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해군 관련 틀
|
|||||||||||||||||||||||||||||||||||||||
|
<colbgcolor=#fff> 이란 이슬람 공화국 해군 نیروی دریایی ارتش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 Islamic Republic of Iran Navy(IRIN) |
||
깃발 | 엠블럼 | |
창설일 |
기원전 525년 1885년[1] 1932년 11월 5일[2] 1979년 2월 11일[3] |
|
소속 | 이란군 | |
본부 | 이란 반다르압바스[4] | |
병력 | 약 18,000명 (2020년 추정치) | |
지휘체계 | 라흐바르 | |
총참모장[5] | ||
공화국군 총사령관[6] | ||
공화국 해군사령관[7] | ||
해군사령관 | 호세인 한자디 준장 | |
참전 |
페르시아 침공 이란-이라크 전쟁 |
해상 기동 훈련중인 이란 해군 군함 |
1. 개요
서아시아의 지역강국 이란의 해양방위를 하는 2개의 군사집단 중 하나이다(나머지 하나는 혁명수비대 해군). 이란의 앞바다인 페르시아 만과 오만 만 뿐만 아니라 홍해 및 지중해에서도 활동한다. 혁명수비대 해군과는 해군이라는 틀에서 겹치지만 이란 해군은 호위함, 초계함, 잠수함으로 대표되는 대형 함들로 구성되나, 혁명수비대 해군은 고속정 등의 연안 방위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구분된다.이란 해군은 전형적인 연안해군으로 북한과 상황이 동일하다. 현대 해전에 쓸만한 주력함은 한척도 없고 2,000t 이하급의 함선들로만 이루어져 있는 상황이다. 대만 해군이 보유중인 키드급 구축함들은 원래 팔라비 왕조 시절 이란이 도입하려 했던 함정들이지만 이란에 이슬람 혁명이 일어나 반미 원리주의 공화정이 성립되면서 미국 해군으로 넘겨졌다가 신형 알레이버크급 구축함 도입으로 퇴역, 타국으로 매각된 케이스이다.
쓸만한 전력으로는 3척의 킬로급 잠수함이며 타국, 특히 미국 해군에 있어 대 이란전시 실질적인 위험으로 받아들여지는 것도 이 킬로급 잠수함 3척뿐이다.
이란은 미국과 뭔가 분쟁만 일어나면 호르무즈 해협 봉쇄라는 카드로 미국을 협박하지만 한 번도 실행한 적은 없고 미국은 심각하게 받아들인 적이 없다. 호르무즈 해협이야 워낙 좁아서 잠수함 한 척만으로도 봉쇄가 가능하지만 봉쇄를 해버릴 경우 이곳을 이용하는 세계 군사력 10위권의 국가들에게 큰 경제적 손실을 끼쳐서 그들의 분노를 사게되어 이라크 꼴이 날 것이 뻔하기 때문이다. 이란을 싫어하는 미국한테 침공할 좋은 명분을 제공하는 데다[8] 전쟁을 벌이면 완전히 패배당할 것이 뻔해서 말로만 하지 실행안하는 것이다. 당장에 사이 나쁜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를 공격안하는 것을 보면된다. 이 국가들과 전쟁한다는 것 자체가 미국과의 전쟁이나 다름없다. 전쟁 터질 경우 이란을 싫어하는 주변국들(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 바레인, UAE, 쿠웨이트, 이집트, 요르단 등)이 미국편이 될거 뻔해서 이란이 불리하고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미국, 이스라엘만큼 이란과 적대적이라서 사우디 영토에 이란군 전투기가 영공을 침범하여 사우디군 전투기가 출동해 격전을 치른 적이 몇 번 있다.
2010년대 들어서는 비대칭 전력인 잠수함 전력 건설에 올인하고 있다. 북한의 연어급 공격잠수정을 면허생산한 가디르급 잠수정을 다수 건조하고 있고, 보유한 킬로급을 역설계한 1,500톤급 카엠급 잠수함을 현재 건조 중이다. 2017년에는 6월에 중국 해군과 함께 호르무즈 해협에서 연합 훈련을 했다.
1.1. 역사
공식적으로 이란 해군에선 창설일을 아케메네스 시절로 잡아 기원전 525년부터 2500년간의 역사를 이어왔다고 주장하지만, 그렇게 따지면 전세계 해군 대부분이 수백년, 수천년 역사를 자랑하게 되므로, 여기서는 근대 이란 해군의 시작인 1885년부터 설명한다.이란 최초의 철갑함 페르세폴리스 함 |
카자르 왕조 시절 이란은 근대 해군 건설을 위하여 독일에 새로운 군함을 주문하였고 이 군함이 바로 이란 해군 최초의 철갑함인 페르세폴리스함이다. 이후 1925년 퇴역할때까지 이란이 보유한 가장 큰 군함이였다.
페르세폴리스가 퇴역하던 그 해는 또 이란 역사 상 빼놓을 수 없는 해였는데, 바로 카자르 왕조가 무너지고 레자 샤 팔라비가 왕위에 올라 팔라비 왕조가 개창된 해였기 때문이다.
카자르 왕조가 말년에 이란을 크게 망쳐놓은 탓에 그 시절 이란은 혼란 그 자체였으나, 새로이 개창된 왕조 아래에서 해군을 비롯하여 각 분야에서 근대화에 박차를 올리던 차에...
제2차 세계 대전이 발발하였고, 이란은 일단 중립을 선포했다. 그러나 이란을 통한 보급로 확보와 오랜 반영정서로 인해 친독으로 기울기 쉬웠던 이란을 길들이기 위해 영국과 소련이 침공했다. 한 달 가량의 짧은 전투의 결과로 많은 함정이 격침되거나 복구가 불가할 정도로 대파되었다.
이후 전쟁이 끝나고 친미국가로 탈바꿈한 이란은 영-소 침공 시 파괴된 군함을 매꾸기 위해 미국과 영국에서 구축함과 호위함 및 고속정, 공기부양정을 대대적으로 도입했다. 이 중 일부는 페르시아 침공 시 자국 군함을 때려 부순 바로 그 군함이였다고 한다.
1970년대에 이르러 해군력을 대대적으로 증강한 이란은[9] 활동반경을 인도양까지 넓혀 대양해군으로서 나아가려는 장대한 목표를 세웠다. 하지만 이란 혁명으로 인하여 정국은 혼란스러워 졌고 대양해군의 꿈은 물거품이 된다.
1980년대 미국-이란 관계가 극단으로 치달음에 따라 미 해군에게 알반드급 호위함 IRIS 샤힌드가 1척 침몰당했다. 그 외에도 고속정 2척이 격파되었다.
시간이 지나 2020년대에 이르도록 여전히 핵개발 이슈 등으로 인해 이란과 국제사회, 특히 미국과의 사이가 좋아지긴 요원하고 핵무기 개발까지 단행하는 통에 이란에 대한 금수조치는 여전히 서슬퍼런 탓에 이란 해군의 운용장비는 주로 왕조 시절에 도입한 서방제 군함 또는 그 서방제 군함을 개조한 군함, 그 군함을 토대로 설계한 군함들이다.
미국을 비롯해 유럽 등 서방국가로 부터 무기도입선이 끊긴 이래, 반미로 대동단결한 국가들인 러시아 및 중국, 북한제 함정들을 수입하여 운용중이다.
2. 수뇌부
라흐바르 | 총참모장 | 공화국군 총사령관 | 해군사령관 |
알리 하메네이 | 모하마드 바게리 | 압둘라힘 무사비 | 호세인 한자디 |
3. 편제
함대 예하의 편제단위인 منطقه یک를 직역하자면 지역대 내지 관구가 되지만, 이해를 돕고자 대한민국 해군의 동급단위인 전단으로 기재한다.3.1. 남부 함대
이란 남부의 바다, 즉, 페르시아만-오만 만- 아라비아 해- 인도양을 관할한다. 함대사령관에는 2등준장이 보임된다. 우리 대한민국 해군의 제2함대와 맞먹는 이란의 가장 중요한 지역을 담당하는 부대이니만큼 사령부는 반다르 압바스에 위치한다. 원래는 테헤란에 있던 해군본부 또한 "본부가 작전지역과 멀리 떨어져 있는건 말이 안된다"는 높은 양반의 뜻으로 이곳으로 이전하여 본부와 한솥밥을 먹고 있다.3.1.1. 제1전구
호르무즈 해협을 관할한다. 전구본부는 역시 함대사령부가 위치한 반다르 압바스. 전단장에는 역시 2등준장이 보임된다.3.1.2. 제2전구
2007년 이전에는 중부 페르시아 만을 관할하였고 당시 전구본부는 이란 남서부의 항구도시 부셰르였다. 2007년 이후 개편 때 오만 만 연안의 자스크로 이전하고 관할 영역도 서부 오만 만으로 바뀌었다.3.1.3. 제3전구
2007년 이전에는 북부 페르시아 만을 관할하였고, 전구본부는 이라크 국경 부근의 반다르 마샤르였다. 개편 이후 오만 만 동부의 항구도시 코나락으로 이전하였고, 관할 영역도 역시 동부 오만 만으로 바뀌었다.3.2. 북부함대(제4전구)
카스피 해를 담당하며 예하에 하나의 전구만을 두고 있으나 여타 교육부대를 두고 있어 남부함대와 견주어봐도 규모면에서 꿀리진 않는다. 또한 함대사령관은 4전단장을 겸임한다. 함대사령부는 카스피 해 연안의 반다르 에안 잘리. 여기까지 읽으면 페르시아 만의 편제가 비게 되는데 호르무즈 해협 안쪽 페르시아 만은 혁명수비대 해군이 관할한다.3.2.1. 해군사관학교
노샤르 이맘 호메이니 해군사관학교 교표 |
1980년 개교한 이란의 해군사관학교로 여느 사관학교와 마찬가지로 졸업과 동시에 해군 소위로 임관한다. 교장은 이등준장이 보임되며 현 교장은 코다드 하키미 이등준장이다. 위치는 카스피 해와 맞닿은 이란 마잔다란 주 노샤르 시다.
혁명수비대 해군 장교는 별도의 혁명수비대 사관학교에서 양성·임관한다.
3.2.2. 만질해양훈련원
이란 해군 특공대의 양성을 담당하는 교육부대로 우리 대한민국 해군의 해군 특수전전단과 그 기능이 유사하다. 위치는 이란 만질시.3.2.3. 라슈트 해군 병과 훈련소
라슈트 해군 병과 훈련소 부대마크 |
3.2.4. 아스타라 기지사령부
아제르바이잔 국경에 맞닿은 도시로, 아제르바이잔에도 같은 이름의 도시가 존재한다. 이란과 아제르바이잔과의 해상국경을 넘어오는 선박을 통제한다.4. 해군력
현대의 이란 해군 함정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99cc99,#336633> 잠수정 | 나항급, 유고급, 가디르급 | ||
잠수함 | 코우세R, 타레크급, 파테급, { 베사트급} | |||
고속정 | 아자르급R, 고하르급R, 아자라크쉬급, 자파르급, 쿠거급, 페이카프 I~III급, 시나급, 카이반급, 파르빈급, 카만급, 톤다르급 | |||
초계함 | 함제, 바얀도르급 | |||
호위함 | 바브르R, 알반드급, 모제급 | |||
구축함 |
다마반드R,
바브르급R, |
|||
상륙함 | 호르무즈-24급, 헨감급, 카르발라급 | |||
항공모함 | 샤히드 로우다키 | |||
공기부양정 | 톤다르급, BH.7급 | |||
군수지원함 | 칸간급, 반다르압바스급, 올급, 마크란급 | |||
소해함 | 팔랑R, 샤힌급 | |||
※ 윗첨자R : 퇴역 함선 ※ {중괄호} : 도입 예정 함선 ※ *: 테스트용으로만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란군의 운용장비 | 해상병기 | }}}}}}}}} |
4.1. 수상함
4.1.1. 전투함
4.1.1.1. 항공모함
4.1.1.1.1. 샤히드 로우다키급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샤히드 로우다키급 항공모함 | 샤히드 로우다키 | 2020년 11월 |
이란 이슬람 혁명 수비대는 전차상륙함을 개조한 '샤히드 로우다키급' 항공모함
주요 무장은 미국제 SM-1 함대공 미사일을 개조한 코다드-3 함대공 미사일과 헬기, 고속정과 드론들이며, 기관포나 기관총 등이 설치되었으며, 사실상의 '무인기 모함'으로 운용하고 있다.
4.1.1.1.2. 샤히드 바만 바게리급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샤히드 바만 바게리급 항공모함 | 샤히드 바만 바게리 | 불명 | 건조 중 |
샤히드 마흐다비 | 불명 | 건조 중 |
이란 이슬람 혁명 수비대의 건조 중인 신형 항공모함이자 무인기 모함으로, 현대중공업에서 건조한 상업용 컨테이너선을 개조한 함선이다. 비행용 갑판과 스키점프대의 존재 등 기존의 샤히드 로우다키급과 비교해서 함형이 항공모함에 더 가까워졌으므로 소형 무인기를 넘어 고정익이나 수직이착륙 무인기, 그리고 회전익기의 운용이 가능할 것으로 추정된다.
4.1.1.2. 구축함
4.1.1.2.1. 할리지에 파르스급
할리지에 파르스급 구축함 모형 | |||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할리지에파르스급 구축함 | 할리지에 파르스급 | 2025년 | 건조중 |
배수량 | 경하 | 6500t |
만재 | 7500t | |
길이 | 154.0m | |
폭 | 18.0m | |
흘수[10] | 5.0m | |
최대속력 | 25Knot | |
항속거리 | 14,816km | |
승조원 | 180여 명 + 훈련요원 230명 | |
추진체계 | 추진방식 | CODAG |
가스터빈 엔진 | 가스터빈 ×2 | |
디젤 엔진 | 디젤엔진 ×2 | |
무장 | 주포 | 파즈르-27 함포 ×1 |
부포 |
오리콘 대공포 ×2 20mm 기관포 ×2 81mm 박격포 ×2 50구경 기관총 ×2 |
|
대함 미사일 | 누르 대함미사일 ×8 | |
대공 미사일 | 사야드-2 대공미사일 ×4 | |
헬기 탑재 | Aceh-3 시킹 2대 탑재가능 |
2025년 취역 예정인 이란 해군의 차기 주력함이자 기함이 될 함급으로 함급명인 할리지 에 파르스(موشک خلیج فارس)는 페르시아어로 페르시아 만을 뜻한다. 이란 해군이 외국 군함을 역설계하거나 복제한 것이 아닌 순수하게 자국의 기술만으로 건조한 최초의 군함이다. 때문에 미래의 이란 해군의 주축이 될 신참장교들 및 사병들의 훈련함으로도 사용할 예정으로 훈련인원들을 위한 공간도 마련되어 있다.
4.1.1.3. 호위함
4.1.1.3.1. 알반드급
- 자세한 내용은 알반드급 호위함 문서로
4.1.1.3.2. 모제급
- 자세한 내용은 모제급 호위함 문서로
4.1.1.4. 초계함
4.1.1.4.1. 바얀도르급
큰 배 옆에 붙어있는 작은 배가 바얀도르급 초계함이다. 큰배는 미 해군의 딕시급 구축함모함 3번함 피드몬트함 (AD-17) | |||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바얀도르급 초계함 | 바얀도르(Bayandor)(81) | 1963년 | 현역 |
나그디(Naghdi)(82) | |||
밀라니안(Milanian)(83) | 1968년 | 이란-이라크 전쟁 중 침몰 | |
카흐나모이에(Kahnamoie)(84) |
배수량 | 경하 | 900t |
만재 | 1,135t | |
길이 | 84m | |
폭 | 10.1m | |
흘수 | 3.1m | |
최대속력 | 20Knot | |
항속거리 | 8,100km | |
승조원 | 140명 | |
디젤 엔진 | 페어뱅크스 모스 38TD8 디젤 2축 엔진 ×2 | |
무장 | 주포 | 파즈르-27 함포 ×1 |
부포 |
2연장 40/56mm 대공포 ×1 20mm 기관포 ×2 50구경 기관총 ×2 |
|
대함 미사일 | C-802 대함미사일 ×4 | |
어뢰 | 3연장 경어뢰발사관 ×2 |
본래 미 해군의 PF-103급 초계함으로 설계된 배로 이란 해군에선 1960년대부터 4척을 운용하고 있었으나, 이라크와의 전쟁중 2척을 잃어 현재는 2척을 운용중이다. 사족으로 태국 해군에서도 동형함을 2척 운용중이다.
현지시간 2023년 7월 5일 미국 정유사 셰브론 소속선 "M/V 리치몬드 보이저" 호에 총격을 가한 범인이 바로 이 급의 배다. 공개된 영상에서 연돌로 이 급의 배인게 확인되었다.
4.1.1.4.2. 함제급
항해중인 함제급 초계함 | |||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함제급 초계함 | 함제(Hamzeh)(802) | 1936년 | 현역 |
배수량 | 만재 | 580t |
길이 | 54m | |
폭 | 7.65m | |
흘수 | 3.25m | |
최대속력 | 15Knot | |
무장 | 주포 | 보포스 20mm 기관포 ×1 |
부포 | 12.7mm 기관총 ×2 | |
대함 미사일 | C-802 대함미사일 ×4 |
네덜란드에서 1936년 만들어진 배로 당시 이름은 샤샤부르(Shahsavar)였고 처음엔 군함이 아니라 높으신 분과 그 가족들의 귀빈정 비슷하게 쓰였으나, 오래되어 폐함하려던 1965년 군함으로 개조되었고 현재는 카스피 해의 제4전단에서 훈련함으로 활약하고 있다. 사족으로 취역년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현역으로 뛴지 [age(1936-01-01)]년에 이르렀을 정도로 노인학대 전문 이란 해군 내에서도 독보적인 수준을 넘어 중동 해군의 현역 군함 중 가장 오래된 군함이다. 세계로 스케일을 넓혀봐도 이렇게 오래된 배는 박물함으로나 볼 수 있다.
4.1.1.5. 미사일 고속정
4.1.1.5.1. 카만급
미사일을 발사하는 카만급 8번정 고르 | |||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카만급 고속정 | 카만(Kaman)(P221) | 1977년 | 현역 |
쇼우빈(Xoubin)(P222) | |||
카당(Khadang)(P223) | 1978년 | ||
파이칸(Paykan)(P224) | 이란-이라크 전쟁 중 침몰 | ||
조샨(Joshan)(P225) | |||
팔라콘(Falakhon)(P226) | 현역 | ||
샴시르(Shamshir)(P227) | |||
고르(Gorz)(P228) | |||
가르두네(Gardouneh)(P229) | |||
칸자르(Khanjar)(P230) | 1981년 | ||
네이제(Neyzeh)(P231) | |||
타바르진(Tabarzin)(P232) |
배수량 | 경하 | 249t |
만재 | 275 t | |
길이 | 47m | |
폭 | 7.1m | |
흘수 | 1.9m | |
최대속력 | 36 Knot | |
항속거리 | 3,200km / 15Knot, 1,100km / 33.7 Knot | |
승조원 | 30명 | |
디젤 엔진 | MTU 16V538 TB91 디젤 엔진 ×4 | |
무장 | 주포 | 파즈르-27 함포 ×1 |
부포 | 보포스 40mm 포 ×1 | |
대함 미사일 | 하푼 ×4 |
프랑스에서 건조한 La Combattante IIa-class 고속정을 수입한 것으로 원래 12척을 주문했으나 혁명으로 인해 9척을 도입하였고 이후 나라가 안정된 1981년에 나머지 3척을 인수했다. 원래 수출용으로 설계된 함종인만큼 독일 해군, 그리스 해군, 말레이시아 해군 및 리비아 해군에서도 운용했거나 운용중이다.
이후 이란에서는 이 함정을 토대로 아래서 설명할 시나급을 건조한다.
4.1.1.5.2. 시나급
시나급 4번정 세파르정 | |||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시나급 고속정 | 파이칸(Paykan)(P224) | 2003년 | 현역 |
조샨(Joshan)(P225) | 2006년 | ||
데라프쉬(Derafsh)(P233) | 2009년 | ||
세파르(Separ)(P234) | 2017년 | ||
함명미정(-) | - | 건조중 | |
함명미정(-) | - | 건조중 | |
제레(Zereh)(-) | - | 건조중 | |
함명미정(-) | - | 건조중 |
이전 함급인 카만급의 침몰한 함정의 결번을 채우고, 역시 이전 함급의 마지막 번호에서 이어지는 형식으로 함번을 부여했다.
현재 현역인 초도함부터 4번정은 모두 카스피 해 방면에 배치되었고, 아직 건조중인 7번정은 해군본부가 위치한 반다르 압바스에 배치 될 예정이다. 5,6,8번정의 함명과 함번은 아직 미정이다.
4.1.1.6. 항만경비정
4.1.1.6.1. 카이반급
좌측 4척의 함정 중 오른쪽 2척이 카이반급 좌측 2척은 파르빈급 | |||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카이반급 경비정 | 카이반(Kaivan)(201) | 1956년 | 현역 |
타이란(Tiran)(202) | 1957년 | ||
메란(Mehran)(203) | 1959년 | ||
마한(Mahan)(204) |
4.1.1.6.2. 파르빈급
2014년 12월 1일 만함기를 게양한 파르빈급 | |||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파빈급 항만경비정 | 파르빈(Parvin)(211) | 1967년 | 현역 |
바르함(Bahram)(212) | 1969년 | ||
네히드(Nahid)(213) | 1970년 |
본래 연안 대잠 경비함으로 도입된 파르빈급은 대잠작전을 위해 대잠박격포와 폭뢰를 갖추고 있었으나 1995년개장 때 소나와 함께 제거되었다. 2000년대까지도 서방에선 이들 파르빈급 3척이 이란-이라크 전때 격침된 것으로 판단했었으나 2008년에도 여전히 현역으로 뛰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고 2014년 행사에도 동원됐을 정도로 멀쩡히 뛰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4.1.2. 지원함
4.1.2.1. 상륙함
4.1.2.1.1. 호르무즈-24급 상륙함
4.1.2.1.2. 헨감급
헨감급 4번함 514 톤브함 | |||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헨감급 상륙함 | 헨감(Hengam)(511) | 1974년 | 현역 |
라락(Larak)(512) | |||
라반(Lavan)(513) | 1985년 | ||
톤브(Tonb)(514) |
배수량 | 경하 | 2,500t |
만재 | 2,940t | |
길이 | 93.0m | |
폭 | 14.9m | |
흘수 | 3.0m | |
최대속력 | 15Knot | |
항속거리 | 3,500km / 12Knot | |
승조원 |
80명 해병 227명 |
|
디젤 엔진 |
Paxman 12YJCM 디젤 엔진 ×2(1,2번함) MTU 16V652 TB81 디젤 엔진 ×4(3,4번함) |
|
무장 | 주포 | 파즈르-27 함포 ×1 |
부포 |
ZU-23 대공포 ×4 9M22U 122mm 로켓 ×40 12.7mm 기관총 ×2 |
형상은 우리 해군의 고준봉급과 똑같은 형상의 전통적인 설계의 상륙함이다. 다시말해 초수평선 상륙작전을 고려하지 않은, 2차대전 식으로 해변에 직접 접안하는 상륙함인지라, 위 사진을 잘 보면 함수 부분에 접안 후 상륙군과 탱크 등을 상륙시키기 위한 도어가 존재한다. 해안 접안 시 이 도어가 열리며
4척 모두 영국에서 건조되었으며 초도함과 2번함인 헨감함과 라락함은 1972년에, 3,4번함은 1977년에 주문되었다. 본래 2척이 더 취역 할 예정이였으나, 이슬람 혁명 이후 취소되어 4척만이 취역했다.
4.1.2.1.3. 카르발라급
카르발라급 상륙정 | |||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카르발라 상륙정 | 푸케(Fouque)(101) | 1988년 | 현역 |
케슘(Qeshm)(504) | 1995년 | ||
호르무즈(Hormoz)(505) | |||
파어(Farour)(506) | 2015년~17년 | ||
함명미상(507) | |||
함명미상(508) |
배수량 | 경하 | 250t |
만재 | 300t | |
길이 | 37.0m | |
폭 | 8.0m | |
흘수 | 1.5m | |
최대속력 | 10Knot | |
항속거리 | 740km / 10Knot | |
승조원 | 10명 | |
디젤 엔진 | MWM TBD234 V8 ×2 |
역시 우리 해군에서 운용중인 물개급 상륙정과 그 형상이 똑같다. 알려진 정보가 적으나 형상과 크기로 미루어 볼 때 물개급과 마찬가지로 각종 지원정으로 활용되고 있을 듯 하다. 수송능력은 100톤이다.
이름이 알려진 4척의 함정들 중 초도정 푸케정을 제외한 나머지의 이름은 모두 이란의 섬이름에서 따왔다. 참고로 초도정 푸케의 뜻은 이슬람법학(فقه).
4.1.2.2. 공기부양정
4.1.2.2.1. SR.N6/톤다르급
사진은 SR.N6급을 이란에서 자체 개량 생산한 톤다르급 | |||
함형 | 함번 | 취역 | 현재상태 |
SR.N6급 공기부양정 | 01 | 1973년 | 현역 |
02 | |||
03 | |||
04 | 1974년 | ||
05 | |||
06 | 1975년 | ||
07 | |||
08 | |||
톤다르급 공기부양정 | 1번정 | 2012년 | |
2번정 |
배수량 | 10t |
길이 | 14.8m |
폭 | 7.7m |
흘수 | 0m |
최대속력 | 52Knot |
항속거리 | 203km / 30Knot |
추진체계 | 롤스로이스 그놈 Mk 1050 가스터빈 ×1 |
무장 | 7.6/90 ×2 |
세계 최초로 공기부양정을 만든 영국의 브리티시 호버크래프트사가 만들었다. 최초의 공기부양정이 1959년에 선보였으니 상당히 이른 시기에 도입한 것이 특징이다.
이란 해군의 열악한 현실상 오래된 배도 계속 아껴쓰고 고쳐쓰고 하는지라 이 함종을 2010년대에 다시 개량하여 새로운 함급을 개발했는데 이것이 바로 톤다르(تندر)급이다. 톤다르는 페르시아어로 천둥을 뜻한다.
4.1.2.2.2. BH.7급
BH.7급 공기부양정 | |||
함형 | 함번 | 취역 | 현재상태 |
BH.7급 공기부양정 | 101 | 1970년 | 현역 |
102 | 1971년 | ||
103 | 1974년 | ||
104 | |||
105 | |||
106 | 1975년 |
배수량 | 경하 | 33t |
만재 | 55t | |
길이 | 23.9m | |
폭 | 13.8m | |
최대속력 | 65Knot | |
항속거리 | 740.8km / 56Knot | |
추진체계 | 롤스로이스 프로테우스 그놈 15M541 가스터빈 ×1 | |
무장 | 하푼 ×2 |
역시 영국의 브리티시 호버크래프트사에서 만든 함종이다. 이란 해군에선 6척을 운용중이며, 2010년대에 이르러선 미사일 발사관을 다는 등 꾸준히 개량 중이다.
4.1.2.3. 군수지원함
4.1.2.3.1. 칸간급
4.1.2.3.2. 반다르압바스급
4.1.2.3.3. 올급
영국 해군에서 운용하던 동형함 A123 올나함 | |||
함형 | 함번 | 취역 | 현재상태 |
올급 군수지원함 |
|
1984년 | 침몰 |
배수량 | 만재 | 33,014t |
길이 | 207.15m | |
폭 | 25.1m | |
전고 | 25.5m | |
흘수 | 10m | |
최대속력 | 21.5Knot | |
승조원 | 250명 | |
디젤 엔진 | 웨스팅하우스 기어터빈 ×2 | |
무장 | 주포 | 오토멜라라 76mm 함포 ×1 |
부포 | ZU-23 대공포 ×4 | |
헬기탑재 | 3대 탑재가능 |
4.1.2.3.4. 델바르급
델바르급 보급함 | ||||
함형 | 함번 | 취역 | 임무 | 현재상태 |
델바르급 보조함 | 델람(Deylam)(424) | 1980년~1982년 | 청수함 | 현역 |
델바르(Delvar)(471) | 급탄함 | |||
시리잔(Sirjan)(472) | ||||
차락(Charak)(473) | 화물수송함 | |||
치루(Chiroo)(481) | ||||
소우루(Souru)(482) | ||||
다이어(Dayer)(483) | 군수지원함 |
배수량 | 경하 | 777t |
만재 | 904t | |
길이 | 64m | |
폭 | 10.5m | |
흘수 | 3.3m | |
최대속력 | 11Knot | |
승조원 | 20명 | |
디젤 엔진 | MAN G6V 23.5/33ATL ×2 | |
무장 |
20mm
기관포 ×1 12.7mm 기관총 |
생긴 것만 보면 굉장히 작은 소형 함정같이 생겼지만 사진 속 구명정과 크기를 비교해 보면 알 수 있듯 상당히 큰 배다. 또한 같은 함급이나 함정별로 임무가 청수, 급탄, 수송, 군수지원으로 나눠져 있다.
4.1.2.3.5. 헨디얀급
헨디얀급 5번정 코나락 | |||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헨디얀급 보조정 | 마참(Macham) | 1985년 | 현역 |
호람샤르(Khoramshahr) | |||
헨디얀(Hendijan)(1401) | 1987년 | ||
시릭(Sirik)(1402) | 1989년 | ||
코나락(Konarak)(1403) | 1988년 | 2020년 5월 아군오사로 인해 침몰 # | |
가바타(Gavatar)(1404) | 1990년 | 현역 | |
마캄(Moqam)(1405) | 1992년 | ||
바레간(Bahregan)(1406) | |||
칼랏(Kalat)(1407) | 1987년 | ||
가나베(Ganaveh)(1408) | 1988년 | ||
로스타미(Rostami)(1409) | 1993년 | ||
네이밴드(Nayband)(1410) |
배수량 | 경하 | 446 t |
만재 | 650 t | |
길이 | 47 m | |
폭 | 8.55 m | |
흘수 | 2.86 m | |
최대속력 | 21 Knot | |
승조원 | 15명 | |
엔진 | 미쓰비시 S16MPTK 디젤 엔진 ×2 | |
무장 |
20mm
기관포 ×1 나스르 대함미사일 ×4 |
1번함부터 6번정, 10,11번정은 네덜란드에서 7,8번,11,12번정은 이란에서 건조되었다. 이들 함정들은 모두 팔라비 왕조 시절 계약된 것으로 이란-이라크 전쟁이 한창이던 1980년대에 이란에서 인수하였는데, 서방국가의 일원인 네덜란드에서 반미주의로 떠오르고 있던 이란의 군함 수주를 받는 것에 대해 네덜란드 국회에서도 수차례 의문을 제기하였으나, 비전투정이라는 이유로 국회의 칼질을 피해 무사히 이란에 인도되었다.
한편, 위 표에도 나와있는 5번정 코나락정은 현존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모제급 호위함 1번함인 자마란함에서 발사된 대함미사일을 직격으로 맞아 그대로 침몰하였기 때문이다. 제원표에는 승조원이 총 15명이라고 나와있는데 사고 당시엔 40여명이 그 배에 타고 있었고 이 중 19명이 죽고 15명이 중상을 입었다고 한다.
위 사고로 미루어 볼 때, 우리 해군에서도 해상사격 훈련 시 운용하는 표적함의 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표적함이라고 카미카제마냥 표적 그 자체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절대 아니고, 함정에 표적을 묶고 항주하는데 자마란함은 참 어이없게도 (표적함에서 안전거리 이상으로 충분히 떨어진 표적이 아니라) 코나락정 그 자체를 표적으로 오인하여 쐈다고 한다. 여러모로 죽은 사람들만 어이없게 목숨을 잃은 사고가 아닐 수 없다.
4.2. 잠수함
4.2.1. 타레크급 잠수함
러시아에서 운용중인 킬로급 잠수함 | |||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타레크급 잠수함 | 타레크(Tareq)(901) | 1992년 | 현역 |
누흐(Nooh)(902) | 1993년 | ||
요나스(Yunes)(903) | 1996년 |
수상 배수량 | 2,356 t |
수중 배수량 | 3076 t |
전장 | 72.6 m |
전폭 | 9.9 m |
흘수선 | 6.6 m |
안전잠항심도 | 300 m |
추진장치 |
3650 마력 발전기 x2 5500 마력 추진모터 x1 디젤 엔진 x2 |
최대출력 | 5,900shp |
최고속력 | 17 Knot |
최대항속거리 | 9,700 km / 7Knot |
잠수함 승조원 | 53 명 |
무장 |
어뢰 ×18 기뢰 ×24[11] 순항 미사일 |
이들 잠수함들은 1988년에 최초 주문하여 소련이 해체 된 후인 1992년에 이란에 1번함이, 1993년에 2번함이, 1994년에 3번함이,각각 이란에 인도되어 취역했다. 이들 3척의 잠수함들은 이란 해군이 보유한 여러 군함들 중 미합중국 해군에 유일하게 위협이 되는 전력이라고 한다.
역시 다른 이란의 군함들과 마찬가지로 꾸준히
여담으로 3척 모두 호르무즈 해협에 모항을 두고 있다.
4.2.2. 베사트급 잠수함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베사트급 잠수함 | 카엠(Qaaem) | 2024년 | 건조중 |
함명미정 | - | 계획 |
배수량 | 1000 t ~ 1200 t | |
전장 | 약 60 m | |
안전잠항심도 | 300 m 목표 | |
최고속력 | 잠항시 | 20 Knot |
부상시 | 12 Knot | |
무장 |
어뢰발사관 ×6 기뢰 순항 미사일 |
흔히 카엠급 잠수함으로 알려져 있으나 정식 함급명은 베사트급 잠수함으로 정해졌다고 한다. 본래 2015년까지 베사트급 잠수함 2척이 취역을 목표로 2008년 8월 25일 건조를 시작했으나.. 이란의 여러 사정으로 인하여 취역이 계속 밀리고 밀려 현재는 2024년 취역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도 건조중이다.
4.2.3. 파테급 잠수함
- 자세한 내용은 파테급 잠수함 문서로
4.3. 잠수정
4.3.1. 나항급 잠수정
. | |||
나항급 잠수정 | |||
함형 | 함명 | 취역 | 현재상태 |
나항급 잠수정 | 나항 1 | 2006년 | 현역 |
배수량 | 115 t |
전장 | 25 m |
전폭 | 3.0 m |
추진방식 | 디젤-전동 |
무장 |
어뢰 ×2 |
2006년에 취역한 이란의 국산 잠수함으로 이것의 설계에 220명의
주된 임무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주로 기뢰 부설과 특수부대 침투가 주된 목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또, 대다수의 사이트에선 나항급 잠수정은 1척만이 운용된다고 하지만, 일부 사이트에선 2척이 운용되고 있다고도 한다.
4.3.2. 가디르급 잠수정
자세한 건 가디르급 잠수정 문서로.4.3.3. 유고급 잠수정
4.4. 해군 항공대
이란 해군 항공대 문장 |
4.5. 해병대
4.5.1. 제1해병여단
4.5.2. 제2해병여단
4.5.3. 제3해병여단
4.5.4. 제4해병여단
5. 계급
항목 참고6. 임시
추후 반영 예정 (이전 문서 서술)이란의 미사일 고속정(Missile Craft) | |||
급 | 배수량 | 척 | 기타 |
Hendijan Class (Kalat Class) missile boats | 447톤 | 8척 | |
Houdong class aka Thondar Class | 205톤 | 10척 | 'P313-1'~'P313-10' |
이란의 기타 경비정(Patrol: Coastal/Patrol: Inshore/ 호버크래프트) | |||
Zafar class | 82톤 | 3척 | Patrol: Inshore |
Chinese Cat-14 | 20톤 | 5척 | Patrol: Inshore |
PBF MIG-S-2600 Class | 82톤 | 6척 | Patrol: Inshore |
PBF Mk III Class | 36톤 | 9척 | Patrol: Inshore |
PBF MIG-G-1900 Class | 10척 | Patrol: Inshore | |
PBF MIG-S-1800 Class | 22톤 | 20척 | Patrol: Inshore |
PTF Peykaap (IPS-16) Class | 13.75톤 | 10척 | Patrol: Inshore |
PTF Tir (IPS-18) Class | 28.16톤 | 10척 | Patrol: Inshore |
Hovercraft Tir Tondar (Hovercraft) | Patrol: Inshore | ||
Younes/Yunes 6 | 6척 | Patrol: Inshore | |
Peykaap class Fast attack craft | 74척 | Patrol: Inshore | |
miscellaneous small craft | 200척 | Patrol: Inshor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