扶餘文思
생몰년도 미상
1. 개요
태자의 아들 문사(文思)가 왕의 아들 융(隆)에게 이르기를
“왕께서는 태자와 함께 나가버렸고, 숙부는 자기 마음대로 왕 노릇을 하고 있으니 만일 당나라 군사가 포위를 풀고 가버리면 우리들이 어떻게 안전할 수 있겠는가?”라 하고,
마침내 측근들을 데리고 밧줄을 타고 성을 빠져 나가고 백성들도 모두 그를 뒤따르니, 태(泰)가 이를 만류하지 못하였다.
《 삼국사기》 <백제본기> 의자왕
“왕께서는 태자와 함께 나가버렸고, 숙부는 자기 마음대로 왕 노릇을 하고 있으니 만일 당나라 군사가 포위를 풀고 가버리면 우리들이 어떻게 안전할 수 있겠는가?”라 하고,
마침내 측근들을 데리고 밧줄을 타고 성을 빠져 나가고 백성들도 모두 그를 뒤따르니, 태(泰)가 이를 만류하지 못하였다.
《 삼국사기》 <백제본기> 의자왕
백제의 왕족. 의자왕의 손자로 부여융 또는 부여효의 아들이다.
여기서 부여효를 태자, 부여융은 왕자로 기록했고 문사는 '태자의 아들'이므로 효의 아들로 보인다. 그런데 문제는 효를 따라 웅진성으로 떠나지 않고 사비성에 잠시 남았다가 부여융과 상의하고 함께 뒤늦게 밧줄을 타고 탈출한다는 것이다. 원래 융이 백제 태자였다가 효가 태자 자리를 빼앗았다는 점에서 융과 효의 사이가 좋았을 이유가 없으므로 의아한 대목인데 이 때문에 몇몇 학자들은 부여문사가 부여융의 아들이라고 주장하기도 한다. 만약 부여효의 아들이라고 보면 그만큼 백제멸망전 당시 상황이 예전의 악연 같은 건 신경쓰기 힘들 정도로 긴박했다는 것일 수도 있다.
2. 생애
660년 사비성 전투에서 부여융과 함께 성을 빠져나와 나당연합군에 항복했다. 당시 의자왕은 태자 부여효와 함께 웅진성으로 파천한 상태였고, 2번째 왕자인 부여태는 칭왕해서 사비성을 지키고 있었다. 그러나 부여태는 부여융과 부여문사 및 백성들의 이탈을 막지 못했고, 결국 소정방의 당군이 사비성에 올라와 깃발을 세우자 버티지 못하고 항복하게 된다.3. 기타
- 《삼국사기》 <백제본기> 660년조에서는 부여효가 태자로 나오지만, 중국 측 기록에서는 부여융의 아들로 기록되어 있다.[1]
- 부여융의 아들이 맞을 경우, 부여문선과 부여덕장은 그의 형제가 된다.
[1]
《구당서》 <소정방전>에는 '적손문사(嫡孫文思)', 《신당서》 <소정방전>에는 의자왕의 손자(義慈孫), 《자치통감》에서는 (부여)융의 아들 문사(隆子文思)로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