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4 10:37:10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한민국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수훈자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D4D4D, #696969 20%, #696969 80%, #4D4D4D); color: #fede58"
{{{#fede58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파일:건국훈장 대한민국장 부장.png
1949
이승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49
이시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53
제임스 A. 밴 플리트
파일:미국 국기.svg
1953
장제스
파일:대만 국기.svg
1955
하일레 셀라시에
파일:에티오피아 제국 국기.svg
1957
응오딘지엠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1958
아드난 멘데레스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1962
허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좌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오동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조병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중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윤봉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강우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안창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신익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김창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손병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승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한용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최익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이강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2
민영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64
더글러스 맥아더
파일:미국 국기.svg
1964
해리 S. 트루먼
파일:미국 국기.svg
1964
루트비히 에르하르트
파일:독일 국기.svg
1965
프랑수아 톰발바예
파일:차드 국기.svg
1965
다비드 다코
파일:중앙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1965
수루-미강 아피디
파일:베냉 국기.svg
1965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파일:세네갈 국기.svg
1965
펠릭스 우푸에부아니
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1965
레옹 음바
파일:가봉 국기.svg
1965
아마두 바바투라 아히조
파일:카메룬 국기.svg
1965
하마니 디오리
파일:니제르 국기.svg
1965
조모 케냐타
파일:케냐 국기.svg
1965
무테사 2세
파일:우간다 국기.svg
1965
필리베르트 치라나나
파일:마다가스카르 국기.svg
1965
툰쿠 압둘 라만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1966
타놈 키티카초른
파일:태국 국기.svg
1966
쑹메이링
파일:대만 국기.svg
1966
천궈푸
파일:대만 국기.svg
1968
쑨원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8
천치메이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1969
피델 산체스 아르난데스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1970
조만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6
임병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77
필립 제이슨
파일:미국 국기.svg
1979
박정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0
최규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1
시리낏 끼띠야꼰
파일:태국 국기.svg
1981
푸미폰 아둔야뎃
파일:태국 국기.svg
1983
전두환(취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김규식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
조소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
장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
여운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
유관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홍범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 : 독립유공자 : 기타 공훈 및 국가원수}}}}}}}}}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한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49년 8월 15일 이승만 대통령 대한민국
1960년 8월 13일 윤보선 대통령 대한민국
1963년 12월 5일 12월 17일 박정희 대통령 대한민국
1967년 6월 23일 육영수 영부인 대한민국
1979년 12월 7일 최규하 대통령 대한민국 12.12 군사반란으로 하야
1979년 12월 7일 홍기 영부인 대한민국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전두환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0년 8월 29일 8월 29일 이순자 영부인 대한민국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노태우 대통령 대한민국 무궁화대훈장 이외의 모든 훈장 취소
1988년 2월 24일 2월 25일 김옥숙 영부인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김영삼 대통령 대한민국
1993년 2월 11일 2월 23일 손명순 영부인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김대중 대통령 대한민국
1998년 2월 17일 2월 25일 이희호 영부인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노무현 대통령 대한민국
2008년 1월 28일 권양숙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이명박 대통령 대한민국
2013년 2월 12일 김윤옥 영부인 대한민국
2013년 2월 19일 박근혜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문재인 대통령 대한민국
2022년 5월 3일 김정숙 영부인 대한민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외국인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상훈 연도 결정일 수여일 이름 직책 국적 비고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하인리히 뤼프케 대통령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4년 12월 3일 12월 8일 빌헬미네 뤼브케 영부인 서독 외국인 최초 상훈자
1966년 2월 1일 2월 7일 이스마일 나시루딘 국왕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7일 틍쿠 인탄 자하라 왕비 말레이시아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푸미폰 아둔야뎃 국왕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0일 시리낏 끼띠야콘 왕비 태국
1966년 2월 1일 2월 15일 장제스 총통 중화민국
1968년 5월 10일 5월 18일 하일레 셀라시에 황제 에티오피아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반티에우 총통 남베트남
1969년 5월 23일 5월 27일 응우옌티마이아인 제1부인 남베트남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하마니 디오리 대통령 니제르
1969년 10월 28일 10월 28일 아이샤 디오리 영부인 니제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피델 산체스 에르난데스 대통령 엘살바도르
1970년 9월 25일 9월 28일 마리나데 산체스 에르난데스 영부인 엘살바도르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오마르 봉고 대통령 가봉
1975년 6월 27일 7월 5일 조세핀 봉고 영부인 가봉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대통령 세네갈
1979년 4월 17일 4월 23일 콜레테 위베르트 상고르 영부인 세네갈
1980년 5월 11일 할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드 국왕 사우디아라비아
1980년 5월 14일 자베르 알아흐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1981년 6월 25일 수하르토 대통령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5일 시티 하티나 영부인 인도네시아
1981년 6월 29일 아마드 샤 이브니 아부 바카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1년 6월 29일 틍쿠 아프잔 왕비 말레이시아
1981년 7월 6일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대통령 필리핀
1981년 7월 6일 이멜다 마르코스 영부인 필리핀
1981년 10월 13일 로드리고 카라소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1년 10월 13일 에스트레야 셀레돈 리사노 영부인 코스타리카
1982년 5월 10일 사무엘 도 대통령 라이베리아
1982년 6월 7일 모부투 세세 세코 대통령 자이르
1982년 6월 7일 보비 라다와 영부인 자이르
1982년 8월 25일 압두 디우프 대통령 세네갈
1982년 12월 21일 케난 에브렌 대통령 터키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자파르 모하메드 니메이리 대통령 수단
1983년 3월 10일 3월 15일 부띠나 칼릴 압불핫산 영부인 수단
1983년 9월 10일 후세인 1세 국왕 요르단
1983년 9월 10일 누르 왕비 요르단
1984년 4월 9일 하사날 볼키아 국왕 브루나이
1984년 4월 21일 할리파 빈 하마드 알타니 국왕 카타르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다우다 자와라 대통령 감비아
1984년 8월 30일 9월 13일 치렐 자와라 영부인 감비아
1985년 5월 17일 무함마드 지아울하크 대통령 파키스탄
1985년 5월 20일 루이스 알베르토 몽헤 대통령 코스타리카
1986년 9월 4일 4월 10일 엘리자베스 2세 국왕 영국
1986년 9월 4일 4월 16일 보두앵 국왕 벨기에
1987년 4월 7일 아메드 압달라 대통령 코모로
1988년 11월 3일 이스칸다르 국왕 말레이시아
1988년 11월 3일 자나리아 왕비 말레이시아
1989년 11월 3일 11월 20일 리하르트 폰 바이츠제커 대통령 서독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프랑수아 미테랑 대통령 프랑스
1989년 11월 3일 11월 30일 다니엘 미테랑 영부인 프랑스
1990년 6월 21일 안드레스 로드리게스 대통령 파라과이
1990년 11월 5일 괸츠 아르파드 대통령 헝가리
1991년 9월 13일 아즐란 샤 국왕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13일 투안쿠 바이눈 왕비 말레이시아
1991년 9월 25일 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 대통령 멕시코
1992년 8월 13일 호르헤 안토니오 세라노 엘리아스 대통령 과테말라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피델 라모스 대통령 필리핀
1993년 5월 20일 5월 25일 이멜리타 마르티네스 라모스 영부인 필리핀
1994년 11월 7일 11월 21일 에두아르도 프레이 루이스 타글레 대통령 칠레
1994년 12월 5일 12월 9일 레흐 바웬사 대통령 폴란드
1995년 2월 7일 2월 16일 이슬람 카리모프 대통령 우즈베키스탄
1995년 2월 21일 3월 6일 로만 헤어초크 대통령 독일
1995년 3월 28일 4월 3일 젤류 미테프 젤레프 대통령 불가리아
1995년 6월 26일 7월 7일 넬슨 만델라 대통령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5년 9월 26일 9월 29일 카를로스 메넴 대통령 아르헨티나
1996년 7월 23일 9월 4일 알바로 아르수 대통령 과테말라
1996년 7월 23일 페르난두 카르도주 대통령 브라질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후안 카를로스 1세 국왕 스페인
1996년 10월 8일 10월 20일 소피아 마르가리타 빅토리아 프리데리키 왕비 스페인
1996년 11월 26일 자파 이브니 압둘 라만 국왕 말레이시아
1996년 12월 10일 12월 15일 레오니드 쿠치마 대통령 우크라이나
2000년 2월 22일 3월 3일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대통령 이탈리아
2000년 2월 22일 3월 6일 자크 시라크 대통령 프랑스
2006년 3월 12일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대통령 알제리
2007년 3월 26일 사마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국왕 쿠웨이트
2007년 3월 28일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국왕 카타르
2009년 5월 13일 누르술탄 나자르바예프 대통령 카자흐스탄
2009년 11월 12일 알란 가르시아 대통령 페루
2012년 5월 30일 칼 16세 구스타프 국왕 스웨덴
2012년 11월 21일 할리파 빈 자이드 나하얀 대통령 아랍에미리트
2018년 10월 8일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프랑스
2019년 하랄 5세 국왕 노르웨이
2021년 6월 14일 알렉산더 판데어벨렌 대통령 오스트리아
2021년 6월 16일 펠리페 6세 국왕 스페인
2021년 6월 16일 레티시아 오르티스 로카솔라노 왕비 스페인
2021년 8월 25일 이반 두케 대통령 콜롬비아
2021년 9월 21일 보루트 파호르 대통령 슬로베니아
2023년 7월 13일 안제이 두다 대통령 폴란드
2023년 11월 21일 찰스 3세 국왕 영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압두 디우프 압둘라예 와데 마키 살
제5대
바시루 디오마예 파예 }}}}}}}}}

세네갈 초대 대통령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Léopold Sédar Senghor
파일:Léopold Sédar Senghor.jpg
<colbgcolor=#e31b23><colcolor=#fff>출생 1906년 10월 9일
프랑스령 서아프리카 조알
사망 2001년 12월 20일 (향년 95세)
프랑스 베르송
재임기간 초대 대통령
1960년 9월 6일 ~ 1980년 12월 31일
서명
파일:레오폴 세다르 상고르 서명.pn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31b23><colcolor=#fff>부모 父: 바실 디오고예 상고르
母: 닐란 은디에메 바쿰
배우자 지네트 에부에 (이혼)[1]
콜레트 위베르 상고르
자녀 프란시스 아르팡, 기 왈리, 필리프 마골리앵
종교 가톨릭
학력 파리 대학교
정당
세네갈 사회당
}}}}}}}}}

1. 개요2. 초기 생애3. 정계 입문4. 대통령 집권5. 퇴임 이후6. 기타

[clearfix]

1. 개요

Léopold Sédar Senghor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는 세네갈의 독립운동가이자 초대 세네갈 대통령이다. 프랑스어권 문학의 대가이기도 하다.

2. 초기 생애

1906년 10월 9일 프랑스령 세네갈의 조알에서 태어났다. 그는 부유한 세레르족 상인 가문에서 태어났으며 어려서부터 세네갈에서 활동하던 가톨릭 선교사에게 선조들의 문화를 계몽하려면 프랑스에 의지해야 한다고 배웠다. 21살에 프랑스로 유학을 떠났으며 7년간의 유학생활 후에 그는 프랑스 문화에 완전히 동화되어 프랑스인들과 일체감을 느꼈다. 그러나 그는 파리 라틴 지구에 사는 젊은 흑인 지식인들과 교류하면서 프랑스의 식민지에 대한 동화주의에 반감을 갖기 시작하였다. 이에 그는 파리에서 만난 친구들과 함께 흑인 민족과 흑인 문명의 독특한 공헌과 가치 및 특징을 옹호하는 흑인 의식을 설명하기 위한 네그리튀드(Negritude) 운동을 전개하기 시작하였다. 상고르는 프랑스에서 교사로 일하면서 아프리카인으로서는 최초로 고등학교 교사 자격증인 아그레가시옹을 취득하기도 했다. 귀화한 프랑스인 신분으로 1년간 의무 군 복무를 마친 뒤 파리 인근 고등학교에서 근무하던 중에 독일과의 전쟁이 시작되자 인종이 다르다는 이유로 장교직을 허락받지 못하고 이등병으로 제대했다. 상고르는 포로수용소에서 지내는 18개월 동안 틈틈히 독일어 공부를 해서 괴테의 시를 원어로 읽을 정도가 되었다. 그리고 1942년 자유의 몸이 되어서 교사로 복귀했다.

3. 정계 입문

1945년에 9명의 아프리카인들 중 세네갈 대표로 선출되어 600명 규모의 제헌의회에 참여했다. 그는 프랑스 제4공화국의 헌법 초안 작업에 참여하여 새 헌법이 '분할할 수 없는' 프랑스 연합의 본질을 강조해야 한다는 데 동의했고 뛰어난 프랑스어 실력을 인정받아 문법 학자로 공식 채용되었다. 상고르는 프랑스 사회당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지만 이내 1948년에 세네갈민주연합이라는 정당을 창당한다. 상도르는 무슬림이 압도적인 세네갈에서 성장한 가톨릭 교도이자 인종적 우위를 점하는 윌로프족이 아닌 세레르족 출신이기 때문에 종교적, 인종적 성향에 호소하지 않고 지지를 호소하면서 정치적 연합 조직을 꾸리는 것을 터득한다. 그는 정치활동을 하면서도 파리 센 강인근에서 작가나 시인들의 모임을 가지며 문학에도 열정을 발휘했다. 또한 유럽 사회주의를 아프리카 방식으로 재해석하고 아프리카 공동체의 전통이 중요하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아프리카식 사회주의'의 개념을 발전시켜 나갔다.

1950년대 들어서 아프리카 대륙에서 맹렬한 반식민지 투쟁이 벌어지자 그는 온건한 입장에 선다. 상고르는 콰메 은크루마의 주장을 급진적이라고 비판하고 튀니지인들에게 프랑스와 긴밀한 관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충고했다. 또한 알제리 전쟁에 대한 전쟁 예산 지출에 찬성하고 민족해방전선과 벌이는 싸움에 세네갈 군인들을 파병하자는 의견을 개진하기도 했다. 그는 경제가 허약하고 자원이 많지 않은 소규모 국가의 독립은 '가짜 독립'이라 비판하고 유럽 열강들과 협력하여 대규모 조직을 꾸리는 것이 장래성이 있다고 여겼다. 그는 코트디부아르 펠릭스 우푸에부아니와 함께 대표적으로 온건한 자치를 주장하는 친불파로서 활동했으나 펠릭스 우푸에부아니와는 이견이 갈린 편이기도 했다. 이어서 말리 모디보 케이타와 연합하여 말리 연방을 구축하기도 했으나 모디보 케이타와의 성향 차이로 이내 탈퇴한다.

1960년 9월 5일에 세네갈의 초대 대통령에 선출되고 다음날 취임한다.

4. 대통령 집권

대통령으로 선출된 이후 상고르는 프랑스와 가까운 관계를 유지하고 급진주의자들에게 아프리카 사회주의를 지지한다고 공언했으나 신식민주의자들의 이익을 조장한다는 비판을 들었다. 그는 프랑스 기업들이 세네갈에 대한 상공업 분야의 지배권을 유지하는 것을 허용했으며, 국가 안보를 위해 다카르 국제공항 인근 군사기지에 프랑스 친위부대를 배치했다. 또한 프랑스를 비롯한 외국기업들의 국유화에 대해서 황금알을 낳는 거위를 잡는 것이라며 반대의견을 개진하기도 했다. 그는 무능한 아프리카인들이 유능한 프랑스인들이 담당하던 일을 넘겨받도록 하는 것은 지나친 아프리카화 정책이라며 급진화를 경계했다. 땅콩수출에 주력하던 세네갈의 경제는 프랑스의 후원 속에서도 전반적인 정체상태를 멋아나지 못했다. 잇따른 가뭄이 발생하면서 땅콩 생산은 더욱 타격을 입었다. 상고르가 도입한 중앙집중적인 땅콩관리조직 역시 무능함과 부정부패로 유명무실해졌다. 그는 무슬림 종교지도자들에게도 많은 특혜를 제공하고 개발 산업을 전략적으로 이용하면서 무슬림형제단의 지지를 유지했다. 또한 정부 요직과 물질적 혜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반정부 인사들을 회유했다. 또한 부패에 항의하는 대학생들에게는 최루가스 살포등으로 답했다. 1963년,1968년,1973년 대통령 선거에서 연달아 단독 후보로 당선된 그는 1976년에 다당제를 도입하여 1978년의 선거에서도 야당 후보에게 승리하고 1980년에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

5. 퇴임 이후

1984년에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으로 선출되었고 , 프랑스 문학과 통치술의 측면에서 불멸의 기여를 했다는 의미에서 불멸의 지성으로 인정받는 40명의 생존인물 가운데 한 사람이 되었다. 2001년 12월 20일에 향년 95세를 일기로 프랑스 노르망디에서 세상을 떠났다. 그의 장례식은 2001년 12월 29일 다카르에서 거행되었다.

6. 기타

상고르 대통령 내외가 박정희 대통령의 초청으로 1979년 4월 22일 한국을 공식방문한 적이 있다. #

자유 프랑스 시절 프랑스령 차드 총독이었던 펠릭스 에부에의 사위다.

Léopold는 프랑스어에서 레오폴드 또는 레오폴로 읽는데, 한국에서는 이 인물만 레오폴로 표기한다.


[1] 펠릭스 에부에의 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