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9 09:48:45

한산 이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colbgcolor=#000> 한산 이씨
韓山 李氏
관향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시조 호장공계(戶長公系): 이윤경(李允卿)
권지공계(權知公系): 이윤우(李允佑)
중시조 호장공계: 목은 이색(牧隱 李穡)
권지공계: 이한(李韓)
파조 호장공 권지공
공통 집성촌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마양리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온동리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 연봉리
집성촌 전라북도 완주군 용진읍 운곡리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간현리
강원도 회양군 상북면 목곡리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 된섬말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지곡동
전라북도 군산시 성산면 도암리
충청북도 제천시 송학면 도화리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주성리
함경북도 경성군 어랑면 봉강리
황해도 배천군 유곡면 이포리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용정리[1]
길림성 연변 연길시
평양시
황해도 서흥군 용평면 월탄리
황해도 해주시 신광리
인구 156,861명(2015년)
링크 http://www.한산이씨.com/

1. 개요2. 유래3. 계파및 분파
3.1. 계파3.2. 분파
4. 항렬
4.1. 대종회4.2. 문양공파4.3. 인재공파4.4. 양경공파
5. 인물
5.1. 고려 후기~조선 전기5.2. 조선 중기5.3. 조선 후기5.4. 근현대 인물
5.4.1. 23세/17세손5.4.2. 24세/18세손5.4.3. 25세/19세손5.4.4. 26세/20세손5.4.5. 27세/21세손5.4.6. 28세/22세손5.4.7. 29세/23세손5.4.8. 30세/24세손5.4.9. 32세/26세5.4.10. 계보불명
6. 기타

稼亭先祖遺訓
我之子孫百代至親
가정선조유훈
나의 자손들이여, 백대가 지나도 친하게 지내거라.
가정 이곡(稼亭 李穀)의 유훈.
牧隱先祖庭訓
詩藝傳家忠孝立身
목은선조정훈
학문과 인간도리를 가문에 전하고, 충과 효를 지켜 처신하거라.
목은 이색(牧隱 李穡)의 정훈.

1. 개요

한산 이씨(韓山 李氏)는 충청남도 서천군 한산면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2015년 통계청 성씨, 본관 인구조사에 따르면 전국적으로 156,861명이 존재한다.

2. 유래

한산 이씨는 다른 뿌리이면서 시조를 달리 하는 두 계통이 있다.

한산 이씨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호장공계의 시조는 고려 숙종 때 호족으로서 권지호장직에 오른 이윤경이다. 그러나 시조라 할 중시조는 목은 이색의 아버지인 이곡이다. 이곡은 당대의 대문장가이며, 역동 우탁, 포은 정몽주와 더불어 경학의 대가였으며 고려 충숙왕 7년 문과에 급제하고 원나라 제과에도 급제하여 벼슬이 도첨의찬성사에 이르렀다. 그의 아들 이색이 1362년 홍건적의 난에 왕을 호종하여 공을 세워 한산부원군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본관을 한산으로 하였다.

권지공(權知公)계의 시조 이윤우(李允佑)는 고려시대에 문과에 올라 왕의 신임을 얻어 한산 이씨의 다른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그러나 한산 이씨 대부분을 차지하는 호장공계의 족보에는 권지공의 내용이 없다. 권지공계는 여러 대를 독자로 자손을 이어 왔으므로 아는 사람이 드물고 현달한 사람도 없다.[2]

3. 계파및 분파

3.1. 계파

호장공(戶長公) 권지공(權知公)ll''' 문정공파(文正公派) 경력공파(經歷公派)
문열공파(文烈公派) 동추공파(同樞公派)
문양공파(文陽公派) 통례공파(通禮公派)
문혜공파(文惠公派) 한천공파(韓川公派)
인재공파(人在公派) 좌랑공파(佐郞公派)
양경공파(良景公派) 전직공파(全直公派)
공무공파(公武公派) 총제공파(摠制公派)
감찰공파(監察公派) 감사공파(感事公派)
양도공파(良度公派) 현령공파(縣令公派)
직강공파(直講公派)
진목공파(晉牧公派)
집의공파(執義公派)
이의공파(利義公派)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
병절교위공파(秉節校尉公派)

3.2. 분파

문양공(文襄公) 인재공(麟齋公) 양경공(良景公)
세손 파시조명 세손 파시조명 세손 파시조명
사윤공파(司尹公派) 9세 맹유 광목공파(光牧公派) 9세 숙야 공무공(恭武公) 9세 계린
문혜공파(文惠公派) 9세 맹균 진목공파(晉牧公派) 9세 숙휴 봉화공(奉化公) 11세 장윤
정언공파(正言公派) 9세 맹준 총제공파(摠制公派) 9세 숙당 한성군(韓城君) 12세 질
판중추공파(判中樞公派) 9세 맹진 양도공파(良度公派) 9세 숙무 명헌공(明憲公) 10세 파
직장공파(直長公派) 11세 엄 직강공파(直講公派) 9세 숙복 대사성공(大司成公) 10세 우
진사공파(進士公派) 12세 수창 순절공파(順節公派) 9세 숙치 판관공(判官公) 11세 덕홍
전직공파(殿直公派) 11세 항 죽천공파(竹泉公派) 16세 덕형 참판공(參判公) 11세 덕윤
수은공파(睡隱公派) 17세 홍조 정도공파(丁悼公派) 11세 영은 한계군(韓溪君) 13세 공기
진무공파(鎭撫公派) 10세 유기 목사공파(牧使公派) 10세 원증 부호군공(副護軍公) 12세 정
군수공파(郡守公派) 11세 순 망월암공파(望越菴公派) 10세 축 찬성공(贊成公) 12세 치
사직공파(司直公派) 11세 서 안소공파(安昭公派) 11세 훈 정랑공(正郞公) 9세 계주
감사공파(監事公派) 10세 연기 의정공파(左議政派) 12세 유청 문열공(文烈公) 9세 계전
장사랑공파(將仕郞公派) 11세 지 부사공파(府使公派) 11세 공순 상예공(相禮公) 10세 숙
부정공파(副正公派) 10세 보기 대사간공파(大司諫公派) 11세 예견 별좌공(別坐公) 11세 덕제
부사과공(副司果公) 13세 수지 현감공(縣監公) 12세 직
호군공파(護軍公派) 11세 준 [3] 18세 회주 헌평공(憲平公) 10세 봉
창곡공파(蒼谷公派) 16세 현영 승지공(承旨公) 13세 지훈
단봉공파(端峰公派) 17세 휘조 의정공(議政公) 13세 지란
해산공파(海山公派) 16세 문영 한천군(韓天君) 13세 지숙
참봉공파參奉公派) 10세 순기 성암공(省庵公) 13세 지번
호암공파(浩菴公派) 17세 기조 한창부원군(韓昌府院君) 13세 지무
토정공(土亭公) 13세 지함
부사직공(副司直公) 13세 지환
현감공(縣監公) 11세 덕부
한림공(翰林公) 12세 양
부사과공(副司直公) 13세 수지
직장공(直長公) 13세 성윤
군수공(郡守公) 12세 희
참의공(參議公) 13세 수연
감찰공(監察公) 9세 계원
애헌공(崖軒公) 18세 정익
아주군(鵝洲君) 14세 식
사정공(司正公) 14세 견
한양군(韓陽君) 15세 흥준
취암공(醉菴公) 16세 흡
충장공(忠壯公) 17세 의배
성암공(醒菴公) 16세 위
좌부승지공(佐府承旨佐公) 16세 순
한성판윤공(漢城判尹公) 18세 진
통훈대부공(通訓大夫公) 19세 필적
송와공(松窩公) 14세 희
전부공(典簿公) 14세 원
아천군(鵝川君) 14세 증
좌랑공(佐郞公) 15세 경류
아계공(鵝溪公) 14세 산해
동계공(東溪公) 14세 산광
석루공(石樓公) 15세 경전
과암공(果菴公) 16세 무
명곡공(鳴谷公) 14세 산보
석로공(錫老公) 21세 석로
윤직공(潤稙公) 25세 윤직
군자감정공(軍資監正公) 20세 산중
동전공(東田公) 21세 태영
보국공(輔國公) 22세 희갑

4. 항렬

한산이씨의 항렬은 가장 큰 가지인 가정 이곡와 목은 이색의 자로 이어지는 계파의 문양공, 인재공, 양경공 3가지로 나뉜다.

목화토금수의 일반적인 오행상생법이 아닌 수곡토 삼행법을 쓴다.[4] 세대가 3의 배수이면 삼행은 수, 3의 배수+1이면 삼행이 곡, 3의 배수-1이면 삼행이 토가 된다.

4.1. 대종회

호장공/목은 한자/한글
23세/17세 ○재(在)
24세/18세 승(承)○
25세/19세 ○직(稙)
26세/20세 ○규(珪)
27세/21세 ○구(求)
28세/22세 ○복(馥), ○찬(燦)
29세/23세 ○원(源)
30세/24세 ○준(濬), ○수(洙), ○식(湜)
31세/25세 ○석(䄷), ○화(禾), ○선(秈)
32세/26세 ○균(均), ○배(培), ○응(膺), ○민(珉)
33세/27세 ○순(淳), ○호(灝), ○양(洋), ○현(泫)
34세/28세 ○래(來), ○수(穗), 영(穎)○, 기(䄫)[5]
35세/29세 ○용(瑢), ○락(珞)
36세/30세 ○홍(洪), ○문(汶)
37세/31세 균(囷)○, ○소(穌)
38세/32세 계(桂)○, 보(珤)○
39세/33세 광(洸)○, 왕(汪)○
40세/34세 ○태(泰), ○승(乘)
41세/35세 ○영(瑩), ○천(玔)
42세/36세 ○황(滉), ○철(澈)
43세/37세 ○수(垂), ○교(矯)
44세/38세 ○숙(琡), ○수(垂), 민(玟)○

4.2. 문양공파

호장공/목은 한자/한글
28세/22세 ○복(馥)
29세/23세 ○원(源)
30세/24세 ○수(洙)
31세/25세 ○석(䄷)
32세/26세 ○균(均)
33세/27세 ○순(淳)
34세/28세 ○래(來)
35세/29세 ○용(瑢), ○락(珞)

4.3. 인재공파

호장공/목은 한자/한글
28세/22세 ○복(馥), ○찬(粲)
29세/23세 ○원(源), ○경(擎)
30세/24세 ○준(濬), ○수(洙)
31세/25세 ○영(永), ○호(灝)
32세/26세 ○균(均), ○배(培)
33세/27세 ○석(䄷), ○화(禾)
34세/28세 ○래(來), ○조(租)
35세/29세 ○기(基), ○성(城)
36세/30세 ○하(河), ○한(漢)
37세/31세 ○목(穆), ○필(苾)
38세/32세 시(時)○, 재(在)○
39세/33세 ○태(泰), ○제(濟)
40세/34세 ○형(馨), ○정(程)
41세/35세 인(寅)○, 동(東)○
42세/36세 ○낙(洛), ○철(澈)

4.4. 양경공파

호장공/목은 한자/한글
28세/22세 ○복(馥), ○찬(粲)
29세/23세 ○원(源)
30세/24세 ○준(濬), ○수(洙)
31세/25세 ○석(䄷), ○화(禾)
32세/26세 ○응(膺), ○배(培)
33세/27세 ○영(永), ○호(灝)
34세/28세 ○래(來), ○수(穗)
35세/29세 ○기(基), 요(堯)
36세/30세 ○태(泰)
37세/31세 병(秉)
38세/32세 곤(坤)
39세/33세 량(湸)[6]
40세/34세 [누락]
41세/35세 경(坰)○
42세/36세 ○낙(洛)

5. 인물

5.1. 고려 후기~조선 전기

5.2. 조선 중기

5.3. 조선 후기

5.4. 근현대 인물[8]

5.4.1. 23세/17세손

5.4.2. 24세/18세손

5.4.3. 25세/19세손

5.4.4. 26세/20세손

5.4.5. 27세/21세손

5.4.6. 28세/22세손

5.4.7. 29세/23세손

5.4.8. 30세/24세손

5.4.9. 32세/26세

5.4.10. 계보불명

6. 기타



[1] 남한 지역에 존재하는 유일한 권지공계 집성촌이다. [2] 목은 이색의 후손이 주축을 이루는 한산 이씨 대종회 측은 권지공계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있으며, 물론 시조의 관계에도 부인하고 있다. 안동 김씨의 경우처럼 본관과 성만 같을 뿐이고 다른 가문으로 생각하는 듯. [3] 오타나 도중에 누락된 것이 아니다. 실제 한산 이씨 분파 도표에서도 이렇게 표기되어 있다. [4] 전주 이씨 덕천군파에도 천지인 삼행법을 쓰는데, 파조 29대손부터라 당장 이 항렬을 쓰는 예는 나오지 않는다. [5] 벼 이름 기. [6] 큰물 량 [누락] 한산이씨 뿌리정보 사이트의 항렬표에서도 누락된 채로 나와있다. [8] 조선 말기와 대한제국의 인물까지 아우른다. [9] 민종식을 은닉했던 일로 아들과 함께 구금되었다 풀려났고, 이후 1907년 고종의 퇴위와 군대 해산 등으로 인한 저항으로 인해 이를 경계하던 일제에 의해 압송되던 중 아산 송악면 평촌리에서 장남 충구와 하인 김응길과 함께 일제에 의해 피살된 것이다. [10] 이남규의 손자인 이승복(1895~1978) 선생은 노령과 북만주에서 활약하다가 구금된 이후 국내에서 신간회 등에 참여했고, 그 아들인 이장원(1928~1951) 해병 중위(본래 소위, 사후 충무무공훈장과 함께 추서)는 6.25 전쟁 와중 원산 황토도 방어전 도중 전사했다. 현재 이남규, 이충구, 이승복 3대는 국립대전현충원에 4대 이장원 중위는 국립서울현충원에 안장되어 있다. [11] 본래는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68호로 지정(1976년 7월 7일)했다가 가치를 인정받아 2014년 국가민속문화재 제281호로 승격 지정(2014년 2월 25일)했다. [12] 본명 이기원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