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800080 40%, #800080 60%,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0" {{{#!wiki style="margin: -5px -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fff,#fff {{{#!folding [ Studio Albums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 | ||||
For You 1978 |
Prince 1979 |
Dirty Mind 1980 |
Controversy 1981 |
1999 1982 |
|
Purple Rain 1984 |
Around the World in a Day 1985 |
Parade 1986 |
Sign "☮︎" the Times 1987 |
Lovesexy 1988 |
|
Batman 1989 |
Graffiti Bridge 1990 |
Diamonds and Pearls 1991 |
Love Symbol 1992 |
Come 1994 |
|
The Black Album 1994 |
The Gold Experience 1995 |
Chaos and Disorder 1996 |
Emancipation 1996 |
Crystal Ball 1998 |
|
The Truth 1998 |
The Vault: Old Friends 4 Sale 1999 |
Rave Un2 the Joy Fantastic 1999 |
The Rainbow Children 2001 |
One Nite Alone… 2002 |
|
Xpectation 2003 |
N.E.W.S 2003 |
Musicology 2004 |
The Chocolate Invasion 2004 |
The Slaughterhouse 2004 |
|
3121 2006 |
Planet Earth 2007 |
Lotusflow3r / MPLSound 2009 |
20Ten 2010 |
Plectrumelectrum 2014 |
|
Art Official Age 2014 |
HITnRUN Phase One 2015 |
HITnRUN Phase Two 2015 |
|||
{{{#!folding [ Live Albums ]
{{{#!folding [ Posthumous Albums ]
{{{#!folding [ Compilation Albums ]
{{{#!folding [ 관련 문서 ]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로큰롤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름 |
프린스 PRINCE |
|
헌액 부문 | 공연자 (Performers) | ||
멤버 | (개인자격) | ||
입성 연도 | 2004년 | ||
후보자격 연도 | 2004년 | ||
후보선정 연도 | 2004년 | }}}}}}}}} |
알앤비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름 |
프린스 Prince |
멤버 | (개인자격) | |
입성 연도 | 2016년 출처 참조 | }}}}}}}}} |
영국 음악 명예의 전당 헌액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04년 헌액 |
1950년대:
엘비스 프레슬리 1960년대: 비틀즈 1970년대: 밥 말리 1980년대: 마돈나 1990년대: U2 |
|
2004년 헌액 | |
50년대:
클리프 리처드 &
섀도우즈 60년대: 롤링 스톤스 70년대: 퀸 80년대: 마이클 잭슨 90년대: 로비 윌리엄스 |
|
2005년 헌액 | |
핑크 플로이드 유리드믹스 아레사 프랭클린 지미 헨드릭스 밥 딜런 조이 디비전 / 뉴 오더 더 후 킹크스 블랙 사바스 오지 오스본 |
|
2006년 헌액 | |
제임스 브라운 레드 제플린 로드 스튜어트 브라이언 윌슨 본 조비 프린스 더스티 스프링필드 조지 마틴 |
}}}}}}}}}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tablebordercolor=#999><bgcolor=#fff,#191919>
미국 의회도서관 영구 등재 앨범 ||
}}}}}}}}} ||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2000년대 등재 앨범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02년 등재 |
루이 암스트롱 <
The Complete Hot Five and Hot Seven Recordings> (1920~1928) 프랭크 시나트라, <Songs for Young Lovers> (1954) 엘비스 프레슬리, Sun Records sessions (1954-1955) 마일스 데이비스, < Kind of Blue> (1959) 밥 딜런, < The Freewheelin' Bob Dylan> (1963) |
|
2003년 등재 | |
로버트 존슨, <The Complete Recordings> (1936-1937) 베니 굿맨, < The Famous 1938 Carnegie Hall Jazz Concert> (1938년 1월 16일) 글렌 굴드, < Goldberg Variations> (1955) 엘라 피츠제럴드, <Ella Fitzgerald Sings the Cole Porter Song Book> (1956) 델로니어스 몽크, <Brilliant Corners> (1956) 찰스 밍거스, <Mingus Ah Um> (1959) 주디 갈란드, < Judy at Carnegie Hall> (1961) 비틀즈, < Sgt. Pepper's Lonely Hearts Club Band> (1967) 조니 캐시, < At Folsom Prison> (1968) 캐롤 킹, < Tapestry> (1971) 마빈 게이, < What's Going On> (1971) 브루스 스프링스틴, < Born to Run> (1975) |
|
2004년 등재 | |
존 콜트레인, <
Giant Steps> (1959) 제임스 브라운, < Live At The Apollo> (1963) 비치 보이스, < Pet Sounds> (1966) 올맨 브라더스 밴드, < At Fillmore East> (1971) 존 윌리엄스, < Star Wars> (1977) 퍼블릭 에너미, < Fear of a Black Planet> (1990) 너바나, < Nevermind> (1991) |
|
2005년 등재 | |
데이브 브루벡 콰르텟, <
Time Out> (1959) 비비 킹, < Live at the Regal> (1965) 지미 헨드릭스 익스피리언스, < Are You Experienced> (1967) 프랭크 자파 앤 더 마더스 오브 인벤션, < We're Only in It for the Money> (1968) 웬디 카를로스 < Switched On Bach> (1968) 스티비 원더, < Songs in the Key of Life> (1976) 소닉 유스, < Daydream Nation> (1988) |
|
2006년 등재 | |
피트 시거, <We Shall Overcome> (1963) 벨벳 언더그라운드 앤 니코, < The Velvet Underground & Nico> (1967)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 (1973) 사라 본, <Live in Japan> (1973) 폴 사이먼, < Graceland> (1986) |
|
2007년 등재 | |
조니 미첼, <For The Roses> (1972) 허비 행콕, < Head Hunters> (1973) 마이클 잭슨, < Thriller> (1982) |
|
2008년 등재 | |
뮤지컬 <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57) 더 후, <The Who Sings My Generation> (1966) |
|
2009년 등재 | |
뮤지컬 <
집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59) 빌 에반스 트리오, <The Complete Village Vanguard Recordings> (1961년 6월 25일) 더 밴드, < The Band> (1969) 패티 스미스, < Horses> (1975) 윌리 넬슨, <Red Headed Stranger> (1975) |
2010년대 등재 앨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10년 등재 |
헨리 맨시니, <
The Music from Peter Gunn> (1959) 캡틴 비프하트 앤 히스 매직 밴드, < Trout Mask Replica> (1969) 로저 페인, < Songs of the Humpback Whale> (1970) 스틸리 댄, < Aja> (1977) 데 라 소울, < 3 Feet High and Rising> (1989) |
|
2011년 등재 | |
빈스 과랄디 트리오, 애니메이션 <
A Charlie Brown Christmas> 사운드트랙 (1965) 러브, < Forever Changes> (1969) 프린스, < Purple Rain> (1984) |
|
2012년 등재 | |
사이먼 앤 가펑클, <Sounds of Silence> (1966) 오넷 콜먼, < The Shape of Jazz to Come> (1959) 핑크 플로이드, < The Dark Side of the Moon> (1973) 라몬즈, < Ramones> (1976) 비 지스 외, < Saturday Night Fever Soundtrack> (1977) |
|
2013년 등재 | |
아트 블래키, <A Night at Birdland> (1954) 린다 론스태드, <Heart Like a Wheel> (1974) 뮤지컬 < 스위니 토드>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79) U2, < The Joshua Tree> (1987) |
|
2014년 등재 | |
조안 바에즈, <
Joan Baez> (1960) 도어즈, < The Doors> (1967)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Stand!> (1969) 라디오헤드, < OK Computer> (1997) 로린 힐, <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1998) |
|
2015년 등재 | |
존 콜트레인, <
A Love Supreme> (1964) 산타나, '''' (1970) 조지 칼린, < Class Clown> (1972) 메탈리카, < Master of Puppets> (1986) |
|
2016년 등재 | |
소니 롤린스, <
Saxophone Colossus> (1956) 마티 로빈스, <Gunfighter Ballads and Trail Songs> (1959)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1964) 데이비드 보위, < The Rise and Fall of Ziggy Stardust and the Spiders from Mars> (1972) 이글스, <Their Greatest Hits (1971–1975)> (1976) 토킹 헤즈, < Remain in Light> (1980) N.W.A, < Straight Outta Compton> (1988) |
|
2017년 등재 | |
해리 벨라폰테, <
Calypso> (1956) 웨스 몽고메리, < The Incredible Jazz Guitar of Wes Montgomery> (1960) 영화 < 사운드 오브 뮤직> 사운드트랙 (1965) 스티브 라이히, 리처드 맥스필드, 폴린 올리베로스, <New Sounds in Electronic Music> (1967) 플리트우드 맥, < Rumours> (1977) Run-D.M.C., < Raising Hell> (1986) |
|
2018년 등재 | |
덱스터 고든, '''' (1962) 뮤지컬 < 헤어> 오리지널 브로드웨이 캐스트 앨범 (1968) 커티스 메이필드, < Super Fly> (1972) 신디 로퍼, < She's So Unusual> (1983) < Schoolhouse Rock!: The Box Set> (1996) JAY-Z, < The Blueprint> (2001) |
|
2019년 등재 | |
더스티 스프링필드, <
Dusty in Memphis> (1969) 칩 트릭, <Cheap Trick at Budokan> (1978) 티나 터너, < Private Dancer> (1984) 셀레나, <Ven Conmigo> (1962) 닥터 드레, < The Chronic> (1992) |
2020년대 등재 앨범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0년 등재 |
앨버트 킹, <Born Under a Bad Sign> (1967) 지미 클리프, < The Harder They Come> (1972) 팻 메시니, <Bright Size Life> (1976) 자넷 잭슨, < Janet Jackson's Rhythm Nation 1814> (1989) Nas, < Illmatic> (1994) |
|
2022년 등재 | |
듀크 엘링턴, <Ellington at Newport> (1956) 보니 레잇, < Nick of Time> (1989) 어 트라이브 콜드 퀘스트, < The Low End Theory> (1991) Wu-Tang Clan, < Enter the Wu-Tang (36 Chambers)> (1993) 부에나 비스타 소셜 클럽, < Buena Vista Social Club> (1997) 앨리샤 키스, < Songs In A Minor> (2001) |
|
2023년 등재 | |
Crosby,
Stills, Nash &
Young, <Déjà Vu> (1970) 더 폴리스, < Synchronicity> (1983) 마돈나, < Like a Virgin> (1984) 퀸 라티파, <All Hail the Queen> (1989) |
}}}}}}}}} ||
역대 평생공로상 수상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01년 | 2002년 | 2003년 | 2004년 | 2005년 |
휘트니 휴스턴 | Earth, Wind & Fire | 제임스 브라운 | 아이즐리 브라더스 | 글래디스 나이트 | |
2006년 | 2007년 | 2008년 | 2009년 | 2010년 | |
샤카 칸 | 다이애나 로스 | 알 그린 | 더 오제이스 | 프린스 | |
2011년 | 2012년 | 2013년 | 2014년 | 2015년 | |
패티 라벨 | Maze/Frankie Beverly | 찰리 윌슨 | 라이오넬 리치 | 스모키 로빈슨 | |
2016년 | 2017년 | 2018년 | 2019년 | 2021년 | |
새뮤얼 L. 잭슨 | 뉴 에디션 | 아니타 베이커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퀸 라티파 | |
2022년 | 2023년 | ||||
션 콤즈 | 버스타 라임즈 |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롤링 스톤이 2004년 엘비스 프레슬리 데뷔 50주년을 기념해 로큰롤(Rock And Roll)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선정했다. 롤링 스톤이 직접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중진, 음악평론가 등 총 55명의 패널을 뽑아 이들에게 투표를 실시한 결과다. 2011년 한 차례 개정했으나 기존 아티스트 순위는 거의 변동이 없어 새로 업데이트 된 아티스트에 대한 재평가가 주로 이뤄졌다. |
||||||||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밥 딜런 | 엘비스 프레슬리 | 롤링 스톤스 | 척 베리 | |||||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지미 헨드릭스 | 제임스 브라운 | 리틀 리처드 | 아레사 프랭클린 | 레이 찰스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밥 말리 | 비치 보이스 | 버디 홀리 | 레드 제플린 | 스티비 원더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샘 쿡 | 머디 워터스 | 마빈 게이 | 벨벳 언더그라운드 | 보 디들리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오티스 레딩 | U2 | 브루스 스프링스틴 | 제리 리 루이스 | 패츠 도미노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라몬즈 | 프린스 | 더 클래시 | 더 후 | 너바나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조니 캐시 | 스모키 로빈슨 앤 더 미라클스 | 에벌리 브라더스 | 닐 영 | 마이클 잭슨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마돈나 | 로이 오비슨 | 존 레논 | 데이비드 보위 | 사이먼 앤 가펑클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도어즈 | 밴 모리슨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퍼블릭 에너미 | 버즈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재니스 조플린 | 패티 스미스 | Run-D.M.C. | 엘튼 존 | 더 밴드 | |||||
51위부터는 문서 참조.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1위 - 10위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 2020년 발표.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
|
|
|
|
|
마빈 게이 | 비치 보이스 | 조니 미첼 | 스티비 원더 | 비틀즈 | |
What's Going On | Pet Sounds | Blue | Songs in the Key of Life | Abbey Road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
|
|
|
|
|
너바나 | 플리트우드 맥 | 프린스 | 밥 딜런 | 로린 힐 | |
Nevermind | Rumours | Purple Rain | Blood on the Tracks | The Miseducation of Lauryn Hill |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더블 앨범,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 |
선정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 (2008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2px" |
{{{#000,#ddd ※ 롤링 스톤이 2008년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아레사 프랭클린 | 레이 찰스 | 엘비스 프레슬리 | 샘 쿡 | 존 레논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마빈 게이 | 밥 딜런 | 오티스 레딩 | 스티비 원더 | 제임스 브라운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 - 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폴 매카트니 | 리틀 리처드 | 로이 오비슨 | 알 그린 | 로버트 플랜트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믹 재거 | 티나 터너 | 프레디 머큐리 | 밥 말리 | 스모키 로빈슨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조니 캐시 | 에타 제임스 | 데이비드 보위 | 밴 모리슨 | 마이클 잭슨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재키 윌슨 | 행크 윌리엄스 | 재니스 조플린 | 니나 시몬 | 프린스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하울링 울프 | 보노 | 스티브 윈우드 | 휘트니 휴스턴 | 더스티 스프링필드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브루스 스프링스틴 | 닐 영 | 엘튼 존 | 제프 버클리 | 커티스 메이필드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척 베리 | 조니 미첼 | 조지 존스 | 보비 밴드 | 커트 코베인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팻시 클라인 | 짐 모리슨 | 버디 홀리 | 도니 해서웨이 | 보니 레이트 | |||||
51위부터는 문서 참조. |
같이 보기: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1/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롤링 스톤이 2023년 250대 기타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실제 현역 기타리스트들과 평론가들이 뽑은 순위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지미 헨드릭스 | 척 베리 | 지미 페이지 | 에디 밴 헤일런 | 제프 벡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시스터 로제타 사프 | 나일 로저스 | 비비 킹 | 조니 미첼 | 듀언 올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65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카를로스 산타나 | 지미 노렌 | 토니 아이오미 | 프린스 | 키스 리처즈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로버트 존슨 | 메이벨 카터 | 톰 모렐로 | 프레디 킹 | 스티비 레이 본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랜디 로즈 | 앨버트 킹 | 커크 해밋 & 제임스 헷필드 | 제임스 버튼 | 존 프루시안테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세인트 빈센트 | 버디 가이 | 데이비드 길모어 | 에디 헤이즐 | 닐 영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조지 해리슨 | 잭 화이트 | 브라이언 메이 | 제리 가르시아 | 에릭 클랩튼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엘리자베스 코튼 | 피트 타운젠드 | 앵거스 영 & 말콤 영 | 쳇 앳킨스 | 존 페히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보 디들리 | 버논 레이드 | 조니 그린우드 & 에드 오브라이언 | 조니 라몬 | 스티브 크루퍼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프랭크 자파 | 디 에지 | 커티스 메이필드 | PJ 하비 | 엘모어 제임스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톰 베를렌 | 존 리 후커 | 트레이 아나스타시오 | 보니 래잇 | 믹 테일러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조니 마 | 서스턴 무어 & 리 라날도 | 알렉스 라이프슨 | 로버트 프립 | 스코티 무어 | |||||
<rowcolor=#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존 메이어 | 피터 그린 | 리처드 톰슨 | 스티브 크루퍼 | 캐리 브라운스타인 | |||||
66위부터는 링크 참조. |
같이 보기: 롤링 스톤 선정 100대 기타리스트 | }}}}}}}}} |
선정 100대 기타리스트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롤링 스톤이 2015년 100대 기타리스트를 선정한 순위다. 실제 현역 기타리스트들과 평론가들이 뽑은 순위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지미 헨드릭스 | 에릭 클랩튼 | 지미 페이지 | 키스 리처즈 | 제프 벡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비비 킹 | 척 베리 | 에디 밴 헤일런 | 듀언 올맨 | 피트 타운젠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75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조지 해리슨 | 스티비 레이 본 | 앨버트 킹 | 데이비드 길모어 | 프레디 킹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데릭 트럭스 | 닐 영 | 레스 폴 | 제임스 버턴 | 카를로스 산타나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쳇 앳킨스 | 프랭크 자파 | 버디 가이 | 앵거스 영 | 토니 아이오미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브라이언 메이 | 보 디들리 | 조니 라몬 | 스코티 모어 | 엘모어 제임스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라이 쿠더 | 빌리 기븐스 | 프린스 | 커티스 메이필드 | 존 리 후커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랜디 로즈 | 믹 테일러 | 디 에지 | 스티브 크로퍼 | 톰 모렐로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믹 론슨 | 마이크 블룸필드 | 휴버트 서믈린 | 마크 노플러 | 링크 레이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제리 가르시아 | 스티븐 스틸스 | 조니 그린우드 | 머디 워터스 | 리치 블랙모어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조니 마 | 클라렌스 화이트 | 오티스 러쉬 | 조 월시 | 존 레논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앨버트 콜린스 | 로리 갤러거 | 피터 그린 | 로비 로버트슨 | 론 애시튼 | |||||
<rowcolor=#fff> 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디키 베츠 | 로버트 프립 | 조니 윈터 | 듀언 에디 | 슬래시 | |||||
<rowcolor=#fff> 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레슬리 웨스트 | T-본 워커 | 존 맥로플린 | 리처드 톰슨 | 잭 화이트 | |||||
<rowcolor=#fff> 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로버트 존슨 | 존 프루시안테 | 커트 코베인 | 딕 데일 | 조니 미첼 | |||||
76위부터는 문서 참조. |
같이 보기: 최신 버전, 명반, 명곡, 앨범 커버, 아티스트, 송라이터, 기타리스트, 보컬리스트 1 / 2, 베이시스트, 드러머, 듀오 | }}}}}}}}} |
선정 가장 위대한 음악 프로듀서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영국의 음악 잡지 NME가 2012년 " 50 Of The Greatest Producers Ever"를 선정한 순위다. | ||||||||
<rowcolor=#fff,#000>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조 믹 | 조지 마틴 | 퀸시 존스 | 나일 로저스 | 필 스펙터 | |||||
<rowcolor=#fff,#000>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릭 루빈 | 브라이언 이노 | 브라이언 윌슨 | 부치 빅 | 닥터 드레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1위-50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000>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리 스크레치 페리 | 아리프 말딘 | 팀발랜드 | 나이젤 고드리치 | 티 본 버닛 | |||||
<rowcolor=#fff,#000>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넵튠스 | 스티픈 스트리트 | 토드 런그렌 | 다니엘 라누아 | 앤드루 웨더럴 | |||||
<rowcolor=#fff,#000>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크리스 토마스 | 베이비페이스 | 짐 스타인먼 | DJ 프리미어 | 존 레키 | |||||
<rowcolor=#fff,#000>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테오 마세로 | 로버트 존 머트 랭 | 제이 딜라 | 베리 골디 | 샘 필립스 | |||||
<rowcolor=#fff,#000>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톰 다우드 | 지미 로바인 | 데인저 마우스 | 비두 | 제프 린 | |||||
<rowcolor=#fff,#000>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맥스 마틴 | 마크 론슨 | 프린스 | 트렌트 레즈너 | 스티비 릴리화이트 | |||||
<rowcolor=#fff,#000>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트레버 혼 | 스티브 알비니 | 지미 밀러 | 제리 웩슬러 | 로이 토마스 베이커 | |||||
<rowcolor=#fff,#000>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RZA | 피트 록 | 조지 클린턴 | 폴 에버스 | DJ 섀도우 |
같이 보기 : NME 선정 500대 명반 |
스핀 매거진 선정 지난 35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000,#fff> 2020년 음악 잡지 스핀이 창간 35주년을 기념해서 1985년부터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를 발표했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너바나 | 프린스 | 마돈나 | N.W.A | 나인 인치 네일스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투팍 샤커 | Run-D.M.C. | R.E.M. | 퍼블릭 에너미 |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건즈 앤 로지스 | 비스티 보이즈 | 닥터 드레 | U2 | 펄 잼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The Neptunes | 노토리어스 B.I.G. | 토리 에이모스 | 마이클 잭슨 | 제인스 어딕션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아웃캐스트 | 라디오 헤드 | 칸예 웨스트 | 제이지 | 에미넴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비욘세 | 리키 마틴 | 레이디 가가 | 타일러, 더 크리에이터 | 스파이스 걸스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비키니 킬 | 드레이크 | 빌리 아일리시 | 서브라임 | 노 다웃 |
선정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 2010년 미국의 케이블 음악채널 VH1에서 음악평론가와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종사자 등 총 200명 이상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대중음악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Top 100' 순위를 정했다.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마이클 잭슨 | 레드 제플린 | 롤링 스톤스 | 밥 딜런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지미 헨드릭스 | 프린스 | 엘비스 프레슬리 | 제임스 브라운 | 스티비 원더 |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밥 말리 | 데이비드 보위 | 더 후 | 너바나 | 비치 보이스 |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마돈나 | 퀸 | 핑크 플로이드 | U2 | 마빈 게이 |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브루스 스프링스틴 | 더 클래시 | AC/DC | 벨벳 언더그라운드 | 척 베리 |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닐 영 | 아레사 프랭클린 | 엘튼 존 | 라디오헤드 | 에어로스미스 |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존 레논 | 블랙 사바스 | 건즈 앤 로지스 | 티나 터너 | 조니 캐시 |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폴 매카트니 | 플리트우드 맥 | 슬라이 & 더 패밀리 스톤 | 킹크스 | 폴리스 |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밴 헤일런 | 메탈리카 | 레이 찰스 | 조니 미첼 | 알 그린 | |
<rowcolor=#fff>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라몬즈 | JAY-Z | 레이지 어게인스트 더 머신 | 팔리아멘트-펑카델릭 | 샤데이 | |
<rowcolor=#fff>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빌리 조엘 | 비욘세 | 리틀 리처드 | 퍼블릭 에너미 | 피터 가브리엘 | |
<rowcolor=#fff>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키스 | 스투지스 | 칩 트릭 | 톰 페티 앤 더 하트브레이커스 | 휘트니 휴스턴 | |
<rowcolor=#fff>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크림 | 제네시스 | 노토리어스 B.I.G. | 토킹 헤즈 | 도어즈 | |
<rowcolor=#fff>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저스틴 팀버레이크 | 콜드플레이 | 오티스 레딩 | 투팍 샤커 | 데프 레파드 | |
<rowcolor=#fff>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R.E.M. | 재니스 조플린 | 밴 모리슨 | 더 큐어 | 러시 | |
<rowcolor=#fff>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Run-D.M.C. | 레너드 스키너드 | 주다스 프리스트 | 에미넴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
<rowcolor=#fff>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ABBA | 스틸리 댄 | 어스 윈드 & 파이어 | 커티스 메이필드 | 더 밴드 | |
<rowcolor=#fff>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N.W.A. | 조지 마이클 | 비 지스 | 비스티 보이즈 | 엘비스 코스텔로 | |
<rowcolor=#fff>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그린 데이 | LL Cool J | 펄 잼 | 머라이어 캐리 | 아웃캐스트 | |
<rowcolor=#fff>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저니 | 프리텐더스 | 디페시 모드 | 홀 앤 오츠 | 앨리샤 키스 | |
출처 | }}}}}}}}} |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 어클레임드 뮤직의 올타임 아티스트 순위. 기본적으로 역사상의 앨범/노래의 순위를 매기는 형식의 사이트이지만,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밥 딜런 | 롤링 스톤스 | 데이비드 보위 | 브루스 스프링스틴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라디오헤드 | 레드 제플린 | 닐 영 | 프린스 | 비치 보이스 |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R.E.M. | 엘비스 프레슬리 | 칸예 웨스트 | 더 후 | U2 |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마일스 데이비스 | 벨벳 언더그라운드 | 너바나 | 더 클래시 | 지미 헨드릭스 |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마빈 게이 | 핑크 플로이드 | 엘비스 코스텔로 | 스티비 원더 | 닉 케이브 앤 더 배드 시즈 |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마돈나 | 밥 말리 앤 더 웨일러스 | 더 스미스 | 마이클 잭슨 | 밴 모리슨 |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토킹 헤즈 | 켄드릭 라마 | 아케이드 파이어 | 아레사 프랭클린 | 비요크 |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JAY-Z | 제임스 브라운 | 톰 웨이츠 | 존 콜트레인 | PJ 하비 |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킹크스 | 퍼블릭 에너미 | 버즈 | 비스티 보이즈 | 조니 미첼 | |
<rowcolor=#fff>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벡 한센 | 더 큐어 | 존 레논 | 도어즈 | LCD 사운드시스템 | |
<rowcolor=#fff>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블러 | 크라프트베르크 | 레너드 코헨 | 픽시즈 | 루 리드 | |
<rowcolor=#fff>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조니 캐쉬 | 소닉 유스 | 록시 뮤직 | 오아시스 | 플리트우드 맥 | |
<rowcolor=#fff>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듀크 엘링턴 | 더 밴드 | 아웃캐스트 | 다프트 펑크 | |
<rowcolor=#fff>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사이먼 앤 가펑클 | 프랭크 시나트라 | 척 베리 | 프랭크 오션 | 비욘세 | |
<rowcolor=#fff>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슬라이 앤 더 패밀리 스톤 | 조이 디비전 | AC/DC | 윌코 | 오티스 레딩 | |
<rowcolor=#fff>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뉴 오더 | 메탈리카 | 화이트 스트라입스 | 라몬즈 | 더 폴리스 | |
<rowcolor=#fff>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스투지스 | 브라이언 이노 | 엘튼 존 | 뱀파이어 위켄드 | 퀸 | |
<rowcolor=#fff>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섹스 피스톨즈 | 매시브 어택 | 레이 찰스 | 스틸리 댄 | 블랙 사바스 | |
<rowcolor=#fff>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케이트 부시 | 악틱 몽키즈 | 찰스 밍거스 | 패티 스미스 | 포티스헤드 | |
<rowcolor=#fff>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건즈 앤 로지스 | 페이브먼트 | 수프얀 스티븐스 | 알 그린 | 펑카델릭 | |
101위 ~ 4112위: 공식 사이트 | }}}}}}}}} |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80년대 최고 아티스트 |
|||||
<row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프린스 | 더 스미스 | U2 | 브루스 스프링스틴 | R.E.M.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마돈나 | 마이클 잭슨 | 더 큐어 | 픽시즈 | 토킹 헤즈 | |
'''' ← '''' → ''''
|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5px" |
※ 2015년 빌보드 직원들이 차트 성적이나 판매량 기준이 아닌 영향력, 음악적 유산 등을 고려하여 Top 35를 선정했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마이클 잭슨 | 스티비 원더 | 스모키 로빈슨 | 레이 찰스 | 아레사 프랭클린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제임스 브라운 | 마빈 게이 | 프린스 | 휘트니 휴스턴 | 알 그린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빌 위더스 | 라이오넬 리치 | 커티스 메이필드 | 루서 밴드로스 | R. 켈리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베이비페이스 | 자넷 잭슨 | 다이애나 로스 | 샤카 칸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비욘세 | 패티 라벨 | 배리 화이트 | 아이작 헤이즈 | 도니 해서웨이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아니타 베이커 | 앨리샤 키스 | 샘 쿡 | 티나 터너 | 에리카 바두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어셔 | 디안젤로 | 맥스웰 | 질 스콧 | 에타 제임스 | |
같이 보기: 가장 위대한 프론트맨 · 가장 위대한 록 가수 · 가장 위대한 알앤비 가수 · 가장 위대한 래퍼 | }}}}}}}}}}}} |
선정 가장 위대한 R&B 아티스트 | |||||
{{{#!wiki style="margin: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6px" |
※ 2011년 패션, 뷰티, 문화, 엔터테인먼트를 다루는 흑인 여성 중심의 월간 잡지 Essence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R&B 아티스트 Top 50' 순위를 정했다.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아레사 프랭클린 | 마이클 잭슨 | 스티비 원더 | 마빈 게이 | 프린스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휘트니 휴스턴 | 루서 밴드로스 | 커티스 메이필드 | 아이즐리 브라더스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다이애나 로스 | 머라이어 캐리 | 비욘세 | 제임스 브라운 | 샘 쿡 |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퀸시 존스 | 글래디스 나이트 | 샤카 칸 | 패티 라벨 | R. 켈리 |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라이오넬 리치 | 맥스웰 | 로린 힐 | 갬블 앤 허프 | 레이 찰스 |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어셔 | 디안젤로 | 디안젤로 | 질 스콧 | 알리야 |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팀발랜드 | 애쉬포드 앤 심슨 | 자넷 잭슨 | 샤데이 | 프랭키 비벌리 앤 메이즈 |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앨리샤 키스 | 티나 마리 | 도니 해서웨이 | 뉴 에디션 | 에타 제임스 |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아니타 베이커 | 에리카 바두 | 테디 펜더그래스 | TLC | 리아나 | |
<rowcolor=#fff>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어스 윈드 앤 파이어 | 토니 브랙스턴 | 보이즈 투 멘 | 배리 화이트 | 베이비페이스 | |
출처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
※ 2019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Hot 1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곡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싱글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 ||||
<rowcolor=#fff>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마돈나 | 엘튼 존 | 엘비스 프레슬리 | 머라이어 캐리 | |
<rowcolor=#fff>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스티비 원더 | 자넷 잭슨 | 마이클 잭슨 | 휘트니 휴스턴 | 리아나 | |
<rowcolor=#fff>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드레이크 | 롤링 스톤스 | 폴 매카트니 | 비 지스 | 어셔 | |
<rowcolor=#fff>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시카고 | 슈프림즈 | 프린스 | 홀 앤 오츠 | 로드 스튜어트 | |
<rowcolor=#fff>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테일러 스위프트 | 올리비아 뉴튼 존 | 아레사 프랭클린 | 마룬 5 | 마빈 게이 | |
<rowcolor=#fff>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케이티 페리 | 필 콜린스 | 빌리 조엘 | 브루노 마스 | 다이애나 로스 | |
<rowcolor=#fff>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포 시즌스 | 템테이션스 | 도나 서머 | 비치 보이스 | 라이오넬 리치 | |
<rowcolor=#fff>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닐 다이아몬드 | 카펜터즈 | 저스틴 비버 | 잭슨 파이브 | 보이즈 투 멘 | |
<rowcolor=#fff>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코니 프랜시스 | 브렌다 리 | 더 위켄드 | 비욘세 | 크리스 브라운 | |
<rowcolor=#fff>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케니 로저스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브라이언 아담스 | 셰어 | 블랙 아이드 피스 | |
<rowcolor=#fff>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조지 마이클 | 핑크 | 바비 빈튼 | 존 멜렌캠프 | 레이디 가가 | |
<rowcolor=#fff>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쓰리 도그 나이트 | 휴이 루이스 앤 더 뉴스 | 글로리아 에스테판/마이애미 사운드 머신 | 본 조비 | 처비 체커 | |
<rowcolor=#fff>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레이 찰스 | 포리너 | 쿨 & 더 갱 | 글래디스 나이트 앤 더 핍스 | 리키 넬슨 | |
<rowcolor=#fff>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듀란 듀란 | 저스틴 팀버레이크 | 코모도스 | 이글스 | TLC | |
<rowcolor=#fff>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폴 앵카 | 에미넴 | 배리 매닐로 | 디안 워윅 | 넬리 | |
<rowcolor=#fff>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하트 | 포스트 말론 | 아리아나 그란데 | 에벌리 브라더스 | 칸예 웨스트 | |
<rowcolor=#fff>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바비 다린 | R. 켈리 | 제임스 브라운 | 폴라 압둘 | 켈리 클락슨 | |
<rowcolor=#fff>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앨리샤 키스 | 에드 시런 | 린다 론스태드 | 리처드 막스 | 데스티니스 차일드 | |
<rowcolor=#fff>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셀린 디옹 | JAY-Z | 미라클스 | 디온 | 플리트우드 맥 | |
<rowcolor=#fff>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밥 시거/실버 불릿 밴드 | 닐 세다카 |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 포인터 시스터스 | 존 덴버 | |
출처 |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1위 – 100위 ] {{{#!wiki style="margin: -6px -1px -15px" |
※ 2015년 빌보드가 발표한 빌보드 200 차트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아티스트 순위다. 얼마나 많은 앨범들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유지했는가를 기준으로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앨범을 많이 낸 뮤지션들이 더 유리한 결과가 나올 가능성도 크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비틀즈 | 롤링 스톤스 | 바브라 스트라이샌드 | 가스 브룩스 | 엘튼 존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머라이어 캐리 | 허브 앨퍼트 | 테일러 스위프트 | 시카고 | 마이클 잭슨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레드 제플린 | 브루스 스프링스틴 & E 스트리트 밴드 | 로드 스튜어트 | 에미넴 | 휘트니 휴스턴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빌리 조엘 | 마돈나 | 산타나 | 이글스 | 플리트우드 맥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밥 딜런 | 스티비 원더 | 셀린 디옹 | 에릭 클랩튼 | 닐 다이아몬드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존 덴버 | 핑크 플로이드 | 자넷 잭슨 | 프린스 | 캐롤 킹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마일리 사이러스 | 니켈백 | 팀 맥그로 | 밴 헤일런 | 비치 보이스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U2 | 아델 | 엘비스 프레슬리 | 브리트니 스피어스 | 어셔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템테이션스 | 린킨 파크 | JAY-Z | 앨런 잭슨 | 본 조비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건즈 앤 로지스 | 샤니아 트웨인 | 캐리 언더우드 | 몽키즈 | 에어로스미스 | |
<rowcolor=#fff>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제임스 테일러 | 슈프림즈 | 앨리샤 키스 | 메탈리카 | 데프 레파드 | |
<rowcolor=#fff>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폴 매카트니 | 린다 론스태드 | 저니 | 메리 제이 블라이즈 | 제쓰로 툴 | |
<rowcolor=#fff>61위 | 62위 | 63위 | 64위 | 65위 | |
래스컬 플래츠 | 포리너 | 존 멜렌캠프 | 사이먼 앤 가펑클 | 케니 체스니 | |
<rowcolor=#fff>66위 | 67위 | 68위 | 69위 | 70위 | |
키드 락 | 앤디 윌리엄스 | 조지 스트레이트 | 백스트리트 보이즈 | 마이클 볼튼 | |
<rowcolor=#fff>71위 | 72위 | 73위 | 74위 | 75위 | |
피터 폴 앤 메리 | 라이오넬 리치 | 아레사 프랭클린 | 요세프/캣 스티븐스 | 밥 시거 | |
<rowcolor=#fff>76위 | 77위 | 78위 | 79위 | 80위 | |
AC/DC | 비욘세 | 펄 잼 | 토비 키스 | 더 후 | |
<rowcolor=#fff>81위 | 82위 | 83위 | 84위 | 85위 | |
폴 사이먼 | 무디 블루스 | 저스틴 비버 | 노라 존스 | 크리던스 클리어워터 리바이벌 | |
<rowcolor=#fff>86위 | 87위 | 88위 | 89위 | 90위 | |
넬리 | 두비 브라더스 | 핑크 | 조쉬 그로반 | 닐 영 | |
<rowcolor=#fff>91위 | 92위 | 93위 | 94위 | 95위 | |
프랭크 시나트라 | 그린 데이 | 더 칙스 | 어스 윈드 앤 파이어 | 하트 | |
<rowcolor=#fff>96위 | 97위 | 98위 | 99위 | 100위 | |
레이디 가가 | R. 켈리 | 보이즈 투 멘 | 케니 지 | 비 지스 | |
출처 | }}}}}}}}} |
{{{#!wiki style="margin:0 -10px" {{{#000,#fff {{{#!folding [ 1위 – 60위 ] {{{#!wiki style="margin:-5px -1px -10px -1px" |
※ 2018년 빌보드에서 Hot 100 차트 60주년 기념으로 1958년부터 2018년까지 차트에 오른 곡들을 분석해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남성 아티스트들을 발표했다. 얼마나 많은 싱글을 차트에 높은 순위로 진입시키고 오래 유지했는가를 누적치로 계산하여 산정한 리스트이기 때문에 영향력이나 음악성과 같은 평론적인 요소들이 반영된 것은 아니며 순전히 상업적인 성공도가 기준이다. | ||||||||
<rowcolor=#fff> 1위 | 2위 | 3위 | 4위 | 5위 | |||||
엘튼 존 | 엘비스 프레슬리 | 스티비 원더 | 마이클 잭슨 | 폴 매카트니 | |||||
<rowcolor=#fff> 6위 | 7위 | 8위 | 9위 | 10위 | |||||
어셔 | 프린스 | 로드 스튜어트 | 드레이크 | 마빈 게이 | |||||
<rowcolor=#fff> 11위 | 12위 | 13위 | 14위 | 15위 | |||||
필 콜린스 | 빌리 조엘 | 라이오넬 리치 | 브루노 마스 | 닐 다이아몬드 | |||||
<rowcolor=#fff> 16위 | 17위 | 18위 | 19위 | 20위 | |||||
케니 로저스 | 브라이언 아담스 | 조지 마이클 | 바비 빈튼 | 존 멜렌캠프 | |||||
<rowcolor=#fff> 21위 | 22위 | 23위 | 24위 | 25위 | |||||
처비 체커 | 레이 찰스 | 크리스 브라운 | 리키 넬슨 | 저스틴 팀버레이크 | |||||
<rowcolor=#fff> 26위 | 27위 | 28위 | 29위 | 30위 | |||||
폴 앵카 | 배리 매닐로 | 넬리 | 바비 다린 | R. 켈리 | |||||
<rowcolor=#fff> 31위 | 32위 | 33위 | 34위 | 35위 | |||||
제임스 브라운 | 에미넴 | 리처드 막스 | 칸예 웨스트 | JAY-Z | |||||
<rowcolor=#fff> 36위 | 37위 | 38위 | 39위 | 40위 | |||||
밥 시거 | 닐 세다카 | 저스틴 비버 | 브루스 스프링스틴 | 존 덴버 | |||||
<rowcolor=#fff> 41위 | 42위 | 43위 | 44위 | 45위 | |||||
50 센트 | 플로 라이다 | 앤디 깁 | 로이 오비슨 | 디온 | |||||
<rowcolor=#fff> 46위 | 47위 | 48위 | 49위 | 50위 | |||||
빌리 오션 | 토미 제임스 | 존 레논 | 브룩 벤턴 | 마이클 볼튼 | |||||
<rowcolor=#fff> 51위 | 52위 | 53위 | 54위 | 55위 | |||||
릴 웨인 | 바비 브라운 | 에드 시런 | 루다크리스 | 에릭 클랩튼 | |||||
<rowcolor=#fff> 56위 | 57위 | 58위 | 59위 | 60위 | |||||
쟈니 리버스 | 글렌 캠벨 | 릭 스프링필드 | T.I. | 더 위켄드 | |||||
출처 | }}}}}}}}}}}}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 ||||
음악상 | ||||
제56회 ( 1984년) |
→ |
제57회 ( 1985년) |
→ |
제58회 ( 1986년) |
미셸 르그랑, 앨런 버그만, 마릴린 버그만 (엔틀) |
→ |
프린스 ( 퍼플 레인) |
→ |
존 배리 ( 아웃 오브 아프리카) |
빌 콘티 (필사의 도전) |
모리스 자르 (인도로 가는 길) |
|||
역대 빌보드 뮤직 어워드 | ||||
Icon Award | ||||
2012년 | → | 2013년 | → | 2014년 |
스티비 원더 | → | 프린스 | → | 제니퍼 로페즈 |
역대 골든 글러브 시상식 | ||||
주제가상 수상자 | ||||
제57회 ( 2006년) |
→ |
제58회 ( 2007년) |
→ |
제59회 ( 2008년) |
A Love That Will Never Grow Old 구스타보 산타올랄라 버니 토핀 ( 브로크백 마운틴) |
→ |
The Song of the Heart 프린스 ( 해피 피트) |
→ |
Guaranteed 에디 베더 ( 인투 더 와일드) |
<colcolor=#fff> 프린스 Prince |
||||
|
||||
<colbgcolor=#800080> 본명 |
프린스 로저스 넬슨 Prince Rogers Nelson[1] |
|||
출생 | 1958년 6월 7일 | |||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 | ||||
사망 | 2016년 4월 21일 (향년 57세) | |||
미국 미네소타주 챈하센 | ||||
국적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직업 | 음악가, 작곡가, 음악 프로듀서, 배우 | |||
로고 및 서명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800080><colcolor=#fff> 가족 |
아버지 존 L. 넬슨 여동생 티카 넬슨 아들 아미어 넬슨 |
||
배우자 |
마이테 가르시아(1996년 결혼 ~ 2000년 이혼) 마누엘라 테스톨리니[2](2001년 결혼 ~ 2006년 이혼) |
|||
레이블 | Warner Bros., Paisley Park, NPG, EMI, Columbia, Arista, Universal | |||
신체 | 157cm | |||
활동 | 1975년 – 2016년 | |||
데뷔 | 1978년 앨범 ‘For You’ | |||
장르 | 팝, 소울, 펑크, R&B, 록, 디스코, 미니애폴리스 사운드, 프로그레시브 소울 | |||
악기 | 보컬, 기타, 키보드, 피아노, 베이스 기타, 드럼 | |||
종교 | 여호와의 증인 | |||
별명 | The Purple One, His Royal Badness[3] | |||
링크 |
[clearfix]
1. 개요
|
2. 생애 및 활동 내역
2.1. 생애 및 주요 활동
프린스는 1980년대를 대표하는 미국의 전설적인 뮤지션이다.
1978년 데뷔 앨범 For You를 발매하며 데뷔하였다. 이때 그의 나이는 불과 19세에 불과하였으나, 작사와 작곡은 물론 편곡과 악기 연주, 심지어 프로듀싱까지 전부 혼자서 하며 당시 음악 업계에서 주목을 받았다. 이후 두번째 앨범인 Prince를 발매하였는데, 이 앨범은 그의 가수로서의 첫 번째 히트곡인 I wanna be your lover[4] 가 포함되어 있었기에, 대중들에게도 주목을 받는 계기가 되었다.
1980년 발매한 세번째 앨범 Dirty Mind는 성적인 가사와 도발적인 이미지로 논란을 일으켰지만, 동시에 펑크 록, 뉴웨이브를 결합한 음악적 실험으로 평론가들에게 엄청난 극찬을 받으며,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자리매김 하였다. 다만 선정적 가사와 컨셉이 영향을 끼쳤는지, Prince 앨범에 비해 판매량은 그다지 좋지 못하였다.
1981년, 프린스는 네번재 앨범 Controversy를 발매한다.이 앨범은 그의 음악적 스타일을 한층 더 발전시킨 앨범으로, 특히 강한 사회적 메세지가 들어있다. 타이틀곡 Controversy는 "Am I black or white? Am I straight or gay?"[5] 라는 가사를 통해 프린스 자신의 정체성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이 앨범은 특히 그의 정체성에 관련된 질문과 사회적인 메세지가 긍정적인 반응을 받으며 성공을 거두었다.
1982년, 다섯번째 앨범인 1999를 발매하면서 프린스는 비로소 슈퍼스타의 반열에 오르게 되었다. 그의 이전의 앨범들은 대중과 평단의 반응이 따로노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 앨범 이후로 그는 작품성과 대중성을 동시에 잡으면서 대중과 평단에게 모두 인정받는 뮤지션이 되었다. 이 앨범은 그의 첫 멀티플래티넘 앨범이기도 하다.
이후 1984년 발표한 Purple Rain은 그의 최고의 히트작이라고 할수 있다. 이 앨범은 직접 주연한 동명 영화의 사운드트랙으로 음반은 빌보드 200에서 24주 연속 1위를 기록하며 미국에서만 1,300만 장 이상이 팔렸다. 이 음반에서 9분이 넘는 대곡 Purple Rain[6], When Doves Cry[] 1984년 빌보드 연말 차트 1위], Let's Go Crazy[8], I Would Die 4 U 등이 싱글차트를 휩쓸었다. 이어서 바로 다음해 Around the World in a Day 음반으로 차트를 점령했다. 이 시절이 프린스의 최고 전성기.
자신의 최대의 히트 앨범과 동명이자 자전적인 스토리를 담은 영화 퍼플 레인에도 출연, 영화도 나름 흥행했다. 당시가 바로 리즈 시절이며, When Doves Cry, Let's Go Crazy를 모두 싱글 차트 1위에 랭크시키는 기염을 토하고, 앨범도 천만 장이 넘는 슈퍼 밀리언 셀러를 기록했다.
프린스의 저택에는 미발표곡이 1,000곡 정도가 쌓여 있다고 하는데, 프린스 팬들은 이를 'The Vault'라고 부른다. 본래 그는 1,000곡을 전부 차례로 발표하려고 했으나, 음반사에서 프로모션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필사적으로 뜯어말렸다고 한다. 사실 이런 문제들이 아래 서술하는 음반사와의 갈등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Purple Rain 앨범의 디럭스 재발매 에디션에서 Purple Rain의 The Vault 버전이 같이 딸려 나오기도 하였다.
이 시절 우리나라에서도 정식으로 음반이 발매되어, 마이클 잭슨의 라이벌로 여겨지면서 큰 인기를 얻게 된다. 처음엔 단순히 댄스가수로 오인되었지만, 곧 그가 싱어송라이터이자 대단한 기타리스트 라는 인식이 자리 잡게 되었다.
앞서 언급된 프린스가 1985년 발매한 Around the World in a Day 앨범은 현재까지도 유명한 히트곡인 Raspberry Beret이 포함된 앨범으로, 프린스가 이전 앨범에서 보여준 펑크와 록, R&B적 요소에서 벗어나, 사이키델릭 록과 월드 뮤직의 영향을 받은 앨범이다. 프린스 커리어에서 상당히 창의적이고 음악적으로 대담한 시도로 평가받으며 평단에게 좋은 평가를 받았다. 다만 급격한 음악적 노선 변경때문인지 앨범 판매량은 전작 Purple Rain에 비해서는 좋지 못했고, 그 당시 일부 비평가들도 그 원인 때문인지 좋지 않은 평가를 내렸다.
1986년, 프린스는 그의 여덟번째 스튜디오 앨범 Parade를 발매한다. 그 유명한 Kiss가 들어있는 앨범으로, 이 앨범은 재즈, 팝, 펑크, 클래식, 사이키델릭 록 등을 융합한 독특한 사운드가 특징이다. Kiss, Girls & Boys, Sometimes It Snows in April등이 히트했으며, 프린스의 사운드가 돌아왔다며 대중들과 평단에게 극찬을 받았다.
Parade 앨범은 사실 프린스가 주연하고 감독까지 맡은 영화 Under the Cherry Moon의 사운드트랙이기도 하다. 다만 영화 자체는 평가가 그다지 좋지는 못하다. 영화의 내용은 프랑스를 배경으로한 로맨틱 드라마로, 크리스토퍼 트레이시(프린스)와 트릭시(제롬 밴턴[9])가 부유한 여성을 사랑하게 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리는데, 영화 평론가들은 프린스의 영화적 연출에 대해서 혹평을 남겼고, 상업적으로도 높은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다만 시간이 지난 지금, 이 영화는 컬트적 요소로 프린스 팬들에 의해 재발굴이 되고 있다.
다음해 프린스는 1987년 명반 Sign 'O' the Times 를 발매하였다. 이 앨범은 Purple Rain 만큼의 성공을 거두지는 못하였으나, 현대 R&B에 엄청난 영향을 끼친 앨범으로 평가되며 평론가들에게 엄청난 극찬을 받았다.
1988년, 프린스는 10집 Lovesexy 앨범을 발표한다. 상당히 야한 앨범커버가 특징으로, 장르의 융합과 영적 주제를 담고있다. 대표곡은 Alphabe St. 이 앨범을 내고 프린스는 Lovesexy Tour를 진행했는데 북미와 유럽에서 큰 흥행을 거뒀으며, 강렬한 퍼포먼스와 복장으로 많은 팬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
1988년 말, 워너 브라더스는 프린스에게 팀 버튼의 배트맨(1989년 영화)의 사운드트랙 작업을 제안했다. 프린스는 제안을 수락하고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게 되었다. 1989년초, 프린스는 미친듯이 사운드트랙 작곡에 돌입했다. 그리고 몇주만에 앨범의 대부분을 완성시켰다. 프린스의 음악은 영화의 어두운 분위기에 중요한 역할을 했는데, 예를들어 잭 니콜슨이 맡은 조커가 예술 갤러리를 망치는 장면에 "Partyman"이 사용되며 그 장면의 혼란스러운 에너지와 조커의 카리스마를 잘 드러냈다.
이렇게 1989년 발매된 Batman 앨범의 싱글 수록곡 Batdance는 빌보드 차트 1위를 기록하는 등 상업적으로도 크게 성공하였다. Batdance의 싱글 차트 성적도 있지만, Batman 앨범 역시 빌보드 200 1위를 기록하는 등 앨범도 초 히트를 기록했다. Batdance와 Batman 사운드 트랙의 성공은 영화의 흥행에도 영향을 끼쳤으며, 더 많은 관객을 극장으로 불러들이는 효과를 낳기도 하였다. Batman 앨범과 배트맨(1989년 영화)는 영화 음악이 영화의 전체 분위기와 캐릭터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 또한 영화와 음악이 상호 보완적인 작용으로 얼마나 시너지가 나올수 있는지 보여주는 좋은 예시가 되었다.
1990년, 프린스는 앨범 Graffiti Bridge 를 발표하고 "Nude Tour"를 진행한다. Graffiti Bridge 앨범의 대표곡은 Thieves in the temple. Nude Tour는 프린스가 유럽과 일본에서 개최한 월드투어이며, 세트리스트는 Lovesexy 앨범과 Batman 앨범의 신곡들과 자신의 이전 히트곡들을 대부분 섞어 불렀다. Nude Tour는 곡을 메들리 식으로 이어 부르는 특징이 있어서, 관객들의 몰입감을 끊기지 않게 유지하게 하는 식의 무대 구성을 택했고, NPG가 공식적으로 데뷔하기도 하였다. 주목할 점은 1990년대 초반에 프린스가 장발을 하고, 수염을 기르고 나왔다는 점.
1991년, 프린스는 그의 13집인 Diamonds and Pearls 앨범을 발표한다. 이 앨범에는 빌보드 차트 1위를 기록한 Cream, 프린스의 노래중에서도 손꼽히게 아름다운 노래로 불리는 Diamonds and Pearls 가 있다. 여담으로 Diamonds and Pearls 의 경우, 슬램덩크의 서태웅이 좋아해서, 이어폰으로 듣는 노래라는 설정이 있다.
프린스는 이렇게 팝뮤직계의 슈퍼스타로 부상했지만, 1990년대 중반부터 음반사와의 갈등으로 제대로 된 활동을 하지 못했다. 1991년 Diamond and Pearls 앨범의 성공 이후로 2004년까지의 프린스의 기나긴 암흑기가 시작되었다.
프린스가 기행의 상징이 된 가장 큰 원인이 바로 소속사와의 기나긴 분쟁인데, 프린스의 창작 욕구와 재능은, 다른 뮤지션들과는 차원을 달리하는 숫자의 곡을 만들게 했고 프린스는 이 음악들을 엮어서 꾸준히 앨범으로 발매하고 싶어했다.[10] 그러나 소속사는 앨범의 희소성, 판매량등을 고려해 2년에 한 번 정도 발표하기를 원했다.열받은 프린스는 Prince 명의로만 내지 않으면 되지 않느냐 라는 결론에 이르렀으며, 이로 인하여 음반사와의 분쟁으로 수 년동안 법정소송을 벌였다. 실제로 1996년에 공개된 앨범의 수록곡인 Face Down으로 이때 갈등을 벌인 Warner Bros. Records에 대해서 강한 비판을 한 적도 있다. 뿐만 아니라 뮤지션이 자신의 음악을 통해서 얻는 수익을 포함한 권리가 적다는 항의를 늘 해왔다.
1994년 발매된 앨범인 Come의 표지에는 Prince 1958-1993이라고 나와있는데, 즉 「너희가 알던 프린스는 93년에 죽었다.」 이런 뜻. 계속되는 소속사와의 불화로 뺨에 노예(slave)라고 문신을 새기더니 아예, Prince라는 이름을 버리고 남성과 여성의 성 기호를 조합하여 만든 기호로 자신의 이름을 대신했다. 당연히 그런 기호의 이름 자체는 없었기 때문에[11] 궁여지책으로 사람들은 TAFKAP(The Artist Formerly Known As Prince), 즉 "한 때 프린스라고 알려졌던 아티스트"라고 부르기도 했다. 이때 기자가 '뭐라고 읽어야 됩니까'라고 했더니 '읽을 필요 없다(no need to read)'고 응수했다. 현재는 분쟁 해결 후에 이름을 되찾았다.
이 때 프린스가 이름을 바꾸고 낸 첫 음반인 The Gold Experience가 프린스의 90년대 최고의 작품 중 하나로 손꼽힌다는 점에서 몇몇 팬들은 Come 앨범 대신 이 앨범을 홍보했다면 90년대 프린스의 암흑기는 없었을 것이라 말하기도 한다. 다만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음악들이 점점 더 난해해지고, 연주곡으로만 이루어진 앨범이나 종교적 색채가 짙은 앨범들을 발매해서 팬들이 꽤 떠나간 것도 한 몫 하긴 했다. 이 때문에 Come 앨범, 90년대 후반에서 00년대 초반 앨범들이 상대적으로 저평가받기도 한다.
음반사와의 분쟁으로 암흑기를 거치며 대중들은 점점 그를 잊어가는 듯 했지만, 2004년 'Musicology'를 내놓으며 빌보드 200 3위와 더블 플래티넘 획득 그리고 그래미 어워드를 석권(2개 부문 수상)했으며 그해 가장 많은 공연 수익을 올린 아티스트가 되는 등 화려하게 부활했다. 또한 그 해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첫 해 헌액 되는 영예를 달성하며 그의 위상을 다시 한번 공고히 하기도 하였다.
차기작인 '3121' 앨범(2006년)으로는 대망의 앨범 차트 1위를 탈환, 역대급 천재의 클라스는 변치 않는다는 것을 만천하에 알렸다.
2007년에는 슈퍼볼 하프타임 쇼에서 폭우 속에서도 변함없는 라이브와 기타연주를 보여주었다. 특히 비가 내리는 와중에 퍼플레인이 울려퍼졌던 이 짧은 공연은 롤링 스톤이 선정한 "역사상 최고의 슈퍼볼 하프타임쇼" 1위를 차지했다. 미국 내에서 슈퍼볼 하프타임 쇼가 누리고 있는 위상과, 더욱이 이런 무대에서 다른 가수와의 협연 없이 오롯이 혼자서 무대 조명을 독차지했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음악적으로 프린스의 위치가 대단하다는 것을 증명한 이벤트였다.
연이어 2007년에는 Planet Earth 앨범을 발매하여 빌보드 앨범차트 3위를 기록하고, 2008년 그래미 어워드 최우수 R&B 보컬 퍼포먼스 상을 수상했다. 투어도 전석을 매진시켰고, 2009년에는 Lotusflow3r / MPLSound로 빌보드 200 2위와 빌보드 탑 R&B 앨범 차트 1위, 빌보드 탑 인디 앨범 차트 1위를 거머쥐었다. Lotusflow3r / MPLSound 앨범은 대형유통사를 거치지 않은 인디 앨범으로는 이례적인 성공이었다.
Planet Earth 앨범은 영국에서 개최된 콘서트의 티켓과 함께 부록으로, 20Ten 앨범은 영국의 데일리 미러 2010년 7월 10일자에 부록 개념으로 동봉하여 배포하는 방식 등으로 '새로운 릴리스 방법을 시도해서 성공했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하지만 그 뒤로는 오피셜 릴리스가 많이 뜸해졌다. 프로젝트 말아먹기의 제왕답게[12] 2009년 몽트뢰 재즈 페스티벌 DVD, 20Ten 디럭스 앨범, Welcome 2 America 앨범[13] 등등이 연이어 취소되고, 이 아저씨 뭐 하나 싶었을 즈음 '3rdEyeGirl'이라는 3인조 여성 밴드를 조직하고 2013년에 복귀했다.
몽트뢰 재즈 페스티벌엔 헤드라이너로 출연한다는 소식이 뜨자마자 티켓팅이 불지옥이 되는 마술을 보여주었다. '프린스가 뛰어난 뮤지션인걸 모르는 사람이 있겠냐만은 재즈 페스티벌에 헤드라이너가 되기엔 장르가 안맞지 않나?'라는 우려에도 공연장에서 신보 CD를 나눠주며 '니네 그거 들으면 공연장에 올 수밖에 없을걸?'이라는 패기를 보여주고, 여전히 뛰어난 보컬과 Purple Rain, Let's Go Crazy같은 히트곡을 모두 빼버리고 엄청난 숫자의 연주자들과 재즈 페스티벌에 맞는 자신의 곡과 많은 커버곡을 섞어서 도합 2시간이 넘는 시간동안 공연을 소화하여 관객들의 엄청난 호응을 이끌어냈다. 그렇게 그는 그가 왜 못하는 장르가 없는 뮤지션이라 평가받는지, 왜 투어만 했다하면 상상을 초월하는 수익을 내는지 다시 한번 증명하였다. 이후에도 2013년에도 등장하여 다시 한번 멋진 공연을 보여주었다.
공식 유튜브 채널도 개설하고, 라이브 스트리밍(3rdEyeTV)도 열면서 이제 드디어 앨범이 나오나 싶었지만 결국 2013년도 디지털 싱글만 계속 발매하다 그냥저냥 지나갔다. 사실 발매된 노래들만 모아 보면 앨범 하나 정도 분량이 나오긴 한다. 2013년 몽트뢰 재즈 페스티벌 DVD도 찍긴 했는데 발매소식은 없다. 라이브 콘서트 음원도 발매한다고 했지만 역시 감감 무소식. 결국 프린스 데뷔 이래 정규앨범간 발매 간격 최장기록을 경신한 2014년에 앨범을 낸다고 한다.
그래도 2014년도에 들어서는 슈퍼볼 직후 방송된 미드 New Girl에 출연하여 신곡도 선보이고, Arsenio Hall Show에도 출연, 각종 잡지에도 표지에 등장하는 등 미디어 노출이 늘긴 했다.
2014년 9월 Art Official Age과 Plectrumelectrum이라는 두 장의 앨범을 동시에 발매, 각각 펑크와 하드락에 특화된 앨범으로, 두 장 모두 빌보드 200 탑 10에 랭크시켜버렸다! 예상을 깨고 과거의 적이었던 워너 브라더스와 재결합하여 발표한 앨범이었기에 과거의 앨범들을 리마스터[14] 해줘서 내주지는 않을까 하고 팬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던 시기였다.
2015년엔 볼티모어 폭동 사건의 도화선이 된 프레디 그레이의 사망을 기리며 그를 추모하는 공연인 Rally 4 Peace을 열고 볼티모어 폭동사건을 주제로 한 노래인 Baltimore를 발매하고, 2015년 그래미에서는 올해의 앨범 시상자로 나와서 기립박수를 받고 시상식 소감 처음부터 앨범은 중요합니다. 책과 흑인의 생명처럼요. 라며 Black Lives Matter를 대놓고 언급하고 박수를 받았다. 여전히 사회적인 언행을 멈추지 않는 뮤지션임을 보여주고 2016년에도 멋진 신보를 기대하게 하였다. 그러나...
2.2. 사망
“He’s with our son now.”
- 마이테 가르시아(Mayte Garcia), 프린스의 1처
사망 6일 전, 집으로 돌아오던 비행기에서 독감 같은 증세가 급격히 악화되어 일리노이 주에 비상 착륙을 한 후에 병원으로 이송되었다는 기사가 보도되었고, 이후 증세가 호전되었다는 보도가 이어졌다. 그러나 현지시각 2016년 4월 21일, 미네소타 카버 카운티에 있는 프린스의 자택에서 숨진 채로 발견되었다. 엘리베이터 안에 쓰러져 있었다고 한다. 소식은
TMZ가 최초로 보도하였으며, 이후
AP에서 공식적으로 보도하였다. 초기에는 황색언론으로 악명이 높은 TMZ발 찌라시로 여기는 이들이 많았으나 결국 사실로 드러났다.[15] 향년 57세.- 마이테 가르시아(Mayte Garcia), 프린스의 1처
경찰이 구체적인 사망원인을 수사했으며, 정확한 사인은 밝혀지지 않았었다. 다만 TMZ가 기사화한 바에 의하면, 위의 비상착륙 후 입원했던 병원에서 약물 과다복용 문제로 마약 중화 주사를 맞았다고 하는데, 이것이 부작용을 일으킨 것이 아닌가 하는 의문이 있다. 병원에서는 입원하여 24시간 동안 경과를 볼 것을 권유했으나 1인실이 없어 입원하지 않았다고 한다.
이후 뉴스에 보도된 바에 따르면 진통제(아편계 약물) 과다복용으로 인한 죽음이라고 하는데, 자택에서 펜타닐 성분의 약품이 발견됐다고 한다. 의문인 점은 사망 전 약물 조사에서는 펜타닐 성분이 발견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즉 약물을 지속적으로 투여한 것이 아닌 갑작스럽게 많은 약물을 투약해서 사망에 이른 것이다. 거기다 그가 약물을 거래한 흔적인 처방전 등이 발견되지 않아서 그의 죽음에 의문점이 생겼다. 그의 집에 펜타닐 말고도 9정의 약품이 더 있던 터라 펜타닐을 다른 약으로 오인해 섭취하다 약물 과다 사고가 발생한 것이 아니냐는 추측도 있다. # 경찰 조사 결과, 허리 통증을 다스리기 위해 진통제를 먹었는데, 바이코딘과 펜타닐을 착각해 복용하여 사망한것으로 결론지어졌다.
<nopad> |
데이빗 보위가 세상을 떠난 뒤 그의 음악이 아이튠즈를 포함한 음원사이트를 독식했듯이 별세 이후 프린스의 히트곡들이 아이튠즈 차트를 보라색으로 물들이는 사태가 벌어졌다. 1500위의 사이에 100곡이 랭크되고 10위권을 죄다 프린스의 음악들이 독식한 순간도 있었을 정도였다.
4월 23일, 친지와 일부 지인들만이 참석한 상태로 장례식을 치르고 화장되었으며, 그 유해는 비공개로 보관된다고 밝혔다.생전에 살았던 페이즐리 파크라는 자택 겸 스튜디오가 박물관으로 전환해서 팬들을 위한 장소가 될 것이라고 유족들이 발표했다.[16]
칸 영화제에서 추도 기획을 실시한다고 한다.
2016년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서 생전 친구였던 마돈나가 추모공연을 하였다. #
공교롭게도 주치의의 프로포폴 남용으로 사망한 마이클 잭슨처럼 약물 오남용으로 사망했다.
유투브의 리액션 채널 Fine bros에서 청장년층의 리액션 패널인 'Adults react'에게 프린스의 타계를 기리기 위해 뮤직비디오인 1999, When Doves Cry, Purple Rain(live)를 보여주며 추모 리액션을 보였는데, 청년세대들은 음악의 거물이였던 그를 기리고, 장년세대는 왕년에 익숙한 프린스의 노래와 퍼포먼스를 즐기면서도 한편으로는 슬픈 마음을 감추지 못하고 추모하는 것을 볼 수 있다. 공식 석상에서 보여주는 모습이 점차 늘어가던 그였기에 그의 죽음은 더 사람들에게 충격을 줬다.
3. 특징
3.1. 대중적 이미지
80년대 당시 대중음악계의 메인 장르였던 록 음악을 소울, 팝 음악 등의 타 장르들과 결합시키는 등의 음악적 실험을 하면서 1980년대 팝의 중흥기를 이끈 뮤지션 중 한 명으로, 대중음악을 설명할 때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뮤지션 중 한 명이다.[17]적나라한 섹스어필, 파티에서의 기행, 젠더스왑한 패션[18], 어떤 음악이든 섭렵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When Doves Cry에서는 아예 베이스를 없앤 후 키보드와 드럼의 반복만으로 음악을 설계하는 실험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던 음악 내외를 가리지 않던 파격적인 뮤지션이다.
종합해서 경지에 오른 춤, 에릭 클랩튼과 제프 벡 같은 수많은 레전드 기타리스트들이 극찬하는 탁월한 기타 연주 실력[19], 수많은 악기를 능숙하게 소화하는 것으로도 모자라 싱어송라이터로서 작사, 작곡, 편곡까지 전부 혼자 했으며, 완벽주의의 극한인 프로듀싱 능력, 카피가 불가능한 가성을 활용한 창법 등 역사상 최연소로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린 프린스의 재능과 역량은 말이 안나오는 수준이다. 심지어 본인의 음반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여러 가수[20]에게 곡을 주고 프로듀싱을 해서 수많은 히트곡과 스타들을 만들어 내기도 했다.
그 까다롭기로 유명한 마일스 데이비스가 자신과는 음악 스타일이 잘 맞지 않아 공동작업을 마무리지을 수는 없었지만,[21] 21세기는 프린스와 마커스 밀러같은 멀티 플레이어가 이끌어나가야 한다고 자서전에 남긴 적이 있었을 정도의 뮤지션이기도 하다.
3.2. 음악적 특징
팝과 록, 소울, 펑크(Funk), 재즈, 블루스, 일렉트로닉, 신스팝 등이 혼합된 뭐라 딱 꼬집기도 힘든 음악이 특징. 심지어 1996년에 발매한 앨범인 Emancipation의 수록곡 Face down에서는 직접 랩까지 소화하기도 했다. 스티비 원더조차도 프린스를 일컬어 어떤 음악이든 할 수 있는 뮤지션이라고 할 정도였다. 전 매니저에게 내가 랩을 배워야할까 라며 물어보기도 했을 정도로 다른 장르에 대한 도전을 멈추지 않았고, 실제로도 대중음악의 범주안에서는 사실상 거의 모든 장르를 넘나드는 음악을 했다. 이를 자신이 개척한 장르인 Minneapolis sound[22]라는 용어로 통틀어 이야기하지만, 사실상 저 용어는 프린스의 음악만을 위한 것이라 할 수 있다.[23]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는 노래, 춤, 작곡, 편곡, 프로듀싱, 밴드를 조율하고 이끌어가는 것을 모두 다 잘하는 아티스트라고 소개하고 있다. 실제로 데뷔작인 1978년작 'For You' 앨범은 작곡, 편곡, 프로듀싱에 연주까지 전부 혼자했다. 작사도 하나의 곡을 제외하고(이나마도 공동작사) 모두 직접 했다. 당시 나이가 19세였다.특유의 여리지만 누가 들어도 프린스라고 알 수 있는 유니크한 목소리와 펑키(Funky)한 기타의 사운드가 굉장히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이런 대표곡으로는 프린스 앤 더 레볼루션의 " Kiss", Let's Go Crazy가 있다.
For, to, you, be, I를 각각 4, 2, U, B, Eye[24] 식으로 쓰는 등 가사 짓는 센스도 독특하다. 자기 노래 뿐만 아니라 여성 가수인 시네이드 오코너(Sinéad O'Connor)에게 제공해준 곡인 " Nothing Compares 2 U'도 마찬가지다.
가사에 성적인 문구를 아무렇지도 않게 집어넣는 것으로도 유명했는데, 예를 들면 프린스의 대표작인 Purple Rain에 수록된 Darling Nikki에서는 잡지 보면서 자위했다는 가사가 여과를 거치지 않고 대놓고 나온다. 이는 과격한 가사가 담긴 음악 앨범(대표적으로 힙합이나 익스트림 메탈 계열)에 붙는 Parental Advisory 딱지가 등장하게 된 원인 중 하나가 되었다.
하지만 성에 대한 노골적이고 파격적인 음악, 패션, 행적을 이어간 것과 달리 신앙심이 엄청난 기독교인으로 알려져있는데, 실제로 Let's Go Crazy나 I Would Die 4 U같은 유명한 곡은 물론이고 그의 음악을 디깅하다보면 그것이 직설적이건 은유적으로 돌려말하는 것이건 프린스는 자신의 신앙심을 꾸준히 음악에 녹여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프린스는 대중음악에서의 온갖 금기들을 굉장히 싫어했다. 대중음악에 종교와 성에 대한 언급이 어렵다는 것도 싫어했고, 어떤 장르의 음악에는 어떤 악기만 써야한다는 고정관념도 싫어했다. 이러한 생각에서 벗어나 이런 금기시되는 소재도 자유롭게 대중음악에서 쓸 수 있는 세상을 갈망한다고 인터뷰에서 발표한 적이 있다. 그런 마인드로 만들어진 프린스의 음악은 파격적이고 노골적이고 뻔뻔하지만, 결코 그것이 천박하다고 느껴지지 않게 만드는 완성도로 80년대를 휩쓸었다.
물론 세상에 완전히 새로운 것이 나오는 것은 지극히 힘든 것처럼, 자신에게 영향을 준 뮤지션들에게 영감을 받아서 프린스도 자신의 음악과 행보를 세상에 꺼내놓고 이어갈 수 있었다. 프린스 본인이 자주 언급한 본인에게 영향을 준 뮤지션은 블랙 뮤직의 제왕, 소울의 대부라고 불리던 제임스 브라운, 역사상 최고의 기타리스트로 평가받으며 사이키델릭 록과 히피 문화의 상징이 된 지미 헨드릭스, 엄청난 무대매너와 로큰롤의 화신급 뮤지션이라 평가받으며 비틀즈와 더불어 가장 위대한 밴드로 꼽히는 롤링 스톤스[25][26], 프린스 본인도 늘 존경하는 뮤지션이라 언급한 자전적 싱어송라이터의 아이콘인 조니 미첼, 프린스 본인이 연주적인 부분에서 영향을 받았다고 밝힌 역사상 가장 위대한 록 밴드 중 하나인 레드 제플린 등이 있다.
4. 평가 및 영향력
프린스는 대중음악을 설명할 때 반드시 들어가야 하는 뮤지션 중 한 명이다. 보통 대중음악 평론가들이 대중음악사에서 가장 높은 족적을 남긴 것으로 평가되는 비틀즈, 밥 딜런, 롤링 스톤스 다음 가는 아티스트들을 꼽을 때 데이비드 보위, 레드 제플린, 브루스 스프링스틴 등과 함께 반드시 거론하는 아티스트로서, ‘1980년대 최고의 아티스트’를 꼽자면 아무리 저평가받아도 세 손가락 안에는 무조건 꼽히는 아티스트이다. 가장 객관적인 지표로 꼽히는 어클레임드 뮤직에서 1980년대 최고의 뮤지션 1위로 산정되었으며, 올타임으로는 9위라는 순위에 산정되었다.[27] 또한 롤링 스톤에선 역사상 최고의 뮤지션 27위로 선정되었다.[28]이처럼 프린스가 고평가받는 이유는 그가 네오 소울과 얼터너티브 R&B의 시발점이 된 뮤지션이라고 평가받기 때문이다. 보통 얼터너티브 R&B의 시초를 일반적으로 네오 소울이라고 일컫는데, 이 네오 소울의 메이저화에 기여한 디안젤로와 맥스웰이 가장 크게 영향 받았던 뮤지션이 다름 아닌 프린스다. 심지어 디안젤로는 대놓고 Do Me, Baby의 파트 중 일부를 대놓고 샘플로 갖다 쓰고 자랑스러워 했을 정도. 네오 소울의 시대가 지난 2010~20년대까지도 영향력은 여전해서 미겔을 포함한 많은 아티스트들이 프린스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음악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얼터너티브 R&B의 대표적인 뮤지션 중 한 명인 The Weeknd는 2020 AMA 수상 소감에서 '프린스가 있기에 자신이 R&B를 기반으로 다른 장르와의 실험과 도전을 이어가는 것'이라며 데뷔 초 때부터 현재까지 꾸준히 프린스를 샤라웃하고 있다. 프린스가 얼터너티브 R&B 장르의 선구자로서 내놓은 것으로 평가되는 곡으로는 대표적으로 Kiss 등이 있다.
특히 프린스는 수많은 후배 뮤지션이 존경하는 뮤지션이기도 한데, 그 가장 큰 이유는 그가 펑크, R&B, 록 음악, 신스팝, 재즈, 디스코, 소울 음악, 전자음악등 다양한 장르의 융합을 시도하여 명곡, 명반을 만들어 내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1999와 Purple Rain같은 경우, 신스팝과 록의 완벽한 조화를 보여주며, Sign 'O' the Times에서는 R&B를 기본바탕으로 다양한 장르를 하나로 묶어내는 독특한 방식의 극한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뿐만 아니라, Dirty Mind에서는 펑크와 뉴웨이브를 결합하며 그의 초기 커리어에서 혁신을 보여주기도 하였고, Parade에서는 재즈와 팝을 결합한 모습을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런 장르의 융합 시도는 많은 후배 뮤지션에게 영감을 주었고, 여러가지 장르를 하나로 묶는 방법의 접근방식의 일종의 교과서가 되었다.
프린스는 명실상부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의 천재중 하나로 인정받는 뮤지션이다. 그는 작사와 작곡은 물론이고 편곡과 악기 연주, 프로듀싱을 대부분 혼자서 해내면서 명곡과 명반을 만들어내는 천재성을 선보였다. 예전부터 현재까지 작곡과 편곡까지는 많은 뛰어난 뮤지션들도 훌륭히 소화가 가능하나, 프로듀싱같은 경우 외주에 맡기는 경우가 많은데, 그는 프로듀싱까지도 완벽하게 해냈다는 점에서 그의 천재성을 엿볼수 있다. 프린스의 많은 곡은 신디사이저와 드럼머신의 역할이 중요한데, 프린스는 본인이 이 두 기계를 혼자서 직접 프로듀싱하며 리듬 라인을 만들었다. 심지어 그는 역사에 남을 위대한 기타리스트였고, 프로 세션 실력의 키보디스트와 베이시스트였기에 대부분의 악기 연주 녹음을 직접 해냈다.[29]
결론적으로, 프린스는 대중음악 역사상 최고의 천재중 하나라는 평가를 받으며, 여러가지 장르를 결합하여 자신만의 사운드를 만들어 후대 뮤지션들에게 거대한 영향력을 주었기에, 평론가들이 고평가하고, 후대 뮤지션들에게 존경받는 뮤지션이라고 볼수 있다.
4.1. 프로듀싱 및 송라이팅
프린스는 그의 거의 모든 노래를 단독으로 작사, 작곡, 편곡 및 프로듀싱을 하였다. 그는 다양한 음악적 실험을 하였는데, 그가 시도한 장르는 너무 다양해서 통틀어 미니애폴리스 사운드라고[30][31] 불린다. 그는 마이클 잭슨 등과 더불어 팝 음악과 록 음악을 섞는것을 넘어 헤비 메탈, 펑크, 가스펠, 소울 음악의 결합을 시도하였고, 이러한 음악적 실험의 완성본이라고 할 수 있는 Purple Rain 앨범은 장르의 결합의 진수를 선보여 평론가와 대중의 극찬을 받았다. Purple Rain에 이어, 프린스는 3년뒤에 나온 Sign 'O' the Times 앨범으로 다시금 그의 작곡 능력을 증명하였다.프린스는 편견과 달리 대중적인 음악도 자주 작곡했는데, Raspberry Beret 또는 Cream등을 예시로 들 수 있다.[32] 프린스는 엄청난 창작욕구를 가지고 있었고 상상을 초월하는 개수의 곡을 작곡하고 앨범을 내었는데, 상상을 초월하는 개수의 앨범을 낸것은 물론이고, 다른 가수에게 곡을 자주 써주기도 하였다. 특히 프린스가 작곡해서 준 노래로 가장 유명한것은 역시 시네이드 오코너의 Nothing Compares 2 U. 이 노래는 빌보드 핫 100 1위를 기록하였고, 시네이드 오코너의 대표곡이 되었다. 또한 뱅글스에게 준 Manic Monday 는 빌보드 핫 100 2위를 기록하였다. 샤카 칸에게 준 I Feel for You 는 빌보드 핫 100 3위를 기록하였다. 시나 이스턴에게 써준 Sugar Walls 도 역시 빌보드 핫 100 9위를 기록하였다. 이외에도 그가 써준 노래중 빌보드 핫 100에 진입한 노래가 수없이 많다. 또한 프린스는 프로듀서를 따로 두지 않고, 자신의 전곡을 직접 프로듀싱을 하였다.
4.2. 보컬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프린스는 상당히 높은 평가를 받는 보컬리스트이기도 하다. 그의 보컬은 매우 유니크하고 따라하기 힘들다고 평가받는데, 특유의 펑키한 음색이 특징이며, 이를 바탕으로 롤링 스톤에서 뽑은 위대한 보컬리스트에서 16위에 선정되었다.프린스는 팔세토와 샤우팅을 매우 즐겨 사용하였는데, 대표적으로 Kiss에서 프린스의 팔세토를, The Beautiful Ones에서 그의 가성과 샤우팅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Adore에서 그의 보컬의 진수를 확인할 수 있다.
프린스의 성종은 테너가 아닌 바리톤이지만, 상당히 고음과 가성을 즐겨 사용하여 테너로 오해 받기도 하였다. 바리톤이기에 진성 최고음은 그다지 높진 않지만, 대신 팔세토를 극한으로 단련하여 상당히 넓은 음역대를 가질 수 있었다. 프린스의 음역대는 가성까지 포함하여 E2에서 B6으로, 그가 얼마나 노력했는지 알 수 있는 부분이다. 프린스는 가성과 고음뿐만 아니라 바리톤답게 저음에도 상당한 강점을 발휘했는데, When Doves Cry나 Diamonds and Pearls 같은 노래에서 그의 저음을 확인할 수 있다.
4.3. 춤
|
4.4. 악기 연주 실력
프린스는 명실상부 최고의 멀티 인스트루멘탈리스트중 하나로 평가받는다. 그가 30가지 악기를 프로급으로 다룰 수 있는것은 이미 매우 유명하다. 프린스는 또한 최고의 기타리스트중 하나로 평가된다. 유명한 기타리스트인 스티브 바이가 극찬할 정도. 프린스는 특유의 기타 톤을 직접 만들어 사용하였다. 그는 80년대를 지배한 팝스타 였지만, 최상위권 록밴드의 기타리스트와 견줄 정도의 기타 실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거의 모든 공연에서 일렉트릭 기타를 매고 공연하였고 일렉기타를 매고 하이힐을 신은 모습은 프린스를 상징하는 모습이 될 정도. 그는 롤링 스톤에서 뽑은 100대 기타리스트 33위[33], 롤링 스톤에서 뽑은 250대 기타리스트 14위, 깁슨에서 뽑은 50대 기타리스트 14위 에 선정되었다.4.5. 음악 산업
프린스는 음악 산업의 부당함과 가수의 권리를 찾는 일에 많은 관심이 있었다. 그는 자신의 음악을 통제하고 싶어하였고, 음반사의 통제를 받고 싶어하지 않았다. 음반사와의 마찰이 있었지만, 프린스는 그의 원칙을 고수했고 90년대에 자신의 이름조차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프린스는 유튜브와 스포티파이같은 스트리밍 서비스를 좋아하지 않았다. 프린스는 자신의 노래를 커버하는 영상을 유튜브에 올리는 것을 허락하지 않을 정도로 엄격하게 저작권을 통제하였다. 그로인해 아이러니하게도 많은 프린스의 공연 영상이나 음악들이 프린스 사후에 올라오게 되었다.[34]피트 타운젠드에서 테일러 스위프트에 이르는 아티스트들이 스트리밍 서비스와 그 밖의 디지털 음악 매체들이 아티스트들을 얼마나 부당하게 대하는지에 대해 목소리를 내고 있기 때문에, 프린스가 워너 브라더스사와 벌였던 싸움은 점점 더 정당화되는 것으로 평가된다. 그의 음악과 마찬가지로, 그는 자신의 음악의 사업적 측면에 관한 한 대부분의 아티스트들보다 더 앞을 내다볼 수 있었으며, 앞으로 몇 세대에 걸치게 될 아티스트들의 권리에 대하여 그는 선구자격 목소리를 내었다.
4.6. 음악 평론지의 평가
- 2004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아티스트 27위[35]
- 2015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곡가 18위[36]
- 2023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 16위
- 2023 롤링 스톤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 14위
- 2023 어클레임드 뮤직 산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뮤지션 9위[37]
- 2017 올뮤직 선정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뮤지션 31위[38]
- 2018 Vulture 선정 로큰롤 명예의 전당 역사상 가장 위대한 뮤지션 6위[39]
- 2014 NME 선정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 20위
- 2012 NME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프로듀서 38위
- 2010 VH1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뮤지션 7위[40]
- 2015 빌보드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R&B 뮤지션 8위[41]
- 2019 Smooth Radio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프로듀서 11위
- 2021 SPIN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락스타 2위
- 2020 SPIN 선정 지난 35년간 가장 영향력 있는 아티스트 2위
- 2012 SPIN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기타리스트 6위
- 2014 LA Weekly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작곡가 14위
- 2016 LA Weekly 선정 역사상 가장 위대한 보컬리스트 15위
- 2011 Essence 선정 가장 영향력 있는 R&B 스타 5위
5. 프린스에 대한 헌사
1978년 활동을 시작한 그는 음악계에 지울 수 없는 족적을 남겼고, 자신의 이름을 기호로 바꾸며 자신의 레이블에 도전했고, 도발적이고 노골적인 작품으로 전 세계의 보수적인 태도에 도전했다.
― NME #
― NME #
세상엔 수많은 속주 기타리스트들이 있지만, 악기를 연주함으로써 자신의 영혼까지 드러내는 자는 손에 꼽습니다. 영혼을 드러내는 수준의 연주자 중 한 사람이 프린스입니다.
― 스티브 바이[42]
― 스티브 바이[42]
프린스는 혁명적인 예술가였고, 훌륭한 음악가이자 작곡가였다. 그는 독창적인 작사가였고 놀라운 기타 연주자였다. 그의 재능은 무한했다. 그는 지난 30년 동안 가장 독특하고 신나는 예술가 중 한 명이었다.
― 믹 재거 #[45]
― 믹 재거 #[45]
6. 작곡가 프린스
프린스 특유의 다작 성향때문인지, 본인의 노래가 타인에게 리메이크되거나 프린스가 타인에게 써준곡이 본인의 곡보다 히트하는 경우가 상당히 많다. 이 리스트는 프린스가 쓴 곡이 빌보드에서 히트하거나, 빌보드 핫 100에는 들어가지 못했더라도 나름의 성과가 있었던 곡을 정리한 리스트이다. 참고로 프린스는 다른 아티스트에게 곡을 제공할때 종종 가명을 사용하였다.- Nothing Compares 2 U - 시네이드 오코너 - 빌보드 핫 100 1위
- Manic Monday - 뱅글스 - 빌보드 핫 100 2위
- I Feel for U - 샤카 칸 - 빌보드 핫 100 3위
- Stand Back - 스티비 닉스 - 빌보드 핫 100 5위[47]
- The Glamorous Life - Sheila E. - 빌보드 핫 100 7위
- Nasty Girl - Vanity 6 - 빌보드 핫 100 7위
- Sugar Walls - 시나 이스턴 - 빌보드 핫 100 9위
- Love... Thy wil Be Done - 마티카 - 빌보드 핫 100 10위
- A love Bizarre - Sheila E. - 빌보드 핫 100 11위
- Round and Round - 테빈 캠벨 - 빌보드 핫 100 12위
- Jungle Love - The Time - 빌보드 핫 100 20위
- How come you don't call me - 앨리샤 키스 - 빌보드 핫 100 59위
- Love Song - 마돈나[48]
- When You Were Mine - 신디 로퍼
- With This Tear - 셀린 디옹
- Glam Slam - Sheila E.
- You're My Love - 케니 로저스
7. 미니애폴리스 사운드
미니애폴리스 사운드는 1970년대 후반 프린스가 창시하여 1980년대 전성기를 누린 음악 장르로, 프린스와 그 사단들은 다양한 장르 융합을 특징으로 하여 독특한 사운드를 만들어냈다. 미니애폴리스 사운드의 특징은 펑크, 록, 신스팝, 뉴 웨이브 등의 요소를 결합한 것이며, 당시 음악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미니애폴리스 사운드로 분류되는 우리가 아는 가장 유명한 곡은 브루노 마스의 Uptown Funk. 이 노래는 프린스와 The time의 영향력을 많이 받은 노래이기 때문에 영어 위키백과에 공식적으로 미니애폴리스 사운드로 분류되어 있다. 미니애폴리스 사운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신디사이저 활용
미니애폴리스 사운드의 핵심 포인트로, 신디사이저가 리드 멜로디를 주도한다. 기타가 담당하던 역할을 신디사이저가 대신한다는 것이다. 예를들어, 1999나 Little Red Corvette 같은 곡은, 신디사이저가 주요 멜로디를 주도한다. -
드럼머신 활용
또한, 당시로선 혁신이었던 드럼머신을 선도적으로 도입하였다. LinnDrum의 시그니처 사용자가 바로 프린스인데, 이 드럼머신 활용으로, 1999나 When Doves Cry 같은 노래에서 펑키함을 극대화 할수 있게 되었다. -
혼합된 장르
미니애폴리스 사운드는 펑크, 록, 신스팝, 뉴 웨이브 등의 요소를 결합하여 다채로운 음악적 스펙트럼을 제공하였다. 이 장르의 융합은 후대 아티스트에게 큰 영향을 주었다. 예시로는 먼저 프린스의 Purple Rain이 있는데, 록 발라드에 신스팝, 그리고 펑크 요소를 결합하며 감성과 깊이를 더했다. 미니애폴리스 사단의 곡으로는 Sheila E.의 The Glamorous Life가 있는데, 이 곡 역시 펑크와 신스팝 그리고 라틴 리듬을 융합하여 독특한 사운드를 만들어냈다. 또한 The time의 Jungle Love 역시 펑크와 록, 신스팝을 결합했는데, 이 곡은 아주 전형적인 미니애폴리스 사운드의 대표곡이라 불린다.
7.1. 미니애폴리스 사단
프린스를 필두로, 미니애폴리스 사운드를 실현한 뮤지션들을 일명 미니애폴리스 사단이라 부른다.- 프린스
- The time
- Sheila E.
- 시나 이스턴
- Vanity 6 & Apollonia 6
- 지미 잼 & 테리 루이스
- 알렉산더 오닐
미니애폴리스 사단의 창시자이자 중심 인물이다. 1999, Purple Rain, Sign "☮" the Times은 미니애폴리스 사운드의 대표적 작품으로 불린다. 프린스와 미니애폴리스 사단과의 관계는 긴밀했으며, 많은 음악적 교류를 나누었다.
The time은 1981년 결성된 펑크 록 밴드로, 프린스와 고등학교 동창이었던 모리스 데이(Morris Day)를 주축으로 만들어진 밴드이다. 아주 전형적인 미니애폴리스 사운드 밴드인데, 대부분의 노래의 작곡을 프린스가 하였다. 대표적인 히트곡으로는 Jungle Love, The bird, Cool, 777-9311 등이 있다. The time은 Purple Rain 영화에 출연하기도 하였는데, 모리스 데이는 프린스의 라이벌 역할로 출연하였다. 영화의 성공으로 The time의 인기도 같이 높아지기도 하였다.
The time은 미니애폴리스 사운드를 대중화시키고 확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그들의 음악은 많은 아티스트에게 영감을 주었고, 특히 The time의 멤버였던 지미 잼과 태리 루이스는 자넷 잭슨에게 가서 큰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49] 현재 모리스 데이는 제롬 벤튼이라는 멀티퍼커셔니스트[50]와 함께 미네소타에서 소소히 공연을 다니는 중이다.
Sheila E. 는 미국의 유명 여성 타악기 연주자로, 프린스와의 협업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 1980년대 중반부터 프린스와 협업하기 시작했는데, 프린스는 Sheila E. 에게 프린스의 노래 Erotic City를 부르도록 권유했고, 이는 큰 인기를 끌었다. 이 성공을 바탕으로, 그녀는 솔로 앨범 The Glamorouos Life를 발표했는데, 이 타이틀 곡은 빌보드 차트 상위권에 올랐다. 이후 그녀는 두번째 앨범을 내놓았는데, 프린스와의 듀엣곡 A Love Bizarre 이 포함되어 있었고 이 역시 성공을 거두었다. Sheila E. 는 프린스의 여러 공연에 드러머와 음악감독으로 참여했다.
Sheila E. 는 보기 드문 여성 드러머인데, 여성 연주자로서의 딱지를 떼고 봐도 뛰어난 실력을 가지고 있다. 그녀는 기타, 베이스, 키보드 역시 칠줄 안다고 한다. 또한 프린스가 픽한 가수 답게 음악 장르를 융합할줄 아는 사고를 가지고 있어서 R&B, 펑크, 라틴팝등 다양한 장르를 혼합하여 강렬한 노래를 만들어내는 실력을 가지고 있다. Sheila E.는 현재 60대 중반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활발하게 라이브를 다니며, 프린스의 노래를 자주 커버하며, 가끔 The time과의 합동공연도 하고있다.
시나 이스턴은 1980년대를 풍미한 스코틀랜드 출신의 레전드 여가수이며, 1980년대 중반에 프린스와 협업의 관계를 통해 미니애폴리스 사운드에 깊게 관여하게 되었다. 프린스는 1984년 가명을 사용하여 시나 이스턴에게 Sugar Walls라는 곡을 제공하였다. 이 노래는 신디사이저와 전자 드럼이 강조된 아주 전형적인 미니애폴리스 사운드 형태를 띄고 있으며, 성적인 가사의 내용으로 논란과 주목을 받았고, 빌보드 차트 9위를 하는 등 흥행을 하며 시나 이스턴의 음악 경력에 중요한 변곡점이 되었다. 이후 프린스는 시나 이스턴과 U Got the Look을 듀엣으로 불렀는데, 이 곡 역시 신디사이저와 전자 드럼의 강조로 정석적인 미니애폴리스 사운드 노래로 불린다.
Vanity6는 1981년 프린스가 만든 여성 트리오로, 1981년부터 1983년까지 활동했으며, Nasty Girl 이라는 히트곡이 큰 인기를 끌었다. 이 그룹은 섹시하고 도발적인 이미지와 함께 신스팝과 펑크의 요소를 결합한 음악을 선보였다. 1983년 멤버의 주축인 Vanity가 그룹을 떠나고, 프린스는 Patricia 라는 리드싱어를 새로 영입한뒤, 그녀의 예명을 Apollonia로 설정한 후, 그룹의 이름을 Apollonia 6 로 바꾸고 활동을 시켰다. Apollonia 6 는 Sex Shooter라는 히트곡도 있지만 Purple Rain 영화에서의 활동이 더 주목받는 경향이 있는데, 영화에서 여자 주인공 역할을 맡은게 Apollonia 6의 리드싱어인 Apollonia였기 때문이다. 프린스가 Apollonia와 듀엣으로 부른 곡이 바로 Purple Rain의 Take Me with U이다.
지미 잼 & 테리 루이스는 1980년대 부터 활동한 프로듀싱 듀오이다. 이들은 프린스의 권유로 The time 에 합류했는데,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The time의 데뷔 앨범과 두번째 앨범의 펑키한 사운드는 이 듀오의 역할의 기여가 대부분이었다고 볼수 있었다. 하지만, 1983년 이 듀오는 SOS Band라는 타 밴드의 프로듀싱을 맡은게 프린스의 심기를 건드리면서 문제가 생겼는데, 프린스는 이 듀오가 The time 밴드 활동을 소홀이 했다고 여겨 해고해 버렸다. 해고된 이후 이 듀오는 자넷 잭슨한테 가서 Janet Jackson's Rhythm Nation 1814같은 명반을 프로듀싱을 해주는 등 능력을 뽐냈지만, 프린스는 이 또한 굉장히 불쾌해 했고, 이 사건으로 자넷 잭슨한테도 개인적으로 불쾌감을 드러낸것으로 알려져있다. 프린스는 한마디로 죽 쒀서 개 준 꼴이라는 생각을 했었다는것.
8. 영향을 준 아티스트
-
The Weeknd
사실상 프린스의 직계 후계자로 봐도 될 정도. 더 위켄드는 프린스가 자신에게 준 영향력을 공개적으로 자주 언급했는데, 한 사례로 그는 그의 앨범 Starboy가 프린스와 데이비드 보위한테 큰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그는 이 앨범을 천 퍼센트 이 두 아티스트에게서 영감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빌보드 뮤직 어워드에서 핫 100 아티스트 상을 수상할때 프린스에게 상을 헌정하기도 하였다. 또한 둘이 페이즐리 파크에서 협업을 할 계획이 있었으나 프린스의 급작스러운 사망으로 무산되었다고 밝히기도 하였다. 프린스가 위켄드에게 영향을 크게 준것은 음악의 장르 융합인데, 프린스가 R&B를 바탕으로 팝, 펑크, 록, 소울 등을 융합해서 독특한 음악 스타일을 만들어 낸것처럼 더 위켄드도 R&B을 기반으로 힙합, 전자 음악 등을 융합해내는 접근 방식을 많이 배웠다고 밝힌 바 있다. 얼터너티브 R&B의 측면에서도 영향을 받기도 했다. -
앨리샤 키스
18살때 처음 프린스를 만났던 그녀는 프린스의 곡인 How Come You Don't Call Me 를 커버하기 위해 페이즐리 파크에 방문했다. 프린스는 곡에 욕설을 하지 않는 조건으로 커버를 허락했다. 결국 이 커버곡은 Songs In A Minor에 수록되었다. 프린스는 앨리샤 키스의 멘토였고 , 많은 지원을 아끼지 않았다. 앨리샤 키스 역시 프린스의 장르 융합 방식에 많은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
비욘세
프린스는 비욘세의 화려한 퍼포먼스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2004년 그래미 어워즈에서 합동 공연을 하기도 하였다. 비욘세는 여러번 공개 인터뷰에서 프린스가 본인에게 준 영향력을 언급하였다. -
레니 크래비츠
프린스는 레니 크래비츠의 음악적 멘토이다. 프린스는 크래비츠에게 음악장르의 혼합과 창의적 사고를 가르쳤다고 한다. 크래비츠는 프린스를 통해 음악적 실험에 대한 영감을 얻었다고 한다. 둘은 상당히 친분이 깊었는데, 잼[51] 세션을 상당히 자주하였고 여행도 같이 자주 다녔다고 한다. 이 둘의 1999년 페이즐리 파크에서의 합동 공연이 제일 유명하다. 두명은 흑인 기타리스트로서의 공통점도 있다. 프린스는 크래비츠의 기타 연주에도 큰 영향을 주었다. 프린스 사후 추모공연에서도 자주 등장하였다. -
시네이드 오코너
프린스는 Nothing Compares 2 U의 원곡자이다. -
디안젤로
네오 소울의 거장인 디안젤로는 젊은시절부터 프린스에게 깊은 영향을 받았다. 그는 다섯 살 때 프린스의 I Wanna Be Your Lover를 처음 듣고 강렬한 인상을 받았다고 한다. 그 이후 디안젤로는 프린스의 음악을 공부하며 자랐고, 그의 곡을 노트 하나하나까지 적으며 익혔다. 특히 디안젤로의 Voodoo는 프린스의 Sign 'O' the Times의 영향을 상당히 많이 받은 앨범으로 이 앨범의 가장 유명한곡인 Untitled(How Does It Feel)은 Sign 'O' the Times 대표곡인 Adore의 보컬 스타일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
미겔(가수)
미겔의 앨범 Kaleidoscope Dream와 Wildheart는 프린스의 음악적 요소를 많이 반영하고 있으며, 미겔은 스스로 자신이 프린스가 가 큰 음악적 영향력 중 하나로 밝힌 바 있다. 미겔 역시 프린스의 음악적 융합의 접근방식을 따르고 있다. -
맥스웰(가수)
프린스는 맥스웰에게 큰 영향력을 준 아티스트이다. 프린스 특유의 음악을 융합하는 접근방식을 본받아 다양한 장르를 혼합하는 음악을 많이 창작하였다. 이는 Pretty Wings 나 Ascension (Don't Ever Wonder)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그는 일부 팬들이 프린스를 모방한다고 느낄정도로 프린스의 퍼포먼스를 따라하기도 하며, 프린스는 모든것이라며 존경심을 드러내기도 하였다. 프린스 사후 프린스를 기리며 Sometimes It Snows in April 을 커버하기도 하였다. -
에리카 바두
디안젤로와 더불어 네오 소울을 대표하는 거장인 에리카 바두는 여러차례 프린스에 대한 존경심을 나타내었는데, 그녀는 디안젤로처럼 I Wanna Be Your Lover를 상당히 좋아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녀는 어렸을 때 이 곡을 학교 탤런트 쇼에서 부르다가 교사들에게 제지당한(…) 경험을 직접 밝혔다.[52]또한, 그녀는 프린스 사후 페이스북에 글을 올리며 프린스가 자신과의 합동 공연에서 리듬 기타리스트 역할을 해준 기억, 그녀의 클럽에서 4시간 동안 연주했던 기억을 회상하기도 하였다. 그녀는 프린스가 음악적 독립성과 창의성을 지켜나가는 방식에 큰 영감을 받았다고 밝혔다. -
프랭크 오션
프린스는 프랭크 오션의 정체성 표현에 큰 영향을 주었다. 오션은 인터뷰에서 "프린스 덕분에 성 정체성을 더 편안하게 받아들일수 있게 해주었다"며, 그의 정체성 확립에 큰 영향을 주었다.[53] 또한 모든 가수가 그렇듯이 프린스의 융합적인 음악 접근 방식을 오션도 받아들여 그 방식이 그의 앨범 Blonde에서도 잘 드러나기도 하였다. -
저스틴 팀버레이크
팀버레이크와 프린스는 사실 공개적 갈등이 있었던 사이이지만, 사실 팀버레이크는 프린스의 영향을 크게받은 가수이다. 팀버레이크의 앨범 FutureSex/LoveSounds은 프린스의 영향을 크게 받은 앨범이다. 그리고 프린스 사후 2018년 슈퍼볼이 프린스의 고향인 미네소타 미니애폴리스에서 열렸는데, 마침 헤드라이너가 팀버레이크였고 공연 중간에 I Would Die 4 U를 부르면서 깜짝 추모공연을 하기도 하였다.[54] -
Sheila E.
대표적인 미니애폴리스 사단중 한명으로, 찾아보기 힘든 여성 드러머중 하나로 프린스의 옛 여자친구이기도 하다. 대표곡은 The Glamorous Life. -
브루노 마스
프린스는 브루노 마스의 펑크 스타일에 영향을 끼쳤는데 메가히트곡 Uptown Funk에서 그 영향력이 많이 들어난다. Uptown Funk는 영어 위키백과에서 미니애폴리스 사운드의 한 종류로 분류되는데, 브루노 마스와 마크 론슨이 작곡한 이 곡은 프린스와 프린스 사단인 The time의 영향이 매우 짙게 나타나기 때문이다. 특히 베이스 라인과 브라스 섹션에서 그 점이 유실히 들어난다. -
자넬 모네
프린스는 자넬 모네에게 깊은 영향을 끼쳤다. 자넬 모네는 프린스를 멘토로 여겼고, 특히 프린스는 자넬 모네의 앨범 Dirty Computer 작업에 참여하며 그녀의 작업을 도왔다. -
뱅글스
프린스는 뱅글스를 좋게 보았고, Manic Monday를 작곡해 주었다. 이 곡으로 뱅글스는 유명세를 얻게 되었다. 뱅글스의 보컬 수잔나 홉스는 프린스를 만난건 행운이라고 직접 밝혔다. -
샤카 칸
프린스의 곡 I feel for U 를 커버했다. 이 곡으로 샤카 칸은 큰 인기를 끌었고, 그래미 상까지 수상하였다. -
켄드릭 라마
본인을 프린스에 비유하며 드레이크와 디스전을 펼치기도 했고 프린스 생전[55] 페이즐리 파크에서 합동공연을 하기도 했다. 또한 프린스에 대한 존경심을 자주 드러내며 프린스와 무대에 설 수 있었던것을 큰 영광으로 여기기도 하였다. -
시나 이스턴
마돈나와 함께 80년대를 풍미한 여가수로, 프린스가 곡을 제공하여 빌보드 핫 100 9위에 진입시킨적이 있다. U Got the Look에서는 아예 같이 노래를 부르고 MV에 출연하기도 했다. 프린스의 영향아래 그녀는 대담하고 성숙한 이미지로 변화하였으며, 음악도 보다 R&B적 요소를 갖추게 되었다. -
리조
리조는 휴스턴에서 미니애폴리스로 활동무대를 옮기며 본격적인 음악활동을 시작하였고, 이때부터 프린스와의 인연이 시작되었다. 리조는 롤링 스톤 인터뷰에서 프린스는 자신의 음악적 영웅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여러 인터뷰에서 프린스에 대한 존경심을 표했다. -
리한나
리한나는 프린스의 영향을 많이 받은 가수중 하나로 언급되는데, 그녀는 프린스의 영향을 많이 받았음을 수 차례 밝힌 적이 있으며, 공연에서 프린스를 기리기 위해 무대와 의상을 보라색으로 꾸민 적이 있다. 그녀의 곡 Kiss It Better 는 프린스의 영향이 강하게 드러난 곡으로 평가된다. -
두아 리파
두아 리파는 그녀의 두번째 앨범인 Future Nostalgia가 프린스와 아웃캐스트의 영향을 받았다고 밝혔다. 프린스의 혁신적이고 다채로운 음악스타일이 특히 그녀에게 영감을 주었음을 강조했다. -
데이브 그롤
데이브 그롤이 Darling Nikki를 먼저 커버했는데, 프린스 쪽에서 동의 없는 커버로 도발로 느꼈는지 역으로 프린스 쪽에서 슈퍼볼 공연의 예상치 못한 선택으로 푸 파이터스의 대표곡인 Best of You 를 완벽하게 커버해버렸다. 데이브 그롤은 매우 영광스럽고 감사하다는 반응을 보였다. 프린스 사후, 추모공연에서 데이브 그롤은 Darling Nikki를 다시 공연하였다. 데이브 그롤은 프린스 사후에도 계속 이 에피소드를 언급하고 있다. -
필 콜린스
히트곡 Sussudio가 1999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 -
로린 힐
그녀는 뉴욕 타임스 리뷰에서 프린스를 언급하며 음악과 영향력에 대한 존경을 표했다. 로린힐과 프린스는 개인적인 친분이 있기도 했는데, 그녀가 어려웠던 2012년경 프린스가 그녀의 아이를 잠시 돌봐주기도 했고 프린스 사후 그녀는 감정을 담아 Nothing Compares 2 U를 부르며 트리뷰트 공연을 하기도 하였다. -
250
NewJeans의 프로듀서로, 프린스를 진짜 순수하게 제일 존경했다면서, 자신의 아이돌이었다고 직접 밝혔다. -
신디 로퍼
프린스의 히트곡을 커버하였다. - H.E.R.
- St. Vincent
- 안드레 3000
- 레이디 가가
- 어셔
- 퍼렐 윌리엄스
- Beck
- 레드 핫 칠리 페퍼스
- 미시 엘리엇
- 엔싱크
- SUGIZO
8.1. 프린스가 영향을 받은 아티스트
-
제임스 브라운
마이클 잭슨과 프린스가 공통으로 존경하는 음악적 대선배로, 그 까칠한 프린스가 여러차례 공연에서 제임스 브라운에 대한 존경을 표했다. 1983년에 제임스 브라운이 있는 무대에서 MJ와 같이 공연을 한 것은 유명하다. 프린스는 인터뷰에서도 여러번 그에 대한 존경을 표했다. 이는 프린스 음악 스타일의 뿌리가 제임스 브라운의 펑크 스타일에 닿아있는 이유로 보인다. -
롤링 스톤스
프린스가 신인 시절 무명의 생활을 겪으면서 힘들어할 때 믹 재거가 조언을 해 준 일화는 매우 유명하다. 이러한 일화 뿐만 아니라 음악적인 면이나 퍼포먼스적인 면 모두에서 롤링 스톤스의 영향을 짙게 받았다. 반면 키스 리처즈는 프린스에 대해 악담을 했는데, 이분은 자신의 절친이나 자기네 보컬한테도 악담을 하는 양반인지라 그냥 독설가로서의 컨셉으로 보면 된다. -
레드 제플린
음악적인 영향을 전체적으로 받았지만, 특히나 지미 페이지의 기타 연주에서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프린스 본인이 레드 제플린의 광팬이기도 하다. - 지미 헨드릭스
- 조니 미첼
9. 기타리스트
|
▲ 전성기 시절의 'Purple Rain' 라이브 |
|
▲ 2004년 조지 해리슨 추모공연 중 'While My Guitar Gently Weeps'에서의 기타 솔로 |
마이클 잭슨하면 흔히 떠오르는 이미지가 검은 옷과 모자 그리고 은색 장갑이라면, 프린스의 경우에는 흔히 떠오르는 이미지가 프린스의 마크를 본뜬 보라색 기타를 멘 모습일 정도로 그 애정과 실력이 남달랐던 기타리스트이기도 했다. 프린스는 공연의 대부분을 기타와 함께 진행하기도 했다. 여담으로 기타히어로 제작사 측에서 기타히어로 프린스 버전을 내려고 프린스에게 제의를 하자 프린스는 바로 거절했는데, 그때 프린스는 '큰 돈을 벌 수 있는 기회라는 건 나도 잘 알지만, 아이들이 게임이 아닌 실제 기타를 배워야 한다는 믿음이 있어서 제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고 밝힌 적이 있다. 기타에 대한 그의 철학과 자부심을 알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다. 그는 레드 제플린, 특히 지미 페이지의 열렬한 팬이었기에, 음악적 부분뿐만 아니라 기타 연주 면에서도 지미 페이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고 한다.
다만 너무 재능이 다방면으로 많고[60] 성에 대한 노골적인 퍼포먼스와 가사, 패션, 기행으로 무장한 팝스타라는 이미지가 굳건해서 기타리스트를 포함한 악기를 소화하는 실력에 대해서는 대중들에게 저평가가 이루어졌다. 롤링 스톤지에서는 저평가된 기타리스트 중 1위로 선정된 적이 있다.
9.1. 프린스가 사용한 기타
Hohner Mad Cat Telecaster PRINCE CLOUD GUITAR
|
|
위의 기타가 호너 매드캣, 아래의 기타가 클라우드 기타 |
이 기타는 하모니카와 아코디언으로 잘 알려진 독일의 악기 제조업체인 호너(Hohner)[61]에서 만든 기타로, 특징은 전형적인 텔레캐스터 디자인의 외관을 가지고 있고, 두개의 싱글코일 픽업의 구조와 하드테일 브리지를 사용하여 일반적인 텔레캐스터에 비해 굉장히 명료하고 균형적인 톤을 낸다. 호너 매드캣의 바디는 메이플 탑과 애쉬 백의 조합으로 제작되었는데, 이는 알더나 애쉬 바디 등을 사용하는 일반적인 텔레캐스터의 조합과는 거리가 멀다.
호너 매드캣은 1970년대에 처음 출시되었으며, 1980년대에 프린스에 의해 매우 유명해졌으나, 아무래도 호너가 기타를 전문적으로 만드는 기업이 아닌 탓인지 단종되었고, 일본의 일부 기타 제조업체에 의해 Mad Cat Japan으로 소량 위탁 제조되는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프린스가 두번째로 많이 사용한 기타는 클라우드 기타인데, 이는 프린스를 위해 특별히 제작한 전용 악기로, 굉장히 독특한 외형을 지니고 있다. 한개의 험버커 픽업과 두개의 싱글코일 픽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특히 이 기타는 영화 Purple Rain을 촬영하기 위해 제작한 것이라 의미가 깊은 기타라 볼 수 있다. Purple Rain 뮤직비디오에서 프린스는 이 기타를 사용하였고, 투어에서도 자주 사용 하였다. 물론 호너 매드캣만큼의 사용빈도는 보여주지는 않았다.
|
Love Symbol Guitar |
10. 멀티 인스트루멘탈리스트
|
▲ 프린스의 즉흥 베이스 솔로 |
|
▲ 프린스의 드럼 솔로 |
|
▲ 프린스의 재즈 공연 리허설 中 피아노 |
베이스 기타 역시 당대의 베이시스트들 중 프린스에게 영향을 받았다는 사람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로 탁월하다. 빅터 우튼도 레슨 비디오에서 "프린스 스타일의 프레이즈를 늘 연습했죠. 그는 정말 끝내주는 베이스 연주자라고요!"라고 언급하기도 한다.
그는 피아노도 프로 세션 급으로 칠 줄 알았고 공연 중에도 가끔 피아노로 반주하며 노래를 부르기도 했다. 더군다나 프린스의 아버지가 피아노 세션 연주자였기에 그는 7살에 처음 피아노를 잡았고 그를 상징하는 일렉트릭 기타는 오히려 그때보다 늦은 13살에 처음 잡았다는 일화가 있다.
11. 더 레볼루션, 그리고 NPG
자세한 내용은 더 레볼루션 문서 참고하십시오.12. 페이즐리 파크
자세한 내용은 Paisley Park 문서 참고하십시오.13. 이야깃거리
13.1. 여담
- 영화 귀여운 여인(Pretty Woman)에서 줄리아 로버츠가 욕조에서 거품목욕을 하면서 헤드셋을 끼고 프린스의 Kiss를 코믹하게 따라부르는 장면이 나온다. 리처드 기어가 그 모습을 흐뭇하게 바라보고 줄리아 로버츠가 "프린스 좋아하세요?" 라고 묻고 리처드 기어는 "인생보다 더" 라고 되받는다.
-
신장이 157cm로 매우 단신인데, 왜소증인 경우를 제외하면 똑같이 위대한 기타리스트로 평가받는
앵거스 영과 더불어 남성 연예인들을 통틀어 최단신 중 한명이다. 이 키 때문에 하이힐을 즐겨신고 다닌지라 게이 의혹을 받은 적도 있고[66] 하이힐을 즐겨 신은 결과 엉덩이 쪽에 무리가 가서 진통제로 버티기도 했다. 작은 키 때문에 상당히 신경이 쓰인 탓인지, 1990년대에 같이 활동하였던 The New Power Generation의 경우, 비슷한 키의 멤버로만 모집을 하거나 자신이 앞에 서서 원근법의 차이로 키 차이가 눈에 띄지 않게 촬영하는 등의 제약이 있었다. 2001년 공식적으로
여호와의 증인이 된 프린스가 수술이 필요하다는 진단을 받았음에도 수혈을 금지하는 교리 때문에 수술을 거부했다는 소문이 있었으나 본인은 수술 진단 자체가 사실무근이라며 부인했다. 심지어 전부인 마이테 가르시아가 자서전에서 밝히기를, 집에서도 항상 굽높은 실내화를
신었다면서 와이프인 마이테 자신에게도 키작은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하지 않았다고 하는 것을 보면 하이힐 착용은 본래 패션용도보다는
키에 대한 컴플렉스로 인한 목적이 커보인다. - "저 키로?" 싶겠지만, 고등학교까지는 농구선수였다. 포지션은 포인트 가드로 실력도 출중했다고 한다. 그래서였는지 가수가 된 후에도 농구에 대한 애정이 많아서, 고향팀인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경기를 자주 관람하러 왔다고 한다. 게다가 본인이 팀버울브스 팬이기도 했다.
- 역시 키 탓에 쉽게 상상할 수 없지만 에디 머피의 형 찰리 머피가 프린스에게 초대받았는데, 157cm인 프린스가 농구시합을 제안하자 185cm였던 찰리 머피는 비웃었으나 게임이 시작되고 프린스에게 처참하게 깨졌다는 일화가 유명하다. 100% 실화라고 한다. 웃긴 썰이라 그런지 2004년에 샤펠 쇼에서 재현된적이 있다 #. 프린스는 후에 'Breakfast Can Wait'의 싱글 커버에 그 스케치에서 나온 데이브 샤펠의 프린스 분장 사진을 넣었다(팬케이크 들고 있는 그 장면). 지미 팰런 쇼에서 데이브 샤펠이 언급하기도 했다 #. "완전 천재적인 반격이죠. TV 스케치에서 프린스 놀렸는데 그걸로 앨범 커버에 쓰다니... 제가 뭘하겠어요? 프린스 분장한 사진을 썼다고 제가 프린스를 고소해요? 완전 체크메이트죠."
- 킴 베이싱어, 마돈나, 카르멘 엘렉트라 등 당대 최고의 여자 연예인들과 염문을 뿌리고 다녔다. 1996년 발렌타인 데이에 자신의 백업싱어 겸 댄서인 마이테 가르시아[67]와 결혼해 10월에 아들 그레고리를 얻었으나, 아기는 두개골 이상으로 뇌가 자라지 않는 파이퍼 증후군을 가져 태어난 지 1주일 만에 사망했다. 마이테 가르시아는 한동안 프린스의 월드 투어 세션으로서 동행했다. 이후에 프린스는 죽을 때까지 생물학적 자녀를 낳지 않으면서 프린스의 직계 혈통은 사실상 단절되었다.
- 플레이보이라고 하지만 실제 성격은 극히 소심하고 낯가림이 많다고 크리스 터커가 토크쇼에서 말한 바 있다. 자신이 있다는걸 파티에서 알려주기 위해 특유의 가성을 쓴다나 뭐래나. 역시 프린스의 라이벌로 여겨진 마이클 잭슨 또한 그래보이지 않게 엄청나게 소심하고 낯가림이 많다.
- 프린스는 얼터너티브 R&B의 탄생에 큰 기여를 한 아티스트이다. 네오 소울의 시발점이 된 장르 크로스오버를 통한 소울 음악을 했고, 이 네오 소울 역시 발전을 거듭해 긴 시간 뒤 얼터너티브 R&B 탄생에 기여를 하게 됐다. 프린스는 얼터너티브 R&B에서 가장 큰 대중적인 인기를 끌고있는 아티스트 The Weeknd에게 2015 AMA에서 최우수 R&B/Soul 앨범상 수상자 호명 및 상을 건네주었었다. 이 것이 프린스의 생전 마지막 시상이었다. 프린스가 사망한 이후에 치러진 2016 BBMA에서 The Weeknd가 Top Hot 100 Artist 부문 수상을 하며 수상 소감으로 "AMA에서 프린스가 상을 건네줄 때의 경험이 인생에서 가장 최고의 순간이었다"고 밝힌 바 있다. 5년 뒤인 2020 AMA에서 앨범 < After Hours>로 다시 한 번 최우수 R&B/Soul 앨범상을 수상하게 되었을 때, 위켄드는 수상 소감에서 "지난 번 위대한 故 프린스[68]에게 상을 건네받았었다. 내가 끊임없이 R&B 장르에 도전을 하는 이유가 바로 프린스였다. 그리고 이 상을 그에게 바친다."라 밝히기도 했다. 해당 발언은 프린스의 공식 유튜브 채널 커뮤니티와 SNS에 업로드되었다. 더 위켄드가 제일 존경하는 아티스트 중 한 명으로 아직도 프린스에 관한 영상을 인스타에 올리거나 인터뷰에서 이야기하며 그에 대한 찬사를 하고있다.
- 악당 전하(His Royal Badness)라는 별명이 있다.
- 강한 영혼은 규칙을 초월한다는 말을 남긴 적이 있는데, 얽매이는 것을 싫어하는 그의 행적과 맞물려 그를 상징하는 말이 되었다.
- 50대의 나이임에도 엄청난 동안을 유지했다. 여담으로 더 후의 베이시스트인 존 엔트위슬과 같은 나이에 사망했는데, 존 엔트위슬은 엄청난 노안이고 프린스는 엄청난 동안이라 둘을 모두 아는 팬들은 이에 대해 괴리감이 느껴지기도 한다. 또한 딱히 얼굴이 많이 변한 것도 아니라 성형 논란도 별로 없는 편이다.
- 워낙에 음악과 관련된 부분은 빡세기로 유명해서, 과거 비욘세한테 리허설때 음정이 안 맞다고 혼내는 등 무서운 완벽주의자의 면모를 보였다.[69] 물론 단순히 혼내는 것이 아니라 비욘세가 하도 프린스를 어려워하고 무서워하니 '긴장하지 말고 크게 질러보라'고 격려해주면서 리허설을 이끌어갔다고 한다. 제임스 브라운 이후로 동료 가수들에게 함께 일하기 어려운 가수로 자주 꼽혔다. 이 완벽주의적인 면모는 타인은 물론 자신도 예외가 아니라 자신의 악기(주로 기타), 목소리, 음향에 엄청나게 엄격하여, 같이 무대에 서본 가수들도 이에 대해 험담보다는 '그런 완벽주의적인 모습이 있었기에 그런 커리어를 갖출 수 있구나 하고 고개를 끄덕일 수 밖에 없었으며 강렬한 인상을 받았다.'라는 식으로 자주 존경을 표했다.
- 유튜브에 프린스 레볼루션 TV라는 채널을 개설, 자신의 뮤직비디오나 콘서트 영상들을 올려왔었는데 NPG 뮤직 클럽이라 하여 온라인 음원 다운로드 사이트를 열고 온라인 음원 사업에 뛰어들면서 프린스 레볼루션 TV에 있는 영상들은 죄다 '프린스가 자신의 곡이 유튜브에 올라가는 것을 원하지 않아 원곡이 막혔습니다.'라는 친절한 안내문구와 함께 원곡 대신 엉뚱한 다른 가수의 곡이 흘러나오게 됐다. 당연히 댓글은 각종 욕설로 도배가 돼있던 상황. 그나마 이 공식 유튜브 채널마저도 칸트러버시 뮤직과의 법적 문제로 인해 아예 폐쇄되었고, NPG 뮤직 클럽도 망했다. 2014년 현재는 프린스 명의로 하나, 3rdEyeGirl 명의로 하나 2개의 유튜브 채널을 다시 개설했다. 주로 라이브 공연 영상을 올리거나 새로 발매하는 음원들을 간단한 영상으로 홍보하는 편이다.
- 제임스 브라운에게는 다급하게 모자를 벗으면서 고개숙여 인사할 정도로 깍듯하게 모시다시피하지만, 그래미 어워드에서 퀸시 존스가 평생 공로상을 받을 때는 입을 삐죽 내미는 등 선배라도 호불호를 숨기지 않는다.
- 새벽의 황당한 저주에서는 주인공의 친구가 주인공이 가지고 있던 음반들을 좀비한테 던지는데 그 때 친구가 프린스의 최대 히트 앨범인 'Purple Rain' LP판을 던지려고 했을때 주인공은 그 앨범만큼은 안돼!라며 친구를 말렸다.
- 드라마 뉴걸 시즌3는 한 화를 프린스 주제로 만들었으며, 프린스가 카메오로 나오기도 했다.
- 이적이 펑키함과 섹시함을 가장 충실하고 세련되게 담은 곡으로 프린스의 ' Kiss'를 뽑은 적이 있다. 긱스 활동 중에는 프린스의 Erotic City와 유사한 곡을 내놓기도 했다.
- 신해철은 자신의 라디오에서 '20세기에 태어난 흑인 모차르트'라고 찬양하기도 했다.
- 미네소타 바이킹스, 미네소타 팀버울브스 팬이였다고 한다. 그래서였는지 관중석에 자주 모습을 비춘 적이 있었고, 본인이 바이킹스 팬이라고 밝혔던 적도 있었다고. 프린스 사후, 모든 미네소타 스포츠 구단들은 프린스 추모 행사를 개최한 적이 있다.[71] 특히 미네소타 바이킹스같은 경우에는 Purple Rain을 변형해 Purple Reign[72]이라는 슬로건을 밀고 있다.
- 베트남계 미국인 가수인 뚜언 아인은 프린스 비슷한 느낌의 외모라는 이유로, 한 정체불명의 서양사람에 의해 아시안 프린스라는 인터넷 팬 인물로 왜곡된 적이 있다. 게다가 아시안 프린스의 노래로 알려진 것들은 또 다른 베트남계 미국인 가수들의 곡을 끌어와서 실제로는 뚜언 아인 본인의 노래가 아니다.
- 2U 나 4U 같은 식으로 문장을 비슷한 발음의 숫자와 알파벳의 조합으로 표기하였는데 이는 프린스가 최초로 시도한 것이다. 시네이드 오코너의 대표곡 Nothing Compares 2 U도 이를 활용한 것.
-
심슨 가족에
카메오로 등장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2008년의 시즌 20의 Treehouse Of Horror 19의 두번째 에피소인 'How to get Ahead in DEAD - Vertising'. 이 에피소드에서 라이센스 비용과 조건을 맞추기 싫어하는 광고업자의 의뢰를 받은 호머 심슨에게 조지 클루니, 닐 암스트롱과 함께 끔살당하는 역할.[73]타임스퀘어 한가운데에서 광고하는 '프린스가 엄선한 가뭄에 강한 잔디 씨앗'추가로 이 에피소드 이전에 시즌 3의 첫번째 에피소드인 'Stark Raving Dad' 에 마이클 잭슨 대신[74] 출연할 예정이었지만, 여러가지 사정으로 인해 무산된 적이 있었던 사실이 밝혀지기도 했다. #
- 정엽 라디오에 출연한 바버렛츠가 프린스 공연에 조명 장비를 납품하던 회사 관계자의 말을 인용했는데, 뮤지션의 삶에서 지치고 권태를 느낄 때 프린스의 하루를 되새겨보라는 것이었다. 프린스는 점심 쯤 일과를 시작했는데, 점심 어쿠스틱 팬미팅 1시간 - 그보다 더 큰 규모 팬미팅 2~3시간 공연 - 사운드 체크 3시간 - 본 공연 - 애프터 파티 - 다시 잼 세션(애프터 파티의 애프터 파티)에 이르기 까지, 이걸 매일같이 몇 십년을 해왔다고 하니 말 그대로 뮤지션들의 뮤지션이라고 할 만 하다. 참고로 원래부터 프린스 팬이었던 정엽은 일화를 듣고난 뒤 그 동안 자신이 상상했던 프린스는 꽤나 여유롭게 생활할 줄 알았지만 온 시간을 빡빡하게 음악에만 온 시간을 들여 인생을 바쳤다는 것에 적지않은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 래리 그래엄이나 메이시오 파커 같은 펑키 음악의 거장들을 자택으로 초청해서 잼[75]을 하며 놀았다고 한다. 그러다가 삘 받으면 음반 내고 이 양반들을 다 이끌고 월드 투어를 다녔다.
- 본인의 히트곡 말고도 샤카 칸,[76] 패티 라벨, 마돈나[77], 뱅글스[78], 시나 이스턴[79], 쉴라 E[80], 마티카[81], 셀린 디옹[82], 시네이드 오코너[83], 테빈 캠벨[84], 노 다웃 등에게 곡을 써 주거나 앨범에 참여하기도 했다. 특히 시네이드 오코너에게 준 Nothing Compares 2 U는 빌보드 차트 1위까지 오르기도 했다. 이외에도 영화음악에도 손을 대서 팀 버튼의 배트맨(1989년 영화) 등에 참여하기도 했다. 한국인들이 프린스의 음악을 들어봤다면, 아마도 이쪽이 가장 가능성이 높다.[85]
- 영화 쪽에도 손을 대서 퍼플 레인 말고도 Under the Cherry Moon,[86] 비디오 영화 3 Chains o' Gold, 퍼플 레인의 후속작인 Graffiti Bridge 총 4작품에 주연으로 출연했다. 이 4작품은 전부 자신의 신곡을 사용한 뮤지컬 영화다. 그런데 이쪽에는 별 재능이 없는지 전부 평이 영 좋지 않으며, 그가 감독까지 맡은 Cherry Moon, Graffiti Bridge는 골든 라즈베리 어워드에서 극딜을 먹이기도 했다.[87]
- 유니버설 픽처스가 프린스의 음악들을 차용한 뮤지컬 영화로 제작할 예정이다. # 맘마미아 형식으로 나온다.
- 프린스도 표절논란에서 자유롭진 못했다. 프린스의 1995년도 발매 히트곡 <The Most Beautiful Girl in the World>는 이탈리아 법정에서 최종 표절 판정을 받았다. #
- 정치적으로는 중도 성향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BLM을 지지하고 버락 오바마를 위한 공연도 가졌지만, 1990년대에는 공화당 상원의원 후보에게 후원한 적이 있다.
- 생전에 프린스는 유튜브를 포함한 여러 동영상 사이트에 그의 뮤직비디오나 라이브 영상, 음원이 올라오는 것을 좋아하지 않았다. 음악을 실제로 팬들에게 들려주고 싶어했고, 실제로 그는 끊임없이 공연을 했다. 그가 세상을 떠난 뒤에야 그의 공식 유튜브 채널에 고화질 영상들이 올라오고, 프린스의 팬들이 그의 미발매곡, 그가 했던 작은 규모의 라이브까지 올리면서 오히려 생전보다 그의 영상이나 곡을 찾기는 수월해졌다. 그가 세상을 떠고 나서 오히려 그의 라이브를 손쉽게 감상할 수 있게 되고 그의 행적, 그의 경이로운 음악을 디깅하기는 쉬워진 셈. 참 아이러니한 부분이라고 할 수 있다.
- 프린스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이 주로하는 오해는 프린스가 백인이 아니냐는 오해이다. 프린스가 흑인이라 하기에는 밝은 피부톤에 목소리도 흑인하면 떠오르는 스테레오타입적 음색도 아니거니와 얼굴 역시 흑인하면 떠오르는 그런 인상도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프린스는 엄연히 흑인으로, 라틴계 백인과 흑인 등의 혈통이 섞인 유색 인종이자 본인 스스로도 흑인이라 여긴다. 노래들 중엔 N-Word를 가감없이 쓴 가사도 있고, 인터뷰에서도 사용한 바 있다.[88]
- 프로레슬러 마이클 라울리 헤이너는 1995년 WCW에 데뷔, 하와이 출신이라는 배경을 살려 '프린스 야우키아'라는 그냥 평범한 하와이안 선역 캐릭터로 활동했었는데 1999년 '한 때 프린스 야우키아라고 알려졌던 아티스트 (The Artist Formerly Known as Prince Iaukea)'로 링네임을 변경하며 캐릭터를 일신했다. 당연히 모티브는 프린스. 입장할 땐 보라색 조명과 함께 퍼플 레인 짭스러운 테마곡이 깔렸다.
14. 마이클 잭슨과의 라이벌리
|
프린스와 마이클 잭슨[89] |
프린스의 라이벌을 꼽으라면 팬들이나 평론가들이나 이구동성으로 동시대에 활약했던 마이클 잭슨을 꼽는다. 이러한 라이벌리는 1980년대 초반부터 시작되었으며 보통 1960년대의 비틀즈 VS 롤링 스톤스, 1970년대의 레드 제플린 VS 핑크 플로이드[90], 1990년대의 투팍 VS 비기, 머라이어 캐리 VS 휘트니 휴스턴와 함께 전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라이벌리로 꼽힌다.
이 두 아티스트가 라이벌로 꼽히는 이유는 비슷한 시기에 큰 성공을 거두고 같은 흑인 가수라는 점 때문이다. 또한 이 둘의 비슷하면서도 다른듯한 외모와 이미지도 한 몫 했다. 초창기에는 둘의 라이벌리가 워낙 유명했고, 이들의 라이벌리를 강조하여 돈을 버는 가십지와 같은 타블로이드들의 언론 선동 등으로 둘 사이가 나빴을 것이다 등과 함께 각종 루머들이 많이 돌았는데 앞선 문단에서도 나왔듯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초반에 마이클과 프린스는 싱글 ' Bad'의 듀엣과 관해 모여 이야기를 한 적이 있는데, 프린스가 그때 부두술사 인형을 가지고 와서 마이클은 자신을 저주하려는 줄 알고 깜짝 놀랐다고 한다. 증언에 따르면 마이클 잭슨은 프린스의 팬이었다고 하며, 프린스의 키보디스트였던 O'Neal이 밝힌 바에 따르면 프린스 역시 마이클 잭슨에게 영향을 받았고, 이 둘은 악감정 없이 서로를 존경했으며 사이가 좋았다고 한다. # 또 앨범 Bad의 콜라보 무산이 프린스가 마이클을 질투했기 때문이다라는 루머는 굉장히 유명한데, 실상은 그냥 프린스가 스케쥴[91]이 맞지 않았고 컨셉 역시 프린스와 어울리는 컨셉은 아니었기 때문에 이뤄지지 못했던 것 뿐이었다.
또한 레니 크레비츠는 프린스와 함께 마이클 잭슨의 스튜디오에 찾아가 오후 내내 셋이서 재밌게 논 적이 있었다고 밝히기도 했으며, 둘이서 탁구를 친 적도 있다고 한다.[92]
한편 두 아티스트가 서로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짐작할 수 있는 일화들도 있다. 먼저 프린스는 2004년 라디오쇼 'Doug Banks Morning Show'에 출연해 진행자가 말하는 단어를 듣고 한 단어로만 본인의 생각을 말하는 코너에서 마이클 잭슨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질문을 받았는데 '천재(Genius)'라고 답했다고 한다. 이어 마이클의 여동생 자넷 잭슨에 대해서도 질문을 받고는 '천재의 여동생(Genius' sister)'이라고 답했다고.[93]
마이클 잭슨은 'This is it' 공연을 앞두고 이번에 내가 쉬면 신은 그 재능을 프린스에게 줄 것이라 말했다고 하는 주위 증언이 있는데 사실 여부는 모른다. 어느 무대에선 마이클과 같이 있던 제임스 브라운이 관객석 쪽에 있던 프린스를 무대로 불러들여 둘이 즉흥적인 퍼포먼스 경쟁을 하기도 했다. Bad 월드 투어 때 마이클 잭슨의 밴드는 언제나 프린스의 It's Gonna Be A Beautiful Night를 연주했다. 마이클 잭슨이 노래를 부르지는 않았지만 콘서트를 마이클 잭슨이 지휘했고 매 공연마다 연주했으니 마이클 잭슨의 의사인 것은 확실한데 무슨 이유인지는 불명이다. 단순히 프린스의 이 노래를 좋아했을지도 모른다.
흑인음악계 최고의 거장 중 한 사람인 스티비 원더는 마이클 잭슨이 왕(King of Pop)이라면 프린스는 황제(Emperor)라고 말했다. 기사
안타깝게도 마이클 잭슨은 향년 50세, 프린스는 향년 57세로 두 명 모두 약물 관련 사고로 50대에 세상을 일찍 떠났다는 공통점이 있다.
15. 디스코그래피
15.1. 앨범
- For You (1978)
- Prince (1979)
- Dirty Mind (1980)
- Controversy (1981)
- 1999 (1982)
- Purple Rain (1984)
- Around the World in a Day (1985)
- Parade (1986)
- Sign "☮" the Times (1987)
- Lovesexy (1988)
- Batman (1989)
- Graffiti Bridge (1990)
- Diamonds and Pearls (1991)
- Love Symbol Album (1992)
- Come (1994)
- The Black Album (1994)
- The Gold Experience (1995)
- Girl 6 (1996)
- Chaos and Disorder (1996)
- Emancipation (1996)
- Crystal Ball / The Truth / Kamasutra (1998)
- Newpower Soul (1998)
- The Vault: Old Friends 4 Sale (1999)
- Rave Un2 the Joy Fantastic (1999)
- The Rainbow Children (2001)
- One Nite Alone... (2002)
- Xpectation (2003)
- N.E.W.S. (2003)
- The Chocolate Invasion (2004)
- The Slaughterhouse (2004)
- C-Note (2004)
- Musicology (2004)
- 3121 (2006)
- Planet Earth (2007)
- Lotusflow3r / MPLSound (2009)
- 20Ten (2010)
- Plectrum Electrum (2014)
- Art Official Age (2014)
- HITNRUN Phase One (2015)
- HITNRUN Phase Two (2015)[94]
- Piano & A Microphone 1983 (2018)[95][96]
- Originals (2019)[97]
- Welcome 2 America (2021)[98]
15.2. 참여 앨범
- The Time - The Time (1981)
- What Time Is It? - The Time (1982)
- Vanity 6 - Vanity 6 (1982)
- Ice Cream Castles - The Time (1984)
- The Glamorous Life - Sheila E. (1984)
- The Family - The Family (1985)
- 8 - Madhouse (1987)
- 16 - Madhouse (1987)
- 24 - Madhouse (1988)
- Gold Nigga - New Power Generation (1993)
- 1-800 New-Funk (1994)
- Exodus - New Power Generation (1995)
15.3. 라이브 앨범
- One Nite Alone... Live! (2002)
- Indigo Nights (2008)
16. 빌보드 차트인 목록
16.1. 빌보드 R&B 차트 1위
- I Wanna Be Your Lover (1979)
- When Doves Cry (1984)
- Let's Go Crazy (1984)
- Kiss (1986)
- Sign ‘O’ the Times (1987)
- Batdance (1989)
- Thieves in the Temple (1990)
- Diamonds and Pearls (1991)
16.2. 빌보드 핫 100 1위
- When Doves Cry (1984)[99]
- Let's Go Crazy (1984)[100]
- Kiss (1986)
- Batdance (1989)
- Cream (1991)
16.3. 빌보드 핫 100 2위
- Purple Rain (1984)
- Raspberry Beret (1985)
- U Got the Look (Duet with Sheena Easton) (1987)
16.4. 빌보드 핫 100 3위 ~ 10위
- Little Red Corvette (1983) - 6위
- Delirious (1983) - 8위
- I Would Die 4 U (1984) - 8위
- Pop Life (1985) - 7위
- Sign ‘O’ the Times (1987) - 3위
- I Could Never Take the Place of Your Man (1987) - 10위
- Alphabet St. (1988) - 8위
- Thieves in the Temple (1990) - 6위
- Diamonds and Pearls (1991) - 3위
- 7 (1992) - 7위
- The Most Beautiful Girl in the World (1994) - 3위
16.5. 빌보드 핫 100 11위 ~ 40위
- I Wanna Be Your Lover (1979) - 11위
- 1999 (1982) - 12위
- Take Me with U (1985) - 25위
- Mountains (1986) - 23위
- Partyman (1989) - 18위
- The Arms of Orion (1989) - 36위
- Gett Off (1991) - 21위
- Money Don't Matter 2 Night (1992) - 23위
- My Name Is Prince (1992) - 36위
- Letitgo (1994) - 31위
- I Hate U (1995) - 12위
16.6. 빌보드 핫 100 41 ~ 100위
- Soft and Wet (1978) - 92위
- Controversy (1981) - 70위
- Let's Pretend We're Married (1983) - 52위
- America (1985) - 46위
- Anotherloverholenyohead (1986) - 63위
- If I Was Your Girlfriend (1987) - 67위
- New Power Generation (1990) - 64위
- Insatiable (1991) - 77위
- Sexy MF (1992) - 66위
- The Morning Papers (1993) - 44위
- Pink Cashmere (1993) - 50위
- Purple Medley (1995) - 84위
- Gold (1995) - 88위
- The Greatest Romance Ever Sold (1999) - 63위
- Call My Name (2004) - 75위
- Black Sweat (2006) - 60위
[1]
프린스라는 예명(藝名,stage name)은 본인의 원래 이름 중 퍼스트 네임에서 따왔다. 이는
마돈나도 마찬가지다.
[2]
현재는
에릭 베넷의 부인이다.
[3]
악당 전하라는 뜻
[4]
빌보드 핫 100 11위
[5]
나는
백인인가?
흑인인가? 나는
이성애자인가?
동성애자인가?
[6]
프린스의 대표곡
[]
[8]
빌보드 핫 100 1위
[9]
The time의 멤버이다.
[10]
실제로 프린스의 디스코그래피는 상식을 초월한다. 80년대를 풍미한 가수의 디스코그래피가 정규작만 39개이며 2000년대 이후 발표한 정규작만 16개라니 이게 말이 되나 싶을 정도.
[11]
편의상 Love Symbol이나 Prince Symbol로 부르긴 한다. 'The Artist'이나 'Symbol'도 그 때 만들어진 이름
[12]
실제로 앨범 제목, 트랙리스트만 알려지고 발매되지 않은 앨범들이 꽤 많다.
[13]
가칭. Welcome 2 투어 당시 라이브로만 선보인 신곡들이 있어 20Ten 디럭스가 아닌 새 앨범을 발매한다는 루머가 돌았다. 결국 그런거 없었다.
[14]
놀랍게도 아직 과거 앨범 리마스터가 제대로 되지 않은 뮤지션이기도 하다.
[15]
공교롭게도 TMZ는 2009년에 또다른 흑인 팝스타인
마이클 잭슨의 사망을 최초로 보도한 적이 있다.
[16]
이후
페이즐리 파크에 프린스의 유해가 안장되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17]
우연인지 프린스,
마이클 잭슨, 그리고
마돈나까지 세 명은 모두 1958년생 동갑이다. 그리고 셋은 서로가 사적으로도 특이한 인연을 지니고 있다.
[18]
특히 그의 트레이드 마크인 하이힐.
[19]
더 나아가 에릭 클랩튼은 프린스의 곡을 커버하기도 했다.
[20]
스티비 닉스,
샤카 칸,
패티 라벨,
시나 이스턴,
마돈나,
뱅글스,
시네이드 오코너,
마티카,
테빈 캠벨 등이 그에게서 곡을 받아 히트시켰다. 심지어 전혀 어울리지 않아보이는
셀린 디온도 곡을 받은 적이 있다.
[21]
2020년 나온 사인오더타임스 슈퍼디럭스판에 수록된 "Can I Play With U"가 있는데, 잘 안 맞은 것 치고는 꽤나 좋다.
[22]
신스팝 및
뉴 웨이브의 요소가 결합된
Funk rock
[23]
물론 미니애폴리스 사단 등 음악적 가치를 공유하는 뮤지션들은 있지만 심지어 이들의 노래의 대부분 작곡들도 프린스가 담당하였다.
[24]
심지어는 이것도 👀 와 같은 기호로 표현하기도 했다.
[25]
원래부터 프린스는 롤링 스톤스에게 리스펙을 표현하던 사람이었다. 그런 프린스가 말 그대로 뉴비라고 부를만한 시기였을 때 처음으로 프린스와 프린스의 밴드는 천외천급 규모의 경기장에서 공연을 해볼 기회가 생겼다. 이 경기장에서 공연하는 것은 롤링 스톤스였는데 그 롤링 스톤즈 초대로 81년 투어의 오프닝 게스트로 서게 된 것. 그때 프린스는 157cm의 신장에 검은 트렌치코트에 수영복처럼 보이는 비키니와 높은 힐을 신은 모습이었는데, 이런 패션만으로도 당시에는 엄청난 야유가 나왔을 것이다. 하지만 이런 패션으로도 모자라 프린스는 흑인이었기 때문에 말 그대로 관객들은 폭발했다. 폭풍같은 야유와 각종 음식, 술병, 각종 위험한 물건들이 그와 그의 밴드를 향해 던져졌고, 이것을 본 프린스는 멘탈이 터져버렸다. 지금으로서는 상상이 잘 안되지만 이때 프린스는 어떻게 흘러가는지도 모르고 4곡을 연주한 뒤 백스테이지에서 오열했고, 멤버들도 그냥 내버려두고 혼자 미네소타로 돌아갔다고 한다. 이 이야기를 들은
믹 재거가 “어이구야, 사람들이 나한테 던진 캔이랑 병만 해도 수천 개는 될 거다. 너 진짜로 거물 헤드라이너가 되고 싶은 거 맞냐? 만약 그렇다면 넌 그런 게 날아올 것에 대한 마음의 준비를 해야 할 거야. 뒈질 준비나 하라고.”라며 믹 재거 본인이 업계에서 수없이 흥행과 부진을 반복하면서 쌓은 경험, 후배의 대한 충고, 그 와중에 어딘가 섞인 껄렁함이 모두 포함된 일갈을 프린스에게 전화로 날렸고, 이를 듣고 프린스는 다시 마음을 다잡고 투어에 다시 참여할 수 있게 되었다. 롤링 스톤스의 믹 재거 급의 거물이면 얼마든지 다른 오프닝 게스트를 불러왔을 수도 있었을텐데, 믹 재거는 프린스가 데뷔할 때부터 눈여겨 볼만한 신인이라고 여겨서 직접 전화를 걸어 섭외도 하고 상상하지도 못한 고비를 만나 괴로워하는 그에게 충고를 했다. 대중음악 역사를 통틀어도 여러가지 의미로 가장 파격적인 두 거물의 인간적인 부분을 볼 수 있는 비하인드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충고와 콘서트의 경험을 바탕으로 프린스는 파격적인 음악으로 전 세계를 사로잡은 뮤지션으로 발돋음할 발판을 갖추게 된다.
[26]
반면
키스 리처즈는 프린스에 대해 악담을 퍼부었다고 한다. 다만 이 분은
자기네 보컬과
자신의 절친한테도 악담을 퍼붓는 사람이고, 독설가로서의 컨셉을 갖고 있기에 걸러들을 필요가 있다.
[27]
즉 이 통계에 따르면 비단 1980년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대중음악 역사에서도 열 손가락 안에 꼽힌다는 의미이다.
[28]
Rolling Stone
[29]
물론 일부 앨범에서는 레볼루션 멤버를 활용하기도 하였다.
[30]
프린스의 고향이
미네소타 주
미니애폴리스이며, 평생을 미네소타에서 살았다.
[31]
그 유명한
브루노 마스의
Uptown Funk도 미니애폴리스 사운드의 일종으로 분류된다.
[32]
다만 이 노래들에도 성적인 은유가 있다.
[33]
그는 락스타가 아닌 팝스타였지만 많은 락 밴드 기타리스트보다 높은 평가를 받았다.
[34]
다만 현재도 프린스의 경우 타 아티스트에 비해 라이브 영상 저작권이 굉장히 엄격하다. 조회수가 높은 영상도 기준에 걸리면 칼같이 삭제된다. 단지 프린스 생전에 비해서는 굉장히 누그러졌다는 것.
[35]
뮤지션, 작곡가, 기타 음악산업 중진 등 총 56명의 패널로 구성된 전문가 집단의 투표를 통해 선정하였다. 2011년에 한 차례 개정하였으나 리스트에 변동은 거의 없었고 프린스는 기존과 같은 27위를 유지하였다.
[36]
롤링 스톤 집필진들이 직접 선정하였다.
[37]
어클레임드 뮤직은 개인의 취향을 모두 배제하고 음악 평론가들, 또는 잡지 등의 매체들이 매긴 순위를 종합해서 포인트를 줘서 순위를 매기는 사이트다. 순위가 매겨진 앨범과 곡의 리스트를 공개된 공식을 바탕으로 합해 올타임 아티스트들의 순위도 매긴다.
[38]
'모든 음악'이라는 사이트 이름에 걸맞게 장르와 국적을 불문한 전 세계 온갖 음반, 뮤지션과 그에 관한 정보와 리뷰를 찾아볼 수 있다. 세계의 300만 장 이상의 온갖 음반, 100만 명 이상의 음악가의 데이터, 3,000만 이상 트랙의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수집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른 아티스트들에게 가장 많이 영향을 준 아티스트의 순위를 매겼다. 구체적으로는 뮤지션들이 누구에게 영향을 받았는지 인터뷰 자료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그 누적 언급빈도를 바탕으로 선정되었다.
[39]
로큰롤 명예의 전당에 헌액된 뮤지션들 중에서만 뽑은 것이라서 명예의 전당 헌액 조건들 중 하나인 데뷔 후 경력 25년을 채우지 못한 뮤지션들은 모두 제외됐다.
[40]
음악평론가와 현직 뮤지션, 기타 음악산업 종사자 등 총 200명 이상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선정하였다. 1998년에도 VH1은 같은 주제로 현역 뮤지션들에게 투표를 실시하여 리스트를
발표했었는데 이때 프린스의 순위는 18위였다.
[41]
빌보드 집필진들이 직접 차트 성적이나 판매량 기준이 아닌 영향력, 음악적 유산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였다.
[42]
스티브 바이는 프린스의 열렬한 팬이다.
[원문]
If Michael (Jackson) was the King of Pop, Prince should be the Emperor.
[44]
일반적으로 작위를 가리킬 때의 왕은 ‘Prince’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이 발언은 왕을 King이라고 칭한 후 뒤에 Emperor가 나왔으므로 해당 표현이 맞다. 또한 일반적으로 Prince라고 불릴 뿐이지 King도 Emperor 밑의 왕을 쓰이는 표현으로 많이 쓰인다.
[45]
믹 재거는 프린스에게 많은 영향을 준 아티스트로 알려져있다.
[46]
Great Prince
[47]
간접 참여
[48]
듀엣곡
[49]
다만 지미 잼과 태리 루이스의 자넷 잭슨 이적은 프린스에게 굉장히 큰 불쾌감을 주었다고 한다.
[50]
선글라스끼고 거울드는 빡빡이 아저씨(..)인데, 사실 배우 겸 음악가이다.
[51]
간단한 코드진행을 바탕으로 즉흥으로 합주하는것을 뜻한다.
[52]
그녀가 밝힌바에 의하면 수영복을 입고 부르려다 교사들에 의해 제지당했다고 한다(...).
[53]
물론 프린스는 이성애자이다.
[54]
갈등을 알고있던 팬들에게는 비판을 받기도 하였다.
[55]
2014년
[56]
이 3대 기타리스트라는 건 1970년대에 어느 한 일본 음악기자가 그의 개인적 취향에 따라 선정한것이기는 하지만,
제프 벡은 적어도 역사상 다섯손가락 안에 드는 기타리스트로 평가된다.
[57]
실제로 스티브 바이는 프린스의 굉장한 팬이다.
[58]
이는
믹 테일러,
리치 블랙모어,
디 에지,
로리 갤러거보다도 높은 순위이다.
[59]
이는
키스 리처즈,
에릭 클랩튼,
조지 해리슨,
브라이언 메이보다도 높은 순위이다.
[60]
그림도 잘 그렸던 모양이다. 최근 그가 직접 그린 그림이 경매에 나와 한화 약 2억 9천에 값어치가 책정된 적이 있다.
[61]
호너는
펜더처럼 기타로 유명한 기업이 아니다. 때문에 현재는 기타 사업에서 철수하였다.
[62]
이 문서 최상단 이미지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63]
멀티 인스투루멘탈리스트는, 음악 분야에서 여러 악기를 연주할 수 있는 음악가의 호칭을 뜻한다.
[64]
이러한 점으로 인하여
롤링 스톤스의
브라이언 존스와 가장 비슷하다고 평가받는다. 둘 다 기타 실력도 각 시대 최고의 재능이라 일컬어지며, 올라운더형 악기 연주 능력을 통한 음악 프로듀싱 능력도 각 시대를 대표하는 재능으로 꼽힌다. 단, 프린스는 나이를 먹고 나서도 역대 최고의 기타 실력을 유지한 반면 브라이언 존스는 개인적 문제로 음악 활동을 일찍 마감하고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65]
프린스와 비견되는 브라이언 존스,
레드 제플린의 기타리스트
지미 페이지 등과 함께 최고의 록 음악 프로듀서로 거론된다.
[66]
게이설이 계속 퍼져나가자 홈페이지에서 자신의 곡들은 모두 여성에 대한 사랑을 다루고 있다고 밝히기까지 했다. 여담으로 프린스와 비견되는 마이클 잭슨도 게이설이 있었지만 아닌 것으로 판명났다.
[67]
15살 연하다.
[68]
원문: The late(故), great Prince
[69]
Purple Rain 앨범은 전부 라이브 녹음인데다 격렬한 춤을 추면서도 전곡은 물론이며 특유의 애드립 부분이라도 음정 하나 안 나가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프린스의 완벽주의에 걸렸으니 그냥 넘어 갈 수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프린스는 마이클 잭슨, 마돈나와 함께 1980년대를 대표하는 가수로, 비욘세가 어렸을 때 이미 최고의 인기를 누렸고 비욘세도 프린스의 엄청난 팬이라 리허설을 매일 한시간씩 프린스와 같이 하면서도 가슴이 벅차고 벌벌 떨면서 엄청난 충격을 받았다고 한다. 이후에 프린스가 세상을 떠난 후에도 59번째 그래미 공연에서 딸에게 프린스를 오마주하는 패션을 입힌 다음 관객으로 초청하고 공연하는 등 꾸준히 존경을 표현한 적이 있다.
[70]
나머지 두 사람은
톰 크루즈,
마이클 잭슨이었다고 한다. 박준형이
스피드 레이서 촬영 때 톰 크루즈가 옆 촬영장에서 촬영하고 있어서 신기해 했는데 주위 사람들이 쳐다보지 말라고 했다고 한다. 이유는 탐 크루즈의 계약서에 "다른 사람과 눈을 마주치지 않아야 한다."라는 조항이 붙어있기 때문이라고 한다.
[71]
더구나 그의 히트곡 중 하나인 'Lets Go Crazies'는
미네소타 바이킹스와
미네소타 와일드가 각각 터치다운과 골 득점시 사용하고 있다.
[72]
의역하자면은 세상을 보라색으로 물들여라라는 의미가 될 것이다.
[73]
참고로 이때 나온 BGM은
토킹 헤즈의 Psycho Killer다.(...)
[74]
정확히는 자신이 마이클 잭슨이라고 믿는 환자
[75]
코드만 정해두고 하는 즉흥연주다.
[76]
I Feel for You
[77]
4집에서 듀엣으로 부른 "Love Song"
[78]
"Manic Monday"
[79]
"Sugar Walls", "101" 등
[80]
"
The Glamorous Life", "
A Love Bizarre"
[81]
"Love...Thy Will Be Done"
[82]
"With This Tear"
[83]
"
Nothing Compares 2 U"
[84]
"
Round and Round"
[85]
이 영화에서
잭 니콜슨의 조커의 이미지 구축에도 크게 일조했던 게 프린스의 음악이다. 대표적으로
조커가 부하들과 미술관에서
반달리즘을 저지를 때 흐르던 'Partyman'과, 후반부에서 조커가 퍼레이드를 하며 고담 시민들에게 돈을 뿌릴때 나왔던 'Trust' 는 배트맨 영화를 본 사람이라면 귓가에 남는 곡. 프린스가 배트맨 TV 시리즈의 주제곡을 재해석하여 극중 사운드와 믹싱한 경쾌한 댄스곡 '
Batdance'도 유명한데, 이 곡의 뮤직 비디오에서는 조커와 투페이스, 배트맨의 분장을 한몸에 두른 프린스의 카리스마 넘치는 퍼포먼스를 볼 수 있다. '
Batdance'는 영화의 인기에 힘입어 핫 100에서 1위를 하기도 했다. 그 외에
시나 이스턴과 듀엣으로 부른 발라드 'The Arms of Orion'도 빼놓을 수 없는 명곡이다.
[86]
크리스틴 스콧 토머스가 이 작품에 주역으로 출연했다. 참고로 그녀는 이 작품으로 골든 라즈베리 어워드에서 '최악의 여우조연상', '최악의 신인상'에 후보로 오르는 굴욕을 맛보았다.
[87]
체리 문은 무려 5개(...) 부문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그나마 Graffiti Bridge는 5개 부문에 후보로 올랐지만 수상은 면했다.
[88]
보통 이렇게 인종에 관한 오해가 생기기도 한다. 프린스 외에도 잘 알려진 오해의 예시들이 있다. 흑인으로 가끔 오해받는
브루노 마스는 필리핀계 혼혈이며, 태닝을 통해 까무잡잡한 피부를 포인트로 삼는
아리아나 그란데는 이탈리아계 백인이다. 래퍼
Logic의 경우 생김새는 백인이나 흑백 혼혈로, 곱슬 머리 등의 인종적 특징이 드러나있다.
[89]
이 사진은 둘의 라이벌리를 조명하며 최근에 와서야 만들어진 "합성 사진"이다. 마이클 잭슨과 퀸시 존스가 그래미에서 상을 탄 이후의 순간을 담은 사진이고, 프린스는 자신의 공연에서 찍힌 사진이다.
[90]
다만 이 둘은 현대에 와서 라이벌로 평가받는 것이지 당대엔 라이벌이란 인식이 없었다.
[91]
마이클은 꽤 긴 시간 공을 들여 앨범을 만드는 타입이었고, 프린스는 가히 엄청난 수의 작업량을 보여주는 가수였다. Bad가 만들어지던 같은 시기에 프린스는
Parade,
Sign 'O' the Times와 같은 앨범을 연달아 만들고 있었고, 시기상 프린스가 정말 바빴을 수 밖에 없는 시기이기도 했다.
[92]
운동신경이 좋은 프린스가 마이클 잭슨을 늘 탁구로 농락했는데, 한번은 계속 농락당하는 것에 짜증이 난 마이클 잭슨이 탁구공을 세게 쳤는데 그게 프린스의 사타구니에 맞았다고 하는 루머도 있으나 이 역시도 라이벌리를 가장한 루머일 뿐이다. 이런 루머에서 알 수 있는 것은 둘이 탁구도 재밌게 칠 정도로 가까운 사이였다는 점 뿐이다.
[93]
자넷 잭슨이 오빠 마이클 잭슨과 집안의 영향에서 벗어나 독립적인 아티스트가 되기 위해 부단히 노력했다는 걸 생각하면 자넷의 입장에서는 좋은 뉘앙스로 받아들이기 어려울 것이다. 프린스의 밴드 The Time의 멤버
Jimmy Jam and Terry Lewis가 자넷의 전담 프로듀서가 되면서 프린스와의 관계가 소원해졌고 프린스는 자넷에게 좋지 않은 감정을 품게 되었다는 소문도 있다.
[94]
생전 발매된 마지막 앨범. Black Is The New Black이라는 앨범을 작업하고 있었지만 중단되었다.
[95]
1983년에 녹음된 여러 데모들이 포함된 앨범. 앨범 제목 그대로 프린스의 보컬과 피아노 연주만이 삽입돼있다.
[96]
Purple Rain의 데모 버전이 실려 있기도 하다.
[97]
다른 아티스트에게 준 노래들을 프린스가 부른 앨범. 그 유명한 Nothing Compares 2 U가 실려있다.
[98]
사후 첫번째 정규 앨범. 2010~12년 사이 완성되었지만 발매가 취소된 앨범이다.
[99]
5주 1위, 1984년 빌보드 연말 차트 1위
[100]
1위 할 당시 국내에서는 방송 금지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