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징명칭(비호)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비호부대 문서 참고하십시오.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부대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
특수전사령부 본부 | |||||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
제13특수임무여단 | 제707특수임무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작전항공단 | 특수전학교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
제3공수특전여단 第三空輸特戰旅團 The 3rd Special Forces Brigade (Airborne) |
||||||
창설일 |
<colbgcolor=#ffffff,#191919>
1969년
1월 18일(제1유격여단) 1972년 9월 10일(제3공수특전여단) |
|||||
상징명칭 | 비호부대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육군특수전사령부 | |||||
규모 | 여단 | |||||
역할 | 특수전 | |||||
여단장 | 준장 김정근 (육사 52기) | |||||
위치 | 경기도 이천시 마장면 | |||||
[clearfix]
1. 개요
|
미합중국 육군 그린베레 제1특전단과 연합 훈련 중인 제3공수특전여단 대원 |
2. 역사
1969년 1월 18일 동해안경비사령부 예하 제1유격여단으로 창설되었으며, 1969년 8월 18일 육군특수전사령부가 창설되면서 육군특수전사령부 예하로 배속되었고, 1972년 9월 10일 제3공수특전여단으로 개칭되었다.1996년 강릉 무장공비 침투사건 당시 침투한 무장공비 6명을 사살하는 전과를 올린 부대이기도 하다. 대간첩 작전 도중 은폐해있던 적에게 기습 공격을 받아 대원 한 명이 전사하기도 했으나[1], 마지막 남은 공비 2명을 사살하여 49일간의 대간첩 작전을 종결시키는 성과를 거두었다.
3. 편제
제3공수특전여단 편제 | |||||||
대대 | 직할대 | ||||||
11대대 | 12대대 | 13대대 | 15대대 | 특임대 | 본부대 | 정통대 | 장정대 |
1·2·3 지역대 | 4·5·6 지역대 | 7·8·9 지역대 | 10·11·12지역대 | 1중대 ~ 5중대 | · | ||
지역대별 5개 중대[2][3] | · |
3.1. 여단 직할대
- 본부대
- 정보통신대
- 장비정비대
- 특수임무대
3.2. 제11특전대대
건군 제75주년 국군의 날 기념식/시가행진 당시 숭례문~광화문 광장 거리를 행진했다.3.3. 제12특전대대
3.4. 제13특전대대
3.5. 제15특전대대
4. 출신인물
4.1. 여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여단장. |
역대 제3공수특전여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예) 준장 | 前 여단장 | |||
5대 | 최세창 | 예) 대장 | 육사 13기 | 前 합동참모의장, 제3야전군사령관 | 前 국방부장관 |
6대 | 장세동 | 예) 중장 | 육사 16기 | 前 대통령경호실장 | 前 국가안전기획부장 |
17대 | 이영계 | 예)중장 | 육사 30기 | 前9사단장, 교육사령관 | |
18대 | 김형수 | 예)준장 | 육사 31기 | 前합참 점검관 | |
19대 | 정승조 | 예) 대장 | 육사 32기 | 前 합동참모의장, 한미연합군사령부 부사령관, 제1야전군사령관 | |
20대 | 최용림 | 예) 중장 | 육사 33기 | 前 육군특수전사령관, 국방부 특별검열단장, 제53보병사단장 | |
25대 | 구홍모 | 예) 중장 | 육사 40기 | 前 수도방위사령관 | |
26대 | 양철호 | 예) 준장 | 육사 38기 | 前 합동참모본부 작전본부 작전1처장, 여단장 | 現 청주대학교 군사학과장 |
27대 | 서진욱 | 예) 준장 | 육사 39기 | 前 국방정신전력원장 | |
28대 | 성일 | 예) 소장 | 육사 43기 | 現 방위사업청 기반전력사업본부장 | |
29대 | 강신화 | 예) 준장 | 3사 21기 | 前 특수전학교장 | |
30대 | 김홍만 | 예) 준장 | 학군 25기[4] | 前 제60보병사단장 | [5] |
31대 | 이준철 | 예) 대령 | 학군 23기 | 前 여단장 | [6] |
32대 | 이근표 | 예) 준장 | 육사 44기 | 前 여단장 | 前 특수전학교장 |
33대 | 김진익 | 소장 | 육사 49기 | 前 여단장 | |
34대 | 김종탁 | 준장 | 학군 31기[7] | 前 여단장, 現 제7공수특전여단장 | |
35대 | 여인웅 | 준장 | 육사 48기 | 前 여단장, 現 제66보병사단장 | |
36대 | 김정근 | 준장 | 육사 52기 | 現 여단장 |
4.2. 장교/부사관
-
김현동
3공수특전여단에서 하사로 복무, 전역 했다.
4.3. 병
-
원창묵 - 민선 5·6·7기 강원특별자치도 원주시장
1983년 7월 29일 입대, 특전병(특전화기 특기) 복무, 1985년 10월 24일 병장 만기전역.
-
정장선 - 제16·17·18대 국회의원, 민선 7·8기 경기도 평택시장
1981년 2월 16일 입대, 일반행정병, 1983년 4월 21일 병장 만기전역.
5. 기타
5.1. 근무환경
5.2. 부대가
번개같이 날센 기상 비호용사들
하늘과 산과 바다 주름잡는다
검은 베레 우리 앞에 누가 맞서랴
비호가 가는 곳엔 승리뿐이다
굳세게 뭉쳐서 싸워 이기자
무적의 비호부대 공수특전3여단
두 눈을 번쩍이는 비호용사들
불길같은 기백에 산천도 떤다
험한 준령 가시밭길 헤쳐나가는
승리만을 자랑하는 불굴의 용사
굳세게 뭉쳐서 싸워 이기자
무적의 비호부대 공수특전3여단
제3공수특전여단가
하늘과 산과 바다 주름잡는다
검은 베레 우리 앞에 누가 맞서랴
비호가 가는 곳엔 승리뿐이다
굳세게 뭉쳐서 싸워 이기자
무적의 비호부대 공수특전3여단
두 눈을 번쩍이는 비호용사들
불길같은 기백에 산천도 떤다
험한 준령 가시밭길 헤쳐나가는
승리만을 자랑하는 불굴의 용사
굳세게 뭉쳐서 싸워 이기자
무적의 비호부대 공수특전3여단
제3공수특전여단가
5.3. 부대영상
6. 사건사고
6.1. 부마민주항쟁
10.18 계엄령 선포와 동시에 대규모 공수작전을 통해 제1공수특전여단이랑 제5공수특전여단과 같이 부산으로 진입했다. 그 과정에서 진압봉으로 주로 시위대의 머리를 가격하여 200여 명의 중상자가 발생시키면서 10.16 발발한 부마민주항쟁을 단 이틀만에 제압했다. 그리고 이때의 진압 작전은 타 공수특전여단에 전수된다.6.2. 12.12 군사반란
당시 여단장이었던 최세창의 명령으로 예하 제15특전대대장 박종규 중령 주도하에 자신들의 상관인 육군특수전사령관 정병주 소장을 체포했다. 이 과정에서 정병주 사령관을 호위하던 김오랑 비서실장이 반란군의 총격으로 숨졌다.[8]6.3.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제7공수특전여단, 제11공수특전여단과 함께 유혈진압을 저질렀다. 특히 광주광역시 바깥 교외로 철수한 이후에도 무차별 학살까지 저질렀다. 자세한 내용은 육군특수전사령부/흑역사, 5.18 민주화운동/학살, 광주교도소 습격 조작 사건 문서 참고.6.4.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가담
2024년 12월 3일 윤석열 정부 비상계엄 선포 직후 6분만인 22시 30분 3공수는 김용현 전 국방장관의 지시로 과천 B-1벙커 선발대에 투입됨과 동시에 3공수대원 편의대 10여 명이 수도방위사령부 소속 군사경찰단(수도방위사령부) 특임대, 국군방첩사령부, 정보사령부, 정보사령부 특임대/육상 병력과 함께 헌정 사상 최초로 헌법 기관인 경기도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청사로 불법 진입했다.[9] 계엄 선포 이후 가장 빠른 투입으로 알려졌다. 같은 날 23시 40분 국회에 진입한 계엄군 보다 1시간 빨랐으며 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 계엄사령관으로 임명된 23시 25분 보다도 빨리 투입되었다는 것이다. 중앙선관위 청사 진입 이후 3공수는 당직자 5명의 휴대폰을 빼앗고 출입을 제한시켰다. 계엄군은 선관위 과천청사 내 정보관리국 산하 통합관제센터에도 진입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후 제9공수특전여단이 순차적으로 투입되어 공수부대원이 무려 120명에 달했다. 또 방첩사 병력 중에는 IT 전문인 정보보호단 소속 인력들이 포함되어 있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 같이 투입된 경찰 병력도 100명으로 알려졌다.7. 여담
- 본래 서울특별시 송파구 거여동, 마천동 일대인 남한산성 입구쪽에 자리잡고 있었으나 위례신도시 개발에 따라 2016년에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했다.[10] 아파트 이름은 비호 아파트, 바로 옆은 사자 아파트 였다.[11] 단지 자체가 꽤 많이 컸었다. 거여동, 거여2동, 마천동의 상권에 큰 영향력이 있었다.
- 육군특수전사령부 본청이 서울특별시 송파구 거여동에 있던 시절부터, #경기도 이천시로 이전한 지금까지 언제나 본청과 함께 주둔하던 부대이다. 상기한 12.12 군사반란 이후 박희도가 육군특수전사령관을 맡으며 자신을 경호할 목적으로 처음 만든 제707특수임무대대도 제3공수특전여단과 마찬가지로 언제나 본청과 함께 주둔한다.
- 무인도 이야기 3에서 시노하라 타쿠미(신강민)의 소속부대가 이 곳으로 로컬라이징 되었다.
- 대한민국에서 국민에게 총칼을 겨눈 횟수가 가장 많은 부대이다. 타 특수전여단과 비교해도 압도적 수치.
8.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지상작전사령부 | ||
화력여단 · 정보통신여단 · 특수기동지원여단 · 지상정보여단 | |||
수도포병여단 | |||
I | 제1포병여단 · 제2기갑여단 · 제30기갑여단 · 제1공병여단 · 제1군수지원여단 | ||
II | 제2포병여단 · 제3기갑여단 · 제2공병여단 · 제2군수지원여단 | ||
III | 제3포병여단 · 제20기갑여단 · 제3공병여단 · 제3군수지원여단 · 제1산악여단 · 제23경비여단 · 제102기갑여단 | ||
V | 제5포병여단 · 제1기갑여단 · 제5기갑여단 · 제5공병여단 · 제5군수지원여단 | ||
VII | 제7포병여단 · 제7공병여단 | ||
육군본부 직할부대 | |||
수방사 | 제1방공여단 | ||
항공사 | 제1전투항공여단 · 제2전투항공여단 · 항공정비여단 | ||
특전사 |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제13특수임무여단 | ||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여단 · 여단 | 해체된 독립여단 · 해체된 여단 |
파일:국방부 마크_컬러본.png 대한민국 국군의 특수작전부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육군 | 해군 | ||
육군특수전사령부 |
해군 특수전전단 |
|||
특전 편제 |
제1공수특전여단 ·
제3공수특전여단 ·
제7공수특전여단 · 제9공수특전여단 · 제11공수특전여단 |
특전 편제 |
제1특전대대 · 제3특전대대 · 제5특전대대 | |
특임 부대 |
제13특수임무여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임 부대 |
폭발물처리대대(EOD) · 선견작전대대 | |
제707특수임무단 |
특수임무대대 |
|||
※ 관련 틀: 특수임무부대 | 국가지정 대테러부대 | 특수첩보부대 | }}}}}}}}} |
[1]
전사한 특전사 요원은 이병희 상사(추서계급)로 1971년 영월군에서 출생하여 1992년 특전하사관 후보생 86기로 임용됐다. 결혼상대자를 소개받기 위한 저녁식사에 초대받은 중에 칠성산 작전에 투입됐고 수색작전을 하던 중 바위에 은폐하고 있던 간첩에게 기습사격을 받았다. 즉각 대응사격을 하였으나 적의 조준사격에 두부관통상을 당했다. 쓰러지면서도 반사적으로 적을 향해 5발의 대응사격을 했으며 1996년 9월 21일 전사했다.
[2]
중대는 일반적으로 장교 2명, 부사관 10명 총 12명으로 구성된다.
[3]
장교: 중대장(대위), 부중대장(소위~중위) / 부사관: 주특기별 2명씩 총 10명 (정작2, 화기2, 폭파2, 의무2, 통신2명). 간혹 주특기 인원이 3명인 경우도 있다.
[4]
계명대학교
[5]
~2018.05.31
[6]
2018.05.31~
[7]
안동대학교
[8]
당시
소령이었다가 전사 후
중령으로 추서되었다.
[9]
같은 시각 서울 관악구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청사에 47명, 경기 수원 선거연수원에 130명의 계엄군이 들이닥쳤는데 소속은 밝혀지지는 않았다.
[10]
2018년 11월 현재 군부대 자리였던 곳은 군인 아파트를 끝으로 철거가 완료되고 위례신도시 분양에 들어가는 중이다. 다만 인근 버스정류장 이름은 여전히 옛 명칭인 군인 아파트 이름을 계속 사용 중이다.
[11]
제3공수특전여단의
상징명칭이 '비호부대'이며,
육군특수전사령부의 상징명칭은 '사자부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