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19:47:25

칼 16세 구스타프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377C 0%, #006AA7 20%, #006AA7 80%, #00377C); color: #fff; min-height: 31px"
{{{#fecc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신화시대 국왕
<rowcolor=#fff> 문쇠 왕조 스텐실 왕조
승리왕 에이리크 올로프 솃코눙 아눈드 야코프 노인 에문드 스텐실
<rowcolor=#fff> 스텐실 왕조
에리크 7세 할스텐 스텐실손 아눈드 고르드셰 호칸 뢰데 잉에 1세
에리크 8세
블로트 스벤 잉에 1세 필리프 할스텐손 잉에 2세 랑발드
<rowcolor=#fff> 에스트리드 왕조 스베르케르 왕조 에리크 왕조 에스트리드 왕조 스베르케르 왕조
망누스 1세 스베르케르 1세 에리크 9세 망누스 2세 칼 7세
<rowcolor=#fff> 에리크 왕조 스베르케르 왕조 에리크 왕조 스베르케르 왕조 에리크 왕조
크누트 1세 스베르케르 2세 에리크 10세 요한 1세 에리크 11세
<rowcolor=#fff> 에리크 왕조 폴쿵 왕조
크누트 2세 에리크 11세 발데마르 망누스 3세 비르예르 망누손
<rowcolor=#fff> 폴쿵 왕조 메클렌부르크 왕조 칼마르 동맹
망누스 4세 알브렉트 마르가레타 에리크 13세 크리스토페르
에리크 12세
호칸
<rowcolor=#fff> 칼마르 동맹 바사 왕조
칼 8세 크누트손 크리스티안 1세 요한 2세 크리스티안 2세 구스타브 1세 바사
<rowcolor=#fff> 바사 왕조
에리크 14세 요한 3세 시기스문드 칼 9세 구스타브 2세 아돌프
<rowcolor=#fff> 바사 왕조 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
크리스티나 여왕 칼 10세 구스타브 칼 11세 칼 12세 울리카 엘레오노라
<rowcolor=#fff> 헤센카셀 왕조 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
프레드리크 1세 아돌프 프레드리크 구스타브 3세 구스타브 4세 아돌프 칼 13세
<rowcolor=#fff> 베르나도테 왕조
칼 14세 요한 오스카르 1세 칼 15세 오스카르 2세 구스타프 5세
구스타프 6세 아돌프 칼 16세 구스타프 }}}}}}}}}}}}
칼 16세 구스타프 관련 틀
<colbgcolor=#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49년 8월 15일 이승만 대통령 대한민국
1960년 8월 13일 윤보선 대통령 대한민국
1963년 12월 5일 12월 17일 박정희 대통령 대한민국
1967년 6월 23일 육영수 영부인 대한민국
1979년 12월 7일 최규하 대통령 대한민국 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 12월 7일 홍기 영부인 대한민국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전두환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이순자 영부인 대한민국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노태우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김옥숙 영부인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김영삼 대통령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손명순 영부인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김대중 대통령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이희호 영부인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노무현 대통령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권양숙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이명박 대통령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김윤옥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9일 박근혜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문재인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김정숙 영부인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하인리히 뤼프케 대통령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빌헬미네 뤼브케 영부인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 2월 1일 2월 7일 이스마일 나시루딘 국왕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7일 틍쿠 인탄 자하라 왕비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시리낏 끼띠야콘 왕비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5일 장제스 총통 중화민국
1968년 5월 10일 5월 18일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 에티오피아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반티에우 총통 남베트남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티마이아인 제1부인 남베트남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하마니 디오리 대통령 니제르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아이샤 디오리 영부인 니제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대통령 엘살바도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 영부인 엘살바도르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오마르 봉고 대통령 가봉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조세핀 봉고 영부인 가봉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대통령 세네갈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 영부인 세네갈
1980년 5월 11일 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 국왕 사우디아라비아
1980년 5월 14일 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1981년 6월 25일 수하르토 대통령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5일 시티 하티나 영부인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9일 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1년 6월 29일 틍쿠 아프잔 왕비 말레이시아
1981년 7월 6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필리핀
1981년 7월 6일 이멜다 마르코스 영부인 필리핀
1981년 10월 13일 로드리고 카라소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1년 10월 13일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영부인 코스타리카
1982년 5월 10일 사무엘 도 대통령 라이베리아
1982년 6월 7일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 자이르
1982년 6월 7일 보비 라다와 영부인 자이르
1982년 8월 25일 압두 디우프 대통령 세네갈
1982년 12월 21일 케난 에브렌 대통령 튀르키예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 대통령 수단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부띠나 칼릴 압불핫산 영부인 수단
1983년 9월 10일 후세인 1세 국왕 요르단
1983년 9월 10일 누르 왕비 요르단
1984년 4월 9일 하사날 볼키아 국왕 브루나이
1984년 4월 21일 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 국왕 카타르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다우다 자와라 대통령 감비아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치렐 자와라 영부인 감비아
1985년 5월 17일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대통령 파키스탄
1985년 5월 20일 루이스 알베르토 몽헤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6년 9월 4일 4월 10일 엘리자베스 2세 국왕 영국
1986년 9월 4일 4월 16일 보두앵 국왕 벨기에
1987년 4월 7일 아메드 압달라 대통령 코모로
1988년 11월 3일 이스칸다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8년 11월 3일 자나리아 왕비 말레이시아
1989년 11월 3일 11월 20일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대통령 서독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프랑스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다니엘 미테랑 영부인 프랑스
1990년 6월 21일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대통령 파라과이
1990년 11월 5일 괸츠 아르파드 대통령 헝가리
1991년 9월 13일 아즐란 샤 국왕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13일 투안쿠 바이눈 왕비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25일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대통령 멕시코
1992년 8월 13일 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 대통령 과테말라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피델 라모스 대통령 필리핀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 영부인 필리핀
1994년 11월 7일 11월 21일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 대통령 칠레
1994년 12월 5일 12월 9일 레흐 바웬사 대통령 폴란드
1995년 2월 7일 2월 16일 이슬람 카리모프 대통령 우즈베키스탄
1995년 2월 21일 3월 6일 로만 헤어초크 대통령 독일
1995년 3월 28일 4월 3일 젤류 젤레프 대통령 불가리아
1995년 6월 26일 7월 7일 넬슨 만델라 대통령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 9월 26일 9월 29일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 아르헨티나
1996년 7월 23일 9월 4일 알바로 아르수 대통령 과테말라
1996년 7월 23일 페르난두 카르도주 대통령 브라질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스페인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 왕비 스페인
1996년 11월 26일 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 국왕 말레이시아
1996년 12월 10일 12월 15일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 우크라이나
2000년 2월 22일 3월 3일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대통령 이탈리아
2000년 2월 22일 3월 6일 자크 시라크 대통령 프랑스
2006년 3월 12일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 알제리
2007년 3월 26일 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2007년 3월 28일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국왕 카타르
2009년 5월 13일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카자흐스탄
2009년 11월 12일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 페루
2012년 5월 30일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 스웨덴
2012년 11월 21일 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 대통령 아랍에미리트
2018년 10월 8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프랑스
2019년 하랄 5세 국왕 노르웨이
2021년 6월 14일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대통령 오스트리아
2021년 6월 16일 펠리페 6세 국왕 스페인
2021년 6월 16일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왕비 스페인
2021년 8월 25일 이반 두케 대통령 콜롬비아
2021년 9월 21일 보루트 파호르 대통령 슬로베니아
2023년 7월 13일 안제이 두다 대통령 폴란드
2023년 11월 21일 찰스 3세 국왕 영국
2024년 11월 16일 디나 볼루아르테 대통령 페루 }}}}}}}}}
<colbgcolor=#006AA7><colcolor=#fecc00>
스웨덴 베르나도테 왕조 제7대 국왕
칼 16세 구스타프
Carl XVI Gustaf
파일:GALLERI_2023_HMKonungen_Foto_Thron_Ullberg_Kungl.Hovstaterna.jpg
출생 1946년 4월 30일 ([age(1946-04-30)]세)
스웨덴 스톡홀름주 솔나시 하가 궁전
재위기간 스웨덴 국왕
1973년 9월 15일 ~ 현재
서명 파일:칼 16세 구스타프 서명.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6AA7><colcolor=#fecc00> 가문 베르나도테 왕조
이름 칼 구스타프 폴케 후베르투스
(Carl Gustaf Folke Hubertus)
아버지 베스테르보텐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 세습 왕자
어머니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지빌라 공녀
형제자매 마르가레타, 비르지타, 데시리에, 크리스티나
배우자 실비아 좀멀라트 (1976년 결혼)
자녀 빅토리아, 칼 필립, 마들렌
종교 루터교회 ( 스웨덴 교회)
신장 179cm }}}}}}}}}
공식 초상화
1. 개요2. 작위3. 생애
3.1. 어린 시절3.2. 결혼3.3. 국왕으로서의 삶
3.3.1. 스카우트
4. 가족관계
4.1. 조상4.2. 자녀
5. 여담
5.1. 훈장5.2. 상
6. 관련 문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För Sverige i tiden
스웨덴을 위해, 시대와 함께
칼 16세 구스타프가 채택한 스웨덴 표어
스웨덴 베르나도테 왕조의 제7대 국왕. 스웨덴 역사상 가장 오래 재위 중인 군주이다.

2. 작위

파일:스웨덴 국장.svg 파일:Coat_of_arms(Duke_of Jëmtland·Karl_XVI_Gustaf).png 파일:Royal_Monogram_of_King_Carl_XVI_Gustaf_of_Sweden.svg.png
<rowcolor=#fecc00> 국왕 즉위 이후 사용한 문장 출생부터 즉위 전까지 옘틀란드 공작으로서의 문장 모노그램

칼 16세 구스타프의 할아버지인 구스타프 6세 아돌프 구스타브 1세 바사에 의해 1544년 세습 군주제가 수립된 이후부터 사용되어온 " 스웨덴인, 고트인, 벤트인의 신의 은총에 의한 왕"[1][2]라는 칭호을 사용했으나, 칼 16세 구스타프는 대신 평이하고 소박한 칭호인 "스웨덴의 왕"[3]을 선택함으로써 수 세기 동안 이어져 온 전통을 종식시켰다.

3. 생애

3.1. 어린 시절

파일:19460607_CXIVG_dop-b-bibl-1000x750.jpg
세례식 직후 4대가 함께 찍은 사진[4][5]
1946년 4월 30일 오전 10시 20분 스톡홀름 북쪽에 있는 하가 궁전에서 베스테르보텐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 세습 왕자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지빌라 공녀의 사이의 다섯 아이 중 막내로 몸무게 3.5kg, 키 50cm로 태어났다. 오랫동안 모두가 기다린 후계자였다. 누나 비르기타 공주[6]는 당시를 이렇게 회상했다. '낯선 사람들이 우리 테이블로 달려와 우리를 껴안고 심지어 공중으로 투척하기까지 했어요. 어떤 손님들은, 특히 많은 노부인들이 기쁨에 울었어요.' 6월 7일 스톡홀름 왕궁의 예배당에서 루터교 유아세례를 받았다. 세례식에서 증조부 구스타프 5세로부터 세라핌 훈장을 수여받았다. 대부모는 구스타프 5세, 구스타프 아돌프 왕세자, 프레데리크 왕세자, 잉리드 왕세자비, 올라프 왕세자, 율리아나 공주, 카를 에두아르트, 폴케 베르나도테, 마리아 베르나도테이다. 아버지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가 비행기 사고로 구스타프가 9개월 때 죽어서 친할아버지의 뒤를 이어 국왕이 되었다.

어머니 지빌라 왕자비는 후에 시누이가 되는 스웨덴의 잉리드 공주[7]의 주선으로 베스테르보텐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 세습 왕자와 만났다. 근데 둘이 결혼할 당시 독일 나치가 대두되었고, 지빌라 왕자비의 아버지이자 칼 구스타프의 외할아버지인 카를 에두아르트[8] T-4 프로그램에 가담할 정도로 나치에 가장 적극적으로 동조한 사람이었다.[9] 이 때문에 반파시즘이였던 지빌라 왕자비는 나치 지지자였던 아버지 때문에 무척 곤혹스러워 했다.

게다가 지빌라 왕세손비도 결혼한 후 딸만 내리 넷을 낳는 바람에 왕위 계승자를 낳아야 한다는 압박감에 시달리게 되었다. 그리고 마침내 막내이자 고명아들인 칼 구스타프가 태어났지만 그가 태어난지 1년도 되지 않아서 아버지 구스타프 아돌프가 비행기 사고로 사망했다. 다섯 아이를 데리고 홀로 살아가는 지빌라 왕자비를 진심으로 안타까워했던 사람은 시아버지이자 국왕의 할아버지인 구스타프 6세 아돌프였다고.

심지어 구스타프 6세 아돌프는 손자 칼 16세 구스타프가 태어났을 때도 왕세자였다! 당시 스웨덴 국왕이었던 증조할아버지가 살아있었기 때문. 찰스 3세 2022년73세의 나이로 즉위했고, 구스타브 6세 아돌프가 즉위할 때 나이가 68살이니까 찰스와 거의 다름없다.[10]

할란드 공작 베르틸은 릴리안 데이비스라는 웨일스 출신의 평민 이혼녀와 사랑하는 사이였는데, 베르틸의 아버지 구스타프 6세 아돌프는 고령이었고, 맏형 구스타프 아돌프 왕세손은 아들이 없었으며 둘째형 시그바르드와 남동생 칼 요한은 평민과 결혼하면서 왕자 칭호를 박탈당하는 바람에 릴리안과 결혼할 수 없는 처지가 되었다. 지빌라 왕세손비가 칼 구스타프를 낳으면서 왕위 계승자에서 좀 멀어졌으나 형의 사망으로 베르틸 왕자가 1살 밖에 안 된 어린 칼 구스타프에 이어 다시 스웨덴의 제 3 왕위 계승자가 되어버렸다.

또한 만약에 노령의 국왕과 왕세자가 연달아 사망할 경우, 어린 칼 구스타프가 왕위에 올라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섭정이 필요하고 결국 남아있던 스웨덴 가족 중 섭정이 될 만한 인물은 베르틸 밖에 없었다. 결국 베르틸은 왕족으로서의 의무를 수행해야 했고 이런 삶은 받아들여졌다. 다만 그렇다고 해서 릴리안과 헤어진 건 아니고 결혼하지 않은 대신 동거를 시작했으며, 릴리안 역시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하기 위해 법적으로 그의 아내가 될 수 없는 것을 받아들였다. 이러한 사례는 스웨덴 왕실에서 베르틸과 릴리안 이전에 이미 있었는데, 베르틸의 숙부였던 쇠데르만란드 공작 빌헬름은 아내인 러시아의 마리야 파블로브나 여대공[11]과 이혼한 뒤[12], 평민 이혼녀인 잔느 드 트람코트와 사랑에 빠졌다. 허나 구스타프 5세는 이 결혼을 허락하지 않았으며, 결국 빌헬름은 결혼하지 않고 그녀와 동거했다.
파일:WEBB_1951_CXVIG_5AR_foto_Hermes_svv.jpg
파일:WEBB_1965_HMK_civil_Bergne (2).jpg
<rowcolor=#fecc00> 1951년 1965년
어릴 적에는 칼 구스타프를 위해 조직된 성의 유치원에서 또래들과 교육을 받다가 7세에 브롬스 학교에 입학했다. 난독증으로 인해 친구들에게 놀림을 받았고 수줍은 성격이 더 심해졌다. 자신에게만 아버지가 없다는 사실을 인식한 것도 이때였다. 6학년을 마친 후 기숙학교로 보내졌으며, 1966년에 고등학교를 마치고 칼 구스타프는 스웨덴 육군과 스웨덴 왕립 해군 및 스웨덴 공군에서 2년 반의 교육을 마쳤다. 이후 1966년부터 1967년 겨울 동안 세계 일주 항해에 하기도 했다. 또한 그는 1968년에 스웨덴 육군과 왕립해군, 공군에서 모두 장교로 임명되어 이후 육군과 공군에선 대장을, 해군에선 중위 직위에도 오르기도 했다. 왕위에 오르기 전에. 그는 또한 웁살라 대학교에서 역사, 사회학, 정치학, 세법, 경제학을 전공 했고 나중에 스톡홀름 대학교에서 경제학을 공부했다. 여담으로 구스타프는 스웨덴 농업과학대학, 왕립기술원, 스톡홀름 경제대학원에서 명예 박사학위를 소지하고 있으며 핀란드 오보 아카데미 대학에서 명예 박사학위를 받고 있다.

구스타프는 차법원 제도, 사회 조직과 제도, 노동조합, 고용주 협회에 관한 광범위한 연구 프로그램을 따랐으며 또한 그는 의회와 정부, 외교부의 일을 면밀히 연구했다. 구스타프 왕세자는 또한 UN 주재 스웨덴 사절단과 스웨덴 국제 개발 협력기구 (SIDA)에서 시간을 보냈으며 영국 런던에 있는 은행과 그곳에 있는 스웨덴 대사관, 그리고 프랑스의 스웨덴 상공 회의소에서 근무했다. 마지막으로 프랑스에 있는 알파라발 공장에서 일했다. 1970년, 그는 일본 오사카에서 열린 세계박람회에 스웨덴 대표단을 이끌고 스웨덴을 대표했다. 추후에 서술하겠지만 젊은 시절부터 구스타프는 스웨덴 스카우트 운동의 강력한 지지자였다.

3.2. 결혼

파일:image-merge-1679978520292.png.jpg
결혼사진
1972년 올림픽이 열리는 뮌헨에 갔다가 3살 연상의 독일/ 브라질 여성 실비아 좀멀라트를 만나게 된다. 두 사람은 곧 사랑에 빠졌으나 당시 스웨덴 왕위 계승법은 여자는 왕이 될 수 없고[13], 남자는 왕족이나 왕족에 견줄만큼 신분이 높은 여성이 아닌 다른 여성과 결혼하면 왕위계승권을 박탈하는 엄격한 귀천상혼제가 적용되었었다. 이는 여성 왕족들도 마찬가지였다. 이로 인하여 그 때 스웨덴에는 칼 구스타프와 그의 삼촌인 할란드 공작 베르틸 이외에는 모두 왕자 칭호를 박탈당하거나 사망하여서 왕위계승자가 남아있지 않았다.

칼 구스타프의 친할아버지 구스타프 6세 아돌프는 당연히 왕족과 결혼해야 한다는 주장을 내세우며 방해했는데, 칼 구스타프는 실비아가 아니면 평생 결혼하지 않겠다고 고집을 부렸으나 어림도 없었다. 그러나 구스타프 6세가 사망하자 칼 16세 구스타프로 즉위하면서 계승법을 바꿨으며[14] 결국 의회의 승인을 얻어 1976년 6월 19일 스톡홀름 대성당에서 열린 결혼식은 1976년 6월 19일 스톡홀름 대성당에서 올로프 순드비 웁살라 대주교가 거행하였다. 국왕이 평민과 결혼한 것은 에리크 14세 이후 처음이었다. 전날의 결혼식 전야제에서는 스웨덴의 유명한 팝그룹 아바가 스웨덴의 미래 왕비를 기리기 위해 " 댄싱퀸"을 공연하였다.

운 좋게 친할아버지가 사망하지 않았다면 왕위계승 서열 1위의 왕세손이었던 칼 구스타프는 평민과 결혼했다가 귀천상혼에 걸려서 계승권을 잃을 판이었다. 덕분에 스웨덴에서 군주의 역할이 엄청 감소했다. 이를테면 스웨덴에서는 1975년부터 총리(국회에서 선출)를 국회의장이 최종적으로 임명·면직하고, 총리가 직접 장관을 임명·면직하는 구조로 바뀌었다. 또 국회를 통과한 법안은 바로 법률로 성립되게 바뀌었다. 이전에는 국왕이 총리·장관을 임명·면직하고, 국회에서 가결된 법안을 승인하는 등 상징적인 절차를 밟았다. 물론 실제로는 이미 결정된 걸 국왕이 상징적으로 추인하는 것이었지만 오늘날 스웨덴 국왕은 이런 형식적인 권한도 빼앗겼다. 물론 신임장(특정인을 외교사절으로 파견하는 내용을 담은 문서)에 사인을 하는 등 국가원수로서 몇 가지 역할이 남아 있긴 하지만, 다른 입헌군주국의 군주들에 비하면 역할이 훨씬 적다고 할 수 있다. 어쨌든 그 다음엔 부모같이 길러준 숙부 커플을 정식으로 결혼시켰고, 릴리안은 '할란드 공작 부인'이라는 칭호를 얻어 정식으로 스웨덴 왕실에 입성했다.[15] 이후 구스타프와 그의 가족은 1980년에 스톡홀름 서쪽의 드로트닝홀름 궁전으로 이주했다. 그러나 그와 부인은 여전히 스톡홀름 왕궁에 사무소를 유지해왔다.

3.3. 국왕으로서의 삶

파일:x19730919_CXVIG_Trontal1000x750.jpg
즉위기념식
1973년 9월 15일 칼 구스타프는 할아버지 구스타프 6세 아돌프가 사망하자 스웨덴 국왕이 되었다. 9월 19일, 그는 임시 각료 회의에서 요구되는 왕권 보장( 스웨덴어: Konungaförsäkran)을 받았다. 그 후, 그는 연설을 하는 왕궁의 전당에서 의회, 외교단, 법원 등에 모습을 드러냈다. 국무회의와 홀에서의 기념식은 모두 텔레비전으로 생중계되었다. 식이 끝난 후, 그는 발코니에 나타나 사람들이 모인 것을 인정했다. 국무회의에서 국왕은 자신의 이름이 칼 16세 구스타프일 것이며 직함은 스웨덴 국왕일 것이라고 선언했다.[16] 그는 국왕의 표어로 "스웨덴을 위해, 시대와 함께"[17]를 채택했다.

칼 구스타프가 왕위에 오르기 전인, 1809년부터 국왕의 권력를 대체할 계획이 이미 마련되어 있었으나 실현되지는 못하였다. 비록 왕은 서류상으로는 거의 독재자에 가까운 존재였지만, 의회의 영향력은 20세기 초까지 꾸준히 성장했다. 칼 구스타프가 왕위에 오르고 1974년에 만든 새 정부수립기구는 1975년 1월 1일에 처음 발효되었고 공식적으로 새 국왕의 대부분의 공식 정치력을 박탈하여 1917년 의회정부를 수립한 이래의 새로운 관행을 규정하였다.

새로운 정부는 왕이 주로 대표적이고 의례적인 역할을 하는 것을 줄였다. 이전에, 왕이 총리를 임명했지만, 실제로는 거의 항상 의회에서 다수당이나 연립여당의 당수가 총리로 선출되고 왕이 서명하는것이었다. 칼 구스타프가 만든 새로운 정부 수립기구채택 이후 총리 후보자는 의회 의장에 의해 지명되고, 그 후보가 의회에 의해 선출되면 의장이 서명하는것으로 바뀌었다. 서명하기도 귀찮은듯 게다가, 의회가 통과시킨 법안들은 법이 되기 위해 왕의 동의를 필요로 하지 않게 되었다.

또한 그는 스웨덴의 국가원수로서 해외를 국빈 방문하거나 국빈대접을 하고, 4년마다 있을 정부 교체 기간(총선기간) 동안 열리는 특별위원회, 총리 및 내각과 정기적인 정보위원회를 개최하고, 의장직을 맡고 있다. 외무부 회의를 필두로 스웨덴 주재 외국 대사들의 서신을 받고 스웨덴의 서신을 외국에 서명한다. 또한 그는 이런 유형의 국가 원수로서, 중립을 지키므로 그는 스웨덴의 선거에서도 자발적으로 투표에 기권한다.

또한 구스타프는 스웨덴의 육군, 해군, 공군의 가장 높은 직위를 가지고 있었다. 그러나 이는 1973년 즉위 당시 군대의 총사령관, 즉 최고사령관의 직책을 맡고 있는 군사 전문가와 혼동하지 않기 위해 그의 초기 계급인 육군과 공군에서의 장군과 해군에서의 중위에서 당연직인 장군과 제독이 되었다. 그래도 1975년 1월 1일 발효된 1974년 정부수립기구의 규정에 따라, 왕은 더 이상 헌법상 의무적인 군대의 최고 사령관을 맡지 않게 되어 더 이상 군 지휘권을 가지고 있지 않다. 하지만 여전히 장군 계급은 유지하고 있다.

전세계적으로 칼 16세 구스타프는 아마도 매년 노벨상의 수여자로 가장 잘 알려져 있을 것이다.[18] 그의 손에서 노벨상을 받은 첫 번째 수상자는 일본의 에사키 레오나였다.

2018년 10월 베르나도트 왕조 수립 200주년을 맞아 실비아 왕비, 빅토리아 왕세녀, 다니엘 공과 프랑스 포를 공식 방문했다.
파일:20230915_Jubileum50_(3)_Foto_Ingemar_LIndevall_KunglHovstaterna.jpg
골든 주빌리 기념사진
2023년 9월 15일 재위기간 50년을 채우면서 골든 주빌리를 맞이했다. 기념 행사에는 스웨덴 왕족들을 비롯하여[19] 노르웨이 하랄 5세, 소냐 왕비, 호콘 왕세자, 덴마크 마르그레테 2세, 프레데리크 왕세자, 메리 왕세자비, 그리스 아나마리아 왕비가 참석했다.[20]

2024년 1월 14일, 덴마크 마르그레테 2세가 퇴위함으로써 현재 유럽에서 가장 오래 재위중인 군주가 되었다.

3.3.1. 스카우트

칼 구스타프는 세계 스카우트 연맹의 명예회장으로 스웨덴과 국외에서 스카우트 활동에 자주 참여한다. 그가 처음 스카우트 대원이 된 것은 어머니 지빌라에 의해서였다고 한다. 어머니 지빌라와 아버지 구스타프 아돌프 모두 스카우트 운동에 매우 적극적이었다. 그의 첫 한국 방문도 스카우트 활동의 일환이었다. 그는 정기적으로 세계 잼버리를 방문하는데, 예를 들어 스웨덴이 주최하는 태국의 새터십에서 열린 2002년 세계 잼버리, 영국 하이랜드 파크에서 열린 2007년 세계 스카우트 100주년 기념식 등이 있다. 또한 미국 버지니아주에서 열린 1981년 내셔널 스카우트 잼버리에 참석하여 1982년 월드 스카우트 위원회가 월드 스카우팅에 대한 예외적인 서비스로 수여한 세계 스카우트 운동의 유일한 공로인 브론즈 울프상을 수상하였다. 제22회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에도 참석했다. 2011년 8월 6일 폐막식에서 4만여 명이 지켜보는 가운데 연설을 했다. 밴드 유럽도 그를 위해 "The Final Countdown"을 불렀다. 칼 구스타프 왕은 웨스트버지니아에 있는 2013년 미국 잼버리의 보이 스카우트에 출연했다. 사우디아라비아 압둘라 국왕과 함께 칼 구스타프 국왕은 평화의 전령 프로그램을 지지해 왔다.

4. 가족관계

파일:471169274_1127444988753620_7386774476943237121_n.jpg
2024년 가족사진

4.1. 조상

본인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칼 16세 구스타프
(Carl XVI Gustaf)
베스테르보텐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
(Prince Gustaf Adolf, Duke of Västerbotten)
구스타프 6세 아돌프
(Gustaf VI Adolf)
구스타프 5세
(Gustaf V)
바덴의 빅토리아 공녀
(Princess Victoria of Baden)[21]
코넛의 마거릿 공녀
(Princess Margaret of Connaught)
코넛과 스트래선 공작 아서 왕자
(Prince Arthur, Duke of Connaught and Strathearn)[22]
프로이센의 루이제 마르가레테 공주
(Princess Louise Margaret of Prussia)
작센코부르크고타의 지빌라 공녀
(Princess Sibylla of Saxe-Coburg and Gotha)
작센코부르크고타 공작 카를 에두아르트
(Charles Edward, Duke of Saxe-Coburg and Gotha)
올버니 공작 레오폴드 왕자
(Prince Leopold, Duke of Albany)[23]
발데크피르몬트의 헬레네 공녀
(Princess Helena of Waldeck and Pyrmont)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의
빅토리아 아델하이트 공녀
(Princess Victoria Adelaide of
Schleswig-Holstein-Sonderburg-Glücksburg)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글뤽스부르크 공작
프리드리히 페르디난트
(Friedrich Ferdinand,
Duke of Schleswig-Holstein-Sonderburg-Glücksburg)
슐레스비히홀슈타인존더부르크아우구스텐부르크의
카롤리네 마틸데 공녀

(Princess Karoline Mathilde of
Schleswig-Holstein-Sonderburg-Augustenburg)

4.2. 자녀

파일:2023_Familjebild_Foto_Clement_Morin_Kungl.jpg
2023년 가족사진
자녀 이름 출생 배우자 / 자녀
1녀 스웨덴의 왕세녀 빅토리아 1977년 7월 14일
([age(1977-07-14)]세)
다니엘 베스틀링
슬하 1남 1녀[24]
1남 베름란드 공작 칼 필립 왕자 1979년 5월 13일
([age(1979-05-13)]세)
소피아 헬크비스트
슬하 3남[25]
2녀 헬싱란드와 에스트리클란드 여공작 마들렌 공주 1982년 6월 10일
([age(1982-06-10)]세)
크리스토퍼 오닐
슬하 1남 2녀[26]

5. 여담

왕세손 시절, 첫 차인 볼보 P1800S 앞에서 찍은 사진이다.

5.1. 훈장

5.2.

수상
* 외국
세계 스카우트 운동 기구: 청동늑대상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일본 스카우트 협회 황금 꿩상(1980년)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마킹 산상
명예군직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해군 명예 제독, 영국 해군 (장년: 1975년 6월 25일)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이소 왕조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프레데리크 10세 레치에 3세
테멩공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알베르 2세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펠리페 6세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들라미니 왕조
음스와티 3세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노로돔 왕조
압둘라 2세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1] 스웨덴어: med Guds Nåde Sveriges, Götes och Wendes Konung, 라틴어: Dei Gratia Suecorum, Gothorum et Vandalorum Rex [2] 영국 국왕이 "신의 은총으로 그레이트브리튼 및 북아일랜드 연합왕국과 다른 왕국과 영토의 국왕"이라는 칭호를 쓰는 것과 유사하다. [3] 스웨덴어: Sveriges Konung [4] 왼쪽부터 할아버지 구스타프 아돌프 왕세자, 아버지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 증조할아버지 구스타프 5세, 구스타프 5세에게 안긴 아기는 칼 16세 구스타프이다. [5] 아버지 구스타프 아돌프 왕자는 이 사진을 찍은 약 1년 만에 항공사고로 세상을 떠나게 되었다. [6] 네 딸들은 평온한 분만을 위해 유모와 호텔로 보내졌다. [7] 후에 덴마크 프레데리크 9세와 결혼해 왕비가 되었다. [8] 빅토리아 여왕의 손자로, 막내 아들 레오폴드 왕자 유복자이기도 하다. 나치 독일 당시 독일 적십자사 총재를 역임했다. [9] 당시 적지 않은 독일의 구 왕족들이 나치에 가담하거나 동조하였던 반면, 상당수의 유럽 왕족들은 기존 질서를 부정하는 나치 때문에 반 나치 활동에 앞장섰다. 물론 독일 구 왕족들도 모두 나치에 동조하는 입장은 아니어서 지빌라 공녀나 바이에른의 왕세자 루프레히트처럼 나치에 반대한 사람들도 있었다. [10] 찰스 3세도 왕세자 시절인 2013년 손자 웨일스의 조지 공자를 얻은 바 있다. [11] 알렉산드르 3세의 막내 동생 파벨 대공(1860~1919)과 첫 부인 알렉산드라 공주( 그리스 국왕 요르요스 1세의 큰딸. 1870~1891.) 사이의 1남(드미트리 대공, 1891~1942) 1녀 중 장녀. 어머니를 일찍 여의고 아버지가 귀천상혼하자 바로 윗 형인 세르게이 대공(1857~1905)이 입양하였다. 세르게이 대공의 부인이 엘리자베트 대공비이며( 알렉산드라 황후의 친언니), 드미트리 대공은 이후 펠릭스 유수포프와 함께 그리고리 라스푸틴 암살을 주도하였다. [12] 둘 사이에서는 아들 하나(레나르트, 1909~2004)가 태어났으며, 아들은 이혼 이후 친가(스웨덴)에서 자라났고 1930년대 이후에 모자가 가끔 만났다고 한다. [13] 다만, 의회의 승인 하에는 여왕이 계승하는것도 가능은 했다. [14] 그래서 귀천상혼이 폐지되자마자 귀천상혼으로 계승권을 잃었던 친척들이 자기들의 계승권을 돌려달라고 한 일도 있었다. [15] 베르틸 왕자는 1997년 84세로 세상을 떠났고, 릴리안 왕자비는 2013년 97세로 세상을 떠났다. [16] 그 이전까진 '스웨덴인, 고트인과 벤드인의 왕'이란 고색창연한 칭호가 유지되어 왔다. [17] 스웨덴의 국장이기도 하다 [18] 수상자 발표는 스웨덴 왕립과학아카데미, 카롤린스카 의학연구소 등 주관 기관에서 하는 것이고, 실제 상패와 메달은 시상식 때 왕이 직접 수여한다. [19] 다만 마들렌 공주의 세 자녀들은 참석하지 않았다. [20] 하랄 5세와는 오스카르 2세를 기준으로 7촌이고, 마르그레테 2세와 아나마리아 왕비와는 구스타프 6세 아돌프를 기준으로 사촌이다. [21] 빌헬름 1세의 손녀이다. [22] 빅토리아 여왕의 3남이다. [23] 빅토리아 여왕의 4남이다. [24] 외스테르예틀란드 여공작 에스텔 공주, 스코네 공작 오스카르 왕자 [25] 알렉산데르 왕자, 가브리엘 왕자, 율리안 왕자 [26] 레오노르 공주, 니콜라스 왕자, 아드리엔 공주 [27] 스웨덴 역사에서 강력한 왕권을 휘두른 국왕은 구스타브 1세 바사, 칼 11세, 칼 12세 정도였다. [28] 빅토리아 왕세녀는 저런 부모밑에서 홀대받고 자랐음에도 불구하고 왕세녀로서 공무에 성실하고 성격도 좋은데다 부모와 사이도 괜찮아서 대인배 취급을 받는다. 가끔 보면 위태로운 왕실을 왕세녀 가족만이 아슬아슬하게 지탱해주고 있다는 느낌이 들 정도다. [29] 다른 나라 왕자들과는 달리 칼 필립 왕자는 헤어스타일이 다소 긴 편. 그리고 수염때문인지 단정하게 보이질 않는단 말을 듣고 있다 [30] <세계의 대중매체3> 212p ( 강준만 편저) [31] 참고로 2019년 6월 문재인 대통령이 스웨덴에 국빈 방문하였을 때 칼 16세 국왕은 보통 스웨덴 국왕이 패용하는 국왕 전용 훈장 대신 이 무궁화대훈장을 착용하고 문재인 대통령을 맞이했다고 한다. [32] 대한민국 여자 컬링 국가대표팀이 나온 그 경기다. [33] 아버지 베스테르보텐 공작 구스타프 아돌프 세습 왕자가 빅토리아 여왕의 3남 아서 왕자의 외손자이고, 어머니 지빌라 왕자비는 빅토리아 여왕의 4남 레오폴드 왕자의 손녀였다. [34] 또한 사촌 누나 마르그레테 2세와 함께 부계와 모계 모두 러시아 제국의 황제 파벨 1세의 후손들 중 한 명이다. 그 외에는 찰스 3세 펠리페 6세, 빌럼알렉산더르도 파벨 1세의 후손들이다. [35] 영국은 외국의 국왕이나 확정 상속인에게도 왕위 계승권을 인정하기 때문에, 이런 식으로 외국 왕이나 왕족이 계승 서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가령 칼 16세 구스타프의 사촌누나인 마르그레테 2세는 서열이 칼 16세 구스타프의 자손들 바로 다음 순서이고(140위권), 칠촌인 하랄 5세는 80위권으로 계승 서열에 포함되어 있다. [36] 가나다 순 [37] 파일:그리스 훈장.jpg [38] 파일:남아공 훈장.jpg [39] 파일:노르웨이 훈장.jpg [40] 파일:폴란드 훈장.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