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6 11:37:54

스푸트니크 쇼크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000 40%, #000 60%, #cc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keep-all; letter-spacing:-.2px"
국가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33%"
{{{#000,#ddd {{{#!folding [ 자본주의 진영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제1세계
맹주
유럽
· · · · · · · · · · · · · · ·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터키 ]]
· ·
아시아 & 오세아니아
· · · · · · · · · · · · · · · · · · · · ·
아프리카
· · · · · · · · · ·
북아메리카
· · · · · · · · · · · · · · · ·
남아메리카
· · · · · · · · ·
}}}}}}}}}}}}
{{{#!folding [ 공산주의 진영 ] 
{{{#!folding [ 비동맹 진영 ] 
}}} ||
<colbgcolor=#2d2f34> 주요 사건
제2차 세계 대전 후
(1945~1947)
<colcolor=#000,#ddd> 봉쇄정책 · 언싱커블 작전 · 제2차 국공내전 · 철의 장막 · 그리스 내전 · 미소공동위원회 · 트루먼 독트린
전반부
(1947~1969)
마셜 플랜 · 1948년 체코슬로바키아 쿠데타 · 제1차 중동전쟁 · 베를린 봉쇄 · 티토-스탈린 결렬 · 소련의 미국개입유도설 · 6.25 전쟁 · 쿠바 혁명 · 제네트릭스 계획 · 1956년 포즈난 시위 · 1956년 헝가리 혁명 · 제2차 중동전쟁 · 1958년 레바논 위기 · 진먼 포격전 · 스푸트니크 쇼크 · 콩고 내전 · 중소결렬 · U-2 격추 사건 · 1962년 버마 군사반란 · 나는 베를린 시민입니다 · 존 F. 케네디 대통령 암살 사건 · 베트남 전쟁 · 캄보디아 내전 · 피그만 침공 · 쿠바 미사일 위기 · 제3차 중동전쟁 · 68 운동 · 프라하의 봄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우주 경쟁 · 중국-소련 국경분쟁 · 매카시즘 · 상호확증파괴 · 죽의 장막 · 로젠버그 부부 간첩 사건 · 과테말라 내전 · 북예멘 내전 · 해군 당포함 격침 사건
데탕트
(1969~1979)
닉슨 독트린 · 동방 정책 · 닉슨-마오쩌둥 회담 · 7.4 남북 공동 성명 · 핵확산금지조약 · 전략무기제한협정 · 제4차 중동전쟁 · 앙골라 내전 · 베트남 통일 · 판문점 도끼 만행 사건 · 독일의 가을 · 중일평화우호조약 · 이란 혁명 · 중국-베트남 전쟁 · 엘살바도르 내전 · 니카라과 혁명
후반부
(1979~1985)
흑묘백묘론 · 악의 제국 연설 · 그레나다 침공· 이 장벽을 허무시오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이란-이라크 전쟁 · 스타워즈 계획 ·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 · 콘트라
냉전의 종식
(1985~1991)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도이머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 북방정책 · 1988 서울 올림픽 · 천안문 6.4 항쟁 · 베를린 장벽 붕괴 · 몰타 회담 · 1989년 동유럽 혁명 · 예멘 통일 · 동서독 통일 · 걸프 전쟁 · 8월 쿠데타 · 남북기본합의서 · 소련 붕괴
탈냉전
국제 기구
·
TIAR · SEATO · ANZUS · CENTO | 경제상호원조회의(СЭВ | COMECON)
군사 대결 구도
미군 vs 소련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상징 <colcolor=#000,#fff> 국기 · 국장 · 국호 · 노동자 마르세예즈 · 인터내셔널가 · 소련 찬가 · 낫과 망치 · 붉은 별
정치 정치 전반 · 소련 공산당 · 소련 공산당대회 · 크렘린 · 레닌 영묘 · 크렘린 벽 묘지 · 소련 최고회의 · 소련 장관회의 · 헌법
블라디미르 레닌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레오니트 브레즈네프 · 유리 안드로포프 · 콘스탄틴 체르넨코 · 미하일 고르바초프
최고지도자( 서기장) · 국가수반 · 대통령
군사 소련군( 장비 · 소련 육군 · 소련 해군 · 소련 공군 · 소련 방공군 · 소련 전략로켓군) · 스타프카 · 소련 국방장관 · 스페츠나츠 · 정치장교 ·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열병식
소련의 핵개발( RDS-1 · 차르 봄바 · 세미팔라틴스크) · 소련군 vs 미군 · 소련군 vs 자위대 · 대외전쟁
치안 체카 · NKVD · KGB
경제 경제 · 경제사 · 소련 루블 ·
인문 민족 · 언어 · 종교
역사 역사 · 러시아 혁명 · 러시아 내전 · 신경제정책 · 대숙청 · 독소 폴란드 점령( 카틴 학살) · 대조국전쟁 · 소련-일본 전쟁 · 냉전( 6.25 전쟁 · 스푸트니크 쇼크 · 쿠바 미사일 위기 · 소련-아프가니스탄 전쟁 · 1980 모스크바 올림픽)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 소련 존속 여부 국민투표 · 8월 쿠데타 · 소련 붕괴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외교 외교 · 미소관계 · 소련-유고슬라비아 관계( 티토-스탈린 결별) · 중소관계( 중국-소련 국경분쟁 · 중소결렬)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러관계 · 북소관계 · 한소관계 · 소일관계 · 소련-몽골 관계 · 소련-대만 관계 · 친소 · 소비에트 제국 · 브레즈네프 독트린 · 인테르코스모스
문화 문화 · 사회주의 리얼리즘 · 사미즈다트
막심 고리키 · 보리스 파스테르나크 · 미하일 숄로호프 · 알렉산드르 솔제니친 · 스트루가츠키 형제
블라디미르 비소츠키 · 세르게이 프로코피예프 ·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 · 드미트리 카발레프스키 · 아람 하차투리안 · DDT(밴드) · 키노
교육
요리
공휴일
우주 콘스탄틴 치올코프스키 · 반작용 추진 연구 그룹 · 세르게이 코롤료프 · 블라디미르 첼로메이 · 유리 가가린 · 발렌티나 테레시코바 · 알렉세이 레오노프
스푸트니크 · 소유즈 우주선 · 보스토크 계획 · 보스호드 계획 · 살류트 프로그램 · 미르 우주정거장
바이코누르 우주기지 · 소유즈-아폴로 테스트 프로젝트 · 인테르코스모스
}}}}}}}}} ||

1. 개요2. 영향3. 미국 사회의 변화

1. 개요

Now, somehow, in some way, the sky seemed almost alien. The profound shock of realizing that it might be possible for another nation to achieve technological superiority over this great country of ours.
지금, 왠지, 어떤 면에서인지, 하늘이 아주 낯설어 보였다. 다른 나라가 위대한 우리 나라보다 기술 우위를 점할 줄은 상상도 못했기 때문이다.
린든 B. 존슨 당시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 #
Sputnik crisis

1957년 10월 4일 소련이 세계 최초의 인공위성 스푸트니크 1호 발사에 성공했다. 이 일은 미국 국민에게 큰 충격을 주었고 미국 사회에 많은 변화를 가져왔는데 이 사건을 가리켜 스푸트니크 쇼크라고 한다.

미국은 소련의 과학 기술이 생각보다 앞서 있다는 충격과 소련이 본토에서 핵미사일을 쏘면 막을 수 없다는 핵전쟁의 공포를 느꼈다. 이전까지는 폭격기를 통해서만 핵폭탄을 떨어뜨릴 수 있었기 때문에 레이더로 감지하여 차단할 수 있었지만 소련 본토에서 미사일을 통해 여러 발의 핵폭탄이 동시에 대기권 밖에서 날아오면 당시 기술로는 이를 막을 마땅한 방법이 없었다.

소련은 한 달 뒤인 11월 3일 스푸트니크 2호에 살아있는 개를 태워서 쏘아올려 기술력을 다시 한 번 과시했다. 미국은 급하게 뱅가드 위성을 뱅가드 로켓에 실어서 발사했으나 대기권 진입은 커녕 두 차례 연속 폭발하면서 망신을 당했다.[1] 1958년 1월 30일 익스플로러 1호 발사에 성공하면서 간신히 체면치레를 했지만 불과 5kg인 익스플로러 1호를 비웃듯 소련은 2월 3일 무려 1.3톤짜리 과학탐사 위성 스푸트니크 3호를 발사했다.[2]

2. 영향

당시 소련 등 동구권 국가와 미국 등 서구권 국가는 직접적인 대립을 피하고 있었지만 핵무기는 미국이 우위에 있었고 대형 폭격기를 이용한 항공 폭격 이외 다른 방법이 없었기에 공군력이 압도적으로 뛰어난 미국이 핵전력도 우위에 있었는데 소련이 스푸트니크 1호의 발사에 성공하면서 그 믿음이 흔들렸다. 위성을 발사한 것이 다가 아니라 이전부터 니키타 흐루쇼프가 말해 왔던 대륙간 탄도 미사일의 위협이 현실로 다가온 것이다.

미국은 우세한 공군력으로 소련의 핵무기를 방어하고 자신들만 공격할 수 있는 상황이었지만 소련이 쏘아올리는 로켓에 스푸트니크 대신 핵폭탄을 넣는다면 지구 어디든 언제든지 핵무기를 떨어트릴 수 있게 되었고 하늘이 아닌 우주공간에서 공격하기 때문에 아무리 뛰어난 공군이라도 절대 막을 수 없게 되었다.[3][4] 과학기술에서 열등감 수준이 아닌 국가 안보에서 커다란 위협으로 다가왔다. 즉, 미국이 우주 개발에 뛰어든 것은 표면적으로는 소련에게 기술력으로 뒤쳐질 수 없어서지만 내부적으로는 당시에는 절대 방어할 수 없었던 ICBM의 위협 때문이었다.

3. 미국 사회의 변화

스푸트니크 쇼크 이후 미국의 학교 교육과정이 학문중심 교육과정으로 바뀌었는데 현재 한국의 교육과정을 생각하면 크게 다르지 않다. 당시 분위기를 알 수 있는 일화가 있다. 스푸트니크 쇼크 이후 교육과정을 바꾸기 위해 각 대학교 교육학 교수들이 모여서 회의하였는데 얼마 전까지 교육학계의 주류였던 경험주의 계열 교수들이 이 회의에서 한 마디도 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 정도로 당시 사회 분위기가 심각했다.
스푸트니크 쇼크 이후 미국 정부는 이 결과의 책임을 과학계나 국방부가 아니라 교육계로 돌렸다. 한마디로 "학교에서 애들이 원하는 것만 가르치니까 국가 발전에 도움이 되는 것은 소홀하게 되었다. 소련보다 우수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교육을 뜯어고쳐야겠다."는 것이었다. 교육에서 중요한 것은 학생 스스로 공부하길 원해서 공부하는 내재적 목표다. 교육을 통해 국가의 과학기술 성장을 이끌겠다는 것은 교육을 도구로 사용하는 외재적 목표다. 이전 경험중심 교육과정보다 더 낫다고 할 수 없다. 하지만 당시 사회 분위기에 따라 학문중심 교육과정을 만들어 실시하게 되었다.
이는 과학 중심 교육의 강화를 불러왔는데, 일례로 모든 생물학 교과서에 진화론이 들어가기 시작하고 창조설이 점점 교과서에서 밀려나게 되었다.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New Mathematics Movements, 새수학 운동)도 일어났는데, 미국이 소련에게 밀리게 된 계기가 과학과 수학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이는 수학을 철저하게 추상적인 관점에서 바라보고 교육하는 것이 특징이다. 문제는 아동의 학습 능력을 고려하지 않아 난이도가 너무 높았다는 점이다. 결국 1960년대 중후반에 난이도가 너무 높아서 아이들이 학습하기 너무 어렵다는 문제점이 지적되면서 1970년대에 사장되었다.
미국 교육의 이런 변화는 한국의 교육과정에도 영향을 미쳤다. 교육과정을 만들 때 빈 종이를 펼쳐 놓고 맨땅에서부터 만들 것이 아니므로 당연히 선진국의 교육과정을 보고 만들게 되었고, 자연스럽게 미국의 교육과정을 많이 참고하면서 한국의 교육과정도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되었다. 수학교육 현대화 운동의 영향을 받아 3차 교육과정이라는 말도 안 되는 교육과정이 나오기도 했다.

충격을 받은 미국은 과학에 막대한 투자를 진행했고 이후 소련과의 우주 경쟁에 돌입하면서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과학 발전 시기를 열어젖혔다. 그리고 끝내 아폴로 계획을 성공시킨 미국이 유인 달 착륙 경쟁의 승자가 되었다. 이후 아폴로-소유즈 테스트 프로젝트를 기점으로 양국은 우주 경쟁은 인류의 평화와 발전을 위한 것임을 천명하고 적대적 관계를 탈피해 미소관계 동기를 부여하고 도움을 주고받는 관계로 전환했다.

[1] 이때 소련은 사망자가 없음에도 아쉬움을 표하는 서문이나 위로문이 아니라 조문을 보내며 신나게 미국을 조롱했다. [2] 당시 이를 두고 니키타 후루쇼프는 감자를 쏘아올렸다고 비웃었다. 실제로 스푸트니크에서 스푸트는 영어에서 감자의 사투리다. 1969년 아폴로 11호의 달착륙 직전까지 모든 부분에서 항상 소련이 한 발 앞서나갔다. 오로지 유인 달착륙, 추가로 우주선간 도킹 정도를 제외하면 최초의 생명체 귀환, 최초의 유인 우주선, 최초의 우주 유영, 최초의 행성 무인탐사선, 최초의 달뒷면 탐사 등 모든 유니크 타이틀은 소련의 차지였다. [3] 소련은 1949년에 이미 22kt급 핵폭탄인 RDS-1의 폭발실험을 완료했고 1955년에는 수소폭탄의 개발도 완료했으며 스푸트니크 쇼크 4년 뒤인 1961년에는 지금까지도 가장 강력한 핵폭탄인 차르 봄바의 핵실험에 성공했다. 기술적으로 인공위성에 핵폭탄을 탑재하는 건 전혀 어려운 일이 아니니 미국인들의 근거 없는 두려움은 아니다. [4] 대륙간 탄도탄이라는 게 얼마나 무서운 기술이냐면 대륙간 탄도탄을 요격할 기술을 가진 건 미국과 러시아가 전부다. 심지어 그 요격이라는 것도 탄두가 로켓에 실려 있을 때나 가능한 기술이지 분리되어 탄두가 대기권 재진입과 동시에 목표물로 자유 낙하를 시작하면 요격이 사실상 불가능하다. 운 좋게 탄두 요격에 성공하거나 불발되어 폭발이 발생하지 않는다고 쳐도 탄두 그 자체와 파편들이 지상에 충돌하는 것만으로도 많은 피해가 발생한다. [5] 당시 미국 교육은 현재 기준에서 봐도 진보적이었다. 김형석의 증언에 따르면 6.25 전쟁 직후 한국 교육계에서 미국 선생님들을 초청해 교육 방법을 전수받았다. 교동초등학교 교장이 미국에선 말 안 듣는 아이들을 어떻게 통제하냐고 질문하자 미국 선생님들은 통제 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키워야 한다고 조언했는데 그러면서 하는 말이 이번에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대통령이 당선됐는데 원래 학창 시절에 말 안 듣는 애였지만 대통령이 될 만큼 훌륭하게 자랐다고 했다. 평생 서당이나 일제의 주입식 교육만 받았던 김형석은 큰 충격을 받았고 스승, 학부모 중심의 교육을 탈피하고 학생 중심의 교육인 새교육 운동을 시작했다고 한다. # [6] 하지만 이 당시의 미국이라고 해서 마냥 진보적인것은 아니었다. 우선 지역에 따라 차이가 상당히 컸던데다가[8], 뉴저지주를 제외한 나머지주에서 학교체벌이 합법이었던 시대인 만큼, 심하게 체벌하는 경우는 드물지 않았고, 사립학교의 경우에는 영국 퍼블릭 스쿨 운영방식의 영향을 받아서 패는 정도가 심한 경우도 종종 있었다. 미국 전국에서 학교체벌 금지가 확산되고, 사립학교의 체벌강도가 줄어들기 시작한것은 1970년대부터였다. [7] 여담으로 소련도 1920년대 교과과정은 존 듀이의 영향을 받아 자율, 자치를 강조하는 흐름을 띄었지만, 스탈린이 5개년 계획을 도입하는 과정에서 효율성을 이유로 주입식 교육, 권위주의적인 교수법이 권장되고, 학칙도 엄격해졌으며, 자율을 강조하는 풍토가 쇠퇴되었다. 흐루쇼프때는 이 둘을 적당히 절충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서 학칙 규정을 완화했지만, 그래도 주입식 교육 위주였었다. 그래도 소련은 학교 체벌이 원칙적으로 금지라 교사들이 매를 덜 휘둘렀다는 차이점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