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19 19:10:47

특수부대/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특수부대
1. 아시아2. 오세아니아3. 유럽4. 아프리카5. 북아메리카6. 남아메리카


( 위키피디아 영어판, 위키피디아 영어판 (2))

1. 아시아

1.1. 동아시아

1.1.1.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특수부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방부 마크_컬러본.png 대한민국 국군 특수작전부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육군 파일:해군본부 마크(화이트).svg 파일:해군본부 마크.svg 해군
파일:육군특수전사령부 부대마크.svg
육군특수전사령부
파일:해군특수전전단_마크.png
해군 특수전전단
특전
편제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특전
편제
제1특전대대 · 제3특전대대 · 제5특전대대
특임
부대
제13특수임무여단 · 국제평화지원단 특임
부대
폭발물처리대대(EOD) · 선견작전대대

제707특수임무단

특수임무대대
※ 관련 틀: 특수임무부대 | 국가지정 대테러부대 | 특수첩보부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의 특수임무부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육군
특공대( 제2신속대응사단 · 제1산악여단 · 제700/ 701/ 702/ 703/ 705특공연대 · 제2/ 35특수임무대대 · 제1/2강습대대)
정찰대
수색대
기동대
군사경찰 특수임무대
파일:해군본부 마크(화이트).svg 파일:해군본부 마크.svg 해군 파일:대한민국 해병대 마크.svg 해병대
해난구조전대(SSU)
군사경찰 특수임무반
수색대( 특수수색대대)
군사경찰 특수임무대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공군
제259특수임무대대(CCT)
특수탐색구조대대(SART)
군사경찰 특수임무소대
단, 밑줄 친 부대는 2020년 국군의 날 기념식에서 대통령에 의해 국군특수전부대로 소개된 부대
※ 관련 틀: 특수작전부대 | 국가지정 대테러부대 | 특수첩보부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군경의 국가지정 대테러 부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대테러특공대
파일:대한민국 경찰청 문장.svg 경찰청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 육군
경찰특공대 특수전사령부
제707특수임무단
파일:해양경찰청 OI.svg 해양경찰청 파일:해군본부 마크(화이트).svg 파일:해군본부 마크.svg 해군
해양경찰특공대 특수전전단
특수임무대대
화생방테러 특수임무대
파일:화방사_부대마크.png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화생방특수임무단
상기 5개 국가지정 대테러부대 이외의 군 대테러특수임무대 및 대테러 초동조치부대 목록은 문서 참고
※ 관련 틀: 특수작전부대 | 특수임무부대 | 특수첩보부대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국군의 특수첩보부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attachment/국방정보본부/DIA.png 국방정보본부 파일:대한민국 공군 마크.svg 공군
파일:국군정보사령부 부대마크.svg 정보사령부
특수임무대( 육상(HID) / 해상(UDU))
파일:공중기동정찰사령부 부대마크.svg 공중기동정찰사령부
제28비행전대
기타: 과거 북파공작부대
※ 관련 틀: 특수작전부대 | 특수임무부대 | 국가지정 대테러부대 }}}}}}}}}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특수부대 문서
6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2. 일본

1.1.3. 중국

1.1.3.1. 홍콩
1.1.3.2. 마카오

1.1.4. 대만

1.1.5. 북한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조선인민군 특수작전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1.6. 몽골

1.2. 동남아시아

1.2.1. 싱가포르

1.2.2. 말레이시아

1.2.3. 인도네시아

1.2.4. 필리핀

1.2.5. 태국

1.2.6. 베트남

1.2.7. 캄보디아

1.3. 중앙아시아

1.3.1. 우즈베키스탄

1.3.2. 카자흐스탄

1.3.3. 키르기스스탄

1.3.4. 타지키스탄

1.4. 남아시아

1.4.1. 인도

1.4.2. 파키스탄

1.4.3. 방글라데시

1.4.4. 스리랑카

1.4.5. 아프가니스탄

1.4.6.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멸망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이 보유하고 있던 특수부대는 다음과 같다.

1.5. 서아시아

1.5.1. 이란

이들은 부대 명칭에 '타카바르'라는 수식어가 붙는데, 영미권의 코만도에 대응되는 단어다.

1.5.2. 사우디아라비아

1.5.3. 이라크

1.5.4. 아랍에미리트

1.5.5. 시리아

1.5.6. 요르단

1.5.7. 레바논

1.5.8. 쿠웨이트

1.5.9. 오만

1.5.10. 이스라엘

1.5.11. 팔레스타인

2. 오세아니아

2.1. 뉴질랜드

2.2. 호주

3. 유럽

3.1. 서유럽

3.1.1. 영국

3.1.2. 프랑스

3.1.3. 네덜란드

3.1.4. 벨기에

3.1.5. 아일랜드

3.2. 중부유럽

3.2.1. 독일

3.2.2. 폴란드

3.2.3. 오스트리아

3.2.4. 스위스

3.2.5. 체코

3.2.6. 슬로바키아

3.2.7. 헝가리

3.3. 남유럽

3.3.1. 이탈리아

3.3.2. 스페인

3.3.3. 포르투갈

3.3.4. 크로아티아

3.3.5. 그리스

3.3.6. 루마니아

3.3.7. 불가리아

3.3.8. 세르비아

3.3.9. 튀르키예

3.3.10. 바티칸

3.3.11. 안도라

3.4. 북유럽

3.4.1. 스웨덴

3.4.2. 노르웨이

3.4.3. 덴마크

3.4.4. 핀란드

3.4.5. 에스토니아

3.4.6. 라트비아

3.4.7. 리투아니아

3.4.8. 아이슬란드

3.5. 동유럽

3.5.1. 러시아

3.5.2. 우크라이나

3.5.3. 벨라루스

3.5.4. 아르메니아

3.5.5. 아제르바이잔

4. 아프리카

4.1. 나이지리아

4.2. 남아프리카 공화국

4.3. 앙골라

4.4. 알제리

4.5. 에티오피아

4.6. 이집트

4.7. 튀니지

4.8. 콩고민주공화국

5. 북아메리카

5.1. 미국


||<tablebordercolor=#00518f><tablewidth=100%><bgcolor=#00518f> 파일:미국 국기.svg 미군 특수작전부대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미국 합동특수작전사령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JSOC.png
합동특수작전사령부
JSOC / ✯✯✯
]]
<colbgcolor=#fcfaf5,#2d2f34> 파일:1sfod-d_emblem 0.png 1st SFOD-D | 파일:미합중국 해군특수전개발단 마크.svg DEVGRU | 파일:24th_Special_Tactics_Squadron logo.png 24th STS | 파일:정보지원활동대 로고.png ISA
[[미국 육군특수작전사령부|
파일:usasoc_emblem 0.png
육군특수작전사령부
USASOC / ✯✯✯
]]
파일:녹색베레.png 그린 베레 | 파일:75thRR.png 육군 레인저 | 파일:제160특수작전항공연대 엠블럼.svg SOAR
파일:attachment/네이비 씰/US_Navy_SEALs_insignia.png 해군특전단 | 파일:nswg-4_emblem 0.png 제4해군특전단
파일:제24특수작전비행단 마크.png 제24특수작전비행단
파일:msor_emblem 0.png 레이더연대 }}}}}}}}}

5.2. 멕시코

5.3. 바하마

5.4. 캐나다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군 특수작전부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파일:캐나다군 엠블럼.svg 캐나다 국군
파일:캐나다 특수전사령부 문양.png
특수작전전력사령부
SOFCOM
파일:Canadian_Forces_Intelligence_Command.png
정보사령부
INTCOM
티어 1 파일:joint-task-force-2-280.png 제2합동특무부대
Joint Task Force-2
예하
특작부대
파일:FOI_X.jpg 합동특무부대X
Joint Task Force-X
티어 2 파일:Canadian.Special.Operations.Regiment.Badge.jpg 특수작전연대(CSOR), 합동사건반응대(CJIRU)
지원부대 427특수작전비행대대(427 SOAS), 특수작전훈련센터(CSOTC)
}}}}}}}}}

6. 남아메리카

6.1. 브라질

6.2. 아르헨티나

6.3. 칠레

6.4. 콜롬비아


[1] 해군의 사령부급 부대이며, 수색대와 특수수색대대를 제외한 해병대 그 자체는 야전부대이지 특수부대는 아니다. [2] 자위대 최초의 특수부대. 거의 대부분이 EOD(수중처분원/Explosive Ordnance Disposal diver)출신들이다. [3] PLARF Special Operations Group (火箭军特种作战团, 화전군특종작전단) / Sharp Blades Commando Battalion (利刃特种大队, 이도특종대대) [4] 2008 베이징 올림픽을 대비하여 2002년 창설된 대테러부대로, 2006년에 그 존재가 발표되었다. 러시아의 대테러부대에 위탁교육을 받아 창설되었다고 한다. [5] 중화민국 국군의 네이비 씰에 해당하는 부대고, 부대별명도 미 네이비씰처럼 "Frogmen"이다. 예전부터 미 해군 네이비 씰의 BUD/S 과정에 간부를 위탁교육 보내서 BUD/S의 교육과정을 도입하여 그것을 바탕으로 자체 양성과정을 만들었다. BUD/S의 핵심과정에다가 옛날 중화민국 국군 특유의 가혹행위들을 추가시켜서 독특한 교육과정이 되었다. 특히 수료식 직전에 시행하는 자갈밭 구르기가 유명. 그리고 미 육군 그린베레에도 종종 위탁교육을 보내는지, 90년대에 케네디 특수전학교에서 대한민국 육군 특전사의 간부와 함께 미 그린베레 위탁교육을 같이 받은 사례도 있었다. 여기서 '양서'는 수륙양용이란 뜻이고, '정수'는 '정찰'과 동의어이다. 특이하게도 양서정수대대 대원의 절반가량이 대만 원주민들로 이루어져 있다. [6] 수중폭파중대로 한국과 미국의 옛 UDT와 같은 성격의 부대. 원래는 육전대 소속이 아니라 해군 직할의 수중폭파대대로 독립 부대였지만, 2005년에 규모가 축소되면서 육전대의 양서정수대대 예하로 소속이 바뀌었다. [7] Special Task Unit에서 변경. [8] 특수부대가 특수작전군으로 통합되었기 때문에 현재 북한 육군이 보유한 특수부대는 한국의 육군 특공대, 육군 수색대에 대응된다. [9] 필리핀의 제75레인저연대 역할을 맡는 부대이다. [10] 그린 베레 포지션의 부대로 그린베레, SASR과 함께 훈련했다. [11] 그린 베레 CIF특임대가 창설을 도와준 부대로 필리핀의 델타 포스라 불린다. 위의 제1수색레인저연대와 육군 특무연대에서 지원자를 선발한다. [12] 대통령 직속 기관. [13] 대한민국의 대통령경호처 같은 기관. [14] '레드 유닛'이라고 불리는 그 부대다. [15] 현재 탈레반 내에서 가장 정예라고 알려진 부대. 현 아프가니스탄 내무장관 시라줏딘 하카니의 형제 바드룻딘 하카니가 창설한 것으로 알려졌다. [16] 현재는 아프가니스탄 국민 저항 전선에 소속 되어있다. [17] CIA, 미군 특수부대하고 자주 합동 대테러 작전을 펼쳤으며, 대통령 직할이었으며 때로는 CIA의 직접적인 지휘도 받았다고 한다. [18] 2024년 시리아 반군 공세 바샤르 알아사드 정권이 붕괴하면서 해체. [19] 2017년 활동 중단. 군 소속이지만 민간인들로 구성된 일종의 용병단이었다. [20] 특수부대에 관한 사항은 요르단 특수부대 참조. [21] 예비군과 현역이 혼합된 특수부대이다. [22] 21 SAS (Regiment) [23] UKSF 부대들을 대상으로 정보 통신 시스템을 지원하는 부대이다. [24] 제22SAS대대의 항공지원을 전담한다. [25] 영국 육군 소속 해외 파병 군사 고문단이자 전투부대. [26] 여단 내 정보 통신 시스템을 지원한다. [27] 레인저연대가 담당하지 않는 국가들에게 군사 협력과 교육을 제공한다. [28] Marine이라는 단어가 붙어있어 해군 특수부대로 오해할 수 있지만 이들은 육군으로 분류된다. 한국에서는 '제1해병공수연대'로도 알려져 있는데, 프랑스는 해병대가 육군에 있기 때문에 굳이 해병으로 번역해도 꼭 틀렸다고는 할 수 없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영국 육군 공수특전단(SAS)의 지원을 받아 창설된 부대이다. 그래서 '프랑스의 SAS'(French SAS)란 별명으로도 불리며, 실제 조직 구성도 SAS와 유사하다. 부대훈 역시 SAS의 부대훈을 그대로 프랑스어로 번역한 것. [29] 특수전사령부 소속의 특수부대는 아니지만 특수전 교육을 수료하며 여러 특수작전에 동원된다. [30] 제11공수여단 예하. 패스파인더 성격의 부대로 고공강하(HALO/HAHO)를 통한 침투 교육 및 특수정찰, 인질 구출 등의 각종 특수전 교육을 이수하며 해군 코만도에게 위탁교육을 받기도 한다. [31] 제27산악보병여단 예하. 에어로프, 패러글라이딩, 암벽등반, 빙벽등반, 스키 등을 이용해 산악에서 정보수집 작전을 수행하며 인질 구출 등 다양한 특수교육을 받는다. [32] 육군 공병부대 예하. 낙하산 및 스쿠버 다이버를 통한 수중폭파에 특화된 코만도이다. [33] 육군 보병부대 예하. 정찰, 직접타격등을 수행하며 ATV, 카누 등의 침투수단을 갖추고 있다. [34] 제21해양보병연대 예하. 상술한 SAED를 해양보병연대의 특징에 맞게 바꾼 부대로 상륙전에 특화되어 있다. [35] 제7기갑여단 예하, GAE-B, SGR-C로 구성되어 정찰 및 공항, 교두보, 전망대 등의 지역 확보, 직접타격 등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36] 공군 특수부대로, 미 공군의 CCT 임무(항공기/항공폭격 유도 및 강하/항공기 관제)와 PJ(탐색구조작전) 임무를 같이 수행하는 부대이다. [37] 2013년에 UIM과 MSO를 합쳐서 개편 [38] 공수부대와 특수부대 담당 [39] 부대명에서 알 수 있듯이 주로 산악전투, 강습돌파작전를 수행하는 레인저부대이다. [40] 콤수빈. 긴 말 필요 없이 해군 특수작전의 원조이다. 선상작전을 포함한 해상작전에도 무시못할 부대이기는 하지만, 잠수부대라고 인식할 만큼 프랑스의 해군 코만도(FORFUSCO)와 함께 수중침투작전에 매우 능한 특수부대이다. 이탈리아는 무려 제1차 세계 대전때 잠수부대를 양성했고, 1차 2차 대전 모두 인간어뢰로 전함을 격침한 바가 있다. 수중침투 및 파괴공작의 개념 및 전술을 확립했고 그리고 이 부대들은 종전후에 해체하고 1952년도에 다시 뭉쳤는데 이 부대가 바로 콤수빈이다. 냉전시절에는 유고슬라비아 알바니아를 포함한 공산국가들을 상대로 침투작전을 수행했다, 해난구조 및 해상장애물 개척, 폭파 임무를 수행하는 GOS와 대테러 및 특수작전을 수행하는 GOI로 구성되어있다. [41] 해상대테러 및 해안타격, 특수전 수행 [42] 하기 부대외에 9공수강습연대, 185공수정찰연대, 4산악공수연대도 특수전 사령부 휘하이다. [43] 특수수사부서로 마피아 및 테러단체를 대상으로 잠입수사를 하는 부서이다. [44] Special Operations Unit(UOE, Unidad de Operaciones Especiales)과 Special Combat Divers Unit(UEBC)을 통합하여 창설. [45] 육군 제1강습공정여단 소속. [46] 신속대응사단. [47] 미군으로 비유하면 쉽게 말해 노르웨이판 ASOC 같은 존재다. 원래는 노르웨이군이 1982년 북해의 자국산 유전들을 테러리스트들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만들어졌던, 노르웨이판 델타 포스 같은 부대였는데, 밑에 있던 같은 육군의 Hærens Jegerkommando(HSK)와 2006년 통합되어 FSK/HJK가 되었다. 이후 FSK는 실제 작전을, HJK는 훈련을 담당하는 형식으로 2014년까지 유지되다가 HJK가 SAS의 21연대처럼 병력 충원, 양성 및 지원 부대처럼 되자 2014년부터는 아예 HJK를 이름에서 없에고 FSK만 남게 되었다.HJK 지못미 메달 오브 아너: 워파이터에서 FSK/HJK라는 이름으로 등장하는데, 이름에서 HJK가 사라지기 2년 전인 2012년에 발매된 탓인 듯하다. [48] 노르웨이군은 공식적으로 이 부대의 뿌리를 (배틀필드 V의 싱글에서 다룬 바 있는)2차대전 당시의 노르웨이 중수 사건에서 영국 정보부 SOE 산하에서 활약한 노르웨이 코만도 레지스탕스인 Norwegian Independent Company 1에서 찾고 있는데, 사실상 2차대전과 한국전쟁, 베트남전의 레인저 부대들과 현재의 제75레인저연대와의 연관성 급의 관계이므로 그냥 역사와 정통성을 최대한 늘리기 위한 꼼수라고 볼 수 있다. [49] 이분들 은근히 무섭다. 실력으로만 따진다면 그 천하의 네이비 씰도 한수 접는다고... [50] 이제는 사라진 노르웨이의 특수부대. 월드 인 컨플릭트 Beyond the Iron Curtain Lair of the Bear에서 나오는 노르웨이 레인저 부대가 바로 이들이다. 1962년 창설된 노르웨이의 특수부대로써, 전형적인 LRRP(Long Range Recon Patrol, 장거리 정찰 순찰대) 유형의 특수부대였다. 이들은 노르웨이와 소련의 국경지대를 침투하여 국경 인근의 소련군 관련 지역들에 관한 정찰, 유사시 타격 공작을 맡았다. 이후 1982년 노르웨이에서 대테러작전을 염두에 두고 만들어진 FSK와 2006년 통합, FSK/HJK라는 이름으로 운영되다가 2014년 이후로는 아예 FSK에 완벽히 흡수 통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51] 외국의 특수부대 출신을 모아 만든 부대로 이근의 팀이 소속되어 있던 곳이다. [52] 서아프리카에서 몇 안되는 영국령 식민지였던 나라라 영국 SBS에 많은 영향을 받았다. [53] 기존의 경찰특수부대였던 FSARS(Federal Special Anti-Robbery Squad)이 순찰 및 작전 중 잔혹행위를 일삼아 시민들이 이들에게 큰 반감을 품자 결국 이들의 활동을 중지시킨 뒤 해체하여 스왓을 새로 창설했고, 발족 당시 기존 FSARS 대원들은 받지 않았다. [54] 명목상 소속. 실질적인 지휘는 대통령과 관계자들이 지휘한다. [55] 창설 시의 원래 이름이고, 그 후 CAG(Combat Applications Group)를 거쳐서 현재는 ACE(Army Compartmented Elements)라고 개칭되었다는 설이 유력하다. 부대 측에서는 이런 부대명에 대해 공식적으로 인정도 부인도 하지 않고 있어서 이것도 어디까지나 '카더라'일 뿐이다. [56] Development Group의 DevGru를 합친 약칭인 DEVGRU(데브그루)로 흔히 알려져 있는 부대. 1980년 리처드 마친코 해군 중령에 의해 대테러부대인 SEAL 6팀으로 창설되었다. 이후 1987년 부대가 해체된 뒤 같은 해 DEVGRU로 재창설되었다. [57] Green Berets(그린 베레)라는 별칭으로 유명한 부대이다. [58] 前 공수특전단(Special Forces Airmobile Group / GAFE, Grupo Aeromóvil de Fuerzas Especiales). 일부가 로스 세타스라는 마약 카르텔 조직이 되었다. [59] 바하마 해군의 육전대. 바하마 왕립군은 육/공군이 없고 해군만 보유하고 있다. 병력은 500명 정도로 미국 네이비 씰, 영국 해병대의 포지션이라고 보면 된다. [60] 캐나다의 제75레인저연대로 보면 된다. 취급이나 인식이, 캐나다 국민도 JTF2는 알아도 CSOR까지는 잘 모른다. 그래도 하는 건 제75레인저연대와 동일하다. 후술하겠지만 아프리카에 주둔하는데 이는 대민지원도 하는 겸 훈련을 위해서이다. JTF 2 보다 늦게 창설됐는데 인종차별 문제로 없어진 전 공수부대를 대체하고 있다. 선발 이후 의무로 아프리카에서 훈련 및 복무하는 것이 특징이다. 선발 조건은 JTF 2와 거의 동일하나 더 구체적이다. [61] 휴민트 임무를 수행하는 캐나다군의 특수부대. [62] SERT를 대체한 연방 내 대테러 임무 팀 [a] 신속전개부대(Rapid Deployment Force) [a] 신속전개부대(Rapid Deployment Force) [a] 신속전개부대(Rapid Deployment Force) [a] 신속전개부대(Rapid Deployment Force) [a] 신속전개부대(Rapid Deployment Force) [a] 신속전개부대(Rapid Deployment Fo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