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제의 13대 왕 근초고왕에 대한 내용은 근초고왕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be673>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온조왕 | 다루왕 | 기루왕 | 개루왕 | |
<rowcolor=#fbe673>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초고왕 | 구수왕 | 사반왕 | 고이왕 | |
<rowcolor=#fbe673>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책계왕 | 분서왕 | 비류왕 | 계왕 | |
<rowcolor=#fbe673>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근초고왕 | 근구수왕 | 침류왕 | 진사왕 | |
<rowcolor=#fbe673>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아신왕 | 전지왕 | 구이신왕 | 비유왕 | |
<rowcolor=#fbe673>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개로왕 | 문주왕 | 삼근왕 | 동성왕 | |
<rowcolor=#fbe673>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무령왕 | 성왕 | 위덕왕 | 혜왕 | |
<rowcolor=#fbe673>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
법왕 | 무왕 | 의자왕 | ||
}}}}}}}}}}}} |
초고왕 관련 틀
|
||||||||||||||||||||||||||||||
|
백제 제5대 국왕
초고왕 | 肖古王 |
|||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출생 (음력) |
연대 미상 | ||
백제
위례성 (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일대) |
|||
사망 (음력) |
214년 | ||
백제
위례성 (現 서울특별시 송파구 풍납동 일대) |
|||
능묘 | 미상 | ||
재위기간 (음력) |
백제 제5대 국왕 | ||
166년 11월 ~ 214년 (48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성씨 | 부여(扶餘) | |
휘 | 초고(肖古) / 소고(素古) / 초고(肖故)[1] | ||
부모 |
부왕
개루왕 모후 미상 |
||
형제자매 | 3남 중 장남(?)[2] | ||
왕후 | 부여구수의 모후 | ||
자녀 | 1남 | ||
왕호 | 초고왕(肖古王) | }}}}}}}}} |
[clearfix]
1. 개요
백제의 제5대 국왕이자 건길지. 제4대 개루왕의 장남이자 제8대 고이왕의 형.[3]2. 생애
아버지 개루왕 시기인 155년[4]에 신라의 반역자 아찬(阿飡) 길선(吉宣)의 송환 문제로 양국 사이에 불화가 생겼고 이로 말미암아 초고왕의 즉위 후 신라와의 공방전이 되풀이되었다고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2.1. 신라와의 공방전
- 167년 7월에 신라의 서쪽 변경을 공격해 2개 성을 함락시키고 남녀 1,000여 명을 사로잡아왔다. 신라는 167년 8월 반격으로 일길찬 흥선이 20,000여 명의 병력으로 백제 동쪽의 여러 성을 공략했고 곧이어 신라 왕이 직접 정예 기병 8,000여 명을 이끌고 한수( 한강)까지 침입해 초고왕은 신라 대군을 보고 점령했던 지역을 돌려주고 마무리지었다고 한다.
- 170년 10월 신라의 변경을 침공했다.
- 188년 신라의 모산성을 공격했다.
- 189년 9월 구양(狗壤)[5]에서 신라와 싸웠으나 500명의 전사자를 내며 패배했다.
- 190년 8월 신라의 서쪽 변경의 원산향[6]을 공격한 뒤에 구도[7]가 이끄는 신라군이 추격해오자 와산[8]에서 크게 격파하였다.
- 199년 신라의 변경을 공략했다.
- 204년 신라의 요차성[9]을 함락시키고 성주 설부(薛夫)를 전사시켰다. 신라의 내해 이사금이 분노해 백제 사현성에 반격했다.
기록으로 보아 신라와 싸운 곳은 소백산맥 일대로 나타난다. 기록된 병력 규모도 초기 기록이라기에는 과장된 면모가 있어 이 연대에 백제와 신라가 그대로 전쟁했다곤 믿을 수 없다. 백제국이 목지국을 무력화시키고, 쉽사리 복종하지 않는 충남북 북부 일대 목지국계 직속 마한 거수국들을 병탄해가는 과정이 고고학적으로 아직 분명하지 않았던 시절에는 백제가 포함된 마한 소속 거수국들과 신라가 포함되어 있던 진한 소속 거수국들의 대결로 여겨졌었다. 물론 그럴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긴 어렵지만 적어도 마한과 진한은 백제가 성장해서 목지국을 타고 넘어 소백 산맥 이남으로 진출하기 전까지는 그닥 아예 싸울 일도 없었다. 즉 3세기 중후반 이전까지는 그다지 다툴 일이 없었고 우호적인 입장에서의 활발한 교류도 고고학적으로 입증된다.
게다가 그전에는 충북 일대까지 진한 계열 거수국들이 있을 걸로 예측했으나 2010년대 후반 고고학적 발굴 결과는 충주까지 포함해 전형적인 마한 계열 거수국들만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목지국을 타도하고 본격적으로 낙랑군, 대방군과 갈등을 벌인 왕으로 초고왕을 연대를 조정하여 비정해볼 수도 있겠으나, 고이왕, 책계왕, 분서왕 등 임금들이 낙랑군, 대방군과 갈등을 벌인 일들이 중국측 삼국지 등을 포함한 문헌 자료와도 딱딱 맞아 떨어지고 이 임금들은 삼국사기상 기년마저 충족시키고 있기에[10] 그마저도 말이 되지 않는다.
아무래도 여기 쓰인 일들은 초고왕보다 훨씬 후대인 책계왕~비류왕 시기에 일어났을 개연성이 크다. 충북 일대 목지국 지지 세력이 진한의 은근한 지원을 받고 있었고, 그중에서도 주로 영주를 비롯한 경북 서북부 일대 진한 소국들이 충북 일대 목지국 지지 세력과 관계가 끈끈했다. 그러므로 목지국을 쓰러뜨리고 그 잔여 세력이 발흥하는 걸 막아야 했던 백제가 진한 맹주인 사로국을 화나게 하는 위험을 무릅쓰고 진한 서북부까지 타격해야 할 이유는 충분했다.[11]
2.2. 말갈과의 공방전
북한강 상류를 타고 내려오는 말갈의 침입에 대비하여 210년 적현(赤峴),사도(沙道)[12] 두 성을 쌓았다고 되어 있다.214년 진과(眞果)로 하여금 말갈의 석문성(石門城)을 공격하여 탈취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말갈의 기병으로 인해 술천[13] 지역까지 침략당하여 역관광당하기도 하였다.
말갈은 말갈 문서에 있듯 만주의 말갈이 아니라 위말갈, 즉 동예, 대방군 등 예맥계 집단을 말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마한 연맹의 일원이었으나 신분고국과 목지국이 기리영 전투에서 위나라에게 패배하자 이들을 등지고 낙랑군, 대방군에게 충성을 맹세한 옛 마한 거수국들이었다.[14]
여기서 적현성은 경기도 파주시 적성면 일대라는 설과 세종특별자치시 연기면 일대라는 설 2개가 있는데, 문제는 《삼국사기》 문헌 연대상 초고왕~구수왕 재위기에는 백제가 어딜 지배하고 말고 이전에 아예 국가를 이룬 단계였는지도 의문시된다는 점. 한성 일대의 토돈 분구묘제 집단은 그 시기엔 임진강 유역에서 머무르고 있던 고구려계 적석총 집단과 연합하기도 전이었다. 쉽게 말하면 고고학적으로는 우리가 아는 백제가 있던 시기 자체도 아니란 말. 게다가 그 시기에 적성 일대는 신분활국이 건재했다. 초고왕~구수왕의 재위 연대가 실제보다 훨씬 후대거나 혹은 후대 임금의 다른 업적이 소급되어 적혀졌든지, 가능성은 둘 중 하나다.
3. 기타
- 《 삼국사기》에는 고이왕이 초고왕과 어머니가 같은 동생이라고 쓰여 있다. 그러나 고이왕은 초고왕이 사망한지 20년이나 지나 왕위에 올랐고, 다시 50년을 재위하였기 때문에, 상식적으로 개루왕의 아들이나 초고왕의 동생으로 보기 어렵다. 기루왕의 사례에서 보듯이 개루왕은 39년을 재위했고 기루왕이 100살을 넘겼다면 아들인 개루왕도 최소 60살은 넘었을 것이다. 그런데 그 개루왕도 무려 38년을 재위했으니 아들인 초고왕은 50살이 넘은 나이에 왕위에 올랐다는 것이 된다. 그런데 고이왕이 초고왕의 동생이라면 무려 70살이 넘는 나이에 50년을 재위하여 120살을 넘게 살았다는 말이 된다. 그렇다고 책계왕이 고이왕의 증손자라면 모를까, 여긴 또 아들이랑 아버지 관계다. 이 때문에 사학계에서는 고이왕이 초고왕의 동생이 아닌 초고왕의 동생의 아들, 즉 조카라는 견해도 예전에는 제기되었는데, 요즘 와선 고이왕 자체를 아예 그냥 초고왕계와는 성씨도 달랐던 임금으로 보는 추세다. 그냥 요약해서 말하자면 고이왕은 초고왕의 동생이 아닐 소지가 높고 《삼국사기》 문헌상 연대도 그대로 믿을 순 없다고 생각하면 되겠다.
- 대한민국 역사학자 노중국에 따르면 《 삼국사기》 초기 기록에 등장하는 백제 국왕 중 최초의 부여씨 계열(온조 계열) 군주로 지목되는 군주다. 단계로 발전하는 시기가 초고왕 시기와 비슷하다는 점, 《신찬성씨록》에 초고왕을 시조로 하는 가문이 있다는 점을 들었다. 실제 전임자 온조왕,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은 《신찬성씨록》에 나타나지 않는다.[15]
- 초고왕이 왕자 시절에 일본에서 활동한 바 있는데, 이것이 바로 일본 신화 '스사노오'가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4. 《 삼국사기》 내용
삼국사기(三國史紀)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
1권 「신라 1권 (新羅 一)」 | 2권 「신라 2권 (新羅 二)」 | |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 ||
3권 「신라 3권 (新羅 三)」 | 4권 「신라 4권 (新羅 四)」 | 5권 「신라 5권 (新羅 五)」 | |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 |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 8권 「신라 8권 (新羅 八)」 | 9권 「신라 9권 (新羅 九)」 | |
김법민 |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 |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 ||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 ||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 |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 고주몽 · 고유리 |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 |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 |
고궁 · 고수성 |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 |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 |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 고원 · 고건무 | |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 ||
고장 |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 ||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 |||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 |||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 |||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 |||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 |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 부여의자 | |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삼국사기》 <초고왕 본기>
一年冬十一月 초고왕이 즉위하다
二年秋七月 신라의 서쪽 변경을 공격하다
二年秋八月 신라가 군사를 보내 동쪽 변경을 공격해 오다
五年春三月 일식이 일어나다
五年冬十月 신라 변경을 공격하다
二十一年冬十月 혜성이 나타나다
二十二年夏五月 서울의 우물과 한강이 마르다
二十三年春二月 궁실을 중수하고 신라의 모산성을 공격하다
二十四年夏四月一日 일식이 나타나다
二十四年秋七月 신라와 구양에서 싸워 패배하다
二十五年秋八月 신라의 원산향을 공격하고 부곡성을 포위하다
二十六年秋九月 치우기가 각·항에 나타나다
三十四年秋七月 지진이 일어나고 신라의 변경을 공격하다
三十九年秋七月 신라의 요차성을 공격하여 성주 설부를 죽이다
三十九年冬十月 혜성이 동정에 나타나다
四十年秋七月 금성이 달을 범하다
四十三年 곡식이 익지 않아 도적이 일어나다
四十四年冬十月 겨울에 큰 바람이 불어 나무가 뽑히다
四十五年春二月 적현성과 사도성을 쌓다
四十五年冬十月 말갈이 사도성을 공격하다
四十六年秋八月 누리 떼가 곡식을 해쳐 백성들이 굶주리다
四十六年冬十一月 겨울에 물이 얼지 않다
四十七年夏六月 일식이 일어나다
四十八年秋七月 회회가 흰 사슴을 바치다
四十九年秋九月 북부의 진과가 말갈의 석문성을 공격하다
四十九年冬十月 말갈이 침입하여 술천에 이르다
四十九年 초고왕이 죽다
신라, 말갈과 투닥투닥. 그리고 자연 재해가 거의 전부다. 심지어 5~21년 사이는 공백이고 2~5년차 기록도 천문 현상 아니면 <신라본기>에서 베껴온 거라서 실질적인 백제 측 기록은 21년(서기 186년)부터 시작된다고 봐도 무방하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동명성왕 | ─ | ─ |
동명왕(?)
|
구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덕좌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장남
|
13대
근초고왕
|
||||||||||||
│ | |||||||||||||
│ | |||||||||||||
14대
근구수왕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부여신제 | |||||||||||||
│ | |||||||||||||
│ | |||||||||||||
19대
구이신왕
|
|||||||||||||
│ | |||||||||||||
│ | |||||||||||||
│ |
부여주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딸 | ─ | ||||||||||||
│ | │ | ||||||||||||
┌ | ─ | ─ | ─ | ┤ | │ | ||||||||
순타태자 |
(?)
|
||||||||||||
│ | │ | │ | |||||||||||
│ | ┌ | ─ | ┤ | │ | |||||||||
부여법사 |
(?)
|
||||||||||||
│ | │ | ||||||||||||
│ | │ | ||||||||||||
아좌태자 | |||||||||||||
│ | |||||||||||||
│ | |||||||||||||
│ | |||||||||||||
├ | ─ | ┐ | |||||||||||
부여교기 | |||||||||||||
│ | |||||||||||||
┌ | ─ | ┬ | ─ | ┬ | ─ | ┼ | ─ | ┐ | |||||
부여선광 | |||||||||||||
│ | │ | │ | |||||||||||
├ | ─ | ┬ | ─ | ┐ | │ | │ | |||||||
부여문사 | 부여문선 | 부여덕장 |
부여사
|
부여창성 | |||||||||
│ | |||||||||||||
│ | |||||||||||||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부녀,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 |
[1]
《
삼국유사》.
[2]
고이(?),
우수(?)
[3]
현재는 이것을 사실이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 자세한 내용은 기타 항목 참조
[4]
이 기록은 맥락상 165년을 잘못 적은 것으로 보아야 약간은 《삼국사기》 다른 기록들과 아귀가 맞는다.
[5]
現
충청북도
옥천군.
[6]
現
경상북도
예천군 용궁면.
[7]
미추 이사금의 아버지다.
[8]
現
충청북도
보은군.
[9]
現
경상북도
상주시.
[10]
과거 식민사학에 종사한 일본 사학자들은 고이왕~분서왕 등의 연대기적 정확도마저 부정했으나, 이 부분만은 국내 학자들의 활발한 연구 및 고고학적 발굴 결과를 통한 반론으로 극복되었다.
[11]
실은 고국원왕이 다소 무리하게 백제를 공격한 건, 고구려 또한 고구려의 강압적인 낙랑 일대 직접 지배화 및 동화 시도에 저항하는 낙랑-대방인들이 자꾸 백제로 탈주하며 반고구려 활동을 하는 고민을 겪고 있었던 게 원인이다. 충북 일대에서 목지국 지지 세력을 굴복시킨 백제가 진한에 대해 신경을 곤두세우고 갈등 관계가 된 것도 이와 같은 맥락이었다.
[12]
후보지라도 있는 적현성과 달리 초고왕의 사도성은 대체 어딘지 연구조차 되어 있지 않다.
한국사에 등장하는 사도성은 沙道城으로 하나 더 있는데
경상북도
영덕군
후포면 일대로 추정된다. 이 사도성은
아달라 이사금 시절 이미 있었고
유례 이사금이 사도성을
재건축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따라서 초고왕 시절 백제가 영덕까지 지배하지 못했을 것이라 추정하여 영덕 사도성이랑 별개의 성이라는 점만 연구되어 있다.
[13]
現
경기도
여주시.
[14]
한국군사사 1권 참조
[15]
출처: 《백제 정치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