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0b500, #ffcc20 20%, #ffcc20 80%, #f0b500); color: #1e1e1d;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1e1e1d> 카를 왕조 | ||||
카를 1세 | 루트비히 1세 | 로타르 1세 | 루트비히 2세 | 카를 2세 | |
<rowcolor=#1e1e1d> 카를 왕조 | 비도 왕조 | 카를 왕조 | 보조 왕조 | ||
카를 3세 | 비도 | 람베르트 | 아르눌프 | 루트비히 3세 | |
운루오히 왕조 | 오토 왕조 | ||||
베렝가르 | 오토 1세 | 오토 2세 | 오토 3세 | 하인리히 2세 | |
잘리어 왕조 | 주플린부르크 왕조 | ||||
콘라트 2세 | 하인리히 3세 | 하인리히 4세 | 하인리히 5세 | 로타르 2세 | |
호엔슈타우펜 왕조 | 벨프 왕조 | ||||
콘라트 3세 | 프리드리히 1세 | 하인리히 6세 | 필리프 | 오토 4세 | |
호엔슈타우펜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나사우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프리드리히 2세 | 콘라트 4세 | 루돌프 1세 | 아돌프 | 알브레히트 1세 | |
룩셈부르크 왕조 | 비텔스바흐 왕조 | 룩셈부르크 왕조 | 비텔스바흐 왕조 | ||
하인리히 7세 | 루트비히 4세 | 카를 4세 | 벤첼 | 루프레히트 | |
룩셈부르크 왕조 | 합스부르크 왕조 | ||||
지기스문트 | 알브레히트 2세 | 프리드리히 3세 | 막시밀리안 1세 | 카를 5세 | |
합스부르크 왕조 | |||||
페르디난트 1세 | 막시밀리안 2세 | 루돌프 2세 | 마티아스 | 페르디난트 2세 | |
합스부르크 왕조 | 비텔스바흐 왕조 | ||||
페르디난트 3세 | 레오폴트 1세 | 요제프 1세 | 카를 6세 | 카를 7세 | |
합스부르크로트링겐 왕조 | |||||
프란츠 1세 | 요제프 2세 | 레오폴트 2세 | 프란츠 2세 |
밑줄: 대관식을 받은 적이 없는
로마왕이지만 사실상 황제였던 인물
}}}}}} ||요제프 1세 관련 틀 | ||||||||||||||||||||||||||||||||||||||||||||||||||||||||||||||||||||||||||||||||||||||||||||||||||||||||||||||||||||||||||||||||||||||||||||||||||||||||||||||||||||||||||||||||||||||||||||||||||||||||||||||||||||||||||||||||||||||||||||||||||||||||||||||||||||||||||||||||||||||||||||||||||||||||||||||||||||||||||||||||||||||||||
|
신성 로마 제국 합스부르크 왕조 제11대 황제
요제프 1세 Joseph I |
|||
|
|||
<colbgcolor=#ffcc20><colcolor=black> 이름 |
요제프 야코프 이그나츠 요한 안톤 오이스타히우스 (Joseph Jacob Ignaz Johann Anton Eustachius) |
||
출생 | 1678년 7월 26일 | ||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 | |||
사망 | 1711년 4월 17일 (향년 32세) | ||
오스트리아 대공국 빈 호프부르크 | |||
재위기간 |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오스트리아 대공국의 대공, 보헤미아 왕국의 국왕, 크로아티아 왕국의 국왕 | ||
1705년 5월 5일 ~ 1711년 4월 17일 | |||
로마왕 | |||
1690년 1월 23일 ~ 1711년 4월 17일 | |||
헝가리 국왕 | |||
1687년 12월 9일 ~ 1711년 4월 17일 | |||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cc20><colcolor=#000> 배우자 |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빌헬미네 아말리 (1699년 결혼) |
|
자녀 | 마리아 요제파, 레오폴트 요제프, 마리아 아말리아 | ||
아버지 | 레오폴트 1세 | ||
어머니 | 팔츠노이부르크의 엘레오노레 막달레네 | ||
형제 | 마리아 엘리자베트, 마리아 안나, 마리아 테레지아, 카를 6세, 마리아 요제파, 마리아 막달레네 | }}}}}}}}} |
[clearfix]
1. 개요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이자 오스트리아 대공, 보헤미아와 헝가리, 크로아티아의 국왕. 카를 6세의 형이자 전임자이다.2. 생애
<colbgcolor=#ffd700><colcolor=black>요제프 1세 |
신성 로마 제국 황제이자 합스부르크 왕가의 수장 레오폴트 1세의 사실상 장남이다. 1690년 부황 레오폴트 1세 생전에 아우크스부르크에서 열린 황제선거에서 독일왕으로 선출되었으며 1702년에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이 일어나자, 일생에 있어 유일한 군복무를 수행했다. 그는 바덴바덴의 변경백인 제국 장군 루트비히 빌헬름의 휘하에 들어가 란다우 공성전에서 활약했다. 1705년, 오스트리아 대공국, 보헤미아 왕국, 헝가리 왕국과 에르데이 공국 및 크로아티아 왕국 등 합스부르크 왕가의 영지를 물려받았다. 부황과 자신이 가장 신뢰한 장군인 사부아 공자 외젠이 이탈리아반도에서 활동하거나 말버러 공작 존 처칠과 함께 독일과 플랑드르에서 프랑스군을 무찌르며 활약하는 동안 요제프 1세는 합스부르크 제국을 이끌 좋은 기회를 잡았다. 빈 시은행을 국가 기구로 정비하고 혼란스러웠던 오스트리아의 재정을 다시 정비하기도 했다.
치세 동안 라코치 페렌츠 2세의 주도로 헝가리에서 반란이 일어났으니 헝가리 귀족[1]들과 세르비아인, 루마니아인 민병대의 주도로 반란은 진압되었고 라코치 페렌츠 2세는 오스만 제국으로 망명했다. 부황때 발발한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을 계속 밀어붙여 동생 카를 대공을 스페인 국왕으로 지지하였다. 그런데 교황 클레멘스 11세가 프랑스 국왕 루이 14세의 둘째 손자 앙주 공작 필리프를 스페인 국왕으로 승인하자 교황과 대립하였고 교황령을 공격했다. 그 결과 교황은 1709년 태도를 바꿔 다시 카를 대공을 지지했다.
천연두에 걸리는 바람에 1711년 3월 빈에서 사망했다. 그의 유일한 아들은 태어난 지 1년 만에 사망했기 때문에 합스부르크 군주국은 동생 카를 대공이 물려받았다. 카를 대공은 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의 영토를 물려받는 대신에 스페인 왕위 계승을 포기했다.
3. 요제프 1세와 예술
요제프 1세는 조상들처럼 음악과 예술에 상당한 식견을 지니고 있었으며, 심지어 곡을 직접 작곡할 정도였다. 대표곡으론 tutto in pianto가 있는데 현대에도 음반이 발매되어 팔리고 있다.4. 가족관계
4.1. 조상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요제프 1세 (Kaiser Joseph I.) |
<colbgcolor=#fff3e4,#331c00>
레오폴트 1세 (Kaiser Leopold I.) |
<colbgcolor=#ffffe4,#323300>
페르디난트 3세 (Kaiser Ferdinand III.) |
|
페르디난트 2세 (Kaiser Ferdinand II.) |
|||
바이에른의 마리아 안나 (Maria Anna von Bayern) |
|||
스페인의 마리아 아나 (María Ana de España) |
|||
펠리페 3세 (Rey Felipe III de España) |
|||
오스트리아의 마르가레테[2] (Margarete von Österreich) |
|||
팔츠노이부르크의 엘레오노레 막달레네 (Eleonore Magdalene Therese von der Pfalz) |
|||
팔츠 선제후
필리프 빌헬름 (Kurfürst Philipp Wilhelm von der Pfalz) |
|||
노이부르크 궁정백 볼프강 빌헬름 (Pfalzgraf Wolfgang Wilhelm von Pfalz-Neuburg) |
|||
바이에른의 막달레네 (Magdalene von Bayern) |
|||
헤센다름슈타트의 엘리자베트 아말리 (Elisabeth Amalie von Hessen-Darmstadt) |
|||
헤센다름슈타트 방백 게오르크 2세 (Landgraf Georg II. von Hessen-Darmstadt) |
|||
작센의 조피 엘레오노레 (Sophia Eleonore von Sachsen) |
4.2. 아내
<colbgcolor=#ffd700><colcolor=black>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빌헬미네 아말리아 |
4.3. 자녀
자녀 | 이름 | 출생 | 사망 | 배우자 / 자녀 |
1녀 |
폴란드-리투아니아의 왕비 마리아 유제파 (Maria Josepha, Queen of Poland) |
1699년 12월 8일 | 1757년 11월 17일 |
아우구스트 3세 슬하 5남 7녀[3] |
1남 |
레오폴트 요제프 대공 (Archduke Leopold Josef of Austria) |
1700년 10월 29일 | 1701년 8월 4일 | |
2녀 |
신성 로마 제국의 황후 마리아 아말리아 (Maria Amalia, Holy Roman Empress) |
1701년 10월 22일 | 1756년 12월 11일 |
카를 7세 슬하 2남 5녀[4] |
[1]
특히나 오스트리아의
왕령 헝가리 영토였던 서부에 기반한
헝가리인 귀족들은 정당한 혼인상속을 통해 헝가리 왕위를 세습한 합스부르크 왕가를 지지했고, 라코치 페렌츠 2세의 봉기를 반역으로 간주하여 경계했다.
[2]
페르디난트 1세의 손녀다.
[3]
작센 선제후 프리드리히 크리스티안,
스페인의 왕비 마리아 아말리아,
프란츠 크사버 왕자,
테셴 공작 알베르트 카지미어 등
[4]
바이에른 선제후 막시밀리안 3세 요제프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