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20:01:58

독일 통일

독일통일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1990년의 동독과 서독의 통일에 대한 내용은 독일 재통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15%; min-height: 2em"
{{{#!folding [ 상징 · 역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colcolor=#ffd400><colbgcolor=#000> 상징 국가( 동독 국가) · 국기 · 국장 · 국호( 도이칠란트 · 게르마니아) · 검독수리
역사 역사 전반 · 프랑크 왕국 · 독일 왕국 · 신성 로마 제국 · 프로이센 · 독일 통일 · 독일 제국 · 라이히 · 독일국 · 바이마르 공화국 · 융커 · 나치 독일( 퓌러 · 안슐루스 · 과거사 청산 문제 · 하켄크로이츠 · 나치식 경례 · 전범기업 · 나치 독일-이탈리아 왕국 관계 · 나치 독일-일본 제국 관계 · 삼국 동맹 조약( 추축국) · 영국-나치 독일 관계 · 프랑스-나치 독일 관계 · 나치 독일-폴란드 관계( 독소 폴란드 점령) · 나치 독일-소련 관계( 독소 불가침조약 · 독소전(대조국전쟁)) · 미국-나치 독일 관계) · 서독-동독 관계( 서독 · 독일민주공화국 · 슈타지) · 바더 마인호프 · 독일 재통일
}}}
}}}
}}}
[ 사회 · 경제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지리 || 지역 구분() ·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 하위지역) · 니더작센( 하위지역) · 라인란트팔츠( 하위지역) · 메클렌부르크포어포메른( 하위지역) · 바덴뷔르템베르크( 하위지역) · 바이에른( 하위지역) · 베를린 · 브란덴부르크( 하위지역) · 브레멘( 하위지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하위지역) · 자를란트( 하위지역) · 작센( 하위지역) · 작센안할트( 하위지역) · 튀링겐( 하위지역) · 함부르크 · 헤센( 하위지역) · 도시/목록/독일 · 프랑켄 · 슈바벤 · 라인란트 · 베스트팔렌 · 슈바르츠발트 · 브로켄 · 알프스산맥 · 라인강 · 엘베강 · 도나우강 · 모젤강 · 네카어강 · 슈프레강 · 보덴 호||
사회 인구 · 게르만족 · 독일인
교통 교통 · 아우토반 · 철도 환경( 역사 · 노선 · 도이체반 · ICE) · 독일의 공항(틀) · 프랑크푸르트 공항 · 뮌헨 공항 · 베를린 브란덴부르크 공항 · 뒤셀도르프 공항 · 함부르크 공항
교육 교육 전반 · 우수대학육성정책 · TU9 · 독일 대학교 목록 · 김나지움 · 아비투어
경제 경제 전반 · 산업 전반 · 독일제 · 대기업 · 도이체 뵈르제 · 라인강의 기적 · 프랑크푸르트 암마인 · 루르 공업 지대 · 유로 ( 독일연방은행 · 유럽중앙은행) · 한자동맹 · 에어버스 · 폭스바겐 비틀 · 트라반트 601 · 슈파카세
[ 정치 · 군사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000> 정치 || 연방총리청 · 독일 국회의사당 · 정치 전반 · 헌법(기본법) · 독일 정부 · 행정조직 · 대통령 · 총리 · 연방의회 · 연방상원 · 연립정부· 대연정· 소연정 ||
선거 유럽의회 선거 · 연방의회 선거 · 주의회 선거
외교 외교 전반 · 여권 · 독일어권( 독일-오스트리아 관계) · G4 · G7 · G20 · 영프독 · 유럽연합( 제4제국) · 냉전 · 신냉전 · 독미관계 · 독일-프랑스 관계 · 독일-폴란드 관계 · 독러관계(독소관계) · 비자 · 독빠 ·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독일-폴란드 영토 논란 · 오데르-나이세 선 · 할슈타인 원칙 · 동방 정책
군사 독일군 · 역사 · 프로이센군 · 독일 제국군 ( 카이저마리네) · 독일 국방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독일 연방군( 육군 · 해군 · 공군) · KSK · 국가인민군( 바르샤바 조약 기구) · 징병제(중단) · NATO
계급 · 군가 · 군복 · 군장 · 전투식량 · MG34 · MG42 · MG3 · StG44 · H&K G3 · H&K HK416 ( M4A1 vs HK416) · H&K HK417 · MP18 · MP40 · H&K MP5 · 판처파우스트 · 판처파우스트 44 란체 · 판처파우스트 3 · 암브루스트 무반동포 · 티거 1 · 레오파르트 1 · 레오파르트 2 · PzH2000 · Bf 109 · Ju 87 · Me 262 · U-Boot
전격전 · 장교의 4가지 유형 · 독일의 전쟁범죄 ( 나치 친위대) · 국방군 무오설 · NATO군 vs 러시아군
치안·사법 사법 전반 · 독일 연방경찰청( GSG 9 · SEK) · 독일 연방의회경찰대 · 독일 연방헌법수호청 · 연방일반법원 · 연방헌법재판소 · 독일 형법
[ 문화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c1d1f><width=80><colcolor=#ffd400><colbgcolor=#000> 문화 || 문화 전반 · 가톨릭 · 루터교회 · 독일 영화 · 베를린 국제 영화제 · 옥토버페스트 · 독일 민요 · 요들 · 메르헨 · 그림 동화 · 보탄 · 니벨룽의 노래 · 디트리히 전설 · 브로켄의 요괴 · 발푸르기스의 밤 · 디른들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바그네리안 · 크라우트록 · 표현주의 · 바우하우스 · 다리파 · 청기사파 · 슈투름 운트 드랑 · 은물 · ARD( 산하 방송국) · ZDF ||
관광 관광 · 세계유산 · 브란덴부르크 문 · 베를린 TV타워 · 체크포인트 찰리 · 노이슈반슈타인 성 · 엘츠 성
독일어 표준 독일어( 문법 · 발음) · 저지 독일어 · 오스트로바이에른어 · 알레만어 · 스위스 독일어 · 오스트리아 독일어 · 펜실베이니아 독일어 · 중세 고지 독일어 · ß · 움라우트 · 라틴 문자 · 독일어 위키백과 · Goethe-Zertifikat · TestDaF · 독일어권 · 독어독문학과 · 독일어교사
음식 독일 요리( 지역별 독일 요리) · 지리적 표시제 · 맥주/독일 · 부어스트 · 프레첼 · 자우어크라우트 · 바움쿠헨 · 환타 · 구미 베어
스포츠 독일 축구 연맹 · 축구 대회( 축구 리그) · 독일 축구 국가대표팀
서브컬처 독일인 캐릭터 · Krautchan( 폴란드볼 · Wojak · Remove Kebab) · 독일초딩 · Fichtl's Lied
[ 기타 ]
}}} ||
파일:독일의 통일 지도.jpg

1. 개요2. 통일 이전3. 통일을 위한 움직임
3.1. 소독일주의와 대독일주의3.2. 관세동맹3.3.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의 통일 논의
4. 통일 전쟁
4.1.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의 발발4.2. 패전국 병합과 북독일 연방의 성립4.3. 비스마르크의 외교전과 프로이센-프랑스 전쟁4.4. 11월 조약과 연방헌법4.5. 루트비히 2세의 친서와 빌헬름 1세의 황제 즉위4.6. 이후
5. 의의6. 독일 통일과 지역주의7. 여담8.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독일 통일'이라는 용어는 크게 2가지 사건을 가리키는데 하나는 1871년에 독일계 국가들이 독일 제국이라는 하나의 나라로 통일한 사건(Deutsche Einigung)을 말하고 다른 하나는 1990년 독일 재통일을 말한다. 양자를 구분하여 부를 때는 1871년의 통일은 그냥 '독일 통일', 1990년의 동서독 통일은 '(독일) 재통일([Deutsche] Wiedervereinigung)'이라고 부른다.

본 문서는 1871년 프로이센 왕국에 의한 독일 제국 수립을 다루므로 1990년 동독과 서독의 통일에 대한 내용은 독일 재통일 문서를 참고할 것.

2. 통일 이전

독일어권 고대 로마 시절에는 대부분의 지역이 로마의 영역 밖에 있었고 프랑크 왕국 시기에는 카롤루스 대제 때에 가서야 그럭저럭 라인강 일대가 편입되었다. 이후 동프랑크 왕국- 신성 로마 제국 시기에 가서야 본격적으로 국가적인 모습을 갖출 수 있었으나 신성 로마 제국의 태생적인 한계와 단명한 왕조들( 오토 왕조, 잘리어 왕조, 호엔슈타우펜 왕조)의 문제들로 인해 대공위시대를 거쳐 분립 상태의 국가로 나아가게 되었다. 성장하는 각 지역과 자유도시에 의해 제국은 점점 불안해졌고 유럽 중부의 분열은 심화되었다. 결정적으로 30년 전쟁과 그 결과 이루어진 베스트팔렌 조약을 통해 각 영방국가들의 개별 주권이 인정되어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의 통치력은 거의 사라졌다. 그나마 상전 노릇하던 오스트리아 헝가리 왕국- 크로아티아 왕국 폴란드-리투아니아 서남부를 획득하는 등 국력 부활에 성공하여 영향력은 유지할 수 있었지만 이는 어디까지나 합스부르크 왕조 개별적인 영향력 확대였지 신성 로마 제국과는 무관했다. 합스부르크 왕조는 레오폴트 1세까지만 하더라도 제국 경영에 관심을 기울였지만 요제프 1세 카를 6세를 거치며 제국 문제를 등한시했고, 명목상으로나 유지되던 제국은 나폴레옹 전쟁으로 1806년 프란츠 2세가 해체 선언을 하며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후 독일은 프리드리히 빌헬름 대선제후의 주도 하에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이후 프로이센 왕국)이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 7년 전쟁을 거쳐 북독일에서 영향력을 확보했고 다시금 부활을 꿈꾸던 합스부르크 가문 오스트리아 제국이 남독일에서 여전히 영향력을 행사하면서 향후 독일 통일을 둘러싼 논의는 이 두 나라의 영향력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이전에 있었던 나폴레옹 전쟁 역시 독일의 민족성에 불을 지핀 작업이라고 볼 수 있는데 왜냐하면 뿌리 깊은 프랑스에 대한 반감이 나폴레옹 전쟁으로 더 격앙되었기 때문이다.

빈 회의의 결과 탄생한 빈 체제는 통일 국가 독일이 아니라 35개의 군소 국가와 4개의 자유시로 이루어진 국가연합 ' 독일 연방(Deutscher Bund)'을 탄생시켰다. 독일 연방은 구 신성 로마 제국의 영토를 바탕으로 하는 국가연합이기는 하였으나 이 또한 명목상의 느슨한 연합일 뿐이었다. 무엇보다 회원국들은 구심점도 없이 군대, 경찰, 조세권, 외교권 등을 모두 따로 가졌다. 그래서 부르주아 계층은 상공업 활동에 큰 어려움을 겪었고 독일 민족주의자들은 통일 국가가 부재하다는 현실에 대한 불만이 컸다.

3. 통일을 위한 움직임

3.1. 소독일주의와 대독일주의

지정학상, 독일이라고 부를 만한 국가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 지역에는 독일인에 의하여 세습되며, 각각의 체제와 주권을 바탕으로 개별적으로 통치되는 왕국, 대공국, 공국만이 존재할 뿐이다. 그렇지만 하나의 국가로서 단일한 수반에 의하여 통치되는 독일을 향한 민족주의 사상과 통일을 향한 경향 역시 수면 밑에서 자연스럽게 존재한다. (There is, in political geography, no Germany proper to speak of. There are Kingdoms and Grand Duchies, and Duchies and Principalities, inhabited by Germans, and each separately ruled by an independent sovereign with all the machinery of State. Yet there is a natural undercurrent tending to a national feeling and toward a union of the Germans into one great nation, ruled by one common head as a national unit.)
- 뉴욕 타임스, 1866년 7월 1일자 기사.

1830년대 자유주의가 확산되면서 자연스럽게 통일 문제로 거론되기 시작했다. 특히 당시 빈 체제를 이끌던 두 강대국인 오스트리아 제국 프로이센 왕국은 서로의 주도 하에 독일을 통일하고자 하였고 자연스럽게 두 나라를 각각 중심으로 두는 통일 방안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오스트리아를 중심으로 두는 통일 방안을 대독일주의,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두는 통일 방안을 소독일주의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 두 방안을 둘러싼 갑론을박을 놓고 보통 '독일 문제(Deutsche Frage)'라고 부른다. 문제는 오스트리아 제국이 독일 민족의 국가 중 가장 크고 강하면서도 오스트리아는 독일 민족뿐 아니라 슬라브인[1] 헝가리인, 이탈리아인, 유대인 등 여러 이민족까지 통치하는 다민족국가[2]였다는 점이었다. 따라서 오스트리아를 통일에 포함해야 하는지 배제해야 하는지를 두고 논란이 벌어졌다.

3.2. 관세동맹

1834년 연방의 단결 증진을 위해 프로이센이 주도로 독일계 국가들이 관세동맹을 체결했다. 프랑스에 의한 경제적 간섭을 줄인다는 목적으로 시작되었지만 10년 정도 지나면서 독일 연방 내 거의 모든 국가가 참가할 정도로 강력한 동맹으로 성장했다.

무엇보다도 이 관세동맹으로 인해 그동안 독일에 혼재되었던 여러 경제적 요소들이 통일성을 이루게 되어서 30여 년 후 진행될 독일 통일 완성에 상당한 도움을 주었다.

3.3.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의 통일 논의

1848년에서 1849년에 걸쳐서 열린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에서는 독일 통일이 논의되었다.

국민회의 프로이센 왕국 국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를 독일 황제로 추대하려고 했으나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나폴레옹 식으로 의회가 황제를 임명하는 "폭도들의 황제 따위는 필요없다"며 거부하였다.

과거 독일어권에서 황제란 로마 제국의 정통성과 더불어 기독교적 신성이 더해진 무언가로 여겨졌으며 신성 로마 제국 시절 황제선거를 거쳐 황제를 선출하던 때도 선거권은 민중 나부랭이나 도시 상공인들 따위가 아니라 독일 지역의 강력한 대영주들과 대주교들만 갖고 있었다.

따라서 독일에서 황제란 민중이 수여하는 것이 아니라 귀족들이 추대하고 기독교적인 신성이 더해져 정통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었다. 그랬기 때문에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는 민중들의 집단인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의 추대를 거절했다. 훗날 독일 제국 황제로 즉위하는 빌헬름 1세 베르사유 궁전에서 독일 영방국가 군주들의 추대를 통해 제위에 오른 것이지 결코 민중의 추대로 오른 것이 아니었다.[3]

결국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의 통일 노력은 수포로 돌아갔으며[4] 독일 통일은 오토 폰 비스마르크가 이끄는 프로이센 왕국에 의해 이루어졌다.

4. 통일 전쟁

독일의 통일은 프로이센에 의해 무력과 외교로 달성되었는데 이는 크게 2가지 단계로 진행되었다. 첫번째는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 북독일 연방의 창설이고 두번째는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독일 제국의 출범이다.

이 두 단계는 모두 프로이센이 독일 지역 내외부의 경쟁자들을 무찌르고 독일 지역에 대한 자국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작업이었다. 첫번째 단계인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은 프로이센의 경쟁자였던 오스트리아를 독일 연방에서 축출하고 프로이센의 주도권과 지배권을 확고히 하는 작업이었다. 두번째 단계인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은 독일의 통일을 반대하던 프랑스를 유럽 중부에서 축출하고 남독일 4개국[5]까지 북독일 연방으로 포함시키는 작업이었다. 그리하여 프로이센 국왕은 각 지역 군주들과 연방 의회의 승인을 받아 독일 전체의 군주가 되었다.

4.1.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의 발발

프로이센 왕국의 수상 오토 폰 비스마르크와 군부를 포함한 주요 수뇌부는 무력을 통해서만 통일이 달성될 수 있다고 결론짓고 곧 그를 위한 움직임을 개시했는데 그 시작이 비스마르크가 재상으로 취임한 1862년부터 실행한 철혈 정책이었다. 철혈 정책은 프로이센의 산업화를 추진하고 대규모로 군비를 확장하는 정책이었는데 산업력과 군사력으로 프로이센이 독일 내부의 권력 다툼에서 승리하고 프랑스 등의 외적을 몰아내기 위함이었다. 프로이센 의회의 권한을 억압하는 형태를 통한 정책의 일관성을 통해 프로이센을 강력한 군대의 나라로 만들었고 이를 바탕으로 천천히 통일을 향해 나아가기 시작했다. 비스마르크가 이끄는 프로이센의 전쟁 방식은 전쟁만이 아니라 외교까지 더해지는 그야말로 합리적인 계산 하에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독일의 통일을 향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인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의 발단은 1864년 슐레스비히홀슈타인의 영유권을 놓고 덴마크와 전쟁을 펼친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사실 이 지역의 영유권 문제는 1848년부터 있어 왔다. 제1차 슐레스비히 전쟁 때는 영국 러시아 제국의 영향력으로 인해 그대로 덴마크에 영유권이 남았지만 1864년에 펼쳐진 전쟁에서는 영국과 러시아가 전혀 신경을 쓸 수 없었고 애국적인 움직임이 혁명적인 움직임으로 돌변하는 것을 경계한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가 전쟁에 적극 가담하게 되면서 결국 덴마크의 패배로 마무리되었다.

그리고 해당 지역은 1864년 10월 덴마크가 포기하고 1865년 8월 프로이센이 슐레스비히, 오스트리아가 홀슈타인을 갖는 것으로 협상이 마무리되었으나 본래 독일연방 구성원이 아니었던 슐레스비히의 연방 가입안을 두고 오스트리아와 프로이센이 대립했고 프로이센이 오스트리아를 연방에서 제외하는 개편안을 내놓자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가 본격적으로 펼친 전쟁인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이 1866년 6월 시작되었다.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은 프로이센을 제외한 주요한 독일 연방 구성국 대부분이 오스트리아에 가담했음에도 불구하고 프로이센의 외교로 인해 신생 이탈리아 왕국이 반 오스트리아 편으로 전쟁에 참전[6]하고 프랑스의 중립 선언, 러시아 역시 친프로이센 정책을 펼침에 따라 오스트리아에게 불리하게 돌아갔으며 막강한 군사력을 자랑한 프로이센군에 비해 오스트리아 제국군은 형편없었기 때문에 결국 전쟁은 불과 7주만에 오스트리아의 패전으로 막을 내렸다.

결국 해당 전쟁으로 대독일주의는 물 건너갔고 소독일주의가 대세가 되었다.

그러나 소독일주의가 대세가 됐을 뿐 오스트리아 제국 내의 독일인( 오스트리아인)이 다수인 지역들에 대한 통일 문제는 여전히 남아 있었고 이는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생제르맹 조약 트리아농 조약을 통해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해체되면서 결국 오스트리아 병합으로 이어졌고 최종적으로 제2차 세계 대전 이후에나 결론이 났다.

4.2. 패전국 병합과 북독일 연방의 성립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이 발발했을 때 비스마르크는 프로이센 편에 서는 나라들은 주권과 국체를 보장해 줄 것이지만 전쟁에서 오스트리아 편에 가담하거나 중립을 지킨 나라들은 국체와 주권을 보장해 줄 수 없다며 엄포를 놓았다.

그 말대로 보오전쟁에서 오스트리아 편에 가담한 나라들 중 프로이센군이 군사적으로 제압하고 바이에른군과 오스트리아군의 지원군을 차단해 고립시켜 독 안에 든 쥐 신세로 만들어 놓은 하노버 왕국 나사우 공국, 그리고 아예 수도를 점령해버린 헤센 선제후국 프랑크푸르트 자유시는 아예 완전히 프로이센의 영토로 합병해 버렸다. 합병당한 나라들의 왕실들은 당연히 반발했는데 헤센카셀 가문 나사우바일부르크 가문[7]은 비스마르크한테 돈을 받아먹고 입을 다물었지만 합병당한 나라들 중 가장 규모가 컸던 하노버 왕국 왕실은 병합에 가장 극심하게 반발하여 비스마르크의 뇌물도 끝까지 거절하고 아예 프랑스로 망명가서 망명자들로 이루어진 군대를 모집해 복위 시도를 하기도 했지만 실패했다.

역시 오스트리아 편에 가담하여 프로이센과 싸운 바이에른 왕국, 뷔르템베르크 왕국, 바덴 대공국, 헤센다름슈타트 대공국 등의 남독일 4개국도 프로이센군에 연전연패하고 일부 영토를 점령당하긴 했지만 앞서 말한 나라들처럼 프로이센이 완전히 굴복시킨 것은 아니었기 때문에 프로이센은 이들에게서 일부 영토와 전쟁 배상금을 뜯어가는 선에서 그치고 독립국 지위는 인정해 주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바이에른 왕국은 독일 영방국가들 중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에 이은 3인자로서 어느정도 세력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비록 전쟁에서 지긴 했지만 여전히 프로이센이 맘대로 꿀꺽할 수 있는 나라는 아니었고 당연히 독립국 지위를 유지했다.

오히려 이런 바이에른의 3인자 위치를 충분히 이해하고 있었던 비스마르크는 지나치게 가혹한 처사로 바이에른의 반감을 키우기보다는 화해의 제스쳐로 영토 할양과 전쟁 배상금에서 상당히 가벼운 처분을 내렸다. 뷔르템베르크 왕국, 바덴 대공국, 헤센-다름슈타트도 프로이센군에 연패하고 일부 영토를 점령당하긴 했으나 프로이센이 완전히 점령하거나 항복을 받아낸 것은 아니었고 무엇보다도 합병당한 마인강 이북의 하노버 등과는 다르게 이들은 오스트리아의 세력권인 마인강 이남에 있어서 오스트리아와 바이에른의 지원을 여전히 받을 수 있는 상황이었다.

결과적으로 이들 남독일 4개국은 전쟁에서 졌지만 프로이센이 이들을 병합하지는 못해서 보오전쟁 이후에도 독립국으로 존속할 수 있었고 마인강 이북에 한해서만 프로이센이 북독일 연방을 창설할 수 있다는 종전협정에 따라 북독일 연방에서도 배제되었다. 다만 이들 중 헤센다름슈타트 대공국의 경우 나라 전체가 아닌 마인강 이북의 일부 지역만 북독일 연방에 가입하는 식으로 어정쩡한 상태가 되었는데 자세한 사항은 아래 단락에서 후술한다.

작센 왕국도 오스트리아 편에서 프로이센과 싸웠는데 당시 작센 국왕 요한은 군대의 주력을 모두 보헤미아 왕국으로 보내서 자기 나라의 방어도 내팽겨치고 오스트리아를 도왔다. 당연히 프로이센군은 작센을 손쉽게 점령했고 비스마르크는 오스트리아에 철저히 충성한 작센을 하노버 등과 마찬가지로 완전히 병합하려고 했지만[8] 오스트리아 황제 프란츠 요제프 1세가 자기 나라도 내버리고 오스트리아를 도와준 작센 왕국의 충성심에 감명을 받았는지 비스마르크에게 자신의 명예를 걸고 다른 나라는 몰라도 작센만은 병합하지 말아달라고 간청했고 프로이센의 세력이 지나치게 확대되는 걸 경계한 프랑스의 나폴레옹 3세도 작센만은 살려둘 것을 요구해서 결국 작센은 프로이센에 병합되는 것을 면할 수 있었다. 물론 작센 왕국은 국체를 보존할 수는 있었지만 프로이센이 주도하는 북독일 연방에 가입해야 했다.

보오전쟁에서 프로이센 편에 섰던 여러 작은 나라들[9]도 상술한 비스마르크의 약속에 따라 국체는 보존할 수 있었지만 그들 또한 북독일 연방에 가입했다. 이렇게 남독일 4개국과 오스트리아만을 제외한 모든 독일 영방국가들을 통합한 북독일 연방은 전쟁을 통해 생겨난 만큼 이전의 독일 연방과는 달리 외교권과 군사 행동권 등 구성국의 주권을 상당 부분 제약했다.

물론 구성국의 주권을 제약했다는 것은 바꿔 말하면 유럽연합과 같은 국가 연합 형태였던 독일 연방과는 달리 북독일 연방 미국과 같은 연방제 국가에 더 가깝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이 북독일 연방에 후일 남아 있던 나머지 남독일 4개국이 가입한 것이 독일 제국의 기반이 되고 북독일 연방 헌법을 살짝 손봐서 만들어진 것이 독일 제국 헌법이기 때문에 북독일 연방은 사실상 통일된 독일 국가의 직접적인 전신이라고 할 수 있다.

4.3. 비스마르크의 외교전과 프로이센-프랑스 전쟁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으로 1867년 독일 연방은 해체가 되었다. 그리고 독일은 프로이센 중심의 북독일 연방과 남부에 독립국으로 남게 된 뷔르템베르크 왕국, 바이에른 왕국, 바덴 대공국, 헤센 대공국[10]으로 재편되고 오스트리아는 완전히 독일에서 이탈했다.

이는 아이러니하게도 프로이센 입장에서는 꽤나 불합리한 상황이었는데 사실 오스트리아와의 전쟁에서 승리를 거둬 독일에 대한 오스트리아의 영향력을 완전히 일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나폴레옹 3세가 이끌던 프랑스 제국이 여기에 개입하면서 그야말로 프로이센의 독일 통일 정책에 장벽이 하나 생겨 버린 것이다. 프로이센의 영토 확장도 막혔고 상술한 남독일 일대 4개국의 독립도 프로이센 입장에서는 여간 껄끄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었다. 남독일 4개국은 가톨릭이 강세[11]였기 때문에 사실상 당시 가톨릭을 이끌던 선도 국가였던 프랑스의 영향력을 배제하기 어려웠던 상황이었던지라 불합리하게 느낄 수 있었다. 다만 이들 남독일 4개국은 어디까지나 친오스트리아라고 할 수는 있어도 친프랑스는 아니었다. 당장 남독일의 맹주격인 바이에른 왕국 나폴레옹 3세가 과거 나폴레옹 전쟁의 패전으로 잃어버린 영토에 대한 보상을 받아야 한다는 드립을 치면서 당시 바이에른의 영토였던 옛 팔츠 선제후국 영토[12]에 집적거리기 시작하자 프랑스를 상당히 경계하게 되었고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이 일어났을 때는 자신들의 영토인 팔츠의 안전을 보호하기 위해 아예 프로이센에게 알자스-로렌을 점령할 것을 종용했다.

결국 프로이센은 언젠가 펼쳐지게 될 프랑스와의 전쟁을 대비하기 위해 여러 외교적인 정책들을 펼쳤다. 당시 헝가리 등 내부 문제로 정신 없던 오스트리아와 강화를 하고 러시아 제국, 신생 이탈리아 왕국과는 군사적인 동맹 관계를 유지하고 영국과는 사돈 관계를 통해 지속적으로 돈독한 관계를 유지했다. 하지만 프랑스는 이탈리아와 적대 관계를 형성하면서 중부 유럽에서의 불리한 외교 관계에 놓이게 되었고 나폴레옹 3세의 여러 외교적 실책이 더해지며 대외적 위기가 고조되던 상황이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스페인 내전에서의 왕위 계승 문제로 이어졌다. 스페인에서는 보르본 왕조가 무너지고 프로이센 왕실인 호엔촐레른 가문의 슈바벤계 출신인 레오폴트 왕자에게 왕위를 제의했으나 이를 호엔촐레른 왕조의 수장이었던 빌헬름 1세가 반대하고 적이 양쪽으로 둘러쌓일 위기에 처한 프랑스 제2제국이 반대하면서 자연스럽게 없던 일이 되어 버렸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비스마르크는 프랑스의 외교 감정을 이용했고 그 유명한 엠스 전보 사건이 발생했다.

사실 당시 프랑스의 외교력과 국력으로는 프로이센에 승리할 가능성이 거의 없었음에도 비스마르크의 엠스 전보 사건으로 프랑스 조야가 그야말로 들끓자 혁명 발생 가능성을 두려워한 나머지 나폴레옹 3세가 직접 참전하며 1870년 7월 프로이센과 전쟁이 벌어졌다. 하지만 프로이센-프랑스 전쟁에서 프랑스군 프로이센 왕국군에게 상대가 될 리가 없었고 남부 독일의 군주국들은 비스마르크의 여러 뇌물과 민족 감정으로 인해 프로이센을 도와 프랑스에 대항해 참전했다. 프로이센군은 전쟁에서 프랑스군을 제압하면서 파리를 포위했다.

4.4. 11월 조약과 연방헌법

Seine Majestät der König von Preußen im Namen des Norddeutschen Bundes, Seine Majestät der König von Bayern, Seine Majestät der König von Württemberg, Seine Königliche Hoheit der Großherzog von Baden und Seine Königliche Hoheit der Großherzog von Hessen und bei Rhein für die südlich vom Main gelegenen Theile des Großherzogtums Hessen, schließen einen ewigen Bund zum Schutze des Bundesgebietes und des innerhalb desselben gültigen Rechtes, sowie zur Pflege der Wohlfahrt des Deutschen Volkes. Dieser Bund wird den Namen Deutsches Reich führen und wird nachstehende

Verfassung

haben.
북독일 연방의 이름으로 프로이센의 국왕 폐하, 바이에른의 국왕 폐하, 뷔르템베르크의 국왕 폐하, 바덴의 대공 전하, 헤센과 마인 남부의 헤센 대공국에 속한 라인의 대공 전하는 연방의 영토와 법률을 수호하고 독일 민족의 복리 증진을 위하여 영원한 연방을 결성키로 하였다.

이 연방은 독일국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다음과 같은 헌법을 갖는다.
독일 제국 헌법 서문

파리 포위로 인해 프로이센이 이끄는 북독일 연방이 승기를 굳혀 감으로써 프랑스가 더이상 독일어권 국가들의 문제에 간섭하거나 방해할 수 없게 되자 이제 독일의 통일에 남은 건 남아 있는 남독일 4개국들(바이에른, 뷔르템베르크, 바덴, 헤센다름슈타트)의 선택뿐이었고 남독일 4개국과 북독일 연방은 통일을 위한 협상에 들어갔다

당시 남독일 4개국 각각의 입장은 다음과 같았다.
통일 협상의 결과 북독일 연방헌법을 수정한 새로운 연방헌법이 작성되었다. 협상 끝에 1870년 11월 15일 바덴과 헤센이 연방헌법에 조인했으며 11월 23일 바이에른이, 11월 25일 뷔르템베르크가 연방헌법에 조인하였고 이를 통틀어 11월 조약이라 한다. 1871년 12월 바덴, 헤센, 뷔르템베르크의 의회가 연방헌법을 비준하였고 앞서 말했듯이 통일 반대파가 상당했던 바이에른 의회에서는 통일 찬성파와 통일 반대파 간의 치열한 논쟁 끝에 마침내 1871년 1월 21일 연방헌법의 비준을 통과시켰다. 이로써 통일된 새로운 연방국가인 독일이 탄생했다.

4.5. 루트비히 2세의 친서와 빌헬름 1세의 황제 즉위

11월 조약으로 연방국가가 출범했지만 오토 폰 비스마르크는 단순히 연방만으로는 만족하지 않았고 아예 프로이센 국왕 빌헬름 1세 황제에 등극시킴으로써 새로운 독일을 사라진 신성 로마 제국을 계승할 제국으로 만들고 싶어했다.

그러나 여기에는 두 가지 난관이 있었다.

첫 번째는 빌헬름 1세 본인의 거절이었고 두 번째는 새로 가입한 남독일 4개국 군주들의 반발이었다. 빌헬름 1세의 형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 3월 혁명 당시 자신은 오직 독일 군주들의 추대로만 황제로 즉위할 것이고 폭도들이 준 왕관은 받을 수 없다며 프랑크푸르트 국민회의가 바친 황제의 왕관을 거절한 적이 있었다. 이에 따라 빌헬름 1세도 단순히 신하들이나 의회의 추대로 황제가 되는 것은 위신이 서지 않는다고 여겼고 독일 군주들의 추대가 없다면 황제로 즉위하지 않겠다며 황제 등극을 거부하고 있었다. 남독일 4개국의 군주들도 프로이센 왕이 독일 황제가 되어 자신들이 황제의 신하가 되는 것을 못마땅하게 여겼으므로 빌헬름 1세의 황제 등극을 탐탁지 않게 생각했다.

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할 열쇠는 당시의 바이에른 국왕 루트비히 2세가 쥐고 있었다. 당시 바이에른 왕국은 강대국 투톱인 프로이센과 오스트리아를 제외한 여러 독일 영방국가들 중 가장 규모가 큰 나라였기 때문에 사실상 중소규모 영방국가들을 대표하는 위치에 있었다. 이런 바이에른의 국왕이 가장 먼저 대표로서 빌헬름 1세의 황제 등극을 촉구하는 친서를 써서 보낸다면 다른 독일 영방국가들도 대세를 거스를 수 없음을 알고 황제 즉위에 찬성할 것이며 빌헬름 1세 역시 신하나 의회가 아닌 바이에른 국왕과 독일 군주들의 추대를 받아 즉위한다면 황제 등극의 정당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황위의 존엄함을 드높일 수 있을 것이었다.

그러나 가장 큰 문제는 위에서도 말했듯이 루트비히 2세 자신이 독일 통일에 부정적이었다는 것이다. 루트비히 2세는 친 오스트리아 성향[14]으로서 본래 오스트리아 중심의 대독일주의를 지지하여 프로이센 중심의 소독일주의를 반대했고 바이에른이 독일에 통합되어 독립성을 상실하는 걸 탐탁지 않게 여겼으며 보오전쟁 당시 프로이센에게 참패했던 것에 대한 앙금도 여전히 있었던지라 당연히 그런 친서를 써 줄 리는 만무했다.

그러나 루트비히 2세에게는 약점이 하나 있었으니 바로 금전 문제였다. 루트비히 2세는 리하르트 바그너 등 수많은 예술가들의 후원자로서 유명했고 노이슈반슈타인 성 등의 대규모 건축물을 여럿 지었는데 예술을 후원하고 건축물을 짓는 데 돈을 탕진한 덕분에 루트비히 2세의 내탕금은 바닥을 드러낸 지 오래라 사실상 파산하기 일보직전이었다. 루트비히의 열악한 재정 상태를 알아낸 비스마르크는 홀른슈타인 백작을 통해 루트비히가 황제 추대를 독려하는 친서를 써 준다면 금전적 대가를 지급할 것을 약속했다.

돈이 궁했던 루트비히는 결국 비스마르크의 제안을 수락하여 독일 제후들에게 빌헬름 1세를 독일 황제로 추대하라고 촉구하는 친서를 써 줬는데 이를 Kaiserbrief라고 한다. 그 대가로 비스마르크는 스위스 은행을 통해 일시불로 600만 마르크, 이후에도 매년 30만 마르크씩 루트비히의 내탕금 계좌에 꽂아 주었다. 물론 빌헬름 1세는 루트비히가 순수한 마음으로 자신의 황제 즉위에 찬성한 것이라고 믿었으므로 당연히 황제에겐 돈을 준 것을 비밀로 해야 했기 때문에 루트비히에게 준 돈의 출처는 프로이센의 국고가 아니라 프로이센-오스트리아 전쟁에서 하노버 왕국을 병합한 후 강탈한 하노버 왕가의 재산을 몰래 빼돌린 것이었고 황제에게는 루트비히에게 돈을 빌려준 것일 뿐이라고 보고되었다. 당연히 루트비히가 그 돈을 갚는 일은 영원히 없었다.

어찌 보면 뇌물이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루트비히는 이후에도 비스마르크에게서 받은 돈으로 예술가들을 후원하여 바그너와 같은 거장들이 탄생했고 그 돈으로 지은 건축물들은 지금도 바이에른의 관광자원으로서 수많은 관광객들을 끌어들이고 있으니 결과적으로 바이에른에게 있어 루트비히의 선택은 나쁘지 않았던 셈이다.

어쨌든 루트비히의 친서까지 받아 황제 등극의 정당성까지 확보한 빌헬름 1세는 독일 황제로 즉위하는 것을 수락했고 프랑스에서는 제정이 무너지고 파리 시민을 중심으로 국민 방위정부가 수립되었지만 프로이센군은 파리의 포위를 풀지 않아 결국 1871년 1월 국민 방위정부의 항복을 받아냈다. 마침내 1871년 1월 18일 베르사유 궁전 거울의 방에서 빌헬름 1세는 독일 황제로 즉위했고 1871년 3월 1일 파리에서 개선식을 펼쳤다. 동년 5월 4일 기존의 연방헌법을 황제국 체제에 맞게 수정한 독일 제국 헌법이 발효되면서 마침내 신성 로마 제국의 뒤를 이은 제2제국, 즉 독일 제국이 출범했다.

4.6. 이후

1871년의 독일 통일은 오스트리아를 제외했다는 점에서 한계를 지니고 있는 것처럼 여겨졌다. 제1차 세계 대전의 패전 이후 독일 제국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이 모두 붕괴되면서 독일과 오스트리아 모두 하나로 뭉쳐야 한다는 열망이 거세게 자리잡았고 결국 이는 오스트리아 병합으로 두 독일 민족의 국가가 드디어 하나로 합쳐지는 결실을 맺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패하고 전 국토가 초토화되었으며 독일 오스트리아는 다시금 분리되었고 병합은 영구 금지되었다.

5. 의의

독일 통일은 여러모로 유럽 역사에 큰 중요도를 가진 대사건이다. 유럽 내에 영국, 프랑스, 러시아로 대표되던 강국의 대열에 독일이 당당히 끼어들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일찌감치 단일 국가로 변모해나간 유럽 열강들의 틈바구니 속에 자리 잡으면서 수십, 수백개의 나라로 갈라져 제대로 된 힘을 발휘하지 못했던 독일이었지만 많은 인구와 풍부한 자원을 통해 통일을 기점으로 눈부신 산업화를 이루었다. 결국 독일은 무려 두 차례나 되는 세계 대전을 사실상 혼자서 치를 정도로 급성장했다. 이후 다시 동서로 분단되었지만 독일이 한 번 통일되었다는 점은 이후에 분열된 독일이 다시금 통일되는 데 큰 영향력을 끼쳤고 독일 재통일 이후 독일 역시 유럽 연합을 이끄는 양대 축으로 자리 잡아 유럽을 주도하는 국가로 다시금 성장했다.

민족사적으로도 의미가 있다. 애매한 공통점으로만 묶여 있었던 독일인이 하나의 국가를 이루었다는 점에서 '근대 민족국가'의 탄생이라는 의의가 있다. 유럽의 여러 국가들, 영국, 프랑스, 러시아 등은 근대 민족주의의 발흥 이전부터 존재해 왔던 국가로부터 민족 의식이 강화된 사례라면 독일은 역으로 민족 의식으로부터 통일 국가를 성립해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고 볼 수 있다.[15]

6. 독일 통일과 지역주의

이렇게 통일되긴 했지만 독일의 각 지방들은 통일 이전까지만 해도 독자적인 국가로 유지되어 왔던 시절이 길다 보니 현대에도 독일은 각 지방마다 고유의 향토색과 지역주의가 강한 편이고 사투리도 차이가 크다. 특히 바이에른 등 남독일 지역 사람들은 학교, 관공서, 공적인 업무에서 주로 표준 독일어를 사용하고 일상생활에서는 오스트로바이에른어 등 토착 방언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그렇지만 강제로 병합된 쪽은 오히려 마인강 이북 북독일의 하노버, 나사우, 헤센카셀, 프랑크푸르트였고 바이에른, 뷔르템베르크를 비롯한 남독일은 통일 당시 내부의 치열한 논의를 거쳐 협상을 통해 스스로 통일 독일에 가입했다. 특히 바이에른은 통일 당시 남독일의 다른 나라들보다도 통일 찬성파와 반대파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었던 건 맞지만 어디까지나 내부의 치열한 찬반논쟁 끝에 스스로 통일을 선택했다. 무엇보다도 독일 제국은 엄연한 연방제 국가로서 바이에른 등 지방 구성국의 왕실과 정부는 통일 이후 독일 제국에서도 그대로 존속했고 군사력의 보유와 독립적인 재정 철도, 우편 등 자치권을 가졌다.

그러나 정작 현대 독일의 지역주의는 북독일보다는 남독일 쪽이 더 강한데 이런 남독일의 지역주의는 비슷하게 내부의 논의를 거쳐 자발적으로 영국(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에 통합된 스코틀랜드 왕국의 지역주의에 비견할 수 있겠다. 스코틀랜드와 마찬가지로 바이에른의 지역주의는 프로이센( 베를린)이 우리를 탄압하고 있다는 식의 피해의식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우리가 프로이센( 베를린)보다 못할 게 없다는 식의 자존심의 발로라고 보는 편이 더 정확할 것이다.

7. 여담

독일 통일 후에도 '독일 통일의 날'이란 국경일은 제정되지 못했다. 각 제후국의 독일 제국 가입 일자가 다르며 독일 제국 선포일이나 프랑크푸르트 조약 조인일과 같은 날짜는 다른 제후국들, 특히 남부 독일의 제후국들이 껄끄러워하였기 때문이다. 그 대신 스당 전투의 날이 사실상 독일 통일을 기념하는 국경일로 취급되었다.

보통 독일 통일이라 말하면 독일 재통일 쪽을 먼저 연상하지만 실제로는 본 문서가 설명하는 독일 제국의 통일이 먼저임을 이용해 드립을 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독일식 통일을 본받으라고 했더니 듣는 사람은 주변국을 전쟁으로 굴복시키는 발상을 한다거나...

8. 관련 문서


[1] 체코인, 슬로바키아인, 슬로베니아인, 크로아티아인, 세르비아인, 폴란드인, 우크라이나인, 루신인 등. [2] 심지어 에르데이 대공국 부코비나 공국에는 루마니아인도 있었다. [3] 아이러니하게도 유럽에서 황제 로마 제국에서 유래하는데, 프리드리히 빌헬름 4세가 거부한 나폴레옹 식이야 말로 더욱 로마 제국의 방식에 가까웠다. [4] 이때의 실패는 비스마르크에게 ' 철혈수상'이라는 별명을 붙여 준 것으로도 유명한 1862년 연설에서도 '1848년과 1849년에 이미 범하였던 거대한 실수'로 언급된다. 독일 통일은 그런 말로 이루어질 게 아니라 군사력과 권력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요지다. [5] 바이에른 왕국, 뷔르템베르크 왕국, 바덴 대공국, 헤센다름슈타트 대공국. [6] 이탈리아 왕국은 제2차 이탈리아 독립전쟁 당시 나폴레옹 3세의 통수로 포기했던 베네토 지역을 합병하기를 원했다. [7] 재미있게도 이때 폐위당한 아돌프 공은 네덜란드 국왕 빌럼 3세가 딸 빌헬미나만 남기고 사망하자 먼 친척 자격으로 룩셈부르크 대공이 된다. [8] 원래 프로이센은 나폴레옹 전쟁을 정리한 빈 회의에서도 작센을 완전히 잡아먹기를 원했다. 그러나 주변국의 반대로 일부만 뜯어가 오늘날 작센안할트의 전신인 프로이센 작센주(Provinz Sachsen 또는 Preußisches Sachsen)를 설치했다. [9] 안할트 공국, 올덴부르크 대공국,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대공국, 메클렌부르크슈트렐리츠 대공국, 브라운슈바이크 공국 등. [10] 마인강 이북은 북독일 연방의 영역이었고 마인강 이남 지역만 독립상태 [11] 정확히 말하면 헤센 대공국은 루터교회였고, 바덴 대공국과 뷔르템베르크는 통치 가문(체링겐 가문, 뷔르템베르크 가문)은 루터교회였으나 국민의 절반 가량이 가톨릭을 믿었다. 바이에른은 확고한 가톨릭 국가였다. [12] 현재 라인란트팔츠. [13] 이 절반은 명목상 헤센 대공국의 영토였지만 남쪽 절반과 따로 떨어져 프로이센으로 둘러싸여 있는 월경지라는 이유로 프로이센이 점령하여 통제하였다. 사실상 프로이센한테 나라 절반을 뜯긴 것. [14] 어머니 마리 프로이센 왕국 공주 출신이었으나, 비텔스바흐 가문은 대대로 합스부르크 가문과 친했고 통혼도 잦은 편이었다. [15] 이러한 점은 남슬라브인의 국가인 유고슬라비아와도 유사하다. 그러나 신성 로마 제국이라는 역사를 공유하는 독일인과는 달리 남슬라브인은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오스만 제국으로 나뉘어 통치받던 상황이었고 독일 통일을 주도한 프로이센 왕국( 브란덴부르크 선제후국)에 비해 세르비아 왕국은 남슬라브 민족 전체를 아우르려 노력하기는 커녕 세르비아인 세력 확장과 유지에만 급급해 '남슬라브 통일이란 미명 아래 대세르비아주의를 추구하려는 것'이라는 인식만 남겼다. 그 결과 유고슬라비아는 요시프 브로즈 티토 사후 빠르게 붕괴하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84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84 ( 이전 역사)
문서의 r (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