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의 가공의 밴드이자 스킨 컨셉에 대한 내용은 펜타킬(밴드) 문서 참고하십시오.
관련 문서: 리그 오브 레전드/스코어
1. 개요
Penta Kill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한 명이 상대 팀 전체인 다섯 명을 일정 시간 내에 연속으로 잡아내면 뜨는 문구. 다른 게임에서의 올킬 또는 에이스에 해당하지만, 이 쪽은 특정 제한 시간 안에 1명이 올킬 또는 에이스를 띄워야 하는 조건부가 걸려 있어 보기가 매우 어렵다. 유래는 퀘이크나 언리얼 토너먼트 등의 멀티플레이 고전 FPS에서 연속킬을 할 경우 몬스터킬이나 멀티킬 같은 메시지가 나오던 것을 각 숫자별로 세분화한 것으로 보인다.[1]
리그 오브 레전드에서 연속킬을 부르는 명칭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더블 킬과 트리플 킬까지는 영어의 튜플을 기반으로 표현되고, 쿼드라 킬과 펜타 킬은 라틴어 및 그리스어계 회수사[2]를 기반으로 표현된다. 연속 처치 기반 특수 메시지가 뜨는 게임으로서는 상당히 희귀한 케이스.[3]
드물지만 전부 1렙에서 펜타 킬이 나오기도 한다. 1렙 펜타 킬이 나오는 경우 극초반부터 벌어지는 아이템 격차로 인해 스노우볼이 계속해서 굴러가기 때문에 대부분 게임이 폭파된다.[4] 2014 시즌에서는 극 초반 퍼스트 블러드나 킬/어시를 먹을 시 얻는 골드의 양이 줄어듬으로 5킬 전부 먹어도 800~900 골드 정도만 얻기 때문에 게임 폭파 수준까지 가지 않는다. 반대로 2015 시즌에서는 예전처럼 골드를 전부 주게 변해서 확실하게 터진다.
한 게임에 여러번 나올 수 있고 양 팀이 동시[5]에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의외로 챔피언 대사 중에서 펜타 킬에 대응하는 경우가 거의 없는데, 최초 펜타 킬 대사는 일라오이에 와서야 겨우 구현되었으며 이 당시에는 한 종류의 대사밖에 없었다. 첫 펜타 킬 대사와 2번째 이후의 펜타 킬 대사가 따로 나오는 건 1년 뒤에 출시된 아우렐리온 솔부터다.
종종 이벤트로 6:6 매칭 모드가 나오기도 하는데, 이 모드의 이름이 헥사 킬(Hexa kill)이고 실제로 헥사 킬을 찍을 시 메시지가 뜬다.
가끔 프로씬에서 펜타 킬을 한 선수와 못 한 선수로 나뉘어 펜타 킬 도르를 하는 경우가 있는데, AOS라는 장르 특성상 이러한 행위는 의미가 없다. 팀 게임이고 통계상 후반 화력을 책임지는 원딜이 펜타 킬을 먹기 유리할 수밖에 없는데다, 특히 LCK의 경우 킬 스틸을 통해 펜타 킬을 서로 못 하게 막는 경향이 강한지라 오히려 매너 펜타의 사례가 희귀하기 때문.
극히 희귀한 경우로 한 챔피언이 5명의 적을 모두 죽이지 못했지만 처음 죽은 적이 부활하고 펜타킬 시간 안에 또 죽여서 펜타킬을 달성하는 경우도 있다. #
1.1. 펜타킬을 먹기 쉬운 챔피언?
솔로 랭크 게임에서 펜타 킬 확률이 가장 높은 TOP 3 챔피언은 사미라, 마스터 이, 카타리나임이 통계를 통해 알려졌다.[6]한편 하술할 대회에서는 대부분 원거리 딜러 선수들이 펜타킬을 많이 기록하며, 단일 챔피언에 관한 주목도는 원래 높지 않았으나 2022 시즌의 신규 챔피언인 제리가 출시 이래로 상당수의 펜타킬을 기록하자 주목 받는 중.
- [펜타 킬이 비교적 쉬운 챔피언 및 역할 보기]
- * 성장시에 영향력이 매우 큰 평타 기반 원거리 딜러 포지션[7]
- 전투 도중 스킬 쿨타임을 줄이거나 초기화시키면서[11]'처치 관여' 조건을 만족하면 발동되며, 기본 공격 적중이 조건으로 붙는 경우도 있다.] 순간 진입으로 상대 진영을 쓸어버리는 포지션
이와는 반대로 스킬 콤보를 다 집어넣어 한두명을 삭제하고 나면 긴 쿨타임이 돌아와 다음의 딜을 할 때 까지 긴 텀이 생기는 일부 누커 및 암살자[13]들은 펜타 킬을 하기가 상당히 힘든 편이다. 이론상으로는 모든 챔피언이 펜타 킬이 가능[14]하지만 서포터와 같이 일반적으로 정해주는 포지션의 한계로 펜타킬이 힘든 경우가 많다.
순수 탱커나 서포터는 적이 의도적으로 죽어주거나 천운이 따르지 않는 이상 펜타 킬은 불가능하다고 봐야 한다. 게다가 성장 우선순위가 딜러보다 낮은 탱커나 서포터가 킬을 전부 몰아먹었다는 뜻이므로 그리 좋은 상황도 아니다.
그리고 펜타 킬을 하기 쉬운 챔피언이라고 해서 좋은 챔피언이라고는 볼 수 없으며, 반대로 펜타 킬이 거의 불가능한 챔피언이라고 해서 성능이 떨어지는 챔피언인것만은 아니다. 예를 들어 카밀은 펜타킬을 하기에 적합한 스킬셋은 아니지만 매 시즌 사기소리를 듣고 펜타킬을 하기에 적합한 마스터 이는 영 좋지 못한 지표를 보인다.
2. 대한민국 공식 대회 역대 펜타킬
펜타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1c192b><colcolor=#fff> 2012 시즌 | Hiro 이우석 1호 · Locodoco 최윤섭 2호 · Hermes 김강환 3호 · Imp 구승빈 4호 |
2013 시즌 | Ambition 강찬용 5호 · Riris 백승민 6호 · PraY 김종인 7호 | |
2014 시즌 | Imp 구승빈 8호 · Emperor 김진현 9호 · Bang 배준식 10호 | |
2015 시즌 | Faker 이상혁 11호 · Rain 박단원 12호 · Smeb 송경호 13호 · Arrow 노동현 14·16호☆ · Nagne 김상문 15호 · Bang 배준식 17호 · Pilot 나우형 18호 · Ssumday 김찬호 19호 | |
2016 시즌 | Stitch 이승주 20호 · Pilot 나우형 21호 · Crown 이민호 22호 · Bang 배준식 23호 · Sangyoon 권상윤 24호 | |
2017 시즌 | Tempt 강명구 25호 · Kramer 하종훈 26호 · ikssu 전익수 27호 · Crown 이민호 28호 | |
2018 시즌 | Lava 김태훈 29호 · Khan 김동하 30호 · Teddy 박진성 31·33호☆ · Pilot 나우형 32호 · Ruler 박재혁 34호 | |
2019 시즌 | Viper 박도현 35호 · SSUN 김태양 36호 · ShowMaker 허수 37호 | |
2020 시즌 | Mystic 진성준 38·46호☆ · Ruler 박재혁 39·40·50호★ · Aiming 김하람 41호·49호☆ · HyBriD 이우진 42·43·45호★ · SoHwan 김준영 44호 · ShowMaker 허수 47호 · Canyon 김건부 48호 | |
2021 시즌 | Gumayusi 이민형 51호 · Ghost 장용준 52·53호☆ · Ruler 박재혁 54호 · Pyosik 홍창현 55호 · Lava 김태훈 56호 · Chovy 정지훈 57호 | |
2022 시즌 | deokdam 서대길 58호 · Ghost 장용준 59호 · Aiming 김하람 60호 · Bdd 곽보성 61호 · Gumayusi 이민형 62호 · Ruler 박재혁 63호 · Prince 이채환 64호 | |
2023 시즌 | Taeyoon 김태윤 65호 · Gumayusi 이민형 66호 · Peyz 김수환 67호·70호·71호★ · Viper 박도현 68호 · ShowMaker 허수 69호 | |
2024 시즌 | Aiming 김하람 72호·81호☆ · ShowMaker 허수 73호·76호☆ · Peyz 김수환 74호·78호☆ · Deft 김혁규 75호 · Pyosik 홍창현 77호 · Leaper 최기명 79호 · BuLLDoG 이태영 80호 · Bdd 곽보성 82호 · FATE 유수혁 83호 · Zeus 최우제 84호 | |
※ 국내 대회이나 LCK가 아닌 대회는 제외 (LoL 마스터즈, 예선, 프리시즌, 챌린저스, 승강전, 케스파컵 등)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펜타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2021 시즌 | Pump 윤상훈 1호 · Mireu 정조빈 2호 · Envyy 이명준 3·5호☆ · 5kid 박정현 4호 · IlllIma 마태석 6호 · vital 하인성 7호 |
2022 시즌 | Rahel 조민성 8·14호☆ · vital 하인성 9호 · Peyz 김수환 10·11호☆ · Soboro 임성민 12호 · Noah 오현택 13호 | |
2023 시즌 | Lure 신재윤 15·16호☆ · Jiwoo 정지우 17호 · Zest 김동민 18호 · Rahel 조민성 19호 · Pleata 손민우 20·22호☆ · Casting 신민제 21호 · vital 하인성 23호 · SeTab 송경진 24호 · Feisty 정성훈 25호 · Hype 변정현 26호 | |
2024 시즌 | Siwoo 전시우 27호 · vital 하인성 28·30·32호★ · Enosh 곽규준 29호 · Paduck 박석현 31호 · Casting 신민제 33호 · Rahel 조민성 34호 · Bull 송선규 35호 | |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
- 현재 대한민국 공식 대회 펜타킬은 총 140회로 포지션별로 분류하면 바텀 95회, 미드 27회, 탑 13회, 정글 5회이다.
- 가장 많은 펜타킬을 만들어 낸 챔피언은 제리로, 2022년 출시된 이래 총 16회의 펜타킬을 기록했다.
- 한 시즌에 2회 이상의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는 애로우(2015년/2회), 테디(2018년/2회), 룰러(2020년/3회), 하이브리드(2020년/3회), 미스틱(2020년/2회), 파일럿(2020년/2회), 에이밍(2020년/2회) / (2024년/2회), 고스트(2021년/2회), 엔비(2021년/2회), 라헬(2022년/2회), 페이즈 (2022년/2회) / (2023년/3회) / (2024년/2회), 루어(2023년/2회), 플레타(2023년/2회)[173], 바이탈(2024년/3회), 쇼메이커(2024년/2회)로 15명이며, 쇼메이커를 제외하면 모두 바텀 라이너이다. 한 시즌 중 최다 기록은 하이브리드, 룰러, 페이즈의 3회이며, 다만 하이브리드는 스프링 스플릿 3회, 페이즈는 서머 스플릿 3회이고 룰러는 스프링, 서머 스플릿 합해서 3회다.
- LCK 최연소 펜타킬 달성 기록은 페이즈로, 데뷔 후 2시즌, 나이 17세만에 달성했다. 또한 데뷔 후 LCK 최단기 펜타킬은 레인[174]이 데뷔전에 달성했다. 반대로 LCK 최고령 펜타킬이자 데뷔 후 최장기 펜타킬은 데프트로, 데뷔 후 19시즌,[175] 만 나이 27세에 본인의 LCK 첫 펜타킬을 기록했다.
- 대한민국 공식 대회 최다 펜타킬 달성 기록은 페이즈의 7회이다. LCK 5회, LCK CL 2회를 합산한 기록이다. 2위는 룰러와 바이탈의 6회이다. 차이점이 있다면 룰러는 LCK 내에서 6회의 펜타킬을 기록했고 바이탈은 LCK CL 내에서 6회의 펜타킬을 기록했다.
- 디플러스 기아는 2019년 LCK 데뷔 이래 매년 최소 1회의 펜타킬을 기록한 유일한 팀이다.
- 정글러 펜타킬은 2012년 대한민국 리그 공식 출범 이래 8년이 지난 2019년 케스파컵에서 온플릭이 최초로 달성했으며 그 후 2020 LCK 서머에서 캐니언이 그 온플릭을 상대로 LCK 첫 정글 펜타킬을 달성했다.
- 대한민국 공식 대회에서 AP 기반 챔피언과 AD 기반 챔피언으로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는 크라운,[176] 쇼메이커,[177] 캐니언,[178] 페이즈, [179] 비디디 [180] 다섯 명이다.
- 서포터 포지션에서 아직 펜타킬이 없다. 포지션이나 챔피언의 특성상 탱커나 딜러진 보좌를 위한 유틸리티 역할을 맡을 때가 많으므로 더블킬 이상 먹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인데, 대한민국 기준으로 최고 기록은 맥스의 사이온이 만들어낸 쿼드라킬이다. 이론상 펜타킬을 먹기 쉬운 서포터 챔피언은 파이크와 세나 정도 뿐.[181] 다만, 장로 드래곤에 처형 효과가 생기고 나서 장로 버프 획득 후 서포터만 생존하는 경우에 이후 전황에 따라 펜타킬을 할 가능성이 생겼는데 실제로 2023 서머 당시 디플러스 기아의 서포터 바이블이 홀로 장로 버프를 두른 상태로 이후 다시 한타가 전개되며 처형으로 킬을 먹은 장면이 나왔다.
3.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역대 펜타킬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324><tablebgcolor=#000324> |
League of Legends World Championship 펜타킬 달성 일람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0a42, #0264fb, #010a42)" {{{#!wiki style="color: #ffffff;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373a3c,#ddd |
<rowcolor=white><colbgcolor=#000324><colcolor=white> 순서 | 이름(ID) | 당시 소속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팀 | 일자 | 경기 | 비고 |
1 |
구승빈 (imp) |
BOT |
2014.09.19 | 2014 16강 A조 5경기 |
영상
|
||||
2 |
마틴 라르손 (Rekkles) |
2014.09.27 | 2014 16강 C조 8경기 |
영상
|
|||||
3 |
구승빈 (imp) |
2014.10.03 | 2014 8강 A조 4세트 |
영상
|
|||||
4 |
안 레 (Balls) |
TOP |
2015.10.04 | 2015 16강 B조 6경기 |
영상
|
||||
5 |
슝원안 (NL) |
BOT |
2015.10.08 | 2015 16강 A조 10경기 |
영상
|
||||
6 |
폴 부아예 (Soaz) |
TOP |
2015.10.16 | 2015 8강 C조 1세트 |
영상
|
||||
7 |
마티아스 무쏘 (WhiteLotus) |
파일:external/lol.esportswikis.com/Lyon_Gaminglogo_square.png |
BOT |
2017.09.24 |
2017 플레이-인 스테이지 1라운드 10경기 |
영상
|
|||
8 |
에게 아자르 코파랄 (Padden) |
2017.09.25 |
2017 플레이-인 스테이지 1라운드 18경기 |
영상
|
|||||
9 |
레나토 갈레고스 (Renyu) |
2018.10.04 |
2018 플레이-인 스테이지 그룹 22경기 |
영상
|
|||||
10 |
베르카이 아슈쿠준 (Zeitnot) |
2018.10.07 |
2018 플레이-인 스테이지 녹아웃 4경기 1세트 |
영상
|
|||||
11 |
박도현 (Viper) |
2019.10.26 | 2019 8강 1경기 3세트 |
영상
|
|||||
12 |
천쩌빈 (Bin) |
TOP |
2020.10.31 | 2020 결승 2세트 |
영상
|
||||
13 |
김동하 (Khan) |
2021.10.15 |
2021 그룹 스테이지 A조 10경기 |
영상
|
|||||
14 |
엘리아스 립 (Upset) |
BOT |
2022.09.30 |
2022 플레이-인 스테이지 1라운드 5경기 |
영상
|
||||
15 |
응우옌반후이 (Shogun) |
2022.10.01 |
2022 플레이-인 스테이지 1라운드 5경기 |
영상
|
|||||
16 |
문검수 (Route) |
2023.10.10 |
2023 플레이-인 스테이지 A조 2경기 1세트 |
영상
|
|||||
17 |
응우옌린브엉 (Slayder) |
2023.10.13 |
2023 플레이-인 스테이지 A조 패자전 2세트 |
영상
|
|||||
18 |
유시 마루시치 (Crownie) |
2023.10.13 |
2023 플레이-인 스테이지 B조 패자전 2세트 |
영상
|
현재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 기록된 펜타킬은 총 18회이며, 포지션별로 분류하면 바텀 14회, 탑 4회이다. 바텀 펜타킬은 2018년에 카이사가 2회 연속으로 달성한 것을 제외하면 전부 다른 챔피언들로 기록되었으며, 탑 펜타킬은 2015 월즈에서 다리우스가 2회, 2020 월즈에서 피오라가 1회, 2021 월즈에서 루시안이 1회 달성했다.
이외에도 중간의 텀이 길어서 게임 시스템상으로 펜타킬로 뜨지는 않았지만 2014년 9월 26일 삼성 갤럭시 블루의 바텀 라이너였던 데프트가 16강 LMQ와의 1차전에서 코르키로 3킬[182]후 2킬[183]로 5연속 킬을 하는 기록을 세운 적이 있었으며 이 외에 시즌 3 결승전 2세트에서 피글렛의 이즈리얼이 월즈 최초 펜타킬 기록을 세울 뻔했지만, 벵기의 리 신이 와드방호로 적을 끝까지 쫒아가 막타를 스틸하는 바람에 실패로 돌아갔었다.
4. Mid-Season Invitational 역대 펜타킬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0> |
Mid-Season Invitational 펜타킬 달성 일람 |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normal" {{{#373a3c,#ddd |
순서 | 이름(ID) | 당시 소속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팀 | 일자 | 경기 | 비고 |
<colbgcolor=#000> 1 |
<colcolor=#373a3c>
배준식 (Bang) |
<colcolor=#373a3c>
BOT |
<colcolor=#373a3c> 2015.05.08 | 2015 6강 풀리그 12경기 |
<colcolor=#373a3c>
영상
|
||||
2 |
마틴 라르손 (Rekkles) |
2018.05.18 | 2018 4강 1경기 3세트 |
영상
|
|||||
3 |
마르틴 한센 (Wunder) |
TOP |
2019.05.14 | 2019 6강 풀리그 26경기 |
영상
|
||||
4 |
라스무스 뷘터 (Caps) |
MID |
2019.05.18 | 2019 4강 2경기 2세트 |
영상
|
||||
5 |
장용준 (Ghost) |
BOT |
2021.05.24 | 2021 결승 4세트 |
영상
|
||||
6 |
천웨이 (GALA) |
|
2022.05.13 | 2022 그룹 스테이지 B조 10경기 |
영상
|
||||
7 |
트레버 헤이스 (Stixxay) |
|
2023.05.03 | 2023 플레이-인 스테이지 A조 2경기 2세트 |
영상
|
||||
8 |
김수환 (Peyz) |
2024.05.19 | 2024 결승 2세트 |
영상
|
2024년 기준 MSI에서 기록된 펜타킬은 총 8회이며, 바텀이 6회, 탑, 미드가 각각 1회씩 기록하고 있다.
여담으로 2022년 MSI에서 RNG의 갈라가 그룹 스테이지 1라운드 B조 6경기에서 루시안으로 펜타킬을 달성하였으나 라이엇 측의 핑 설정 문제로 인해 경기가 무효화되어 MSI 및 LoL e스포츠 국제 대회 최초로 펜타킬 기록이 말소되었다.
5. LPL 역대 펜타킬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f50909><tablebgcolor=#f5090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펜타킬 기록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50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tablewidth=100%><rowcolor=white> 순서 | 이름(ID) |
당시 소속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팀 | 기록일 | 경기 | 비고 |
<colbgcolor=#f50909><colcolor=white> 1호 |
다이웬지 (youmeng) |
ADC |
2013. 03.24 |
Tencent LoL Pro League 2013 Spring 정규시즌 17경기 |
영상 | |||||
2호 |
궈쥔량 (San) |
ADC |
2013. 03.24 |
Tencent LoL Pro League 2013 Spring 정규시즌 18경기 |
영상 | |||||
3호 |
류머우 (PDD) |
TOP |
2013. 05.11 |
Tencent LoL Pro League 2013 Spring 정규시즌 100경기 |
영상 | |||||
4호 |
유루이 (F1sh) |
ADC |
2013. 07.13 |
Tencent LoL Pro League 2013 Summer 정규시즌 6경기 |
영상 | |||||
5호 |
큐진리앙 (Styz) |
ADC |
2014. 03.15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pring 정규시즌 19경기 1세트 |
영상 | |||||
6호 |
섹와이호 (AmazingJ) |
TOP |
2014. 04.06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pring 정규시즌 39경기 2세트 |
영상 | |||||
7호 |
텡양티안차 (Ruo) |
JGL |
2014. 04.12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pring 정규시즌 44경기 1세트 |
영상 | |||||
8호 |
청룽 (U) |
MID |
2014. 06.14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ummer 정규시즌 2경기 1세트 |
영상 | |||||
9호 |
최인석 (inSec) |
JGL |
2014. 06.27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ummer 정규시즌 12경기 2세트 |
영상 | |||||
10호 |
가오쉐청 (WeiXiao) |
ADC |
2014. 07.11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ummer 정규시즌 24경기 1세트 |
영상 | |||||
11호 |
노건우 (Ninja) |
MID |
2014. 07.11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ummer 정규시즌 24경기 2세트 |
영상 | |||||
12호 |
젠쯔하오 (Uzi) |
ADC |
2014. 08.10 |
Tencent LoL Pro League 2014 Summer 정규시즌 51경기 2세트 |
영상 | |||||
13호 |
저우이샹 (Assassin) |
파일:380px-Team_King.png |
MID |
2015. 01.24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정규시즌 17경기 1세트 |
영상 | ||||
14호 |
자오샤오유 (Tale) |
ADC |
2015. 02.01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정규시즌 33경기 2세트 |
영상 | |||||
15호 |
양판 (kRYST4L) |
ADC |
2015. 02.01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정규시즌 35경기 2세트 |
영상 | |||||
16호 |
레이후이궈 (hu1) |
JGL |
2015. 02.27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정규시즌 62경기 2세트 |
영상 | |||||
17호 |
거얀 (Kid) |
ADC |
2015. 04.25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3,4위전 2세트 |
영상 | |||||
18호 |
김혁규 (Deft) |
ADC |
2015. 04.26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pring 결승전 5세트 |
영상 | |||||
19호 |
유루이 (TnT) |
ADC |
2015. 05.22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정규시즌 3경기 1세트 |
영상 | |||||
20호 |
왕빈 (Hetong) |
MID |
2015. 05.24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정규시즌 12경기 1세트 |
영상 | |||||
21호 |
위자쥔 (Cool) |
MID |
2015. 05.29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정규시즌 16경기 1세트 |
영상 | |||||
22호 |
웨이전 (GODV) |
MID |
2015. 06.05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정규시즌 28경기 1세트 |
영상 | |||||
23호 |
젠쯔하오 (Uzi) |
ADC |
2015. 06.26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정규시즌 62경기 1세트 |
영상 | |||||
24호 |
한진 (SmLz) |
ADC |
파일:380px-Team_King.png |
2015. 06.26 |
Tencent LoL Pro League 2015 Summer 정규시즌 73경기 1세트 |
영상 | ||||
25호 |
김혁규 (Deft) |
ADC |
2016. 02.18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정규시즌 인터리그 1경기 2세트 |
영상 | |||||
26호 |
젠쯔하오 (Uzi) |
ADC |
2016. 03.10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정규시즌 인터리그 19경기 1세트 |
영상 | |||||
27호 |
쑤하오 (Endless) |
ADC |
2016. 03.20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정규시즌 인터리그 36경기 2세트 |
영상 | |||||
28호 |
주지아웬 (NaMei) |
ADC |
2016. 03.26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정규시즌 B조 20경기 3세트 |
영상 | |||||
29호 |
양판 (kRYST4L) |
ADC |
2016. 04.08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정규시즌 A조 26경기 1세트 |
영상 | |||||
30호 |
샹런제 (Condi) |
JGL |
2016. 04.15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pring 플레이오프 2라운드 2세트 |
영상 | |||||
31호 |
바오보 (V) |
TOP |
2016. 07.08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 정규시즌 인터리그 22경기 1세트 |
영상 | |||||
32호 |
이지훈 (Easyhoon) |
MID |
2016. 08.04 |
Tencent LoL Pro League 2016 Summer 정규시즌 B조 27경기 3세트 |
영상 | |||||
33호 |
천롱 (West) |
ADC |
2017. 03.03 |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pring 정규시즌 인터리그 4경기 1세트 |
영상 | |||||
34호 |
수퀴우빈 (Barrett) |
ADC |
2017. 06.18 |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ummer 정규시즌 B조 10경기 1세트 |
영상 | |||||
35호 |
진성준 (Mystic) |
ADC |
2017. 07.22 |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ummer 정규시즌 인터리그 25경기 1세트 |
영상 | |||||
36호 |
쑤한웨이 (xiye) |
MID |
2017. 08.26 |
Tencent LoL Pro League 2017 Summer 3,4위전 2세트 |
영상 | |||||
37호 |
린웨이샹 (Lwx) |
ADC |
2018. 01.19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정규시즌 West Region 4경기 3세트 |
영상 | |||||
38호 |
쩡쥔리 (Guoguo) |
MID |
2018. 01.23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정규시즌 West Region 8경기 2세트 |
영상 | |||||
39호 |
리위안하오 (Xiaohu) |
MID |
2018. 01.23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정규시즌 East Region 10경기 1세트 |
영상 | |||||
40호 |
쑤한웨이 (xiye) |
MID |
2018. 03.06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정규시즌 인터리그 28경기 3세트 |
영상 | |||||
41호 |
젠쯔하오 (Uzi) |
ADC |
2018. 03.28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정규시즌 East Region 32경기 2세트 |
영상 | |||||
42호 |
젠쯔하오 (Uzi) |
ADC |
2018. 04.21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pring 플레이오프 4강 2세트 |
영상 | |||||
43호 |
류즈하오 (Zz1tai) |
BOT |
2018. 07.13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ummer 정규시즌 인터리그 2경기 1세트 |
영상 | |||||
44호 |
한진 (Smlz) |
BOT |
2018. 07.14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ummer 정규시즌 인터리그 5경기 3세트 |
영상 | |||||
45호 |
샹타오 (Angel) |
MID |
2018. 07.18 |
Tencent LoL Pro League 2018 Summer 정규시즌 인터리그 13경기 2세트 |
영상 | |||||
46호 |
메이훙후이 (ZWuji) |
BOT |
2019. 02.1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19 Spring 정규시즌 40경기 2세트 |
영상 | |||||
47호 |
쑤한웨이 (xiye) |
MID |
2019. 03.29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19 Spring 정규시즌 113경기 2세트 |
영상 | |||||
48호 |
천보 (Jay) |
MID |
2019. 08.13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19 Summer 정규시즌 109경기 1세트 |
영상 | |||||
49호 |
리쉬안쥔 (Flandre) |
TOP |
2019. 08.25 |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2019 Summer 플레이오프 4강 3세트 |
영상 | |||||
50호 |
이동욱 (LokeN) |
BOT |
2020. 03.09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6경기 2세트 |
영상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51~100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순서 | 이름(ID) |
당시 소속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팀 | 기록일 | 경기 | 비고 | |
<colbgcolor=#f50909><colcolor=white> 51호 |
탕환펑 (huanfeng) |
BOT |
2020. 03.12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25경기 1세트 |
영상 | |||||
52호 |
김태상 (Doinb) |
MID |
2020. 03.17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39경기 1세트 |
영상 | |||||
53호 |
왕제 (Hope) |
BOT |
2020. 03.23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56경기 1세트 |
영상 | |||||
54호 |
잉치선 (Photic) |
BOT |
2020. 03.25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61경기 1세트 |
영상 | |||||
55호 |
송의진 (Rookie) |
MID |
2020. 03.31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79경기 1세트 |
영상 | |||||
56호 |
후하오밍 (Yuuki) |
MID |
2020. 04.09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01경기 1세트 |
영상 | |||||
57호 |
위안청웨이 (Cryin) |
MID |
2020. 04.11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08경기 1세트 |
영상 | |||||
58호 |
자오자하오 (Jiumeng) |
BOT |
2020. 04.22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플레이오프 1라운드 1경기 2세트 |
영상 | |||||
59호 |
김태상 (Doinb) |
MID |
[[라이즈 | ]] |
2020. 04.25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플레이오프 2라운드 2경기 2세트 |
영상 | |||
60호 |
루위훙 (Betty) |
BOT |
2020. 06.06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4경기 1세트 |
영상 | |||||
61호 |
한진 (Smlz) |
BOT |
2020. 07.15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81경기 1세트 |
영상 | |||||
62호 |
주쥔란 (FoFo) |
MID |
2020. 07.28 |
2020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07경기 2세트 |
영상 | |||||
63호 |
린웨이샹 (Lwx) |
BOT |
2021. 01.19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21경기 2세트 |
영상 | |||||
64호 |
위안청웨이 (Cryin) |
MID |
2021. 01.21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26경기 1세트 |
영상 | |||||
65호 |
샹타오 (Angel) |
MID |
2021. 01.28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40경기 1세트 |
영상 | |||||
66호 |
후셴자오 (iBoy) |
BOT |
2021. 01.31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45경기 2세트 |
영상 | |||||
67호 |
박도현 (Viper) |
BOT |
2021. 02.23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65경기 1세트 |
영상 | |||||
68호 |
왕광위 (Light) |
BOT |
2021. 02.28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76경기 1세트 |
영상 | |||||
69호 |
박도현 (Viper) |
BOT |
2021. 03.13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07경기 2세트 |
영상 | |||||
70호 |
딩왕 (Puff) |
BOT |
2021. 03.22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24경기 3세트 |
영상 | |||||
71호 |
김태상 (Doinb) |
MID |
2021. 04.05.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플레이오프 3라운드 1경기 4세트 |
영상 | |||||
72호 |
천웨이 (GALA) |
BOT |
2021. 04.18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결승전 3세트 |
영상 | |||||
73호 |
딩왕 (Puff) |
BOT |
2021. 06.21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32경기 2세트 |
영상 | |||||
74호 |
후셴자오 (iBoy) |
BOT |
2021. 06.26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41경기 3세트 |
영상 | |||||
75호 |
김태상 (Doinb) |
MID |
2021. 06.26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43경기 2세트 |
영상 | |||||
76호 |
웨이보한 (Weiwei) |
JGL |
2021. 07.22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00경기 2세트 |
영상 | |||||
77호 |
이재훈 (SamD) |
BOT |
2021. 07.29.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13경기 1세트 |
영상 | |||||
78호 |
자오리제 (Jiejie) |
JGL |
2021. 08.05 |
2021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29경기 1세트 |
영상 | |||||
79호 |
자오자하오 (Elk) |
BOT |
2022. 01.16.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3경기 2세트 |
영상 | |||||
80호 |
왕제 (Hope) |
BOT |
2022. 02.15.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56경기 2세트 |
영상 | |||||
81호 |
잉치선 (Photic) |
BOT |
2022. 02.16.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59경기 2세트 |
영상 | |||||
82호 |
잉치선 (Photic) |
BOT |
2022. 02.27.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87경기 1세트 |
영상 | |||||
83호 |
바이자하오 (369) |
TOP |
2022. 06.17.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5경기 1세트 |
영상 | |||||
84호 |
왕제 (Hope) |
BOT |
2022. 06.27.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38경기 2세트 |
영상 | |||||
85호 |
린웨이샹 (Lwx) |
BOT |
2022. 06.29.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41경기 1세트 |
영상 | |||||
86호 |
천웨이 (GALA) |
BOT |
2022. 07.03.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51경기 1세트 |
영상 | |||||
87호 |
잉치선 (Photic) |
BOT |
2022. 07.10.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64경기 1세트 |
영상 | |||||
88호 |
천웨이 (GALA) |
BOT |
2022. 07.15.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74경기 1세트 |
영상 | |||||
89호 |
위원보 (JackeyLove) |
BOT |
2022. 07.29.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03경기 2세트 |
영상 | |||||
90호 |
위원보 (JackeyLove) |
BOT |
2022. 08.05. |
2022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17경기 1세트 |
영상 | |||||
91호 |
박재혁 (Ruler) |
BOT |
2023. 01.14.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3경기 3세트 |
영상 | |||||
92호 |
후지아주 (Qing) |
MID |
2023. 02.03.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22경기 2세트 |
영상 | |||||
93호 |
후지아주 (Qing) |
MID |
2023. 02.13.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45경기 1세트 27분 23초 |
영상 | |||||
94호 |
추쯔취안 (Doggo) |
BOT |
2023. 02.13.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45경기 1세트 33분 24초 |
영상 | |||||
95호 |
왕광위 (Light) |
BOT |
2023. 02.21.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64경기 1세트 |
영상 | |||||
96호 |
천웨이 (GALA) |
BOT |
2023. 03.11.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03경기 1세트 |
영상 | |||||
97호 |
왕광위 (Light) |
BOT |
2023. 03.13.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07경기 1세트 |
영상 | |||||
98호 |
안산예 (Ahn) |
BOT |
2023. 03.19.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121경기 2세트 |
영상 | |||||
99호 |
후자러 (Ale) |
TOP |
2023. 04.11. |
2023 League of Legends Pro League Spring 플레이오프 패자 결승 5세트 |
영상 | |||||
100호 |
가오즈쉬안 (zhiqiuyi) |
BOT |
2023. 05.29. |
2023 LoL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경기 3세트 |
영상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101~150호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white> 순서 | 이름(ID) |
당시 소속팀 |
포지션 | 챔피언 | 상대팀 | 기록일 | 경기 | 비고 |
<colbgcolor=#f50909><colcolor=white> 101호 |
자오자하오 (Elk) |
BOT |
2023. 06.27. |
2023 LoL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79경기 2세트 |
영상 | ||||
102호 |
천웨이 (GALA) |
BOT |
2023. 06.29. |
2023 LoL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85경기 2세트 |
영상 | ||||
103호 |
리페이 (LP) |
BOT |
2023. 06.29. |
2023 LoL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89경기 3세트 |
영상 | ||||
104호 |
이예찬 (Scout) |
MID |
2023. 07.10. |
2023 LoL Pro League Summer 정규시즌 115경기 1세트 |
영상 | ||||
105호 |
자오자하오 (Elk) |
BOT |
2023. 07.26. |
2023 LoL Pro League Summer 플레이오프 4라운드 1경기 4세트 |
영상 | ||||
106호 |
박재혁 (Ruler) |
BOT |
2023. 07.27. |
2023 LoL Pro League Summer 플레이오프 4라운드 2경기 3세트 |
영상 | ||||
107호 |
이채환 (Prince) |
BOT |
2024. 01.26. |
2024 LoL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9경기 1세트 |
영상 | ||||
108호 |
린젠 (Creme) |
MID |
2024. 02.03. |
2024 LoL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29경기 1세트 |
영상 | ||||
109호 |
왕광위 (Light) |
BOT |
2024. 02.21. |
2024 LoL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48경기 2세트 |
영상 | ||||
110호 |
가오톈량 (Tian) |
JGL |
2024. 02.26. |
2024 LoL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62경기 1세트 |
영상 | ||||
111호 |
천웨이 (GALA) |
BOT |
2024. 03.12. |
2024 LoL Pro League Spring 정규시즌 99경기 3세트 |
영상 | ||||
112호 |
천웨이 (GALA) |
BOT |
2024. 07.10. |
2024 LoL Pro League Summer 럼블 스테이지 등봉조 6경기 1세트 |
영상 |
}}}}}}}}} ||
펜타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50909><colcolor=#fff> 2013 시즌 | youmeng 다이원제 1호 · San 궈쥔량 2호 · PDD 류머우 3호 · F1sh 위루이 4호 |
2014 시즌 | Styz 취쯔량 5호 · AmazingJ 섹와이호 6호 · Ruo 텅양톈샤 7호 · U 쩡룽 8호 · inSec 최인석 9호 · WeiXiao 가오쉐청 10호 · Ninja 노건우 11호 · Uzi 젠쯔하오 12호 | |
2015 시즌 | Assassin 저우이샹 13호 · Tale 자오샤오위 14호 · kRYST4L 양판 15호 · hu1 레이후이궈 16호 · Kid 거옌 17호 · Deft 김혁규 18호 · TnT 위루이 19호 · Hetong 왕빈 20호 · Cool 위자쥔 21호 · GODV 웨이전 22호 · Uzi 젠쯔하오 23호 · SmLz 한진 24호 | |
2016 시즌 | Deft 김혁규 25호 · Uzi 젠쯔하오 26호 · Endless 쑤하오 27호 · NaMei 주자원 28호 · kRYST4L 양판 29호 · Condi 샹런제 30호 · V 바오보 31호 · Easyhoon 이지훈 32호 | |
2017 시즌 | West 천룽 33호 · Barrett 쉬추빈 34호 · Mystic 진성준 35호 · xiye 쑤한웨이 36호 | |
2018 시즌 | Lwx 린웨이샹 37호 · Guoguo 쩡쥔리 38호 · Xiaohu 리위안하오 39호 · xiye 쑤한웨이 40호 · Uzi 젠쯔하오 41·42호☆ · Zz1tai 류즈하오 43호 · Smlz 한진 44호 · Angel 샹타오 45호 | |
2019 시즌 | ZWuji 메이훙후이 46호 · xiye 쑤한웨이 47호 · Jay 천보 48호 · Flandre 리쉬안쥔 49호 | |
2020 시즌 | LokeN 이동욱 50호 · huanfeng 탕환펑 51호 · Doinb 김태상 52·59호☆ · Hope 왕제 53호 · Photic 잉치선 54호 · Rookie 송의진 55호 · Yuuki 후하오밍 56호 · Cryin 위안청웨이 57호 · Jiumeng 자오자하오 58호 · Betty 루위훙 60호 · Smlz 한진 61호 · FoFo 주쥔란 62호 | |
2021 시즌 | Lwx 린웨이샹 63호 · Cryin 위안청웨이 64호 · Angel 샹타오 65호 · iBoy 후셴자오 66호·74호☆ · Viper 박도현 67호·69호☆ · Light 왕광위 68호 · Puff 딩왕 70호·73호☆ · Doinb 김태상 71호·75호☆ · GALA 천웨이 72호 · Weiwei 웨이보한 76호 · SamD 이재훈 77호 · Jiejie 자오리제 78호 | |
2022 시즌 | Elk 자오자하오 79호 · Hope 왕제 80호·84호 ☆ · Photic 잉치선 81호·82호·87호 ★ · 369 바이자하오 83호 · Lwx 린웨이샹 85호 · GALA 천웨이 86호·88호 ☆ · JackeyLove 위원보 89호·90호 ☆ | |
2023 시즌 | Ruler 박재혁 91호·106호 ☆ · Qing 후자쥐 92호·93호 ☆ · Doggo 추쯔취안 94호 · Light 왕광위 95호·97호 ☆ · GALA 천웨이 96호·102호☆ · Ahn 안산예 98호 · Ale 후자러 99호 · zhiqiuyi 가오즈쉬안 100호 · Elk 자오자하오 101호·105호 ☆ · LP 리페이 103호 · Scout 이예찬 104호 | |
2024 시즌 | Prince 이채환 107호 · Creme 린젠 108호 · Light 왕광위 109호 · Tian 가오톈량 110호 · GALA 천웨이 111호·112호 · Elk 자오자하오 113호 | |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6. LCS 역대 펜타킬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fece7><tablebgcolor=#efece7> |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Series 펜타킬 기록 |
}}}}}}}}} ||
펜타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efece7><colcolor=#000> 2013 시즌 | WildTurtle 제이슨 쩐 1호 · Cop 데이비드 로버슨 2호 |
2014 시즌 | Bjergsen 쇠렌 비에르 3호 · Doublelift 피터 펭 4호 · Shiphtur 대니 리 5호 · Altec 조니 루 6호 · Vasilii 리웨이쥔 7호 · XiaoWeiXiao 위시안 8호 | |
2015 시즌 | WildTurtle 제이슨 쩐 9호 · Doublelift 피터 펭 10·12호 · Shiphtur 대니 리 11호 | |
2016 시즌 | Huni 허승훈 13·14호☆ · Sneaky 재커리 스쿠데리 15·17호☆ · Jensen 니콜라이 옌센 16호 · Doublelift 피터 펭 18호 | |
2017 시즌 | Bjergsen 쇠렌 비에르 19호 · Hai 하이 람 20호 · Altec 조니 루 21·23호☆ · Ryu 류상욱 22호 | |
2018 시즌 | Febiven 파비앙 디엡스트라텐 24호 · Altec 조니 루 25호 · Cody Sun 코디 선 26호 · Zven 제스퍼 스베닝슨 27호 · Bjergsen 쇠렌 비에르 28호 | |
2019 시즌 | Apollo 아폴로 프라이스 29호 · Zven 제스퍼 스베닝슨 30호 | |
2020 시즌 | Apollo 아폴로 프라이스 31호 · Bjergsen 쇠렌 비에르 32호 | |
2021 시즌 | Zven 제스퍼 스베닝슨 33·34·39호★ · WildTurtle 제이슨 쩐 35·36호☆ · Neo 쩐스또안 37호 · Lost 로렌스 후이 38호 | |
2022 시즌 | Zven 제스퍼 스베닝슨 40호 · Danny 카일 사카마키 41·42·43·44호✭ · Instinct 토니 응 45호 · Berserker 김민철 46호 · Johnsun 존슨 응우옌 47회 · Stixxay 트레버 헤이스 48호 · Impact 정언영 49호 | |
2023 시즌 | Berserker 김민철 50호 · Prince 이채환 51호 · Gori 김태우 52호 · Stixxay 트레버 헤이스 53호 · Jensen 니콜라이 옌센 54호 · FBI 빅터 후앙 55호 · Revenge 모하메드 카두라 56호 · Pyosik 홍창현 57호 | |
2024 시즌 | Berserker 김민철 58호 · Tomo 프랭크 람 59호 · FBI 빅터 후앙 60호 · Yeon 션 성 61호 · UmTi 엄성현 62호 · APA 에인 스턴스 63호 · Quad 송수형 64호 | |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4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7. LEC 역대 펜타킬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0e4be><tablebgcolor=#00e4be> |
League of Legends EMEA Championship 펜타킬 기록 |
}}}}}}}}} ||
펜타킬 달성 선수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e4be><colcolor=#000> 2013 시즌 | Bjergsen 쇠렌 비에르 1호 · Alex Ich 알렉세이 이체토프킨 2호 |
2014 시즌 | Genja 예브게니 안드류신 3호 · Rekkles 마틴 라르손 4호 | |
2015 시즌 | PowerOfEvil 트리스탄 쉬라제 5호 · Rekkles 마틴 라르손 6·7호☆ | |
2016 시즌 | Sonstar 손승익 8호 · Expect 기대한 9호 | |
2017 시즌 | Zven 제스퍼 스베닝슨 10호 · Nukeduck 에흘란 홀름 11호 · Hans sama 스티븐 리브 12호 | |
2018 시즌 | Kobbe 카스페르 코베룹 13호 · Rekkles 마틴 라르손 14호 · Perkz 루카 페르코비치 15호 | |
2019 시즌 | Rekkles 마틴 라르손 16호 · Upset 엘리아스 립 17호 · Nemesis 팀 리포프섹 18호 · Odoamne 안드레이 파스쿠 19호 | |
2020 시즌 | Rekkles 마틴 라르손 20호 · Caps 라스무스 뷘터 21호 · Comp 마르코스 스템코풀로스 22호 | |
2021 시즌 | WhiteKnight 마티 소르무넨 23호 · BrokenBlade 세르겐 첼리크 24호 · Inspired 카츠페르 스워마 25호 | |
2022 시즌 | Jezu 장 마솔 26호 · Comp 마르코스 스템코풀로스 27·28·29호★ | |
2023 시즌 | Nisqy 야신 딘체르 30호 · Comp 마르코스 스템코풀로스 31호 · Hans Sama 스티븐 리브 32호 · Crownie 유시 마루시치 33·35호☆ · Kobbe 카스페르 코베룹 34호 · Carzzy 마티아슈 오르샤크 36호·39호☆ · Caps 라스무스 뷘터 37호 · Oscarinin 오스카르 무뇨즈 38호 | |
2024 시즌 | Supa 다비드 가르시아 40호·44호☆ · Hans Sama 스티븐 리브 41호·43호·50호★ · Yike 마르틴 순델린 42호 · Ice 윤상훈 45호·51호☆ · nuc 일리아스 비즈리켄 46호 · Caps 라스무스 뷘터 47호·49호☆ · Noah 오현택 48호 | |
☆ - 한 시즌에 2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 한 시즌에 3회 펜타킬을 달성한 선수 |
8. 통계
8.1. 팀별 LCK 펜타킬 달성 횟수
팀 | 횟수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GEN | 17회 | 2 | 1 | 2 | 1 | 1 | 3 | 1 | 1 | 3 | 2 | |||
KT | 10회 | 1 | 4 | 3 | 1 | 1 | ||||||||
DK | 1 | 2 | 2 | 1 | 1 | 3 | ||||||||
T1 | 7회 | 1 | 2 | 1 | 1 | 1 | 1 | |||||||
KDF | 6회 | 1 | 1 | 1 | 2 | 1 | ||||||||
JAG | 5회 | 1 | 1 | 1 | 2 | |||||||||
BRO | 4회 | 1 | 1 | 1 | 1 | |||||||||
HLE | 1 | 1 | 1 | 1 | ||||||||||
SP | 3회 | 3 | ||||||||||||
CJE | 2회 | 1 | 1 | |||||||||||
DRX | 1 | 1 | ||||||||||||
NS | 2 | |||||||||||||
CTU | 1회 | 1 | ||||||||||||
ESC | 1 | |||||||||||||
MVP | 1 | |||||||||||||
GRF | 1 | |||||||||||||
FOX | 1 |
8.2. 팀별 LCK 펜타킬 허용 횟수
팀 | 횟수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FOX | 13회 | 5 | 3 | 1 | 2 | 2 | ||||||||
KT | 12회 | 1 | 1 | 2 | 1 | 1 | 2 | 1 | 2 | 1 | ||||
BRO | 7회 | 1 | 1 | 1 | 1 | 1 | 1 | 1 | ||||||
HLE | 6회 | 1 | 3 | 1 | 1 | |||||||||
GEN | 1 | 2 | 1 | 1 | 1 | |||||||||
DRX | 5회 | 2 | 2 | 1 | ||||||||||
KDF | 1 | 1 | 1 | 2 | ||||||||||
CJE | 4회 | 2 | 1 | 1 | ||||||||||
JAG | 3회 | 1 | 1 | 1 | ||||||||||
DK | 1 | 1 | 1 | |||||||||||
T1 | 1 | 1 | 1 | |||||||||||
SBK | 2회 | 1 | 1 | |||||||||||
MVP | 1 | 1 | ||||||||||||
NS | 2 | |||||||||||||
FIO | 1회 | 1 | ||||||||||||
SP | 1 |
9. 펜타킬의 저주?
펜타킬을 하게 된 선수가 속한 팀은 해당 시즌에 우승하지 못하며, 해당 팀이나 선수의 결과가 좋지 않게 된다는 징크스이다. 로코도코도 이에 대해서 나는 캐리다에서 언급한 적이 있다. 그리고 이 저주는 페이커가 소속된 SKT가 2015 스프링에서 우승하면서 끝났고, 이후 2015 서머와 2016 스프링에서 같은팀의 뱅이 펜타 킬을 하고 결승까지 출전하여 우승하기도 했고, 이제는 솔직히 어거지로 끼워맞추는 수준의 저주가 되었지만, 월드 챔피언쉽에서는 여전히 통하는 저주로 꼽히고 있다.9.1. 국내 대회
1호 - 그 날 펜타 킬이 나오기는 했지만 막눈의 전설의 랜턴 올라프와 함께 결국 나진은 탈락했다. 원딜인 히로는 슬럼프가 오면서 KTA와 MiG를 떠돌다 은퇴했으며, 당시 주축이 모인 나진 쉴드는 PANDORA TV Champions Winter 2013-2014에서 모든 멤버가 바뀌기 전 까지 4강에 들지 못했다.[184]2호 - CLG.NA가 스프링처럼 처럼 8강에서 고배를 마신 후 팀은 슬럼프에 빠지고 더블리프트는 소년가장 신세.
3호 - 8강 탈락 후 스타테일은 해체되고 로코는 CLG로 이적했지만 최악의 기량을 보여주면서 방출되었고, 결국 나진 쉴드에 정착했다. 하지만 스프링 8강에서 탈락하고 말았고, 결국 후보로 강등되는 수모까지 겪게 된다.
4호 - 2:0으로 이겨도 팀이 탈락하는 상황이였고 결국 NLB 후 팀원들이 대거 빠져나가 사실상 해체. 이 후 MVP Blue는 기존 GSG의 선수 일부를 데려오게 되었다. 하지만 6호에서 또 저주가 터졌다.
5호 - MVP 화이트는 올림푸스 8강에서 유일하게 셧아웃 광탈당한 팀이 되었고 이후 헛개수 NLB에서도 거하게 말아먹었다.[185]
6호 - MVP가 모두의 예상을 깨고 롤클마에서 우승하면서 저주를 깨나 싶었지만, 이지훈이 속했던 MVP Blue는 다음 스프링에서 충격의 12강 탈락을 하고 말았다. 이 후 NLB 플래티넘 리그 8강에서 LG-IM 2팀과의 경기가 있었는데, 그 경기에서 버그가 일어났고, 수습 도중에 일어난 비매너 행위때문에 많은 비난을 받게 되었다. 결국 그 뒤에 열린 재경기에서 패배하면서 NLB에서도 탈락했다.
7호 - 제닉스는 그날 패배하면서 우승을 놓치게 되었고, 스프링도 오프라인 예선에서 탈락했다.
8호 - 펜타 킬을 달성한 엠비션은 이후 롤스타전 우승, 스프링 결승진출 등의 쾌거를 이뤄내지만, 결승전에서 89:11이라는 압도적인 예상을 뒤엎고 오존에게 충격의 0:3 패배를 당했다. 게다가 서머 8강 상대 추첨에서 캡틴잭이 천적 KTB를 뽑아버렸고, 그 결과 5세트 접전끝에 패배하고 블레이즈 사상 처음으로 NLB 행을 하고 말았다. 그리고 나진 소드에게 0:2로 패함으로 또 광탈하고, 선발전에서도 탈락하면서 월즈 진출에 실패하고 말았다.
9호 - 롤챔스 3위는 신생팀 중에 나온다는 전통을 이어갈 것으로 주목받았던 CTU는 8강에서 전시즌 우승팀 MVP 오존에게 0:3으로 완패하였다. 이어서 벌어진 LG-IM 2팀과의 NLB 8강전에서도 졸전끝에 0:2로 패배, 기대에 못 미치는 성적으로 시즌을 마감하였다. 아마추어팀이라 이정도도 잘한거 아니냐고 할 수 있는데, CTU가 탈락하면서 신생팀 3위 징크스가 깨지고 말았다. 그리고 미마의 대리랭 의혹[186], 리리스의 패드립으로 욕까지 먹은것은 덤.
10호 - 펜타 킬 이후 프레이는 그래도 선전해줬지만, 나진 소드는 2시즌 연속으로 16강에서 탈락하고 말았다.[187] 그리고 다음 스프링에서도 엄청난 부진으로 팀의 발목을 잡으며 NLB행에 지대한 기여를 했다. 결국 나진 소드 리빌딩 과정에서 방출되고야 말았다.
11호 - 임팩트의 펜타 킬 이후 SKK팀은 KTA에게 리그 2패를 당하게 되며, HOT6 Champions Spring 2014에서 탈락 위기에 빠지게 된다. 극적으로 성사된 재경기 끝에 형제팀 SKS를 이기고 8강에 진출했으나 오존에게 1:3으로 패배, 처음으로 NLB로 내려가게 되었다. 또한 NLB 4강에서도 CJ 프로스트 상대로 1:3으로 패해서 체면을 구겼다. 또한 임팩트는 과거에 비해 부진한 모습을 보여주었다.
12호 - 오존은 8강에서 전 시즌 결승에서 자신을 3:0으로 박살낸 SKK를 만나 3:1로 복수하며 4강 진출에 성공했지만 4강에서 형제팀인 삼성 블루를 만나 1:3으로 패했다. 특히 임프는 마지막 4세트에서 미스 포츈을 잡고 궁도 못쓰고 죽는 안타까운 상황을 자주 보여주었다. 물론 4강이라는 성적이 부진한 것은 아니지만, 오존 입장에서는 결승 진출을 하지 못했으니 저주로 느껴질 법한 상황. 하지만 3, 4위전에서 CJ 블레이즈에 3:2로 신승해서 3위를 지켰고 롤 마스터즈에서도 SKT를 꺾고 우승했으니 스프링은 그럭저럭 해피엔딩으로 끝난 셈.
13호 - 블레이즈는 8강에서 KTA를 제압하며 4강까지 무난하게 올라왔다. 4강에서 나진 쉴드를 상대로 1, 2세트를 내주기는 했지만 3경기에서 엠페러가 데뷔 이후 처음으로 롤챔스에서 MVP가 되며 경기를 승리했고 4경기도 승리하며 블라인드 매치까지 이끌고 갔다. 그런데 블라인드 매치에서 경기가 완전히 터져 버리며 결국 경기를 졌고 결승 진출에 실패했다.
14호 - SKS는 이 경기를 이겼지만 다음 2세트를 허무하게 패배하면서 3:2로 역전패. 결국 결승행 티켓을 KTA에게 넘겨줘야 했다. 그 뒤 3, 4위전에서 이지훈을 제외한 팀원들의 부진으로 인해 SKK처럼 영고미드 잔혹사를 찍게 되었다.
15호 - 나진 실드가 천신만고 끝에 월즈 진출에 성공하면서 펜타킬의 저주가 끊기나 싶었는데 얼라이언스와의 16강 조별 예선 2차전에서 노킬, 노어시, 노타워, 노오브젝트 라는 사상 초유의 관광을 당했다. 또한 16강 마지막날에는 C9에게 패배하여 2년만에 한국 팀이 북미 팀에게 패배하는 기록을 세우고 C9과 다시 1, 2위 순위 결정전을 치러야 했고 이기기는 했지만 C9의 스플릿 운영에 휘말려 불안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결국 8강에서 OMG에게 0:3으로 셧아웃을 당하며 탈락했다. 거기다가 1세트부터 3세트까지 내내 가히 눈썩 수준의 밴픽을 뽑아냈으며 2세트는 경기 내용까지 최악이었다.
16호 - IM은 후야를 이기고 LCK 시드를 확보하는데 성공은 했다. 하지만 프리시즌에 치러진 시범 경기에서 신생 삼성 갤럭시와 함께 단 1승도 거두지 못한 팀이 됐다. 게다가 삼성 갤럭시는 신생팀에 SKT전을 제외하면 전부 무승부였던 반면 IM은 2014 서머 2팀 멤버들을 그대로 이끌고 왔는데도 1무 3패로 프리시즌을 마무리 하면서 최하위에 등극했다. 참고로 손스타도 무너지는 팀과 함께 무난하게 망했다. 그래도 정규시즌 1라운드에서 뜬금없는 선전으로 설마 하는 생각을 하게 했으나 그런건 없었고 2라운드에서 완전히 망하면서 승강전으로 떨어지고 말았다.
17호 - 진에어가 스프링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면서 저주를 끝내나 싶었는데 뜬금없이 IM에게 1:2로 발목을 잡혀버렸다. 참고로 파일럿은 2세트와 3세트에 나왔는데 2세트는 이겼지만 3세트에서 반쯤 잡았던 경기를 어처구니 없이 내줬다. 게다가 2라운드에서는 플레이오프 진출은 확정됐지만 IEM 쇼크 이후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며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이와중에 파일럿은 GE전에서 승부조작급 쓰로잉을 보여주기도 했다. 결국 준플레이오프까지도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고 CJ에게 압살당했다.
18호 - 개막전부터 펜타 킬을 보여주며 프리시즌에 이어서 최강자로 군림할 거 같은 SKT이 CJ에게 발목을 잡히며 스윕당했다. 심지어 페이커는 출전한 2세트에서 앰비션의 갱에 속수무책으로 당하며 죽을 쒔다. kt, IM 등 당시 약팀들을 잡으며 기세를 끌어올리나 싶었지만 진에어에게도 또 0:2로 지면서 겨우내 끌어올린 팀의 상승세가 끊겼다. 페이커 본인도 2세트에서 갱맘/트레이스에게 공략당하며 속수무책으로 졌다. 그래도 결국 2라운드 전승 + 스프링 우승을 달성하면서 펜타킬의 저주를 극복하며 시즌 자체 성공적으로 거두었다. 그러나 나진에게 19호 펜타 킬을 허용하며 최초로 바로 다음 펜타 킬에서 복수전을 허용한 펜타 킬이 되었다.
19호 - 데뷔전 펜타 킬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경기 자체는 2:1로 패배했다. 이 경기 이후 불안정한 경기력을 자주 보이며 나진은 결국 스프링 플레이오프 진출에 실패했다.
24호 - 서머 펜타 킬을 기록한 뱅은 다음의 CJ전에서 너무 무기력한 모습, 게다가 베인충의 모습까지 보이며 팀을 패배의 구렁텅이로 몰아넣어 버렸다. 이로 인해 SKT의 서머 유일한 패배를 찍었다. 그래도 다른 저주와는 달리 이후 폼을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고 결승전에서도 준수하게 활약하며 서머 우승도 챙겼으니 전승에서 1패를 찍는 선에서 마무리된 것으로 펜타 킬 저주를 극복해낸 사례다.
25호 - 펜타 킬을 기록한 뒤 삼성전에서 이기기는 하지만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고, 급기야 그 다음 스베누 전에서는 스베누의 첫 승을 헌납하고 말았다.
21, 22, 23, 26호 - 역대 LCK에서 펜타킬이 가장 많이 나온[188] 팀이었으나 1번만 기록했던[189] SKT에게 압도적인 격차로 패배했다.
27호- 타이거즈를 상대로 뉴클리어가 펜타킬을 달성했고 스베누는 8강에 진출하는 대이변을 만들었다. 하지만 8강에서 SKT를 만나 2세트에서 승리하며 분전했지만 나머지 두 세트에서 압살당하면서 8강에서 탈락했다. 그리고 스프링에서 이전 시즌과 다를 바 없이 망해버린다. 이후 서머에서 CK 준우승을 통해 승강전까지 올라오지만 맨 처음으로 탈락.
28호, 30호 -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 그래도 잔류엔 성공했으니 다음 시즌을 기약할 수 있다.
29호 - 포스트시즌에 진출하여 와일드카드전에 아프리카를 2:0으로 찢고 진출했으나, 준플레이오프에서 SKT에게 막히고 말았다.
31호 - 이전에 kt에게 0:2로 진 게 있어 리그 3위로 마감하였으나, 포스트시즌에 각성하여 준플레이오프부터 결승까지 스트레이트로 치고 올라가 우승까지 했다. 그러나 이어지는 2016 MSI에서 4연패로 리그 4위가 되는 굴욕을 맛봤지만, 이마저도 우승으로 만회했다.
32호 - 포스트시즌에서 삼성 갤럭시에게 막히며 상위 티어로 진출하는데 실패했다.
33호 - 다음 경기가 시작되자마자 폰에게 솔킬을 당하고 말았고 경기 내내 무력한 모습을 보였다. 최종 성적도 겨우 강등권을 벗어나는 수준.
34호 - 2라운드가 마무리될때까지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듯 했으나. 이후에 치러진 포스트시즌 와일드카드전, MVP와의 리매치에서 0:2 셧아웃을 당했다.
35호 - 익수가 펜타 킬을 기록한 해당 경기는 최종적으로 진에어가 1:2로 패배했으며, 진에어는 막판까지 포스트시즌 진출을 노려봤으나 포스트시즌 진출에 실패하면서 2017 시즌을 마무리해야 했다.
36호 - 포스트시즌에서 SKT에게 셧아웃 당하며 패배하였으며, 특히 펜타 킬을 달성했던 크라운이 가장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38호 - 8강 1라운드 D조에서 ROX를 상대로 셉티드가 펜타킬을 달성했다. 그러나 8강 2라운드에서 KT에게 패배하면서 탈락했다.
39호 - 8강 2라운드 D조에서 진에어를 상대로 프레이가 펜타 킬을 달성했다. 그리고 롱주는 진에어를 2:1로 이기면서 4강에 진출했다. 하지만 결승전에서 KT에게 패배하면서 우승은 실패했다.
40호 - 최종전인 진에어를 상대로 스카너 꼴픽 등으로 고추가루를 맞으며 역전패했고, 결국 6위를 기록하며 와일드카드 막차 탑승에 실패했다.
41호 - 펜타 킬을 달성했던 해당 대회는 우승을 달성했지만, MSI 준우승 이후로 팀이 흔들리는 모습을 보였고, 결국 4위를 기록하며 선발전에 직행하고 말았고, 선발전에서 1라운드에서 최종전으로 올라온 젠지에게 0:3으로 패배하며 스프링을 우승하고도 월즈를 가지 못한 팀이라는 불명예적인 기록을 세웠다.
42호, 45호 - 펜타 킬을 달성했던 해당 대회에서 팀은 간신히 승강전행을 면했다.
44호 - 펜타 킬을 달성했던 경기는 2:1으로 승리했으나, 2라운드에서 SKT에게 패배하며 bbq의 잔류를 확정시켜주며 승강전으로 내려갔다. 다행히도 승강전 최종전에서 콩두를 상대로 접전까지 가는 끝에 3:2로 승리, 잔류를 확정지었다. 그러나 서머에서는 스프링과 똑같이 9위를 기록하였고 승강전으로 내려갔고, CK 포스트시즌에서 혈전을 거치고 올라온 팀 배틀코믹스에게 단 한 세트도 따내지 못하고 강등되었다.
48호 - 우선 와일드카드 진출전에서는 무기력한 모습을 보였으나 선발전에서 극적으로 1라운드에서 최종전까지 올라오는 저력을 보이며 월즈에 진출했으나, 정작 월즈에서는 15호가 약과로 보일 정도로 폼이 망가진 처참한 모습을 보이며 그룹 스테이지 1승 5패 탈락이라는 최악의 성적을 기록하고 시즌을 마감했다. 그 이후 다음 해 스프링에서 겨우 승강전 직행 위기를 탈출할 정도로 처참했다. 다음 스플릿인 서머에서 반등을 노리는듯 했으나, 막판에 3연패로 미끄러지면서 6위로 탈락, 선발전 포인트 확보가 좌절되었다.
49호 - 1라운드 전승을 포함한 15승 3패로 1위로 결승전에 직행했으나, 결승전에서 SKT를 상대로 업셋 셧아웃 준우승을 기록하며 스프링 시즌을 마무리했다. 그리고 그 다음 서머에서도 준우승을 기록하며 3연속 준우승이라는 굴욕을 당하고 말았다. 하지만 그 48호가 약과로 보일 정도의 초대형 폭탄이 터졌으니...
50호 - 48호와 유사한데, 해당 시즌에서는 기인 원맨팀으로 불리며 승강전까지 갈 위기에 처한 적이 있었으나 정규시즌 최종전에서 KT가 담원을 상대로 거하게 삽질을 한 끝에 0:2로 패배하며 간신히 승강전 직행 위기에서 탈출했다.
52호 - 펜타 킬을 달성한 세트는 승리했으나 이후 2, 3세트에서 패배하면서 매치를 패배했다. 이후 포스트시즌도 스윕패.
54호 - 52호와 비슷하게 펜타 킬을 딴 세트는 이겼지만 다음 2개 세트를 내리 내주면서 CK로 되돌아가고 말았다.
55호 - 펜타킬을 기록하면서 결승전에 올라갔지만 샌드박스는 아프리카에게 0:3으로 져 준우승을 기록했다.
58호, 59호 - 펜타킬을 기록한 매치들은 전부 승리했지만, 팀은 하락세를 보여주다가 어찌저찌 정규시즌에서 1위로 결승전에 직행했지만, 그 결승전에서 0:3으로 패배해 준우승을 기록했다.
87호 - 펜타킬을 달성한 매치는 승리했지만, 팀은 쵸비를 데리고도 8위를 했다. 정작 선발전에서는 샌드박스와 농심을 꺾고 월즈에 진출했다.
93호 - 사실 이전부터 별로인 팀 분위기였고, 펜타킬을 통하여 겨우 연패를 끊어냈지만 이후 경기에서 한화를 제외하고 전부 패배하면서 겨우 8등이라는 초라한 성적표를 받으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95호 - 펜타킬을 달성한 세트는 승리했지만, 다음 세트에서 kt의 빅라가 게임을 지배하며 매치에서 패배하였고 팀은 8연패의 수렁에 빠졌다.
9.2. 국제 대회
- 2015 Mid-Season Invitational의 SKT - 조별 리그 프나틱전에서 뱅이 마지막 한타에서 펜타 킬을 달성하게 되었다. 이후 준결승에서 가까스로 3:2로 프나틱을 이기고 결승에 진출하였으나, EDG에게 2:3으로 패배해 우승에 실패하게 된다.
- 2018 Mid-Season Invitational의 프나틱 - 4강 3세트 경기에서 레클레스가 게임 도중 펜타 킬을 달성했으나 다른 팀원들의 잦은 쓰로잉으로 인해 해당 경기를 패배하는 동시에 0:3으로 매치를 패배하고 4강에서 탈락하였다.
- 2018 리프트 라이벌즈/LCK-LPL-LMS의 KING-ZONE DragonX - 준결승 1경기에서 칸이 다리우스로 펜타 킬을 달성하고 승리했으며 LCK는 매치에서 3:0으로 승리하고 결승전에 진출했으나, 결승전에서 2:3으로 패배하면서 우승에 실패했다.
-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e스포츠/리그 오브 레전드/지역예선의 대한민국 대표팀 - 6경기에서 룰러가 카이사로 펜타킬을 달성하고 팀은 1위로 지역 예선을 통과하고 본선에서 무패로 결승전에 무혈 입성했으나, 정작 결승전에서는 폼이 망가진 모습을 보이며 우승에 실패했다.
- 2019 Mid-Season Invitational의 G2 Esports - 그룹 스테이지 9경기 퐁부전에서 원더가 라이즈로 펜타 킬을 달성했으나, 이후 교전에서는 퐁부의 교전 집중력에 압도당하며 전반전에 이어 다시 승리를 내주고 말았다. 그래도 해당 대회에서 결국 우승을 차지했기에 상술한 팀들에 비해선 해피 엔딩을 맞이했다.
- 2021 Mid-Season Invitational의 DWG KIA - 결승전 4세트에서 RNG를 상대로 고스트가 트리스타나로 펜타 킬을 달성하고 승리해 5세트까지 경기를 끌고 갔으나, 그 5세트에서 내내 밀린 끝에 분패하며 준우승에 머물렀다.
9.2.1. 월즈
1호, 3호 - 15승 2패라는 그 당시 유래가 없을 정도로 압도적인 실력으로 우승하였으나, 펜타 킬을 한 팀은 물론 그 형제팀까지 공중분해 되기에 이른다.2호 - 16강 마지막 경기에서 삼성 갤럭시 블루에게 지며 진출에 실패하였다.
4호 - C9은 펜타 킬을 기록한 그 주차에서 3전 전승을 달렸으나, 그 다음주에 열린 경기에서 처참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재경기 포함 4연패로 조별 예선에서 최종 순위 3위를 차지해 16강에서 탈락했다.
5호 - FW는 많은 이들이 우승을 예상했던 A조 1위인 KOO를 제치고 조별 예선 1위로 8강에 올라왔지만, 8강에서 Origen을 만나더니 눈 뜨고는 봐줄 수가 없는 저질 경기들을 보여주며 탈락했다.
6호 - 4강에서 최종보스를 만나 반쯤 잡았던 1세트를 내주고 멘탈째로 파괴당하며 결승 진출에 실패하고 만다.
7호 - 2라운드에서 하필이면 플레이-인 스테이지 참가팀들 중 가장 폼이 좋았던 C9의 상대가 되었고, 1경기를 배정받아 0:3으로 탈탈 털리며 2라운드 참가팀들 중 가장 먼저 짐을 싸게 되었다.
8호 - 어찌어찌 그룹 스테이지까지는 올라왔으나, 정작 거기서 6전 전패를 기록하며 그룹 스테이지 참가팀들 중 가장 실망스러운 폼을 보여주기만 한 채 귀국하게 되었다.
9호 - 펜타 킬을 기록한 1라운드에서는 2승 업셋으로 조 2위를 달성해 2라운드에 올라갔지만, 2라운드에서 G2 상대로 상황 판단 오류를 통한 자멸 때문에 1:3으로 패해 그룹 스테이지 진출에 실패했다.
10호 - 펜타 킬을 기록한 1세트는 이겼지만, 나머지 세트에서 영 좋지 않은 경기력을 선보이며 그룹 스테이지 진출에 실패했다.
11호 - 펜타 킬을 기록한 3세트를 제외하곤 IG에게 처참하게 패배하며 월즈 4강 진출에 실패했다. 그리고 이것이 약과로 보일 정도의 초대형 사건이 터져버렸으니...
12호 - 펜타 킬을 기록한 2세트는 승리했지만 이후 세트는 내리 패배하면서 준우승에 그쳤다.
13호 - 펜타 킬을 기록한 경기는 승리하고 팀은 결승전까지 올라갔지만, 그 펜타 킬을 기록한 선수가 결승전에서 부진하며 준우승에 그쳤다.
14호 - 플레이인을 1위로 올라가고 조별 1라운드에서도 공동 1위를 만들어냈으나 2라운드에 전패를 하며 조별 광탈을 하고 말았다.
9.3. 타 지역 대회
- LCS NA 스프링 2016의 Immortals - TL 상대로 후니가 펜타 킬을 달성하기 무섭게 바로 후니가 자이온에게 압도당하고 바론 스틸을 당하며 CLG에게 전승이 끊기고 말았다.
- LEC 스프링 2019의 FC Schalke 04 Esports - 업셋이 카이사로 펜타 킬을 달성했으나, 팀원들의 역캐리로 인해 패배하면서 현재까지 4대 메이저 지역 리그에서 유일하게 카이사 펜타킬 패배 경기라는 굴욕적인 기록을 세웠다.
9.4. 기타 대회
- 자낳대 1회 스트리머 이벤트 매치의 공쌍초잉잭 - 4강 B조에서 캡틴잭이 아카츠키를 상대로 펜타킬을 달성하고 세트를 승리했으나 매치를 패배했고, 3/4위전에서도 패배하며 4위로 마무리했다.
- AMD 자낳대 2019 파이널의 HPX - 4강에서 플러리가 PS4를 상대로 펜타킬을 달성했으나, 결승전, 특히 3세트에서 포지셔닝 실수로 인해 우승에 실패했다.
- 2021 자낳대 시즌 2의 낭만고등학교 - 그룹 2라운드에서 눈꽃이 세나각을 상대로 펜타킬을 달성하면서 팀은 결승전에 진출, 그 결승전에서 1세트를 가져왔지만, 2~4세트에서는 중력쫀나빛삼을 상대로 큰 격차를 보여주었고, 3세트는 쫀득에게 펜타킬을 허용해주며 우승에 실패했다.[190]
- 2022 Wild Rift Champions Korea Spring의 Haku : Team GP에 미드라이너로 소속됐었던 당시 정규시즌에서 아칼리로 펜타킬을 기록했다.
[1]
다중 킬 외에 연속킬도 여기서 차용하였고, 실제로
MOBA 장르의 게임 자체가 FPS의 적지 않은 요소를 도입하였다. 특공대 스킨으로 이미 알 만한 사람은 알겠지만 고전 FPS에서 차용한 요소가 꽤 된다.
[2]
'quadr-'는 '넷' 또는 '네 개의'를, 'penta-'는 '다섯' 혹은 '다섯 개의'를 의미하는 회수사이다. 웃기는 건 라틴어와 그리스어 기원을 섞어놨다는 것이다. 그리스어 기반으로 4는 'tetra-'라고 하며, 거꾸로 라틴어 기반으로 5는 'quin-'이라고 한다.
튜플도 라틴어 기반이기 때문에 4까지는 튜플 안 따르고 '쿼드라'라고 해도 크게 이상하지 않은데, 갑자기 5에서 '펜타'가 튀어나와 좀 생뚱맞은 감이 있다.
[3]
대표적인 예제로
블리자드 엔터테인먼트 게임인
오버워치와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 등의 경우 처음부터 끝까지 튜플을 정식 명칭으로 사용한다. 즉 쿼드라킬이 아니라 쿼드러플킬이고, 그 이후에도 퀸트플킬, 섹스튜플킬까지 존재한다. 다만 리그 오브 레전드와 다르게 막타만을 따지지 않고 단순 연속처치만을 따지기 때문에 롤의 펜타킬에 비해 오버워치의 '6명 동시 처치(섹스튜플킬)'가 보기 좀 더 쉬운 편.
[4]
물론 1렙 펜타 킬하고도 지는
경우가 없는 건 아니다.
아리 1렙 펜타킬 장면. 마지막에 훈의 아리의 템창에 쓸 데없이 큰 지팡이가 나오는 게 보인다.
[5]
https://youtu.be/oROQIbdmWn8
[6]
11.11 패치 기준 한 판당 펜타킬 평균 횟수 : 사미라와 마스터 이 공동 0.018회, 카타리나 0.015회
[7]
그렇기에 대회에서의 펜타 킬 중 거의 대부분이 원딜이다.
[8]
특히 제리의 경우 기동성과 유틸성이 좋고, 폭딜도 나오는 챔피언인데다 스킬쿨도 평타인 Q로 돌리는 챔피언이기에 펜타킬에 매우 특화되어 있으며, 실제로 제리 출시 이후 LCK에서 나온 8번의 펜타킬 중 7번이 제리였을 정도이다.
[9]
중후반 한정. 초반에는 딜이 부족하고 극후반에는 원거리 딜러에게 맞아죽는다.
[10]
이쪽은 스킬셋 특성상 소환수와 연동되는 공격(평타) 명령으로 마법뎀을 지속딜처럼 꽂아넣을 수 있는 독특한 케이스다.
[11]
대부분의 경우
[12]
이쪽은 패시브를 통해 자신을 포함한 여러 챔피언의 스킬을 돌아가며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첫 한 명을 잡아내고 지배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아군 의존도가 상당히 높은 편.
[13]
제드, 르블랑, 탈론 등.
[14]
어찌 됐든 최후의 일격만 가하면 되기 때문에, 아군이 때려 놓은 체력 낮은 상대 마무리만 5번 반복하면 된다. 실제로 LPL 공식 경기에서 말파이트, 렐 등 딜링 능력이 낮은 탱커형 챔피언이 펜타킬을 기록한 사례도 있고, 스크림 과정에서 라칸이 펜타킬을 기록한 사례도 존재한다.
[15]
갈리오-문도-쉬바나-코그모-잔나 순으로 킬.
[16]
대한민국 공식 대회 최초의 펜타킬.
[17]
잭스-잔나-라이즈-코르키-판테온 순으로 킬.
[18]
최초의 외국팀 펜타킬이자 외국인 선수의 펜타킬. 2019 시즌부터 일부 외국인 선수들이 대한민국 리그에 발을 들이고 있으나, 아직 두 번째 외국인 선수의 펜타킬이 없어 유일한 기록이기도 하다. 당시 팀원들이 펜타킬 만들어 주려고 일부러 스탑을 걸고 있었고, 그 때문에 안 죽어도 될 타릭이 죽는 등 최초의 '매너펜타' 기록 또한 가지고 있다.
[19]
미스 포츈-마오카이-신지드-누누-애니비아 순으로 킬.
[20]
제이스-올라프-자이라-럼블-이즈리얼 순으로 킬.
[21]
참고로 이 게임에서의 트위치는 랜덤픽으로 골라진 챔피언이며, 이즈리얼을 잡을 때는 트위치를 엄호하려던 초가스가 딸피 상황에서 무리하게 쫓아가다 죽었다.
[22]
초가스-자이라-이즈리얼-제이스-럼블 순으로 킬.
[23]
MVP 화이트의 억제기가 전부 깨진 상황이라 옵저버가 넥서스 쪽을 잡는 바람에 정작 킬하는 장면은 찍히지 않았다. 게다가 누누가 절대영도 쓰면서 막으려고 했지만 충전 중에 넥서스가 날아가면서 패배. 이 경기 이후 오랫동안 대한민국 공식 대회에서 펜타킬 패배 경기는 나오지 않다가, 무려 2020년 8월 30일에야 펜타킬 패배 경기가 나오게 된다.
[24]
제이스-바루스-레오나-럼블-신 짜오 순으로 킬.
[25]
대한민국 공식 대회에서 원딜이 아닌 포지션에서 나온 최초의 펜타킬이자, AP 기반 챔피언 최초의 펜타킬.
[26]
카직스-녹턴-렝가-나서스-이즈리얼 순으로 킬.
[27]
한타에서 탱킹하던 중 카직스의 도약을 존야로 피하면서 살아남고, 황폐화와 부패로 카직스와 녹턴을 먼저 잡아내고, 진혼곡으로 나머지 두 챔피언을 한꺼번에 잡아내고, 딸피 이즈리얼을 딱콩으로 마무리.
[28]
미스 포츈-럼블-쓰레쉬-나서스-다이애나 순으로 킬.
[29]
LCK에서 처음으로 나온 미드 라이너의 펜타킬이자 첫번째 근접공격 챔피언의 펜타킬.
[30]
나미-라이즈-레넥톤-리 신-케이틀린 순으로 킬.
[31]
대한민국 공식 대회에서 아마추어팀이 프로팀을 상대로 처음 성공시킨 펜타킬.
[32]
이즈리얼-피들스틱-오리아나-엘리스-쉬바나 순으로 킬.
[33]
피오라-퀸-질리언-리 신-사이온 순으로 킬.
[34]
대한민국 공식 대회 최초의 탑 라이너 펜타킬.
[35]
코그모-모르가나-직스-이블린-라이즈 순으로 킬.
[36]
구승빈의 LCK 최초 한 사람이 기록한 2번째 펜타킬
[37]
쓰레쉬-드레이븐-오리아나-레넥톤-엘리스 순으로 킬.
[38]
알리스타-자르반 4세-아리-엘리스-코그모 순으로 킬.
[39]
야스오-리 신-레오나-트리스타나-문도 순으로 킬.
[40]
KT Arrows는 이 펜타킬로 13호에서 15호까지
3연속 펜타킬을
당한 팀이 되었다.
[41]
코르키-나미-제이스-자르반 4세-카사딘 순으로 킬.
[42]
개편된 LCK 체제에서의 첫번째 펜타킬.
[43]
레오나-아리-이즈리얼-렝가-리산드라 순으로 킬.
[44]
아리-카직스-럼블-브라움-칼리스타 순으로 킬.
[45]
LCK 2번째 미드 라이너의 펜타킬이자 최초로 정규시즌 개막전에서 나온 펜타킬.
[46]
코르키-누누-헤카림-룰루-모르가나 순으로 킬.
[47]
LCK 최초 데뷔전 펜타킬.
[48]
노틸러스-르블랑-렉사이-코르키-럼블 순으로 킬.
[49]
LCK의 첫 탑 라이너의 펜타킬.
[50]
럼블-바루스-코르키-쓰레쉬-그라가스 순으로 킬.
[51]
대한민국 공식 대회 최초로 하루만에 두 번째 나온 펜타킬.
[52]
빅토르-알리스타-나르-이블린-코르키 순으로 킬.
[53]
대한민국 공식 대회 최초로 한 시즌에 한 팀에서 두 번째 달성한 펜타킬.
[54]
마오카이-알리스타-에코-빅토르-코그모 순으로 킬.
[55]
대한민국 공식 대회 최초로 한 선수가 한 시즌에 두 번째 달성한 펜타킬.
[56]
이블린-카사딘-시비르-마오카이-애니 순으로 킬.
[57]
마오카이-알리스타-렉사이-카시오페아-코그모 순으로 킬.
[58]
브라움-쉔-루시안-오리아나-그라가스 순으로 킬.
[59]
이 펜타킬로 kt는 LCK 최초로 한 시즌에 한 팀에서 세 명이 펜타킬을 달성한 팀이 되었다.
[60]
자르반 4세-쓰레쉬-칼리스타-엘리스-카사딘 순으로 킬.
[61]
마오카이-렉사이-루시안-르블랑-알리스타 순으로 킬.
[62]
뽀삐-알리스타-이즈리얼-엘리스-트위스티드 페이트 순으로 킬.
[63]
리산드라-칼리스타-노틸러스-엘리스-알리스타 순으로 킬.
[64]
그레이브즈-코르키-카르마-알리스타-라이즈 순으로 킬.
[65]
참고로 플레이 오브 위클리 LCK에서 송출해 준 스베누측 부스 상황을 본 결과 쿼드라 띄운 뱅을 위해 라이즈가 일부러 우물 밖으로 나가서 선물한 '매너펜타'였음이 밝혀졌다.
[66]
나르-바루스-알리스타-아무무-애쉬 순으로 킬.
[67]
에코-카직스-마오카이-진-쓰레쉬 순으로 킬.
[68]
오리아나-진-갱플랭크-카르마-렝가 순으로 킬.
[69]
자이라-카직스-클레드-바루스-피오라 순으로 킬.
[70]
카직스는 벽 넘어 사정거리 밖으로 도망갔으나 레드 버프 틱으로 죽었고, 나머지는 직접 스킬콤보로 썰어버렸다.
[71]
자야-라칸-럼블-갈리오-렉사이 순으로 킬.
[72]
마지막에 렉사이를 잡을 때는 살아남아 있던 삼성 멤버들 전부가 뛰어들어 우물킬을 먹여주었다.
[73]
마오카이-코르키-그라가스-자이라-이즈리얼 순으로 킬.
[74]
말자하-오른-자르반-자야-라칸 순으로 킬.
[75]
탈리야-브라움-럼블-미스 포츈-자르반 4세 순으로 킬.
[76]
리 신-브라움-코그모-말자하-나르 순으로 킬.
[77]
타릭-렝가-조이-이즈리얼-갱플랭크 순으로 킬.
[78]
LCK에서 3년만에 나온 리븐이었다.
[79]
탐 켄치-나르-자크-이즈리얼-조이 순으로 킬.
[80]
라이즈-자야-라칸-세주아니-스카너 순으로 킬.
[81]
갈리오-세주아니-오른-자야-라칸 순으로 킬.
[82]
스카너-아지르-칼리스타-탐 켄치-사이온 순으로 킬.
[83]
Arrow에 이어 LCK에서 두 번째로 한 선수가 한 시즌에 두 번 기록한 펜타킬이다.
[84]
모르가나-브라움-카이사-뽀삐-오른 순으로 킬.
[85]
모르가나-이즈리얼-룰루-문도-그라가스 순으로 킬.
[86]
조이-모르가나-케넨-애쉬-킨드레드 순으로 킬.
[87]
애쉬-탐 켄치-리산드라-우르곳-신 짜오 순으로 킬.
[88]
갈리오-요릭-칼리스타-엘리스-야스오 순으로 킬.
[89]
렉사이-루시안-브라움-그라가스-리산드라 순으로 킬.
[90]
리산드라-리신-브라움-아트록스-이즈리얼 순으로 킬.
[91]
아트록스-카이사-아칼리-사일러스-노틸러스 순으로 킬.
[92]
쓰레쉬-아트록스-징크스-탈리야-스카너 순으로 킬.
[93]
라칸-엘리스-판테온-노틸러스-자야 순으로 킬.
[94]
대한민국 공식 대회 최초 정글러 펜타킬.
[95]
세트-세주아니-쓰레쉬-칼리스타-빅토르 순으로 킬.
[96]
갈리오-나르-자르반-미스포츈-유미 순으로 킬.
[97]
노틸러스-리신-볼리베어-미스 포츈-럼블 순으로 킬.
[98]
칼리스타-사일러스-타릭-제이스-조이 순으로 킬.
[99]
세주아니-레넥톤-사일러스-바루스-유미 순으로 킬.
[100]
타릭-렉사이-럼블-이즈리얼-올라프 순으로 킬.
[101]
2015년 6월 13일 이후 1749일만에 나온 하루만에 두 번째 나온 펜타킬. 2015년에 나온 펜타킬은 모두 LCK에서 나왔지만, 이 날 펜타킬은 LCK와 CK에서 한 번씩 나왔다.
[102]
에코-아트록스-타릭-트런들-칼리스타 순으로 킬.
[103]
아트록스-노틸러스-르블랑-세나-올라프 순으로 킬.
[104]
리산드라-올라프-이즈리얼-탐 켄치-아트록스 순으로 킬.
[105]
칼리스타-세트-타릭-사일러스-아지르 순으로 킬.
[106]
아지르-블리츠크랭크-세주아니-칼리스타-아트록스 순으로 킬.
[107]
최초로 같은 선수가 한 스플릿에 세 번 달성한 펜타킬
[108]
자르반 4세-이즈리얼-카르마-아지르-아트록스 순으로 킬.
[109]
모데카이저-타릭-칼리스타-갈리오-자르반 4세 순으로 킬.
[110]
세나-오공-노틸러스-리 신-조이 순으로 킬.
[111]
케넨-바드-애쉬-럭스-볼리베어 순으로 킬.
[112]
럼블-나르-키아나-애쉬-니달리 순으로 킬.
[113]
쓰레쉬-애쉬-루시안-릴리아-오른 순으로 킬.
[114]
상대 팀인 DRX의 모든 챔피언을 처치하는데 성공했으나 이미 경기가 DRX쪽으로 많이 기울어져 있는 상황이였고, 다음 바론 한타에서 젠지가 패배하면서 1세트는 내주게 되었다. 2012년 12월 22일, 임프의 5호 펜타킬 패배 이후로 무려 2,808일만의 펜타킬 패배 경기이다.
[115]
레넥톤-갈리오-사미라-탈리야-칼리스타 순으로 킬.
[116]
볼리베어-니달리-요네-사미라-알리스타 순으로 킬.
[117]
탈리야-갈리오-아트록스-유미-트리스타나 순으로 킬.
[118]
헤카림-카이사-세라핀-조이-나르 순으로 킬.
[119]
오른-빅토르-카이사-렐-올라프 순으로 킬.
[120]
우디르-알리스타-볼리베어-카이사-아지르 순으로 킬.
[121]
그라가스-노틸러스-헤카림-카이사-세라핀 순으로 킬.
[122]
나르-트리스타나-라칸-올라프-오리아나 순으로 킬.
[123]
렐-아트록스-오리아나-사미라-아지르 순으로 킬.
[124]
펜타킬을 기록할 당시 이미 유리한 상황이었지만, 후반에 이즈리얼을 제외한 모든 챔피언이 죽으면서 역전을 당해 패배하게되었다. 이는 룰러의 펜타킬 패배 이후 198일만의 펜타킬 패배 경기이다.
[125]
조이-블리츠크랭크-렉사이-칼리스타-볼리베어 순으로 킬.
[126]
나르-카이사-올라프-알리스타-트위스티드 페이트 순으로 킬.
[127]
진-탐켄치-제이스-럼블-레넥톤 순으로 킬.
[128]
아펠리오스-갱플랭크-사일러스-볼리베어-쓰레쉬 순으로 킬.
[129]
비에고-레오나-진-리산드라-세트 순으로 킬.
[130]
나르-리신-신드라-쓰레쉬-아펠리오스 순으로 킬.
[131]
르블랑-뽀삐-브라움-아크샨-제리 순으로 킬.
[132]
노틸러스-베이가-징크스-뽀삐-그레이브즈 순으로 킬.
[133]
신 짜오-레오나-라이즈-이즈리얼-그웬 순으로 킬.
[134]
라이즈-자야-아트록스-리 신-노틸러스 순으로 킬.
[135]
아리-카이사-레오나-비에고-그웬 순으로 킬.
[136]
아리-카이사-레오나-비에고-그웬 순으로 킬.
[137]
뽀삐-이렐리아-리산드라-아펠리오스-레나타 글라스크 순으로 킬.
[138]
리 신-타릭-나르-사일러스-징크스 순으로 킬.
[139]
뽀삐-라이즈-그웬-룰루-트위치 순으로 킬.
[140]
아지르-오른-트런들-루시안-나미 순으로 킬.
[141]
바루스-리산드라-오공-레넥톤-탐 켄치 순으로 킬.
[142]
바이-애쉬-탐 켄치-아리-나르 순으로 킬.
[143]
탈리야-레넥톤-라이즈-노틸러스-아펠리오스 순으로 킬.
[144]
세주아니-아지르-뽀삐-룰루-제리 순으로 킬.
[145]
사일러스-그웬-아펠리오스-바이-룰루 순으로 킬.
[146]
나미-나르-세주아니-신드라-루시안 순으로 킬.
[147]
나미-오공-나르-루시안-탈리야 순으로 킬.
[148]
잭스-바이-아칼리-제리-룰루 순으로 킬.
[149]
아무무-제이스-요네-마오카이-드레이븐 순으로 킬.
[150]
사이온-레오나-칼리스타-마오카이-빅토르 순으로 킬.
[151]
노틸러스-세주아니-그라가스-이렐리아-아펠리오스 순으로 킬.
[152]
비에고-라칸-자야-리산드라-크산테 순으로 킬.
[153]
라칸-카이사-레넥톤-아리-오공 순으로 킬.
[154]
카이사-크산테-제이스-알리스타-아이번 순으로 킬.
[155]
블리츠크랭크-제이스-카이사-니코-레넥톤 순으로 킬.
[156]
바이-라칸-레넥톤-니코-시비르 순으로 킬.
[157]
리 신-아지르-칼리스타-레나타 글라스크-잭스 순으로 킬.
[158]
탈리야-마오카이-세나-세라핀-잭스 순으로 킬.
[159]
렐-애쉬-케이틀린-흐웨이-크산테 순으로 킬.
[160]
바루스-노틸러스-렐-흐웨이-트위스티드 페이트 순으로 킬.
[161]
녹턴-노틸러스-아지르-제리-뽀삐 순으로 킬.
[162]
칼리스타-노틸러스-아트록스-마오카이-카타리나 순으로 킬.
[163]
알리스타-바이-카이사-자크-오리아나 순으로 킬.
[164]
크산테-아지르-렐-제리-비에고 순으로 킬.
[165]
트리스타나-레오나-진-제이스-마오카이 순으로 킬.
[166]
스몰더-노틸러스-볼리베어-흐웨이-제이스 순으로 킬.
[167]
우디르-트리스타나-노틸러스-카이사-마오카이 순으로 킬.
[168]
바드-바이-카밀-탈리야-바루스 순으로 킬.
[169]
리 신-코르키-세나-탐 켄치-레넥톤 순으로 킬.
[170]
아지르-노틸러스-크산테-비에고-카이사 순으로 킬.
[171]
렐-탈리야-바루스-신 짜오-스카너 순으로 킬.
[172]
세주아니-트리스타나-럼블-렐-진 순으로 킬.
[173]
펜타킬 달성 당시 바텀 라이너
[174]
직후 탱크로 닉변
[175]
LCK만 계산, LPL 경력을 합하면 23시즌이다. 참고로 데프트는 LPL에서 펜타킬을 2회 기록했다.
[176]
바루스와
카시오페아로 달성.
[177]
카밀,
트리스타나와
카사딘과
카르마로 달성. 카사딘으로는 2번의 펜타킬을 기록했다.
[178]
니달리와
그레이브즈로 달성.
[179]
제리,
바루스,
스몰더와
카이사로 달성. 단 카이사는 AD/AP 하이브리드 빌드였다.
[180]
라이즈와 코르키로 달성
[181]
심지어 솔랭과는 다른 대회의 특성 상, 세나는 대부분 탱커 챔피언과 조합하여 단식 전략을 채용하는 과정에서 원거리 딜러 선수들이 잡는 경우가 대다수기에 서포터들이 세나를 하는 경우는 거의 없다.
[182]
트리스타나 - 브라움 - 럼블 순.
[183]
카직스 - 피즈 순.
[184]
사실 쉴드는 최근에도 8강은 자주 가긴 하지만, 그 이상의 실적을 보여주지 못했기 때문에 하락세가 아니라 그게 원래 실력이라는 평도 있다.
[185]
그래도 MVP 화이트(스프링 당시 MVP 오존)가 스프링에서 우승했기 때문에 다행일 수도 있다.
[186]
물론 실제로 하지는 않았지만, 이 일로 엄청 까였다.
[187]
월즈 4강 팀이었다는 점에서는 부족한 성적인건 맞다. 다만, 소드를 위해 약간의 변명을 하자면 소드가 속한 B조가 롤챔스 역대급 죽음의 조였다는 점, 그리고 탈락을 확정지은 3경기가 소드가 못했다기 보단, 인섹이나 류가 갑자기 미친 폼을 보여주는 바람에 아쉽게도 졌기 때문. 그래도 서머보다 실망스럽지는 않았고 NLB 결승을 가면서 어느정도 체면치레는 했기 때문에 그나마 상황은 낫다.
[188]
썸데이 1번,
나그네 1번,
애로우 2번.
[189]
뱅 1번.
[190]
재미있게도 낭만고의 우승을 저지한 중력쫀나빛삼의 MVP가 바로
같은 크루원인
삼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