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30 19:57:39

남재


<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판문하부사
홍영통, 안종원, 권중화, 심덕부, 이화, 이거이, 조준, 김사형
초대

이서
제2대

이거이
제3대

성석린
제4·5대

조준
제6대

성석린
제7대

이화
제8대

하륜
제9대

이서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성석린
제14대

남재
제15대

류정현
제16대

한상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17대

심온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하연
}}}
제21대

하연
제22대

황보인
제22대

황보인
제23대

이유
제24대

정인지
제25대

정창손
제26대

강맹경
제27대

정창손
제28대

신숙주
제29대

구치관
제30대

한명회
제31대

황수신
제32대

심회
제33대

최항
제34대

조석문
제35대

이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대

박원형
제37대

한명회
제38대

홍윤성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9대

윤자운
제40대

신숙주
제41대

정창손
제42대

윤필상
제43대

이극배
제44대

노사신
제45대

신승선
제46대

한치형
제47대

성준
제48대

류순
}}}
}}}}}}}}}
남재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좌시중 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 문하좌정승 → 좌정승 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 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류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제46대

윤자운
제47대

김국광
제48대

최항
제49대

한명회
제50대

조석문
제51대

심회
제52대

윤필상
제53대

홍응
제54대

노사신
제55대

신승선
제56대

정괄
제57대

어세겸
제58대

한치형
제59대

성준
제60대

이극균
제61대

류순
제62대

허침
제63대

박숭질
제64대

신수근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우시중 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 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 판의정부사 → 우의정 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제66대

정괄
제67대

어세겸
제68대

정문형
제69대

한치형
제70대

성준
제71대

이극균
제72대

류순
제73대

허침
제74대

박숭질
제75대

강귀손
제76대

신수근
제77대

김수동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 남은 남재 배극렴
오몽을 이제 이지란 이화
장사길 정도전 정총 정탁
정희계 조박 조인옥 조준
김인찬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협찬개국공신 (2등)
정지 유창 윤호 이민도
황희석 정용수 조기 조반
조영규 조온 홍길민 조견
박포 장담
익대개국공신 (3등)
고여 김균 김로 손흥종
심효생 안경공 오사충 유원정
이근 이백유 이부 이서
이직 장지화 함부림 황거정
민여익 임언충 장사정 조영무
한상경 한충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역대 종묘 배향공신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00d45,#94153e> 태조 조준, 의안대군, 이지란,
조인옥, 남재, 이제, 남은
정종 익안대군
태종 하륜, 조영무, 정탁, 이천우, 이래
세종 황희, 최윤덕, 허조, 신개,
이수, 양녕대군, 효령대군
문종 하연
세조 권람, 한확, 한명회
예종 박원형
성종 신숙주, 정창손, 홍응
중종 박원종, 성희안, 류순정, 정광필
인종 홍언필, 김안국
명종 심연원, ■이언적
선조 이준경, ■이황, ■이이
인조 이원익, 신흠, 김류, 이귀,
신경진, 이서, 능원대군
효종 김상헌, ■김집, ■송시열,
인평대군, 민정중, 민유중
현종 정태화, 조경, 김좌명, 김수항, 김만기
숙종 남구만, ■박세채, 윤지완,
최석정, 김석주, 김만중
경종 이유, 민진후
영조 김창집, 최규서, 민진원, 조문명, 김재로
장조 이종성, 민백상
정조 김종수, 유언호, 김조순
순조 이시수, 김재찬, 김이교,
조득영, 남연군, 조만영
문조 남공철, 김로, 조병구
헌종 이상황, 조인영
철종 이헌구, 익평군, 김수근
고종 박규수, 신응조, 이돈우, 민영환
순종 송근수, 이완용, 서정순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동무종향)
: 문묘 종사 동국 18현을 겸하는 6인(서무종향)
}}}}}}}}}

관학파
官學派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신진사대부(급진파)
고려말
( ~ 1392)
권근 김사형 김인찬 남은 남재
배극렴 심효생 윤소종 정도전 조준
태조
(1392 ~ 1398)
의안대군파 정안군파
남은 심효생 권근 남재 민무구
이방석 이제 이거이 이방원 이숙번
정도전 조준 이화 조영무 하륜
정종 - 태종
(1398 ~ 1418)
권근 남재 민무구 민무질 민무휼
민제 박포 이거이 이숙번 이제
이지란 이화 조준 조영무 하륜
세종 - 문종
(1418 ~ 1452)
김종서 맹사성 성삼문 신숙주 심온
류정현 이순지 정분 정인지 정창손
조말생 최만리 황보인 황희 허조
단종 - 세조
(1452 ~ 1468)
친수양대군 반수양대군
구치관 권람 신숙주 김종서 박팽년
양정 정인지 정창손 성삼문 안평대군
최항 한명회 홍윤성 정분 황보인
훈구파 멸문
( 계유정난)
조선의 붕당
(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조선 영의정부사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 충경공(忠景公)
남재
南在
출생 1351년( 충정왕 3)
사망 1420년 1월 8일[1] (향년 68 ~ 69세)[2]
(음력 1419년, 세종 1년 12월 14일)
재임기간 제14대 영의정부사
1416년 6월 20일 ~ 11월 20일
(음력 태종 16년 5월 25일 ~ 11월 2일)
묘소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 918
봉호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
시호 충경(忠景)
본관 의령 남씨
이름 겸(謙)[3] → 재(在)[4]
경지(敬之)
귀정(龜亭)
부모 부친 - 남을번(南乙蕃, 1320 ~ 1395)
모친 - 경주 최씨 최강(崔茳)의 딸
부인 변한국대부인(卞韓國大夫人) 파평 윤씨[5]
형제자매 동생 - 의성군(宜城君) 남은
자녀 장남 - 남경문(南景文, 1370 ~ ?)
손자 장손 - 좌의정 남지
차손 - 직제학 남간
3손 - 부마 남휘(南暉, ? ~ 1454)


1. 개요2. 생애3. 여담4. 대중매체

[clearfix]

1. 개요

여말선초의 관료, 조선 개국공신이자 정승. 이성계를 도와 조선 왕조 개국에 책사로 활약해 개국공신 1등에 봉해졌다.

조선 최초의 대사헌이기도 하다.

2. 생애

남재(南在)는 1351년(충정왕 3)에 의령 남씨(宜寧南氏) 집안에서 4형제 중 장남으로 출생하였다. 조부는 지영광군사 남천로이며 부친은 밀직부사를 지내고 검교시중을 역임한 남을번[6]이고 어머니는 최강(崔茳)의 딸이다. 초명은 남겸(南謙)이다. 이색 제자로 학문을 배웠으며 1371년 진사시에 5등으로 급제하여 좌부대언까지 지냈다. 정몽주, 정도전, 조준 등과 친하게 지냈으며 이후 동생 남은과 함께 이성계를 추대하여 개국에 힘썼다. 한편 그의 숙부 남을진, 스승 이색, 동문 정몽주 등은 역성혁명에 반대하였다.

1392년 7월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자 직후 그는 포상을 피하여 지방에 있었는데 태조는 사방을 수소문하여 그를 찾았다. 그를 찾아낸 후 이성계는 그가 별 탈 없이 건강함을 기뻐하여 '재(在)'라는 이름을 하사하였다. 선기무양상재!(善其無恙尙在!)라 하고 이름을 여기서 따서 지은 것이다. 이에 대하여 그는 자신의 자(字)를 '경지(敬之)'라 하였는데 경은 경군사(敬君賜)라는 뜻으로 태조의 은혜에 대한 감사함을 표한 것이다. 조선 개국 1등 공신으로 중추원 학사에 대사헌을 겸하게 하여 의성군에 봉했다.

건국 직후 문무백관의 관제가 정해지면서 사실상 첫 번째 대사헌의 직을 맡게 된 셈인데, 그는 대사헌으로서 척불, 국경 방어, 음사(淫祀) 배척, 군사 징발 등과 관련한 정책 기조를 제시하였다.

1393년 주문사가 되어 사이가 좋지 않던 조선과 명나라와의 관계를 개선해 명나라 태조로부터 3년에 1차례씩 조공할 것을 허락받았다. 그 공으로 판중추원사가 되고 이듬해 참찬문하부사가 되었다.

1394년에는 당시 정안군(靖安君)이었던 이방원을 따라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오기도 했다. 아무도 수행하려 하지 않았던 정안군의 호종을 자청했으며 어느 누구도 정안군을 예로 대하지 않았으나 그만 홀로 정안군을 예로써 대하였다.[7]
태조(太祖)께서 정안군(靖安君)에게 일렀다.
"명나라 황제가 만일 묻는 일이 있다면 네가 아니면 대답할 사람이 없다."
정안군이 대답하였다.
"종묘와 사직의 크나큰 일을 위해서 어찌 감히 사양하겠습니까?"
이에 태조가 눈물을 글썽거리면서 말하였다.
"너의 체질이 파리하고 허약해서 만리의 먼 길을 탈 없이 갔다가 올 수 있겠는가?"
조정 신하들이 모두 정안군이 위험하다고 하니, 남재(南在)가 말하였다.
"정안군이 만리의 길을 떠나는데 우리들이 어찌 베개를 베고 여기에서 죽겠습니까?"
하고서 스스로 따라가기를 청하였다.
<태조실록> 6권, 태조 3년(1394년) 6월 1일
임금(태조)이 광실원(廣實院) 동쪽에 이르러 양원식이 말한 도읍할 만하다는 곳을 보았는데 모두 좋지 못하다고 말하여 그만두고, 장단 나루에 이르러 다락배를 타고 노니, 재상들과 노인들이 모두 헌수(獻壽)하였다. 술이 거나하게 취하자, 검교 시중 남을번(南乙蕃)이 일어나 덩실덩실 춤을 추니, 임금이 남은을 돌아보고 말하기를,
"경은 부모가 모두 계시고 몸이 재상이 되었는데, 나는 비록 오늘날 일국의 임금으로 귀하게 되었다 해도 어찌 경에게 미치겠는가?"[8]
하고서 흐느끼며 눈물을 흘렸다. 물을 따라 내려와 아래 여울 가에서 유숙하였다.
<태조실록> 6권, 태조 3년(1394년) 8월 16일

1395년 아버지 남을번의 상을 당해 은거하니 동생 남은과 함께 기복되어 삼사좌복야에 임용되고 노비변정도감의 판사를 맡았다.
검교 시중(檢校侍中) 남을번(南乙蕃)이 졸(卒)하였다. 을번의 본관(本貫)은 진주(晉州) 의령(宜寧)이요, 영광 군사(靈光郡事) 남천로(南天老)의 아들이다. 천성이 순후하고 근신하며, 고려조에 벼슬하여 밀직 부사(密直副使)에 이르렀다. 아들 넷이 있으니 남재(南在)·남은(南誾)·남실(南實)·남지(南贄)이다. 개국 당초에 재와 은이 개국 공신이 되었으므로 검교 시중을 받았다. 향년이 76세이며, 시호(諡號)를 경렬(敬烈)이라 하고 관(官)에서 장사를 치렀다.
<태조실록> 7권, 태조 4년(1395년) 2월 13일

1396년에 문춘추관 태학사로서 도병마사에 임명되어 대마도(對馬島)을 정벌하고 돌아왔다. 정도전의 급진적인 개혁 정책에 염증을 느끼고 정도전 및 그와 친분이 있는 동생 남은과도 거리를 두었는데 1398년 1차 왕자의 난이 일어나자 정도전의 충실한 협력자였던 동생 남은과 달리 정안군이 그를 자신의 사가로 보내어 목숨을 구했다. 이후 잠시 의령으로 쫓겨났다가 곧 복귀하였다.
정당 문학(政堂文學) 남재(南在)는 남은의 형이다. 일찍이 명령을 받들어 송악(松嶽)에 도사(禱祀)하다가, 변고가 났다는 말을 듣고 돌아와서 여러 왕자를 알현(謁見)하였으나, 같이 죄주고자 하는 사람이 있는지라, 우리 전하(殿下)(태종) 가 말하였다.

"남재는 평소에 남은과 마음을 같이하지 아니했으니 연관시켜 미치게 할 수 없다."
<태조실록> 14권, 태조 7년(1398년) 8월 26일
남재(南在)를 의령(宜寧)으로 내쫓았다. 처음에 우리 전하 (태종) 께서 남재를 보전하고자 하여 자기 제택(第宅)에 두게 했었는데, 그 어머니가 남은(南誾)의 난리에 죽었다고 생각하여 매우 슬피 우니, 남재가 그 수염을 뽑아 어머니에게 보내었다. 그 어머니가 말하기를,
"재(在)는 죽지 않았구나."
난리가 평정된 뒤에 어머니를 과주(果州)의 전장(田莊)에서 뵈옵고 그대로 머물러 있었는데, 남은 당여(黨與)의 죄를 다스린다는 말을 듣고서, 남재는 두려워하여 미복으로 도망하였으나, 대장군 마천목(馬天牧)이 그를 완산(完山) 노상(路上)에서 만나 그 관아에 구치(拘置)하고, 조정에 와서 알리니, 그 때문에 이 명령이 있게 되었다.
<태조실록> 15권, 태조 7년(1398년) 10월 26일

1398년 정종이 즉위하자 정안공(靖安公) 이방원을 세자로 책봉할 것을 주장하였다. 당시 이방원은 매우 화를 내며 나무랐다고 하나, 사흘 뒤 이방원은 세자로 책봉되었다. 아무래도 이방원의 최측근인 남재가 일부러 나서서 분위기를 전환시킨 것으로 보인다.[9] 물론 아무리 거리를 두었다 해도 남은의 친형인 만큼 여기서 본인이 더 적극적으로 총대를 매야 한다고 생각했을 수도 있다.
임금(정종)이 즉위(卽位)한 뒤에 남재(南在)가 대궐 뜰에서 크게 말하기를,
"지금 곧 마땅히 정안공(靖安公)을 세워 세자(世子)로 삼아야 한다. 이 일은 늦출 수가 없다."
하였으므로, 정안공이 듣고 크게 노하여 꾸짖었었다. 임금이 적사(嫡嗣)가 없었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모두 마음속으로 정안공이 세자가 되리라 생각하였다.
<정종실록> 3권, 정종 2년(1400년) 1월 28일

1398년 정당문학이 되어 하륜과 함께 1400년 정안군이 왕위에 오르는데 큰 공을 세웠다. 태종이 즉위하자 세자의 서연관에 빈객이 되었다. 1403년에는 경상도 관찰사가 되었으며 1404년 찬성사, 1408년 대사헌이 되었다가 1414년 우의정, 의령부원군에 제배되고 감추추관사로 과거를 관장해 권도, 성개 등을 시취했다. 1415년 좌의정이 되었다가 수문전대제학 겸 세자부가 되었으며 1416년에 영의정이 되었다. 좌의정이던 시절 태종이 충녕대군을 통해 연회를 베풀어 대접케 했는데 모든 공경대부 앞에서 충녕대군에게 차기 보위를 이을 재목임을 넌지시 얘기하였다. 재미있는 것은 이에 대해 아무런 반응이 없는 충녕대군의 반응과 웃음으로 넘긴 태종의 반응이다.[10][11]
사간원 좌사간(司諫院左司諫) 이명덕(李明德) 등이 상소하였다.
"의령군(宜寧君) 남재(南在)는 남은(南誾)의 동모형(同母兄)이니, 깊은 모의와 비밀의 계책을 알지 못함이 없을 것입니다. 손흥종(孫興宗)·황거정(黃居正)이 봉사(奉使)하던 날을 당하여 비밀히 사주하여 이숭인(李崇仁)·이종학(李種學)을 함부로 죽인 것은 남재가 어찌 알지 못할 까닭이 있겠습니까? 전일에 전하가 불러 함부로 죽인 까닭을 물었는데, 남재가 알지 못한다고 대답하여 천총을 기망(欺罔)하였으니, 원컨대, 유사에 내리어 국문하소서."
임금이 말하였다.
"남재 형제가 평소에 우애하지 못한 것은 사람이 다 아는 것이다. 어찌 남재가 알고서 사실대로 고하지 않았겠는가? 다시는 묻지 말라."
<태종실록> 22권, 태종 11년(1411년) 8월 11일
충녕 대군(忠寧大君) 이 의령 부원군(宜寧府院君) 남재(南在)에게 연향[12] 하였다. 대군이 남재를 그 집에서 연향하는데, 남재가 여러 사람이 있는 자리에서 대군에게 이르기를,

"옛날 주상께서 잠저(潛邸)에 계실 때에 내가 학문을 권하니, 주상께서 말하기를, ‘왕자는 참여할 데가 없으니 학문은 하여 무엇하겠느냐?’하기에, 내가 말하기를, ‘군왕의 아들이 누가 임금이 되지 못하겠습니까?’하였는데, 지금 대군이 학문을 좋아하는 것이 이와 같으니 내 마음이 기쁩니다."[13]
하니, 뒤에 임금이 듣고 크게 웃으며 말하기를,
"과감하다! 그 늙은이가."
하였다.
<태종실록> 30권, 태종 15년(1415년) 12월 30일

재미있는 기록으로, 태종이 술자리를 베풀다가 예전 무인정사 때 남재가 그 동생 남은의 죄로 인해 연좌되어 죽을 것을 두려워하여 꽁지가 빠지게 도망가던 것을 끄집어내서 놀리는 기록이 있다. 이 기록을 보면 남재가 당시 태종과 원경왕후에게 얼마나 신임을 받았는지를 알 수 있는데, 남재가 그 동생의 일로 두려워하자 태종이 일부러 사람을 시켜 남재를 자신의 사가(私家)에 숨겨 주고, 그러고도 남재가 겁에 질려 있자 원경왕후까지 나서서 그를 달래 주는 모습이 나타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끝끝내 두려움을 이기지 못하여 도망가다가 결국 남원에서 마천목 장군에게 잡혀서 돌아왔으니 태종 입장에서는 서운하면서도 재미있는 기억이었을 것. [14]
신루(新樓)에 술자리를 베풀었다. 의령 부원군(宜寧府院君) 남재(南在)가 한경(漢京)에서 와서 시좌(侍坐)391) 하니, 임금이 농담으로 무인년(戊寅年) 가을에 아무도 죄를 논의하는 사람이 없었으나 남재가 겁을 내어서 도망하였던 상황을 말하기를,

"남은(南誾)의 난(亂)에 경이 유후사(留後司)에서 와서 갈 곳을 알지 못하고 두려워 하여 쩔쩔매고 있었으므로, 내가 사람을 시켜 우리 집에 잡아다가 두게 하였는데, 우리 집에 이르자 지금 세자(世子)[15]를 안고 홀로 대청(大廳)에 앉아서 두려워하고 겁에 질려 말하기를, ‘내가 장차 어디로 가겠습니까? 원컨대, 숨을 곳에 들여 주소서.’하니, 정비(靜妃) (훗날의 원경왕후 민씨) 가 말하기를, ‘절대로 두려워할 것이 없습니다. 만약 사건이 있으면 반드시 사람을 시켜 통지(通知)하겠습니다.’하였다. 남재는 마침내 스스로 안정하지 못하고 도망하여 갔는데, 나라에서 그 모양을 그리어 여러 군(郡)·현(縣)에 펴서 물색(物色)하여 이를 구(求)하여, 장차 의령(宜寧)에 부처(付處)하려고 하였다. 남재가 미복(微服) 차림으로 걸어서 가다가 저녁에 한 촌사(村舍)에 투숙(投宿)하였는데, 주인 노파가 자세히 보고 말하기를, ‘객(客)의 생긴 모양을 보니, 방금 나라에서 찾는 남 정당(南政堂)[16]과 같습니다.’하니, 남재가 천천히 대답하기를, ‘내가 이처럼 빈천(貧賤)한데, 만약 남 정당(南政堂)이라도 된다면 다행하겠다.’[17] 하므로, 노파가 말하기를, ‘내일 아침에 마땅히 주관(州官)에 나아가서 이를 고(告)하겠습니다.’하고, 꼭두 새벽에 일어나 보니, 남재가 간 지가 이미 오래였다. 마천목(馬天牧)이 남원(南原)으로 가는 도중(途中)에 만났는데, 남재가 채찍을 때려서 말을 몰므로 마천목이 말에서 내려 두 손을 모으고 서서 말하기를, ‘영공(令公)은 어디로 가십니까?’ 하였으나, 남재가 돌아보지도 않고 가면서 말하기를, ‘쳇! 나를 어떤 사람이라고?’하니, 마천목이 말하기를, ‘영공(令公)은 정지하소서. 내가 어찌 남 정당(南政堂)을 알아보지 못하겠습니까?’ 하였다. 남재가 뒤로 물러서서 바로 보면서 말하기를, ‘내가 남재인가?’ 하였으나, 마천목이 웃으면서 정지시키니, 남재가 망연(茫然)히 탄식하기를, ‘네가 정말 나의 3세(三世: 즉, 3대의) 원수로다.’ 하였다."
하니, 여러 경들이 다투어 이를 말하였다. 남재가 능히 대답하지 못하고 다만 ‘허허허’ 할 뿐이었고, 임금도 또한 크게 웃으니, 여러 경들도 모두 입을 벌리고 크게 웃었다.
<태종실록> 35권, 태종 18년(1418년) 6월 10일

1419년 남재가 죽자 세종이 직접 사저로 조문을 나오는 영예를 누렸고 아들인 남경문(南景文)이 요절하여 남재의 상주는 손자 남지가 되었다. 봉사손인 남지를 문음으로 등용하였으며 사헌부 지평으로 출사하여 후에 문종 단종 때 좌의정에 이르렀는데 < 조선왕조실록>에 보면 세종 조에는 오랜 기간 대언[18]으로 왕의 곁에서 시종하며 사랑을 받았다.[19] 남재는 종묘의 태조실에 배향됨으로써 종묘배향공신이 되었다.
남재의 졸기
의령 부원군(宜寧府院君) 남재(南在)가 죽었다. 조회와 저자[市]를 3일 동안 정지하고, 부의(賻儀)로서 쌀과 콩 각 70섬, 종이 2백 권을 주고 관에서 장사를 비호(庇護)하고 시호를 충경(忠景)이라 하였는데, 자신을 위태하게 하면서 윗사람을 받든 것이 충이고, 의(義)에서 행하면서 일을 이루는 것이 경이다. 재는 경상도 의령이 본관이다. 젊어서 과거에 급제하고, 지금 일에도 밝고 옛일에도 통달하였다. 대성(臺省)을 역임하고 중외에 드나들어 경세 제민(經世濟民)하는 재간이 있었다.〈고려가 조선으로〉세상이 바뀔 무렵에〈태조를〉추대하는 모략이 재한테서 많이 나왔고, 갑술년139) 사이에 상왕 (태종) 이 왕자로서 명나라에 들어갔을 때 재가 따라갔는데, 그때 함께 갔던 재상이 자못 불공하였으나 홀로 재만은 예로서 공경하였다. 무인년에 그의 아우 남은(南誾)이 정도전(鄭道傳)·심효생(沈孝生)과 더불어 여러 적자를 없애버리기로 모의하였으나, 상왕이 재는 모의에 간여하지 않았다 하고 사저(私邸)에 두었다가, 사건이 평정된 뒤에 죽음을 면하게 하여 귀양보내고 다시 소환하였다. 여러 번 벼슬이 승진하여 우의정에 이르고 부원군에 봉하게 되었는데, 상왕이 기구 대신(耆舊大臣)으로서 특히 예모(禮貌)를 더하여 대우하였다. 이때에 이르러 병으로 죽으니, 나이 69세였다. 그의 손자 남휘(南暉)는 상왕의 네째 딸 정선 공주(貞善公主)와 결혼하였다. 그가 젊었을 때에는 집이 가난하여 종 하나 말 한 필이었으며, 합문 지후(閤門祗候)로서 아홉 해나 승진하지 못하니, 그의 부옹(婦翁)도 예대(禮待)하지 않았다. 개국 공신이 되자, 세도를 믿고 남의 노비를 많이 탈취하였다. 무인년에 변정 도감(辨定都監) 제조(提調)가 되었을 적에 어떤 사람이 재를 고소한 일이 있는데, 재가 성을 내어 딴 일을 가지고 여러 가지 방법으로 핍박하니, 그 사람은 분해서 죽었다. 그 까닭에 만년에는 재산이 제법 부유하였다. 또 그 아우 남실(南實)과 살림을 다투어서 종신토록 화목하지 못하였으며 남실은 아침 밥을 겨우 먹는데도 구휼하지 않았다.[20]
<세종실록> 6권, 세종 1년(1419년) 12월 14일
임금이 법가(法駕)를 갖추어 백관을 거느리고 남재의 집에 거둥하여 사제(賜祭)하였다. 임금이 그 집 문전 6, 7보 앞에서 말을 내려 악차에 들어갔는데, 상주(喪主) 남지(南智)가 길 왼편에 엎드려서 맞이하였다. 지에게 명하여 잔을 올려 제사를 드리게 하고, 소윤(少尹) 김상직(金尙直)이 교서를 읽었다. 제를 마친 다음 임금이 법가를 돌렸는데, 지(智)가 길 왼편에 엎드려서 애곡(哀哭)하니, 임금이 식(軾) 에 이마를 대어 예하고 지나갔다. 그 교서에 말하기를,
"듣건대 원수(元首)와 고굉(股肱)은 한몸 한마음이라. 그러므로 임금이 신하에게 살아서는 작록으로 영화를 주고, 죽어서는 조휼(弔恤)의 은전을 베푸는 것이 고금에 통한 의리요, 국가의 떳떳한 법칙이다. 생각건대 경은 낭묘(廊廟)의 거룩한 자질과 산하의 뛰어난 정기를 타고 나서 백가(百家)의 학문을 다 닦고 세상 만사의 변화를 처리하는 재주가 있었다. 대[竹]를 쪼개고 물고기를 나누매 , 백성들은 바지[袴]가 다섯 벌이라는 노래를 부르게 되고 , 수레에 올라 고삐를 잡으매 노래는 《감당(甘棠) 에 미쳤도다. 착한 정책을 건의하고, 아름다운 정치를 실시하여 후설(喉舌)의 책임을 맡으매, 탁한 것을 물리치고 맑은 것을 드높였으며, 오대(烏臺)에 있을 때, 홀로 그 명망이 우뚝 솟았고, 암랑(岩廊) 의 영수(領袖)가 되어 만사를 조화하여 정내(鼎鼐) 와 같이 안정시켰으며, 중외의 여러 관직을 역임하여 성명(聲名)이 자심(藉甚)하였다. 옛날 고려 말기의 정치가 어지럽고 백성이 흩어져 천명과 민심이 덕있는 사람에게 돌아가자, 경은 그 기미를 밝게 알고 성조를 추대하여 억만년 무궁한 큰 자리를 개창하였고, 우리 상왕께서 명나라에 조근(朝覲)할 때 경도 또한 배종(陪從)하여 산을 넘고 물을 건너 〈상왕의〉 고생스럽고 어려움을 막았으매, 〈내가〉 왕위에 오르자 비익(裨益)함이 더욱 많아, 어린 나에게는 경과 같은 늙은이가 더욱 수감(水鑑)과 약석(藥石)이 될 것인데, 지금 그만이니 무엇으로 마음을 잡을까. 하물며 경은 과인(세종) 에게 옛 은혜의 교분[21] 이 있고, 경의 손자[22] 는 인척의 경사가 있어, 장차 백료(百寮) 의 의표(儀表)가 되어 네 세대를 보필할 것이라 하였더니, 하늘이 백성을 불쌍하게 여기지 않으심인지 갑자기 방아노래를 멈추게 하였으니, 마음 아픔을 어찌 참으랴. 이에 유사에게 명하여 삼가 상사(喪事)를 치르게 하고, 이제 박한 제물을 갖추어 소유(素惟)) 에 와서 제전(祭奠)을 드리노라. 어허, 국가와 함께 휴척(休戚) 을 같이하는 마음을 처음부터 끝까지 길이 두 어깨에 졌으니, 애도하고 영광을 주는 예도 존망간에 극진하리로다." 라 하였다.
<세종실록> 6권, 세종 1년(1419년) 12월 19일
남재(南在)에게 내린 교지(敎旨)에,

"대업을 처음 일으키는 임금은 반드시 여러 대(代)만에 나는 현인에게 힘입게 되며, 큰 공을 세우는 신하는 마땅히 무궁한 보답을 누려야 될 것이다. 이는 곧 공변된 의리이며 사사의 은혜는 아니다. 경은 학문이 고금(古今)의 사적을 통달하고, 식견은 기미(幾微)의 일까지 환하게 알았다. 활달한 높은 생각으로써 경국 제세(經國濟世)의 원대한 계책을 쌓았었다. 고려의 국운(國運)이 이미 쇠진한 때를 당하여 천명(天命)의 거취를 알게 되었다. 이에 여러 공들과 더불어 의논을 결단하고 계책을 정하고 성조(聖祖)를 추대하여 나라를 세웠다. 이 백성을 구원하고 세상을 구제하여 억만년 무궁한 경사(慶事)를 마련하였으니, 그 공렬(功烈)이 어찌 위대하지 않으랴. 배향할 신하를 널리 물으니, 모두 말하기를, ‘경(卿)이라. ’고 하였다. 지금 봄 제사를 거행함에 있어 우리 태조에게 배향하여, 묘정(廟庭)에 종사(從祀)하게 하여 특별한 공훈에 보답하니, 상상컨대, 알음이 있거든 나의 이 명령을 받을지어다."

라고 하였다.

남은에게 내리는 교지(敎旨)는,

"천운(天運)을 도와 나라를 세운 것은 신하의 큰 공렬이요, 공을 기록하여 제사를 마련하는 것은 국가의 일정한 규정이다. 경은 영매(英邁)한 자질로써 경국 제세(經國濟世)의 방략(方略)을 가졌었다. 식견은 정치의 방법을 통달하고, 총명은 기미(幾微)를 환히 알았었다. 고려의 국운이 이미 쇠잔함을 당하여, 천명이 돌아가는 데가 있음을 알았었다. 큰 계책을 먼저 세워 우리 성조를 추대하여 처음으로 큰 기업(基業)을 마련하였다. 능히 세상에 드문 공을 이루어 무궁한 경사를 계승하였다. 맹부(盟府)002) 에 기재되어 있으니 환하게 상고할 수 있다. 이로써 경을 올려서 우리 태조에게 배향하여, 묘정에 종사하게 하여 특별한 훈공에 보답하니, 나의 이 명령을 받을지어다. 아아, 그대의 큰 공적을 가상(嘉尙)히 여겼으므로 포숭(褒崇)을 극진히 하였고, 우리 선왕을 도왔으니 마땅히 길이 보필에 힘쓸 것이다."
<세종실록> 15권, 세종 4년(1422년) 1월 5일

3. 여담

4. 대중매체


[1] 율리우스력 1419년 12월 30일 [2] 율리우스력 기준 67 ~ 68세 [3] 형제들의 이름을 보면 재미있는 규칙을 찾을 수 있는데, 첫째는 남겸(南謙), 둘째는 남은(南誾), 셋째는 남실(南實), 막내가 남지(南贄)인데 첫째와 둘째의 이름자의 부수는 말씀 언(言), 셋째와 넷째의 이름자의 부수는 조개 패(貝)자다. 아무래도 남을번이 이름을 지을 때 비슷한 글자를 골라서 붙인 것으로 보인다. [4] 재라는 이름은 태조가 직접 하사했다고 한다. [5] 개국 2등공신 판삼사사 윤호(尹虎)의 차녀. [6] 시호 경렬공 [7] < 조선왕조실록>에 따르면 그는 일찍이 정안군의 진면목을 알아보고 그에게 학문을 계속 권했다 한다. "옛날 주상(태종)께서 잠저(潛邸)에 계실 때에 내가 학문을 권하니, 주상께서 말하기를, ‘ 왕자는 참여할 데가 없으니 학문은 하여 무엇하겠느냐?’하기에, 내가 말하기를, ‘군왕의 아들이 누가 임금이 되지 못하겠습니까?’하였는데 (중략) [8] 남을번은 조선의 개국공신 남은의 아버지이다. 태조가 잔치를 베풀던 중, 개국공신이며 재상이 된 남은의 늙은 아버지가 춤추는 모습을 보니 문득 돌아가신 아버지(환조 이자춘)의 생각이 나서 "내가 비록 임금이지만 아버지를 여의었으니, 노부모가 모두 살아 계신 네가 어찌 부럽지 않겠느냐"라고 말한 것. [9] <조선왕조실록>에서 보면 태종 / 세종 부자는 평생 남재, 남은 형제를 비호하였다. [10] 충녕대군 역시 어느 정도 차기 보위에 대한 생각이 있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11] 이에 대한 태종의 반응이 더 흥미롭다. 양녕대군에 대한 후계 문제로 처남 2명을 사사한 태종이 대역로 처리할 수 있는 이같은 사실에 대해 태종은 껄껄 웃으며 "과감하다 늙은이가"라고 하며 넘겼다는 것은 분명 시사하는 바가 크다. 또한 그런 행동을 과감하게 했다는 사실이 남재가 태종에게 받은 신뢰가 생각 그 이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2] 연회를 베풀어 대접하다. [13] 충녕대군이 다음 보위를 노릴만하다라고 남재가 넌지시 얘기한 것이다. [14] 다만 태종과 원경왕후가 그토록 안심시켜 주었음에도 끝내 도망을 가려 한 남재의 입장도 이해해야 할 것이, 당시 정도전과 남은에게 씌워진 죄목은 '어린 세자를 끼고 권력을 휘두르기 위해 왕자들을 죽이려 했다'는 것이었기 때문에 남은의 형인 자신도 연좌되어 목이 날아갈지도 모른다고 생각하는 것이 당연하였다. [15] 충녕대군, 즉 훗날의 세종. [16] 당시 남재의 벼슬이 정당 문학(政堂 文學)이었다. [17] 쉽게 말해서, "내가 정당 문학 남재라면 이렇게 허름한 몰골로 다니겠냐?" [18] 후의 승지 [19] <조선왕조실록>에는 김종서가 세종의 사랑을 받은 남지를 질투하였다는 기사가 남아있다. [20] 그의 아우인 남은, 남실과는 사이가 그리 좋지 않았던 듯 하다. [21] 충녕대군으로 잠저에 있던 시절 남재는 그가 왕의 재목임을 보고 공개석상에서 차기 보위에 대한 욕심을 가지라 넌지시 얘기한적이 있다. [22] 의산군 남휘. 태종의 부마 [23] 삼국지에서 전략가의 이미지가 강한 제갈량이 실제로는 정치가, 행정가의 역할이 강했고 실제로는 법정이 책사의 역할을 했던 것과 같이 정도전은 정치행정가로서의 모습이었고 남재/남은 형제가 책사로서의 역할이 강했을 것으로 보인다. [24] 관제 격하 전 추밀원사 [25] 동생 남을진이 고려조에 같이 벼슬을 하다가 개국에 반대한 것과 대조된다. [26] 남은과 남지는 무인정사에 참살되었으나 복권되었고 남재와 남실은 태종과 세종 때 종사했다. [27] 재추. 관제 격하 전 추밀원부사. 정3품. [28] 실제 남이와 그의 모친인 남양 홍씨만 처형되고 그의 딸은 노비로 갔다가 뒤에 풀려나고 양반가로 출가한다. 남이의 동생도 귀양으로 그친다. [29] 남재의 묘역훈적비에 후손 남구만[32]이 쓰고 남공철[33]이 새긴 비석에 전해지는 일화 [30] 여담으로 배역은 미스 캐스팅으로 보는데, 왜냐하면 동생인 남은 역을 맡은 배우 이영후보다 23살 아래이기 때문이다. 드라마 자체가 중심 배우들이 나름 중견이나 원로 배우들이 열연한 탓에 이러한 미스 캐스팅이 많은 편이다. [31] 문하시중 -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문하찬성사) - 참지정사(참지문하부사) 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