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02 07:52:46

평창 이씨

한국의 성씨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a495,#2d2f34><colcolor=#fff> · · · · · 강전 · · · · · · · · · · · · · · · · · · · · ·
· · · 남궁 · · · · ·
· · · · · · · 독고 · · · 동방 · · · 등정
· · · · · · · ·
· · 망절 · · · · · · · · 무본 · · · ·
· · · · · · · · · · · · · ·
· 사공 · · · · · 서문 · · · 선우 · · · · · 소봉 · · · · · · · · ·
· · · · · · 어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곡 · · · · · · 제갈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황목 · 황보 · ·
초록색: 2015년 기준으로 총 인구 100명 미만인 성씨
한자 표기가 다르더라도 한글 표기가 같으면 합산됨
}}}}}}}}}
平昌 李氏
평창 이씨
관향 <colbgcolor=#fff>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시조 이광 (李匡)[1]
집성촌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 ·  인제군 · 양구군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화촌면 · 평강군
경상북도  울진군
평안북도  초산군
평안남도  강서군
함경남도  북청군
황해북도  금천군
인구 80,607명(2015년)
외부 링크 평창 이씨 중앙 종친회

1. 개요2. 인명3. 분적종 삭제와 종친 분열4. 주요 거주지

[clearfix]

1. 개요

평창 이씨(平昌 李氏)는 강원특별자치도 평창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2015년 통계청 인구총조사 자료에 따르면 80,607명으로 통계인구의 0.16% 정도이다.

청학집에 인용된 통일신라 시대 고문헌을 참고로 하여 작성한 조선 중기 야사집인 삼한습유기(三韓拾遺記)에 의하면 평창 이씨는 남옥저 유민 후손이다. 삼한습유기에 평창 이씨와 평강 채씨는 남옥저 후손이라고 나와있고, 평창 이씨의 뿌리는 현재의 평창군이 아니라 북한 강원도의 이천군라고한다. 북한 강원도의 평강군 옆에 위치해있고, 남옥저 동옥저와 같은게 아니고 북한 강원도의 이천군, 평강군 지역이다. 조선시대에는 동예 강릉지역을 남옥저로 보는 사람들도 있다. 시조 이광(李匡)이 백오군에 봉하여 졌던것을 보면 적어도 고려시대 부터는 현재의 평창 지역이 집성촌이었던거 같다. 삼국시대나 통일신라때 북한의 이천군 지역에서 남한의 평창군 지역으로 이주해서 정착한거 같다.

평창이씨(平昌李氏)의 시조 이광(李匡)은 1126년(고려 인종 4)에 태어나 고려 의종 때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 동북면도순문사(東北面都巡問使) 평장사(平章事)를 거쳐 광록대부(光祿大夫) 태사(太師)에 이르렀고 백오군(白烏君)에 봉해졌다.

이광의 8세손 이천기(李天驥)가 고려 공민왕 때 산기상시(散騎常侍)에 이르고, 많은 공을 세워 평창군(平昌君)에 봉해졌다. 평창 이씨는 조선시대 문과(대과) 급제자 27명을 배출하였다.

2. 인명

신분 직위를 넘어서 나열하며, 특정 인물의 강조 표기는 금지된다.

3. 분적종 삭제와 종친 분열

평창 이씨는 2008년 3월 이전만 하더라도 경주 이씨에서 분적한 걸로 알려져 있으나, 시조 이광의 선대 조상인 이윤장(李潤張)에 대한 기록이 부실하고 활동연대의 모순으로 분적종에서 삭제되었다. #

하지만 이로 인해, 평창 이씨는 이광을 시조로하는 대종회 측(익평공파)과 이윤장을 시조로하는 중앙종친회 측(정숙공파)으로 분열되었다. 평창 이씨 족보를 보면, 어느 것은 시조가 이윤장으로 된 게 있고 어느 것은 시조가 이광으로 된 게 볼 수 있다.

4. 주요 거주지

주요 집성촌은 평안도와 강원특별자치도로 이루어져 있다. 평창이씨 절반 이상이 서울특별시와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에 거주 중이며 2015년 기준 인구분포 상위 10개 기초자치단체로는 수원시, 원주시, 춘천시, 용인시, 고양시, 성남시, 강릉시, 남양주시, 안산시, 부천시 순이다. 평안도는 평양, 초산에 집성촌이 있었다. 그리고 일부는 서울특별시 관훈동에 본적을 두고 운현궁 출입을하던 집안으로 서울토박이로 거주하다가 서대문구로 이동한 후 6.25 이후 포천과 여주쪽으로 이주해서 거주 중이다.


[1] 종친회에선 이윤장(李潤張)을 시조로 삼고 있으나 이윤장의 기록이 부실하고, 또한 실재했던 인물이 아니였음을 경주 이씨에서 밝혔다. https://lrrock5050.tistory.com/564 [2] 참고로 이계남의 자손들은 명문가문을 이루었다. 이계남의 남계 자손들이 고위 관직에 올라서 명문가의 반열에 든 것은 아니고 혼인을 통해 명문가의 반열에 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계남의 장남인 이광의 부인은 낭선군 한보의 딸이자 한명회의 손녀였고, 차남 이량의 부인은 광평대군의 증손녀였다. 삼남 이창의 첫 번째 부인은 안동김씨 문정공 김질의 딸이었고, 두 번째 부인은 죽산안씨 판관 안방언의 딸이다. 또한 이계남의 사위는 두명인데 첫번째 사위는 사복시정 윤승류이다. 윤승류의 아들은 정숙옹주와 결혼한 영평위 윤섭이다. 두번째 사위는 유순정의 아들인 진산군 유홍이다. 이계남의 차남인 이량의 차남이자 이계남의 장남인 이광의 양자인 이희철의 부인은 낭성군 한보의 손녀로 한명회의 증손녀였다. 즉, 고부지간이 고모와 조카 관계였다. 더불어 이희철의 외증손녀는 이산해의 며느리였다. 이량의 장남 이희현의 초배는 구치관의 조카인 능천부원군 구수영의 딸이며, 삼남 이희명의 부인은 성희안의 딸이며, 사남 이희문의 부인은 현감 최륜의 딸로 문강공 이사균의 외손녀였다. 이량의 사위는 세명인데 그중 첫번째 사위는 윤원형의 형인 윤원로이다. 이희명의 장손 이정화의 부인은 숭정대부 행 참찬을 지내고 좌의정에 추증된 이제민의 딸이며, 이희명의 사남 이철의 부인은 전성군 이대의 손녀로 효령대군의 6대손이다. 이희명의 삼남이자 이희문의 양자인 이옥의 부인은 영의정 이준경의 딸이며, 이옥의 아들인 이정직의 초배는 관찰사 권덕여의 딸로 문절공 신상의 외증손녀이다. 계배는 증 좌찬성 송율의 딸로 우참찬 신희복의 외손녀이며, 판서 송언신의 누이이다. 이정직의 사위인 이헌방은 영의정 이홍주의 아들이다. 이헌방의 서자인 이지백의 부인은 이희명의 증손녀이자 이정화의 서녀다. 참고로 이헌방은 이홍주의 유일한 적자였고, 이헌방은 측실에서 난 자식밖에 없었기에 유일한 아들인 이지백이 조상 봉사하기 위해 승적되었다. 이에 이지백은 서출임에도 문과에 합격하여 관직생활을 할 수 있었다. 다른 사위는 권덕여의 손자인 형조참판 권진기인데, 권진기는 판돈녕부사 권시경의 할아버지가 된다. 이정직의 아들인 이숙의 부인은 호성공신 2등 한천군 이괵의 딸이다. 이숙의 차남 이창현의 초배는 회은군 이덕인의 딸이며, 계배는 권대운의 백부 도사 권필중의 딸로 선무공신 권협의 손녀이며, 어머니는 종의군의 5대손인 수의부위 이수인의 손녀이다. 이숙의 손자 이담은 권대운의 숙부 진사 권위중의 딸로 권협의 손녀이며, 판서 권대재의 누이이다. 이담의 동생 이경의 계배는 전성부원군 이준의 증손녀이며, 할머니는 광흥수 이찬의 딸이다. 이담의 사촌 이정의 계배는 부사 이만의 딸로 무산군의 5대손이다. 이처럼 이계남의 직계 자손들은 남부럽지 않은 혼맥을 자랑하며 명문가의 지위를 유지했다. [3] 함경남도 북청군 하거서면 출신(1920~2009). 묘소, 경기 남양주시 화도읍 묵현리 산 175-2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