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1 20:09:02

이(성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이씨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삼국지연의의 가공인물에 대한 내용은 이씨(삼국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임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1. 李
1.1. 로마자 표기1.2. 지역별 분포1.3. 목록 1.4. 인물별 목록
2. 異3. 伊4. 㛅, 怡5. 관련 문서
<colbgcolor=#dddddd,#222>로마자 표기
통용 표기 Lee
RR식 표기 I
MR식 표기 I[1]
기타 표기 Yi, Li, Rhee, Yee, Rhie

1.

( 오얏 리)[2]

대한민국에서는 거의 모든 이씨들이 두음 법칙을 적용함으로써 라고 읽고 쓰며, 두음 법칙을 인정하지 않는 북한에서는 한자 본음대로 라고 읽고 쓴다. 하지만 해외 나가면 둘 다 라고 읽는다. 대한민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성씨로, 2015년 기준으로 전국에 총 7,306,828명이 있으며 본관은 문헌에 546본이 전해진다. 대한민국 전체 인구(2015년 당시 51,069,375명)의 약 14.3% 수준이다. 이씨는 한국에서 인구수로 보았을때 크게 두 가지 계열로 나뉘는데, 가장 유명한 첫 번째 이씨는 남북국시대 신라의 인물인 이한을 시조로 하며 조선 왕조를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성씨인 전주 이씨 계열이 있고, 두 번째로는 박혁거세 신라를 건국할 때 당시 경주 6부 중 알천 양산촌의 촌장이었던 이알평에서 유래된 경주 이씨 계열이 있다. 물론 이 두 가지가 전부는 아니고 각지에서 유래한 호족들도 자주 사용한 성씨에다(전주 이씨도 왕가가 되기 이전에는 여기에 포함) 귀화계도 있기 때문에 정말 종류가 많다.

한국뿐 아니라 중국, 홍콩, 대만, 베트남, 싱가포르 아시아 한자문화권 전반에 걸쳐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그 수는 무려 1억 명이 넘는다. 당연하지만 전세계에서 인구가 제일 많은 성씨이기도 하다.[3][4] 아시아뿐만 아니라 미국, 캐나다, 호주에서도 많이 발견되는 성씨인데 중국과 한국에서 건너온 이민자들이 많기 때문에 그렇다고 한다.

미국에서 Lee 씨는 69만 3023명으로 21번째로 흔한 성인데 이것은 미국에서도 존재하는 백인 성씨 Lee와 아시아인 Lee를 합친 숫자로, 백인을 제외한 아시아인 Lee 인구수는 29만 2455명이다. 여기에 중국 및 기타 동아시아권 이씨들이 사용하는 철자인 Li 씨 인구수(11만 1786명)를 더하면 미국 내의 이씨 성을 가진 인구수(Lee와 Li)는 40만 4241명이 된다. 즉, 이씨는 미국 내에서 43만 7645명인 베트남 응우옌(Nguyen) 다음으로 아시아인으로서 2번째로 흔한 성씨가 된다. 한국에서 가장 흔한 성씨인 김씨는 미국에 총 26만 2352명이 있으며, 아시아인 성씨 순위로는 3위이며 전체 순위로는 77위이다.

캐나다 밴쿠버에서는 이/리씨(Li)가 2위 Smith를 따돌리고 제일 흔한 성씨라고 한다. 한국 표기인 Lee씨는 28,343명으로 8위이다. https://www.darby.ca/white-pages/236/canadas-most-common-surnames-dissected

매우 극소수이지만 한국에서도 '리'를 쓰는 사람이 2015년 기준으로 240명 존재한다. 전 대학교수인 리영희와 리대룡이 대표적이며 이승만 이기붕 당대의 선거 포스터에서 '리승만'과 '리기붕'이라고 쓰여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건 두음법칙 적용이 강제가 아니기 때문이고, 유씨 류씨로, 나씨 라씨로 사용하는 것도 허용되는 것과 마찬가지다.

중국에서는 이씨와 왕씨가 1위를 엎치락뒤치락한다. # # 또한, 중국 내의 벽지에 있는 모든 인구의 성씨를 정확하게 집계하는 건 불가능하기 때문에 중국 본토 내에서 왕씨와 리씨 누가 1위인지는 조사 기관에 따라 결과가 바뀐다. 그러나 한국과 북한의 리씨를 합하면 1000만 명이 넘을 것으로 예측되고, 왕씨는 한반도 내에 거의 없다는 점[5], 그리고 대만 싱가포르에서도 리씨가 왕씨보다 근소하게 많으며, 베트남에도 왕씨보다 리(Ly)씨가 많다는 점 등을 생각해 볼 때 전 세계적으로 리씨가 왕씨보다 많다고 볼 수 있다. 결론적으로, 리씨가 왕씨를 넘어 세계 최다 성씨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2위는 장씨나 왕씨이지만, 정확한 통계를 각 나라에서 제공을 하지 않기 때문에 확실하게는 알 수 없다.[6]

리씨는 장(張)씨와 함께 보통의 중국 사람들을 의미하는 장삼이사(張三李四)라는 관용구에 쓰인다. 그러나 현대의 중국에서는 왕씨와 리씨를 아무개 이름으로 더 잘 쓴다. 장삼이사는 송대부터 쓰였으며 같은 말로 장왕조이(張王趙李)가 있는 걸 보면 이들 4개 성씨가 당시부터 흔했음을 알 수 있다.

역사적으로는 '니'라고 읽고 쓴 적도 있다. 광해군 때 간행된 <동국신속삼강행실도>에는 한자로 李라는 성씨를 표기하고 그 옆에 한글 발음을 병기해 놓은 이름들이 많이 실려 있는데, 전부 로 표기되어 있다. ㄹ→ㄴ 두음 법칙은 16세기부터, 구개음 ㄴ→탈락은 18세기 후반부터 간간이 나타났는데, 동국신속삼강행실도가 간행된 17세기 초반 당시에는 ㄹ→ㄴ만 나타났고 구개음 ㄴ→탈락은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이씨뿐만 아니라 ㄹ음이 초성으로 오는 다른 성씨도 마찬가지.

즉 우리가 잘 아는 이순신이나 율곡 이이도 당시 16세기 발음으로 하면 '니슌신',[7] '니'[8]가 된다. 이게 19세기 후반에도 완전히 사라지지 않고 남아서, 흥선 대원군이 중국에 잡혀 갔을 때 흥친왕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홍장을 '니 즁탕'이라고 표기한 바 있다.[9]

오만 원권이 생기기 전 대한민국 원에 등장하는 인물의 성은 모두 이씨였다. 1950년대 이래로 대한민국 제1공화국 시절 도안에 들어있던 이승만부터 시작해 백 원- '이'순신, 천 원- '이'황, 오천 원- '이'이, 만 원- '이'도까지. 다만 본관은 모두 달랐다. 이순신과 이이는 덕수 이씨, 이황은 진보 이씨, 세종대왕은 전주 이씨. 그래서 오만 원권 지폐가 생기기 전에는 화폐에는 이씨만 들어갈 수 있다는 농담이 존재했다. 이 기록은 2009년 오만 원권 지폐( 평산 신씨)가 생긴 이후로 깨지기는 했으나, 그 신사임당마저도 이씨 가문에 시집가서 오천 원권의 주인공인 율곡 이이를 낳았으니. 참고로 1962년 냉면전문점 흥남집 사장 일가(권기순, 윤재순)가 도안으로 들어간 백환권 지폐가 존재했으나, 딱 1달만 유통되어서 수집가들이나 가지고 있는 신세다.

1.1. 로마자 표기

<colbgcolor=#dddddd,#222>로마자 표기
통용 표기 Lee
RR식 표기 I
MR식 표기 Yi
기타 표기 Li, Rhee, Yee, Rhie
<colbgcolor=#dddddd,#222>국립국어원 이씨 로마자 사용 실태조사[10]
Lee 98.5%
Yi 1.0%
Rhee 0.2%
Yee 0.05%
Rhie 0.02%
기타 I, Ii, Lii, Ree, Rhi 등

대한민국은 주로 Lee(리)로 쓰고, 북한은 Ri(리)라고 쓴다, 중화권에서는 주로 Lee, Li(리)를 사용한다. Lee라는 이름 혹은 성은 전술되었듯 영어권에도 존재하는데 Lee 브랜드로 유명한 데이빗 헨리 리 역시 이 Lee가 성이며, 미국 남북전쟁의 명장 로버트 E. 리, 앵무새 죽이기 작가 하퍼 리 등 Lee가 성씨인 영어권 시민들은 의외로 많은 편이다. 한국에서 Lee를 쓰게 된 이유 역시 외국 사람들이 생판 모르는 표기를 쓰는 것보다는 이미 있는 이름을 활용해서 써주는 것이 더 친근하게 느껴졌던데다 1세대 이민자들이 대부분 자신의 이름 표기를 기존 성씨에서 사용한 것에서 기원한다.

표기 방법 자체는 많은 편이다. Ee 역시 존재하며 사실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 따르면 I가 올바른 표기인데도 이 표기를 채택하는 사람은 사실상 없다. 실제로 국립국어원 2001년에 해외에 한 글자로 된 성이 드물고[11]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에 I라는 표기에 대해서 지적하며 Yi(이) 사용을 권고했다. 실제로 '이' 발음에 가까운 Yi를 쓰기도 하는데 이순신이나 퇴계 이황의 성씨는 주로 Yi를 사용한다. 실제로 조선 왕조Yi Dynasty/House of Yi로 통용되는데 영어 위키백과에서도 조선 왕조 왕족 성씨를 Lee가 아니라 Yi로 쓰고 있다. 때문에 세종대왕 역시 Yi Do(이도)로 표기한다.

그러나 현대시대 이후 Yi를 성씨로 사용하는 이는 위 표에서도 보이듯이 드문데 일제강점기의 작가 이상이나 우주비행사 이소연, 야구선수 이정용 등이 Yi를 사용하고 있다. Yi 혹은 I는 굳이 쓴다면 성씨보다는 이름에 '이'가 들어갈 때 사용. 대표적인 예시가 박한이. 실제로 대한민국의 이씨 중에서 Yi라고 쓰는 사람은 많지 않으며 대부분은 Lee로 적는다. 대표적으로 이명박, 이재명, 이강인, 이상화, 이민호 등 해외에 알려진 이씨 유명인들도 대부분 Lee로 통용된다.

그 밖에 이승만과 해군 예비역 대위 이근, 야구 선수 이대은처럼 Rhee를 쓰는 사람도 있다. 만화가 이원복은 Rhie를, 현대 미술가 이수경은 Yee를 사용한다. 참고로 이완용 Ye라고 썼다. 성이나 이름의 로마자 표기는 처음 여권을 만들 때 정하는 표기에 따르며, 웬만해서는 바꾸기 어렵다는 서약이 동반된다.

1.2. 지역별 분포

이(李)씨가 가장 많이 분포하는 지역은 경상북도 성주군으로, 인구의 21.49%가 이(李)씨다.[12] 그 뒤를 경상남도 거창군(18.94%), 충청남도 청양군(18.64%), 경기도 포천시(18.62%), 충청남도 공주시(18.56%)가 이었다. 반대로 이(李)씨가 가장 적게 분포하는 지역은 전라남도 고흥군으로, 고작 인구의 11.01%만이 이(李)씨다. 그 뒤를 전라남도 신안군(11.0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11.26%), 전라북도 순창군(11.29%), 전라남도 여수시(11.38%)가 이었다.

경상북도 성주군은 김(金)씨가 인구의 21.08%로 전국과 유사한 분포를 보이지만, 이(李)씨가 이보다 0.41% 많은 21.49%를 보여서 근소한 차이로 김(金)씨는 지역 2위 성씨가 되었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이(李)씨가 1위인 지역인 셈이다.

본관별로 따지면 전주 이씨 전라북도 완주군 임실군, 충청남도 예산군 서산시 등 서해안 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경상북도 영양군, 안동시, 청송군 등 경북 북부에 적게 분포한다. 경주 이씨 경상북도 상주시, 청도군, 영덕군 등 경상북도에 많이 분포하고, 전라남도 곡성군 영광군, 전라북도 순창군 등 전라도에 적게 분포한다.

1.3. 목록

1.4. 인물별 목록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이(성씨)/목록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異(다를 이). 오얏나무 리/이(李)씨와 달리 원래 발음이 "이"이다. 그러니까 북한에서도 "이"씨 그대로 읽는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대한민국에 5개 본관 339명이 존재한다. 남원, 밀양, 청양 등 이씨가 여기에 해당되며 공식적으로는 밀양 단본이다.

밀양 이씨로는 1784년(정조 8) 무예별감(武藝別監)으로 정시(庭試) 무과에 병과 97위로 급제해 1801년( 순조 1) 경희궁 위장(衛將, 종2품)에 오른 이재풍(異在豊, 1762 ~ ?)이 있었다. 당시 거주지는 한성부였고, 아버지는 부호군(副護軍)을 지낸 이경기(異景基)[24]였다.

시인 이하윤이 이 성씨를 쓴다.

3.

伊(저 이). 본관은 백천, 충주 등이다. 중국에서 귀화한 성씨라고 하며 역시 이쪽도 한자가 다름에 주의하자. 2와 마찬가지로 원래 발음도 "이"이다. 마찬가지로 이 성씨도 북한에서도 그대로 "이"씨이다.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남한에 249명이 있는것으로 확인되었다.

4. 㛅, 怡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나타난 성씨이다. 시조와 본관은 알려지지 않았으며 이(㛅)씨는 전국에 5명, 이(怡)씨는 전국에 7명이 있다고 나타났다.

5. 관련 문서



[1] 규정상 I이다. 다만 Yi를 선호하는 것을 예로 들어 언급하였다. [2] 두음 법칙으로 인해 한국에서는 '이'로 표기하고 발음하며 북한에서는 '리'로 표기하고 발음하고, 여권(旅券)에는 '리', 중국에서도 '리'로 표기하고 발음한다. [3] https://en.wikipedia.org/wiki/Lists_of_most_common_surnames, A world ranking is only approximate because some countries do not provide a specific number of people who bear a certain surname. [4] 영어권 국가만으로 한정한다면 Smith가 제일 흔한 성씨가 되고, 베트남에서는 응우옌, 한국에서는 김씨 등 각 지역별로 성씨 순위는 차이가 있지만, 이씨가 중국에서 9300만 명 이상으로 2위이고, 한국에 700만 명이 넘는 이씨가 있어서 전 세계적으로 1위가 된다. [5] 그런데 왕씨가 한국에 없는 이유 이씨 때문인 게 포인트다. 사실 세계 1위 성씨를 공고화하게 하기 위한 이성계의 큰 그림이었다 카더라 [6] https://www.reference.com/education/10-common-last-names-world-ff45abb098a0454b A world ranking is only approximate because some countries do not provide a specific number of people who bear a certain surname. [7] '슌'은 오타가 아니다. 실제로 舜의 역사적 한국 한자음은 '슌'이다. ㅅ,ㅈ,ㅊ에 ㅑ,ㅕ,ㅛ,ㅠ가 붙은 음가를 가진 한자는 모두 현대에 ㅏ,ㅓ,ㅗ,ㅜ로 발음이 변화하였다. 成도 본래는 셩이었다. [8] 珥와 같은 일모(日母) 발음, 즉 반치음은 이이가 사망했을 무렵은 이응으로 계승되던 시기였다. 이 음은 중국에서는 권설음(r)으로 계승되고, 일본에서는 ザ행(サ가 아니다.)이나 ナ행으로 계승되었다. ジン으로도 발음되고 二ン으로도 발음되는 人이 그 예시다. [9] 현대 한국어로는 '이 중당'이 되는데, 중당(中堂)은 재상을 의미한다. [10] '성씨의 로마자 표기 실태', 성씨 로마자 표기 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 부록 2, 국립국어원, 2009.6.25. [11] 한국의 성씨 가운데 로마자 한 글자로 표기될 수 있는 성씨가 넷 있는데, 이씨를 비롯해서 A(아씨), O(오씨), U(우씨)가 있다. [12] 인구의 21.08%인 김(金)씨보다 많다! [13] 모바일 기준으로 링크 좌측 한글 본문 5문단 21번째 줄. 우측 한문 본문에서는 59번째 줄에 謹按璿源所自, 卽慶州 李氏라고 하고 있다 [14] 선원(璿源)은 왕실조계(王室祖系)를 서술한 것이다. 조선 태종(太宗) 때에는 왕실의 족보에서 태조(太祖)의 서형제를 분간하기 위하여 세 가지로 나누어 만들었다. 즉 왕실의 조계(祖系)를 기술한 것을 선원록(璿源錄), 종자(宗子)를 기술한 것을 종친록(宗親錄) 그리고 종녀(宗女) 및 서얼(庶孽)을 기술한 것을 유부록(類附錄)이라 하여 구별하였다. [15] 경주 이씨의 분적종인 합천 이씨 세보에서 발견된 35대 실전세계에 의하면, 전주 이씨의 시조 이한은 경주 이씨 시조 36세라고 한다. 다만 경주이씨대종회에서는 35대 실전세계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고 있지는 않다. [16] 경주 이씨에서 나왔다고는 하나. 실제로는 용인 이씨 익산 이씨의 조상을 짜깁기한 흔적이 있다. [17] 이징옥의 난의 주동자인 이징옥의 본관으로, 인천 이씨로 통합했다. [18] 양산은 지금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양지면을 가리키며, 공주 이씨에서 분적한 성씨이다. [19] 이수광이 송나라 사람이 맞는지에 대한 기록은 확실하지 않다. 바이두에서 검색해 보면, 양성 이씨의 시조나 이영애의 성씨로만 언급되는 경우가 많고 송사(宋史)에 나오는 경우가 없기 때문이다. [20] 지금의 임실군 [21] 다만 승안군파의 경우는 1979년에 발간한 전의이씨성보에서 들어갔다가 대수상의 혼란과 여러 가지 문제로 이후 편찬된 족보에서 빠졌다. [22] 정확히는 이성계의 가문이 전주 이씨에 속하는 것이다. [23] 이종범의 아들. [24] 아들과 마찬가지로 무과에 급제해 1786년(정조 10) 광량진 병마첨절제사(廣梁鎭兵馬僉節制使, 종3품)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