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15:47:52

부원군

황실 및 왕실의 구성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분 직계 남성 배우자 직계 여성 기타
퇴위한 명예군주
태상황/ 태상왕 태상황후/ 태상왕비 - 태황태후/ 대왕대비
퇴위한 군주
상황/ 상왕 상황후/ 상왕비 - -
군주 황제/ 황후/ 왕비 여제/ 여왕 황태후/ 왕대비
( 국장/ 국구), 국태부인
국서
군주의 궁인
환관/ 내시 후궁 상궁 남총
군주의 후계자(자녀)
황태자/ 왕세자 황태자비/ 왕세자빈 황태녀/ 왕세녀 부마
군주의 자녀
황자/ 왕자 황자비/ 왕자비 ( 공주, 황녀)/( 공주, 옹주) 부마/ 의빈
군주의 후계자(형제)
군주의 후계자(손자)
군주의 형제
군주의 장남,장손
군주의 친부
군주의 숙부모
황태제/ 왕세제
황태손/ 왕세손
황제(皇弟)/ 왕제(王弟)
원자, 원손
대원왕/ 대원군
황숙(皇叔)/왕숙(王叔)

 
 
 
대원비/ 부대부인
 

 
장공주
 
 
대장공주
-
중국(-3C ~ 20C 초)
황제
황태자
친왕, 군왕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 군왕비

 
공주, 군주, 현주
황태후
 
부마
고려( 원 간섭기 전->후)
-> 국왕
태자-> 세자
공(公), 군(君)
왕후-> 왕비
태자비-> 세자비
공비(公妃), 군비(君妃)

 
왕녀-> 공주
태후
 
부마
임금
세자
대군, 군(君)
왕비
세자비
부부인, 군부인

 
공주, 옹주
왕대비
부원군, 부부인
부마-> 의빈
천황
황태자
친왕,
황후
황태자비
친왕비, 왕비
천황
 
내친왕, 여왕
황태후
 
 

웨일스 공
HRH Prince, Prince
왕비
웨일스 공비
공작부인
여왕
 
HRH Princess, Princess
Queen+이름
 
Prince+이름
각 항목에는 가장 대표적인 용어 하나만 표기하며, 황실과 왕실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다를 경우 '/' 기호로 구분한다. 두 단어가 밀접한 관계에 있거나 각기 다른 서열과 지위를 가질 경우 ',' 기호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기호 또는 빈칸은 동아시아 황실/왕실 체제에서 해당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가 없거나 관련 문헌에서 확인되지 않는 경우를 나타낸다. 당시에는 이러한 경우 특별한 호칭 없이 이름이나 관직명을 사용했다. 그러나 본 틀에서는 문헌 기록이 없더라도, '왕세녀', '국서'처럼 근현대에 새롭게 자리잡은 번역어의 경우 포함해 기재한다.
별칭이나 그 외 나라의 용어는 황실/왕실 용어 및 별칭 표를 참고.
}}}}}}}}} ||


작위
{{{#!wiki style="margin: -16px -11px;" 한국 중국 일본 유럽 창작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2em; word-break:keep-all"
{{{#!folding 【 작위 목록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한자문화권
{{{#!wiki style="margin: -16px -11px;"






}}}
<colbgcolor=#989898> 체계 이성왕 | 오등작( 개국작) · 이십등작 | 외명부 | 봉호 · 존호 · 궁호
왕작 친왕(親王) · 사왕(嗣王) | 국왕(國王) · 군왕(郡王) · 현왕(縣王) | 국공(國公)
군작 대원군(大院君) · 대군(大君) · 부원군(府院君) | 경(卿) · 윤(尹) · 정(正) · 수(守) · 령(令) · 감(監) · 장(長) | 위(尉)
유럽
제후층 대공 · 프린스 · 공작 · 후작 · 백작
성주층 자작 · 남작 | 영주 · 준남작 · 기사 · 에스콰이어
동유럽 크냐지 · 보이보드 · 보야르 | 드루지나
동로마 제국 | 카이사르 · 포르피로게니투스 · 데스포티스
신성 로마 제국 선제후 | 퓌르스트 · 주교후 · 제국백 · 궁정백 · 변경백 · 방백 | 성백 · 제국기사
중양
군주·제후 | 라자 · 말리크 · · 술탄 ·
봉신·관료 | 파샤 · 아미르 · 셰이크 · 베이 · 랄라 · 아가 · 나와브 · 샤리프 · 사이이드 · 마르즈반 · 노얀 · 콩타이지 · 조논
기타
  | 태자(세자·도팽) · 공왕 · 소군(小君) · 훈작사 }}}}}}}}}


1. 개요2. 상세3. 목록
3.1. 고려
3.1.1. 건국 초기3.1.2. 종실제군3.1.3. 이성제군
3.2. 조선3.3. 창작물
4. 관련 문서

1. 개요

부원군(府院君)은 고려 조선에서 사용한 군(君) 작호(爵號)의 일종이다.

2. 상세

고려 초기에 일부 왕자들이 원군(院君)으로 불린 것에 기원을 두고 있다. 건국 초기에는 왕족의 궁호로써 정식 칭호는 아니었던 것으로 보인다.[1]

부원군이 정식 작호로 도입된 것은 원 간섭기에 원나라의 요구에 따라 고려에서 오등작을 폐지하고 제후국의 격에 맞는 군작을 시행하면서 시작되었는데, 이때 부원대군·부원군·군·원윤(元尹)·정윤(正尹)이 제정되었다. 부원군은 원래 종실만 봉해지도록 설정되었던 것으로 보이나 실제로는 이성(異姓) 신하에게도 주어졌는데, 1362년부터 이성 신하는 정1품일 때 부원군으로 봉해질 수 있었다.

조선에서는 정1품 품계[2]의 친공신(親功臣)[3] 국구의 작위였다.

조선 건국 직후에는 대체로 정1품 현직자에 더하여 일부 신하들이 백(伯)에 봉해지는 사례가 있었고, 부원군은 대체로 정1품 산직(散職)인 원로[4]나 외척[5]이 봉해졌다. 고려 말부터 정치적 혼란의 여파로 산직(散職)과 봉군이 남발되었는데, 그 결과 관직에 등용될 수 없는 고령의 원로나 치사(은퇴)하는 정1품이 아닌 신하를 현직 정1품과 동일하게 예우하기 위해 실직(實職)과 동일한 급료가 지급되는 산직인 검교직을 제수하면서 부원군으로 봉하기도 했다.

1401년에 오등작 기반 작위가 폐지되고 군(君) 기반 작위 제도가 시행되면서, 당시에 생존 중인 백으로 봉해진 신하들의 봉작은 대체로 부원군으로 개정되었다. 이때 부원군은 대군(大君)과 함께 정1품 봉작으로 규정되었는데, 대군은 왕의 적자(嫡子)와 동생만 봉해질 수 있었으므로, 대군이 될 수 없는 이성(異姓) 신하가 정1품이면 받을 수 있었다. 이때부터 품계 관련 규정이 엄격하게 적용되어, 이전처럼 정1품 실직이나 산직을 맡고 있더라도 자신의 산계가 정1품이 아닐 경우에는 부원군이 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기존 봉작이 백 또는 부원군이었더라도, 정1품이 아닌 사람은 일반 군(君)으로 개정되었다.[6] 또한 태종 이후 급료를 지급하는 산직이 철폐되고 은퇴한 신하는 최종 산계에 따라 예우하는 관례가 확립되면서, 원로 대신을 예우하기 위해 부원군을 봉작하는 사례도 사라졌다.

1401~1412년 동안 종친의 봉작은 정1품 대군, 종1품 군, 정2품 원윤(元尹), 종2품 정윤(正尹)으로 언급되며 부원군은 언급이 없었다.[7] 1417년에 종친 정1품인 부원군의 처(妻)가 ○○국대부인(○○國大夫人)으로 봉작되는 것이 규정되었고, 이어서 진안대군의 적장자인 이복근(李福根)과 익안대군의 적장자인 이석근(李石根)이 부원군으로 격상되었다. 이후 세종 때인 1430년 1월에 태종의 왕자인 경녕군 함녕군이 정1품으로 승진했음에도 부원군으로 격상되진 않았는데, 그 이후로도 종친은 부원군이 되지 않았다. 이를 통해서 종친은 1417~1429년 동안 정1품이 되면 부원군으로 승격된 것으로 파악된다. 또한 부마 봉군은 1444년부터 중단되었기에, 그 이후로 부마는 그 자신이 직접 공신으로 책록되어 봉군되지 않는 이상 부원군이 될 수 없었다.

물론 이성 신하가 부원군이라고 하여 특별히 정1품 종친부 군보다 높은 서열로 여겨졌던 것은 아니었으나,[8] 세조는 이성 신하에게만 특별한 칭호가 붙는 점을 탐탁하게 여기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즉위 이후 부원군이 대외적으로 생소한 칭호라서 외교 현장에선 사용할 수 없다는 명분을 들면서 부원군 칭호에 시종일관 부정적인 의사를 내비쳤는데, 결국 1466년에 부원군 칭호를 폐지하여 군으로 통합했다. 그러나 1469년 예종이 신하들의 건의로 부원군 칭호를 되돌렸고, 성종이 즉위한 뒤 1470년에 시행되었다.

원래 공신 봉군은 친공신(親功臣)에게 이뤄졌고 친공신의 직계 존·비속을 봉군하는 사안은 딱히 규정된 바가 없었으나, 1470년에 성종이 공신의 적장 후손인 사손(嗣孫)은 그 아버지가 죽은 뒤에 승습(承襲)을 통하여 봉군될 수 있도록 조치했다. 또한 친공신의 작고한 부친인 선고(先考)를 보조공신(補祚功臣)으로 추증하면서 봉군할 것을 규정했다.[9]

이처럼 공신 봉군의 대상이 확대되면서, 부원군은 정1품인 친공신과 왕비의 아버지인 국구[10]만 생전에 봉작되었다. 이에 따라 1485년 반포된 《 경국대전》에는 충훈부 정1품~종2품 작위는 모두 군(君)으로 하되 정1품 군 가운데 친공신(親功臣)과 왕비의 아버지인 국구는 특별히 '부원(府院)' 두 글자를 덧붙이는 것으로 명문화되었다. 다만 보조공신으로 추증된 친공신의 부친은 생전의 품계와 사후 가자(加資)된 품계된 품계를 합친 최종 품계가 정1품이 될 경우에 부원군으로 추봉되어, 사실상 친공신에 준하는 예우를 받았다. 하지만 친공신의 사손 신분으로 승습을 통해 봉군되는 '승습군(承襲君)'[11]은 그 자신이 친공신에 해당되지 않으므로, 국구가 되지 않는 이상 부원군으로 봉해질 수 없었다. 또한 국구의 부원군 봉작은 승습이 인정되지 않았다.

3. 목록

3.1. 고려

3.1.1. 건국 초기

3.1.2. 종실제군

3.1.3. 이성제군

3.2. 조선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부원군
봉호
시호
성명
본관
구분
비고
거창부원군
居昌府院君
장성공
章成公
신승선
愼承善
거창 친공신
국구
익대공신(3등)·좌리공신(3등), 영의정 역임
연산군의 정비 거창군부인의 부친
견성부원군
甄城府院君
문안공
文安公
이사철
李思哲
전주 친공신 정난공신(1등)·좌익공신(2등), 우의정 역임
경림부원군
慶林府院君
충익공
忠翼公
김명원
金命元
경주 친공신 평난공신(3등), 우의정 역임
경은부원군
慶恩府院君
효간공
孝簡公
김주신
金柱臣
경주 국구 숙종 제2계비 인원왕후의 부친
계림부원군
鷄林府院君
양경공
良景公
정희계
鄭熙啓
경주 친공신 개국공신(1등), 우의정 추증
계림부원군
鷄林府院君
양희공
襄僖公
이흥상
李興商
경주 친공신 정난공신(3등), 영중추부사
계림부원군
鷄林府院君
충무공
忠武公
이수일
李守一
경주 친공신 진무공신(2등), 좌의정 추증
고령부원군
高靈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신숙주
申叔舟
고령 친공신 정난공신(2등)·좌익공신(1등)·익대공신(1등)·좌리공신(1등), 영의정 역임, 배향공신( 성종)
고양부원군
高陽府院君
소안공
昭安公
신준
申浚
고령 친공신 좌리공신(4등)·정국공신(3등), 영경연사
곡산부원군
谷山府院君
정후공
靖厚公
연사종
延嗣宗
곡산 친공신 정사공신(4등), 대광보국숭록대부
1407년 곡산군[14]→1422년 부원군
광릉부원군
廣陵府院君
익평공
翼平公
이극배
李克培
광주 친공신 좌익공신(3등)·좌리공신(3등), 우의정 역임
광산부원군
光山府院君
정정공
丁靖公
김국광
金國光
광산 친공신 적개공신(2등)·좌리공신(1등), 좌의정 역임
광성부원군
光城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김만기
金萬基
광산 국구
친공신
숙종 정비 인경왕후의 부친, 배향공신( 현종)
보사공신(1등)
광성부원군
光城府院君
충정공
忠貞公
김극성
金克成
광산 친공신 정국공신(4등), 우의정 역임
광양부원군
光陽府院君
문간공
文簡公
이무방
李茂芳
광양 ? 검교문하시중
광창부원군
廣昌府院君
이이첨
李爾瞻
광주 친공신 익사공신(3등)·정운공신(2등)·형난공신(2등), 보국숭록대부
1623년 삭탈( 인조반정)
금성부원군
錦城府院君
박용
朴墉
반남 국구(추증) 인종 정비 인성왕후의 부친
금천부원군
錦川府院君
평도공
平度公
박은
朴訔
반남 친공신 좌명공신(3등), 좌의정 역임
기성부원군
杞城府院君
충목공
忠穆公
유홍
兪泓
기계 친공신 광국공신(1등)·평난공신(2등)·위성공신(2등), 좌의정 역임
기평부원군
杞平府院君
충경공
忠景公
유백증
兪伯曾
기계 친공신 정사공신(3등), 영의정 추증
길창부원군
吉昌府院君
익평공
翼平公
권람
權擥
안동 친공신 정난공신(1등)·좌익공신(1등), 좌의정 역임, 배향공신( 세조)
낙흥부원군
洛興府院君
김자점
金自點
안동 친공신 정사공신(1등), 좌의정 역임
1652년 삭탈(역모)
남양부원군
南陽府院君
안무공
安武公
홍달손
洪達孫
남양 친공신 정난공신(1등)·좌익공신(2등), 영중추부사
남양부원군
南陽府院君
충목공
忠穆公
홍진도
洪振道
남양 친공신 정사공신(3등), 영의정 추증
남원부원군
南原府院君
익성공
翼成公
황희
黃喜
남원 보조공신 좌익공신 황수신의 부친, 배향공신( 세종)
남원부원군
南原府院君
열성공
烈成公
황수신
黃守身
남원 친공신 좌익공신(3등), 영의정 역임
남원군→1462년 부원군→1466년 남원군(부원군 폐지)
내산부원군
來山府院君
정사
鄭賜
동래 보조공신 좌리공신 정난종의 부친
능성부원군
綾城府院君
충렬공
忠烈公
구치관
具致寬
능성 친공신 좌익공신(3등)·좌리공신(2등), 영의정 역임
능성부원군
綾城府院君
충목공
忠穆公
구굉
具宏
능성 친공신 정사공신(1등), 영의정 추증
능성부원군
綾城府院君
충무공
忠武公
구인후
具仁垕
능성 친공신 정사공신(2등)·영국공신(1등), 좌의정 역임
능안부원군
綾安府院君
문의공
文懿公
구사맹
具思孟
능성 국구(추증) 원종 정비 인헌왕후의 부친
능천부원군
綾川府院君
구수영
具壽永
능성 친공신 정국공신(2등), 보국숭록대부
능풍부원군
綾豐府院君
충간공
忠簡公
구인기
具仁墍
능성 친공신 정사공신(3등), 보국숭록대부
단산부원군
丹山府院君
익평공
翼平公
이무
李茂
단양 친공신 회군공신·정사공신(1등)·좌명공신(1등), 우정승 역임
단산백→1401년 단산군→1403년 부원군→1409년 삭탈(민무구의 옥)
달성부원군
達城府院君
효희공
孝禧公
서종제
徐宗悌
대구 국구(추증) 영조 정비 정성왕후의 부친
달천부원군
達川府院君
서미성
徐彌性
대구 보조공신 좌리공신 서거정의 부친
당흥부원군
唐興府院君
단민공
端敏公
홍진
洪進
남양 친공신 호성공신(2등), 보국숭록대부
덕연부원군
德淵府院君
이정
李貞
덕수 보조공신 선무공신 이순신의 부친(좌의정 추증)
덕평부원군
德平府院君
기자헌
奇自獻
행주 친공신 익사공신(2등)·형난공신(2등), 영의정 역임
1623년 삭탈( 인조반정)
덕풍부원군
德豐府院君
충무공
忠武公
이순신
李舜臣
덕수 친공신 선무공신(1등), 좌의정 추증
동래부원군
東萊府院君
익혜공
翼惠公
정난종
鄭蘭宗
동래 친공신 좌리공신(4등), 영의정 추증
면성부원군
沔城府院君
공무공
恭武公
한규
韓珪
면천 ?
친공신
1416년 부원군(당시 도진무)
좌명공신(4등)
무령부원군
武靈府院君
유자광
柳子光
영광 친공신 적개공신(2등)·익대공신(1등)·정국공신(1등)
1507년 삭탈(탄핵)
무성부원군
茂城府院君
충정공
忠靖公
윤형
尹泂
무송 친공신 광국공신(2등), 영의정 추증[15]
무송부원군
茂松府院君
문헌공
文憲公
윤자운
尹子雲
무송 친공신 좌익공신(3등)·좌리공신(1등), 영의정 역임
문성부원군
文城府院君
충경공
忠景公
류량
柳亮
문화 친공신 좌명공신(4등), 우의정 역임
문성부원군
文城府院君
문희공
文僖公
류순
柳洵
문화 친공신 정국공신(2등)·정난공신(1등), 영의정 역임
문양부원군
文陽府院君
류자신
柳自新
문화 국구
친공신
광해군 정비 문성군부인의 부친, 위성공신(1등)
1623년 추탈( 인조반정)
문창부원군
文昌府院君
류희분
柳希奮
문화 친공신 위성공신(2등)·익사공신(1등), 보국숭록대부
1624년 삭탈( 인조반정)
밀원부원군
密原府院君
공간공
恭簡公
박건
朴楗
밀양 친공신 정국공신(3등), 영경연사
밀창부원군
密昌府院君
숙민공
肅愍公
박승종
朴承宗
밀양 친공신 익사공신(2등), 영의정 역임, 1623년 추탈( 인조반정)
반성부원군
潘城府院君
정의공
靖懿公
박응순
朴應順
반남 국구 선조 정비 의인왕후의 부친
봉녕부원군
奉寧府院君
안간공
安簡公
이복근
李福根
전주 종친 정사공신(2등), 진안대군의 아들
1395년 봉녕군→1398년 봉녕후→1401년 봉녕군→1417년 부원군
봉원부원군
蓬原府院君
충정공
忠貞公
정창손
鄭昌孫
동래 친공신 좌익공신(2등)·익대공신(3등)·좌리공신(2등), 영의정 역임, 배향공신( 성종)
상당부원군
上黨府院君
경숙공
景肅公
이애
李薆
청주 친공신
부마
정사공신(1등)·좌명공신(1등), 태조 부마( 경신공주)[16]
이백경(李伯剛)→이저(李佇)→이애 순으로 개명
상당부원군
上黨府院君
충성공
忠成公
한명회
韓明澮
청주 친공신
국구
정난공신(1등)·좌익공신(1등)·익대공신(1등)·좌리공신(1등), 영의정 역임
예종 정비 장순왕후 성종 정비 공혜왕후의 부친, 배향공신( 세조)
상락부원군
上洛府院君
익원공
翼元公
김사형
金士衡
안동 친공신 개국공신(1등)·정사공신(1등), 좌정승 역임
1392년 상락백→1401년 부원군
상락부원군
上洛府院君
문정공
文靖公
김질
金礩
안동 친공신 좌익공신(3등)·좌리공신(2등), 영의정 역임
상락부원군
上洛府院君
김귀영
金貴榮
상산 친공신 평난공신(2등), 좌의정 역임
상락부원군
上洛府院君
충무공
忠武公
김시민
金時敏
안동 친공신 선무공신(2등), 영의정 추증
상산부원군
象山府院君
영평공
靈平公
강계권
康繼權
곡산 외척 태조의 처남
상산부원군
象山府院君
문정공
文貞公
강윤성
康允成
곡산 국구(추증) 태조 계비 신덕왕후의 부친
경안백(慶安伯) 추증, 1669년 부원군 추증
서령부원군
瑞寧府院君
정인홍
鄭仁弘
서산 친공신 정운공신(1등), 영의정 역임
1623년 삭탈( 인조반정)
서릉부원군
西陵府院君
장간공
莊簡公
한치례
韓致禮
청주 친공신 좌리공신(4등), 영돈령부사
서원부원군
西原府院君
문간공
文簡公
한상경
韓尙敬
청주 친공신 개국공신(3등), 영의정 역임
서원부원군
西原府院君
문도공
文度公
이거이
李居易
청주 친공신 정사공신(1등)·좌명공신(1등)
서원백→1401년 부원군→1404년 삭탈( 상왕 복위 시도 혐의)
서원부원군
西原府院君
양절공
襄節公
한확
韓確
청주 친공신
국구
정난공신(1등)·좌익공신(1등), 우의정 역임, 덕종 정비 소혜왕후의 부친
1453년 서성부원군(西城府院君)→1455년 서원부원군, 배향공신( 세조)
서원부원군
西原府院君
문양공
文襄公
한계미
韓繼美
청주 친공신 좌익공신(3등)·적개공신(3등)·좌리공신(2등), 영중추부사
서원부원군
瑞原府院君
윤원형
尹元衡
파평 친공신 위사공신(2등), 영의정 역임
1577년 추탈(위훈삭제)
서원부원군
西原府院君
정간공
貞簡公
정탁
鄭琢
청주 친공신 호성공신(3등)·위성공신(1등), 좌의정 역임, 배향공신( 태종)
서천부원군
西川府院君
충익공
忠翼公
정곤수
鄭崐壽
청주 친공신 호성공신(1등), 영의정 추증
서평부원군
西平府院君
문익공
文翼公
한준겸
韓浚謙
청주 국구 인조 정비 인열왕후의 부친
선성부원군
宣城府院君
문광공
文匡公
노사신
盧思愼
교하 친공신 익대공신(3등)·좌리공신(3등), 영의정 역임
성산부원군
星山府院君
문경공
文景公
이직
李稷
성주 친공신 개국공신(3등)·좌명공신(4등), 영의정 역임
송릉부원군
松陵府院君
윤언청
尹彦淸
남원 보조공신 광국공신 윤형(尹衡)의 부친(영의정 추증)
순흥부원군
順興府院君
정민공
貞愍公
안당
安瑭
순흥 친공신 정난공신(3등), 좌의정 역임
1517년 삭탈(녹훈 취소)
숭선부원군
嵩善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임백령
林百齡
선산 친공신 위사공신(1등), 보국숭록대부
1577년 추탈(위훈삭제)
숭양부원군
嵩陽府院君
김이원
金履元
선산 친공신 위성공신(3등)·익사공신(1등)·형난공신(2등), 보국숭록대부
1623년 추탈( 인조반정)
승평부원군
昇平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김류
金瑬
순천 친공신 정사공신(1등)·영국공신(1등), 영의정 역임, 배향공신( 인조)
시령부원군
始寧府院君
문정공
文貞公
류전
柳㙉
문화 친공신 평난공신(2등), 영의정 역임
신천부원군
信川府院君
장민공
莊敏公
강순
康純
신천 친공신 적개공신(1등), 우의정 역임
1467년 산양군(山陽君)→1468년 부원군→삭탈( 남이의 옥)→1818년 복권
신풍부원군
新豐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장유
張維
덕수 국구 효종 정비 인선왕후의 부친, 정사공신(2등)(추증)
아성부원군
鵝城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이산해
李山海
한산 친공신 광국공신(3등)·평난공신(2등)·익사공신(2등)·정운공신(1등), 영의정 역임
아천부원군
鵝川府院君
의간공
懿簡公
이증
李增
한산 친공신 평난공신(3등), 영의정 추증
안성부원군
安城府院君
이숙번
李叔蕃
안성 친공신 정사공신(2등)·좌명공신(1등), 보국숭록대부
1416년 삭탈(불충·불경죄)
안천부원군
安川府院君
경민공
景敏公
한경
韓卿
안변 국구(추증) 태조 정비 신의왕후의 부친
안평부원군
安平府院君
문간공
文簡公
이서
李舒
홍주 친공신 개국공신(3등), 영의정 역임
양릉부원군
陽陵府院君
허적
許𥛚
양천 친공신 영사공신(1등), 영의정 역임
양천부원군
陽川府院君
충정공
忠貞公
허종
許琮
양천 친공신 적개공신(1등)·좌리공신(4등), 우의정 역임
양천부원군
陽川府院君
허자
許磁
양천 친공신 위사공신(1등), 영의정 추증
1577년 추탈(위훈삭제)
양평부원군
陽平府院君
허준
許浚
양천 친공신 호성공신(3등)
1608년 보국승록대부·부원군으로 승진했으나 취소됨(사후 추증으로 복구)
여량부원군
礪良府院君
정민공
貞愍公
송현수
宋玹壽
여산 국구 단종 정비 정순왕후의 부친
1454년 여량군→1456년 삭탈→1681년 복권
여산부원군
礪山府院君
충정공
忠靖公
송거신
宋居信
여산 친공신 좌명공신(4등), 보국숭록대부
1406년 여량군(礪良君)→1426년 부원군
여성부원군
驪城府院君
순간공
純簡公
민치록
閔致祿
여흥 국구(추증) 고종 정비 명성황후의 부친
여양부원군
驪陽府院君
문정공
文貞公
민유중
閔維重
여흥 국구 숙종 제1계비 인현왕후의 부친, 배향공신( 효종)
여원부원군
礪原府院君
숙정공
肅靖公
송질
宋軼
여산 친공신 정국공신(3등), 영의정 역임
여은부원군
驪恩府院君
충문공
忠文公
민태호
閔台鎬
여흥 국구(추증) 순종 정후 순명효황후의 부친
여천부원군
驪川府院君
경정공
景定公
민여익
閔汝翼
여흥 친공신 개국공신(3등), 대광보국숭록대부
여평부원군
驪平府院君
공목공
恭穆公
민효증
閔孝曾
여흥 친공신 정국공신(4등)·정난공신(2등), 보국숭록대부
여흥부원군
驪興府院君
문도공
文度公
민제
閔霽
여흥 국구
보조공신
태종 정비 원경왕후 및 좌명공신 민무구· 민무질 형제의 부친
여흥백→1401년 부원군
여흥부원군
驪興府院君
익헌공
翼獻公
이상의
李尙毅
여주 친공신 위성공신(3등), 보국숭록대부
1623년 삭탈( 인조반정)
연녕부원군
延寧府院君
정목공
靖穆公
이주
李澍
연안 보조공신 호성공신 이광정의 부친(영의정 추증)
연릉부원군
延陵府院君
문희공
文僖公
이호민
李好閔
연안 친공신 호성공신(2등), 대광보국숭록대부
연산부원군
燕山府院君
문량공
文良公
설장수
偰長壽
경주 ? 검교문하시중, 1396년 종1품 판삼사사로 재등용
고려 ○○○충의군(忠義君)→1392년 부원군→1396년 월성군(月城君)
연선부원군
延善府院君
이국주
李國柱
연안 보조공신 호성공신 이호민의 부친
연성부원군
延城府院君
평정공
平靜公
이말정
李末丁
연안 보조공신 적개공신 이숙기(李淑琦)의 부친
연성부원군
延城府院君
문헌공
文獻公
박원형
朴元亨
죽산 친공신 좌익공신(3등)·익대공신(2등), 영의정 역임
연성부원군
延城府院君
문강공
文康公
이석형
李石亨
연안 친공신 좌리공신(4등), 보국숭록대부
연성부원군
延城府院君
이정화
李廷華
연안 보조공신 정사공신 이귀의 부친(영의정 추증)
연양부원군
延陽府院君
충익공
忠翼公
이시백
李時白
연안 친공신 정사공신(2등), 영의정 역임
연성부원군
延城府院君
충정공
忠靖公
이시방
李時昉
연안 친공신 정사공신(2등), 영의정 추증
연원부원군
延原府院君
이광정
李光庭
연안 친공신 호성공신(2등), 보국숭록대부
연창부원군
延昌府院君
문경공
文敬公
김감
金勘
연안 친공신 정국공신(2등), 영경연사
연평부원군
延平府院君
충정공
忠定公
이귀
李貴
연안 친공신 정사공신(1등), 영의정 추증, 배향공신( 인조)
연흥부원군
延興府院君
의민공
懿愍公
김제남
金悌男
연안 국구 선조 계비 인목왕후의 부친
영가부원군
永嘉府院君
문경공
文敬公
김수동
金壽童
안동 친공신 정국공신(2등), 영의정 역임
영가부원군
永嘉府院君
충장공
忠壯公
권율
權慄
안동 친공신 선무공신(1등), 영의정 추증
영산부원군
永山府院君
문평공
文平公
김수온
金守溫
영동 친공신 좌리공신(4등), 영중추부사
영성부원군
永城府院君
최무선
崔茂宣
영주 ? 우정승 추증
영성부원군
寧城府院君
공희공
恭僖公
오사충
吳思忠
영원 ?
친공신
1398년 무렵 부원군→1401년 영성군, 부원군 재격상 경위 확인 불가
개국공신(3등)
영성부원군
寧城府院君
문정공
文靖公
최항
崔恒
삭녕 친공신 정난공신(1등)·좌익공신(2등)·좌리공신(1등), 영의정 역임
영성부원군
靈城府院君
문간공
文簡公
신광한
申光漢
고령 친공신 위사공신(3등), 보국숭록대부
1577년 추탈(위훈삭제)
영성부원군
靈城府院君
충헌공
忠憲公
박문수
朴文秀
고령 친공신 분무공신(2등), 영의정 추증
영안부원군
永安府院君
충문공
忠文公
김조순
金祖淳
안동 국구 순조 정비 순원왕후의 부친, 배향공신( 정조)
영원부원군
鈴原府院君
평정공
平靖公
윤호
尹壕
파평 국구 성종 계비 정현왕후의 부친
영은부원군
永恩府院君
충순공
忠純公
김문근
金汶根
안동 국구 철종 정비 철인왕후의 부친
영창부원군
永昌府院君
충성공
忠成公
권균
權鈞
안동 친공신 정국공신(4등), 우의정 역임
영천부원군
鈴川府院君
충경공
忠景公
윤사로
尹師路
파평 친공신 좌익공신(1등), 영중추원사
영평부원군
寧平府院君
충정공
忠貞公
최흥원
崔興源
삭녕 친공신 호성공신(2등)·위성공신(1등), 영의정 역임
영풍부원군
永豐府院君
익정공
翼靖公
홍봉한
洪鳳漢
풍산 국구(추증) 장조 정비 헌경왕후의 부친
영흥부원군
永興府院君
정효공
靖孝公
최한기
崔閑奇
영흥 외척 태조 모친 의혜왕후의 부친
부원군 추증→1393년 영흥백(永興伯)
영흥부원군
永興府院君
효간공
孝簡公
김조근
金祖根
안동 국구 헌종 정비 효현왕후의 부친
예천부원군
醴泉府院君
문절공
文節公
권중화
權仲和
안동 ? 영삼사사
1398년 예천백→1401년 부원군
오성부원군
鰲城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이항복
李恒福
경주 친공신 평난공신(3등)·호성공신(1등)·위성공신(1등)·익사공신(2등)·형난공신(2등), 영의정 역임
오흥부원군
鰲興府院君
충헌공
忠憲公
김한구
金漢耉
경주 국구 영조 계비 정순왕후의 부친
옥성부원군
玉城府院君
충정공
忠靖公
장만
張晩
인동 친공신 진무공신(1등), 영의정 추증
옥천부원군
玉川府院君
문희공
文僖公
유창
劉敞
강릉 친공신 개국공신(2등), 보국숭록대부
유경(劉敬)에서 개명, 1405년 옥천군→1415년 부원군
온양부원군
溫陽府院君
정순붕
鄭順朋
온양 친공신 위사공신(1등), 우의정 역임
1577년 추탈(위훈삭제)
완남부원군
完南府院君
이후원
李厚源
전주 친공신 정사공신(3등), 우의정 역임
완령부원군
完寧府院君
이경록
李慶祿
전주 보조공신 정사공신 이서의 부친
완산부원군
完山府院君
양도공
襄度公
이천우
李天祐
전주 친공신 정사공신(2등)·좌명공신(2등), 의금부도제조
1398년 완산후→1401년 완산군→1412년 부원군, 배향공신( 태종)
완산부원군
完山府院君
안양공
安襄公
이축
李軸
전주 친공신 평난공신(1등), 영의정 추증
완성부원군
完城府院君
황헌
黃憲
우주 친공신 위사공신(3등), 좌의정 역임
1577년 추탈(위훈삭제)
완성부원군
完城府院君
충익공
忠翼公
이헌국
李憲國
전주 친공신 평난공신(3등)·호성공신(3등)·위성공신(2등), 좌의정 역임
완성부원군
完城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최명길
崔鳴吉
전주 친공신 정사공신 1등, 영의정 역임
완양부원군
完陽府院君
충헌공
忠憲公
이충원
李忠元
전주 친공신 호성공신(2등), 보국숭록대부
완원부원군
完原府院君
안소공
安昭公
이양우
李良祐
전주 친공신 정사공신(2등), 대광보국숭록대부
1392년 영안군(寧安君)→1398년 영안후→1401년 영안군→1412년 부원군
완평부원군
完平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이원익
李元翼
전주 친공신 호성공신(2등)·익사공신(2등), 영의정 역임, 배향공신( 인조)
완풍부원군
完豐府院君
충정공
忠定公
이서
李曙
전주 친공신 정사공신(1등), 영의정 추증, 배향공신( 인조)
용성부원군
龍城府院君
조돈
趙暾
한양 외척(추증) 외척 조인벽의 부친
고려 용성군(龍城君)
용성부원군
龍城府院君
문열공
文烈公
윤섬
尹暹
남원 친공신 광국공신(2등), 영의정 추증
용원부원군
龍原府院君
양렬공
襄烈公
조인벽
趙仁璧
한양 외척 태조의 누이 정화공주의 남편, 회군공신(2등)
고려 용성군(龍城君)
용원부원군
龍原府院君
윤자신
尹自新
남원 친공신 호성공신(2등)·위성공신(1등), 영의정 추증
용은부원군
龍恩府院君
윤시호
尹時豪
남원 보조공신 호성공신 윤자신의 양부(영의정 추증)
운성부원군
雲城府院君
성렬공
成烈公
박종우
朴從愚
운봉 친공신
부마
정난공신(1등), 태종 부마( 정혜옹주)
1419년 운성군(1444년 폐지)→1450년 운성위→1453년 부원군
원성부원군
原城府院君
충정공
忠靖公
김응남
金應南
원주 친공신 호성공신(2등), 좌의정 역임
원평부원군
元平府院君
충익공
忠翼公
원두표
元斗杓
원주 친공신 정사공신(2등), 좌의정 역임
월천부원군
月川府院君
충목공
忠穆公
이정암
李廷馣
경주 친공신 선무공신(2등), 좌의정 추증
의령부원군
宜寧府院君
충경공
忠景公
남재
南在
의령 친공신 개국공신(1등)·회군공신(3등), 영의정 역임, 배향공신( 태조)
의성부원군
宜城府院君
강무공
剛武公
남은
南誾
의령 친공신 개국공신(1등)·회군공신, 영의정 추증
의춘부원군
宜春府院君
충장공
忠壯公
남이흥
南以興
의령 친공신 진무공신(1등), 영의정 추증
의흥부원군
宜興府院君
남대우
南大佑
의령 보조공신 진무공신 남이웅의 양부(영의정 추증)
익녕부원군
益寧府院君
문정공
文靖公
홍서봉
洪瑞鳳
남양 친공신 정사공신(3등)·영사공신(2등), 영의정 역임
익성부원군
益城府院君
충정공
忠貞公
홍응
洪應
남양 친공신 익대공신(3등)·좌리공신(3등), 좌의정 역임
익성부원군
益城府院君
문희공
文僖公
홍언필
洪彦弼
남양 친공신 위사공신(2등), 영의정 역임, 배향공신( 인종)
1577년 추탈(위훈삭제)
익양부원군
益陽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정몽주
鄭夢周
연일 ?
(추증)
고려 익양군충의백(益陽郡忠義伯)
익창부원군
益昌府院君
신도공
信度公
신수근
愼守勤
거창 국구(추증) 중종 정비 단경왕후의 부친, 좌의정 역임[17]
익평부원군
益平府院君
안량공
安良公
이석근
李石根
전주 종친 1392년 원윤→1406년 익평군→1417년 부원군
익풍부원군
益豐府院君
익헌공
翼獻公
홍재룡
洪在龍
남양 국구 헌종 정비 효정왕후의 부친
익흥부원군
益興府院君
이응순
李應順
원주 친공신 호성공신(3등), 좌의정 추증
인산부원군
仁山府院君
위평공
威平公
홍윤성
洪允成
회인 친공신 정난공신(2등)·좌익공신(3등)·좌리공신(1등), 영의정 역임
인성부원군
寅城府院君
문청공
文清公
정철
鄭澈
영일 친공신 광국공신(3등)·평난공신(2등), 좌의정 역임
장계부원군
長溪府院君
문정공
文貞公
황정욱
黃廷彧
장수 친공신 광국공신(1등), 보국숭록대부
장원부원군
長源府院君
황열
黃悅
장수 보조공신 광국공신 황정욱의 부친(영의정 추증)
장천부원군
長川府院君
양후공
襄厚公
이종무
李從茂
장수 ?
친공신
1419년 장천군→1421년 부원군(당시 경외종편)
좌명공신(4등)
장흥부원군
長興府院君
충정공
忠靖公
마천목
馬天牧
장흥 친공신 좌명공신(3등), 영의정 추증
전양부원군
全陽府院君
류영경
柳永慶
전주 친공신 호성공신(2등), 영의정 역임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하륜
河崙
진양 친공신 정사공신(1등)·좌명공신(1등), 영의정 역임
진산백→1401년 부원군, 배향공신( 태종)
진산부원군
晉山府院君
문경공
文景公
강맹경
姜孟卿
진주 친공신 좌익공신(2등), 영의정 역임
진원부원군
晉原府院君
문정공
文靖公
류근
柳根
진주 친공신 호성공신(2등)·익사공신(2등), 보국숭록대부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문경공
文景公
성석린
成石璘
창녕 친공신 좌명공신(3등), 영의정 역임
고려 창성군충의군(昌城郡忠義君), 1400년 창녕백→1401년 부원군
창녕부원군
昌寧府院君
충간공
忠簡公
조석문
曺錫文
창녕 친공신 좌익공신(3등)·적개공신(1등)·익대공신(3등)·좌리공신(1등), 영의정 역임
창산부원군
昌山府院君
충정공
忠定公
성희안
成希顔
창녕 친공신 정국공신(1등), 영의정 역임
창성부원군
昌城府院君
문정공
文靖公
성여완
成汝完
창녕 ? 검교문하시중, 좌명공신 성석린의 부친
고려 창녕부원군(昌寧府院君)
창성부원군
昌城府院君
양정공
襄靖公
성봉조
成奉祖
창녕 친공신 좌리공신(3등), 영중추부사
철성부원군
鐵城府院君
양헌공
襄憲公
이원
李原
고성 친공신 좌명공신(4등), 좌의정 역임
철성부원군
鐵城府院君
이괄
李适
고성 친공신 정사공신(2등)
1623년 철성군→부원군 봉작 불명[18]→1624년 삭훈( 반란)
청계부원군
淸溪府院君
심우승
沈友勝
청송 친공신 호성공신(2등), 영의정 추증
청릉부원군
靑陵府院君
익효공
翼孝公
심강
沈鋼
청송 국구 명종 정비 인순왕후의 부친, 영의정 추증
청릉부원군
淸陵府院君
충숙공
忠肅公
김좌명
金佐明
청풍 보조공신 보사공신 김석주의 부친(영의정 추증)
배향공신( 현종)
청성부원군
淸城府院君
익경공
翼景公
정탁
鄭擢
청주 친공신 개국공신(1등)·정사공신(2등), 우의정 역임
청성부원군
淸城府院君
질경공
質景公
한치형
韓致亨
청주 친공신 좌리공신(3등), 영의정 역임
청성부원군
淸城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김석주
金錫冑
청풍 친공신 보사공신(1등), 우의정 역임, 배향공신( 숙종)
청송부원군
靑松府院君
공숙공
恭肅公
심회
沈澮
청송 친공신 익대공신(2등)·좌리공신(2등), 영의정 역임
청원부원군
淸原府院君
한경록
韓景祿
청주 친공신
부마
위사공신(2등), 중종 부마( 의혜공주)
1546년 청원위→1547년 부원군→1577년 청원위(위훈삭제)
청원부원군
靑原府院君
충장공
忠壯公
심대
沈岱
청송 친공신 호성공신(2등), 영의정 추증
청원부원군
靑原府院君
심기원
沈器遠
청송 친공신 정사공신(1등), 좌의정 역임
1644년 삭탈(역모)
청원부원군
淸原府院君
정익공
靖翼公
김시묵
金時默
청풍 국구(추증) 정조 정비 효의왕후의 부친
청은부원군
靑恩府院君
심호
沈浩
청송 국구 경종 정비 단의왕후의 부친, 영의정 추증
청천부원군
靑川府院君
안효공
安孝公
심온
沈溫
청송 국구 세종 정비 소헌왕후의 부친, 영의정 역임
청천부원군
淸川府院君
양혜공
襄惠公
한백륜
韓伯倫
청주 친공신
국구
익대공신(3등)·좌리공신(2등), 우의정 역임
예종 계비 안순왕후의 부친
청천부원군
菁川府院君
문정공
文定公
류순정
柳順汀
진주 친공신 정국공신(1등)·정난공신(1등), 영의정 역임, 배향공신( 중종)
청천부원군
靑川府院君
충혜공
忠惠公
심연원
沈連源
청송 친공신 위사공신(3등), 영의정 역임, 배향공신( 명종)
1577년 추탈(위훈삭제)
청파부원군
靑坡府院君
심전
沈銓
청송 보조공신 호성공신 심우승의 부친(영의정 추증)
청평부원군
淸平府院君
정절공
靖節公
이백강
李伯剛
청주 부마 태종 부마( 정순공주)
1400년 청평군→1418년 부원군
청평부원군
淸平府院君
충정공
忠靖公
한응인
韓應寅
청주 친공신 광국공신(2등)·평난공신(1등), 우의정 역임
청풍부원군
淸風府院君
충익공
忠翼公
김우명
金佑明
청풍 국구 현종 정비 명성왕후의 부친
춘성부원군
春城府院君
문정공
文貞公
남이웅
南以雄
의령 친공신 진무공신(3등), 좌의정 역임
칠원부원군
漆原府院君
정평공
靖平公
윤자당
尹自當
칠원 친공신 좌명공신(4등), 보국숭록대부
파산부원군
坡山府院君
윤지임
尹之任
파평 국구 중종 제2계비 문정왕후의 부친
파성부원군
坡城府院君
효성공
孝成公
윤인경
尹仁鏡
파평 친공신 위사공신(2등), 영의정 역임
1577년 추탈(위훈삭제)
파원부원군
坡原府院君
정헌공
靖憲公
윤여필
尹汝弼
파평 국구
친공신
중종 제1계비 장경왕후의 부친, 정국공신(4등)
파천부원군
坡川府院君
양평공
襄平公
윤사흔
尹士昕
파평 친공신 좌리공신(2등), 우의정 역임
파천부원군
坡川府院君
윤탕로
尹湯老
파평 친공신 정국공신(3등)·정난공신(1등), 보국숭록대부
파평부원군
坡平府院君
윤필상
尹弼商
파평 친공신 적개공신(1등)·좌리공신(4등), 영의정 역임
파평부원군
坡平府院君
정정공
貞靖公
윤번
尹璠
파평 국구(추증) 세조 정비 정희왕후의 부친
평성부원군
平城府院君
평간공
平簡公
조견
趙狷
평양 ?
친공신
1403년 평성군→1421년 부원군(당시 판우군도총제부사)
개국공신(2등)
평성부원군
平城府院君
무열공
武烈公
박원종
朴元宗
순천 친공신 정국공신(1등)·정난공신(1등), 영의정 역임, 배향공신( 중종)
평성부원군
平城府院君
충경공
忠景公
신점
申點
평산 친공신 선무공신(2등), 영의정 추증
평성부원군
平城府院君
충익공
忠翼公
신경진
申景禛
평산 친공신 정사공신(1등), 영의정 역임
평양부원군
平壤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조준
趙浚
평양 친공신 개국공신(1등)·정사공신(1등), 영의정 역임
1392년 평양백→1401년 부원군, 배향공신( 태조)
평양부원군
平陽府院君
양경공
襄景公
김승주
金承霔
평양 친공신 좌명공신(4등), 검교좌의정
1401년 여산군(麗山君)→1415년 평양군→1417년 부원군
평양부원군
平壤府院君
강안공
康安公
조대림
趙大臨
평양 부마 태종 부마( 경정공주)
평양부원군
平陽府院君
문숙공
文肅公
박석명
朴錫命
순천 친공신
증직
좌명공신(3등), 보국승록대부(적개공신 박중선의 조부)
평양부원군
平陽府院君
소양공
昭襄公
박중선
朴仲善
순천 친공신 적개공신(1등)·익대공신(3등)·좌리공신(3등), 영의정 추증
평원부원군
平原府院君
원준량
元俊良
원주 보조공신 선무공신 원균의 부친(영의정 추증)
평천부원군
平川府院君
충헌공
忠獻公
신잡
申磼
평산 친공신 호성공신(2등), 영의정 추증
풍녕부원군
豐寧府院君
경헌공
景憲公
홍보
洪靌
풍산 친공신 소무공신(1등), 영의정 추증
풍릉부원군
豐陵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조문명
趙文命
풍양 친공신
국구
분무공신(2등), 좌의정 역임
진종 정비 효순왕후의 부친, 배향공신( 영조)
풍산부원군
豐山府院君
양호공
襄胡公
심응
沈膺
풍산 친공신 적개공신(2등), 영의정 추증
풍산부원군
豐山府院君
류중영
柳仲郢
풍산 보조공신 광국공신 류성룡의 부친(영의정 추증)
풍성부원군
豐城府院君
문경공
文敬公
이기
李芑
덕수 친공신 위사공신(1등), 영의정 역임
1577년 추탈(위훈삭제)
풍원부원군
豐原府院君
문충공
文忠公
류성룡
柳成龍
풍산 친공신 광국공신(3등)·호성공신(2등), 영의정 역임
풍원부원군
豐原府院君
충효공
忠孝公
조현명
趙顯命
풍양 친공신 분무공신(3등), 영의정 역임
풍은부원군
豐恩府院君
충경공
忠敬公
조만영
趙萬永
풍양 국구 익종 정비 신정왕후의 부친, 배향공신( 순조)
하동부원군
河東府院君
문성공
文成公
정인지
鄭麟趾
하동 친공신 정난공신(1등)·좌익공신(2등)·익대공신(3등)·좌리공신(2등), 좌의정 역임
하성부원군
河城府院君
편정공
褊玎公
정현조
鄭顯祖
하동 친공신
부마
익대공신(2등)·좌리공신(1등), 세조 부마( 의숙공주)
1455년 하성위(1466년 폐지)→1467년 하성군→1471년 부원군
한산부원군
漢山府院君
충무공
忠武公
조영무
趙英茂
한양 친공신 개국공신(3등)·정사공신(1등)·좌명공신(1등), 우정승 역임, 배향공신( 태종)
한산부원군
韓山府院君
문열공
文烈公
이계전
李季甸
한산 친공신 정난공신(1등)·좌익공신(2등), 영중추원사 추증
1455년 한성군(韓城君)→1459년 부원군
한산부원군
漢山府院君
문헌공
文憲公
이양원
李陽元
전주 친공신 광국공신(3등), 좌의정 역임
한원부원군
漢原府院君
문익공
文翼公
이덕형
李德馨
광주 친공신 익사공신(2등)·형난공신(2등),영의정 역임
1623년 추탈( 인조반정)
한원부원군
漢原府院君
혜목공
惠穆公
조창원
趙昌遠
양주 국구 인조 계비 장렬왕후의 부친
한천부원군
漢川府院君
양절공
良節公
조온
趙溫
한양 친공신 개국공신(2등)·회군공신·정사공신(2등)·좌명공신(4등), 보국숭록대부
한천부원군
韓川府院君
충장공
忠壯公
이의배
李義培
한산 친공신 정사공신(3등), 영의정 추증
한평부원군
漢平府院君
양경공
良敬公
조연
趙涓
한양 친공신 좌명공신(4등), 우의정 역임
조경(趙卿)에서 개명
한흥부원군
韓興府院君
충간공
忠簡公
이산보
李山甫
한산 친공신 호성공신(2등), 영의정 추증
함릉부원군
咸陵府院君
충민공
忠敏公
이해
李澥
함평 친공신 정사공신(2등), 보국숭록대부
함안부원군
咸安府院君
윤기견
尹起畎
함안 국구(추증) 성종 폐비 윤씨의 부친[19]
함원부원군
咸原府院君
익헌공
翼獻公
어유구
魚有龜
함종 국구 경종 계비 선의왕후의 부친
함은부원군
咸恩府院君
이삼
李森
함평 친공신 부사공신(1등)·분무공신(2등), 추증
함종부원군
咸從府院君
문정공
文貞公
어세겸
魚世謙
함종 친공신 익대공신(3등), 좌의정 역임
해녕부원군
海寧府院君
김희철
金希哲
김해 국구(추증) 광해군 생모 공빈 김씨의 부친[20]
해성부원군
海城府院君
문헌공
文憲公
최황
崔滉
해주 친공신 평난공신(3등)·광국공신(3등), 영의정 추증
해원부원군
海原府院君
문정공
文靖公
윤두수
尹斗壽
해평 친공신 광국공신(2등)·호성공신(2등)·위성공신(1등), 영의정 역임
해은부원군
海恩府院君
충효공
忠孝公
오명항
吳命恒
해주 친공신 분무공신(1등), 우의정 역임
해평부원군
海平府院君
소평공
昭平公
정미수
鄭眉壽
해주 친공신 정국공신(3등), 보국숭록대부
해평부원군
海平府院君
문정공
文貞公
윤근수
尹根壽
해평 친공신 광국공신(1등)·호성공신(2등), 영의정 추증
해풍부원군
海豐府院君
윤택영
尹澤榮
해평 국구 순종 계후 순정효황후의 부친
홍양부원군
洪陽府院君
석양선
石良善
충주 외척 태조의 이모부(추증)
화산부원군
花山府院君
경혜공
景惠公
권전
權專
안동 국구(추증) 문종 정비 현덕왕후의 부친
화산부원군
花山府院君
희양공
僖襄公
장사길
張思吉
안동 외척
친공신
개국공신(1등)·회군공신·정사공신(2등), 태종 후궁의 부친
1398년 영가군(永嘉君)→1398년 화산군→1409년 부원군
화천부원군
花川府院君
문정공
文靖公
심정
沈貞
풍산 친공신 정국공신(3등), 좌의정 역임
회원부원군
檜原府院君
문민공
文敏公
황신
黃愼
창원 친공신 위성공신(2등), 우의정 추증
1623년 추탈( 인조반정)
흥녕부원군
興寧府院君
양도공
良度公
안경공
安景恭
순흥 친공신 개국공신(3등), 보국숭록대부
고성부원군
高城府院君
고려
高呂
제주 ?
친공신
개국공신(3등)
공식 기록에는 고성군(高城君)으로만 확인됨
완성부원군
完城府院君
양후공
良厚公
이백유
李伯由
전주 ?
친공신
개국공신(3등)
공식 기록에는 완성군(完城君)으로만 확인됨
당성부원군
唐城府院君
충헌공
忠憲公
홍세공
洪世恭
남양 ? 사후 영의정 추증
봉군 경위 확인 불가
완산부원군
完山府院君
추수경
秋水鏡
전주 ? 호성공신·보국숭록대부로 추증되었다고 전하나 공식 기록에선 확인되지 않음

3.3. 창작물

드라마 인물 연기자
황후의 품격 오금모 윤다훈
황후의 품격 변백호 김명수

4. 관련 문서



[1] 사실 고려 초기에 원(院)은 후궁의 궁전을 지칭하는 것으로, 그 건물에 거주하는 후궁 본관의 지명을 그대로 따와 '○○院'으로 불렀는데, 나중에 궁(宮)이나 전(殿)으로 승격되었다. 따라서 '원군' 계통의 칭호들은 정식 칭호로 쓰였다기 보다는 궁군(宮君)·전군(殿君) 부류의 궁호였던 것으로 보이는데, 특히 광주원군의 경우 외조부인 왕규의 위상을 감안하면 태자에 책봉되었을 확률이 높으나 왕규와 함께 숙청되면서 태자 칭호가 실전된 것이라 추정된다. 또한 이후에 등장하는 경춘원군·홍덕원군 등은 지명이라기보다는 건물 이름으로 보인다. 대량원군 또한 고려에서 왕족이 정식으로 봉작되는 10세 이전에 불린 칭호이기에 궁호로 보인다. [2] 이 때의 품계는 산계, 즉 개인에게 부여된 품계를 말한다. 산계가 등장한 것은 관료가 직무나 그 밖의 이유로 다양한 품계의 관직을 옮겨다니는 것을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실직에 따라 그에 걸맞게 훈작의 강등과 격상을 반복할 수 없기 때문이다. 조선 기준으로는 종1품 찬성이 정2품 판서로 옮겨 가는 것이나 정1품 의정이 종1품 판중추부사 또는 정2품 지중추부사로 옮겨 가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산계는 중국사의 경우 대체로 당나라 때, 개인의 품계와 관직의 품계를 비교하기 위한 행수법(行守法) 또는 행수시법(行守試法)은 대체로 송나라 때 전형적인 형태로 정립되어 파생됐다. [3] 본인의 공적으로 친히 책록된 정공신(正功臣)으로 책록된 인물을 뜻한다. [4] 정1품이 아니었던 부원군은 영성부원군 오사충이다. 오사충은 문하부의 재신인 정당문학까지 오른 현직이었고 부원군이 된 경위는 알 수 없다. 오사충의 이름이 기로소 기사안에 보이므로 기로소에 들어가 원로 대우를 받은 것일 수도 있고, 1398년 백이 정1품 봉작으로 정해졌을 때에도 품계가 정1품이 아닌데 백에 봉해진 경우가 있었던 것을 볼 때 건국 직후의 환경상 기준이 정립되지 않았거나 예외적인 상황의 하나일 수도 있다. [5] 신덕왕후의 아버지 강윤성은 경안백이었고 왕비의 친족 강계권이 상산부원군에 봉해졌다. 태조의 외할아버지 최한기는 처음에는 영흥부원군이라고 했다가 나중에 영흥백으로 바뀌었다. 신의왕후의 조상은 태조 당시의 추증 기록을 확인할 수 없다. 이후 태종 때 제릉 비문을 세울 때 아버지 안천부원군 한경, 할아버지 안천부원군 한규인, 증조부 안원군 한유가 처음 언급된다. 세종 이후의 기록에는 한경은 계속 안천부원군으로 나타나며 안천백이 새롭게 언급되는데, 안천부원군의 묘소는 신의왕후의 모친인 삼한국대부인 최씨와 함께 언급되는 것으로 보아서 안천백은 한규인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인다. [6] 단산백(丹山伯) 이무(李茂)와 영성부원군(寧城府院君) 오사충(吳思忠) 등이 이 사례에 해당된다. 이 시점 이후 이무는 단산군이 되었다가 정1품으로 승진한 뒤에 단산부원군이 되었으며, 오사충은 영성군으로 나타난다. [7] 실제로 1412년에 태조의 직계 후손이 아닌 종친의 봉작이 폐지되면서, 태조의 이복형 이원계(李元桂)의 아들이자 정사공신인 이양우(李良祐)는 공신 봉군으로 전환되어 오히려 부원군으로 격상되었다. 이 사례를 통해서 원래 종친은 부원군이 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된다. [8] 동아시아에서 종실(종친)과 이성 신하는 애초에 다른 신분으로 다루어졌는데, 일례로 고려 때 제정된 봉군제 하에서도 종2품 정윤인 종실은 정1품 정승보다도 의전상 서열이 높았다. 이렇게 종친을 실제 품계보다 높여 예우하는 원칙은 조선에서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 사실 왕족을 특별한 신분 계층으로 높인 것은 동아시아 뿐만 아니라 전세계에서 보편적으로 발견되는 현상이다. [9] 친공신 선고의 공신호는 1등공신의 경우 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純忠積德秉義補祚功臣), 2등공신의 경우 순충적덕보조공신(純忠積德補祚功臣), 3등공신의 경우 순충보조공신(純忠補祚功臣)이다. 4등공신의 선고는 3등공신의 예에 따르도록 조치되었다. [10] 성종 이후로 정1품 영돈령부사(領敦寧府事)는 국구가 맡게 되었으므로, 국구는 무조건 정1품인 신분이 되었다. [11] 예를 들면 조선 순조 때 정승으로 오성부원군 이항복의 6대 봉사손 자격으로 승습한 오은군 이경일이 있다. [12] 김심묘지명에서 복안옹주(福安翁主)의 남편으로 언급되지만, 당시에 활동한 단양부원대군과 봉호가 겹치는 종실이 있을 수 없는 만큼 단양부원대군을 줄여서 표기한 것으로 보인다. [13] 회산부원군(檜山府院君)으로 기록되기도 함. [14] 《세종실록》에서 '곡성군(谷城君)'으로 오기(誤記)함. [15] 《선조수정실록》에서 '무릉부원군(茂陵府院君)'으로 오기(誤記)함. [16] 1396년 상당군→1398년 상당후→1401년 상당군→1404년 삭탈(부친 이거이에 연좌)→1410년 부원군(복권·보국숭록대부) [17] 중종반정 이후 연산군의 처남이란 이유로 사사, 딸 단경왕후 폐출과 함께 작호를 받지 못하다가 1739년(영조 15)에 추증됨. [18] 인조실록, 연려실기술, 번암집, 속잡록 등의 기록에 의하면 박영서가 이괄에게 너는 부원군으로서 부원수를 겸하였는데 무엇이 부족하여 반역할 생각을 했냐며 꾸짖었다라는 걸 보면 이괄이 부원군에 봉해진것은 확실하다. 실록의 기록에서는 이괄의 봉군명을 찾아 볼 수 없는데, 계해정사록과 연려실기술의 기록에 의하면 이괄이 철성군(鐵城君)에 봉해졌다고 하므로 이괄의 봉군명은 철성부원군으로 추정된다. [19] 1476년 함안군 추봉(숙의 윤씨가 중전으로 승격)→부원군(원자 연산군 탄생으로 영의정 증직)→1479년 추탈(윤씨의 폐출)→1495년 복권(제헌왕후 추존)→1506년 추탈 [20] 1610년 추증(광해군 즉위 후 공성왕후 추존)→1623년 추탈( 인조반정)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