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9 08:17:15

연(성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1. 延 (늘일 연)
1.1. 역사
1.1.1. 기원1.1.2. 정미사화와 그 여파
1.2. 분포1.3. 집성촌1.4. 항렬자1.5. 분파1.6. 세보1.7. 인물1.8. 예명1.9. 가상인물
2. 連 (이을 연, 련)
2.1. 외국계 인물
3. 燕 ( 제비 연)4. 淵 ( 연)
4.1. 연개소문과 그의 가족
5. 그 외 인물

[clearfix]

1. 延 (늘일 연)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좌명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401년 1월 15일 태종에 의해 책록
진충좌명공신 (1등)
민무구1 민무질1 신극례 이거이2 이무3
이숙번4 이애 조영무 하륜
익대좌명공신 (2등)
이래 이천우 이화
익대좌명공신 (3등)
김영렬 류기 마천목 박석명
박은 성석린 윤곤 윤저
이숙 이지란 조희민 황거정5
익대좌명공신 (4등)
권근 김승주 김우 김정경
류량 문빈 서유 서익
송거신 심구령 연사종 윤목
윤자당 이승상 이원6 이응
이종무 이직7 조경 조박8
조온 한규 홍서
1 1407년 민무구, 민무질의 옥으로 인한 제명
2 1404년 태종의 왕자들을 죽이고 상왕 정종을 섬기려 한 혐의로 제명
3 1409년 민무구, 민무질의 옥으로 인한 제명, 후에 신원
4 1416년 불충, 불경죄로 인한 제명
5 1411년 이숭인, 이종학을 죽임 혐의로 인한 제명
6 1426년 노비 불법 모집 혐의로 인한 제명, 1456년 세조 때 복권
7 1415년 민무회, 민무휼의 옥으로 인한 제명, 1422년 세종 때 복권
8 1409년 친척의 아들을 정종의 아들로 속인 혐의로 인한 제명
}}}}}}}}}
<colbgcolor=#4a2d5b><colcolor=#ece5b6>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ff> 파일:yyyyy@1.jpg 조선 좌명공신 가문
谷山 延氏
곡산 연씨
}}}
관향 황해북도 신평군 석암리[A]
중시조
(실질)
연사종(延嗣宗)
집성촌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58길87[B]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C]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D]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E]
충청북도 청주시 서원구 모충동 연배티마을[H]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진동마을[I]
충청북도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야동마을[J]
충청북도 증평군 증평읍 사곡리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인구 34,766명(2015년) 인구의 0.070%[9]
약 8,000명(1930년) 인구의 0.040%[10]
웹사이트 곡산연씨대동종친회(谷山延氏大同宗親會)

현재 황해북도 신평군 석암리[A]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고려 말 곡산의 한미한 군소 가문이었지만 함흥이 고향인 연사종(延嗣宗)의 집안이 후일 동향인 태조 이성계를 따라 조선 건국에 일조하고 뒤이은 제2차 왕자의 난에서 정안군을 왕위에 옹립한데 기여해 조선 좌명공신(佐命功臣) 가문이 되었다. 그리하여 조선 태종 세종 심지어는 인종의 치세동안 공신가문 연사종의 후손들을 보은인사로 대거 발탁하는 수혜를 누리며 흥성하였다.

그러다 조선 명종 치세에 불어닥친 정미사화의 피바람에 연루돼 멸문지화에 가까운 군난을 겪고 조선 중·후기 다시 청안군· 광주군· 양주군의 지방 군소 가문으로 몰락해 현재를 이어왔다.

전체 26명의 과거급제자를 배출했으며 무관 출신이 22명으로 다수이고[12] 문관은 단지 4명이 있는[13] 조선의 무반가문(武班家門)이다.

1930년 기준 약 8,000명으로 인구의 0.040%[14], 2015년 기준 34,766명으로 인구의 0.070%[15]를 차지하는 소수성씨이다. 서울, 경기 광주, 충청북도, 함경남도에 주로 세거한다.

1.1. 역사

1.1.1. 기원

파일:연사종영정.jpg
정후공(靖厚公)의 견본설채(絹本設彩)[16]
곡산부원군 연사종(延嗣宗)이 졸(卒)하였다. 사종의 자(字)는 불비(不非)요, 황해도 곡산 사람으로서 함흥부로 옮겨 산 지가 삼대가 되었다
《세종실록》 16권, 세종 4년 4월 20일 병오 3번째기사
이번의 연정(延侹)[17]은 그의 증조가 곧 좌명공신 인데, 내사조와 외사조에 모두 현관이 있는 사람이 아니기는 합니다. 그러나 좌명공신의 후손은 사족임이 분명하니 응당 면제되어야 할 듯한데, 이는 특별한 은전(恩典)이어서 감히 함부로 할 수 없기에 이렇게 아룁니다."
《중종실록》 56권, 중종 20년 윤12월 17일 신미 3번째기사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곡산 연씨 (谷山 延氏)는 고려 말부터 곡산 지역 군소 가문으로[18] 후일 중시조 연사종 조부 곡산 연씨[19]가 손자 연사종까지 삼대에 걸쳐 함흥에서 세거하였다. 세종실록지리지에 따르면 곡산군의 주요 토성(土姓)으로 우(禹)·(盧)·(康)·(韓)·(龍)·연(延) 6성이 기록되어 있다. 세종실록 152권, 지리지 황해도 황주목 곡산군

중시조 정후공(靖厚公) 연사종(延嗣宗)은 조선 초기의 장군으로 現 함경도 함흥 출신이다. 그의 부모는 모두 함흥 사람이고 또한 조부 곡산 사람이다. 그는 태조 이성계 동향인으로 위화도 회군에서 장군 진무로 활약하며 조선 건국 후 회군공신(回軍功臣) 3등 및 개국원종공신에 녹봉되었고 뒤이은 제2차 왕자의 난에서 정안군을 왕위에 옹립하는데 기여해 왕실로부터 좌명공신 4등에 책록되었다. 조정의 상장군(上將軍)에 임명되고 동북면에서의 경험을 인정받아 태종 세종하에서 군 최고 직위인 동북면 병마도절제사[20][21]와 판중군도총제부사등을 역임해 동북면을 방어하는 장군으로 활약했다.

후일 태종에 의해 조정은 그를 한성부로 소환하고 판한성부사[22]를 역임하며[23] 따라서 집안도 한성부[24]로 다시 옮겼다. 후일 세종에 의해 다시 삼군 도진무[25] 및 중군 도총제[26]로 소환되었고 임금의 명으로 환조 정릉을 정비하고 사자비를 세우는 중임을 도맡기도 하였다. 후일 자녀로 연경, 연비, 연음(延廕) 세 아들을 득남하였다. 現 황해도 이남의 모든 곡산 연씨는 연사종 장군에 뿌리를 두고 있기 때문에 따라서 문중은 그를 실질적인 시조로 여긴다.

후일 곡산 연씨들은 선대가 조정의 좌명공신이었던 이유 때문에 따라서 보은인사로 대거 발탁되거나 혹은 중죄가 아닌 죄라면 모두 면책의 대상으로 보는등의 수혜를 입었다. 사종의 아들 연경(延慶)은 1438년 판안주목사에 임명되었고[27] 후일 1450년 조선을 대표하여 사은사로 명나라의 수도 베이징에 파견되었다[28] 둘째 아들 연비(延庇) 또한 세조 6년 당상관에 임명되었고 셋째 아들 연음의 아들 연정렬(延井冽)은 옥천군수를 역임한 뒤 20개월이 채 지나지 않아 연안부사로 승진해 사헌부대사 이서장(李恕長)등이 부당함을 아룄으며 정렬의 아들 연보(延保)는 내력이 없음에도 성종 15년 1명만을 뽑는 당상관 사재감 정에 임명되었고 심지어 중종 20년 연정(延侹)은 사종의 증손이라는 이유로 입거를 면책해주었다.

1.1.2. 정미사화와 그 여파

그러다 1547년 명종 2년에 발생한 정미사화에 곡산 연씨 연정렬(延井冽)과 동서 관계였던 광주 이씨와 함께 연루되어 연애(延璦)· 연백재(延百載)· 연의(延義)등이 능지처사 당하였다.[29] 따라서 문중 일부는 한성부를 떠나 청안군 영남지방으로 낙향(落鄕)하였다. 따라서 1621년 광해군 13년 다시 연섭(延涉)이 문과에 급제하기 그 전까지 문과 급제자는 나오지 않았다. 1682년 숙종 8년 치당 연최적(延最績)이 병과 4등에 급제하며 인현왕후와 연을 맺으며 도승지등을 역임하였으나 인현왕후가 정적 희빈 장씨에게 밀려나 폐위되었고 최적은 인현왕후 폐위의 부당성과 당시 화를 입은 자들의 용서를 상소하다가 형장에서 옥사하였다. 숙종실록보궐정오 25권, 숙종 19년 8월 6일 정축 1번째기사
"듣건대 충숙공(忠肅公) 이세화(李世華), 의민공(懿愍公) 연최적(延最績), 충간공(忠簡公) 이동표(李東標)는 그처럼 충성과 절개가 있었는데 그들의 사손(祀孫)들은 영락하였다고 한다. 전조(銓曹)에 분부하여 이름을 물어서 초사(初仕) 자리가 나는 대로 의망(擬望)하여 들이도록 하라."
《고종실록》 10권, 고종 10년 9월 12일 정사 2번째기사
따라서 곡산 연씨는 겉보기에 몰락한 가문이 되어버렸다. 후일 영조 14년 송인명(宋寅明)의 청으로 연최적(延最績)을 증 이조판서로 추존하며 동시에 최적의 후손 곡산 연씨들에게 관직을 내리고[30] 영조 51년 연동헌(延東憲)이 곡산 연씨로는 93년만에 문과에 합격하였다. 정조 8년 조정은 최적을 재평하여 의민(毅愍)으로 증시하였으며[31] 고종 10년 가문이 몰락하여 관직없이 생업을 이어가는 최적의 후손 곡산 연씨들에게 관직을 내렸다.

1.2. 분포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곡산 연씨는 함흥에서 출발하여 16세기 즈음 한성부 청안군 그리고 경기도 광주군 지역을 거점으로 확대되었다. 따라서 現 곡산 연씨 최대 세거지는 서울· 경기· 충북· 함남이다[32] 조선의 도읍 한성부[33] 연사종 장군의 아들 연음(延廕)의 장남 연정렬(延井冽)이 낳은 아들 연보(延保)와 그의 후대가 지속되어 무과 급제자 3명[34], 문과 급제자 1명[35], 생원시 1명[36]· 진사시 2명[37]·의과 1명[38]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서울특별시 관악구 신림동에 이뤘다. 現 신림역 주변은 곡산 연씨 기업 삼모흥업 일가가 삼모더프라임타워 및 삼모스프렉스·스파등의 랜드마크 건물 대부분을 소유하고 있다.

연정렬(延井冽)은 또한 연안부사[39] 동래현령[40] 옥천군수[41]를 지냈는데 그의 복무지 가운데 하나였던 옥천 주변 前 청주군 청안군 지역[42]은 現 곡산 연씨가 두번째로 많이 사는 지역이 되었다. 前 청안군 지역의 주요 집성촌 4곳은 충북 증평군 증평읍 사곡리와 증평군 도안면 화성리 아울러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 진동마을과 음성군 원남면 조촌리 야동마을등이며 무과 급제자 4명[43], 생원시 7명[44], 진사시 3명[45]을 배출하였다. 現 충북 증평군 도안면 지역은 화성리에 중시조 곡산부원군 연사종 장군의 묘가 이장돼 있고 더욱이 전체 인구의 48%가 곡산 연씨이며 따라서 문중이 기초의원 선거를 좌우 하고 있다.[46] 연병호(延秉昊), 연철흠(延哲欽), 연종석(延宗錫)등의 정치인을 배출하였다.

청주군[47] 지역의 곡산 연씨는 문인 치당 연최적(延最績)외 생원시 연인로(延寅老)·어모장군 연재희(延再熙)등의 인물을 배출하였다. 現 충북 청주시 서원구 모충동 연배티마을에 집성촌을 이뤘으며 연최적을 기리는 연최적충효양전문(延最績忠孝兩全門)이 조성되어 있다.

광주군[48] 지역은 연정렬(延井冽)과 동서 광주 이씨의 영향으로 곡산 연씨가 세거하기 시작하였다. 주요인물은 선략장군 연승천(延承天)등이며 무과 급제자 5명[49]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경기도 광주시 도척면 노곡리에 이뤘다.

양주군[50]은 중시조 연사종 장군의 묘가 위치했었으며 조선 왕실이 하사한 사패지(賜牌地)였다. 주요 문종으로는 첨지사 연학서(延鶴瑞)와 어모장군 연정일(延精一)등이고 무과 급제자 3명[51]을 배출하였다. 집성촌은 現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 58길87( 하계동 168-2))에 이뤘었으며 후일 하계역 방면 집성촌 자리는 곡산 연씨 대종회 사무실과 종친회 아파트가 들어섰다.

아울러 前 포천군[52]를 연고로 하는 충의위 연재명(延再鳴)과 그의 후대가 지속되어 무과 급제자 1명[53]을 배출하였고 집성촌은 現 경기도 포천시 군내면 직두1리에 이뤘다.

1.3. 집성촌

1.4. 항렬자

파일:연-곡산.jpg

1.5. 분파

1.6. 세보

파일:연동헌지음.jpg
• 곡산연씨경신보(谷山延氏庚申譜) : 1740년

1.7. 인물

26세(羽)
연기우(延基羽) ? ~ 1911 독립운동가
27세(秉)
연병호(延秉昊) 1894 ~ 1963 정치인
29세(圭)
연규횡(延圭鐄) 1921 ~ 1989 교육인
충북대학교 제6·제9·제10대 총장, 제2대 충청북도교육감
연규진(延圭眞) 1945 ~ 배우
연정훈의 父
연규성(延圭成) 1980 ~ 가수
30세(欽)
연철흠(延哲欽) 1960 ~ 정치인
연경흠(延卿欽) 1983~ 야구선수
한화 이글스 외야수
연경흠(延慶欽) 1967~ 육군 준장
31세(濟)
연제원(延濟源) 1927 ~ 2010 기업인
삼모흥업 회장·정치인
연제욱(延濟旭) 1987 ~ 배우
연제형(延濟亨) 1995 ~ 배우
연제민(延濟民) 1993 ~ 축구선수
연제운(延濟運) 1994 ~ 축구선수
32세(模)
연형모(延形模) 1991 ~ 프로게이머
리그오브레전드

1.8. 예명

1.9. 가상인물

어감이 좋아 가상인물이 꽤 있는편이다.

2. 連 (이을 연, 련)

한국의 성씨. 시조는 고려 개국공신 연주(連珠)이며 본관은 전주 단본이다. 2015년도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59명으로 조사되어 매우 흔치 않은 성이다.

1930년도 국세조사 당시 나주 6가구와 본관 불명 등 전국에 7가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당시 평안남도 성천군에 나주 연씨 6가구가 모두 살고 있었으며, 충청남도 예산군에 살던 1가구는 본관 불명으로 나타났다. 이 때 평안남도 성천군 영천면 유동에 살던 나주 본관의 연상섭(連相燮)씨는 전설에 의하면 延씨를 잘못 기재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증언한 바 있고, 충청남도 예산군 대흥면 갈전리에 살던 본관 불명의 연국분(連國分)씨는 당시로부터 2, 300년 전에 자신들의 선조가 중국에서 귀화해와서 살기 시작했다고 증언하기도 했다.

2.1. 외국계 인물

3. 燕 ( 제비 연)

본관은 정평, 영평, 전주, 평주, 곡산 등 이 문헌에 전한다. 삼국시대에는 백제 대성팔족의 하나였다. 2015년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는 20명으로 조사되었다. 이중 16명이 전주연씨에 속한다.

백제에서 연씨는 연비(燕比)라는 복성으로 표기되기도 했으며[69] 중국에서는 연나라의 성씨이다.

참고로 흥부전 흥부, 놀부 형제가 바로 이 성씨다.[70]

4. 淵 ( 연)

고구려의 권신 연개소문 가문의 성씨이다. 한국에서는 완전히 소멸된 성씨이다. 한국의 성씨/사라진 성씨 참고.

일본 측 기록에서는 연씨가 '이리(伊梨)' 씨로 기록되어 있다. 일본서기에는 이리거세사, 이리가수미(=연개소문)가 나온다.

4.1. 연개소문과 그의 가족

연개소문의 성씨인 淵씨이다. 자세한 사항은 여기 참조.

5. 그 외 인물



[A] 원주소는 前 황해도 곡산군 상도면 웅담리였다. 1898년( 광무 2)에 발급된 황해도(黃海道) 곡산군(谷山郡) 상도면(上圖面) 웅담리(熊潭里) 연촌동(延村洞) 제5통 1호에 사는 농인(農人) 연봉량(延鳳亮)의 호적표가 발견되었다. [B] 연 해피빌 아파트 [C] “신림동 터줏대감”, 삼모빌딩 2채 시세 750억 ‘훌쩍’ [D] 광주문화원 노곡리 [E] 포천시 군내면 직두리 [H] 우리동네 모충동에 오면... [I] 진천군 초평면 진암리(陣岩里) 진동(陣洞)마을 [J] 디지털음성문화대전 [9] 2015년 대한민국 인구 49,705,663명 [10] 1930년 조선 인구 약 20,000,000만명 [A] [12] 곡산 연씨 무과 급제자 목록 [13] 곡산 연씨 문과 급제자 목록 [14] 1930년 조선 인구는 약 20,000,000만명이었다. [15] 2015년 대한민국 인구는 49,705,663명이었다. [16] 장군의 영정은 부원군(府院君)의 조복(朝服)을 입은 모습을 하고 있으며, 크기는 가로 60cmㆍ세로 113cm로서, 무오년 가을 와우산인(臥牛山人) 서봉(瑞奉)이 그렸다고 한다. [17] 중시조 연사종 장군의 증손 [18] 토성(土姓)이란 세종실록지리지에 나오는 표현으로 지역의 성씨 중에서 고려시대 이래로 여러 차례 관직을 지낸 기록이 있어 조선 건국 이전부터 벼슬 품관(品官) 집단(集團)의 성씨 즉 양반 가문으로 인식된 성씨를 말한다. [19] 황해도 황주목 곡산군 출생, 성은 연(延)씨이나 이름은 불명이다. [20] 국군 중장 [21] 태종실록 19권, 태종 10년 1월 16일 계미 3번째기사 [22] 서울시장 [23] . 《태종실록》 1권, 태종 1년 1월 15일 을해 2번째기사 [24] 서울특별시 [25] 도총관(都摠管), 現 수도방위사령관 [26] 도총제사(都摠制使) [27] 세종실록 88권, 세종 22년 2월 22일 을미 2번째기사 [28] 문종실록 3권, 문종 즉위년 9월 1일 임인 7번째기사 [29] 명종실록 9권, 명종 4년 5월 6일 을해 4번째기사 [30] 영조실록 47권, 영조 14년 11월 14일 임술 1번째기사 [31] 정조실록 8권, 정조 3년 8월 15일 병인 2번째기사 [32] 1930년 조선총독부 실시 국세조사에 따르는 조선의 성씨별 가구수 통계표 [33] 서울특별시 전역 [34] 포도군관(捕盗軍官) 연신흠(延愼欽)
별대마병(別隊馬兵) 연용서(延龍瑞)
수문장(守門將) 연응룡(延應龍)
[35] 연구령(延九齡) [36] 연사의(延士義) [37] 연창령(延昌齡) 연충보(延忠輔) [38] 연수담(延壽聃) [39] 황해남도 연안군 [40] 부울경 지역 성종실록 201권, 성종 18년 3월 17일 정사 1번째기사 [41] 충청북도 옥천군 성종실록 42권, 성종 5년 5월 12일 병신 1번째기사 [42] 충북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오창읍 일부와 괴산군· 증평군· 음성군 원남면· 진천군 초평면 [43] 충의위(忠義衛) 연윤(延潤)
충의위(忠義衛) 연진길(延震吉)
한량(閑良) 연태훈(延泰勲)
전력부위(展力副尉) 연집(延㠎)
[44] 연명좌(延命佐) 연명회(延明會) 연섭(延涉) 연세관(延世觀) 연주운(延周運) 연형(延瀅) 연혜증(延惠增) [45] 연기회(延耆會) 연세화(延世華) 연진경(延震卿) [46] 기초의원 1석에 갈린 연씨 종친회 [47] 충청북도 청주시 [48] 경기도 광주시 [49] 부사과(副司果) 연덕항(延德恒)
무관 연도원(延道源)
부사과(副司果) 연만성(延萬成)
부사맹(副司猛) 연봉령(延鳳齡)
한량(閑良) 연오징(延五徵)
[50] 서울특별시 노원구 하계동 [51] 겸사복(兼司僕) 연대징(延大澄)
부사과(副司果) 연제민(延濟民)
어모장군(禦侮將軍) 연탁립(延卓立)
[52] 경기도 포천시 [53] 충의위(忠義衛) 연후설(延後卨) [B] [C] [D] [E] [H] [I] [J] [61] 미국명 스티븐 연(Steven Yeun) [62] 본명은 이민지 [63] 본명은 김봉회. [64] 구작에서는 배레티로 나왔음 [65] 초기 판본인 홍보만보록에서는 장씨로 나온다. 연씨라는 설정은 이후의 판본에서 처음 나온다. [連] [連] [連] [69] 제비를 표기한 것이란 가설이 있다. 앞 글자는 훈을 나타내고 뒷 글자는 음차를 나타낸 거라면 딱 맞기 때문. [70] 그리고 흥부전의 가장 오래된 판본인 흥보만보록에서는 두 형제의 성씨가 장씨, 그것도 덕수 장씨로 나온다. 아마도 이후에 내용이 구전되면서 제비(燕)가 나오는 이야기라는 뜻에서 연씨라는 설정이 붙었다고 추정된다. 그런가 하면 제비 흥부, 놀부 형제에게 박씨를 가져다 줬다고 해서 박씨라는 설정이 붙기도 한다. [71] 연개소문하고는 상관없는 청나라 인물로 年씨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