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8-17 07:40:52

인도네시아군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wiki style="margin:0 -10px -5px; word-break:keep-all"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동아시아 대만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준군사조직) · 중국
동남​아시아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조호르군)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 네팔 · 몰디브 · 방글라데시 · 부탄 · 스리랑카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프가니스탄 · 오만 · 요르단 · 예멘 · 이라크 · 이란 · 이스라엘 · 카타르 · 쿠웨이트
중앙​아시아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서유럽 네덜란드 · 룩셈부르크 · 모나코 · 벨기에 · 영국 · 아일랜드 · 프랑스
남유럽 구호기사단 · 그리스 · 몬테네그로 ·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 북마케도니아 · 스페인 · 슬로베니아 · 알바니아 · 이탈리아 · 키프로스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중유럽 독일 · 오스트리아 · 스위스 · 슬로바키아 · 체코 · 폴란드 · 헝가리
북유럽 노르웨이 · 덴마크 · 라트비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핀란드
동유럽 러시아 · 루마니아 · 몰도바 · 벨라루스 · 불가리아 · 세르비아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우크라이나 · 조지아 · 트란스니스트리아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메리카 멕시코 · 미국 · 캐나다
카리브 도미니카 공화국 · 도미니카 연방 · 바베이도스 · 아이티 · 자메이카 · 쿠바 · 트리니다드 토바고
중앙아메리카 과테말라 · 니카라과 · 벨리즈 · 엘살바도르
남아메리카 가이아나 · 베네수엘라 · 볼리비아 · 브라질 · 수리남 · 아르헨티나 · 에콰도르 · 우루과이 · 칠레 · 콜롬비아 · 파라과이 · 페루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북​아프리카 리비아 · 모로코 · 수단 · 알제리 · 이집트 · 튀니지
남​아프리카 나미비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레소토 · 말라위 · 모리셔스 · 모잠비크 · 보츠와나 · 앙골라 · 에스와티니 · 잠비아 · 짐바브웨
서​아프리카 가나 · 감비아 · 기니 · 기니비사우 · 나이지리아 · 니제르 · 라이베리아 · 말리 · 모리타니 · 베냉 · 부르키나파소 · 세네갈 · 시에라리온 · 적도 기니 · 카보베르데 · 코트디부아르 · 토고
동​아프리카 남수단 · 르완다 · 마다가스카르 · 부룬디 · 세이셸 · 소말리아 · 소말릴란드 · 에리트레아 · 에티오피아 · 우간다 · 지부티 · 코모로 · 케냐 · 탄자니아
중앙​아프리카 가봉 · 상투메 프린시페 · 중앙아프리카공화국 · 차드 · 카메룬 · 콩고 공화국 · 콩고민주공화국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18%;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5px -1px -20px"
<colbgcolor=#eee,#000> 오스트랄라시아 뉴질랜드 · 호주
멜라네시아 바누아투 · 솔로몬 제도 · 파푸아뉴기니 · 피지
미크로네시아 나우루 · 마셜 제도 · 미크로네시아 연방 · 키리바시 · 팔라우
폴리네시아 사모아 · 통가 · 투발루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ed1b24> 상징 <colcolor=#000,#fff> 국가 · 메라 푸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타루마 왕국 · 순다 왕국 · 스리위자야 · 마자파힛 제국 ( 나가라크르타가마) · 마타람 술탄국 · 아체 술탄국 · 남술라웨시사 · 반자르 술탄국 · 발리사 · 네덜란드령 동인도 · 일본령 동인도 · 인도네시아 독립전쟁 · 인도네시아 합중공화국
정치 정치 전반 · 대통령 · 판차실라 · 청년의 맹세
외교 외교 전반 · G20 · ASEAN · IPEF · 남중국해 분쟁 · 인도네시아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인도네시아 루피아 · 넥스트 일레븐
사회 교육
국방 인도네시아군( 육군 · 해군 · 공군)
문화 문화 전반 · 관광 정보 · 인도네시아 요리( 나시고렝) · 인도네시아어( 말레이권) · 자바어 · 순다어 · 인도네시아 음악 ·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인도네시아 영화 · 인도네시아 문학
지리 말레이 제도( 대순다 열도: 자바섬, 수마트라 섬, 술라웨시 섬, 보르네오 섬 / 소순다 열도: 발리 섬, 롬복 섬, 플로레스 섬, 티모르 섬 / 말루쿠 제도: 부루 섬, 암본, 스람 섬, 할마헤라 섬, 트르나테) · 뉴기니
민족 인도네시아인( 자바인 · 발리인 · 바탁 · 미낭카바우 · 다약 · 순다인 · 사마 바자우 · 마두라인 · 마카사르인 · 부기스인 · 오랑 라우트 · 파푸아인) · 중국계 인도네시아인 · 인도계 인도네시아인 · 인도네시아계 네덜란드인 · 인도네시아계 미국인 · 인도네시아계 일본인
교통 자카르타의 대중교통 · KRL · 가루다 인도네시아 항공
}}}}}}}}} ||
<colbgcolor=#ed1b24><colcolor=#ffc400> 인도네시아 국군
Tentara Nasional Indonesia
파일:인도네시아군기.svg 파일:인도네시아군 엠블럼.svg
깃발 엠블럼
창설일 1947년
국가
[[인도네시아|]][[틀:국기|]][[틀:국기|]]
소속 인도네시아 국방부
상비군 430,000명
예비군 400,000명
병역제도 모병제
사령관 아구스 수비얀토 대장
육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d1b24><colcolor=#ffc400> 전차 314대
장갑차
(APCs/IFVs)
1,444대
자주포 91문
다연장로켓 63문
수송 차량 1,101대 }}}}}}}}}
해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d1b24><colcolor=#ffc400> 해군 전투함 총합 282척
주력 수상함
호위함 7척
초계함 24척
모함, 상륙함, 수송함
LPD 8척
LST 23척
잠수함
SSK 4척(+2척) }}}}}}}}}
공군력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ed1b24><colcolor=#ffc400> 4세대 전투기 72기
공중급유기 17기
항공기 총합 462기 }}}}}}}}}
예산
국방비 총합 101억 달러
GDF 대비 비율 0.77%
링크 파일:인도네시아군 엠블럼.svg

1. 개요2. 상세3. 수뇌부4. 구성
4.1. 육군4.2. 해군4.3. 공군
5. 예산6. 전쟁범죄7.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인도네시아의 군대.

2. 상세

인도네시아는 동남아시아를 대표하는 지역강국으로서, 베트남과 더불어 동남아시아에서 양적으로 정상권의 군사력을 보유하고 있다.

국제적으로도 강군으로 인정 받으며, 심지어 식민지배국이었던 네덜란드보다 육군과 병력이 많다. 그러나 해공군은 네덜란드군이 F-35A 전투기와 더 제번 프로빈시엔급 호위함을 운용하면서 여전히 인니를 앞서고 있다.

병력 규모는 상비군이 40만 명 선으로 베트남에 이어 역내 2위이다. 영국, 한국 등의 군사적 지원을 받으면서 무기 체계와 전투력이 질적으로 성장하고 있고 무엇보다 반군, 게릴라 등으로 인한 크고 작은 실전이 잦다. 특수부대는 서방권 수준의 장비로 무장하고 있다.

특수부대의 경우 60년대에 SAS가 교관으로 파견되어 양성되었다. 그러나 훗날 동티모르 분쟁 당시 평화유지군의 일부로 파견된 SAS와 험악한 관계를 보이기도 했다.

내전이나 분쟁이 좀 있는 관계로 실전 경험도 적지는 않다. 또한 섬이 많은 관계로 공군력과 해양 초계 능력에 상당히 투자하고 있으며 한국 공군도 사용하는 CN-235 수송기를 자체 생산하기도 한다. 사실 인구 수에 비하면 은근 약해보이지만 오히려 인구 수 4위 국가답게 국제적으로 강군에 속한다.

해외 사이트에서 군사력 비교시 주요 비교 대상 국가들론 중국, 인도, 브라질 등이 있다. 일단 군사력 비교에서 비교 대상 국가에 중국, 인도가 들어가는것 부터가 인도네시아도 상당한 강군이라는 반증이다. 게다가 동남아 국가 중 공군 체계가 매우 잘 구비되어 있으며 넓은 영공을 지키기 위해 많은 항공기를 필요하게 됨으로써 전투기도 많은 편이다.

2000년 이전까지는 경찰도 군 소속이라 4군(육군, 해군, 공군, 경찰군) 체제로 조직되어 있었다.

특이하게도 인도네시아군 군용 제식무술로 한국의 용무도가 채택되어 훈련중이며 한국 특수전사령부 707에서 인도네시아군 특수부대를 훈련시킨다.

제식소총은 인도네시아 군수기업인 Pindad사에서 생산된 SS2을 사용한다..핀다드 SS2는 인도네시아군 버전 FN FNC인 핀다드 SS1의 개량형이다. 한국에서 대우정밀의 K2 소총을 수출한 사실이 언론보도를 타면서 인도네시아군 제식소총이 K2 소총인 것처럼 한국에서 잘못 알려져 있기도 한데 실제로 납품 받은 K2소총은 1천 정도 안 된다. 저격용으로 K2 소총을 운용한다는 얘기도 사실이 아니다. 총기의 명중률 측정하는 단위로 K2 소총의 명중률은 4.9 MOA으로 여타 다른 지정사수용 소총에 비해 명중률이 떨어질 뿐더러 5.56×45mm NATO자체가 한계로 작용한다.

2021년에 예비군이 창설되었다. #

3. 수뇌부

통수권자 국방장관 사령관
파일:조코 위도도 대통령 공식사진 2019.jpg 파일:프라보워_수비안토.jpg 파일:Agus_Subiyanto.jpg
조코 위도도 대통령 프라보워 수비안토 아구스 수비얀토 대장
육군참모총장 공군참모총장 해군참모총장
파일:Maruli_Simanjuntak.jpg 파일:Fadjar_Prasetyo.jpg 파일:Muhammad_Ali.jpg
마룰리 시만준타크 대장 파자르 프라세티오 대장 무함마드 알리 대장

4. 구성

4.1. 육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네시아 육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해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네시아 해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공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인도네시아 공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예산

2022년 기준 인도네시아 국방비는 101억달러[1]이며 gdp의 약 0.77%이다.
인도네시아 역대 국방 예산비용
{{{#!folding [ 펼치기 · 닫기 ] 연도 전체 명목 GDP
(10억달러; 약 1조원)
경제성장률 전체 국방비
(100만달러; 약 10억원)
GDP 대비 국방비
2000년 165 4.1% - -
2001년 160 3.6% 1,762 0.5%
2002년 195 4.4% 2,866 0.8%
2003년 234 4.7% 3,736 1.0%
2004년 257 5.0% 3,841 0.9%
2005년 285 5.6% 3,336 0.8%
2006년 364 5.5% 3,387 0.7%
2007년 432 6.3% 4,073 0.8%
2008년 510 6.0% 3,800 0.6%
2009년 538 4.6% 3,840 0.6%
2010년 709 6.2% 4,510 0.7%
2011년 845 6.4% 5,170 0.65%
2012년 877 6.2% 5,936 0.71%
2013년 870 5.7% 7,981 0.92%
2014년 856 5.1% 7,032 0.78%
2015년 861 4.9% 8,225 0.89%
2016년 932 5.0% 7,620 0.79%
2017년 1,016 5.1% 8,178 0.8%
2018년 1,022 5.2% 7,661 0.72% }}}

6. 전쟁범죄

인도네시아군의 대표적인 흑역사. 특히 동티모르 상대로 저지른 만행이 상상을 초월한다.

1975년 12월 7일, 인도네시아군이 미국 호주 등의 묵인 하에, 9일 전 11월 28일 포르투갈로부터 독립한 동티모르를 무력으로 침공해 강제 합병했다. 그 해 남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적화통일 당하면서 미국과 서방세계는 동남아 전체가 공산화되는 것을 우려했고 그래서 수하르토 정권을 반공 파트너로 삼았다. 그리고 인도네시아군은 동티모르인들을 무참히 학살했는데 무려 20만 명의 동티모르인이 희생되었다.

이런 참상이 국제적으로 알려진 것은 1991년이 되어서였다. 1991년 11월 12일에는 희생자들을 추모하기 위해 설립된 산타크루즈 공동묘지에 시민들이 헌화하던 도중 인도네시아군에 의해 무차별 공격을 받아 273명이 사망하고 250명이 실종당하는 피해가 발생했다.

인도네시아 군부는 동티모르에게 무차별 탄압을 이어갔지만 1998년, 동남아시아 외환위기의 여파로 수하르토 정권은 67년 이후 31년만에 붕괴되었고 동티모르는 1999년 독립을 쟁취했다. 그러나 이를 반대하는 인니계 민병대가 무차별 폭력과 테러를 저지르면서 동티모르 사회기반시설의 대부분을 파괴하고 1400명 이상의 동티모르인이 학살당했다. 인도네시아군은 인니 민병대를 지원했다.

그러나 상황은 반전되었다. 이전과 달리 미국과 국제사회는 가만있지 않았고 호주군을 비롯한 UN평화유지군이 동티모르로 전개되면서 인도네시아 군부는 당황했고 미국이 인도네시아군에 군수제재를 가하면서 인도네시아군의 군사력은 파탄나게 되었다. F-16 전투기들이 있어도 유지보수 지원이 끊겨서 날릴 수가 없었고 전차 가동률도 바닥나 반세기전 물건인 PT-76 경전차를 동원해야 할 지경. 이러한 군수제재는 2000년대 초반이 되어서야 풀렸다.

결국 전례없는 국제적 고립을 맛보게 된 인도네시아는 사실상 백기 들고 투항했고 동티모르와 평화협정을 맺으면서 2002년 5월 20일 마침내 동티모르는 완전히 독립하게 되었다.

동티모르에 대한 학살 외에도 1965년 부터 1966년 사이에 인도네시아군이 공산주의를 억제한다는 명분으로 공산주의자들, 거주중인 화교들 및 반정부인사들, 수카르노 파벌을 상대로 대규모 학살을 자행한 적이 있었다. 심지어 아인자츠그루펜처럼 '살인 부대'도 따로 편성해 학살을 자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망자는 50만 명에서 100만 명으로 추산된다. 그리고 수마트라 북부 아체 지역에서 아체의 분리주의 반군 세력들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일으킨 학살 또한 악명이 높다.

하지만 그럼에도 인도네시아 정부는 이를 공식적으로 부인하고 있으며 역사교육에서도 해당 사실을 아예 생략하는 역사왜곡도 자행하고 있다. 이 시기 인도네시아군이 저지른 학살은 영화 액트 오브 킬링에서 잘 드러난다.

참고자료:
# #

7. 관련 항목



[1] 약 13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