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02:59:54

김옥숙

파일:Document_Protect.svg   편집 보호된 문서입니다.
문서의
ACL 탭
을 확인하세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467f,#005ba6 20%,#005ba6 80%,#00467f); color:#ffc224"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제1-3대 제4대 제5-8대 제10대
프란체스카 도너 공덕귀 육영수 홍기
대통령 이승만 대통령 윤보선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 최규하
제11·12대 제13대 제14대 제15대
이순자 김옥숙 손명순 이희호
대통령 전두환 대통령 노태우 대통령 김영삼 대통령 김대중
제16대 제17대 제18대 제19대
권양숙 김윤옥 - 김정숙
대통령 노무현 대통령 이명박 대통령 박근혜 대통령 문재인
제20대
김건희
대통령 윤석열 }}}
}}}}}}}}}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배우자
김옥숙
金玉淑 | Kim Ok-suk
파일:external/www.pa.go.kr/L_KYS_02.jpg
출생 1935년 9월 8일[음력] ([age(1935-09-08)]세)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
사저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로15안길 69 ( 연희동)
활동 기간 제13대 대통령 배우자
1988년 2월 25일 ~ 1993년 2월 24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5ba6><colcolor=#ffc224> 본관 신 안동 김씨[2]
부모 아버지 김영한, 어머니 홍무경[3]
형제자매 오빠 김진동, 김익동, 김복동
여동생 김정숙[4]
배우자 노태우
자녀 노소영
아들 노재헌
친인척 외손주 최윤정, 최민정, 최인근
학력 대구덕산국민학교[5] (졸업)
경북여자고등학교 (졸업 / 25회)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 가정교육 / 중퇴)
종교 개신교 천주교 ( 세례명: 마리아)[6] }}}}}}}}}

1. 개요2. 생애3. 기타4. 둘러보기5.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제13대 노태우 대통령 배우자. 현재 기준 대한민국 영부인 중에서 최고령 영부인이다.[7]

2. 생애

1935년 음력 8월 11일 경상북도 청송군 안덕면에서 아버지 김영한(金永漢)[8]과 어머니 남양 홍씨 홍무경(洪戊庚)[9] 사이의 3남 2녀 중 장녀로 태어났다.

김익동(金益東) 전 경북대학교 총장, 육군사관학교장과 재선 국회의원을 지낸 김복동(金復東)이 친오빠다. 여동생 김정숙(金貞淑)은 금진호 상공부장관과 결혼했다. 증조부 김광규(金光圭, 1845.6.21. ~ 1922.5.6.(향년 76세))는 경상도 안동대도호부(현 경상북도 안동시) 출신으로 1891년 증광시 진사시에 3등 138위로 입격했다.

경북여자고등학교를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가정교육과에 진학하였다. 그런데 가정 형편이 어려워지면서 여동생 김정숙의 진학을 위해 대학을 중퇴하였으며 직후 노병수(盧秉壽)의 아들 노태우와 결혼해 그들의 집안인 교하 노씨 집안으로 시집을 갔다.
파일:노태우 전역식.jpg
노태우 대장 전역식의 김옥숙 제13대 영부인
결혼 후 노태우 가족은 육사 동기생 전두환과 늘 가까이 하며 지냈는데, 김옥숙 역시 전두환의 부인 이순자와 가까이 지낸 것으로 알려졌다. 김옥숙은 이순자보다 나이가 네 살 언니였음에도 이순자가 하대를 하고, 김옥숙은 이순자를 형님이라고 불렀다고 널리 알려져 있지만, 실제로는 상호 존중하면서 친밀하게 지냈다고 한다.
파일:노태우 대통령 가족.jpg
노태우 전 대통령의 가족
고종사촌 동생[10]으로 남편의 책사 역할을 한 박철언을 매우 아꼈다. 슬하에는 딸 노소영[11]과 아들 노재헌[12]이 있다.
파일:118f8725-fabf-4a89-b796-76548c1cd8a1.jpg
대통령 배우자 시절의 사진
이후 제13대 대통령 선거에서 노태우가 당선되자 이순자에 대한 호칭도 재국이 엄마로 바뀌어 뒤늦게 한풀이를 했다고 알려져 있는데, 드라마 <제5공화국> 40회에도 이 장면이 나온다. 대통령 선거가 끝나고 남편 노태우의 당선을 축하하기 위해 열린 연회에서 ' 5공화국 때문에 민주정의당이 인기가 없어서 선거가 아주 힘들었어요' ' 소영이 아빠는 국민들이 직접 뽑아준 대통령이고 재국이 아빠는 체육관에서 뽑힌 대통령이잖아요.' 라고 말하자 옆에 있던 이순자의 얼굴이 굳어지는 것으로 묘사했다.

하지만 이순자는 이와 같은 일화들을 부인하며, 자신보다 나이가 네 살이나 더 많은데 어떻게 그럴 수가 있느냐며 서로 존대했다고 회고했다. 또 남편들이 친구였던 것처럼 배우자들 간에도 우애가 돈독했으며 10년 동안 영어 공부도 같이 하고 집안일과 자녀 문제 등에 대한 고민을 공유하면서 가깝게 지냈다고 밝혔다.
파일:김옥숙 고르바초프.jpg
김옥숙 제13대 영부인과 고르바초프 전 소련 대통령
남편 노태우의 북방 외교를 옆에서 적극적으로 내조하는 등 적지 않은 활동을 했다. 그럼에도 유일하게 어록이 없는 대통령 배우자로 기억될 만큼, 취임 초기부터 그림자 내조를 내세우며 잠행 스타일을 고수했는데 많은 족적이 있음에도 존재감이 옅었던 남편 노태우를 닮았다.
파일:서울올림픽 노태우 부부.jpg
1988 서울 올림픽 개막식의
김옥숙 제13대 영부인과 노태우 전 대통령
원래는 무척 적극적인 성격이지만 조용한 행보를 이어간 배경은 바로 전임 대통령 배우자였던 이순자 때문이었다. 이순자는 전두환 전 대통령 재임 당시 대외 활동을 핑계 삼아 오만하게 행동하고 갖가지 사고를 치며 이미지가 좋지 않았기에 이를 교훈삼아 조용히 지냈다는 분석도 있다.

대통령 배우자로 있었던 5년 간 공개 석상에서는 대중을 향해 무조건 90도로 인사하고, 노태우 옆에서 미소를 띄운 채 가만히 서 있기만 했다. 언론 인터뷰도 거의 한 적이 없으며[13] 복지기관 방문 등의 단독 일정도 무조건 비공개였다. 그래서인지 대통령 배우자 중에서 가장 겸손하고 행동이 조심스러웠던 인물로 평가받는다.[14]
파일:5.18 김옥숙 사진.jpg
국립 5.18 민주묘지를 참배하는 김옥숙 제13대 영부인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지만 김옥숙은 제6공화국 수립 이후인 1988년 5월 18일, 극비리에 광주광역시 5.18 묘역을 찾아 참배를 했었다. 사망하는 순간까지 광주 시민을 유혈 진압한 사실을 인정하지 않은 전두환 전 대통령과 그에 적극 동조하는 부인 이순자와 대비되는 점이다.

남편 노태우 전 대통령의 퇴임 후에도 조용한 행보를 이어갔고, 남편처럼 매스컴에 모습을 거의 보이지 않았다. 특히 과거사에 대해 사과하는 모습을 보여 이 역시 전임 대통령 배우자였던 이순자와 대조적인 행보를 보였다. 다만 거동이 불편했기에 아들 노재헌을 통해 대신 사과의 뜻을 전했다. 2020년 5월 18일에는 노재헌이 광주광역시 망월동 5.18 구묘역 이한열 열사 묘소를 찾았는데 김옥숙의 이름으로 조화를 보냈다.

그렇게 그저 불편한 거동으로 남편 노태우를 극진히 간호하며 여생을 보내다가, 2021년 10월 26일 남편 노태우 전 대통령이 먼저 세상을 떠났고 김옥숙 여사는 남편의 장례 3일차에 자녀들의 부축을 받으며 빈소에 모습을 드러냈다.

노재헌은 김옥숙이 남편인 노태우 전 대통령과 마찬가지로 건강이 좋지 않아 병원을 왔다가다 하면서 살고 있었다고 언급했다. 김옥숙은 남편 노태우의 장례식 중에도 빈소에 상주하지 않고 연희동 자택과 병원을 왕래했다.

2021년 10월 30일, 올림픽공원에서 거행된 남편 노태우 전 대통령의 영결식에 휠체어를 타고 지팡이를 손에 쥔 모습으로 참석, 자녀들의 부축을 받으며 헌화했고, 울음을 참지 못하는 모습이 생중계를 통해 나타났다. 영결식 직후 서울추모공원으로 이동하기 위해 타고 온 차로 이동하는 길에 영결식에 와 준 참석자들에게 손인사를 하였다.

3. 기타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0A84E9><tablebgcolor=#0A84E9> 파일:노태우 투명.png 노태우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0A84E9> 일생 일생 · 대통령 재임 시절 평가 · 개인적 평가
공약 범죄와의 전쟁 · 북방정책 · 한국예술종합학교
가족 아버지 노병수 · 막내작은아버지 노병상 · 배우자 김옥숙 · 딸 노소영 · 아들 노재헌 · 사위 최태원
관련 인물 전두환 · 김영삼
역대 선거 제13대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12.12 군사반란 · 5.18 민주화운동 · 3당 합당 ·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사건 · 1995년 노태우 비자금 사건
기타 신군부 · 하나회 · 민정계 · 민주정의당 · 민주자유당 · 보통 사람
별도 문서가 없는 평가 및 논란은 해당 주제 관련 문서를 참고
노태우 정부와 관련된 문서는 틀:노태우 정부 참고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49년 8월 15일 이승만 대통령 대한민국
1960년 8월 13일 윤보선 대통령 대한민국
1963년 12월 5일 12월 17일 박정희 대통령 대한민국
1967년 6월 23일 육영수 영부인 대한민국
1979년 12월 7일 최규하 대통령 대한민국 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 12월 7일 홍기 영부인 대한민국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전두환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이순자 영부인 대한민국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노태우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김옥숙 영부인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김영삼 대통령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손명순 영부인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김대중 대통령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이희호 영부인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노무현 대통령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권양숙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이명박 대통령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김윤옥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9일 박근혜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문재인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김정숙 영부인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하인리히 뤼프케 대통령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빌헬미네 뤼브케 영부인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 2월 1일 2월 7일 이스마일 나시루딘 국왕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7일 틍쿠 인탄 자하라 왕비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시리낏 끼띠야콘 왕비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5일 장제스 총통 중화민국
1968년 5월 10일 5월 18일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 에티오피아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반티에우 총통 남베트남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티마이아인 제1부인 남베트남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하마니 디오리 대통령 니제르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아이샤 디오리 영부인 니제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대통령 엘살바도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 영부인 엘살바도르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오마르 봉고 대통령 가봉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조세핀 봉고 영부인 가봉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대통령 세네갈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 영부인 세네갈
1980년 5월 11일 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 국왕 사우디아라비아
1980년 5월 14일 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1981년 6월 25일 수하르토 대통령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5일 시티 하티나 영부인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9일 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1년 6월 29일 틍쿠 아프잔 왕비 말레이시아
1981년 7월 6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필리핀
1981년 7월 6일 이멜다 마르코스 영부인 필리핀
1981년 10월 13일 로드리고 카라소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1년 10월 13일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영부인 코스타리카
1982년 5월 10일 사무엘 도 대통령 라이베리아
1982년 6월 7일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 자이르
1982년 6월 7일 보비 라다와 영부인 자이르
1982년 8월 25일 압두 디우프 대통령 세네갈
1982년 12월 21일 케난 에브렌 대통령 튀르키예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 대통령 수단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부띠나 칼릴 압불핫산 영부인 수단
1983년 9월 10일 후세인 1세 국왕 요르단
1983년 9월 10일 누르 왕비 요르단
1984년 4월 9일 하사날 볼키아 국왕 브루나이
1984년 4월 21일 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 국왕 카타르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다우다 자와라 대통령 감비아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치렐 자와라 영부인 감비아
1985년 5월 17일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대통령 파키스탄
1985년 5월 20일 루이스 알베르토 몽헤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6년 9월 4일 4월 10일 엘리자베스 2세 국왕 영국
1986년 9월 4일 4월 16일 보두앵 국왕 벨기에
1987년 4월 7일 아메드 압달라 대통령 코모로
1988년 11월 3일 이스칸다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8년 11월 3일 자나리아 왕비 말레이시아
1989년 11월 3일 11월 20일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대통령 서독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프랑스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다니엘 미테랑 영부인 프랑스
1990년 6월 21일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대통령 파라과이
1990년 11월 5일 괸츠 아르파드 대통령 헝가리
1991년 9월 13일 아즐란 샤 국왕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13일 투안쿠 바이눈 왕비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25일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대통령 멕시코
1992년 8월 13일 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 대통령 과테말라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피델 라모스 대통령 필리핀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 영부인 필리핀
1994년 11월 7일 11월 21일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 대통령 칠레
1994년 12월 5일 12월 9일 레흐 바웬사 대통령 폴란드
1995년 2월 7일 2월 16일 이슬람 카리모프 대통령 우즈베키스탄
1995년 2월 21일 3월 6일 로만 헤어초크 대통령 독일
1995년 3월 28일 4월 3일 젤류 젤레프 대통령 불가리아
1995년 6월 26일 7월 7일 넬슨 만델라 대통령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 9월 26일 9월 29일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 아르헨티나
1996년 7월 23일 9월 4일 알바로 아르수 대통령 과테말라
1996년 7월 23일 페르난두 카르도주 대통령 브라질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스페인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 왕비 스페인
1996년 11월 26일 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 국왕 말레이시아
1996년 12월 10일 12월 15일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 우크라이나
2000년 2월 22일 3월 3일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대통령 이탈리아
2000년 2월 22일 3월 6일 자크 시라크 대통령 프랑스
2006년 3월 12일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 알제리
2007년 3월 26일 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2007년 3월 28일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국왕 카타르
2009년 5월 13일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카자흐스탄
2009년 11월 12일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 페루
2012년 5월 30일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 스웨덴
2012년 11월 21일 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 대통령 아랍에미리트
2018년 10월 8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프랑스
2019년 하랄 5세 국왕 노르웨이
2021년 6월 14일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대통령 오스트리아
2021년 6월 16일 펠리페 6세 국왕 스페인
2021년 6월 16일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왕비 스페인
2021년 8월 25일 이반 두케 대통령 콜롬비아
2021년 9월 21일 보루트 파호르 대통령 슬로베니아
2023년 7월 13일 안제이 두다 대통령 폴란드
2023년 11월 21일 찰스 3세 국왕 영국
2024년 11월 16일 디나 볼루아르테 대통령 페루 }}}}}}}}}

5. 대중매체에서



[음력] 8월 11일. [2] 참봉공파(參奉公派) 28세손 ○동(○東) 항렬이지만, 항렬자를 쓰지 않았다.( 족보(1) 족보(2)) [3] 남양 홍씨 홍종목(洪鍾穆)의 딸이다. [4] 金貞淑, 1937.10.24. ~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고 금진호 상공부장관과 결혼했다. [5] 現 대구초등학교 [6] 과거에는 개신교 신자인 딸 노소영의 영향으로 개신교를 믿었으나, 2021년 4월에 세례를 받고 개종하였다. # 다만, 이것과는 별개로 김옥숙 본인도 남편처럼 불교계와 교분은 깊었으며, 또한 '만덕전'이라는 법명도 있었다. 참고로 만덕전은 김천시 직지사에 실제로 있는 또다른 공간이다. [7] 1929년생인 손명순이 2024년 3월 7일 사망한 이후로 김옥숙이 최고령 영부인이 되었다. 나이가 아니라 선후임을 따지자면 최선임 영부인은 전두환의 부인 이순자이다. [8] 1905.8.7. ~ 1980.7.5. 향년 74세. [9] 1908.9.18. ~ 1997.8.9. 향년 88세. 홍종목(洪鍾穆)의 딸이다. [10] 작은 고모 김당한(金棠漢, 1917.1.8. ~ ?.)의 둘째 아들이다. [11] 스탠퍼드 대학교 교육학 석사. [12] 조지타운 대학교 로스쿨 졸업. [13] 1990년에 서울신문사의 여성잡지 <퀸> 창간호를 통해 단독 인터뷰한 바 있다. [14] 이순자는 정 반대였다. 땡전뉴스 시절에는 전두환은 물론 이순자의 일상도 언론에 보도됐는데, 오죽하면 이순자의 호가 '한편' 이라는 우스개소리까지 나왔을 정도였다. "한편 영부인 이순자 여사는 오늘~" 이라면서 동정 기사가 보도됐는데 그 내용은 일반 국민이 굳이 알 필요가 없는 시시콜콜한 일들이었다. [15] 노태우 부인 김옥숙 여사, 1988년 5·18 묘역 극비 참배 전모 - 중앙일보(2019.8.29.) [16] 기고한 내용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대통령 부인이라는 위치는 참으로 묘한 자리입니다. 엄밀한 의미에서 공인도 아니고 그렇다고 사인으로서 개인적 자유를 갖기도 힘든 자리입니다” [17] 제5공화국에서는 육영수 역할로 잠깐 등장했다. 다만 박정희 재임 당시 과거 회상 씬 정도로만 나온 것이라 비중은 적다. [18] 공교롭게도 성을 제외한 이름이 동일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