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5 22:22:59

모하메드 6세


파일:모로코 국장.svg
모로코 알라위 왕조 군주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22229, #c22229 20%, #c22229 80%, #c22229); color: #ffffff;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모로코 아미르
초대 제2대 제3대
샤리프 빈 알리 모하메드 빈 샤리프 알 라시드 빈 샤리프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fffff> 모로코 술탄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알 라시드 빈 샤리프 이스마일 빈 샤리프 아불 아바스 아흐마드 압딜말리크
제3대2 제5대 제6대 제5대2
아불 아바스 아흐마드 압달라 알리 압달라
제7대 제8대 제5대3 제9대
모하메드 2세 알 모스타디 압달라 진 알 아비딘
제5대4 제8대2 제5대5 제8대3
압달라 알 모스타디 압달라 알 모스타디
제5대6 제10대 제11대 제12대
압달라 모하메드 3세 야지드 슬리마네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아브드 알 라흐만 모하메드 4세 하산 1세 압델아지즈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압델하피트 유세프 모하메드 5세 모하메드 빈 아리파
제19대2
모하메드 5세
<rowcolor=#ffffff> 모로코 말리크
초대 제2대 제3대
모하메드 5세 하산 2세 모하메드 6세 }}}}}}}}}

모하메드 6세 관련 틀
<colbgcolor=#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023년 선정
1위 2위 3위 4위 5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알리 하메네이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압둘라 2세
6위 7위 8위 9위 10위
무프티 타키 우스마니 모하메드 6세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알리 알시스타니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11위 12위 13위 14위 15위
하비브 우마르 빈 하피즈 살만 알오우다 조코 위도도 아마드 무함마드 알타예프 마울라나 마무드 마다니
16위 17위 18위 19위 20위
압둘라 빈 바야 모하마두 부하리 무함마드 빈 사두 아부바카르 3세 야흐야 촐릴 스타쿼프 알리 고마
21위 22위 23위 24위 25위
하산 나스랄라 하비브 알 자인 알 아비딘 알지프리 함자 유수프 한손 아마드 티자니 빈 알리 키세 문니라 쿠베이시
26위 27위 28위 29위 30위
무스타파 호스니 압둘아지즈 이븐 압둘라 아알 알 셰이크 우사마 알세예드 알아즈하리 샤 카림 알후사이니 알하비브 무함마드 루트피 빈 야흐야
31위 32위 33위 34위 35위
압둘 말리크 알후티 마울라나 타리크 자밀 할리마 야콥 무함마드 알야코우비 세예드 호세인 나스르
36위 37위 38위 39위 40위
우트만 타하 캘리그래퍼 셰이크 라체드 가노우치 사미아 술루후 하산 모하메드 살라 압델 파타 엘 시시
41위 42위 43위 44위 45위
무크타다 사드르 마울라나 나주르 우르레만 무에즈 마수드 티모시 윈터(셰이크 압달하킴 무라드) 이브라힘 살레 알후세이니
46위 47위 48위 49위 50위
모하메드 베차리 아미르 칼레드 아레프 알리 나예드 하이바툴라 아훈드자다 셰이크 무함마드 일야스 아타르 콰디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지명 인물 펼치기 · 접기 ]
압둘라 자와디 아몰리 무함마드 이스하크 파야드 딘 샴수딘 시에드 무함마드 나퀴브 알아타스 아크바르 아메드
잉리드 매트손 마흐무드 압바스 이스마일 하니예 안와르 이브라힘 마하티르 빈 모하맛
임란 칸 사디크 칸 아미누 아도 바예로 무프티 압둘 콰심 노마리 셰이크 누 켈러
무함마드 알아리피 자키르 압둘 카림 나이크 아헤드 태미 로제인 알하틀룰 말랄라 유사프자이
우구르 사힌 새미 유수프 셰이크 압둘라흐만 알수다이스 사디오 마네 하빕 누르마고메도프 }}}}}}
The Muslim 500 선정
}}}}}}}}} ||

<colbgcolor=#c10000><colcolor=#ffffff>
모로코 알라위 왕조 제3대 국왕
모하메드 6세
محمد السادس
Mohammed VI
파일:모로코 왕.png
출생 1963년 8월 21일 ([age(1963-08-21)]세)
모로코 라바트
재위기간 모로코 국왕
1999년 7월 23일 ~ 현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10000><colcolor=#fff> 가문 알라위 가문
아버지 하산 2세
어머니 랄라 라티파 함무
자녀 아들 몰레이 하산
랄라 카디자
학력 모로코 왕립 아카데미 ( 졸업)
무함마드 5세 대학교 (법학 / 학사)
무함마드 5세 대학교 (정치학 / 석사)
무함마드 5세 대학교 (공공법 / 석사)
니스-앙티폴리스 대학교 (법학 / 박사)
종교 이슬람 ( 수니파) }}}}}}}}}

1. 개요2. 생애3. 여담4.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현재 모로코의 국왕. 하산 2세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2. 생애

포브스에 따르면 자산은 21억 달러(약 2조 8,000억원)로 추정되어 세계 왕족의 재산 순위 중 7위에 이른다 한다. 위키리크스에 따르면 왕실에 관련된 부패 문제가 상당하다고 한다. 설령 왕에 대한 불만이 있어도 표현하는 순간 골로 가기 때문에 외국 거주 모로코인을 제외하면 왕을 비난하는 목소리를 듣기 힘들다. 그럼에도 대내/대외정책을 비교적 현명하게 해왔다.

내부적으로는 역사적으로 내부 갈등의 핵심이던 베르베르(아마진)에 대한 유화책, 여성권리, 이슬람 극단주의 경계. 대외적으로는 전통의 적국인 스페인과의 화해, 알제리와의 화해제안 등의 대외정책으로 프랑스에 의존하는 부분을 줄임을 목표로 하는 듯하다. 모로코 사람들에게 인기가 많은데, 왕실이 모로코 발전에 이바지한 바도 크고, 상술했듯 왕실의 부패 문제가 있지만 왕이 없으면 정치인들이 똘똘 뭉쳐서 짬짜미를 해먹을 것이기 때문이라고 한다.

명지대학교 중동문제연구소가 '모로코 왕국 헌법' 번역·제작한 것에 감사를 표현하기 위해 친서를 명지대학교에 전달했다. 전달식은 주한 모로코 대사관에서 2018년 4월 19일 이루어졌다. #

아내인 랄라 살마와 나이 차가 15살이나 되는데 2001년에 결혼했다. 결혼 당시 짐은 오로지 랄라만을 아내로 맞이한다고 알라에게 선서했기에 지금도 아내는 랄라 살마 하나뿐이다. 일부다처제가 허용된 모로코 왕실에서 특이한 경우.[1][2] 선왕인 하산 2세는 아내가 2명이었다.

화려한 미모로 인기 있던 왕비 랄라 살마와 1남 1녀를 낳고 잘 사나 싶었으나, 2017년 12월 이후 공식석상에 모습을 드러내지 않아 언론에서 두 사람이 이혼했다는 추측이 나왔다. # 아내 살마가 사라진 때를 기점으로 무함마드 6세의 건강이 눈에 띄게 안 좋아졌다고 한다. 참고로 위 사진은 왕위 즉위 무렵의 젊을 때 사진이고 아래 사진은 건강할 적 사진이다. 현재는 급노화가 진행됐으며 살도 빠지고 병색이 완연하며 연설할 때 보면 노인처럼 목소리가 떨리고 힘이 없다. 아무튼 이 모든 조짐을 모로코 내부에선 쉬쉬하면서 모른 척 한다. 결국 이혼 사실이 2018년 3월에 비공식적으로 알려졌다. 2021년 이후로는 언론에 모습을 보인 적이 없다.

2020년에 프랑스 파리에서 심장 수술을 받았다고 한다. #

2021년에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의 배후 지원으로 이스라엘과 수교했다.

2023년 2023년 모로코 마라케시사피 지진 발발 당시 프랑스에서 머물고 있던 것으로 드러나 논란이 되었다.

3. 여담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세이소 왕조
빌럼알렉산더르 하랄 5세 프레데리크 10세 레치에 3세
테멩공 가문
앙리 한스아담 2세 이브라힘 이스칸다르 알베르 2세
모하메드 6세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프란치스코 필리프
볼키아 왕조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하사날 볼키아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칼 16세 구스타프
펠리페 6세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조안엔리크 비베스 이 시실리아 에마뉘엘 마크롱
들라미니 왕조
음스와티 3세 찰스 3세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노로돔 왕조
압둘라 2세 나루히토 타밈 빈 하마드 알사니 노로돔 시아모니
미샬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라마 10세 투포우 6세
왕위 계승자 · 대통령 및 총통 · 공산국가 지도부
총리 및 수상
}}}}}}}}}

[1] 부탄도 이와 같은 사례가 있다. 5대 국왕 지그메 케사르 남기엘 왕축 국왕도 제선 페마 한 명만 보고 살아가겠다고 했기에 아내가 제선 페마 하나뿐이다. [2] 이슬람권에서도 배우자를 한 명만 두는 무슬림 남성들이 대다수다. 이슬람 교리상 몇 번째 아내든 조금이라도 차별을 두면 안 되기 때문에, 경제력이 없으면 아내를 여러 명을 둘 수 없다. 돈 없으면 결혼 못하는 건 이 동네도 마찬가지다. 게다가 튀르키예같이 일부다처제를 법적으로 금지하는 나라들도 있다. 왕족이면 마음껏 넷째 부인까지 둘 수 있을 것 같지만 의외로 왕비를 한 명만 두거나 많아봐야 두 명인 경우가 더 많은데, 정략결혼으로 맺어진 첫째 부인도 보통 친척이거나 유력 가문 출신인 경우가 많아서 눈치가 보이기도 하거니와, 부인이 많으면 국민들, 특히 여성들의 여론이 썩 좋지 않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