河 물 하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水, 5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8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カ
|
||||||
일본어 훈독
|
かわ
|
||||||
-
|
|||||||
표준 중국어
|
hé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河는 '물 하'라는 한자로, ' 물'을 뜻한다. 원래 황하를 뜻하였으나 의미의 확장으로 물이나 강을 의미하게 되었다. 때문에 일부 고서나 성어의 경우 이 한자를 '황하'로 해석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2. 상세
유니코드에는 U+6CB3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EMNR(水一弓口)로 입력한다.- 강희자전 : 613페이지 9번째 글자
3. 자원
뜻을 나타내는 水(물 수)와 소리를 나타내는 可(옳을 가)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설문해자 해설
4. 서체
갑골문 | 금문 | 소전 |
5. 용례
5.1. 단어
- 강하( 江河)
- 결하( 決河)
- 대하( 大河)
- 도하( 渡河)
- 발하( 拔河)
- 빙하( 氷河)
- 산하( 山河)
- 소하( 溯河)
- 연하( 沿河)
- 운하( 運河)
- 은하( 銀河)
- 하계(河 溪)
- 하구(河 口)
- 하돈(河 豚)
- 하류(河 流)
- 하마(河 馬)
- 하반(河 畔)
- 하상(河 上)
- 하수(河 水)
- 하식(河 蝕)
- 하신(河 身)
- 하심(河 心)
- 하어(河 魚)
- 하저(河 底)
- 하제(河 堤)
- 하주(河 舟)
- 하천(河 川)
- 하폭(河 幅)
- 하해(河 海)
- 현하( 懸河)
- 갓파(河 童)
5.2. 고사성어/ 숙어
- 결하지세( 決河 之 勢)
- 구약현하( 口 若 懸河)
- 구여현하( 口 如 懸河)
- 국파산하재( 國 破 山河 在)
- 백년하청( 百 年河 淸)
- 소비하청( 笑 比河 淸)
- 포호빙하( 暴 虎 憑河)
- 하량별(河 梁 別)
- 하해불택세류(河 海 不 擇 細 流)
- 하해지택(河 海 之 澤)
- 현하구변( 懸河 口 辯)
- 현하지변( 懸河 之 辯)
5.3. 인명
한국의 성씨 한자 상위 100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font-size:.9em" |
100위까지 성씨는 내국인 인구의 99.16%입니다 (2015년 통계청 자료) 인구 비율이나 100위 아래의 성씨 등은
한국의 성씨별 인구 분포 문서 참고 |
||||||||||||||||||||||||||||||||||||||||||||||||||||||||||||||||||||||||||||||||||||||||||||||||||
## 🔶🔶 0는 정렬의 위한 배경색의 안보이는 0
|
}}}}}}}}} |
2015년 통계청 집계 기준 대한민국 인구 230,481명, 전체 35위의 성씨로 주요 본관으로는 진주(晉州)가 있다. 자세한 사항은 하(성씨) 문서 참조.
- 겐토가 케이타로( 幻 燈河 螢 多 朗)
- 고노 다로(河 野 太 郎)
- 김뢰하( 金 賴河)
- 김태하( 金 泰河)
- 뤄시허( 羅 洗河)
- 박도하( 朴 都河): 배우
- 송하영( 宋河 英)
- 이영하( 李 映河): 야구선수
- 이홍하( 李 洪河)
- 유용하( 劉 勇河)
- 장기하( 張 基河)
- 정승하( 鄭 承河)
- 하현우(河 鉉 雨)
- 하재익(河 在 益)
- 카와 미리카(河 実 里 夏)
- 카와이 키사부로(河 合 耆 三 郎)
- 카와이 시게키(河 合 滋 樹)
- 카와이 소라(河 合 曾 良)
- 카와이 하루나(河 井 晴 菜)
- 카와이 후미토(河 合 郁 人)
- 카와이 유미(河 合 優 実 )
- 카와카미 아스카(河 上 明 日 香)
- 카와키타 사이카(河 北 彩 花)
- 카와구치 나츠네(河 口 夏 音)
- 카와구치 요시타카(河 口 佳 高)
- 카와타 히나(河 田 陽 菜)
- 카와치 겐지(河 内 源 氏)
- 카와치 히로시(河 内 洋)
- 카와시타 미즈키(河 下 水 希)
- 카와세 우타(河 瀬 詩)
- 카와세 나오미(河 瀨 直 美)
- 카와세 마키(河 瀬 茉 希)
- 카와무라 카호(河 村 果 歩)
- 카와무라 카호(河 村 梨 恵)
- 카와무라 타카시(河 村 たかし)
- 카와무라 토키토(河 村 説 人)
- 카와무라 토모유키(河 村 智 之)
- 카와모리 쇼지(河 森 正 治)
- 카와나 미노리(河 南 実 里)
- 카와노 히로유키(河 野 宏 之)
- 카와노 마리(河 野 茉 莉)
- 카와노 나나호(河 野 奈々 帆)
- 카와니시 켄고(河 西 健 吾)
- 카와지리(河 尻)
- 카와사키 나츠키(河 崎 奈 月)
- 카와라기 시호(河 原 木 志 穂)
- 아사카와 란( 朝河 蘭)
- 오오카와 겐키( 大河 元 気)
- 오오카와라 쿠니오( 大河 原 邦 男)
- 키타카와 토우타( 北河 トウタ)
- 쿠로카와 나미( 黒河 奈 美)
- 고시라카와 덴노( 後 白河 天 皇)
- 고호리카와 덴노( 後 堀河 天 皇)
- 다이켄몬인노 호리카와( 待 賢 門 院 堀河)
- 시라카와 카스미( 白河 花 清)
- 시라카와 미즈나( 白河 みずな)
- 시라카와 덴노( 白河 天 皇)
- 니지카와 라키( 虹河 ラキ)
- 하루카와 모에( 春河 もえ)
- 후루카와 테츠토( 古河 徹 人)
- 호리카와 덴노( 堀河 天 皇)
- 미야카와 야스오( 宮河 恭 夫)
- 모모카와 리카( 桃河 りか)
- 요시카와 스나오( 吉河 順 央)
5.4. 지명
5.4.1. 한국 및 북한
- 경기도 하남시(河 南 市)
- 경기도 파주시 교하동( 交河 洞)
- 경상남도 거제시 하청면(河 淸 面)
- 경상남도 하동군(河 東 郡)
-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河 陽 邑)
- 경상북도 안동시 임하면( 臨河 面)
- 경상북도 영천시 언하동( 彦河 洞)
-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청하면( 淸河 面)
- 광주광역시 광산구 하남동(河 南 洞)
- 대구광역시 달성군 하빈면(河 濱 面)
-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河 岾 面)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하원동(河 源 洞)
- 충청남도 홍성군 은하면( 銀河 面)
- 손하역( 孫河 驛)
5.4.2. 중국 및 베트남
5.5. 창작물
- 공무도하가( 公 無 渡河 歌)
- 열하일기( 熱河 日 記)
- 윤하정삼문취록( 尹河 鄭 三 門 聚 錄)
- 은하영웅전설( 銀河 英 雄 前 説)
- 水彩銀河のクロニクル( 수채은하의 크로니클)
- 점연은하진두적구화( 点 燃 银河 尽 头 的 篝 火)
- 카와이 카즈키(河 合 和 己)
- 카와이 사사미(河 合 砂 沙 美)
- 카와이 스미코(河 合 住 子)
- 카와이 라미(河 合 羅 美 )
- 카와이 리츠(河 合 律)
- 카와우치 토모히로(河 内 智 広)
- 카와치 쿄스케(河 内 恭 介)
- 카와시마 모모(河 嶋 桃)
- 카와시마 하루카(河 島 はるか)
- 카와시로 니토리(河 城 にとり)
- 카와무라 아키(河 村 亜 希)
- 카와니시 시노부(河 西 忍)
- 카와하라 미카코(河 原ミカコ)
- 아마카와 사쿠야( 天河 朔 夜)
- 아마카와 유토( 天河 優 人)
- 오우카와 코하쿠( 桜河 こはく)
- 카게카와 료가( 影河 凌 駕)
- 시라카와 미와( 白河 美 和)
- 시라카와 나나카( 白河 ななか)
- 스즈카와 리노( 鈴河 凜 乃)
- 미카와 카이(三 河 海)
- 미야카와 히카게( 宮河ひかげ)
- 미야카와 히나타( 宮河ひなた)
- 호시카와 아카네( 星河あかね)
- 호시카와 쿠레아( 星河 紅 愛)
- 호시카와 히카유( 星河ひかゆ)
- 후루카와 나기사( 古河 渚)
5.6. 기타
6. 지하철역
7. 유의자
8. 모양이 비슷한 한자
- 柯(가지 가)
- 鴚(거위 가)
- 跒(걸을 가)
- 䶗(깨물 가)
- 呵/ 訶/ 诃(꾸짖을 가)
- 蚵(도마뱀 가)
- 䯊/ 胢(무릎뼈 가)
- 舸(배 가)
- 牁/ 牱(배말뚝 가)
- 魺(복어 가)
- 炣(불 가)
- 㞹(산이름 가)
- 軻(수레/사람이름 가)
- 酠(쓴술 가)
- 珂(옥이름 가)
- 𠵲[⿰后可](옳을 가)
- 𠳌[⿰去可](탄식하는소리 가)
- 坷(평탄하지않을 가)
- 𥩤[⿰立可](키작은사람 개)
- 砢(돌쌓일 라, 옥버금가는돌 가)
- 䋍(가는비단 아)
- 鈳(노구솥 아)
- 妸(아름다울 아)
- 阿(언덕 아)
- 𥎵(알 지)[1]
- 袔(소매 하)
- 何(어찌 하)
- 𥘫[⿰示可](제사종류 하)
- 抲(지휘할 하)
- 𧵛[⿰貝可](가)
- 𢘟[⿰心可](교)
- 𩈔[⿰面可](파)
- 𥞍[⿰禾可](하)
- 𪟡[⿰男可]
- 𡥚[⿰子可]
- 𠾟[⿰⿳口田八可]
- 𫮭[⿰堇可]
- 𪫧[⿰忄可]
- 𣧤[⿰歹可]
- 𪰏[⿰日可]
- 𰓎[⿰手可]
- 𣍳[⿰有可]
- 𭪋[⿰朵可]
- 𭭫[⿰武可]
- 𮐤[⿰苦可]
- 𰒚[⿰意可]
- 𪽎[⿰田可]
- 𭾨[⿰目可]
- 𭿋[⿰看可]
- 𧟫[⿰西可]
- 𰪲[⿰米可]
- 𲁚[⿰角可]
- 𧯶[⿰豈可]
- 𩊆[⿰革可]
9.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菏(풀이름/늪이름 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