가 어떻게 운동할지 결정되는 것은 사실이다. 물체가 놓인 공기와의 밀도 차이가 클수록, 물체는 더 큰 가속도를 갖게 될 것이다. 이 개념에 근거하여 간단한 수식을 만들어보자. 실험적으로 물체의 밀도는 [math(\rho)], 공기의 밀도를 [math(\rho_0)]라 하면 물체가 받는 가속도 [math(a)]는 다음과 같다.
[math(a = (1 - \rho_0/\rho)g)] [33]
여기에서 [math(g)]는 공기의 밀도를 무시할 수 있을 만큼 물체의 밀도가 클 때 주어지는 가속도이다. 일단 표준 물리학의 입장은 이를 중력과 부력으로 분리해 설명하는 것이다. 괄호 안의 첫 번째 항을 중력, 두 번째 항을 부력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부력 역시 중력 [math(g)]에 의해 형성된다.) 하지만 [math(g)]를 그냥 상수 취급한다면 중력을 제거하고 밀도 차이만으로 물리를 설명하는 것도 가능해 보인다.
그러나, 이 현상을 밀도 차이만으로 설명하는 이들은 밀도 차이가 어째서 지구에 대한 연직 방향으로 작용해야 하는지를 설명해야 한다. 밀도 자체는 스칼라로서 선호되는 방향을 갖지 않는데도, 실제로는 일관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층화 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자유 낙하 하는 실험실에서는 물과 기름이 분리되지 않고 섞이는데, 이것을 선호되는 방향이 없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선호되는 방향"을 설명하는 가장 단순하고 자연스러운 해답은 물체를 아래로 끌어당기는 원인이 아래에 있는 지구에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곧 중력이다. 이 경우, 공기가 없는 상황([math(\rho_0 = 0)])에 순수하게 물체에 작용하는 가속도(힘) [math(g)]를 중력이라 보고, 공기와 상호 작용하여 만들어지는 반대 방향의 힘을 부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간조 및 만조 현상에 대해서는 조석 문서 및 기조력 문서 등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지구의 대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건 당연히 중력으로 설명되는 부분이다.
극지방과 적도의 중력이 다른 것은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이론적으로 중력은 원심력과 만유인력의 합력이기 때문에 극지방과 적도의 중력은 차이가 있으며, 극지방 쪽의 중력이 더 강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적도와 극지방까지 갈 필요도 없이 위도 몇 도의 변화로 의미있는 중력의 변화를 확인시켜 주는 실험이 있다. 해당 영상은 호주의 민간 항공기 현직 기장이 일하면서 호주 국내선을 오고 가며 위도의 차이가 있는 세 도시에서 동일한 질량을 가진 물체로 무게의 변화를 확인시켜 주는 영상이다. 그리고 한국도 서울과 부산 정도에서 충분히 소수점의 그램 수 차이는 확인이 가능하다! 국방TV 역전다방 영상에 소개되어 있는 에피소드로, 2차 세계 대전 당시에도 미국이 어뢰를 개발하면서 위도에 따른 중력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어뢰를 설계했다가 문제가 생겼던 사례도 있다. 애초에 중력은 없지만 모든 물체는 하방으로 향해야 하며, 평평한 지구는 기울어지지 않아야하고 달과 태양은 중력 없이 둥글면서 지구를 뱅글뱅글 돌아야 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그러나, 이 현상을 밀도 차이만으로 설명하는 이들은 밀도 차이가 어째서 지구에 대한 연직 방향으로 작용해야 하는지를 설명해야 한다. 밀도 자체는 스칼라로서 선호되는 방향을 갖지 않는데도, 실제로는 일관적으로 연직 방향으로 층화 현상이 일어난다. (예를 들어 자유 낙하 하는 실험실에서는 물과 기름이 분리되지 않고 섞이는데, 이것을 선호되는 방향이 없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 이처럼 "선호되는 방향"을 설명하는 가장 단순하고 자연스러운 해답은 물체를 아래로 끌어당기는 원인이 아래에 있는 지구에 있다는 것이다. 이것은 곧 중력이다. 이 경우, 공기가 없는 상황([math(\rho_0 = 0)])에 순수하게 물체에 작용하는 가속도(힘) [math(g)]를 중력이라 보고, 공기와 상호 작용하여 만들어지는 반대 방향의 힘을 부력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간조 및 만조 현상에 대해서는 조석 문서 및 기조력 문서 등을 참고할 수 있다. 그리고 지구의 대기가 빠져나가지 못하는 건 당연히 중력으로 설명되는 부분이다.
극지방과 적도의 중력이 다른 것은 실험적으로 증명되었다. 이론적으로 중력은 원심력과 만유인력의 합력이기 때문에 극지방과 적도의 중력은 차이가 있으며, 극지방 쪽의 중력이 더 강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실제로 적도와 극지방까지 갈 필요도 없이 위도 몇 도의 변화로 의미있는 중력의 변화를 확인시켜 주는 실험이 있다. 해당 영상은 호주의 민간 항공기 현직 기장이 일하면서 호주 국내선을 오고 가며 위도의 차이가 있는 세 도시에서 동일한 질량을 가진 물체로 무게의 변화를 확인시켜 주는 영상이다. 그리고 한국도 서울과 부산 정도에서 충분히 소수점의 그램 수 차이는 확인이 가능하다! 국방TV 역전다방 영상에 소개되어 있는 에피소드로, 2차 세계 대전 당시에도 미국이 어뢰를 개발하면서 위도에 따른 중력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어뢰를 설계했다가 문제가 생겼던 사례도 있다. 애초에 중력은 없지만 모든 물체는 하방으로 향해야 하며, 평평한 지구는 기울어지지 않아야하고 달과 태양은 중력 없이 둥글면서 지구를 뱅글뱅글 돌아야 한다는 것 자체가 모순이다.
- 비행기가 몇 시간이나 날아도 고도가 그대로 유지된다. 그리고 비행기가 고도를 날 때 구름이 완전히 평평한 것을 본 적이 있다. 지구가 구형이었다면 비행기는 이륙한 이후 지속적으로 고도가 높아져 지구를 탈출할 것이다.
- (반박): 비행기 조작 시에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인해 당연히 고도가 올라가기도 하고 떨어지기도 한다. 마치 고속도로에서 차선을 지키기 위해 미세한 조종을 하듯이 항공기 조종사들도 그런 일을 한다. 우리는 그러한 행동을 비행기 조종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장시간의 비행기 운행 중에는 대부분 자동 항법으로 운행되며 자이로스코프와 가속도계, 자동 항법 장치가 비행기의 고도를 유지시켜 준다. 이는 지구 표면을 일정한 속도와 고도로 비행하는 비행기는 이론적으로 봤을 때 "돌에 끈을 묶어 빙빙 돌리는 것"과 유사하다. 중력에 잡혀있기 때문에 같은 속도를 유지한다면 원리상 같은 고도가 유지된다. 예로 1989년에 폴란드에서 이륙한 구소련군 소속 MiG-23 전투기가, 조종 불능에 의해 조종사가 자동 항법으로 설정한 후 탈출한 다음에도 비행 안정을 저절로 회복한 뒤 무려 900 km를 거의 같은 고도로 비행하다가 벨기에까지 날아가서 결국 연료 부족으로 추락한 사례가 실제 있다. 음모론자들 주장대로 비행기가 지속적으로 고도를 높여 지구를 탈출하려면 중력 탈출 속도를 내야 한다. 참고로 이것도 중력과 연관이 있다. 참고로 비행기 조종, 특히 여객기 조종 기술의 주요 내용은 당연히 지구가 구체라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민항기들은 둥근 지구 표면 위의 일정한 가상의 식별점, 즉 '웨이포인트(waypoint)'들을 따라서 비행한다. 이 웨이포인트라는 것은 지구 위의 위도와 경도로 표시된 특정한 좌표에 알파벳 5개로 구성된 명칭들을 붙인 것이며, 민항기 조종사는 비행 전에 항로와 웨이포인트 고유 명칭을 입력함으로써 비행 관리 컴퓨터(FMC) 자동 항법 장치가 정해진 항로를 따라 비행할 수 있게 한다. 한국공항공사 웨이포인트 설명 간단히 말해서, 저들이 말한 대로 비행기가 직선 비행을 한다면 고도가 약간 올라가긴 하고, 대륙간 비행처럼 긴 비행을 한다면 상당히 높이 올라간다. 그러나 그 올라가는 양만큼 똑같이 중력을 받아 계속 떨어지도록한 결과, 쌤쌤이 되어 일정한 높이로 맞춰 가면서 비행하는 것이 바로 지구상의 비행기들의 직선 비행 방식이다. 백번 양보해서 아무런 조종 없이 가만두면 고도가 알아서 높아진다고 쳐도, 조종사가 낮게 조종하면 그만이다. 원형 트랙을 달리는 차를 보면서 "이 차는 트랙을 벗어나지 않으니 이 트랙은 일직선"이라고 주장하는 거랑 비슷하다.
- 지구의 자전 속도는 시속 1,660 km, 공전 속도는 초속 30 km인데, 그 정도의 속도라면 지구상의 물체는 원심력 때문에 우주로 날아갈 것이다.
-
(반박): 원심력에 의한 가속도는 a=v2/r이다. 즉, 원심력은 표면의 이동 속도의 제곱에 비례하긴 하나, 회전의 반지름에 반비례한다. 지구의 자전 속도는 시속 1,660 km, 초속 460 m 정도이다. 그리고 지구의 반지름은 6400 km, 즉 6,400,000 m이므로, 지구 표면에서 느끼는 원심 가속도는 460*460/6,400,000 = 0.033 m/s2로, 이는 지구의 중력 가속도 9.81m/s2보다 약 300배나 약한 값이다. 그리고 이 값은 적도에서 계산된 값으로, 위도가 올라갈수록 더 약해진다. 마찬가지로 지구와 태양의 거리는 1억 5천만 km이므로, 공전에 의한 가속도는 30,000*30,000/150,000,000,000=0.006m/s2이다. 이는 자전에 의한 가속도보다 5.5배, 중력 가속도보다는 1600배 이상 작은 값이다. 한마디로 지구의 자전 및 공전 속도가 빠르기는 하지만, 회전 반지름이 압도적으로 크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원심력은 매우 작게 나타난다. 지구상의 물체가 원심력에 의해 우주로 날아가려면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의한 가속도가 중력 가속도보다는 커야 하는데, 그러려면 지구의 자전속도가 현재보다 17배 빠른 27,200 km/h, 공전 속도는 현재보다 40배 빠른 1200 km/s가 되어야 한다. 이 경우 하루는 1.4시간, 1년은 9일 정도로 줄어든다. 한마디로, 지구의 회전 속도가 사람이 날아갈 정도가 되면, 지구는 이틀마다 계절이 변하는 지옥 같은 곳이 된다.
그뿐 아니라 이동하는 물체 1 내에서 있는 물체 2가 그 물체 1의 이동 속도 때문에 물체 2가 날아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간과한 주장이다. 정확히 말하면, 물체 2가 날아가는 것은 물체 1의 가속도 때문이지 속도 때문이 아니다. 이를테면 시속 900km로 빠르게 날고 있는 여객기 내 좌석에 앉아있는 승객들은 날려 보내는 힘을 느끼지 못한다. 바로 그 힘을 느끼는 순간은 바로 비행기가 급감속하거나 급가속하는 순간이거나 지붕이 뜯겨지기라도 해서 공기의 흐름을 받아 반작용이 가해질 때에 한한다. 그런데 그런 현상을 지구 평평설자들의 주장에 대입해 보면 지구의 자전이나 공전이 확 빠르게 가속되거나 감속(심하면 멈출)될 경우가 된다. 그런데 저 반론은 그런 상황을 상정한 것이 아니다. 바로 거의 일정하게 움직이는 지구의 운동에다 다고 저런 반론을 했다. 그러므로 저들은 물리 교과서 거의 맨 앞에서 구분해 놓은 속도와 가속도의 개념을 혼동한 것이다. 간단히 말해서, 위에서도 말했지만, 저들은 측정으로 증명된 만유인력 법칙의 공식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여실히 들어날뿐더러 가속도 및 관성의 개념까지 무시한 채로 주장을 거듭할 따름이다.
또한 이 문서에서 상술된 서술들의 다수가 지구 평평설자들의 주장에 맞춰서 대응하여 설명하다 보니 '원심력'이라는 용어를 자꾸 사용하고 있지만, 원심력 항목에서 볼 수 있듯이 원심력이라고 하는 힘은 존재하지 않는 힘이다. 윗 서술의 대다수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지구의 중력이라는 형태로서 구심력이 설명되고 있고, 지구 평평설자들이 말하는 그 원심력이라는 것의 개념 자체가 중력이라는 구심력과 수직한 방향으로 움직이는 직선 관성 운동이 합쳐지는 과정에서 작용 반작용이 작용하자, 그것을 인간이 체감하기에 마치 물체가 회전 운동 밖으로 날아가려고 하는 것처럼 인지되는 것을 표현하고자 하는 가상의 힘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지구 평평설 반론 측에서는 구심력의 역할을 수행하는 중력이 존재함과 관성을 증명하고 있기 때문에 논리는 완결성을 갖춘다. 거기에 비해 지구 평평설자들은 그것을 반론하기 위해 구심력 역할을 하는 중력을 부정하면서, 원심력의 실체를 증명해야 하는 상황에 몰린다. 그러나 가상의 힘인 원심력은 구심력의 표현 방식을 작용 반작용의 틀에서 체험적으로 설명하는 개념일 뿐, 그 실체가 존재하는 힘은 아니기 때문에 증명할 방법이 없다.[34]
- 물은 수평을 이루려고 하는데, 둥근 지구라면 표면이 경사져 있기 때문이 물이 옆으로 흘러내릴 것이다. 하지만 평평한 지구라면 바닷물이 흘러내리지 않는 이유[35]가 설명된다.
- (반박): 컵과 바닥에 떨어진 물이 수평하게 보이던가? 물의 표면 장력 때문에 그렇지 않다는 것이 보일 것이다. 이것은 음모론자들의 주장에서 참으로 일관되게 보이는 오류이다. 위에 주장들에서도 그런 양상이었지만, 여기서도 지구 정도의 스케일, 즉 인간의 통상적인 인지 범위를 벗어나는 큰 단위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자신의 인지 범위 안에서 이해하고 설명하려 하니 오류가 생기는 것이다. 애당초 우주에서는 위, 아래, 옆 개념이 없다. 우리가 북쪽과 남쪽이라 하는 것은 지구의 자전축을 기준으로 해서 구분한 개념일 뿐이고, "옆"이라는 개념은 자신을 중심으로 하는 편의적인 설정이다. 애시당초 중력이 무엇인지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데서 발생하는 오류이다. 중력은 아래쪽이 아닌 지구의 중심 방향으로 작용하며, 중력장 내부의 모든 물체들은 지구의 중심 방향으로 가속된다. 단지 지구 표면에서 생활하는 우리가 해당 지점에서 지구 중심으로 향하는 방향을 보통 아래쪽이라고 부르는 것뿐이다.그리고 바닷물은 조금만 경사지고 낮은 곳이 있으면 당연히 거기로 흐른다. 좀 더 중력의 개념에 맞도록 알기 쉽게 표현하자면, 물은 아래로 옆으로 흐르는 것이 아니라 지구의 질량 중심을 향해 흐르는 것이다. 다만 물이라는 매질의 특성상 지구의 표면을 따라서 흐르는 것뿐이다.
4.2.2. 곡률 / 원근감 관련
- 선박이 밑에서부터 사라지는 것은 그저 멀어서 소실점 때문에 않는 것뿐이다. 망원경으로 보면 수평선 밑으로 사라졌던 부분이 보인다.
- (반박): 실제로 관측하면 아무리 고성능 망원경이어도 수평선 밑으로 사라진 부분은 절대 보이지 않는다. 다시 말해, 주장 자체가 거짓말이다. 음모론자들은 파도에 가려지는 것이니 원근법에 의한 착시니 어쩌니 하는데, 수평선에 배 아랫부분이 가려지는 걸 영상으로 뻔히 보면서도 그걸 부정한다면 뭘 어떻게 더 설명해 줘야 할까? 그들 주장대로 파도나 착시에 불과하다면, 레이더나 레이저 같은 장비로는 잡히는 것이 정상이다.
* 곡률 계산에 따르면 절대 보이지 말아야 할 물체가 보인다. 시카고의 사진이 59마일 떨어진 곳에서 평면으로 사진이 찍혔다. 곡률 계산에 따르면 미시간호에서 90km 넘게 떨어진 시카고는 보이지 말아야 하지만 이것을 촬영한 사진이 있다.
* (평평설자 주장 설명):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면 지평선 아래 2320피트의 부분만 보여야 한다. 지구가 구체라면 이것은 불가능 한 것이라는 주장이다.
피타고라스 정리와 지구의 치수로 계산 해보면, b가 지구의 지름(3963피트)이고 a가
시카고에서 가장 높은 건물의 꼭대기 일 때, 수평선보다 27m 아래에 있어야 한다는 것이며, 이럴 경우 59마일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는 전혀 보이지가 않는다는 것이 성립이 된다.
하지만 모든 것들이 아래로 내려가 있지않고 그대로 보인다. 지구 평평설자에 따르면 인간의 눈으로는 시력의 한계가 있기에 눈으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카메라로는 찍혔다. 하지만 미국 대형 미디어에서날씨 뉴스 리포터인 롭 스키바는 반박하기론 신기루가 카메라에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신기루가 카메라에도 찍힐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보통 알려진 신기루는 사람의 시력으로 인해 보여지며, 신기루는 지면 근처의 뜨거운 공기층 표면에서 반사되어 발생하여 뜨거운 날씨가 주력인 사막에 신기루가 있다는 것이 잘알려진 편인데, 시카고는 사막이 아니다.
우리는 곡선 너머로 사라지는 배를 관찰하는데 아주 익숙해져 있다. 하지만 지구평평설자 주장에 따르면, 인간의 시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뱃머리가 보이며, 망원경이나 고성능 카메라나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면 배 전체가 보이는 것을 통해 원근법과 빛 반사 원리에 의해 인간의 시각적인 착각이라는 것이다.
* (반박): 평면설자들은 위의 소실점으로 인한 소멸과 대치되는 주장을 하고 있다. 게다가 해당 기사부터 호수 위 수증기에 의한 굴절 신기루 현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미시간호 기후 특성상 신기루가 자주 발생하는데 아예 시카고가 거꾸로 맺힌 신기루도 촬영되기도 한다. 이것이 신기루가 아니라면 신기루 없이도 항상 90km 밖에서 시카고를 볼 수 있어야 할 것인데 몇몇 서구권의 구형론자와 평평설자들이 직접 미시간호에서 촬영을 하였음에도 같은 사진을 얻어낼 수가 없었다. 최근에 미국에서 지구 평면설 신봉자들이 레이저 기기를 이용해서 지구가 평평하다는 것을 입증하겠다고 나섰다가, 본의 아니게 오히려 지구 곡률이 존재한다는 것만 확인해 버린 에피소드도 있다. 해당 링크
이것은 대기 굴절이다. 대기 굴절은 대기층을 빛이 지날 때 공기 밀도의 차이로 인해 굴절이 발생하는 자연 현상이다. 천체를 관측할 때 이러한 대기 굴절로 인한 오차를 천문학계에서는 대기차라고 부른다. 천문 관측을 할 때는 이러한 대기의 굴절 현상을 반드시 고려해야 정확한 관측이 가능하다.
대기 굴절 현상은 지구의 곡률을 부정하는 증거가 아니라 오히려 이를 입증하는 자연 현상이다. 시카고 스카이라인이 59마일 떨어진 곳에서 관측되는 현상은 단순히 피타고라스 정리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이는 지구 대기의 특성으로 인한 빛의 굴절 현상 때문이다.
대기 굴절은 일상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일몰 시 태양이 실제보다 크게 보이거나, 밤하늘의 별들이 반짝이는 것도 모두 대기 굴절 현상의 예시다. 차가운 호수 위에서 발생하는 대기 굴절은 특히 주목할 만한데, 이는 특정한 기상 조건에서만 발생하는 현상이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현상이 항상 관찰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만약 지구가 평평하다면 이러한 관측은 날씨와 관계없이 항상 가능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특정한 대기 조건에서만 이러한 관측이 가능하며, 이는 지구의 곡률과 대기 굴절이 결합된 결과다.
현대의 고성능 카메라는 인간의 눈보다 더 많은 빛을 수집할 수 있어 이러한 현상을 더 잘 포착할 수 있다. 이는 기술의 발전이 자연 현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더욱 깊게 만들어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시카고 스카이라인의 관측은 지구가 평평하다는 증거가 아니라, 오히려 지구의 곡률과 대기 과학의 원리를 완벽하게 설명하는 예시다. 이는 과학적 관찰과 이론이 어떻게 자연 현상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하지만 모든 것들이 아래로 내려가 있지않고 그대로 보인다. 지구 평평설자에 따르면 인간의 눈으로는 시력의 한계가 있기에 눈으로 보이지 않을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카메라로는 찍혔다. 하지만 미국 대형 미디어에서날씨 뉴스 리포터인 롭 스키바는 반박하기론 신기루가 카메라에 보이는 것이라고 설명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신기루가 카메라에도 찍힐 수 있는지는 의문이다. 보통 알려진 신기루는 사람의 시력으로 인해 보여지며, 신기루는 지면 근처의 뜨거운 공기층 표면에서 반사되어 발생하여 뜨거운 날씨가 주력인 사막에 신기루가 있다는 것이 잘알려진 편인데, 시카고는 사막이 아니다.
우리는 곡선 너머로 사라지는 배를 관찰하는데 아주 익숙해져 있다. 하지만 지구평평설자 주장에 따르면, 인간의 시력에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뱃머리가 보이며, 망원경이나 고성능 카메라나 스마트폰의 카메라를 이용하면 배 전체가 보이는 것을 통해 원근법과 빛 반사 원리에 의해 인간의 시각적인 착각이라는 것이다.
* (반박): 평면설자들은 위의 소실점으로 인한 소멸과 대치되는 주장을 하고 있다. 게다가 해당 기사부터 호수 위 수증기에 의한 굴절 신기루 현상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미시간호 기후 특성상 신기루가 자주 발생하는데 아예 시카고가 거꾸로 맺힌 신기루도 촬영되기도 한다. 이것이 신기루가 아니라면 신기루 없이도 항상 90km 밖에서 시카고를 볼 수 있어야 할 것인데 몇몇 서구권의 구형론자와 평평설자들이 직접 미시간호에서 촬영을 하였음에도 같은 사진을 얻어낼 수가 없었다. 최근에 미국에서 지구 평면설 신봉자들이 레이저 기기를 이용해서 지구가 평평하다는 것을 입증하겠다고 나섰다가, 본의 아니게 오히려 지구 곡률이 존재한다는 것만 확인해 버린 에피소드도 있다. 해당 링크
이것은 대기 굴절이다. 대기 굴절은 대기층을 빛이 지날 때 공기 밀도의 차이로 인해 굴절이 발생하는 자연 현상이다. 천체를 관측할 때 이러한 대기 굴절로 인한 오차를 천문학계에서는 대기차라고 부른다. 천문 관측을 할 때는 이러한 대기의 굴절 현상을 반드시 고려해야 정확한 관측이 가능하다.
대기 굴절 현상은 지구의 곡률을 부정하는 증거가 아니라 오히려 이를 입증하는 자연 현상이다. 시카고 스카이라인이 59마일 떨어진 곳에서 관측되는 현상은 단순히 피타고라스 정리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 이는 지구 대기의 특성으로 인한 빛의 굴절 현상 때문이다.
대기 굴절은 일상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이다. 예를 들어 일몰 시 태양이 실제보다 크게 보이거나, 밤하늘의 별들이 반짝이는 것도 모두 대기 굴절 현상의 예시다. 차가운 호수 위에서 발생하는 대기 굴절은 특히 주목할 만한데, 이는 특정한 기상 조건에서만 발생하는 현상이다.
중요한 점은 이러한 현상이 항상 관찰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만약 지구가 평평하다면 이러한 관측은 날씨와 관계없이 항상 가능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특정한 대기 조건에서만 이러한 관측이 가능하며, 이는 지구의 곡률과 대기 굴절이 결합된 결과다.
현대의 고성능 카메라는 인간의 눈보다 더 많은 빛을 수집할 수 있어 이러한 현상을 더 잘 포착할 수 있다. 이는 기술의 발전이 자연 현상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더욱 깊게 만들어준다는 것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시카고 스카이라인의 관측은 지구가 평평하다는 증거가 아니라, 오히려 지구의 곡률과 대기 과학의 원리를 완벽하게 설명하는 예시다. 이는 과학적 관찰과 이론이 어떻게 자연 현상을 정확하게 설명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 비행기에 타면 구형론에 따라 둥글게 보여야 할 지구의 수평선이 평평하게 보인다.
-
(반박): 이 역시 지구 곡률 계산만 해봐도 헛소리란 걸 알수 있다. 여객기 고도는 최대 10km 정도이다. 지구의 둘레는 약 40,000km이다. 지구의 굴곡을 인간의 눈으로 확연히 보기는 좀 어려운 위치다. 사람에 따라서는 비행기가 순항 고도에 올라갔을 때 지표면이 아주 약간 곡률을 이루는 걸 느낄 수도 있으며 기기를 이용하면 더욱 정확해진다. 물론 비행기 창문으로 인해 굴절되어 보이는 효과도 있을 수 있다. 사실 오히려 비행기를 타고 올라가서 지구를 보는 것이야말로 지구가 구형이라는 것을 입증하는 강력한 증거 중 하나다. 만약 지구가 평평하다면, 비행기에 있든 지표면이 있든 간에 땅끝을 볼 수 있어야 된다. 즉 우리가 실제로 보는 범위보다 훨씬 더 멀리까지 보여야 정상이다. 그러나 고도가 높아질수록 수평선과의 거리가 멀어지며 여전히 지구 곡률에 의해 가려지는 부분을 절대 볼 수 없다. 이 점으로 인해 평면설자의 원근법과 소실점에 대한 주장은 신뢰성을 완벽히 잃는다. 이를 반박할 수 없는 평면설자들은
하늘에는 하늘 원근법이라는 정체불명의 법칙이 적용된다며 우기고 있다.
사실은 비행기와는 비교도 되지 않는 고도(약 90km)까지 상승하는 팰컨 9 로켓의 1단 부스터의 카메라에서 확인해도 지구 곡률이 매우 명확하게 보일 정도는 되지 않는다. 국제우주정거장이 위치한 400km 고도쯤에나 가야 눈으로 곡률을 확인할 수 있다.
- 학생들이 카메라를 성층권까지 올려 촬영한 지구의 모습이 둥글게 보이는 것은 어안 렌즈를 사용했기 때문이다.
- (반박): 광각 렌즈[36]는 렌즈 특성에 따라 상이 약간 왜곡 / 굴절되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성층권 촬영 영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지구의 곡률은 광각 렌즈 효과 이상의 것이다.[37] 그리고 성층권의 높이는 대략 높이 30km 지점이다. 겨우 이 정도 높이로는 대한민국 하나조차 카메라 렌즈에 다 담을 수 없다. 성층권 촬영 영상에서도 곡률이 그다지 크게 느껴지지 않는 이유다. 일반인들의 고정관념과 달리, 우주는 생각보다 매우 매우 가깝다. 성층권으로 분류되는 약 30km 고도는 서울 북쪽 은평구 경계에서 남쪽 송파구 경계를 잇는 직선 거리 정도이다. 국제우주정거장 ISS의 고도는 약 350~400km 인데, 이 정도는 서울에서 부산의 직선거리 정도에 불과하다. 서울에서 부산 갈 거리를 지표면에서 수직으로 세우면 거기가 인공위성이 도는 우주 궤도이다. 한국인으로서 최초로 우주에 갔던 이소연 박사도 이에 대해 설명한 적이 있다. 이소연 박사 인터뷰 ISS에서 촬영한 영상에서도 지구가 완전히 원형으로 보이는 게 아니라 약간의 곡률을 확인할 수 있는 정도에 불과한 것은 이 때문이다.
ISS에서 찍은 지구의 영상
[vimeo(32001208)]
간단히 말해서 어안 렌즈로 인해서 휘어지는 값을 계산해서 빼도 실제 둥근 지구의 곡률은 여전히 남아있다는 말이다.
- 해가 지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그저 우리가 있는 위치에서 멀어졌기 때문이다. 멀리 있는 물체는 점점 지상과 가깝게 보이는데, 이 때문에 해가 지는 것처럼 보인다.
-
(반박): 실제로는 해가 지는 것처럼 보이는 게 아니라, 위치만 잘 고르고 적절한 장비를 갖추면 정말로 수평선이나 지평선 너머로 가라앉는 것을 충분히 볼 수 있다. 평면설의 주장대로 멀어져서 해가 지는 것처럼 보이는 것이라면 당연히 정오에서 일몰까지의 수시간 만에 해의 크기가 눈에 띄게 작아지는 과정을 거쳐야 한다. 그러나 당연히 일출이든 일몰이든 정오든 해의 크기는 육안으로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똑같다.[38] 바닷가에 놀러가서 모래사장에 누운 채로 노을이 수평선 넘어로 넘어간 뒤에 바로 일어나면 노을이 다시 보인다.
또한, 태양이 지면 위에서 공전하는 지구 평면설의 모델에서는 태양이 수평선보다 가깝기 때문에 태양의 일부분이 수평선 아래에 가려질 수 없다. 반면 실제 일출 일몰 때 해의 모습은 수평선에 의해 뚝 잘려나간 원의 모습이다.
- 구형론에 따르면 태양은 지구보다 109배 크다고 주장하는데, 그렇게 태양이 크다면 적도와 양 극의 기후 차이가 생기지 않을 것이다.
-
(반박): "위도에 따라 기온에 차이가 있는 이유는 지구가 둥글기 때문"이라는 사실은 중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 1단원에 실려 있다. 기후와 계절의 변화는 인간의 생활 양식에 큰 영향을 주기 때문에 지리 교과목에서 중점적으로 가르치는 분야고, 특히 고등학교
세계지리는 아래 문단에 설명할 내용을 기본으로 숙지하고 있어야만 수월하게 학습할 수 있다. 이해하는 데 복잡한 계산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교과서 개념도만 유심히 들여다보아도 지구가 둥근 것이 어떻게 극지방과 적도 사이의 온도 차이에 영향을 주며, 비틀어진 자전축이 어떻게 사계절을 만들어내는지 직관적으로 납득할 수 있으니 학습 백과 이미지를 검색해서 함께 띄워놓고 아래 내용을 읽어보는 것을 권한다.
기후와 계절은 지구가 구형이고 자전축이 23.5도만큼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생긴다. 지구가 공전하면서 자전축이 태양 쪽을 향할 때는 지구 기준으로 태양의 고도가 높기 때문에 태양광의 조도(단위 면적당 받는 빛의 밀도)가 높아 기온이 높은 여름이 되고, 자전축이 태양 반대쪽을 향할 때는 반대로 태양의 고도가 낮기 때문에 조도가 낮아 기온이 낮은 겨울이 된다. 계절 문서에 친절하게 잘 설명되어 있다.
덧붙여서 태양의 크기 운운에 대해서도 매우 간단하게 반박이 가능한데, 맑은 날 낮이라면 당장 하늘을 보고 태양의 크기를 보면 된다. 태양은 본래 대단히 큰 크기이지만 약 0.5도의 각지름을 가지고 있어, 하늘 전체의 0.00054%를 차지하고 있을 뿐이다. 이는 태양의 크기가 지구의 109배라고 하나, 그 떨어진 거리가 무려 1억 5천만 킬로미터의 흠좀무한 거리에 있기 때문이다. 이해를 빨리 하고 싶다면 같은 물건도 바로 앞에 놓아 본것과 좀 멀리 떨어뜨려 놓아서 본것이 크기가 서로 달라 보임을 생각해 보자.[39]
4.2.3. 지구 과학 관련
- 대한민국에서 미국 가는 비행기와 오는 비행기는 태평양 구경한 비행기가 없다.
- (반박): 미국 왕복 비행기를 타면 당연히 태평양을 볼 수 있다. 북극이 보이지 않는다. 애초에 제트기 길 때문에 이렇게 돌아서 가는 것이다.
4.2.4. 우주 과학 관련
- 인류는 우주에 진출한 적이 없다. 하늘 돔으로 막혀 있기 때문이다
-
(반박): 사실 이 정도 음모론자라면, 아무리 논리적으로 반박을 하더라도 머리에 입력이 안 될 것이다. 당신이 이 문서를 읽는 지금 이 순간에도
인류는 우주에 나가 있으며, 지구 궤도를 도는 중이다. 그리고, 하늘 돔의 경우, 건축물이 그런 크기로 지어지면 얼마 못 가 자기 무게를 못 이기고 붕괴한다. 왜냐하면, 하늘 돔이 건설되었다고 가정한다면, 크고 작은 지진과 파도, 바람에 의해 하단부부터가 조금씩 변형되며 이로 인해 주변 모든 파트들의 각 부분이 만나는 지점에 변형 때문에 분산되지 못한 자기 무게로 인한 압력이 집중되고 그에 따라 피로가 누적되어 점차 약해지다 부서져 버리는,
피로 파괴 현상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간단히 말해서 이들은 이런 주장을 하기에 앞서 하늘 돔의 존재 증명과, 존재한다면 하늘 돔의 유지 보수를 세계인의 이목을 피해서 할 수 있는 이유를 설명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금까지 잘 살아남아서 파괴가 안 되었다 쳐도 로켓 정도의 속도면 크리스털 정도는 그냥 박살 내고 나갈 것이며, 애초에 크리스털은 특정 보석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원자, 이온, 분자 따위가 장거리 규칙성(Long-Range Order)를 갖고 배열된 물질을 이르는 말이다. 그리고 흔히 크리스털이라고 불리는 광물인 석영은 대형 건축물 건설에 적합하지 않은 재료다.
- 진공에서는 연소가 되지 않으므로, 로켓을 타고 우주에 나간다는 것은 거짓말이다.
- (반박): 연소라는 것은 산소가 연소성 원소인 탄소 등과 급격히 결합하는 화학 반응을 말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산소가 있는 공기 중에서 연소가 일어나며, 진공에서는 불이 붙지 않는다. 그런데 로켓이란 자체적으로 탑재한 추진제만을 이용해 추력을 얻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 추진제는 연료와 산화제(산소)를 뜻한다. 즉 진공이고 물속이고 뭐고 상관없이 로켓은 자체 추진제를 연소시켜 가스를 내뿜을 수 있고, 작용 반작용의 법칙에 따라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일찍이 치올코프스키가 20세기 초에 이미 이 원리를 확인했다. 참고로 공기를 빨아들여 연료와 섞어 연소시켜서 추력을 얻는 제트 엔진은 로켓이 아니다. 즉 진공에서 산소가 없기 때문에 연소로 작동하는 로켓 발사가 모두 거짓이라는 말은 일개 초등학생도 구상할 수 있는 "미리 산소를 충분히 갖고 가면 되지 않나요?"라는 질문에 허무하게 막혀버리는 것이다.
- 우주는 진공 상태이므로, 로켓이 작용 반작용 법칙으로 밀어낼 매질이 없기 때문에 추진력을 얻을 수 없다.
- (반박): 물리학을 어중간하게 공부한 사람들이 빠질 만한 함정이다. 전공자들은 학부에서 운동량 보존의 필수 예제로 다루는 간단한 문제. 로켓의 추진에서 일어나는 작용 반작용의 법칙은 로켓과 연소 가스 사이에서 일어나며, 연소 가스는 관성의 법칙에 의해 진공 속에서도 전혀 허무하게 밀려나지 않고 그 자리에서 버티려 하며 로켓을 밀어내게 된다. 관련 동영상. 그리고 바로 위에서 설명했지만, 로켓은 일반적인 비행기 제트 엔진과 다르게 연료와 산화제를 모두 싣는다. 당연히 우주 공간에서도 연소가 정상적으로 일어나 추진력을 얻는다. 심지어 우주 공간까지 올려놓기만 하면 지상에서 레이저 광선을 이용해서 우주선을 밀어내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레이저 가속 탐사선은 21세기 내에 센타우루스자리 알파를 향해 탐사선을 출발시켜 수십 년 내로 목적지까지 도달하도록 만드는 유력한 수단으로 검토되고 있다.
- 열권의 온도는 2000도가 넘는데, 인공위성의 재질인 알루미늄은 660도에서 녹는다. 따라서 알루미늄으로 만드는 인공위성, ISS는 존재할 수 없다.
-
(반박): 우선 열권의 온도부터 이야기하지면, 열권에 존재하는 입자 하나하나의 온도는 2000도가 넘지만, 그 입자들의 밀도가 너무 낮아서(진공에 가까워서) 열전도가 일어나기 힘들다. 아폴로 계획 음모론자들도 이와 비슷한 주장을 하는데, 달 표면은 낮의 온도가 100도를 넘으므로 우주 비행사들이 생존할 수 없다고 우긴다. 마찬가지로 달에는 대기가 희박해서 열전도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우주비행사가 타 죽을 이유가 없다.[40] 이것은 우리 주변에서도 쉽게 목격할 수 있는 과학 현상이다. 목욕탕 욕조는 수온이 40도만 넘어도 매우 뜨겁고 견디기 힘들지만, 불가마 사우나 안의 기온이 70도, 80도 이상 올라가더라도 무리 없이 버틸 수 있는 것. 가득 찬 물과 건조한 공기의 열전도 차이인 것이다. 이는 음모론자들이 기초적인 과학 원리에 얼마나 무지한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다음으로 재질을 본다면, 비행기나 우주선 등에 사용하는 골격 재료는 순수한 알루미늄이 아니라
두랄루민 같은 합금이다. 비행체에 내식 / 고강도 / 내열 알루미늄 특수 합금을 쓰지 누가 순수 알루미늄을 쓴단 말인가? 이건 지구 과학과 관계없이 이공계를 전공했다면 바로 알수 있는 문제다. 그리고 우주선이나 ICBM의 핵탄두는 고열을 방어하기 위하여 내열 타일이나 섬유로 덕지덕지 두른다. 우주 왕복선은 이산화 규소(쉽게 말해 세라믹) 소재로 만든 특수 내열 타일로 도배되어 있는데, 이 타일은 2천 도 이상으로 가열해서 시뻘겋게 된 상태여도 맨손으로 잡을 수 있을 만큼 열전도율이 낮다.
우주 왕복선 타일 가열 실험 영상
사실, 우주선을 제작할 때 고려하는 온도는 섭씨 2000도 따위가 아니다. 진짜 문제는 지구로 돌아올 때 대기권과의 공기 마찰로 인해 우주선의 표면이 최대 10000℃까지 달궈지는 부분. 물론 이 문제 역시 유리 가가린 시절에 해결된 문제이며, 평면설 신봉자들이 현실에는 무지한 채 자기가 아는 부분만 물어뜯듯이 덤빈다는 또 다른 실증이 되겠다.
- 월식은 지구의 그림자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 아니다. 아마도 다른 원인이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일식 역시 구형론으로 설명하지 못한다.
- (반박): 음모론자들의 논리로 도저히 설명이 되지 않으면 불가지론이 등장한다. 지구, 달 그림자 때문이라고 설명하면 간단한 걸 왜 어려운 길을 택하는지 모를 지경. 게다가 이미 지구와 태양, 달의 자전, 공전에 대한 분석이 잘되어 있어 이러한 모델을 바탕으로 월식, 일식 시각 예측은 기본이고 지역별 부분 일식 비율 등 여러 가지 정보를 시뮬레이션을 통해 예측할 수 있다. 평평설자 말대로면 이러한 예측은 다 부질없는 짓이고 여태껏 예측이 맞았던 이유는 순전히 운이라는 소리가 된다....
- 달은 투과성이 있는 물체다. 달에 가려져 보이지 않아야 할 별이 달을 투과하여 보인다. 이것도 차이가 있어서, 누구는 달이 홀로그램이라고도 하고 누구는 달이 발광체라고 하기도 한다.
- (반박): 빛의 회절 현상이다. 무엇보다 달은 자체적으로 빛을 낼 수 없다. 그 목성조차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한다. 스스로 빛을 내려면 항성이나 갈색 왜성이 되어 핵융합 반응을 일으켜야 한다. 혹은 표면에 LED를 가득 붙여놨거나.
번역:
나사 님아 정신차려요. 지구 사진이 도대체 닮은게 하나도 없는데요?
번역: 당신이 알아낼 수 없다면 누군가가 당신에게 거짓말하고 있는 것이죠...
이 사진이 당신을 도울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이 사진이 당신을 도울 수 있을지 모르겠네요.
- 유성우나 운석은 NASA의 조작이다. 별똥별은 별이 아니라 조명이 떨어지는 것이다. NASA가 내미는 지구의 구체 이미지가 수년마다 다르다. NASA가 포토샵해서 만들어 우리를 속이는 것이다.
-
(반박): 운석이 떨어진 것은 각 나라들의 역사 기록들을 찾아볼 필요조차도 없이,
조선왕조실록에도 기록되어 있다.
# 그럼 20세기 미국에서 만들어진 NASA가 수백 년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 조선왕조실록까지 조작했단 말인가? 또한 제일 가까운 별 프록시마 센타우리만 해도 4.2광년에 떨어져 있다. 이게 지구로 떨어질 가능성은 그냥 없다시피 하다. 그리고 실제로 떨어진다 한들, 일반적인 별의 크기를 생각하면, 별이 지구에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지구가 별에 떨어지는 광경이 펼쳐질 것이다.
무엇보다 2013년 첼랴빈스크 운석우 사건 사건은 당시 러시아 일반 시민 운전자들의 블랙박스에 수도 없이 기록된 사건이라 조작 타령을 하는 것도 불가능하다. 거기다 러시아에서 미군도 아닌 NASA 따위가 저런 걸 조작하겠다고 탄도미사일로 장난을 쳤다간, 그날 당장 핵전쟁이 터진다.[41]
- 마이컬슨-몰리 실험 으로 지구가 멈춰있는 것이 증명되었다.
- (평평설자 주장 설명): 지구평평설자에 따르면 마이컬슨-몰리 실험으로 1880년대에 있었던 마이컬슨-몰리 실험(The Michelson-morley) 실험은 지구가 멈춰있다는 것을 공식과 설명을 통하여 증명하였다고 한다. 그리고 아인슈타인은 이 실험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관련된 이론을 통해 증명하려고 시도하였으나 이후에 그것이 틀렸는지 증명에 실패했다고 인정하였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 (반박): 마이컬슨-몰리 실험 세간에 의하면 실존하지 않는 실험이었다고 밝혀졌다.
- 주입식 교과서에서 배우는 것은 가짜 태양계이다. 달과 별과 행성들은 외계인들의 작품이다.
-
(반박): 지구가 평평하고
우주가
외계인의 작품이라는 주장은 과학적 사실을 완전히 무시하는 것이다. 수십억 개에 달하는 별들의 정확한 위치와 행성들의 완벽한 궤도 운동을 누군가가 인위적으로 조작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는 마치
외계인들이 매일 밤 달의 위상을 수작업으로 바꾸고, 행성들에 페인트칠을 하고 있다고 주장하는 것과 같은 터무니없는 발상이다.
천체의 움직임은 뉴턴의 만유인력 법칙과 케플러의 법칙으로 정확히 설명되며, 이는 수많은 관측 데이터로 입증되었다. 만약 이 모든 것이 거대한 음모라면,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 세계의 모든 천문학자들이 동시에 속고 있다는 말이 된다. 이는 논리적으로 성립할 수 없는 주장이다.
더구나 현대의 우주 탐사선]]들은 실제로 다른 행성들을 촬영하고 탐사하고 있다. 이 모든 것이 외계인의 작품이라면, 그들은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예술가일 것이다. 매년 완벽한 주기로 반복되는 천체의 운동, 개기일식의 정확한 예측, 우주 망원경으로 관측되는 수많은 은하들까지 모두 조작했다는 것은 과학적 사고방식으로는 받아들일 수 없는 주장이다.
우리는 이제 지구가 구체라는 것을 우주에서 찍은 수많은 사진과 우주인]]들의 직접적인 경험으로 알고 있다. 이를 부정하는 것은 인류의 과학적 성취를 모두 부정하는 것과 같다. 지구 평평설은 과학적 사실을 왜곡하고 음모론을 퍼뜨리는 위험한 사고방식이다.
4.2.5. 음모론 주장
4.2.5.1. 전부 한통속이다 빨간약을 먹어라
- 과학자들이 전부 다 한통속이기 때문에 지구가 평평하다는 사실이 묻히는 것이다.
-
(평평설자 주장 설명): 지구평평설자에 의하면 평평지구에 대한 영상을 공유하는 것이 정말로 유해하다면 왜 유튜브나 구글이나 다른 엘리트 기관에서 그것들의 주장에 대해 반박하지 않고 통제하는지 주장하기도 한다. 실제로 구글이나 유튜브에 지구는 평평하다, 천동설 이러한 키워드로 검색을 하게 되면 대부분 반박 영상이나 음모론 취급하는 것들이 많이 뜨기는 하며, 실제로 평평론자들이 만든 외국 유튜브 채널들이 흔적도 없이 없어지기도 하였다. 평평설자들의 말에 따르면 지구의 사실을 밝히면 암살 당한 사람도 있다고 한다.
지구가 구체인 것이 거짓이면, 지구의 회전도 거짓, 궤도도 거짓, 중력도 거짓, 천문학도 거짓, 빅뱅이론도 거짓, 다윈의 창조론과 진화학도 거짓, 미싱 링크도 거짓, 인간은 지능적으로 설계되었음까지 도달하게 되므로, NASA에서 계속 지구가 구체인 것을 주장하고 거짓을 설파하는 것이라고 주장한다. - (반박): 기업 간이나 정부와 기업이면 모를까, 과학계에서는 구조상 과학자들이 한통속이 될 수가 없다. 오히려 단 하나의 애매함과 오류만 있어도 논문 평가에서 혹독한 비판을 받으며, 통과했다고 해도 의혹이 있다면 반박 논문으로 굉장히 철저한 검증을 일상화하고, 약간의 조작이라도 있다면 가차 없이 매장시키는 매우 냉정하고 비평적인 사회이다. 황우석이나 송유근이 어떻게 걸러졌는가 그 과정을 보면 잘 알 수 있다. 또한 모든 상황에 있어 매우 객관적인 태도를 고수하며 개인의 주관을 엄중히 배제하고, 이를 대학원생 때부터 훈련을 받는다. 논문에 자신의 주관을 단 한 줄만 피력해도 지도 교수가 따끔하게 혼을 내는 곳이 자연 과학 대학원이다. 게다가 전 세계 과학자가 한두 명도 아니고 분야도 수없이 많으며 국적도 다르고, 심지어 과학 현상의 해석을 두고 파벌 싸움에 심지어는 정치질까지 벌이기도 한다. 당연히 평평설자의 주장은 유해하기 때문에 유튜브와 구글이 그런 사람들의 콘텐츠들을 차단하는 것이다.
- NASA는 지구가 평평하다는 사실을 감추고 지구가 구체라고 사람들을 세뇌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이다.
- (평평설자 주장 설명): 지구 평평설자에 의하면, NASA가 굳이 지구가 구체라는 거짓말을 하는 이유는, 일부 종교 특징과 비슷하게도, 없는 것을 있다고 주장하면 돈과 힘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지구 평평설자에 의하면, 실시간으로 우주정거장에서 바라보는 둥근 지구 영상이나 라이브는 스튜디오에서 만들어진 거짓을 배포하기 위한 세트장이다.
- (반박): NASA는 핵전력의 우위를 자랑하던 미국에게 탄도 미사일의 가능성을 준 소련이 가져다준 충격을 극복하기 위해 창설되었다. 그리고 NASA는 달 착륙 한 번을 제외하면, 해체 이전의 소련에게 번번이 선두 자리를 빼앗기는 신세였다.
- 프리메이슨, 일루미나티, 록펠러, 로스차일드 가문 등 엘리트 세력이 지구가 평평하다는 사실을 감추고 지구가 구체라고 사람들을 세뇌하고 있다. 지구가 구체라고 주장하는 자들은 파충류 외계인에게 세뇌를 받았거나, 그들의 하수인이다.
- (반박): 전형적인 음모론적 주장으로, 주장만 있고 근거가 없어 반론도 무의미하다. 그리고 외계인을 운운하는 것은 자가당착이다. 우주가 없는데, 지구 외부에서 온 존재를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 빅뱅 이론과 진화론, 그리고 지구 구형론은 인류를 무의미한 존재로 만들어[42][43] 지배층들이 마음대로 사람들을 지배할 수 있게 만든다. 때문에 엘리트 세력은 지구가 구체라고 사람들을 세뇌하고 있다.
- (반박): 일단 세 이론이 실제로 그러한 현상을 초래한다는 증거가 없다.그리고 이 주장은 지구 구형론을 반박하지 못한다. 또한 아무 상관 없는 빅뱅 이론과 진화론을 언급하는 것은 논점 일탈이다.
- 지구가 평평하다는 사실을 눈치채지 못하게 하기 위해 2차 세계 대전 이후 세계 각국이 합의를 하여 남극에 군대를 주둔시켜 민간인 출입을 막는다.
-
(반박): 평면설자들은 지구가 평평하다는 사실이 드러날까봐 2차 대전 이후 각국의 합의로 남극에 군대가 주둔하여
민간인들의 남극 출입을 막고 있다고 주장하지만 이도 사실이 아니다.
10번이나 남극을 탐방한 펭귄 작가 김완수 씨나
MBC에서 방영한 남극의 눈물,
남극점 구글 스트리트 뷰 등 현재도 민간인의 남극 출입이 가능하다. 그리고
남극 조약 제1조 1항에 의거하여 남극에는 군사 기지 건설 등 군사적 성격의 조치가 금지되어 있다.
남극에 여행을 가는 사람은 생각보다 많다. 남극 여행이 까다로움은 지구가 평면이라서가 아니라 남극 생태계를 보호하는 국제 조약 때문이다. 사전에 관련 기관에 신고하면 주의 사항 숙지 후 남극 여행을 허가받을 수 있다. 무엇보다도 남극은 북극보다도 위험하다. 북극은 그나마 여름엔 영상으로 올라가기라도 하지, 남극은 그런 것도 없다. 애당초 북극에선 아주 옛날부터 사람이 살았지만 남극은 그런 것도 없으니, 얼마나 위험한 곳인지를 알 수 있다. 물론, 남극이 타 대륙에서 너무 멀리 떨어진 고립된 곳인 것도 한몫했지만, 인류 역사에서 멀다고 인간이 안 간 곳이 없었던 만큼[44], 남극도 사람이 정착할 만한 요인이 있었으면 진작에 거기서도 문명이 형성되었을 수도 있었다. 다만 그곳은 갖가지 첨단 장비로 덕지덕지 무장한 현대의 탐험가들도 불귀의 객으로 만들 정도로 사람잡는 극한의 자연환경을 자랑하는 데라서[45], 설령 전근대 시대에 알려지지 않은 어느 누군가가 남극의 존재를 목격했더라도 엄청난 추위와 대량의 얼음과 눈밖에 없는 황무지에 질려서 정착을 포기했을 터였다. 사실상 위험해서 소수의 과학자들 빼고는 '못' 들여보낼 뿐이지[46], 뭔가를 감추려고 '안' 들여보내는 게 아니다.
- 지구가 정말 평평하다면, 물이 끝에서 흘러내려야 한다. 그 사람들은 돈을 만들어 낼 수 있으므로, 남극을 보호하는 사람들 전부 다 막대한 돈을 받고 입을 닫고 있는 것이다.
- (반박): 그려면 남극을 돌아본 탐험가들 증언도 다 가짜라는 것이다. 아마 얼음벽 지키는 보안요원이랑 해군들이랑 수천 명을 매수하는 예산이 어마어마하여, 국가 GDP 수준 될 것이다.
- 인류 미래를 지구에 있는 남극이 아닌 굳이 화성에 투자한다.
- (평평설자 주장 설명): 화성은 수 조 달러를 투자하면서, 남극은 탐험에는 돈을 쏟지 않으며, 남극 조약까지 만들어 탐험을 철저하게 통제하려는 것은 의아스럽다. 물론 평평설자들은 화성이 존재하지 않으며 우주는 물로 가득 차 있고 그 물이 주파수와 맞아떨어져서 지구에서의 망원경으로는 화성이 보일 뿐이라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
(반박): 화성 탐사에 대규모 예산이 투입되는 것은 과학적 가치와 인류의 미래를 위한 투자다. 남극과 화성을 단순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남극은 지구의 생태계를 보존하기 위한 국제적 합의로 보호되고 있으며, 이는 음모가 아닌 환경 보호를 위한 현명한 결정이다.
남극 조약으로 탐사가 제한되는 것은 취약한 생태계 보호가 주된 이유다. 반면 화성 탐사는 인류의 새로운 서식지 가능성 탐색과 과학적 발견이라는 더 큰 목표를 가지고 있다. 실제로 화성 탐사선들이 보내온 데이터와 사진들은 그곳에 물의 흔적이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
화성 탐사에 투자하는 것이 남극 연구보다 더 많은 예산을 필요로 하는 것은 당연하다. 극한의 우주 환경에서 진행되는 화성 탐사는 고도의 기술력과 더 많은 자원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는 단순히 거리의 문제가 아니라 기술적 난이도와 과학적 가치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결론적으로, 남극과 화성에 대한 인류의 접근 방식 차이는 각각의 특성과 목적이 다르기 때문이며, 이는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합리적인 판단의 결과다. 음모론적 시각으로 이를 해석하는 것은 과학적 사실을 왜곡하는 것이다.
4.2.5.2. 유대인과 예수회
- 지동설이 대중화에 핵심이 된 모든 주요 인물들은 일루미나티이며 예수회이거나 유대인이다.
- (평평설자 주장 설명): 지동설 주장에 제일 핵심인물이 된 갈릴레오 갈릴레이와 지동설을 주장했던 코페르니쿠스와 중력을 주장한 아이작 뉴턴은 일루미나티 설립 기반이 된 종교인 예수회였다. 알베르트 아인슈타인은 예수회로 알려져있지는 않았지만유 대인이며, 일루미나티 주요인물과 관련된 것은 유대인이기도 하다.
-
(반박): 과학의 발전은 특정 집단이나 비밀 결사의 음모가 아닌, 수많은 연구자들의 관찰과 실험, 검증의 결과물이다. 갈릴레오, 코페르니쿠스, 뉴턴과 같은 과학자들이 특정 종교나 단체와 연관되어 있다는 사실은 당시의 시대적, 사회적 맥락에서 자연스러운 현상이었다. 이는 그들의 과학적 발견이나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부정하는 근거가 될 수 없다.
지동설은 단순한 이론이 아니라 수많은 관측 데이터와 수학적 계산으로 입증된 과학적 사실이다. 이는 천체물리학, 우주 탐사, GPS 등 현대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확고히 증명되었다. 이러한 과학적 성과들은 비밀 결사의 음모가 아닌, 인류의 지적 호기심과 탐구 정신의 결실이다.
과학자들의 종교적, 철학적 배경을 음모론과 연결 짓는 것은 과학의 본질을 왜곡하는 것이다. 과학적 발견은 개인의 배경이나 신념과 관계없이 객관적 증거와 실험적 검증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것이 바로 과학의 핵심 가치이며, 음모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과학의 진정한 힘이다.
4.2.5.3. 어릴 때부터 세뇌
- 우리가 교육과정에서 지구가 구체라는 것을 가장 먼저 배우는 이유는 지구가 왜 구체인지 질문하기 전에 지구가 구체인 것을 세뇌시키기 원해서이다. 오늘날은 지구가 평평하다고 하면 미친사람 취급받는다. 왜? 태어나자마자 그 누구를 막론하고 체계적으로 주입식 교과서로 세뇌를 당해왔기 때문에 반박하려 들면 구체라고 세뇌당한 사람이 자동으로 반항심이 생겨날 수 있도록 미리 어릴 때부터 세뇌를 받았다는 것이 지구평평설자 그들의 주장이다.
-
(반박): 주입식 교육이라는 비판은 과학적 사실의 본질을 오해한 것이다. 학교에서 지구가 구체라고 가르치는 것은 세뇌가 아닌, 수백 년에 걸친 과학적 관찰과 증명의 결과를 전달하는 것이다. 이는 수학이나 역사를 가르치는 것과 같은 맥락으로, 검증된 지식을 다음 세대에 전달하는 교육의 기본적인 역할이다.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은 단순한 주장이 아니라 다양한 과학적 증거로 뒷받침된다. 망원경을 통한 천체 관측, 지구의 자전에 따른 주야 현상, 위성 항법 시스템의 작동 원리 등이 이를 입증한다. 이러한 증거들은 누구나 직접 관찰하고 검증할 수 있다.
과학적 교육은 맹목적인 수용이 아닌 비판적 사고를 장려한다. 교과서의 내용은 새로운 발견과 연구 결과에 따라 계속해서 수정되고 발전한다. 이는 과학이 고정된 교리가 아닌, 끊임없는 탐구와 검증의 과정임을 보여준다.
의심과 질문은 과학의 발전을 이끄는 중요한 동력이다. 하지만 이는 객관적 증거와 논리적 검증을 통해 진실을 찾아가는 과정이어야 하며, 근거 없는 음모론으로 이어져서는 안 된다.
4.2.5.4. 악마의 숫자 666
* 지구 평평설자에 의하면, 구체 지구를 표현하기 위한 각종 숫자들이 악마의 숫자로 알려진 666이며, 우주를 연구하고 지구를 멀리서 사진을 찍는 NASA는 비밀 조직 일루미나티가 만들었다. 그들은 이것이 우연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다. 지구 곡률(Globe Curvature) 마일의 제곱당 8인치는 0.666피트[47] 공전 속도(Globe speed)는 66.6mph[48], 지구 자전축의 기울기는 23.4도이며[49] 지구 자전축 기울기(Globe axial tilt)는 90도 빼기 23.4도는 66.6도, 북회귀선(Tropic of Capricorn)는 90도 빼기 23.4도는 66.6도, 남회귀선(Tropic of Capricorn)는 90도 빼기 23.4도는 66.6도인 것은 사실이다.
NASA의 이름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을 수비학으로 치환하여 각각 더 하면 악마의 숫자 666이라는 숫자가 나온다. 이것은 사실이기도 하다. [50]
* (반박): 과학적 수치와 666의 연관성을 찾으려는 시도는 확증 편향의 전형적인 예시다. 수많은 자연 현상과 과학적 측정값 중에서 특정 숫자와 비슷해 보이는 것만을 선별적으로 골라내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과학적 사고방식이 아니다.
지구의 자전 속도나 곡률과 같은 물리적 수치들은 자연 법칙에 따른 결과물이다. 이러한 수치들을 임의로 조작하거나 단순화하여 특정 숫자와의 연관성을 찾으려는 시도는 과학적 사실을 왜곡하는 것이다.
우연의 일치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자주 발생한다. 수많은 숫자들 중에서 특정 패턴이나 의미 있어 보이는 조합을 발견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하지만 이는 음모나 의도적인 설계가 아닌, 단순한 확률적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과학적 수치들과 특정 숫자의 우연한 일치를 음모론과 연결 짓는 것은 논리적 오류다. 이는 과학적 사실을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의심과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지구의 자전 속도나 곡률과 같은 물리적 수치들은 자연 법칙에 따른 결과물이다. 이러한 수치들을 임의로 조작하거나 단순화하여 특정 숫자와의 연관성을 찾으려는 시도는 과학적 사실을 왜곡하는 것이다.
우연의 일치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더 자주 발생한다. 수많은 숫자들 중에서 특정 패턴이나 의미 있어 보이는 조합을 발견하는 것은 필연적이다. 하지만 이는 음모나 의도적인 설계가 아닌, 단순한 확률적 현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과학적 수치들과 특정 숫자의 우연한 일치를 음모론과 연결 짓는 것은 논리적 오류다. 이는 과학적 사실을 이해하는 데 방해가 될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의심과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666 문서
의
짐승의 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2.6. 기타 주장
4.2.6.1. 고대 모든 문명은 평면으로 믿었다는 주장
- 모든 고대 문명이 지구가 평면이라는 사실을 지지하고 있다. 미국 지질 조사국(US Geological Survey)에 의해 만들어진 정거방위도법(正距方位圖法) 지도는 평평한 지도이다.[51]
- (평평설자 주장 설명): 현재의 통념과 상반되게도 오래전의 과학 단체는 수세기 동안 태양중심설 모델을 반박해왔다. 예를 들면 지구의 굴곡이 있다. 지동설 모델에 따르면 지구의 둘레가 38,600km(24,000miles)이며, 휘어진 곡률은 약 5km마다 발생한다. 지구가 구체라면, 만약 당신이 지구 꼭대기에서 해수면 높이에 서 있다면, 당신 앞에 펼쳐진 지구의 표면이 굽어지기 전 5km(3miles)보다 더 짧은 거리만을 볼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수세기 동안 지동설이 틀렸다고 반박되어 왔다. 미국 지질 조사국(US Geological Survey)에 의해 만들어진 정거방위도법(正距方位圖法) 지도는 지동설로 인한 구체 지구 모양이 대중화 되기 전, 수세기 동안 사용되고 있었다. 그 이유는 모든 길과 방위가 정확하며, 모든 거리가 정확한 축척이라는 사실 때문이였다. 만약 지구평평설자가 내미는 지도가 정말로 정확하다면, 왜 6만 마일이나 항해한 이후에도, 남극을 완전히 일주할 수 없었던 일화를 뒷받힘 해줄 수 있는 설명이 될 수 있다. 게다가 지구평평설자가 주장하는 평평지도는 UN 로고에서 사용되는 지도이기도 하다. 완전히 똑같다.
- (반박): 모든 고대 문명과 당시 잘나가는 종교들의 바이블에 의하면 지구가 평면이라는 사실을 지지하고 있었던 것은 사실이다.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은 고대 그리스 학자들도 알고 있었다. 저명한 아리스토텔레스 역시 월식 때 달에 비치는 그림자를 보고 지구가 구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심지어 에라토스테네스는 둥근 지구의 둘레를 계산하기까지 했다. 거기에 천동설을 체계화한 프톨레마이오스 같은 천문가는 이미 수학적으로 지리와 우주론을 정립하였다. 즉 일단 고대인들도 지구가 구체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 진짜 고대 문명에서야 지구가 평평하다는 사상이 발견되곤 하나, 철학과 과학이 발달한 고대 그리스 시대 시점에서 이미 지구는 구체라는 게 증명되었다. 오히려 중세 과학계에서 큰 논쟁거리는 지동설과 천동설이었을 정도이며, 천동설조차도 기본 전제로 ‘지구는 구체이다’라는 사실을 깔고 시작한다. 이들의 주장 중 가장 반박하기 쉬운 근거 중 하나는, UN의 마크에는 북극을 중심으로 평평한 지구가 묘사되어 있다면서 평면설을 주장하는 것이다. 이건 사실 UN의 이념도 모르는 한심한 주장인데, UN 마크에 저런 모양이 들어간 이유는 북반구 남반구, 대서양과 태평양 이런 정치적, 이념적, 지리적 구분 없이 모든 세계를 평등하게 대우하면서 지도에 표시하려는 노력의 결과이다. 그리고 애초에 지구가 평평한 걸 대놓고 마크에다가 장식해 놓는다고 전혀 UN 입장에서는 좋을 게 없다.
4.2.6.2. 남극
- 평면 지구설에 따르면 남극은 지구의 끝이기 때문에 어떤 것도 통과할 수 없다. 실제로 남극을 지나는 비행기 노선이 없는데, 이는 평면 지구설을 뒷받침하는 증거이다. 그리고 남극 조약까지 만들어 탐험을 철저하게 통제하며, 이 이후로 세계는 남극의 탐험에 대한 시도가 줄어들었다고 주장한다.
-
(평평설자 주장 설명): 지구평평설자에 따르면 남극대륙은 특정 지역을 제외하고는 어느 누구에도 탐험을 마음대로 돌아다닐 수 없으며 모든 것이 통제된다. 남극 대륙의 해안선을 따라서 6만 마일을 넘게 항해한 후에도 제임스 콕(James Cook) [52] 선장은 둘레가 단지 1만 2천마일보다도 짧다고 여겨지는 이 얼음 대륙을 한바퀴 도는 여정을 끝내 마칠 수 없었다고 한다. 영국 해군과 배탐험가로 알려진 제임스 클라크 로스(James Clark Ross)도 영국의 챌린저 호도 마찬가지였다. 결국 그 훌륭한 배잡이들 중에서도 남극 대륙을 제대로 일주하지 못했다고 한다. 지구평평설자에 따르면 이런 시도들이 실패한 이유는, 남극 대륙은 사실 지구의 평평한 표면을 둘러 싸고 있는 거대한 얼음 장벽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지구평평설자에 따르면 이런 시도들이 실패한 이유는, 남극 대륙은 사실 지구의 평평한 표면을 둘러 싸고 있는 거대한 얼음 장벽이기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명예 훈장 수상자 Admiral Richard Byrd 해군 역사상 가장 젊은 해군 제독이며 그에게 경의를 표하는 세번의 퍼레이드를 받은 그는 남극 탐험을 이끌었다. 하이점프 작전을 알려진 네번째 군사작전은 4700명의 그룹을 실을 수 있는 항공기와 13대의 함선과 항공기 33대를 동원했다.
그들의 공식적인 미션은 남극 연구 기지인 리틀아메리카를 설립하는 것이였다. 하지만 많은 이들은 비밀스런 미션의 진짜 본질은 뉴스와비아라고 주장하며 1939년에 도착하여 남극에 나치의 존재를 설립한 나치를 뿌리뽑는 것이라고 믿었다. 1954년에 Admiral Richard Byrd는 TV에 나와서 중요한 자료들을 가지고서 미국보다 더 큰 지역에 대해서 말하였다. 그리고 미래에 국제적인 탐험을 선언하듯 말했다. "매우 이상하게도 오늘날 세상에서 방치된채 남겨진 곳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지역은 미국보다 더 큽니다. 그곳은 인류가 한번도 보지 못한 곳입니다. 극지방 너머에, 남극의 건너편에 있습니다. 우리는 남극에서 180마일 내에 눈으로 덮히지 않은 거대한 산악지대에서 많은 석탄을 발견했습니다. 그것은 꽤 오랫동안 전세계에 공급할 만큼 충분합니다. 탐험되지 않은 그만큼 큰 지역이 있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는 1957년에 심장 질환으로 68세 나이에 운명을 달리하였다. 그리고 2년 뒤 1959년에 남극 조약이 설립되었기도 하다. NASA가 설립된 날과 비슷한 것을 주장하며 평평설자들은 그 둘은 관련있음을 주장하기도 한다. 이 이후로 세계는 남극의 탐험에 대한 시도가 줄어가기도 하였다.
2012년에는 Admiral Richard E.의 잃어버린 비밀 일기가 출간되었다. 책에서는 Admiral Byrd는 남국의 가운데 있는 홀을 통해서 지구의 빈공간으로 들어갔다고 주장했으며, 진보한 외계 문명과 조우했다고 써져있는데, 사실일지는 알 수 없다. -
(반박): 간단히 말해서 남극을 '못' 지나는 것이 아니라 '안' 지나는 것이다.[53]
ETOPS 규정에 의해 설명 가능하다. ETOPS 규정은 보통 엔진 2개 이상인 여객기가 비행 중 엔진 하나가 고장 날 경우에 대비하여, 일정시간 내에 비행 경로 근처에 비상 착륙할 수 있는 공항을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는 인증 제도를 말한다. 남극에서는 정비를 못 하고, 그 이전에 남극에 비상 착륙을 할 수도 없는 노릇이 아닌가. 그리고 남극과 같은 극지 비행은 그 자체로 매우 위험하다. 2차 세계 대전 때도 미국의
B-29 폭격기는 최초에 인도에 전개하고 히말라야산맥(일명
험프)을 넘어서 일본 점령하의 중국을 폭격하려 했는데, 적기에 격추당한 비행기보다 바람 몰아치고 험준한 히말라야산맥 넘다가 추락한 기체가 훨씬 더 많았을 정도다. 정리하자면, '지구의 끝이라 통과할 수 없어서'가 아니라,
에어 뉴질랜드 901편 추락 사고 같은 사고가 발생하고 나서 남극 비행을 더욱 엄격히 제한하는 것뿐이다. 최근에는 ETOPS의 높은 등급을 취득한
LATAM 항공의
보잉 787이 남극 항로로 운항하기도 한다.
# 그리고 모든 여객기는 철저한 지상관제를 받으면서 비행한다. 비행 고도 높이고 낮추는 것 하나도 조종사 마음대로 못하고, 지상관제소의 허락이 있어야만 한다. 남극은 혹독한 기후로 관제소를 두기가 어렵고, 당연히 남극을 통과하는 항로가 드문 것이다. 남극을 통과하는 항로가 드문 또 하나의 이유는, 남극 바로 위를 통과하는 항로 자체의 지리적, 경제적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다. 비행기 항로라는 것은 경제력이 일정 수준 이상이고 사람과 물류의 물동량이 많은 곳을 연결하기 위해 발달한다. 남극을 통과하는 항로는 호주-남아프리카[54] 또는 호주-남아메리카[55] 정도를 잇는 항로인데, 구글 어스를 켜서 살펴보면 이 항로들이 남극 대륙을 통과하지 않는 것이 오히려 더 가까운 길임을 바로 알게 될 것이다.
무엇보다도 지구 평평설자들이 내세우는 북극을 중심으로 한 원형 지도를 본다면, 남반구의 주요 공항 간 노선은 북반구 지방을 통과하는 것이 가장 빨라 보이지만, 실제 항공 노선들은 남극해를 지난다. 일례로 콴타스의 시드니-요하네즈버그 노선은 지구 평평설 지도상에서는 남중국해와 홍콩 상공을 지나는 항로가 가장 빨라 보이나, 실제로는 남극해 및 남극 대륙 일부의 상공을 지나고, 또 같은 항공사의 퍼스-런던 노선은 평면 지구 지도에 따르면 유라시아를 가로질러 하이난섬과 보르네오섬 상공을 지나야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구형 지구상에서 가장 가까운 경로로 두바이와 인도양 상공을 지난다. 당연히 지구는 둥그니까 그 길이 더 가깝고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항공기라는 교통수단은 기본적으로 연료를 최소한으로 아끼는 방식으로 개발 및 운항되는 것인데, 음모론자들의 주장대로면 비행기들이 애써 먼 길을 다니는 셈이 되는 것이다. 결정적으로, 남극의 빙하층을 둘러가는 항로는 제법 있다.[56]
4.2.6.3. 북극
- 북극의 백야는 지구가 평면이라는 증거이며, 남극의 백야는 관찰되지 않았다. 남극 백야를 촬영한 사진은 조작이다.
-
(반박):
남극 백야 영상 남극점에 위치한 미국 남극 기지의 연구원이 약 나흘에 걸쳐서 촬영한 360도 타임 랩스가 있다. 해당 기지의 사진과 주변에 나오는 건물들을 비교하면 남극임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영상이 진실임을 증명한
영상도 있다.
북극과 남극에서 발생하는 백야 현상은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진 채 공전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자연현상이다. 이는 단순히 북극에서만 관찰되는 것이 아니라, 남극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한다.
남극의 백야 현상이 덜 알려진 것은 단순히 지리적 접근성 때문이다. 남극은 북극에 비해 접근이 어렵고 인프라가 부족하여 관측 기록이 상대적으로 적을 뿐, 현상 자체는 과학적으로 충분히 입증되었다. 남극 연구기지의 과학자들과 탐험가들의 기록이 이를 증명한다.
남극 백야의 사진이나 기록이 조작되었다는 주장은 과학적 근거가 없다. 수많은 독립적인 관측자들의 기록이 일치하며, 이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에 대한 현대 천문학의 이론과도 완벽하게 부합한다.
결론적으로, 극지방의 백야 현상은 지구가 구체라는 것을 입증하는 또 하나의 증거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와 공전 궤도로 인해 발생하는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북극과 남극 모두에서 관찰된다.
4.2.6.4. 인공위성은 사기
- GPS는 위성이 아니라 지상의 기지국을 이용하는 것이다. 땅에 설치된 통신 기지국에서 멀어지거나 시골이나 산속에 있을 시 모바일 데이터나 내비게이션이 잘 잡히지 않는 것이 그 증거이다. 인공위성도 사기라고 생각한다고 한다.
- (반박): GPS는 수신 방식에 따라 A-GPS와 S-GPS로 나뉘는데 링크 이는 GPS 장치가 수신기를 작동시켰을 때 궤도상 위성의 이동을 감안하고 사용자의 정확한 위치를 측정하기 위한 시간인 TTFF 문제에서 기인한다. A-GPS는 도시 환경에서 TTFF를 줄이기 위해 GPS에서 위치 측정 데이터를 받은 후 위치 정보를 보정해 주는 기지국의 서버에서 데이터를 제공받는 방식으로 주로 핸드폰 같은 규모가 작은 휴대 기기에 사용되는데 기기의 에너지 부담을 줄이고 복잡한 도시 환경 내에서도 빠른 수신이 가능하도록 LTE나 Wi-Fi 등으로 데이터를 전송 받도록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때문에 평평설자들이 GPS=기지국=사기라고 착각하는 것. 그에 반해 S-GPS는 GPS 수신기가 위성에서 직접 위치 값을 받고 기존에 입력된 지도와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으로서 기지국의 도움을 받기 힘든 망망대해의 차량, 선박, 비행기 같은 운송, 군사 기기에 내비게이션에 많이 활용된다. A-GPS보다 정확한 방법이지만 GPS 위성으로부터 50bps 수준의 저속으로 데이터를 수신받는 데다가 계산 과정이 복잡하므로 수신기를 키고 첫 위치를 잡는 데만 수 분 수준으로 오랜 시간이 걸린다. 사실 평평설자들이 착각한 A-GPS를 쓰고 있는 핸드폰도 S-GPS 수신 방식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렇게 하면 오지에서도 통신은 불가능한데 GPS는 잡히는 기현상을 볼 수 있을 것이다.
4.2.6.5. 파일럿
* 파일럿 중 대부분은 아니지만 지구가 평평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 같다. 그들은 정말 하늘을 날아서 눈으로 직접 본다. 파일럿은 지구가 평평하다 생각해요? Quora 질문글에 대해 파일럿과 일반인의 답변들인데 파일럿 중에서도 지구는 구체라고 말하는 사람이 다수 이고, 그 중 평평하다고 말하는 파일럿 중, 수년간 일했던 Mark C는 대중이 접할 수 없는 진짜 지도를 가지고 다니며, 항공기에서 찍은 모든 사진은 지구가 둥글어 보이도록 조작되었고, 포토샵이 없던 시절은 힘든 것이였으나, 현재는 너무 쉬운 작업이라고 한다.[57] Kevin Rochlin에 의하면, 세계 정부로 부터 비밀을 지키기로 맹세했지만, 은퇴해서 괴롭힐거 같지 않아서 말하는 것이라고 한다. 다리 설계를 할 때 항상 두 개의 설계를 하였는데, 하나는 곡면 지구에 맞게 설계되었고, 다른 하나는 실제 평평한 지구에 맞게 설계하여 승인을 받은 후 평평한 지구 설계도를 건설자에게 제공한다고 한다.[58] 저 quora 답변에 의하면, 지구가 평평하다고 하면 직장을 잃는 파일럿도 있었다고 한다.
자신있게 구체가 아니라고 말하는 파일럿의 모습, 파일럿에게 비행기를 착륙시킬 때 지구의 공전 방향을 고려하여 착륙하는지 묻자 아니요라고 대답한다
틱톡에는 꽤나 찾을 수 있었으나, 유튜브에서는 검열이 되었는지 저러한 영상들을 하나도 찾아볼 수 없었다. 유일하게 찾아볼 수 있는 영상은
유튜브 쇼츠에서 일반인이 43년 경력 조종사에게 지구 어떻게 생겼냐고 묻자, 조종사는 "평평해요. 우리 조종사들은 이걸 비밀로 합니다."라고 말하는 영상이다. 물론 분위기상으로는 보아 조종사가 진담으로 말하는지 농담으로 말하는지 파악할 수는 없다.
지구평평설자에 의하면 지구가 구체라면 비행기가 직선으로 가면 계속 위로 가기 때문에, 파일럿은 비행 중에 계속 고도를 내려야 한다고 한다. 또한 지구평평설자에 의하면 파일럿은 실제로 비행 중 80%는 자는 것이라고 한다.
* (반박): 항공기의 비행 원리는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을 잘 보여주는 증거 중 하나다. 비행기가 고도를 지속적으로 조정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지구의 중력 때문이다. 중력은 비행기를 지구 중심 방향으로 끌어당기므로, 비행기는 자연스럽게 지구의 곡률을 따라 비행하게 된다.
일부 파일럿들의 개인적 견해는 과학적 사실을 부정하는 근거가 될 수 없다. GPS와 현대적 항법 시스템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전 세계의 항공 교통 시스템이 이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수많은 비행 데이터와 실제 운항 기록으로 입증된다.
비행기가 지구 '끝'에서 추락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오히려 지구가 평평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만약 지구가 평평하다면, 특정 지점에서 비행기가 추락하거나 예상치 못한 고도 변화가 발생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 비행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현대 항공 기술과 비행의 물리적 원리는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을 명확히 입증하고 있다. 개인의 주관적 견해나 해석은 이러한 과학적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지구평평설자에 의하면 지구가 구체라면 비행기가 직선으로 가면 계속 위로 가기 때문에, 파일럿은 비행 중에 계속 고도를 내려야 한다고 한다. 또한 지구평평설자에 의하면 파일럿은 실제로 비행 중 80%는 자는 것이라고 한다.
* (반박): 항공기의 비행 원리는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을 잘 보여주는 증거 중 하나다. 비행기가 고도를 지속적으로 조정하지 않아도 되는 것은 지구의 중력 때문이다. 중력은 비행기를 지구 중심 방향으로 끌어당기므로, 비행기는 자연스럽게 지구의 곡률을 따라 비행하게 된다.
일부 파일럿들의 개인적 견해는 과학적 사실을 부정하는 근거가 될 수 없다. GPS와 현대적 항법 시스템은 지구의 곡률을 고려하여 설계되었으며, 전 세계의 항공 교통 시스템이 이를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다. 이는 수많은 비행 데이터와 실제 운항 기록으로 입증된다.
비행기가 지구 '끝'에서 추락하지 않는다는 사실은 오히려 지구가 평평하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만약 지구가 평평하다면, 특정 지점에서 비행기가 추락하거나 예상치 못한 고도 변화가 발생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 비행에서는 이러한 현상이 전혀 관찰되지 않는다.
결론적으로, 현대 항공 기술과 비행의 물리적 원리는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을 명확히 입증하고 있다. 개인의 주관적 견해나 해석은 이러한 과학적 사실을 부정할 수 없다.
4.2.6.6. 궤도
- 지구평평설자에 의하면 하늘에 있는 태양과 달을 관찰해보면, 8자 궤도를 따라 움직이며, 지구 위에서 태양과 달이 회전하기 때문에 밤낮이 생기는 것이고 시간차이가 발생해서, 동남아 지역은 거의 대부분이 여름인 이유는 태양이 낮게 떠 있는 지역이기 때문이고, 태양과 달은 단순히 회전만 하는 것이 아니라, 높낮이의 고도가 변하면서 회전을 하고 있어서, 태양과 달의의 크기도 각각 다르게 보이는 것이다. 하지만 지동설에 의하면 8자 궤도로 왜 움직이는지 설명하기가 어렵다고 하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일단 학교 교과서는 태양과 달이 8자 궤도로 움직인다는 것은 안 가르쳐주기도 한다.
-
(반박): 태양이 하늘에서 8자 모양으로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아날레마(Analemma)라고 하며, 이는 지구의 자전과 공전의 복합적인 결과다. 이 현상은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와 타원 궤도로 인한 공전 속도 변화에 의해 발생한다.
단순히 태양과 달이 지구 위를 8자 모양으로 돈다는 설명은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 지구의 자전은 낮과 밤을 만들고, 23.5도 기울어진 자전축을 중심으로 한 공전은 계절의 변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복합적인 운동이 하늘에서 관찰되는 태양의 겉보기 운동을 만든다.
적도 지역이 항상 더운 것은 태양이 낮게 떠서가 아니라, 태양광이 지구 표면에 수직으로 도달하기 때문이다. 이는 지구의 자전축 기울기로 인해 발생하는 현상으로, 과학적으로 잘 설명된다.
결론적으로, 아날레마 현상은 지구의 운동을 이해하면 충분히 설명할 수 있는 자연 현상이다. 이는 복잡해 보일 수 있으나, 천체의 운동에 대한 정확한 관측과 수학적 계산으로 입증된 과학적 사실이다.
5. 평평설자에 대한 반박 중 오류
5.1. 성경 등장인물 문화관에 대한 무지
어느 책을 읽을 때나, 저자에 대한 정보와 그 지역에 대한 문화와 저자가 어떤 환경에 쳐해있는지를 생각하고 읽는 것이 굉장히 중요한 것이다. 특히 성경이 그렇다.성경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려면 참고를 해야하는 관련 자료가 매우 많은데 적은 호기심으로는 성경에 대해 제대로 이해하기 어렵거나 성경에 대해 잘못 이해한 채 반박을 한다거나 중도포기할 것이다. 게다가 성경 문화 이해를 위한 퀄리티가 높은 자료들은 두꺼운 책들이 많기 때문에 가격에 대한 부담이 있을 수 있다. 물론 인터넷에서도 많이 찾을 수 있으나, 그 수가 굉장히 적지만, 인터넷으로 자료와 출처를 잘 찾는 사람들은 퀄리티 높은 성경 관련 참고 서적을 알아서 갖고 있는 편이다. 성경에 대한 과정은 한국에서 어느 학교에서도 배울 수 없다고 보면 되며, 스스로 찾아 배우는게 더욱 시간낭비를 하지 않는 것이다. 왜냐하면 정말 정말로 훌륭한 신학 교수라면 현재 한국 교회가 성경에 반하는 행동을 갖다가 한국 교회의 권위에 도전했을 것이기 때문이다.[59] 왜냐하면 한국 성직자로 직업 활동을 함에도 불구하고 히브리어를 참고해야 하는 이유에 대해 제대로 깨닫지 못해 성경 공부 안한 한심한 성직자들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반박 중 잘못된 반박은, 성경에는 지구가 구체로 적혀있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러한 반박이 틀린 이유는 히브리어 원어 사전을 제대로 찾아볼 생각을 하지 않았을 뿐만이 아니라 성경이 써진 당시 배경의 사람들이 지구에 대한 생각을 고려하지 않은 사람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기 때문이다.
아래는 성경에 나오는 등장 인물들이 생각했던 지구의 모델이다.
창세기 1장 6절에서 8절에는 지구 위에 씌워진 궁창(doom)이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히브리어 사전적 의미를 영어로 표현하자면 valut이며 건축물에서 둥근 천장을 뜻할 때 쓰는 단어이다.
5.2. 언어 이해와 성경 번역에 대한 번역 무지
한국과 가깝지 않은 문화를 가졌고 히브리어와 그리스어를 한국인 입장에서는 넘사벽이 있는지라, 대부분은 한국어 번역이나 영어 번역을 가지고 평평설에 대해 반박을 하는 편이다. 그렇다고 한국어 번역과 영어 번역이 대부분 심각한 오류라는 것은 아니지만 제대로 원어에 대한 기원을 찾아보지 않고 생각을 하지 않은 채 반박을 하는 것은 성경에 대해 잘못 반박하고 있는 오류가 맞다.이것에 대한 중요성을 모르다보니, 히브리어나 그리스어 언어에 대해 자세히 찾아보지 않고, 번역된 문자 그대로 해석하여, 그것이 맞는 것인 줄 알고 반박하는 것은 오히려 부끄러운 행동일 수도 있다.
당장 현재 문서의 역사 과거 문서 기록들 봐도 반박 중 틀린 것을 쉽게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성경에 대한 무지로 인해 성경에 둥글다(구체)고 써져 있다고 자신있게 기록을 한 부분이 존재한다.[60] 이것은 지적 허영심에 대한 부작용이다.
게다가 성경은 지구를 둥글다고 하고 있다.
이사야서 40장 22절만 봐도 알 수 있고[61],
루가의 복음서 17장에는 지구의 양면이 동시에 낮과 밤이라고 되어 있다. 그러므로 지구가 평평하다는 주장에는 성경을 쓰면 안 된다.
-해당 문서 r1783 version 중
짧게 반박에 대한 반박을 시도하자면, '둥근 지구 위에 앉은'은 한국어 화자 입장에서는 구체형 지구와 평평 지구 모델을 가지고 둘 다 말이 되는 것이다. 구체형 지구 입장에서는 북극 부분에 앉아 있었다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평평 지구 모델 입장에서는 궁창(doom) 위에 앉아 있었다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기에 어느 입장에서는 말이 되는 것이다.-해당 문서 r1783 version 중
성경으로 지평설을 옹호하기도 좀 걸리는 게, 성경에 언급된 세계관이 지구를 어떻게 묘사하고 있는지 불명확하기 때문이다.[62] 위에 언급된 요한계시록 7장 1절은 이름부터가 요한 '계시'록인 데서 알 수 있듯 계시는 예언이란 뜻이고, 예언은 해석하기 나름인데다 의미를 알 수 없는 표현이 다수 존재한다. 애초에 저 구절에 천사가 나온다는 점 부터 반쯤 영적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이라는 걸 염두에 두고 읽어야 한다. 성경의 계시적 표현에 나오는 네 모퉁이는 말 그대로 사방, 온 세상을 의미한다.
-해당 문서 r1783 version 중
-해당 문서 r1783 version 중
위의 목차에서 성경이 묘사하는 지구 모델 부분을 보면, 성경에 등장하는 인물과 주변 인물들은 정말로 성경이 평평한 땅에 궁창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그 근거는 여기 문서를 통해 발견할 수 있다시피, 고대인들은 하늘을 거대한(dome) 형태의 천장처럼 생각한 것처럼, 성경이 써진 옛날에도 정말 그렇게 생각해서 써진 것으로 강하게 추측이 된다. 영어로 번역된 circle은 보통 2D인 평면한 원일 때 이렇게 번역한다. 고로 위 반박은 단어에 대한 무지일 수도 있다. 영어에서는 입체적 원은 globe(구체)로 말한다. 건축물의 둥근 천장은 vault로도 번역이 가능하다. 한국어로 번역하자면 궁창(空蒼)으로 번역이 가능하다.
6. 지구 평면설에 대한 반박
ISS에서 본 지구의 실시간 영상지구가 평평하다면 절대 불가능한 현상 7가지
지구 평평설에 대한 정리된 답변
지구 평면설 반박하는 사이트 모음
직접 지구 평면설에 대해 소개한 뒤 이후에 반박한 리뷰엉이의 영상
지구 평면설은 백이면 백 일루미나티 등의
바로 2012년 10월, 레드불 이벤트에서 펠릭스 바움가르트너가 지상 39km의 성층권에서 뛰어내린 영상을 보면 아주 명확하게 둥근 지구의 모습이 보인다. 그동안 지구 평평설자들은 우주 관련 영상들에 대해서 지상 내의 세트에서 연출, 조작한 것이라는 주장을 해왔는데, 그들 논리대로라면 펠릭스 바움가르트너는 지상의 세트장에서 뛰어내려서 성층권으로 순간 이동한 후 지상으로 낙하한 것이 전 세계로 생중계되었다는 논리가 된다. 자세한 내용은 펠릭스 바움가르트너 항목을 참조.
지구가 구체라는 것을 확실하게 입증하는 것은 ISS와 인공위성, 탐사선이 찍은 사진과 동영상이지만, 평면설자들에게는 통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들은 NASA가 지구가 평면이라는 사실을 감추기 위해 CG로 조작했다고 주장하기 때문이다. 이들의 주 근거는 사진에 수만 개 떠 있다는 인공위성이 보이지 않는다는 것인데, 인공위성이 수만 개라도 지구 궤도의 면적은 매우 넓고, 위성 간의 고도도 300 km 정도 저궤도에서 수만 km인 정지 궤도에 이르고, 다수는 잘해봐야 경차 크기이며 우주는 대기로 인한 빛 산란까지 없기에 위성이 잘 보이지도 않는다. 물론 시각분이 높을 때 천체 망원경 동원하면 찍히기는 한다. # 하지만 태양 전지판이나 안테나에서 반사된 빛인 글레어는 맨눈으로 볼수 있는데, 가장 유명한 것이 이리듐 위성의 이리듐 플레어다. 미식 축구장 만한 ISS는 이야기가 다른데, 너무 빨라서 육안으로 인식하기 힘든 것은 마찬가지지만, 텔레스코프와 연동한 카메라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며, 심지어 아이폰으로도 촬영이 가능하다. # #
하늘을 뒤덮는 스타링크 위성들 |
최근엔 스페이스X가 아예 지구 저궤도를 통째로 전세를 내서 촘촘하게 인공위성을 박아 넣어 밤하늘 사진을 찍으면 인공위성만 나오는 지경이 되어가고 있어 이들의 인지 부조화는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하지만 평면설자들은 자신들이 직접 볼 수 있는 게 아니라면 전부 조작이라는 편리한 궤변으로 대응한다. 하지만 남반구에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관찰 가능한, 평면 모델을 완전히 반박하는 게 있는데, 바로 천구의 남극이다. 남반구에서 밤하늘을 올려다보면 남극성[63]을 주위로 별들이 돈다. 북극성 역시 전혀 보이지 않는다. 이들이 주장하는 평면 모델이 맞다면, 남반구에서도 북반구에 사는 사람들이 볼 수 있는 별들이 모두 보여야 하며, 북극성을 위주로 돌아야 한다. 당연한 얘기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다.
이 외에도 지구의 세차 운동(precession) 등, 평면설이 설명을 하지 못하는 건 무수히 많다. 과학계에서 어떤 가설이 참으로 받아들여지려면, 먼저 가설을 세우고, 여러 논리적, 수학적으로 "이 가설이 맞다면 지금의 이론이 설명/예측하지 못하는 이러이러한 일들이 관측될 것이다" 이런식으로 예측을 해야 한다. 그 후에 실험을 해서 이 예상들이 잘 들어맞는 게 확인되어야 그 가설이 신빙성을 얻는다. 이 과정에서 과학자들은 이 가설이 설명할 수 없는 게 있는지, 아니면 이 가설을 반박하는 현상은 없는지 끊임없이 시험한다. 이 거센 시험을 견뎌내야 비로소 학계에서 정설로 받아들여진다.[64] 진짜 과학적 이론과 달리 평면설은 가설을 이용해서 할 수 있는 예측이 없다. 평면설 지지자은 일식, 월식이 언제 일어날지 계산할 수 없다. 구형론은 예측하지 못하는, 자신들의 가설만 설명할 수 있는 현상을 내놓아서 실증하려는 생각은 없고, 그냥 그때마다 ad hoc식, 즉흥적으로 왜 평면 모델이 관측되는 어떠어떠한 현상에 위배되지 않는지 허겁지겁 변명하기에 바쁘다.
지구가 둥글기 때문에 지구 구형론에는 어떠한 오류도 없으며, 지구 곡률은 다양한 실용 분야에 그대로 적용되고 있다.[65] 구형론을 무너뜨리려면 구형론의 치명적인 오류를 지적해야 하는데, 동영상이나 사진만 가지고 구형 지구의 국부적인 현상을 지적하는 데서 그치는 게 대부분. 심지어 본인이나 평면설 지지자가 찍은 것도 아니고, 구형론자가 올린 영상을 활용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물론 어중간한 상식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반박을 하지만, 대학 과정과 관련한 것에 대해 반박해 보라 하면 보통 근거도 없이 '아무튼 잘못됐다'며 생떼를 쓰거나, 무시하고 너는 본 적 있냐며 생떼를 부리는 게 태반이다. 당연하지만 입증 책임은 부정하는 쪽에 있다. 그러나 이들은 반대로 옳은 이유를 설명하라고 하면서, 그 설명이 마음에 안 들면 옳다는 근거가 안 된다며 부정하는 근거로 삼는다. 오류를 지적하는 것도 대부분 조작되거나 해석을 이상하게 한 관측 결과이다. 구형론을 입증하는 관측 결과는 조작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면서도, 정작 자신들이 측정한 관측 결과에 문제를 제기하면 인정하지 않는다. 대다수 유사 과학이 그렇듯이, 확증 편향적이고 편집증적인 시각을 깔고 들어가는 것이다. 자기들 의견에 부합하는 것만 인정하고 폐쇄적이기까지 하니 과학이라고 부를 가치도 없는 셈.[66]
굳이 사진이 아니더라도 직관적으로 판단할 근거는 많다.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보이는 별자리가 다른 것이나, 멀어져 가는 배는 밑부분부터 사라진다든가[67], 평야에 서 있는데 멀리 있는 산이 안 보인다든가, 바다 너머 대륙이 안보인다든가 하는 것들 말이다. 이에 대해 현상을 단순히 멀어지기 때문에 작아져서 안 보이거나, 대기의 먼지 등의 불순물 때문에 보이지 않는다고 주장하는데, 이는 레이더나 통신 전파 앞에서는 변명에 불과하다. 레이더 또한 지구가 둥글기에, 상공을 수백 km씩 탐지할 수는 있어도 정작 수평선 너머의 지표를 탐지하는 데 애로 사항이 있다. 곡률을 최대한 극복한 마스트에 올린 레이더가 잘해봐야 수십 km 정도를 탐지하는 정도이기 때문에 높은 곳에 해안 감시 기지나 기상 센터를 두는 이유가 이를 최대한 극복하기 위해서다.
탐지와 표적 획득이 중요한 군사적으로도 지구 곡률은 매우 중요한 요소인데 대표적으로 씨스키밍을 하는 대함 미사일이 이 점을 이용해서 수평선에 숨어 적함에 최대한 접근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지구 곡률로 인한 레이더 사각지대를 극복하기 위해서 정찰기나 OTH가 존재한다. 거기다 함포가 일반적으로 직사 무기가 아니라 곡사 무기로 쓰이는 이유도 마찬가지로, 지구의 곡률 때문에 직사로 먼 거리의 목표를 향해 포를 쏘면 포탄이 바다에 풍덩하기 때문이고, 레이저 함포의 개발이 방어용 무기 위주로 제한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유도 마찬가지다. 만일 이들 주장대로 지구가 평평했다면, 노르망디 상륙 작전에서 미리 눈치를 챈 독일군의 대응으로 연합군이 커다란 피를 보거나 태평양 전쟁에서 너도 나도 시계를 확보해 적 함대에 함재기를 날리는 등 전쟁사를 크게 뒤집었을 것이다.
그리고 평면설자들은 중력의 존재를 부정하고 밀도 차이로 물체가 뜨고 가라앉는다고 주장하는데, 이 역시 부력을 가지고 경험적인 해석을 하는 것이기에 설득력이 없는 주장이다. 밀도 차이로 물체가 뜨고 가라앉는 현상은 중력이 있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고,[68] 특수 상대성 이론에 의하면 운동하는 물체는 운동하는 방향으로 길이가 줄어든 것처럼 관측된다. 그런데, 만약 등속 원운동이라면? 아무리 원운동이라도 운동은 운동이기 때문에 길이 수축이 일어날 수밖에 없다. 원운동하는 궤도의 지름이 줄어들 일은 없는데 둘레는 줄어든다. 그 말은 공간은 절대적인 게 아니라 주변의 상태에 따라서 휘어질 수 있게 된다는 말이다. 그런데 중력은 공간이 휘어진 정도에 따라서 나타나는 것이기 때문에 중력은 부정할 수 없게 된다. 거기다 원심력으로 인한 중력 가속도로 인한 중력 저항은 밀도 따위로 어떻게 설명할 것인가?
그리고 지구가 평면이라면 피타고라스 정리를 이용해서 두 지점의 거리를 구할 수 있어야 한다. 하지만 피타고라스 정리로는 이를 구할 수 없는데, 이유는 지구가 평면이 아니라 구형이기 때문이다.
평평설자들이 인용하는 이런 종류의 지도는 정거방위도법(正距方位圖法)이라고 불리는데 실제로 항공기의 방위를 찾는 용도로 자주 쓰이는 형식의 지도이다. 지도의 중심에서 방사상으로 모든 지점까지의 직선거리가 지구에서처럼 정확하게 나타나도록 인위적으로 경위선의 간격을 조절한 도법이며, 극 중심의 경우에는 극을 중심으로 일정한 간격의 동심원을 그리고, 일정한 각도의 방사상의 직선을 추가하면 도법이 완성된다. 일반적으로 특정한 도시를 중심으로 하는 세계 지도의 제작에 사용되는 이 도법은 지도 중심의 대척점이 원을 이루면서 지도를 둘러싸는 것이 특색이다. 지도의 중심에 놓인 도시에서 모든 방향으로 직선을 그으면 그것은 대권에 해당하므로 이 도법에 의한 세계 지도는 항공, 통신 등 여러 면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하지만 중심에서 멀어질수록 거리 축척이 멀어진다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늘어난 호주와 남아메리카의 거리가 지구의 반대편이 되는 것만 봐도 알수 있다. 이것을 그대로 도용하고 있는 평평설자들에게 그 문제가 고스란히 나타나는 건 당연지사다. 호주가 웬만한 구대륙 뺨치는, 메르카토르 도법의 그린란드급 면적으로 왜곡된 건 물론, 태평양이 지금까지의 모든 해류 발견들을 엎어버릴 정도로 거대해진다. 이대로면 기준 국가를 제외한 모든 정부 기관의 국토 면적 계산이 무효가 되며, 브라질은 미국보다 훨씬 종합적으로 발전한 세계 최강대국이 된다. 그리고, 호주 대륙을 횡단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 인도-중국을 횡단하기까지 걸리는 시간보다 훨씬 길어진다. 물론 그런 일은 없고 당장 녹화하러 해당 국가에 가 봐도 속도 조절을 아무리 해 봐도 그런 일은 전혀 없다는 걸 알 수 있다.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간접적인 내용은 조작과 추측이라는 식으로 넘어간다고 했는데. 그렇다고 간접적으로만 보여준 것도 아니다. 에스파냐에 카를 5세의 명령으로 아메리카를 향한 항해였긴 하나 지구를 돌아 태평양을 지나 아시아로 넘어간 평면설을 지지자들이 내세우는 지표 형태에 반대쪽으로 뚫어서 넘어간 기록도 있기에 역사적인 관점에서도 지구 평면설은 성립이 불가능하다.
당장 두드러지는 것은 항공편인데 평평설자의 주장대로라면 호주와 남아프리카 간의 직항 노선은 없어야 한다. 이를 두고 김국일이 직항 노선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주장을 폈지만 존재함이 밝혀지면서 자료 수집 수준의 미천함을 드러낸 채 도망친 적이 있다. 당장 스카이스캐너 같은 항공권 검색 사이트에서 호주 시드니와 남아프리카 공화국 요하네스버그를 연결하는 콴타스 항공 직항편이 명확히 보인다. 구글 어스 켜보면 알겠지만 남극 대륙 옆을 지나가는 코스이다. 경유편도 주로 호주 퍼스를 경유하므로 거의 직선에 가깝다. 단지 항속 거리 등으로 중간 기착하는 것뿐이다.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자들의 한계가 이 지조에서 드러나는데, 이는 그들의 주된 활동 범위가 북반구에 한정되어 있어 북반구에서 나타나는 현상들만 반박할 수 있게 설계한 것이기 때문이다. 만약 그들이 호주, 남아메리카 등 남반구에서 거주하고 활동했다면 이 지도를 뒤집어 남극이 지구 중심이라 우기고 반대로 북극에 벽이 있다고 우겼을 것이다.
태양이 원근법 때문에 뜨고 지는 것처럼 보인다는 것도 사실이 아니다. 새해 일출에서 볼 수 있듯 태양은 분명히 지평선/수평선 밑에서 떠오르며, 평면설의 주장대로 보면 일출/일몰의 태양과 정오의 태양의 크기가 달라 보여야 하지만 그렇지 않다.[69] 또한 원근법으로 보인다면 일출에 뜬 태양이 점점 빨라지다가 정오 이후 다시 천천히 져야 할 것이지만 그렇지 않다.
덤으로 지구가 평면이라면 월식이 일어났다고 가정했을 때 이런 식으로 나와야 한다. 지구가 평평하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일식과 월식이 똑같이 일식 때는 태양이 위로 월식때는 태양이 아래로 간다고 주장하지만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월식과 일식이 생기는 2개의 공간만 생기고 그곳에서만 월식과 일식이 가능하며 심지어 교점에서는 충돌할 수도 있다. 다른곳에 그림자가 위치하기 위해서는 달과 태양이 상하로 요동치면[70] 가능하다.
게다가 지구가 둥근 게 그렇게 기밀이면 왜 우주 항공 공학과나 공군사관학교 같은 지구가 둥근 것을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대학교를 민간인이 입학 시험만 잘 쳐도 갈 수 있는 건지에 대해서는 아무런 해명을 안 한다.[71] 대표적으로 비행기 조종 기술은 지구가 구체라는 것을 전제로 해야만 배울 수 있다. 전세계 민간 항공사의 여객기 조종사 중에 지구 평면설을 신봉하는 사람 단 한 명이라도 있으면 데려와 보라. 지진 관측소 직원, 재난 관련 공무원, 기상학자, 지질학자, 공항 관계자, 공군, 해군, 항해사 그리고 수많은 물리학자[72] 등 우주로 나가지 않더라도 최소한 지구가 구체라는 것 정도는 알 수 있는 직장을 가진 사람들을 전부 입막음이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 거기에다 중국, 러시아, 북한 등의 반미 국가들의 엘리트들도 죄다 NASA의 꼭두각시에 불과하다는 말이 된다. 또한 스페이스X 같은 민간 우주 기업들은 수익이 나올 수 없는 헛짓거리에 수십억 달러를 투자한다는 소리가 된다. 그리고 도대체 지구가 평면이라면 왜 그것을 숨겨야 한단 말인가? 그러면 이들은 사탄이니 일루미나티니 또 다른 음모론을 들고 나오는데 일루미나티에 대한 반박은 일루미나티 문서 참조. 애초에 지구 평평설자들은 다른 음모론을 이미 믿고 있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이런 말도 안 되는 논리가 성립이 가능한 것이다.
그리고 이들은 NASA가 지구가 구체라고 조작을 했다고 주장하는데, 지구 구형론은 위의 역사 항목에서도 보듯 고대부터 이어진 주장이다. NASA가 만들어지기도 전부터 지구 구형론이 정설이었고, NASA는 그저 우주로 가서 지구가 둥근 사진을 찍어 지구 평면설을 확인 사살 한 것뿐이다. 그리고 우주에 먼저 진출한 건 소련이었고, 소련이 망한 지금 후신인 러시아도 로스코스모스에서 열심히 위성을 발사 중이다. 지금도 일본의 JAXA, 한국의 KARI, 유럽의 ESA, 인도의 ISRO, 중국의 CNSA 등 각국의 우주 기구들이 탐사선을 발사하고 위성을 띄우는데 이들은 NASA 외에는 아는 기구가 없는지 무조건 NASA만 물고 늘어진다.
궁금한 이야기 Y도 2017년 12월 8일 방송에서 지구 평면설을 반박했다. 평면설자들이 이소연이 우주로 안 갔다고 주장하자 이소연과 인터뷰[73]하고 ISS가 없다고 주장하자 같이 천문대에 가서 맨눈으로 ISS를 관측했다.[74] 그리고 민간인들이 남극 방문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하자 남극을 다녀온 민간인을 인터뷰하고[75] 배가 멀리 떨어질수록 아래부터 사라지는 것은 원근법 때문에 안 보이는 것이라고 주장하자 육지에서 15 km 떨어져서 도시를 망원경으로 관찰하여 구형론을 입증했다. 그리고 후반엔 지구 과학[76], 물리학[77], 천문학[78] 분야의 전문가들을 초청해 토론을 벌였으나 3시간 동안 벌인 토론의 결과는 아몰랑 내 말이 다 맞아[79].
또 굳이 과학적인 이유를 차치하고 직관적이게 우주를 관찰해 보면 수로 표현할 수도 없을 만큼 엄청난 수의 대부분의 천체가 구형인데 지구만 굳이 평평한 원반형일 이유가 없다.[80][81] 만약 지구가 평면이라면 비행기도 길을 못 찾는다. 항공기의 GPS는 지구가 둥글다는 전제하에 만들어졌기 때문에 지구가 평면이면 이상한 곳으로 가버린다.
아폴로 계획 음모론에 대한 반박은 아폴로 계획 음모론 문서 참조.
7. 지구 평면설의 우려점 및 위험성
현재 지구 평면설의 주요 확산 경로는 인터넷이다. 그중 유튜브가 주요 확산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데 # 정보통신의 세계화와 소셜 네트워크가 발전함에 따라 검증이 안 되는 가짜 뉴스, 유사과학을 믿는 사람들 다수가 유튜브를 맹신하고 그것을 근거로 제시하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잘해봐야 구형론을 증명하는 공식만 보여주는 교과서와 달리 그것을 뒷받침해주는 이론, 공학적인 근거는 중고교 과정의 물리, 화학 등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있거나 혹은 대학 과정은 되어야지 실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유사과학은 유튜브를 통해 얕은 잡지식과 엉터리 수식, 궤변들을 짜집기해 이건 합리적인 의심이라고 사람들을 현혹한다.인류는 이미 2500년 전부터 그림자와 실제 관측을 통해 지구가 구체라고 결론내렸고, 그 후에도 수많은 학자와 사람들이 과학적인 증명을 통해 더 이상 지구가 구체라는 것을 부정할 과학적 법칙이나 사례가 없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지구 평면설 같은 사이비 이론이 세를 불리고 엘리트 사기설을 주장 하는 사람이 점점 늘어나고 있자 학자들을 중심으로 이전까지는 없던 문제들이 생길 우려가 커지고 있으며, 지금까지 무대응으로 있던 방식을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그 와중 지구 평평설에 관한 한 인터뷰에서 UC 어바인의 천체물리학교수인 제임스 불럭 교수는 이렇게 말했다.
솔직히 충격적입니다.
우리는 2천 년 전부터 관측을 통해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어요
그 사람들(지구평평설자)이 그런 걸 믿는 이유야 알 수는 없지만,
과학은 중요하고 가치있는 것이죠
과학은 생명을 살리고 우리의 삶을 좀 더 편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과학은 지적으로도 풍요롭게 해주죠.
과학자들의 주장(지구 구형론)에 의문을 품고 그들이 국제적인 거대한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주장은 대단히 무서운 일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반(反)과학적, 반지성적인 의견으로 국가나 정부가 과학분야로 지원을 하지 않게 된다면 우리 문명 사회에 큰 위험한 일이 될 겁니다.
한 특파원이 몇 년 전만 해도 이런 얘기(지구평평설)를 방송에서 하게 될 줄 알았냐는 질문에
우리는 2천 년 전부터 관측을 통해 지구가 구체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어요
그 사람들(지구평평설자)이 그런 걸 믿는 이유야 알 수는 없지만,
과학은 중요하고 가치있는 것이죠
과학은 생명을 살리고 우리의 삶을 좀 더 편하게 해주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과학은 지적으로도 풍요롭게 해주죠.
과학자들의 주장(지구 구형론)에 의문을 품고 그들이 국제적인 거대한 음모를 꾸미고 있다는 주장은 대단히 무서운 일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반(反)과학적, 반지성적인 의견으로 국가나 정부가 과학분야로 지원을 하지 않게 된다면 우리 문명 사회에 큰 위험한 일이 될 겁니다.
한 특파원이 몇 년 전만 해도 이런 얘기(지구평평설)를 방송에서 하게 될 줄 알았냐는 질문에
즉, 과학을 부정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 여론도 당연히 점차 그쪽으로 넘어간다. 실제로 한국의 인터넷 포털에 게재되는 우주탐사 관련 기사의 댓글들을 보면 최근 몇년 사이에 지구 평면설 등의 사이비 음모론을 신봉하는 사람들이 상당히 증가한 것이 눈에 띈다. 유튜브 등도 마찬가지이다. 2019년은 아폴로 11호 성공 50주년인데, 포털 뉴스란에 게재된 특집 기사들의 댓글을 보면 달착륙 음모론자들이 놀랄 정도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폴로 11호 사령선 조종사 마이클 콜린즈에 대한 특집기사, 댓글을 보면 음모론자들이 상당수이다.[82] 아직은 실현 가능성이 낮기는 하지만, 음모론자들이 이렇게 계속해서 늘어난다면 국가나 사회가 그들의 의견을 받아들여 과학의 진보와 발전에 투자를 중단하거나 줄일수도 있으며, 지금까지의 과학은 물론이고 앞으로의 과학 발전이 매우 더뎌지거나 중단 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은 서구 과학계의 영향이 어마어마하며, 21세기 들어 알게 모르게 깊이 서구권의 문화가 많이 들어오고 있음에 따라 이 같은 풍토마저 알음알음 들어오고 있다는 점에서 장래에 지구 평면설 문제가 더욱 심해질 가능성도 있다. 이미 한차례 기독교 세력의 입김으로 교과서 진화론 삭제 사건을 다름아닌 2010년대에 겪은 역사가 있다. 물론 이것은 어디까지나 가장 부정적으로 생각했을 때의 이야기다. 아직 이것을 통해 구체적이고 사회에 위협이 되는 문제가 발생한 적은 없다.
지구평면설 주장자들 대부분이 백신 반대나 암 자연치료 같은 다른 음모론이나 사이비 과학에 경도되어 있다는 점도 있다. 특히 이런 지구평평설이나 각종 반과학적 태도는 기독교, 특히 몇몇 서구권의 복음주의 개신교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체로 지구평평설은 기독교에 기원한 젊은 지구 창조설과 궤를 같이 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평면설 주장자들 대부분이 백신 반대나 암 자연치료 같은 다른 음모론이나 사이비 과학에 경도되어 있다는 점도 문제다. 특히 이런 지구평면론이나 각종 반과학적 태도는 기독교, 특히 몇몇 서구권의 복음주의 개신교들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대체로 지구평면론은 기독교에 기원한 젊은 지구 창조설과 궤를 같이 하는 경우가 많다.
지구 평면설은 비웃고 넘기면 그만이지만 백신 반대 문제는 타인의 생명까지 좌우하는 보다 현실적이고 위협적인 문제다. 이러한 과학 전체를 무너뜨리려는 시도에 맞서 한 때 위기에 처했었던 에드워드-아귈라드 재판 당시처럼 천문학, 지질학뿐만이 아닌 모든 과학자들의 대동단결이 필요할 것이다.
지구 평면설 자체는 어쩌면 그렇게 믿는다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건 아니니까 큰 문제는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지구 평면설은 다른 과학을 부정하는 사이비 과학이나 각종 음모론 등에 입문하게 하는 일종의 게이트웨이 역할을 하고 있다. 그것은 지구 구형론을 가르치는 이유와 밀접하게 관련이 있다. 대부분의 초등 또는 중등과학 교과서에서 지구 구형론을 제1장 등 매우 일찍 가르치는데 이것은 우리가 일상적 경험과 과학적 사실이 불일치하는 대표적인 사례이기 때문이다. 일반인의 생활경험으로는 우리가 사는 땅은 평평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지극히 자연스럽다. 하지만 과학교과서에서는 월식 때 지구 그림자나 해안에서 수평선에 보이는 배의 돛 등 우리가 관측할 수 있는 사실과 증거를 제시하며 지구가 구체라는 것을 설득한다. 그러한 일상의 경험과 어긋나지만 관측이나 관찰 등 객관적 증거로 과학적 사실을 받아들이게 하는 것이 바로 과학적 태도의 첫걸음이다. 일상적 경험 또는 직관에 어긋나지만 그런 과학적 관측과 증거으로 부터 도출된 과학을 존중하게 되면 지동설이나 진화론 같이 일상적 경험과는 어긋나는 각종 과학적 사실들도 점차 여러 증거를 통해 수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엄격한 증거주의야 말로 바로 과학의 요체이고 과학이 다른 학문보다 진리추구의 수단으로 우월한 이유이다.
그리고 사실 실제 생활에서도 직업에 따라서 지구평면설이 악영향을 끼친다. 흔히 ' 미적분 못한다고 세상 못 사는 게 아니다'라는 말하지만, 실제로는 미적분이 실생활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임을 간과하는 말인데, 지구 구형론은 훨씬 밀접하게 실생활과 연결되어 있다. 당장 토목건축 기술에 기본인 양차가 있고, 항공, 우주기술은 물론 항해, 통신기술도 지구가 구형이라는 것을 전제하고 있다. 그런데 지구 평면설은 지구 구형설을 지지하는 수많은 과학적 증거를 부정하게 하는 부작용이 있다. 만일 지구 평면설이 지배적인 영향을 끼친다면 양차를 고려하지 않고 거대한 구조물을 만들어 심각한 하자를 일으키고, 항공, 우주기술은 경로나 궤도하나 제대로 못 맞추는 난장판이 벌어질 게 뻔하다. 실제로 옛날 지도 중에는 구형인 지구와 평면인 지도가 안 맞아서 생긴 유령 부동산이 있었고, 그로 인한 사기사건도 있었다.
그래서 지구 평면설을 맹신할 경우 단지 지구가 평평하다는 잘못된 믿음에 그치지 않게 된다. 내 눈에 보이고 느끼는 게 곧 진실이니 '나의 일상적 경험과 그의 따른 깨달음과 일치하지 않는 모든 것은 거짓말이다\'라는 믿음 아래 현대 과학의 성과 전체를 부정하고 더나아가 증거주의를 부정하는 첫 발자국이 되기 쉬워진다. 그래서 과학 전체의 신뢰성을 훼손하고 증거가 없이 수많은 사이비과학이나 음모론이나 종교, 안아키 같은 백신 음모론 따위을 쉽게 수용하게 한다. 지구 평면설은 자연과학을 신뢰하게 해주는 진화론이나 지동설과 같은 기초토대를 무너트려 대중들이 과학을 불신하게 하고 지식의 가치를 폄하하는 여러 비효율적인 문화를 부추키는 것이며, 증거에 기반하는 모든 학문이 무너질 가능성이 생긴다.[83]
7.1. 지구 평면설을 떠나지 못하는 이유
“만약 평평설이 사실이 아니라고 입증되더라도 저는 여기를 떠날 수 없습니다.”
- '평면지구의 왕' 마크 서전트가 인터뷰 마지막에 남긴 말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그래도 지구는 평평하다’(2018)
다른
음모론이나
사이비 종교에 한번 빠지면 빠져나올 수 없는 이유와 비슷하다.
이미 여기에 쏟아부은 시간과 재화도 많고 그들이 구축한 영향력과 공동체를 잃을까 봐 두려워하기 때문이다. 다큐멘터리에는 지구 평면설을 지지하면서 가족, 친구들과 연을 끊은 사람도 나온다. 이런 경우, 지구 평평설을 지지하면 공동체 내에서 자신의 지위를 유지할 수 있지만 철회하는 순간 의지할 곳 없는 외톨이가 되어버린다. 결국은 이런 음모론 때문에 스스로를 사회로부터 격리시키는 결과를 낳는데, 이러면 더더욱 음모론에서 빠져나오는 것이 힘들어진다.- '평면지구의 왕' 마크 서전트가 인터뷰 마지막에 남긴 말
넷플릭스 다큐멘터리 ‘그래도 지구는 평평하다’(2018)
8. 패러디
캐나다에 지부가 있었다. 1970년대에 설립되어서 1984년까지 활동한 단체로, 캐나다 지부라고는 하지만 실제로는 평평한 지구 학회의 주장을 가져와서 해학적으로 적용하는 단체였다.세인트 토마스 대학의 철학과 교수인 레오 페라리를 중심으로 활동했었는데, 이들은 새로운 기술들이 등장하는 시대에, 어떠한 사실을 믿고 안 믿고를 정하는 것은 결국 개인의 의지에 따른 것이라는, 철학적인 고찰을 위해 평평한 지구 학회의 주장을 가져왔다. 성경의 내용에 대한 맹목적인 믿음과, 눈에 보이기에는 지구가 평평해 보인다는 경험적인 믿음을 절대시하는 평평한 지구 학회는, 레오 페라리 교수를 비롯한 사람들에게 괜찮은 소재였던 것이다.
캐나다 지부는 실제로는 문학계와 정치계에서 유명한 사람들로 이루어졌으며, 진지하게 지구가 평평하다고 믿는 사람은 없었다. 실제로 레오 페라리는 지구가 평평하다고 진심으로 믿는 사람을 한심하다고 생각했으며, 이들의 가입을 허락하지 않았다.
이것의 패러디인지는 알 수 없지만, 시트콤 하이킥! 짧은 다리의 역습에서 강승윤이 '지구가 네모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모임'(지네모)이라는 인터넷 카페에 접속하는 장면이 나온다.
어떤 익명이 한때 구글 번역 제안에 "I am a flat-earther."를 프랑스어로 번역시 "Je suis un fou."로 나오도록 제안한 적이 있다. 이 문장이 뭔 뜻이냐면 "나는 미친 놈입니다."라는 뜻이다. 구글 번역은 사람이 제안 번역도 할 수 있기 때문에 누군가가 그렇게 번역되도록 제의를 해둔 것으로 추정된다. # 사실 권위 있는 영어사전 중 하나인 콜린스 영어사전에는, flat-earther라는 표현이 '현대의 진실들을 받아들이려 하지 않거나, 현실과는 동떨어진 사람' 혹은 '사상이 시대에 뒤쳐지거나, 비이성적이거나, 마치 반동분자와 같은 사람'이라는 뜻의 비유적이고 비격식적인 단어로 수록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프랑스어로 저렇게 직설적인 표현으로 번역된 것은 이상한 일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다만 현재는 flat-earther가 그대로 튀어 나온다.
지구가 정육면체라고 주장하는 웹사이트도 있다. 물론 진지하게 주장하지는 않는다.
인터넷에서는 지구 평면설 이야기가 나올 때마다 "요즘 누가 지구 평면설 믿음? 사실 지구는 도넛 모양임" 같은 드립을 치고는 한다. 만약 지구가 도넛 모양일 때 발생하는 과학적 현상을 진지하게 고찰한 글
일론 머스크는 트위터로 화성 평면설에 대해 궁금해하기도 했다.
한편으로는 공룡이 멸종한 이유가 운석 충돌로 인해서 튕겨나갔다(...)고 주장하는 이미지도 있다. 해당 이미지는 평면설 커뮤니티에서 금지 짤방으로 통한다.
만화 탐정학원Q에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교사 오니코베 도쿠로(닥터 도쿠로)가 등장한다. 무려 2페이지를 통째로 할애한 컷으로 "지구는 평평해!"라고 진지하게 외치는 개그를 보여준다.
해병문학으로도 패러디되었다. 평소에는 상식과 동떨어진 기행을 보여주는 해병문학 등장인물들이 지구 평면설만큼은 헛소리라고 비웃는 것이 일품이다.
9. 기타
인터넷 상에서 지구 평면설을 진심으로 믿는 사람들을 '평평이', '평평충' 등의 멸칭으로 부른다. 반면 평면설 신봉자들은 구형론자들을 '둥글이'라고 부른다.NASA가 이들과 연관이 있다는데, 아폴로 계획 음모론자들과 마찬가지로 이들 역시 NASA를 까면서 자신들의 이름을 알렸기 때문이라고 한다. 해당 스트롱 코드는 5377이며, 스트롱의 용어색인(Strong's Exhaustive Concordance) 책에서는 히브리어 `나솨(נָשָׁא, nâshâ or naw-shaw')`로 발음이 되며, 평범한 사전적 의미는 '들다' / '올리다' / '치우다'와 같이 평범한 의미도 있지만[84], 성경 단어 사전의 스트롱 코드가 서로 다른 부정적 의미는 '잘못 인도하다', 즉 (정신적으로) '미혹하다' 또는 (도덕적으로) 유혹하다, 기만하다, 속이다[85]와 같은 부정적인 의미[86]가 담겨있다. 대표적 단어 사용 참고는 이사야 19장 13절에 있다.[87]
NASA 로고가 고대 전설 이미지에서 뱀은 사탄의 동물로 묘사되는데, 나사의 로고 모양이 T를 표현한 것이고 NA를 뒤로 움직이면 SATAN이 되기에 나사는 가짜다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래서 이렇게 억지로 666이 나오도록 계산을 하는 사이트도 등장하기도 했다. 지금은 접속할 수 없다.
번역: "음모론자들과 평평지구론자들은 다음과 같은 것을 좋아합니다:
알파벳의 각 글자에 숫자를 배정하고
단어에서 "666"을 도출해내는 매우 창의적인 방법을 고안하며
그 단어를 "악"과 연관 짓습니다. — 이는 단순한 숫자점(numerology)일 뿐이며 현실적 근거가 전혀 없습니다.
666generator.com 웹사이트는 몇 글자 이상의 어떤 단어에서도 "666"을 도출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이러한 행위가 얼마나 터무니없는지를 증명합니다."
알파벳의 각 글자에 숫자를 배정하고
단어에서 "666"을 도출해내는 매우 창의적인 방법을 고안하며
그 단어를 "악"과 연관 짓습니다. — 이는 단순한 숫자점(numerology)일 뿐이며 현실적 근거가 전혀 없습니다.
666generator.com 웹사이트는 몇 글자 이상의 어떤 단어에서도 "666"을 도출해낼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이러한 행위가 얼마나 터무니없는지를 증명합니다."
이 사진은 1968년 12월 29일자에 아폴로 8호에서 찍은 사진[88]인데, 나사 사이트에 들어가서 보면 '사무엘 셴턴이라는 국제 평평한 지구 학회의 장은, 아폴로 8호가 찍은 최근의 사진에도 불구하고, 지구가 확실히 평면이라고 발표했다. 셴턴은 달 자체는 확실히 구체지만, 지구도 그렇다는 증거는 없다고 덧붙였다.'는 설명이 붙어 있다. 링크
J.R.R. 톨킨이 만들어낸 세계관 레젠다리움의 배경이 되는 아르다는 초창기에 평평한 원반 형태였다. 다만 이는 세계가 평평하고 바다로 둘려싸였다고 여겼던 고대의 신화요소들을 차용한 것에 가깝고, 작중에서 일루바타르의 개입으로 평평한 아르다가 구형으로 개편되면서 지금의 지구와 같은 형태로 바뀌었다.
제미니 11호와 아폴로 12호에 탑승했던 우주 비행사 찰스 '피트' 콘라드 관련 기록에서도 평평한 지구 협회에 대한 내용이 등장한다. 1999년에 피트 콘라드의 장례식 연설을 보면, 피트 콘라드가 제미니 11호에 탑승해서 "유레카, 휴스턴, 지구는 정말 둥글다!"라고 한 말 때문에 평평한 지구 학회의 회원들이 보낸 편지가 넘쳐났다는 일화가 나온다.
물론 NASA에서는 진지하게 대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 어차피 지구가 구형이라는 주장은 그냥 사실이니까. 위의 사례들을 보면 그냥 농담거리로 생각하는 듯.
이들의 주장으로는 아폴로 계획이 아서 C. 클라크가 짠 대본을 바탕으로 할리우드에서 제작되었다는 것도 있다. 아서 클라크는 이 말을 듣고 NASA에 '이런 얘기가 있는데 나는 보상을 받은 적이 없으니 조사 좀 해달라'는 편지를 보냈었다.
2017년 평평설자들의 공공의 적이나 다름없는 일론 머스크가 소셜에서 왜 평평 화성설 모임은 없냐는 질문을 하자 평면지구 학회는 지구와는 다르게 화성은 구체라는 것이 눈으로 관측되었기 때문이라는 답을 내놨다.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사람들을 다룬 다큐로 넷플릭스의 《그래도 지구는 평평하다》가 있다. 서구권 내에서 세력이 확대되는 지구 평면설의 현황, 그 안에서 벌어지는 내분, 왜 사람들이 지구 평면설을 지지하는가를 주요 주제로 다루었다.
카라반 팰리스의 Moonshine 뮤직비디오는 지구 평면설을 소재로 했다. 지구가 정말 둥근지에 대한 의문을 가진 어느 남자가 극지방까지 배를 타고 갔다가 같은 세계관의 Lone digger 뮤직비디오에 등장하는 동물들의 클럽에 들어가게 되는 내용.
존 스토트의 《성경의 권위》에서는 그리스도인의 자유가 성경에 복종하는 데서 나옴을 주장하기 위해 자유가 모든 권위를 파괴하는 것이 아니라고 먼저 주장하는데, 그 예시로 이 지구 평면설자들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진정한 자유는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지적인 자유는 자유분방한 사상과 같은 것이 아니다. 지구가 구체라는 것을 부인하는 사람을 어떻게 생각해야 할까? 그는 자유로운 사람인가? 결코 그렇지 않다. 그는 속아 넘어간 사람이며 거짓과 망상에 사로잡힌 자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에 등장한 아스가르드가 평평한 지구 모양으로 나와서 뒷목을 잡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스페이스 포스에서는 오클라호마 출신의 골수 기독교 의원[89]이 우주군 청문회에서 이걸 주장하는데, 이사람만이 우주군 예산 증가에 찬성적인 입장이라 우주군 사령관이 이사람 비위를 최대한 맞춰주는 개그스러운 장면이 있다.
워낙 말이 안되는 소리라 그런지, 음모론 중에서는 사실상 최약체라고 봐도 무방하다. 심지어 골수 음모론자도 지구 평평설은 안 믿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김상민그는감히전설이라고할수있다라는 래퍼는 지구는 평평해라는 음반을 발매한 적이 있다.
유튜버 지식코리야는 진짜로 지구가 평평해지면 어떻게 될까? 라는 주제로 동영상을 올렸다. 인간이 평평한 지구에 산다면?
10. 관련 문서
[1]
예를 들어 고대
그리스인들은 평평한 땅이 물 위에 떠 있다고 생각했다. 물론 후술하듯 정말 까마득한 고대에만 그랬다.
[2]
즉 특별한 이유가 있다기보단, 그냥 그렇게 보이니까 그러하다는 논리였다.
[3]
다만
피타고라스는 철학적인 이유 때문에 '완전한 형태인 구형'이라고 주장했다.
[4]
46,250km, 현대의 측정값보다 6,000km 정도 크다. 이는 지구를 완전한 구형이라고 가정했고, 경위도 계산에 약간의 착오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걸 감안해도 2천 년도 더 전, 천체 관측 기술도 없고 지구를 한 바퀴 돌아본 것도 아닌 시대에 이 정도 정확성을 보인 것은 놀라운 일이다. 단위 환산을 다르게 하면 약 0.6%까지 오차가 줄어든다.
[5]
다만 단순히 고대인들이 먹고사느라 바빠서 관심이 없었다는 서술은 고대인을 무시하는 처사이다. 맞고 틀림을 떠나 지구의 모습에 대해 고대 시대부터 기록이 있다는 사실은, 고대인들이 그만큼 자신이 사는 땅의 모습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는 것을 뜻한다. 다만 제시한 학설을 체계적으로 검증하기 힘들었고, 검증할 수 있더라도 이해하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지식을 요구했기에, 보다 직관적으로 와닿는 가설이 대중의 공감대를 얻은 것이다. 이와 비슷한 예로 고대 그리스 시절
원자론과 대립한
원소설이 있다. 심지어
그리스 신화에서도
미노스 문명의 왕궁인
크노소스 궁전을 설계한 것으로 알려진 전설적인 발명가인
다이달로스가 조카 탈로스와 함께 높은 탑 위에 올랐다가, 탈로스가 삼촌에게 지평선이 살짝 솟은 걸 보고서
지구가 사실은 구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말하는 대목도 있다. 또한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에서는 땅이 구형으로 만들어졌다고 하는 대목(그 후 신은 땅에 집중하여 이를 커다란 구형으로 만들었다 - 열린책들 변신 이야기 13p)이 있다.
[6]
갈릴레이와 뉴턴 이전까지 중력은 단순히 '자연의 성질 중 하나' 정도로만 여겨졌으며, 아르키메데스가
무게 중심을 발견한 정도에 그쳤다.
[7]
콜럼버스는 지구 둘레를 실제보다 약 1/3가량이나 작게 잘못 추정했으며, 당대의 식자층들은 이것이 오류임을 이미 알고 있었다. 다만 공교롭게도 콜럼버스가 주장했던 위치에
또 다른 육지가 있었을 뿐이었고, 콜롬버스는 죽을 때까지 그 땅이
인도라고 믿었다.
[8]
셜록 홈즈에서 주인공 홈즈가 자기에게 필요 없는 일반 상식과는 아예 담을 쌓았다는 것을 표현하는 장치로 지구가 구체라는 것과 지동설에 대해 모르는 것을 들었다. 작중 왓슨은 이 사실에 "그걸 모를 수가 있나?" 하며 매우 큰 충격을 받은 걸로 묘사된다.
[9]
(Samuel Rowbotham, 1816~1884)
[10]
영어 위키백과를 비롯한 여러 영어판 설명에서는 발명가/과학자라고 쓰여 있는데, 정확히 무엇을 발명했는지, 어떤 연구를 했는지는 자세히 밝혀지진 않았다.
[11]
상대성 이론의
등가 원리에서 관성 질량과 중력 질량이 같음을 이용해, 사실은 중력은 없고 관성만 있을 뿐이라는 주장이다. 이때 중력은 무게 중심인 구심점을 향해 방사형으로 작용하는 반면, 수직 상승하는 원반은 표면의 수직으로 고르게 관성이 작용하므로 평평한 지구에서 중력이 중심을 향해 비스듬하게 작용하지 않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지표면에서 중력이 고르지 않고 자전의 원심력이 가장 강한 적도에서 중력이 가장 약한 사실이나, 지표면에서 멀어질수록 중력이 약해지는 사실을 설명하지 못한다.
[12]
아이러니한 점은 기독교가 제일 활발했던 시기인 중세에는 그 기독교 신자의 태반이
지구는 평평하지 않고 구체이다고 주장했다.
[13]
설립하고 1년 뒤에 소련이 최초의 인공위성인
스푸트니크 1호를 쏘아 올렸다.
[14]
위의 새뮤얼 셴턴과는 무관한 사람. 공교롭게도 성이 겹쳤다.
[15]
현재 정지됨
[16]
그런데 이 나열된 문구들은 성경이 원래 저술된 히브리어나 아랍어, 그리스어 기준도 아니라 거기서 몇 차례 번역을 거친(번역을 하면서 번역한 당시의 문자 문화가 반영되기도 하고, 원문에서 표현된 단어가 번역될 당시에는 통용되지 않아서 그 당시의 표현으로 대체해야 할 일도 생긴다.) 영어 성경을 기준으로 나열한 것이다.
[17]
젊은 지구 창조설
[18]
이사야서로 예를 들면 선지자 이사야가 생존한 기원전 7백 년 ~ 6백 년대
[19]
아이러니한 것이, 전제만 21세기 초의 서구의 과학 기술적인 언어 표현 기준을 취사선택하여 내린 결론은 21세기 초까지 쌓아온 서구의 과학 기술을 부정한다는 점이다. 좀 더 쉽게 말하면, 문학적 표현이 가득한 연애편지를 과학 논문으로 간주하고 억지로 해석하는 주제에 그 편지를 해석한 결론은 과학을 부정하자라고 내린 셈이다.
[20]
거울을 이러한 현대적 모티브 위에 놓고 저 문장을 읽게 되면 지금은 희미하지만 상대방에게서 자신과의 공통점을 찾으며 서로를 바라볼 수 있지만 그때에는 완전한 타자화만 남게 될 것이다라는 정반대의 의미로 해석될 수도 있다.
[21]
이로 인해 서구권의 몇몇 학교들에서는 유명 스타인 어빙의 말을 학생들이 맹신하여 교사들이 아무리 지구가 평평하지 않다고 설명해도 믿지 않아 고생했다고 한다.
[22]
심지어 샤킬 오닐은 박사 학위 소지자이다. 게다가 스포츠학 관련 학위가 아닌 교육 박사 학위이다.
[23]
하지만 2021년 이후 반지성주의적인 행적으로 인해 이제 팬들은 농담인 것을 믿지 않고 있다.
[24]
그런데 사실 공학이나 의학 등 좀 기술자스러운 쪽의 학자들이 자신의 전공 이외의 분야에서 이상한 쪽으로 빠지는 것은 꽤 흔한 사례다. 사실 한국에서는 이공계라고 해서 공학과 자연 과학을 비슷하게 보지만, 양쪽의 차이는 생각보다 크다.
[25]
2012년 일본에서 휴대 전화를 성층권에 띄워 곡률이 있는 지구의 모습의 촬영에 성공했고,
# 이후에도 2013년에
LG G2를 상공에 띄워 성층권과 곡률이 있는 지구의 촬영에 성공한 것과 대조적이다.
#
[26]
지구 평면설부터 백신 음모론에 다양한 정치적인 음모론까지 각양각색이다.
[27]
3쇄부터는 판매량이 확 줄었다고 한다
[28]
참고로 포스터에 있는 D. Marble이란 사람의 "6분만에 평평 지구 증명" 동영상의 폭발적인 조회 수는 4만도 안 된다. 댓글창에 그 동영상을 반박하는 동영상
링크가 있는 것은 덤.
[29]
자신이 직접 보지 못한 것을 모두 믿지 않는 것.
[30]
물론 반대로 평평설자가 구체론자에 대해
선민의식이 있다는 투로 말하기도 한다. 그들의 입장에서는 맞다고 생각하니 그렇게 생각할 것이다.
[31]
웃긴 건 지구의 자전을 증명한
푸코의 진자에 관해서는 반박하지 못한다는 점이다.
[32]
간혹 태양을 통과하는 듯한 비행기 영상이나 구름 아래 반사된 노을빛을 근거로 태양은 구름 아래에 있다고 주장하는 경우도 있다. 조금이라도 과학을 배웠다면 빛은 파동의 성질을 갖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을 것이고, 이를 증명하는 실험인
이중 슬릿 실험에 대해서도 알고 있을 것이다.
[33]
[math(\rho)]가 [math(\rho_0)]보다 작다면 [math(a)]는 음수가 되며 위로 뜨는 것도 가능하다(헬륨 풍선처럼).
[34]
사실 그렇기 때문에 평평설자들이 중력과 더불어 자꾸만 파고드는 것이다.
[35]
저들이 내미는 모델에서처럼 수평선 끝에 빙하가 막고 있기 때문이라고
[36]
보통 어안 렌즈라고 하면 초점거리 20mm 이하의 초광각 렌즈를 말한다.
[37]
똑같은 광각 렌즈로 지상에서 지평선을 촬영하고 렌즈에 따른 왜곡률을 측정한 다음, 성층권에 올려서 지평선을 촬영하고 그 기울기와 곡률을 지상에서 촬영한 것과 비교해 보면 간단히 입증된다. 만약 음모론자들이 이걸 반박하고 싶으면, 말만 하지 말고 본인들이 이 방법으로 실험을 해보면 된다.
[38]
사실, 대비 효과로 인한 착시와 빛의 굴절 때문에 오히려 일출 / 일몰 시의 해가 정오보다 훨씬 더 커보인다. 이 내용으로 2천 년쯤 전에 동네 꼬맹이한테 질문받은 공자가 나 진짜 얘보다 아는 거 없구나 하고 겸손을 배웠다는 에피소드도 굉장히 유명하다.
[39]
그 에너지양 차이가 사계절을 일으킬 수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모르겠다면,
삼각비를 공부하는 것을 추천한다.
[40]
물론 태양광의 직접 조사나 월면에 반사되는 적외선에 의한 복사열은 존재한다. 아폴로 우주 비행사들의 증언에 따르면, 달 표면에서 태양 쪽으로 얼굴을 돌렸을 때 확연히 열기가 느껴졌다고 한다.
[41]
음모론자들 중에는
러시아 정부가 비밀리에
외계인과 접촉하여 극비리에 갖가지 실험을 한다고 주장하는 자도 있긴 하다. 하지만, 그걸
지구가 평평하다는 사실을 세계 각국의 정부가 숨겼다고 주장하는데 근거로 쓰자면
미국과
러시아가 합작하고 있다는 전제를 깔아야하는데,
미국-러시아 관계를 생각하면 그게 실제로 일어날 가능성은 상당히 부족하다.
[42]
구형론,
진화론, 빅뱅 이론에 따르면
인류는 광대한
우주에 있어 작은 티끌이고, 수십억 개의 행성 중 하나인
지구 위를 기어다니는 하나의 생물종일 뿐이니까. 따라서 우리는 우연히 태어났기 때문에, 삶의 목적과 의미가 사라진다는 것.
[43]
참고로 빅뱅 이론은
신부 겸
물리학자가 처음 제안했고 그 모양새가
창세기의
빛이 생겨라를 연상케 하는 바람에 과학자들이 매우 싫어했다. 빅뱅이라는 이름도 이 이론을 비난하고 놀려먹기 위해 지은 것.
[44]
아메리카도
유라시아 대륙에서 굉장히 멀리 떨어진 곳이지만,
선사 시대의
아메리카 원주민부터
중세
유럽의
바이킹, 그리고 16세기 이후의 유럽인
콩키스타도르들까지 기어이 갖은 수를 써서 들어가는 데 성공했다. 그리고
폴리네시아인들도
몇천 개 정도의 섬들이 드문드문 있는 것을 제외하면, 그냥
바다 밖에 없는
태평양 지역으로 냅다 배를 띄워서
남아메리카까지 가기도 했으니, 인간이 못 갈 곳은 예나 지금이나 없었다.
[45]
20세기 초에
로버트 스콧이
남극점 정복을 목표로 탐험했다가 대원들과 함께 얼어 죽어 버린 것이나,
어니스트 섀클턴[91]이
남극 횡단 탐험을 시도했다가 수십 명의 대원들과 함께 목숨만 간신히 건져서 돌아와야 했던 이야기는 매우 유명하다. 2005년에도
한국인 과학자 한 사람이 남극에서 조난을 당해 사망한 사례가 있었다.
[46]
게다가 환경 오염의 우려도 있어서, 웬만하면 일반인들도 허가를 받아야만 출입이 가능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다만,
남극 조약에 규정된 환경 보전 조항들만 준수하면 어지간해서는 누구나 허가를 해주는 편이다.
[47]
8인치 = 약 20.32cm / 1마일 = 1.609km / 0.666피트 = 약 20.32cm
[48]
정확히는 66,616 mph이다.
[49]
각각 미디어나 책에서 주장하는 기울기의 숫자가 다르다. 23.5도, 23.4도, 23.44도 이렇게 다양하며 하나도 통일된 것이 없다. 아무튼 나무위키 문서와 영문
위키피디아에서는 23.44도로 나와있긴 하다.
[50]
하지만 이에 대해 음모론자들은 계속
666이 나오도록 창의적인 방법으로 억지부린다고 놀리기도 한다.
[51]
UN 로고의 그 지도 맞다.
[52]
위키피디아 제임스 콕
[53]
이러한 종류의 음모론을 믿는 사람들은 공통적으로 '못 하는 것'과 '안 하는 것'을 잘 구분하지 못한다. 지금 NASA를 비롯한 항공 우주 기구들은 달에 '안' 가는 것이지 '못' 가는 게 아니다.
[54]
콴타스와
남아프리카 항공에서 격일로 운행하였다. 콴타스는 747-400ER, 남아프리카 항공은 A340-600을 투입했는데, 이는 보유 기체와도 관련 있지만 어마무시한 망망대해이기 때문에 ETOPS에서 자유로운 편인 4발기로 주로 운항했다.
[55]
역시
콴타스와
LATAM 항공이 운항했다. 콴타스는 747-400ER, 라탐은 787로 운항했고 현재 안 보이는 이유는 코로나19로 수요는 증발했고 특히 호주가 강경한 봉쇄를 시행한지라 운항이 어렵다.
[56]
게다가 평평설자들의 지도에서 이 항로들의 출도착지를 찍어보면 북반구에서 무기착 일주할 거리를 날아간다.
[57]
Mark C: Flew for the military for many years. All aviation folks know the Earth is flat, so flying from place to place is extremely easy. We all carry ‘real’ Earth maps that the public has no access to. As a navigator all I had to do was draw a straight line across the paper to where we wanted to go. See, easy. We like to make it sound much more complicated though, so we can have some fame, respect, and decent salaries. So, we put forward the ’Round Earth Deception’, we refer to it as RED. Every photo taken from an aircraft throughout the entire history of flight has been manipulated to make it appear the Earth is curved. This used to be a painstaking process, but now, thanks to the digital age and Photoshop, it’s quite simple. Note that the navies and seafarers of the world do this as well. They cut the ships and boats out and Photoshop, say a mast only, over the horizon, to make it look like the ship is going around a sphere. We’re all in on it. 마크 씨(Mark C): 저는 수년간 군대에서 비행을 했습니다. 모든 항공 관계자들은 지구가 평평하다는 것을 알고 있어서,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비행하는 것은 매우 쉽습니다. 우리는 모두 일반인들이 접근할 수 없는 '진짜' 지구 지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항법사로서 제가 해야 할 일은 종이에 우리가 가고 싶은 곳까지 직선을 그리는 것뿐이었습니다. 보세요, 쉽죠. 하지만 우리는 명성과 존경, 그리고 적절한 급여를 받기 위해 이를 훨씬 더 복잡하게 들리도록 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둥근 지구 속임수'를 만들었고, 우리는 이를 'RED'라고 부릅니다. 비행의 전체 역사를 통틀어 항공기에서 찍은 모든 사진은 지구가 곡선으로 보이도록 조작되었습니다. 이전에는 힘든 작업이었지만, 이제는 디지털 시대와 포토샵 덕분에 매우 간단해졌습니다. 세계의 해군과 항해사들도 이렇게 한다는 점을 주목하세요. 그들은 배를 잘라내고 포토샵으로, 예를 들어 돛대만 수평선 너머에 놓아서 배가 구체 주위를 돌고 있는 것처럼 보이게 만듭니다. 우리 모두가 이것에 가담하고 있습니다.
[58]
Kevin Rochlin: When I was in engineering school we were sworn to secrecy by the world government. Since I am retired, I hopefully can provide this information and still live. We had to do 2 sets of designs. If we designed a bridge, we had 2 plan sets. One designed for a curved earth and the other for the real flat earth. All reviews were done on the round earth set off plans. After approval, we provided the flat earth plans to the builders and no one was the wiser. There is a whole world government that is above the all countries on earth, complete with its own nukes. That is what keeps the secret. For a while I worked for NASA. One reason why most people move on is that they cannot handle the stress of keeping the secret. 케빈 로클린: 제가 공학 학교에 다닐 때, 우리는 세계 정부에 의해 비밀 유지를 맹세해야 했습니다. 이제 은퇴했기 때문에, 이 정보를 제공하고도 살아남기를 바랍니다. 우리는 2가지 설계도를 만들어야 했습니다. 다리를 설계할 때, 우리는 2가지 계획을 세웠습니다. 하나는 둥근 지구를 위한 설계이고, 다른 하나는 실제 평평한 지구를 위한 것이었습니다. 모든 검토는 둥근 지구용 설계도로 진행되었습니다. 승인 후, 우리는 시공사에게 평평한 지구용 설계도를 제공했고 아무도 이를 알아차리지 못했습니다. 지구상의 모든 국가들 위에 있는 세계 정부가 있으며, 자체 핵무기도 보유하고 있습니다. 그것이 이 비밀을 지키는 방법입니다. 저는 잠시
NASA에서 일했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NASA를 떠나는 이유는 이 비밀을 지키는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59]
물론 인터넷에 찾아보면 있었지만 그 수는 당연히 적다.
[60]
r1783
[61]
심지어 해당 이사야서의 '둥근 지구 위에 앉은'이라고 표현한 그
히브리어 원어 문구는 읽는 사람이 혼동하지 않도록 친절하게 두 가지 의미를 포괄할 수 있는 단어인
원형(Circle)을 사용하지 않고
구형(Sphere)을 지칭하는 단어(히브리어를 영어 표기 방식으로 읽으면 "chug"이라고 읽히는 단어로, 한국 개역 성경에서는 "궁창"으로 번역되어 있다.)를 써서 표기되어 있다. 다만, 영어 성경의 주류 버전인
KJV,
NRSV,
NIV 성경에서는 납작한 원판으로도, 입체 구형을 눈에 보이는 형태로도, 양쪽으로 해석이 가능한 "Circle"로 번역했기에 영어권 화자는 이 이사야서 구절을 지구 평면설을 지지하는 구절로 오해할 수도 있다. 또한 한국어 개역개정판의 궁창이라는 번역은 혼천설의 둥근 하늘을 가리키는 것이라서 지구와는 거리가 있다. 궁(穹)이란 한자는 활{弓}처럼 굽은 천장{穴}이라는 데에서 둥근 천장, 하늘을 가리킨다. 이제는
사어가 돼서 궁창에 둥긂이란 의미가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지지 않았다.
[62]
사실 구약성경의 경우 지구평면설로 의심되는 구절이 더러 존재한다. 하지만 고대인들의 관점에서 작성된 문서에 지구평면설이나 천동설이 묘사되어 있는 것이 딱히 이상한 것은 아니다. 문제는 문자주의와
축자영감설을 고수하는 근본주의자들인데, 이들은 성경이 둥근 지구를 말한다고 주장하거나 평면지구를 받아들여 흑화하거나 둘 중의 한 길을 선택한다. 성경에 과학적 오류가 있다고 인정하고 싶지 않기 때문이다.
[63]
실제로 남극성은 북극성처럼 빛나는 별이 아니고, 편의적으로 천구의 남극에 붙인 이름이다.
[64]
생물학의 진화론, 물리학의 상대성 이론과 양자 역학, 화학의 원자론 등, 현재 학계의 인정을 받는 주류 이론들은 모두 이런 과정을 거쳤다.
[65]
오히려 이 구형론이 너무 정확하게 맞아들어가서 토목 공학과 학생 및 관련직 종사자들은 엄청난 고통을 맛보고 있다. 가뜩이나 힘든 설계 작업 중에 곡률이라는 요소를 포함해서 계산해야 하니.... 지구 평면설이 사실이라면 토목 공학 관련자들이 눈에 불을 켜고 반길 것이다.
[66]
심지어는 나사 자료는 조작 가능하다고 하면서도, 자기들 마음에 드는 자료는 가져다가 나사의 자가당착이라면서 우긴다. 예를 들자면 고도가 낮아서 평평해 보이는 사진을 보고 지구가 평평하다고 하는 것들 말이다. 정작 그러면서 지구의 전체 사진은 조작이라고 한다.
[67]
평면설자들은 이 현상을 원근법과 인간의 시력 한계 때문이라고 주장한다.
[68]
애초에 부력을 표현하는 식이 부피 × 물의 밀도 × 중력 가속도다.
[69]
사실 보이기는 달라 보이는 게 맞다. 문제는 그게 어디까지나 착시로 인한 현상이고 직접 적절한 방법으로 촬영해서 크기를 재보면 사실은 똑같다는 것....
[70]
외부의 힘 없이는 불가능하다.
[71]
민간인들도 우주여행이 불가능한 건 아니다. 많이 힘들 뿐. 그 힘든 것도 나라에서 감추려 그래서 그러는 것이 아니라 비행이나 우주여행은 상당한 양의 전문 지식과 기술적 숙련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이 지식만 갖추고 있다면 민간인도 얼마든지 조종사로 활약이 가능하며, 심지어는 공군에서 특채를 하기도 한다. 실제로 한국 공군에서는 민간 비행 자격증 소지자를 대상으로 조종사 모집을 정기적으로 실시하기도 한다.
[72]
힉스 입자 발견에 기여한 학자만 해도 6,000명이 넘는다.
[73]
이소연은 당연히 자신이 우주에 다녀왔다고 말했다.
[74]
하지만 평면설자들은 ISS를 눈으로 관측하고도
홀로그램이거나 다른 비행 물체일 거라고 부정했다. 시중에 판매되는 천체 망원경으로도 ISS를 볼 수 있는데 천문대 수준의 장비면 충분히 ISS라는 것을 알 수 있음에도 말이다.
[75]
인터뷰한 사람은 남극을 10번 탐방한 펭귄작가 김완수. 지구 평면설을 주장하는 의견을 듣자 "아니 이런 사람들이 정말 있어요? 허허허... 지구를 떠나야지. (지구를 떠나야 한다고요?) 그럼, 내가 이렇게 열 번이나 갔다 왔는데 이런 말 하는 사람있으면 지구를 떠나야죠."
[76]
김형범
충북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교수
[77]
이종필
건국대학교 상허교육대학 교수
[78]
이태형 한국우주환경과학연구소장
[79]
이에 이태형 소장이 한 말이 걸작인데, 여러분들은 행복하겠어요. 여태껏 이걸 증명 못 하고 돌아가신 분들이 너무 많은데, 앞으로 10~20년 후면 우주여행이 활성화되니까 그때 가서 확인하면 될 거니까 그때까지 버텨주세요
[80]
그러자 이제 다른 별들도 둥근 평판이고 그 평판이 지구를 향해있다고 한다. 달의 모습이 그 증거라고 한다.
[81]
물론
베스타나
하우메아처럼 지름이 500km 이상인 천체임에도 구형이 아닌 천체도 있다. 하지만, 이런 천체들도
구가 아니다뿐이지
계란 같은 둥그스름한 모양이긴 하며, 적어도 평면설 지지자들이 말하는 평평한 판 모양은 절대 아니다.
[82]
뭔가 새로운 음모론을 주장하는 것이면 말도 안 한다. 이미 닳고 닳아 국물도 안 나올 '깃발이 왜 펄럭이냐' '왜 별이 안 보이냐' '무시무시한 방사능 밴앨런대' 등등 댓글뿐이다.
[83]
이는 자연과학뿐만이 아니라 경제학, 사학 등의 사회과학, 인문과학도 마찬가지다. 학문의 장에 근거없이
뇌피셜로 지껄여서 정설로 취급되고자 하는 타락한 현장이 도래하게 될 뿐이기 때문이다.
[84]
성경의 단어를 찾을 때 주로 사용하는 코드인 스트롱 코드는 다르며, 평범한 사전적 의미와 부정적 의미 단어의 발음은 서로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85]
컴퓨터선교회 사전
[86]
(mentally) to delude, or (morally) to seduce: - beguild, deceive, x greatly, x utterly.
[87]
(개역한글): 소안의 방백들은 어리석었고 놉의 방백들은 미혹되었도다 그들은 애굽 지파들의 모퉁이 돌이어늘 애굽으로 그릇가게 하였도다. (World English): The princes of Zoan have become fools. The princes of Memphis are decevied. They have caused Egypt to go astray, who are the cornerstone of her tribes.
[88]
일명 땅돋이(Earthrise). 물론 지평선에서 떠오르는 모습을 말하는 "돋이(rise)"라는 단어가 적절하지는 않으나, 단어가 주는
간지 때문인지
NASA에서도
공식 명칭으로 써먹고 있다..
국제 천문 연맹에서도 위의 사진이 찍힌 바로 아래에 보이는
크레이터의 공식 명칭을 해당 사진을 찍은 우주인인 앤더슨+땅돋이를 합쳐서 Ander's Earthrise라
지었다.
[89]
다행히 인공위성이 존재한다는 건 믿는데
인공위성이
하나님의 권능으로
궤도폭격을 할 수있다고 믿고있다.
[90]
지구 평면설을 믿는 사람들 중에서 대다수가 이 가설도 함께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