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7:56:35

구름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구름(동음이의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fff><colcolor=#000>☁️ 구름의 종류
일반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6bc3ff><colcolor=#000> 상층운 파일:권운 기호.png 권운(새털구름) · 파일:권적운 기호.png 권적운(조개구름) · 파일:권층운 기호.png 권층운(베일구름)
중층운 파일:고층운 기호.png 고층운(회색차일구름) · 파일:고적운 기호.png 고적운(양떼구름)
하층운 파일:층운 기호.png 층운(안개구름) · 파일:층적운 기호.png 층적운(두루마리구름) · 파일:난층운 기호.png 난층운(비층구름)
수직형 파일:적운 기호.png 적운(뭉게구름) · 파일:적란운 기호.png 적란운(소나기구름) }}}}}}}}}
특수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6bc3ff><colcolor=#000> 상위형 웅대적운 · 열탑 · 열대저기압 · 슈퍼셀 · 안개
수반형 모루구름 · 성층권 침투 대류운 · 유방운 · 아치구름 · 구름벽 · 미류운(꼬리구름) · 깔때기구름
일반형 야광운 · 진주운 · 편운 · 삿갓구름 · 렌즈구름 · 파상운 · 모닝글로리 · 거친물결구름
기타 비행운 · 스모그 · 버섯구름 · Fallstreak Hole }}}}}}}}}

파일:구름운.jpg

1. 개요2. 날씨3. 생성4. 특징5. 종류
5.1. 모양에 따른 분류5.2. 특수형 상위구름5.3. 수반형 구름5.4. 특수형 일반구름5.5. 인간이 제조한 구름
6. 언어별 명칭

1. 개요

/ Cloud ☁️

물이 햇빛에 증발되어 생기는 수증기 먼지 등의 물질[1]과 응결하여 미세한 물방울이 되어 떠있는 것. 안개와 사실상 성분은 같으며, 지표면과 닿아 있는 것을 안개, 지표면과 떨어져 있는 것을 구름이라고 한다. 때문에 산 중턱에 걸린 구름은 그 산에 올라가 있는 사람에게는 안개이다.

2. 날씨

파일:곤돌라구름.jpg

구름이 하늘의 대부분을 덮으면 흐린 날씨가 된다. 어두운 잿빛 하늘은 어두운 느낌을 주므로 우울감을 유발한다는 말도 있다.[2]

3. 생성

구름의 생성은 크게 몇 가지 요인으로 나누어진다.

이렇게 생성된 구름은 보통 10분이면 사라진다. 하지만 그것도 개체별로 차이가 있어서 몇 분 만에 사라지는 것도 있고, 1시간 동안 유지되는 것도 있다. 보통은 수증기 응결과 공기덩어리 상승 때문에 생성되는 경우가 가장 보편적이다.

18세기 즈음에는 구름의 생성을 '기포이론'으로 설명하였다. 이 가설에 따르면 아주 깨끗한 기포가 물을 담은 채 올라가면 구름이 되고, 이 구름을 구성하는 기포가 태양열을 받아 터지면 그 안의 물이 지상으로 떨어지는게 비라는 것이다. 그러나 과학적 방법론이 점차 발달하자 이 가설은 르네 데카르트에게 비판받게 되었고, 후에 골드스미스에 의해 과학적인 구름 생성이론이 만들어졌다.[5]

4. 특징

구름의 색이 하얀 이유는 대개 구름은 태양광을 산란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충분히 많은 수증기가 모여 있다면, 오히려 태양광을 흡수함으로 인해 짙은 잿빛을 띠게 된다. 이것이 흔히 말하는 먹구름이다.

구름을 구성하는 물 입자는 대기와의 마찰과 구름 내부의 상승기류로 인해 쉽사리 떨어지지 않는다. 만일 이것들을 이겨낼 만큼 물 입자들이 충분히 병합되었다면, 그때부터는 지상으로 떨어지게 된다. 우리가 흔히 라고 부르는 현상이 바로 이것. 그 외에도 바닷가 파도의 물보라에서 떨어져 나온 미세한 소금 입자, 적란운 꼭대기의 빙정 등이 비를 뿌리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보통 물 입자가 구름을 형성하지만, 얼음 입자(빙정)가 구름을 형성하는 경우도 있다. 이렇게 구름이 형성되는 이론을 빙정설이라 부르며, 한국의 구름이 이렇게 형성된다.[6] 이런 구름은 대부분 지상으로부터 적어도 8~9km 이상으로 높이 떠 있다. 흔히 새털구름이라 부르는 권운이 바로 대표적인 사례. 아니면 위도가 높을 경우 기온이 낮아 빙정의 형태로 이루어진 경우가 많다. 보통 중위도나 고위도에서는 빙정이 구름을 이루고, 저위도에서는 미세한 물방울이 구름을 이룬다. 그 외에도 야광운이나 진주운 등 특이한 구름들은 최대 90km 높이에서도 발생하는데, 미세한 화산재가 이들 구름을 형성한다는 설도 있다.

덧붙여 동양권의 고전문학에서 구름은 대체로 부정적인 뜻으로 쓰인다. 예외의 경우도 있긴 하지만. 그 이유는 바로 임금을 상징하는 해를 가리는 존재이기 때문이며 이에 간신배, 아첨꾼을 구름에 빗대어 은유하는 경우가 많다.

아동용 매체(동화, 만화, 영화 등)에선 구름위에 생물체가 올라타는 묘사가 많다. 당연히 구름은 밀도가 굉장히 낮기 때문에 실제로는 불가능하다. 즉 구름으로 내려가면 그냥 떨어진다는 소리다. 하늘에서 떨어질 때 구름이 모여있는 곳을 지나가면서 잠시 흐려지는 식으로 장면을 묘사하는 만화도 많다. 근두운도 시전자의 몸을 구름보다 가볍게 만들어서 올라탈 수 있게 만드는 거지 구름이 뭔가 탈 수 있게 변하는 게 아니다. 그 외에도 마치 구름을 양털이나 솜사탕처럼 묘사하는 경우도 있다.

주로 여름 저녁에 보이는 현상으로, 비교적 고층까지 올라가는 고적운 등이 태양빛을 받아 노을빛으로 붉게 빛나기도 한다. 그런 구름이 하늘 가득 끼어 있을 경우, 마치 하늘이 붉게 물든 듯 기묘한 광경이 연출된다.

위 현상과 간혹 헷갈릴 수 있는 것으로, 구름이 잔뜩 낀 밤하늘이 불그스름한 때가 가끔 있다. 이는 하늘에 낀 구름이 도시의 건물과 가로등 불빛 등을 반사해서 생기는 현상으로, 2000년대까지만 해도 대한민국에서 상당히 자주 볼 수 있었다. 특히 당시 한국의 가로등은 거의 대부분이 나트륨등이었기 때문에 파장이 긴 붉은색의 비중이 높았고, 빛이 구름에 반사되어 흩어질 때 파장이 긴 빛이 남는 물리적인 이유로 붉게 보였던 것이다. 이 현상은 특히 겨울에 자주 발생하는데, 구름 입자가 빙정이어서 빛이 더욱 잘 반사되기 때문이다. 당시 어린 시절을 보냈던 사람들 중에는 그런 날이면 벌건 하늘이 무서워서 고개를 들지 않았다는 회고담을 하기도 한다. 시간이 지나며 가로등이 나트륨등에서 LED로 바뀌는 등의 변화로 2010년대 이후에는 붉은색 대신에 구름의 색과 비슷한 어두운 회색으로 보이는 일이 많아졌기에 이제 일부 지역을 제외하면 붉게 흐린 밤하늘을 보기는 어려워졌다.
구름 윗부분은 뚜렷하면서 아랫 부분은 흐릿한 윤곽인 경우도 많다.

구름 중에는 상당히 비정형적이고 양털 같은 느낌의 것이 있고, 상당히 매끈하고 잘 빠진 모양의 구름이 있다. 보통 전자보다 후자가 더 난류가 심하고 바람이 거세게 분다. 후자의 대표적인 사례로 삿갓구름과 렌즈구름, 특히 모닝글로리를 들 수 있는데, 이들 구름들은 비행기에게는 그 존재 자체로 이미 접근 금지 신호가 된다. 예컨대 삿갓구름은 뜨거운 공기가 어마어마한 속도로 상승하는 경우 나타나는 것이며,[7] 렌즈구름은 멀쩡히 날아가던 비행기조차 허공에서 산산조각낼 수 있는 강력한 바람인 산악파(mountain wave)를 품고 있다. 모닝글로리의 경우 겉보기엔 아름다워 보이지만 사실은 웬만한 슈퍼셀 중심부만큼이나 강력한 돌풍이 상시 휘몰아치는 무시무시한 구름으로, 난류 경보체계에서 최고등급인 "extreme" 의 위험도를 자랑한다.

비행기에게 구름은 마냥 낭만적이지만은 않다. 특히 적란운을 만나면 비행기들은 그 구름을 피해 우회하곤 한다. 왜냐하면 그 구름 속에는 강한 바람 우박 등이 쏟아져 흘러 내리기 때문. 물론 항상 그런것은 아니기에 이러한 장관이 연출되기도 한다. 아마도 익단와류(wingtip vortex)라고 불리는 현상과 관계가 있다. 윙렛 문서를 참고.

파일:volcanoeruption01.gif

파일:volcanoeruption02.gif

화산폭발 등 큰 충격파가 발생하면 구름이 갈라질 수도 있다. 영화 딥 임팩트에서도 혜성 충돌로 발생한 충격파가 반경 수백 킬로미터의 구름을 순식간에 모조리 흩어놓는 장면이 나온다. 당연히 이건 과장이 아니다. 백두산만한 혜성이 엄청난 속도로 직격했는데 안 흩어질 리가 없다. 보기

두터운 솜털 같은 적란운을 뚫고 하강하는 여객기. 수직형 구름의 입체적 구조를 관찰할 수 있다.

5. 종류

<colbgcolor=#fff><colcolor=#000>☁️ 구름의 종류
일반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6bc3ff><colcolor=#000> 상층운 파일:권운 기호.png 권운(새털구름) · 파일:권적운 기호.png 권적운(조개구름) · 파일:권층운 기호.png 권층운(베일구름)
중층운 파일:고층운 기호.png 고층운(회색차일구름) · 파일:고적운 기호.png 고적운(양떼구름)
하층운 파일:층운 기호.png 층운(안개구름) · 파일:층적운 기호.png 층적운(두루마리구름) · 파일:난층운 기호.png 난층운(비층구름)
수직형 파일:적운 기호.png 적운(뭉게구름) · 파일:적란운 기호.png 적란운(소나기구름) }}}}}}}}}
특수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6bc3ff><colcolor=#000> 상위형 웅대적운 · 열탑 · 열대저기압 · 슈퍼셀 · 안개
수반형 모루구름 · 성층권 침투 대류운 · 유방운 · 아치구름 · 구름벽 · 미류운(꼬리구름) · 깔때기구름
일반형 야광운 · 진주운 · 편운 · 삿갓구름 · 렌즈구름 · 파상운 · 모닝글로리 · 거친물결구름
기타 비행운 · 스모그 · 버섯구름 · Fallstreak Hole }}}}}}}}}


구름을 여러 종류로 분류하기 시작한 것은 1803년부터인데, 약사이자 퀘이커 교도였던 루크 하워드가 구름을 10개로 나누면서 구름학이 시작되었다. 오늘날은 1956년 세계 기상 기구에서 발간한 국제 구름 도감을 기준으로 분류하고 있다. 구름은 높이에 따라서 상층운, 중층운, 하층운, 수직형(Vertical)[8]으로 나뉜다.

5.1. 모양에 따른 분류

모양에 따라서는 10가지로 나뉘는데 다음과 같다. 기울인 글씨로 된 구름은 를 뿌리는 구름이다.
운형 분류표
상층운 권운(털구름/새털구름) · 권적운(털쌘구름) · 권층운(털층구름/비늘구름)
중층운 고층운(높층구름) · 고적운(높쌘구름/양떼구름)
하층운 층운(층구름) · 층적운(층쌘구름) • 난층운(비층구름)
수직형 적운(쌘구름/뭉게구름) · 적란운(쌘비구름)

구름의 한자어 이름은 그 모양을 반영하고 있는데, 이것이 실제 하늘의 기상 상태 역시 짐작할 수 있게 한다. 이는 각 구름에 해당하는 영어 이름 역시 라틴어로 그 모양과 하늘의 여건을 반영하고 있는 것과도 같다. 운형 기호는 다음과 같다.[9][10]
고적운 Ac
고층운 As
권운 Ci
권적운 Cc
권층운 Cs
난층운 Ns
적란운 Cb
적운 Cu
층운 St
층적운 Sc (겹친 이름도 있다.)
따라서 예컨대 권층운은 높은 상공에서 빙정이 부드러운 질감의 구름을 형성하고 있으나, 높은 하늘의 대류현상이 강하지 않기에 특별한 모양 없이 하늘 전체를 부드럽게 덮고 있고, 바람도 강하지 않아서 구름이 쉽게 흩어지지 않는 상태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층적운의 경우는 기본적으로 구름이 하늘에 넓게 퍼진 상태에서 군데군데 솟구쳐 오른 구름의 모양을 하고 있으나, 탑 모양으로 강하게 솟구친 모양이라기보다는 단지 헝클어진 담요 같은 모습으로 부풀어오르는 데 그친다. 특기할 것은 없는 적당한 대류현상과 적당한 바람을 통해 만들어진 흔한 구름이다.

5.2. 특수형 상위구름

상위 종류에 해당하는 어떤 구름들은 특수한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5.3. 수반형 구름

어떤 구름들은 다른 구름에 수반되기도 한다.

5.4. 특수형 일반구름

물론 저 종류에 속하지 않는 구름들도 존재한다.

5.5. 인간이 제조한 구름

개중에는 인간이 만든 구름들도 있다.

6. 언어별 명칭

언어별 명칭
<colbgcolor=#bbf0f0,#2d2f34> 한국어 구름
屈林(굴림)( 고려어(한국 한자음)), 구롬/구룸( 중세 한국어)
한자 ()
과라니어 arai(아라이)
그리스어 νέφος(nĕphŏs/nephos, néfos, 네포스), σύννεφο(sýnnefo)
νέφος(népʰos/nephos, 네포스), νεφέλη(nĕphĕlē, 네펠레)( 고전 그리스어)
σ̌ύνεφο(šýnefo)( 카파도키아)
라틴어 nebula(네뷸라), nubes/nūbēs, nimbus(님부스)[12]
러시아어 о́блако(óblako), ту́ча(túča)(먹구름)
마오리어 kapua, kēkēao, ao(아오)
마인어 awan, mega(메가), merawan
몽골어 үүл(üül)
산스크리트어 nábʰas/nabhas, मेघ(megha, 메가), अभ्र(abhrá)(천둥구름), वारिद(vārida)
스페인어
인테르링구아
nube
ñube, cirru( 아스투리아스어)
아랍어 سَحَابَة(saḥāba), سِحَابَة(siḥāba), غَيْمَة(ḡayma), غَمَامَة(ḡamāma), عَنَان(ʿanān)
سحابة(saḥāba), غيمة(ḡema)( 이집트 아랍어)
سحابة(saḥāba), غيمة(ḡēma)( 히자즈 아랍어)
영어 cloud(클라우드)
wolcn( 고대 영어)
wolken( 중세 영어)
이탈리아어 nuvola(누볼라)
nura(누라)(나폴리어)
nigola( 라딘어)
nuvia( 리구리아어)
nue, nughe, nui( 사르데냐어)
nìvula( 시칠리아어)
nûl, nìul( 프리울리어)
nìvola( 피에몬테어)
일본어 [ruby(雲, ruby=くも)](kumo, 구모)
くむ(kumu, 구무)( 오키나와어)
雲(nmu)( 요나구니어)
중국어 /(yún, 윈), 雲/云彩(yúncai, 윈차이)( 표준 중국어)
/(yùn)( 객가어)
/(wan4)( 광동어)
йүн(yün)( 둥간어)
/(hùng)(민동어), 雲/云(hûn)(민남어)( 민어)
/(hhyn)( 오어)
타히티어 ata(아타)
포르투갈어 nuvem
nube, nuben, neboeira, neuba, buzarro, farroupa( 갈리시아어)
프랑스어 nuage
nivulu( 코르시카어)
힌디어 मेघ(megh), बादल(ba:dal, 바달), अभ्र(abhra)
میگھ(megh), بادل(bādal), ابر(abr)( 우르두어)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기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0px"
<colbgcolor=#bbf0f0,#2d2f34> 가가우즈어, 우즈베크어, 크림 타타르어, 투르크멘어 bulut
가믈라라이어 yuru, baama
고전 이집트어 sṯzw(sɛt͡ʃɛzuː, setjezu)
고트어 𐌼𐌹𐌻𐌷𐌼𐌰(milhma)
고프로이센어 wupyan
교회 슬라브어 nebo(네보)
구자라트어 વાદળ(vādaḷ)
나나이어 тэвэксэ(tevekse)
나바호어 kʼos
나와틀어 mixtli
네덜란드어, 아프리칸스어 wolk
wólk( 림뷔르흐어)
네오 nub
네팔어 बादल(bādal, 바달/바덜)
노가이어 булыт(bulıt)
노르만어 nouage(저지), nuage(건지), nuaée(대륙 노르망디), nwadj(사크)
노르웨이어, 덴마크어 sky
니브흐어 лах(lax)
다코타어 maxpíya
독일어 Wolke(볼케), Gewölk
Wolkj(메노나이트 저지 독일어)
Wulche( 알레만어)
Woikn( 오스트로바이에른어)
Wulk( 저지 독일어)
Wolk(펜실베이니아 독일어)
돌간어, 사하어 былыт(bılıt)
둥샹어 olien
디베히어 ވިލާ(vilā)
라오어 ເມກ(mēk), ເຝື້ອ(fư̄a)
라즈어 პულა(ṗula)
라크어 ттурлу(t:urlu)
라트갈레어 muokuļs, tyucs(비구름)
라트비아어 debess, mākonis
라파누이어 rangi
레즈긴어 циф(cif)
로망슈어 nivel, nibel, neivel, nebla, neabla, nüvla
롬바르드어 nivola, nigola, nugra
루마니아어 nor
nior(아루마니아 방언)
루신어 хмара(xmara)
룩셈부르크어 Wollek
리보니아어 pīla
리투아니아어 debesi, debesis
링갈라어 lipata 5 or 6
마라티어 ढग(ḍhag), मेघ(megh)
마사이어 ɛnkatampôî
마야어 múunyal, múuyal(유카탄 마야어)
마케도니아어 облак(oblak)
만주어 ᡨᡠᡤᡳ(tugi)
말라가시어 rahona
말라얄람어 മേഘം(mēghaṃ), മുകിൽ(mukil), എഴിലി(eḻili)
메그렐어 მუნაფა(munapa)
몬어 မတ် ဗြဲ(mòt pròa)
몰타어 sħaba
몽어 huab(백몽어)
므엉어 mầl
미얀마어 တိမ်(tim)
바스크어 hodei
바시키르어 болот(bolot)
발루치어 جڑ(juř), جمر(jamar, jammar), جمبر(jambar)
버로어 pilv'
베네토어 nùvoła, nioła, neoła
베트남어 mây
벱스어 pil'v
벵골어 মেঘ(megh)
벨라루스어 хма́ра(xmára), во́блака(vóblaka)
볼라퓌크 lefog, lefogem
부랴트어 үүлэн(üülen)
사모아어, 하와이어 ao(아오)
빌라모비체어 gywylḱ
사미어 balve(남부 사미어)
balˈva(우메 사미어)
polva(피테 사미어)
palˈva(룰레 사미어)
balva(북부 사미어)
polva(이나리 사미어)
põlvv(스콜트 사미어)
세르보크로아트어 о̏бла̄к/ȍblāk
세봅어 avun
세부아노어 panganod
소르브어 mrok(저지 소르브어)
소말리어 caad, daruur
쇼나어 gore 5
쇼르어, 하카스어 пулут(pulut)
순다어 méga
스와티어 lifu 5 or 6
스와힐리어 wingu 5 or 6
스웨덴어 moln, sky
스코트어 clood, clud
슬로바키아어 mrak, oblak
슬로베니아어 oblak
신디어 بَادَلُ(bādalu)
싱할라어 වලාකුළ(walākuḷa)
아과루나어 yuhagkim
아디게어 ошъуапщэ(oŝ°āpš̍ă)
아람어 ܥܢܢܐ(ʿənānā), ܥܝܒܐ(ʿaybā), ܥܝܡܐ(ʿaymā), ܥܪܡܐ(ʿarmā), עֲנָנָא(ʿănānā)
아르메니아어 ամպ(amp)
아바르어 накӏкӏ(naḳ̄)
아바자어 пстхӀва(pstḥva)
아베스타어 maēγa
아삼어 ডাৱৰ(dawor), মেঘ(megh), মেহ(meh), বাদল(badol)
아이누어 niskur/ニシクル, nis/ニシ,[13] kuru/クル, kuri/クリ(구리)
아이마라어 qinaya
아이티 크레올어 nwaj
아이슬란드어 ský
아제르바이잔어 bulud
아카드어 𒅎𒋛𒀀(erpetu)
알라바마어 onoolichi
알류트어 inkamiigus
알바니아어 re
알타이어(남부), 쿠미크어, 키르기스어, 토파어, 투바어 булут(bulut)
암하라어 ደመና(dämäna)
압하스어 аԥсҭцəа(apstcəa)
야미어 maxpíya
어웡키어 тӯксу(tūksu)
에벤어 төгэчин(tögəcin)
에스토니아어 pilv
에스페란토 nubo
에웨어 alĩlikpo
오로모어 duumessa
오로치어 tokso
오리야어 ମେଘ(meghô)
오세트어 мигъ(miǧ), ӕврагъ(ævraǧ)
오지브웨어 aanakwad
오크어 nívol, nubla(가스코니)
왈롱어 nûlêye
우가리트어 𐎓𐎗𐎔𐎚(ʿrpt)
우드무르트어 пилем(pilem)
우크라이나어 хма́ра(xmára)
위구르어 بۇلۇت(bulut)
위요트어 laptóhw
유픽어 amirlu, qilaggluk
이누이트어 ᓄᕗᔭᖅ(nuvujaq)
nuviya, nuvuya(이누피아툰)
nuiaq( 칼라흘리수트(그린란드어))
이디시어 וואָלקן(volkn), כמאַרע(khmare)
이보어 urukpu
이텔멘어 йайаӈ(jajaŋ)
인구시어 морх(morχ)
인도유럽조어 nébʰ-os,[14] *h₃meygʰ-
일로카노어 ulep
잉그리아어, 카렐어, 핀란드어 pilvi
자바어 méga
megha(고대 자바어)
조지아어 ღრუბელი(ɣrubeli)
좡어 fwj
줄루어 ifu 5 or 6, iyezi 5 or 6
차가타이어 بولوت(bulut)
차미쿠로어 polawa'ti
체로키어 ᎤᎶᎩᏛ(ulogidv), ᎤᎶᎩᎸ(ulogilv)
체와어 mtambo
체첸어 марха(marχa)
체코어 mrak, oblak
추바시어 пӗлӗт(pĕlĕt)
츠와나어 leru 5 or 6
카탈루냐어 núvol
칸나다어 ಮೇಘ(mēgha)
칼미크어 үүлн(üüln)
케추아어 phuyu, puyu, pukutai
켈트어파 neamh, scamall, néal( 아일랜드어)
nem, nél(고대 아일랜드어)
neuheelys, bodjal( 맨어)
neul, sgòth( 스코틀랜드 게일어)
cwmwl, cymylau( 웨일스어)
kommol, kobmol, comol( 콘월어)
코미어 кымӧр(kymör)(코미-페르먀크어)
코사어 ilifu 5 or 6
쿠르드어 ھەور(hewr), ئەور(ewr)(소라니 방언)
hewr, ewr(쿠르만지 방언)
크메르어 ពពក(pɔpɔɔk)
케추아어 phuyu, puyu, pukutai
키쿠유어 itu 5
킴메르어 niwl, nifwl
타밀어 மேகம்(mēkam, 메캄)
타오스어 phę́na
타타르어 болыт(bolıt), bolıt
태국어 เมฆ(mêek)
테툼어 kalohan
텔루구어 మేఘము(mēghamu), ధూమయోని(dhūmayōni), పయోధరము(payōdharamu)
토하라어 tärkär( 토하라어 A: 카라샤르 방언)
tarkär( 토하라어 B: 쿠처 방언)
톡 피신 klaut
튀르키예어 Bulut
بولوت(bulut)( 오스만어)
티그리냐어 ደበና(däbäna)
티베트어 སྤྲིན་པ(sprin pa), སྤྲིན(sprin)
파슈토어 ابر(abr), میغ(miğ), مزنه(mozne)
파피아멘토어 nubia
팔리어 megha, abbha
펀자브어 ਬੱਦਲ਼(baddaḷ)
페로어 skýggj
페르시아어 ابر(abr), میغ(miğ), مزنه(mozne)
абр(abr)( 타지크어)
폴라브어 tǫco
폴란드어 chmura, obłok
프리지아어 wolk, swark(비구름)
wupyan(고대 프리지아어)
Wulke(자터란트 프리지아)
피지어 ou
피찬차차라어 ngangkali
필리핀어 ulap, alapaap
헝가리어 felhő, felleg
히브리어 עָנָן(anán)
히타이트어 𒀠𒉺𒀸(alpas), 𒀠𒉺𒀸(alpa, 알파)
!쿵어 ǃqhàa gǀqhūã }}}}}}}}}
구름을 뜻하는 인도유럽조어의 *nébʰos는 이렇게 재구되었다.
고대 아일랜드어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 교회 슬라브어
nem nephos nabhas nebo
첫째 음은 모든 어형에서 공통적으로 /n/으로 나타나므로 *n으로 재구된다. 두 번째 음은 공통조어의 *e가 산스크리트어에서는 /a/로 변화하였음이 다른 단어들을 통해 확인되므로 *e로 재구된다. 그리고 고대 아일랜드어와 산스크리트어, 교회 슬라브어는 파열음에서 유성성을, 그리스어 산스크리트어는 파열음에서 유기성을 공유한다. 이를 통해 산스크리트어는 공통조어 단어 속 파열음의 음운을 보존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고, 따라서 세 번째 음은 *bʰ로 재구될 수 있다. 네 번째 음의 경우 두번째음과 마찬가지로 *o가 /a/로 변하는 규칙이 산스크리트어에 존재했으며, 음운의 수는 늘기보단 줄어드는 경향성이 있음을 감안하여 *o로 재구될 수 있다. 마지막 음인 *s 또한 마찬가지로 다수의 언어에서 /s/를 보존할 뿐만 아니라, 음은 생겨나기보다는 탈락하는 것이 일반적이기 때문에 재구가 가능하다. 따라서 공통조어에서 구름을 뜻하는 단어로서 *nébʰos가 재구된다.

[1] 이러한 물질을 '응결핵'이라고 한다. [2] 장마철에 우울증 환자가 늘어나는 원인으로 꼽히기도 한다. [3] 상승하는 공기가 점차 기압이 낮아지면서 부피가 증가하고 기온도 낮아지는 현상. [4] 아래에서 다시 설명하겠지만, 산맥뿐 아니라 인간이 만든 건물도 충분히 영향을 줄 수 있다. [5] Richard hamblyn,'Invention of clouds',Picador,2002 [6] 단순 물방울들이 모여서 무거워지면 떨어지는 비 형성 원리는 병합설이라 부른다. [7] 아래쪽의 화산폭발 움짤에서도 분출 기둥(eruptive column)의 꼭대기에 하얗게 눈처럼 쌓인 구름이 보이는데 이것 또한 삿갓구름이다. [8] '수직운'으로 불리기도 한다. [9] A로 시작하면 '고', C로 시작하면 '권'(적란운, 적운 제외), S로 시작하면 '층'이 첫글자이다. 그리고 c로 끝나면 적운 계열, s로 끝나면 층운 계열이다. [10] 10가지 중 5가지는 원소 기호와 겹친다. [11] 물론, 대부분 전망을 위해 높고, 넓고, 크게 짓는다. [12] 후광을 뜻하기도 하는데 해리 포터 시리즈 님부스 시리즈가 거기서 따왔다. [13] 하늘, 공기도 뜻한다. [14] 안개도 뜻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