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22:22:02

온조왕

부여온조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온조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마도조사의 등장인물에 대한 내용은 온조(마도조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온조왕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
<rowcolor=#fbe673>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초고왕 구수왕 사반왕 고이왕
<rowcolor=#fbe673>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책계왕 분서왕 비류왕 계왕
<rowcolor=#fbe673>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근초고왕 근구수왕 침류왕 진사왕
<rowcolor=#fbe673>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아신왕 전지왕 구이신왕 비유왕
<rowcolor=#fbe673>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개로왕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rowcolor=#fbe673>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무령왕 성왕 위덕왕 혜왕
<rowcolor=#fbe673> 제29대 제30대 제31대
법왕 무왕 의자왕
}}}}}}}}}}}}

온조왕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구태 시조설 우태 시조설 주몽 시조설
구태 * 우태 주몽
소서노 시조설 비류국 십제 → 백제국
소서노 비류 온조
* 『수서』 에 언급 됨.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CECEC, #fff 20%, #fff 80%, #ECECEC); color:#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삼국시대 이전
<rowcolor=#FFD400> 단군조선 위만조선 진국 삼한연맹
단군 역대 군주 진왕
예맥
<rowcolor=#fbe673> 부여 예맥족장 최씨낙랑국 비류국
역대 군주 남려 최리 송양
<rowcolor=#fbe673> 고리국 졸본부여 비류백제 온조백제
영품리 추모 비류 온조
마한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대
준왕 마한왕 2세 마한왕 3세 마한왕
진한
<rowcolor=#fbe673> 실직국 감문국 골벌국 음즙벌국
안일왕 금효왕 아음부 타추간
진한 변한 탐라
<rowcolor=#fbe673> 사로국 금관국 반파국 탐라국
거서간 김수로 이진아시 역대 군주
}}}}}}}}}}}}

고구려의 왕자
[[틀:고구려의 왕자/동명성왕 ~ 봉상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1d1e23, #34363f 20%, #34363f 80%, #1d1e23); color: #c5b35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고막근 · 고막덕 · 차대왕? · 신대왕? · 고인고?
왕자 · 왕자
국왕 · 태자
왕자 : 동명성왕 ~ 봉상왕 · 미천왕 ~ 보장왕
? 아들인지 논란이 있는 경우
}}}}}}}}}

백제 초대 국왕
온조왕 | 溫祚王
파일:온조왕상.jpg
국학원 역사 문화 공원 내에 있는 온조왕의 동상[1]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출생
(음력)
기원전 38년 전후[2]
졸본부여 졸본성
(現 중국 랴오닝성 번시시 오녀산성)
사망
(음력)
28년 2월 (향년 65세 전후)
백제 위례성
(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일대)
능묘 미상
재위기간
(음력)
백제 초대 국왕
기원전 18년 10월[3] ~ 28년 2월 (45년 4개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성씨 부여(扶餘)[4] / 해(解)[5]
온조(溫祚)[6] / 은조(恩祖)[7]
부모 부왕 동명성왕 혹은 우태
모후 소서노
왕후 다루의 모후
형제자매 유리,[8] 비류
자녀 태자 다루
왕자 덕좌
존호 시조(始祖)[9]
왕호 온조왕(溫祚王)
별호 음태귀수왕(陰太貴首王)(?)[10] }}}}}}}}}

1. 개요2. 생애3. 가계도4. 《 삼국사기》 기록5. 기타6. 대중매체에서7.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馬韓漸弱 上下離心. 其勢不能久 儻爲他所幷 則脣亡齒寒 悔不可及. 不如先人而取之 以免後艱.
마한이 점점 약해지니 상하의 마음이 떠나간다. 그 세력이 오래가지 못할 것인데 만일 타인이 취하면 순망치한의 격이라 후회해도 늦는다. 차라리 먼저 취하여 후환을 없애는 것이 낫다.
마한을 합병하겠다는 의지를 천명하며. 《삼국사기》 〈백제본기〉에서 발췌
680년을 지속한 백제 왕조의 건국자이자 초대 혹은 2대[11] 군주이자 건길지. 고대 삼국의 시조 중 유일하게 탄생 설화나 전설이 내려 오지 않으며 왕자로서 편하게 살 수 있었던 고구려를 떠나[12] 백제를 건국한 인물이다. 부여 동명왕, 고구려 고주몽, 신라 박혁거세 석탈해 김알지, 금관국 수로왕, 반파국 이진아시, 고자국 말로왕 등의 건국 이야기와는 달리 신비적인 요소가 전혀 전해지지 않는다는 점도 중요하다. 고대 국가 가운데 백제의 건국 설화는 고조선 건국 설화와 더불어 난생설화가 아니고 고조선 역시 신화적 성격이 강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백제 건국 설화가 그나마 가장 현실성 있다고 할 수 있다. 낙랑과 말갈의 공격을 격퇴하고, 마한의 일부 영역을 차지함으로써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13]

삼국유사에 따르면 온조왕에 대해서 "몸이 크고 성품이 효도와 우애가 있었으며 말 타기와 활 쏘기를 잘하였다."라고 기록했다. #

아래 서술된 내용들은 《 삼국사기》 〈백제본기〉 기록을 토대로 한 것이다. 이 기록들이 모두 사실이라면 건국하자마자 중앙 집권을 이루고 삼한 중 가장 강했던 마한까지 정복한 대단한 인물이겠으나, 고고학이나 《 삼국지》 등 외국 사료와 교차검증되지 않기 때문에 이 내용을 모두 사실로 보는 학자는 거의 없다. 다른 고대 국가들의 건국이 신화적으로 윤색되었듯[14] 백제의 건국도 비록 신화 형태는 아니지만 다른 고대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어느 정도 백제인의 과장이 더해졌다고 보면 된다.[15] 대체로 사실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마한과의 외교 관계 기사 등 소수이다.

2. 생애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온조왕/생애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가계도

외할아버지: 졸본부여왕 / 연타발
할아버지: 해모수 / 해부루왕의 서자(庶子)
할머니: 유화부인
아버지: 동명성왕 / 우태
어머니: 소서노
형제: 유리명왕 / 비류
아들: 다루왕

4.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삼국사기》 〈시조 온조왕 본기〉
一年 백제가 건국되고 온조왕이 즉위하다
一年夏五月 동명왕의 사당을 세우다
二年春一月 말갈에 대한 방어 대책 마련을 지시하다
二年春三月 을음을 우보에 임명하다
三年秋九月 말갈을 크게 격파하다
三年冬十月 겨울에 우레가 일어나고 복숭아, 오얏꽃이 피다
四年 흉년이 들고 전염병이 돌다
四年秋八月 낙랑에 사신을 보내 우호 관계 맺다
五年冬十月 사냥하여 신록을 잡다
六年秋七月 일식이 나타나다
八年春二月 말갈을 크게 격파하다
八年秋七月 백제와 낙랑의 우호 관계가 단절되다
十年秋九月 신기한 사슴을 잡아 마한에 보내다
十年冬十月 말갈이 북쪽 국경을 침입하다
十一年夏四月 말갈이 낙랑의 부탁을 받고 병산책을 공격하다
十一年秋七月 목책을 설치하여 낙랑으로 가는 통로를 차단하다
十三年春二月 호랑이가 성 안으로 들어오다
十三年 왕의 모후가 죽다
十三年夏五月 하남 위례성으로 천도를 계획하다
十三年秋七月 하남 위례성으로 백성을 이주시키다
十三年秋八月 마한에 사신을 보내 도읍 옮긴 사실을 알리다
十三年秋九月 성과 대궐을 쌓다
十四年春一月 도읍을 옮기다
十四年春二月 백성을 위로하고 농사를 장려하다
十四年秋七月 한강 서북방에 성을 쌓고 주민을 이주시키다
十五年春一月 궁궐을 새로 쌓다
十七年 낙랑이 침입하여 위례성을 불태우다
十七年夏四月 사당을 세우고 국모를 제사지내다
十八年冬十月 말갈을 격파하고 추장을 생포하여 마한에 보내다
十八年冬十一月 낙랑을 공격하기 위해 구곡까지 행차하다
二十年春二月 천지신명에게 제사지내다
二十二年秋八月 석두와 고목 2성을 쌓다
二十二年秋九月 말갈을 격파하다
二十四年秋七月 웅천책을 세우자 마한이 항의하다
二十五年春二月 한성의 민가에서 를 낳다
二十六年秋七月 마한 병합을 계획하다
二十六年冬十月 마한을 기습하여 합병하다
二十七年夏四月 마한을 멸망시키다
二十七年秋七月 대두산성을 쌓다
二十八年春二月 다루를 태자에 임명하고 군사에 관한 일을 맡기다
二十八年夏四月 서리가 내리다
三十一年春一月 민가를 남부와 북부로 편성하다
三十一年夏四月 우박이 내리다
三十一年夏五月 지진이 일어나다
三十一年夏六月 지진이 일어나다
三十三年 큰 가뭄이 들고 백성들이 굶주려 도둑이 생기다
三十三年秋八月 동부와 서부를 설치하다
三十四年冬十月 마한 잔당의 반란을 진압하다
三十六年秋七月 탕정성을 축조하고 주민을 이주시키다
三十六年秋八月 원산과 금현의 두 성을 수리하고 고사부리성을 쌓다
三十七年春三月 달걀만한 우박이 내리다
三十七年夏四月 흉년이 들어 고구려로 도망간 사람이 많이 나타나다
三十八年春二月 지방을 순방하다
三十八年春三月 농업 잠업을 권장하고 백성의 부역을 줄이다
三十八年冬十月 천지신명에 제사지내다
四十年秋九月 말갈이 술천성을 공격하다
四十年冬十一月 말갈이 부현성을 습격하다
四十一年春一月 북부의 해루를 우보로 임명하다
四十一年春二月 위례성을 수리하다
四十三年秋八月 아산벌에서 사냥하다
四十三年秋九月 기러기가 왕궁에 모여 들다
四十三年冬十月 남 옥저 구파해 일행이 귀순하다
四十五年 큰 가뭄이 들어 초목이 마르다
四十五年冬十月 지진이 일어나서 백성의 가옥이 손상되다
四十六年春二月 온조왕이 죽다

무려 65줄. 백제의 모든 왕들 중 기록이 제일 많다. 건국자임에도 불구하고 후대 왕들에 비해 기록이 상당히 많은 편이라 후세에 덧붙여졌을 가능성이 높다. 때문에 신빙성이 떨어지는 감이 없잖아 있다.

비정상적으로 큰 강역과 이해가 어려운 정복 속도를 이유로, 온조왕의 기록이 고이왕, 책계왕, 근초고왕, 무령왕, 성왕[16] 등의 기록과 섞였다고 보는 시각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근초고왕/생애 문서 참조. 대체로 백제 기록이 고구려, 신라보다 부실한 편인데 유독 온조왕만큼은 비슷한 시대의 고구려, 신라의 초기 군주들과 비교해 봐도 아주 세세하고 사소한 내용이 많다.

덤으로 《 삼국사기》에 기록된 왕 중에서 고구려 왕은 보장왕의 기록이 가장 많이 남아 있으며, 신라 문무왕이다. 보장왕과 문무왕은 책이 각각 2권씩이나 되는 유이한 왕들이며 《삼국사기》에는 문무왕, 보장왕 순으로 기록이 많은 TOP 1, 2위이다.

5. 기타

"시조(始祖)는 곧 동명왕(東明王)의 맏아들로, 태자(太子)에게 시기받는 바가 되어 용납되지 못할까 두려워서 어렵게 도망하여 좁고 험한 길로 달아나 숨었다가 하남(河南)에 이르러 나라를 세우고 도읍을 설치하였으니, 비록 모든 일에 있어 처음 시작하였지만 오히려 능히 군사를 엄격히 하여 굳게 지켜서 낙랑(樂浪)과 말갈(靺鞨)을 방어하면서 마한(馬韓)을 차지하여 멸하였고, 또 능히 고구려와 대항하면서도 신라를 대적하여 솥발의 형세를 이루어 7백 년의 업적을 다져 놓았으니 호걸의 군주가 아니면 능히 그렇게 했겠습니까?"

6. 대중매체에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008080> 파일:백제 군기.svg 온조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 생애
관련 장소 숭렬전
설화 한성백제 | 위례성
}}}}}}}}} ||

한국을 빛낸 백명의 위인들
등장인물 및 단체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직접적으로 언급된 인물/단체
단군
동명성왕 온조왕
이사부 백결선생 의자왕 계백
김관창 김유신 문무왕 원효
혜초 장보고 고왕 강감찬
서희 정중부 최무선 죽림고회
김부식 지눌 의천 이종무
정몽주 문익점 최충 일연
최영 황희 맹사성 장영실
신숙주 한명회 이이 이황
신사임당 곽재우 조헌 김시민
이순신 태조 정종 태종
세종 문종 단종 세조
사육신 생육신 논개 권율
홍길동 임꺽정 삼학사 박문수
한석봉 김홍도 김병연 김정호
영조 정조 정약용 전봉준
황진이 홍경래 김옥균
안중근 이완용 윤동주 지석영
손병희 유관순 안창호 방정환
김두한 이상 이중섭
간접적으로 언급된 인물/단체
민족대표 33인 김좌진
홍길동전의 저자 허균[1]
기울임체 는 부정적으로 언급된 인물이다.
[1] 실제 홍길동을 언급한 건지 후대 인물 허균이 창작한 의적 홍길동을 언급한 건지 논란이 있지만 간접적인 언급으로 소설 홍길동전에서 대중화된 의적 이미지를 노래 가사로 사용했으므로 저자 허균을 생각하고 언급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명성왕
비류국
비류왕
덕좌왕
장남
13대
근초고왕
12대
계왕
14대
근구수왕
부여신제
19대
구이신왕
부여주
순타태자
26대
성왕
(?)
부여법사
28대
혜왕
(?)
아좌태자
29대
법왕
30대
무왕
부여교기
32대
풍왕
부여선광
부여문사 부여문선 부여덕장
부여사
부여창성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부녀,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파일:고구려 군기.svg
고구려 왕실의 계보도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c5b356;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000,#ccc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font-size:0.90em; letter-spacing: -1.2px"
천제 하백
 
 
해모수
 
유화
 
 
 
부여 왕실 1대
동명성왕
 
 
 
2대
유리명왕
비류 온조
백제 왕실
 
 
 
 
 
 
고도절 고해명 왕녀 3대
대무신왕
4대
민중왕
고여진
 
 
 
고호동 5대
모본왕
고재사
 
 
고익 6대
태조대왕
 
 
 
 
 
7대
차대왕
고막근 고막덕 8대
신대왕
고인고
 
 
 
 
 
 
고추안 9대
고국천왕
고발기 10대
산상왕
고계수
 
 
고박위거 11대
동천왕
 
 
 
12대
중천왕
고예물 고사구
 
 
 
 
 
13대
서천왕
고달가 고일우 고소발 공주
 
 
14대
봉상왕
고돌고
 
15대
미천왕
 
 
 
16대
고국원왕
고무 고림
 
 
17대
소수림왕
18대
고국양왕
 
 
고강 19대
광개토대왕
 
20대
장수왕
고익
 
 
 
 
 
고조다 고승우 공주 고승천
 
21대
문자명왕
 
 
 
22대
안장왕
23대
안원왕
고안학
 
 
24대
양원왕
왕자
 
25대
평원왕
 
 
 
 
26대
영양왕
27대
영류왕
평강공주 대양왕
 
 
고환권 28대
보장왕
 
 
 
 
 
고복남 고임무 고덕남 고덕무 공주
 
부흥
보덕왕
}}}}}}}}}}}}


[1] 대한제국 시대 교과서인 " 초등대한역사"에 온조왕의 이 그려져 있는데, 쇼토쿠 태자의 초상화와 지나치게 유사하기 때문에 실제 온조왕의 어진을 보고 그렸을 가능성은 낮다. [2] 여러 전승상 고구려 제2대 유리명왕과 비슷한 연배로 나오므로, 유리명왕의 동생으로 가정하면 기원전 38년 이후가 된다. 그러나 시조 비류왕 전승에 따르면 온조왕은 동명성왕이 고구려를 세우기 전에 태어난 반면 유리명왕은 그때까지 아직 태어나지 않았으므로 온조는 유리의 형이 된다. [3] 《삼국사기》 기록. [4] 동명성왕의 아들로 여겨졌지만 정작 고(高)씨를 사용한 기록은 없다. 《삼국사기》에서는 부여씨를 칭했다고만 나온다. [5] 《삼국유사》에서 온조왕을 소개하며 《삼국사기》 〈백제본기〉 온조왕 기사를 그대로 가지고 왔는데 이 중 성씨를 '부여씨'로 삼았다는 것을 '해씨'로 삼았다고 바꿔놓았다. 《삼국사기》와 다른 기록을 참고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또한 《 동사강목》에서는 본래의 성씨는 '해씨'였으나, 백제를 건국한 후 자신이 부여의 핏줄임에 의미를 두어 '부여씨'로 바꾸었다고 기록했다. 또 다른 예상으로는 가 엄밀히 구분되던 고대 중국 선진시대의 성씨 문화를 받아들여서 성이 '해'고, 씨가 '부여'일 경우도 있다. 일본 측 기록에 따르면 온조왕의 후손인 27대 위덕왕 백합야 전투에서 고구려 장수와 일기토를 벌였을 때 자기소개를 하며 고구려 왕실과 성이 같다고 언급했는데, 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6] 삼국사기》, 《 제왕운기》. [7] 해동고승전》. [8] 이복형. [9] 묘호의 사용이 신라 태종 무열왕 때부터 확인되므로 당대에 사용했을 확률은 낮다. [10] 《신찬성씨록》에 나오는 별호. [11] 부여 시조 동명왕 혹은 고구려 시조 동명성왕을 태조로 보던 당시 기준, 혹은 온조 앞에 형 은조가 먼저 군주에 올랐지만 5개월 후 죽어버려 온조가 이어받았다는 《 제왕운기》의 기록을 따를 경우다. 아래 출생 단락 참조. [12] 그러나 친형제도 아닌 유리명왕 치세에서 얼마나 편히 살 수 있었는지는 의문이다. 괜히 온조와 비류가 내려온게 아니다. 동명성왕이 유리를 태자로 지명했을 때, 온조와 비류는 엄청난 생명의 위협을 느꼈을 것이다. 유리왕은 부여계이기 때문에 고구려 소노부계인 온조/비류는 유리왕의 정적이고, 당연히 유리가 군주가 되면 온조와 비류부터 숙청을 감행할 게 뻔했다. [13] 우리역사넷 [14] 고주몽이나 박혁거세가 알에서 태어났다거나, 신의 혈통이라거나, 부여를 탈출할 때 거북이들이 징검다리가 되어 주었다는 기록은 신화지 말 그대로의 사실을 기록한 거라고 믿는 현대인은 아무도 없다. 하지만 건국 기록이 좀 과장됐다고 해서 고구려나 신라의 실존 자체가 허구가 되는 것도 아니다. 초기 기록을 완전히 부정하거나 완전히 신뢰하는 극단적인 태도는 양쪽 다 문제가 있다. 마찬가지로 고대 일본의 천황 계보 및 초기사 역시 이주갑인상, 임나일본부 등의 방식으로 왜곡되었으며 심지어 서양사의 뿌리인 고대 로마마저도 로마 왕국 시절의 내용은 윤색되고 과장된 부분이 있다고 추측된다. [15] 원래 《삼국사기》 초기 기사는 연대가 정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 부분이 많아 학자마다 기준은 조금씩 다르지만 대체로 인정받지 못한다. 이는 백제뿐만 아니라 신라도 마찬가지로 백제 고이왕, 신라 내물 마립간 때의 기사부터 다른 기록이나 고고학과 교차검증이 가능해 비로소 100% 인정받는 상황이다. 다만 고이왕 이전의 기록이 전부 거짓이라 쓸모없다고 보는 시각은 아니고, 부분적으로는 사실이거나 연대만 앞당겨졌을 뿐이라는 추측에 의거해 초기 기사도 최대한 활용해내려는 시도는 계속되고 있다. [16] 남부, 북부, 탕정성, 고사부리성 등의 지명이 성왕이 설치한 지방행정 단위와 매우 유사하다. [17] 사실 여기에는 이유가 있는데, 백제의 도읍이 있었던 송파구 일대가 광주시 땅이었다가 1963년 이후 서울로 편입된 지역이었기 때문이다. [18] 비류시조설에 나오는 미추홀 한성백제 건국 당시까지 토돈분구묘제 세력만 확인된다는 점과 백제가 경기 동부보다 인천을 비롯한 경기 서부의 복속이 더 빨랐던 걸 보면 한성백제 건국에 합류한 토돈분구묘제 세력에 이들도 포함된 것으로 보인다. [19] 의외로 소서노의 존재와 역할은 비류계 사화에 비해 다소 깎아내려져 있다. 이유는 아무도 모른다. [20] 백제와 달리 고구려는 고고학적 건국 시기가 역사서의 기록과 거의 겹친다. 즉 온조가 정말로 백제의 건국자라면 동명성왕의 후손일 가능성을 아주 배제할 수는 없다. [21] 2005년 SBS 드라마 〈 서동요〉에서는 무왕의 아역으로 나온 적도 있으니 어린 나이에 2번이나 백제 군주를 해본 셈.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