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30 04:34:05

한상경


<colcolor=#fff>
조선 영의정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판문하부사
홍영통, 안종원, 권중화, 심덕부, 이화, 이거이, 조준, 김사형
초대

이서
제2대

이거이
제3대

성석린
제4·5대

조준
제6대

성석린
제7대

이화
제8대

하륜
제9대

이서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성석린
제14대

남재
제15대

류정현
제16대

한상경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17대

심온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하연
}}}
제21대

하연
제22대

황보인
제22대

황보인
제23대

이유
제24대

정인지
제25대

정창손
제26대

강맹경
제27대

정창손
제28대

신숙주
제29대

구치관
제30대

한명회
제31대

황수신
제32대

심회
제33대

최항
제34대

조석문
제35대

이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6대

박원형
제37대

한명회
제38대

홍윤성
}}}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9대

윤자운
제40대

신숙주
제41대

정창손
제42대

윤필상
제43대

이극배
제44대

노사신
제45대

신승선
제46대

한치형
제47대

성준
제48대

류순
}}}
}}}}}}}}}
한상경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colbgcolor=#c00d45,#94153e><colcolor=#f0ad73> 조선 정승
태조 ~ 연산군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좌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좌시중 문하좌시중 → 문하좌정승
초대

배극렴
제2대

조준
문하좌정승
제2대

조준
제3대

심덕부
제4대

성석린
제5대

민제
문하좌정승 문하좌정승 → 좌정승 좌정승
제6대

이거이
제7대

김사형
제8대

하륜
제9대

조준
좌정승 판의정부사 → 좌의정
제10대

하륜
제11대

성석린
제12대

하륜
제13대

남재
좌의정
제14대

하륜
제15대

류정현
제16대

박은
제16대

박은
제17대

이원
제18대

류정현
제19대

이직
제20대

황희
제21대

맹사성
제22대

최윤덕
제23대

허조
제24대

신개
제25대

하연
제26대

황보인
제26대

황보인
제27대

남지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27대

남지
제28대

김종서
제29대

정인지
}}}
제30대

한확
제31대

이사철
제32대

정창손
제33대

강맹경
제34대

신숙주
제35대

권람
제36대

한명회
제37대

구치관
제38대

황수신
제39대

심회
제40대

최항
제41대

조석문
제42대

홍달손
제43대

박원형
제43대

박원형
제44대

김질
제45대

홍윤성
제46대

윤자운
제46대

윤자운
제47대

김국광
제48대

최항
제49대

한명회
제50대

조석문
제51대

심회
제52대

윤필상
제53대

홍응
제54대

노사신
제55대

신승선
제56대

정괄
제57대

어세겸
제58대

한치형
제59대

성준
제60대

이극균
제61대

류순
제62대

허침
제63대

박숭질
제64대

신수근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우의정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문하우시중 문하우시중 → 문하우정승
초대

조준
제2대

김사형
문하우정승
제2대

김사형
제3대

성석린
제4대

민제
제5대

하륜
문하우정승 우정승
제5대

하륜
제6대

이서
제7대

이무
제8대

성석린
우정승
제9대

이서
제10대

조영무
제11대

이무
제12대

이서
우정승 판의정부사 → 우의정 우의정
제13대

조영무
제14대

남재
제15대

이직
제16대

류량
우의정
제17대

남재
제18대

박은
제19대

한상경
제20대

이원
제20대

이원
제21대

정탁
제22대

류관
제23대

조연
제24대

황희
제25대

맹사성
제26대

권진
제27대

최윤덕
제28대

노한
제29대

허조
제30대

신개
제31대

하연
제32대

황보인
제33대

남지
제33대

남지
제34대

김종서
{{{#!wiki style="margin: -16px -11px"
제34대

김종서
제35대

정분
제36대

한확
}}}
제37대

이사철
제38대

정창손
제39대

강맹경
제40대

신숙주
제41대

권람
제42대

한명회
제43대

구치관
제44대

황수신
제45대

박원형
제46대

황수신
제47대

최항
제48대

홍윤성
제49대

강순
제50대

김질
제50대

김질
제51대

윤사분
제52대

윤자운
제53대

김국광
제53대

김국광
제54대

한백륜
제55대

성봉조
제56대

김질
제57대

윤사흔
제58대

윤자운
제59대

윤필상
제60대

홍응
제61대

이극배
제62대

노사신
제63대

허종
제64대

윤호
제65대

신승선
제66대

정괄
제67대

어세겸
제68대

정문형
제69대

한치형
제70대

성준
제71대

이극균
제72대

류순
제73대

허침
제74대

박숭질
제75대

강귀손
제76대

신수근
제77대

김수동
<colbgcolor=#c00d45,#94153e> 역대 정승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역대 영의정
( 태조-연산군 · 중종-광해군 · 인조-경종 · 영조-정조 · 순조-고종)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 남은 남재 배극렴
오몽을 이제 이지란 이화
장사길 정도전 정총 정탁
정희계 조박 조인옥 조준
김인찬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협찬개국공신 (2등)
정지 유창 윤호 이민도
황희석 정용수 조기 조반
조영규 조온 홍길민 조견
박포 장담
익대개국공신 (3등)
고여 김균 김로 손흥종
심효생 안경공 오사충 유원정
이근 이백유 이부 이서
이직 장지화 함부림 황거정
민여익 임언충 장사정 조영무
한상경 한충 }}}}}}}}}
<colbgcolor=#b82642><colcolor=#fff>
조선 영의정부사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문간공(文簡公)
한상경
韓尙敬
<nopad> 파일:encykorea-신재한상경영정.jpg
출생 1360년( 공민왕 9)
사망 1423년 4월 26일[1] (향년 62 ~ 63세)
(음력 세종 5년 3월 7일)
묘소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 금곡리
두산백과 한상경묘
재임기간 제16대 영의정부사
1418년 7월 17일[2] ~ 1418년 10월 11일[3]
(음력 태종 18년 6월 5일 ~ 세종 즉위년 9월 3일)
봉호 서원부원군(西原府院君)
시호 문간(文簡)
본관 청주 한씨
숙경(叔敬)
신재(信齋)
부모 부친 - 한수(韓脩, 1333 ~ 1384)
모친 - 안동 권씨 권적(權適)의 딸
부인 해주 오씨 오준량(吳俊良)의 딸
자녀 장남 - 한혜(韓惠, 1403 ~ 1431)

1. 개요2. 생애3. 여담4. 가족

[clearfix]

1. 개요

여말선초의 관료, 조선의 개국공신이자 정승이다.

2. 생애

1382년( 우왕 8) 문과에서 3등으로 급제했다. 1392년( 태조 1) 조선이 건국될 때는 밀직사 우부대언으로서 정비 안씨가 내린 공양왕 폐위 교서를 공양왕 앞에서 낭독했다. 이후 보새 태조에게 바치는 과정에 참여했다고 하여, 개국공신 추가 책봉 때 3등 공신이 되었다.

이후 중추원 도승지, 공조판서, 대사헌, 호조판서, 이조판서 등을 역임하고, 1416년( 태종 16) 우의정이 되고 서원부원군에 봉해졌다. 태종이 세자를 폐하고 원손[4]을 세손으로 세우려 할 때 적극 찬동하였다.

1418년(태종 18) 영의정이 되었다가, 얼마 안되어 세종이 즉위하자 심온이 영의정이 되면서 자리에서 물러났다. 그 후 특별한 직임을 맡지 않고 공신 예우를 받으며 살다가 1423년(세종 5) 죽었다.

3. 여담

권근의 문집인 양촌집 중 신재기(信齋記)는 권근이 조카인 한상경의 서재에 대하여 써준 글이다. 1402년(태종 2) 무역을 하기 위해 온 명나라 사신 단목지(端木智)[5]가 한상경을 좋게 보고 그의 서재에 예서 편액을 써주었는데, 한상경이 그 편액을 권근에게 가지고 가서 글을 지어달라고 부탁하였다. 권근은 이 글에서 한상경이 조카일 뿐만 아니라 친구이자 동료라고 말하고 있다. 두산백과 신재

4. 가족

고려의 관료였던 청성군(淸城君) 문경공(文敬公) 한수(韓脩)의 네 아들 중 셋째이다. 첫째 형은 한상환(韓尙桓), 둘째 형은 한상질, 동생은 한상덕(韓尙德)이다. 그중 둘째 형인 한상질은 한명회의 할아버지인데, 한상경과 혼동되어 종종 개국공신으로 오인되기도 한다. 아들은 한혜(韓惠)로 예조 참판까지 올랐다가 함길도 관찰사로 나가있던 중 죽었다. 손자인 한계미(韓繼美), 한계희(韓繼禧), 한계순(韓繼純)은 모두 6촌형제인 한명회를 따라 세조, 예종 연간에 공신이 되었다.
[1] 율리우스력 4월 17일 [2] 율리우스력 7월 8일 [3] 율리우스력 10월 2일 [4] 양녕대군의 아들. [5] 복성으로 단목이 성씨이고, 는 효사(孝思)이며, 1401년(태종 1) 태종 고명과 조선국왕 인장을 가지고 사신으로 온 단목예(端木禮)의 동생이다. 단목지가 사신으로 온 처음에 한상경이 접반사(接伴使)로서 맞이했기 때문에 인연이 생겼다. 단목지는 스스로 글을 잘 쓴다고 자부하여 이곳저곳에 글을 써주었지만 조선 사람들의 호감을 사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