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9 18:41:02

동성왕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fbe673"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fbe673>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온조왕 다루왕 기루왕 개루왕
<rowcolor=#fbe673>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초고왕 구수왕 사반왕 고이왕
<rowcolor=#fbe673>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책계왕 분서왕 비류왕 계왕
<rowcolor=#fbe673>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근초고왕 근구수왕 침류왕 진사왕
<rowcolor=#fbe673> 제17대 제18대 제19대 제20대
아신왕 전지왕 구이신왕 비유왕
<rowcolor=#fbe673> 제21대 제22대 제23대 제24대
개로왕 문주왕 삼근왕 동성왕
<rowcolor=#fbe673> 제25대 제26대 제27대 제28대
무령왕 성왕 위덕왕 혜왕
<rowcolor=#fbe673> 제29대 제30대 제31대
법왕 무왕 의자왕
}}}}}}}}}}}}

백제 제24대 국왕
동성왕 | 東城王
파일:송산리 고분군 6호, 무령왕릉, 5호.jpg
동성왕릉으로 추정되는 송산리 6호분(우측) 전경.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출생
(음력)
468년 추정[1]
왜국 (?)
(현 일본국) (?)
사망
(음력)
501년 12월 (향년 33세 추정)
백제 웅진성
(현 충청남도 공주시)
능묘 송산리 6호분 (추정)
재위기간
(음력)
백제 제24대 국왕
479년 11월 ~ 501년 11월 (22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 성씨 부여(扶餘)
모대(牟大)[2] · 마모(摩牟)
대(大) · 마제(麻帝)[3]
말다(末多)[4]
마동(麻童)(?)
부모 부왕 좌현왕 부여곤지
모후 미상
형제자매 5남 중 차남(?)[5]
왕후 왕후[6]
자녀 1남 이상?
왕자[7], 부여사마[8], 동성자언(?), 동성자막고(?)[9]
후손 동성도천(?)[10]
종교 토속 신앙
시호 동성왕(東城王)
별호 모대왕(牟大王)
말다왕(末多王) }}}}}}}}}

1. 개요2. 생애3. 미스터리
3.1. 북위와의 전투3.2. 최후에 대한 의혹
4. 평가5. 《 삼국사기》 기록6. 기타7. 대중매체에서의 동성왕8. 관련 문서9.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캡션

백제의 제24대 군주( 건길지). 이름은 '모대(牟大)', '마모(摩牟)'[11], '마제(麻帝)'[12], 《 일본서기》에는 '말다(末多)'. 중국 역사서와 《 삼국유사》<왕력> 편에는 '여대(餘大)'로 나타난다. 이 때문에 '마동(薯童) = 서동(薯童)'으로 서동요의 서동이 백제 동성왕이라는 설도 있다. 실제로 이 시기 신라 소지 마립간이 백제의 제안을 받아들여 이찬 비지의 딸[13]이 동성왕과 결혼 동맹을 맺었기 때문에 연계성을 완전히 부정하기 어렵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담력이 컸고 특히 궁술이 뛰어나서 활을 쏘면 백발백중이었다고 한다. #

2. 생애

문주왕의 동생인 부여곤지의 아들로 권신 해구 반란을 진압하고, 정권을 장악한 진씨 세력에 의해 왕위에 올랐는데 중국 측 사서를 신뢰하여 동성왕을 문주왕의 아들로 보는 가설도 있다. 무령왕릉이 발굴되면서 동성왕이 무령왕보다 나이가 적은 것으로 밝혀졌는데, 그런데도 왜 동성왕이 먼저 임금이 되었는가에 대한 의문은 동성왕이 문주왕의 아들이었다고 한다면 자연스레 해명할 수 있는 부분이기는 하다. 하지만 《 삼국사기》 등 대부분의 기록에는 부여곤지의 아들로 나와 있기 때문에 이 설의 근거는 빈약한 실정이다.

일단 기록대로 부여곤지의 아들이라면 형 무령왕처럼 일본에서 태어났을 가능성이 높다. 《 일본서기》에서는 479년 동성왕이 왕위에 오를 당시 유년(幼年)의 나이였다고 언급하고 있으므로 최소 10대 즈음에 왕위에 올랐다는 추측이 신빙성 있게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렇게 본다면 진씨 세력이 자신들이 주무르기 쉬운 왕손을 고르는 와중에 뽑힌 적임자가 바로 동성왕이라는 해석을 해볼 수 있다. 나이로 본다면 형인 사마가 왕이 되어야 정상이었겠지만 진씨 세력의 입장에서는 성인인 부여사마는 자기들이 제어하기 어렵다고 판단해 동성왕을 새 왕으로 세웠다는 것이다. 다만 이름인 "말다"가 '맏'으로 읽힌다는 점, 무령왕이 개로왕 후궁 소생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부여곤지에게 적자는 무령왕이 아닌 동성왕이었을 것이라는 해석도 있다. 《일본서기》에 따르면 동성왕이 백제로 귀국할 때 츠쿠시국(지금의 후쿠오카)의 군사 500명으로 호위시켰다고 한다. 이 츠쿠시국 군사와 파견된 일본의 장수들은 《일본서기》에 의하면 고구려와 전투를 벌이게 된다.
是歲, 百濟調賦, 益於常例. 筑紫安致臣馬飼臣等, 率船師以擊高麗.
이 해에 백제가 바친 조부(調賦)가 평소보다 많았다. 츠쿠시의 아치노오미(安致臣)와 우마카히노오미(馬飼臣) 등이 선사(船師)를 거느리고 고구려를 쳤다. - 《일본서기》 유랴쿠 23년 (479년)

어쨌거나 진씨 세력이 삼근왕을 버리고[14] 동성왕을 뽑은 선택지는 자기들 손으로 자기들을 날려버릴 호랑이를 뽑은 최악의 자충수가 되고 말았다. 차라리 진씨 세력의 도움을 받아가며 국정을 운영하던 삼근왕을 표면에 내세우는 것이 낫지 않았을까 싶을 정도로 뒤통수를 제대로 얻어맞는 상황이 되었다.

삼근왕 해구를 숙청할 때 진씨 귀족 세력의 도움을 받았고, 해구를 숙청한 이후 진씨 세력이 권력의 전면에 등장한다. 그 상황에서 진씨 세력은 자신들의 권력을 더 추구하기 위해서 삼근왕을 죽이고 동성왕을 올렸다. 진씨 세력 입장에서는 정치적으로 유능한 삼근왕보다 나이도 훨씬 어린 동성왕이 자신들이 입맛대로 주무르기 좋았을 것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진씨 세력은 딱 한 가지를 간과했다. 동성왕은 야심이 어마어마하게 크고, 본인이 확실한 기반을 잡을 때까지 절대로 이를 밖으로 드러내지 않을 정도로 정치적 감각이 뛰어난 사람이라는 사실[15]이 바로 그것이다. 동성왕은 처음에 외교와 국방에 치중하며 본인의 입지를 다지는 데 힘을 썼고, 외교 업적을 토대로 동성왕이 진씨 세력으로부터 어느정도 독립적인 기반을 잡자 마자 본인의 즉위에 결정적인 공을 세웠던 진씨 세력부터 싸그리 숙청해버린다.

481년(동성왕 3년)에 신라의 북쪽 변경으로 쳐들어온 고구려 말갈의 연합군을 신라 가야와 연합하여 격퇴시켰는데 <백제본기>에는 없고 <신라본기>에만 기록되어 있다. 482년 9월에는 말갈이 북쪽에서부터 쳐들어왔으며 484년(동성왕 6년)에는 중국 남조(南朝)의 남제(南齊)에도 사신을 보내고자 시도하고, 485년(동성왕 7년)에는 신라에도 사신을 보내는 등 외교에 힘을 기울였다.

일본서기》에 의하면 487년에 키노 오이와노스쿠네(紀 生磐宿禰)의 반란으로 가야가 혼란에 빠지자 이에 개입해 가야 연맹에 대한 세력 강화를 시도하기도 했다. 아마 기록상으로 보았을 때 가야가 백제에 도움을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

489년(동성왕 11년) 남도 바닷가의 농부가 두 이삭이 합쳐진 벼를 바쳤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이에 대해 근초고왕 때 이루어진 경략 이후에도 현지 세력을 인정하는 불완전한 지배에 머물렀던 현 전라도 지역의 마한에 대한 합병이 이 때 완벽히 끝나 중앙에서 손수 지방관을 파견하는 직접 통치로 전환된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16] 현재 영산강 유역의 전방후원분은 동성왕이 파견한 왜국계 지방관의 묘라는 것이다.

493년(동성왕 15년)에는 당시 신라의 군주였던 소지 마립간에게 권유해서 혼인을 요구하니 이찬 비지의 딸을 백제로 시집을 보내기도 했고, 494년(동성왕 16년)과 495년(동성왕 17년) 두 해에 걸쳐 백제와 신라를 번갈아 침공해오는 고구려의 군대를 신라와 연합해 물리치는 등 나제동맹을 더욱 공고히 했다. 498년에 공물과 세금을 바치지 않는 탐라국(지금의 제주도)을 친히 정벌하고자 무진주(武珍州 : 지금의 광주광역시)까지 이르렀다가 탐라국의 항복을 받고 무력에 의한 정벌을 중지한 후 탐라국을 속국으로 만들었다. 지리적으로 봐도 충청도 쪽이 중심인 백제는 전라도를 완전히 손에 넣어야 제주도와 접하기 때문에 탐라국을 정벌하려 하고 항복을 받아낸 것도 위에서 나온 대로 마한에 대한 합병이 이미 거의 완료되었다는 정황 증거 중 하나다. 국방에도 힘을 쏟아서 반란의 이유로 언급되는 잦은 사냥이라는 것도 실제로는 군사 훈련으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이런 노력 끝에 어느 정도 군사력을 회복하여 한때 한강 이남 저 남쪽까지 밀려났던 백제가 대략 이 시기부터 다시 한강 근처까지 진출해 고구려와의 한강 유역 쟁탈전이 벌어졌다.[17]

다만, 나제동맹은 사서에 명확하게 써 있는 것은 아니지만, 동성왕 재위 후반부에는 조금 흔들리는 듯한 정황이 보인다. 키노 오이와노스쿠네(紀 生磐宿禰)의 반란 때 엮여서 백제와 사이가 영 좋지 않았던 반파국(대가야)과 신라의 사이가 좋아지는 듯한 사건이 나오고, 어느 순간부터 고구려가 쳐들어오면 서로 지원군을 보내주던 것도 뚝 끊겼으며, 501년에는 신라가 만에 하나 침략해 올 것을 대비해 탄현에 방어선을 구축하기까지 했다. 여기서 나오는 탄현은 炭峴이라고 쓰며 고양시 탄현역과 한자는 같지만, 전혀 다른 곳이다. 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일대로 추정된다. 관련 링크

물론 그 뒤로도 백제와 신라가 관산성 전투 전까지는 직접 싸우지는 않아서 신라의 한강 병합으로 나제동맹이 확실히 깨지는 정설은 50년쯤 뒤인 554년이지만, 동성왕 재위 후반부쯤 되면 나제동맹의 끈끈함은 전보다는 확실히 약해진 것이 사실이다. 어차피 백제와 신라의 사이는 옛날부터 앙숙이었으니 장수왕이라는 공공의 강적이 없어지고 나서는 살짝 멀어지는 것이 당연할지도 모른다.

여러모로 웅진 천도 이후 막장을 향해 달리던 백제를 다시 어느 정도 추스려서 무령왕 시기 중흥으로 나아가는 발판을 만들었다는 중흥군주로서의 긍정적 평판은 들을 만 하다. 웅진 천도 이후 계속된 혼란을 수습하고, 본 궤도에 올려놓는 등 뛰어난 업적들을 남기며 백제의 부흥을 이끌었지만, 문제는 동성왕이 말년에는 군기가 빠져 긴장이 풀렸는지 정사를 돌보지 않은 채 사치와 향락에만 몰두했을 정도로 심하게 타락했다는 것이다. 499년(동성왕 21년), 한산 지역에 가뭄이 들어 백성들이 기근으로 굶주려 결국 아사하는 일이 발생하자[18] 궁궐의 창고를 열어서 백성들을 구제하자는 신하들의 권고까지도 무시해버리고 500년(동성왕 22년) 봄, 도리어 웅진성 동쪽에 임류각(臨流閣)을 짓고 동물들을 키우는 사치스러운 정원을 만들기까지 하였다. 또한 신하들이 간언하는 것조차 듣기 귀찮아 해서 궁궐의 문까지 닫아버릴 정도로 사치와 향락만을 일삼았다.

결국 501년(동성왕 23년) 겨울 음력 11월, 사비 서원에서 사냥을 나갔다가 폭설을 만나 근처에서 머무르던 중 그 동안 왕의 정책에 반발함과 동시에 임금에 의해 가림성으로 좌천된 것에 원한을 품은 위사좌평(衛士佐平) 백가가 반란을 일으켰다. 동성왕은 반란 소식을 듣고 궁궐로 돌아가려는데, 이때 백가가 휘하 군대로 왕의 사냥단을 습격했고 신하들과 근위병들이 학살당하는 와중에 부랴부랴 도망치다가 백가의 부하들에게 붙잡혀 암살당하는 비운을 맞았다. 다만 《삼국사기》를 보면 동성왕의 승하 기사가 동성왕 23년 11월 조에 있지만 본문에 12월에 이르러 승하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아무래도 백가가 보낸 자객들에게 공격당했을 때 바로 목숨을 잃은 게 아니라 중태에 빠진 뒤 웅진성으로 돌아와서 얼마간은 생존해 있다가 완전히 세상을 떠난 것으로 보인다.[19] 《일본서기》에는 "말다왕이 포학무도하므로 국인(왕경인)이 제거했다"라는 《 백제신찬》의 기록을 인용했다.[20]

시호(諡號)는 동성왕(東城王)이다. 《삼국사기》의 기록에 따르면 아들로 무령왕이 된 부여사마가 있다고 하나 《일본서기》에 의하면 무령왕은 개로왕의 아들로서 동성왕의 사촌이거나 부여곤지의 아들로서 동성왕의 이복형에 해당한다. 그리고 무령왕릉 발굴 결과 무령왕이 461년 혹은 462년생으로 밝혀져 468년생으로 추정되는 동성왕과 465년생인 삼근왕보다 나이가 많은 것으로 밝혀져 일단 《삼국사기》의 기록이 오기였음이 확실시되었다.

동성왕의 무덤은 송산리 고분군에 있다고 추정되며, 송산리 6호분이 동성왕의 왕릉이라는 주장이 있다.

3. 미스터리

3.1. 북위와의 전투

동성왕 시대에 백제 탁발선비족의 북위와 교전을 벌였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상세 내용은 문서 참조.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백제-북위 전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 최후에 대한 의혹

동성왕은 재위 말년에 접어들면서 의도적으로 신진 세력들을 등용하기 시작했다. 이는 웅진 천도 이후 문주왕 삼근왕을 거치면서 약화되었던 부여씨 왕권을 다시금 부흥시키려는 의도로 풀이할 수 있다. 한성에서 함께 내려온 구 귀족 세력을 견제하기 위해 웅진 출신의 신진 세력을 중용한 것이다.

문제는 동성왕 시해를 사주한 백가는 견제의 대상인 구 귀족 세력이 아니라 동성왕이 등용한 신진 세력이었다. 백제의 대성팔족 중 하나인 백씨 가문은 웅진의 귀족이었고, 백가는 동성왕이 직접 위사좌평에 임명한 인물이었다. 위사좌평은 오늘날 대통령경호실장에 해당되는 위치였기 때문에 사실상 백가는 동성왕의 최측근이라고 봐도 좋을 인물이었다. 상식적으로 가장 믿고 의지할 수 있는 심복을 경호실장에 임명하지 않겠는가?

삼국사기》에 의하면 동성왕은 백가를 새로 신축한 가림성[21]의 성주로 임명했다. 백가는 이에 불만이 있었는지 병을 핑계로 가림성으로 부임하지 않으려 했으나 동성왕이 이를 허락하지 않자 자객을 보내 왕을 암살했다고 전한다. 이후에 백가는 가림성으로 도망쳐서 반란을 일으켰다가 후사를 이은 무령왕이 보낸 토벌군에 제압당한 뒤 항복해 그대로 처형되었다.

이 부분에 근거해 동성왕의 죽음과 뒤를 이은 백가의 황당한 반란에는 석연치 않은 부분이 있다. 왕의 최측근이던 경호실장이 왕을 암살한 뒤 큰 저항 없이 항복하고 처형되었다는 점에 근거하여 백가가 뭔가 뒤에 믿는 구석이 있었다는 추정이 그것. 무령왕이 배후에서 백가를 조종했고 계획이 성공하자 백가를 팽했다는 학설이다. 정황상 아주 허무맹랑한 소리는 아니지만 기록의 부재로 진위여부는 알 수 없다.

한편 《삼국사기》의 탐라 전라남도 강진군에 대한 기록에서 알 수 있듯이 동성왕은 남쪽으로 팽창정책[22]을 펼쳐왔다. 이에 한강 일대에 경제권을 소유한 구 세력들이[23] 동성왕의 남진정책에 불만을 품고 반란을 일으켰다는 가설도 있다. 후임자인 무령왕은 적극적으로 고구려를 공격해 한강 유역에 영향력을 행사하려 들었다는 점이 그 근거. 또한 《삼국사기》 동성왕 치세기에 기록된 남산에서 두 호랑이가 싸웠다는 기록을 두고 이 호랑이 두 마리가 각각 무령왕과 동성왕을 은유적으로 표현한게 아니냐는 학설도 있다.

4. 평가

전대의 삼근왕과는 대조적으로 전제군주라 할 정도로 주체적이고 고집있는 왕권강화 정책을 펼쳤다. 진씨 세력의 추대로 옹립된 왕이다보니 생존을 위해서라도 왕권 강화는 어쩔 수 없는 필연적인 선택이었다. 그래서 권세를 휘두르는 진씨[24] 세력을 억누르기 위해 금강 유역권을 지배 기반으로 삼았던 신진 세력을 대거 기용하여 권력의 전면부에 배치시켰다. 이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하는 세력으로 사씨, 연씨, 백씨 등 대성팔족이 있다.

웅진 천도 이후 바닥까지 추락했던 백제의 부여씨 왕권과 국제적 위치를 정상 궤도에 안착시켜 백제를 중흥시킨 임금으로 우호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개로왕 이후 끊겨버린 중국(특히 남조)과의 관계를 되살렸고 신라 소지 마립간에게 혼인 동맹을 제의하여 이찬 비지의 딸과 동성왕이 혼인하게 됨에 따라[25] 나제동맹의 결속을 굳건히 하는 등 적극적으로 고구려의 남진 정책에 대처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다만 말년에는 대신의 간언을 무시하며 성곽, 궁실, 정원 등을 과도하게 증축하고 향락에 빠지며 사냥에 지나칠 정도로 빠지는 등 과도한 왕권 강화 및 과시를 하며 백성에 대한 구제를 외면하여 원성을 사기도 했고 이로 인해 비참한 최후를 맞는 원인이 되었다.[26]

동국통감》의 평가는 기근이 들었는데도 백성들을 구휼하지 않고 사치를 부린 점 떄문에 부정적으로 평가했다.
"동성(東城)은 나라의 흉년을 당하여 백성에게 기근이 들었는데도 구휼하지 않고, 임류각(臨流閣)을 세워 몹시 화려하게 하고 스스로 방자하게 연회하였으며, 궁문(宮門)을 닫고 간하는 신하를 거절하면서 놀고 사냥하는 데 빠져서 오래도록 돌아오지 않다가 적신(賊臣)에게 해침을 당하는 바가 되었습니다."

5. 삼국사기》 기록

삼국사기(三國史紀)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word-break: keep-all; min-height:(25/18*1em + 5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4a2d5b {{{#!folding [ 본기(本紀) ]
{{{#!wiki style="margin: -6px -1px -10px"
1권 「신라 1권 (新羅 一)」 2권 「신라 2권 (新羅 二)」
혁거세 · 남해 · 유리 · 석탈해 · 파사 · 지마 · 일성 아달라 · 벌휴 · 내해 · 조분 · 첨해 · 미추 · 유례 · 기림 · 흘해
3권 「신라 3권 (新羅 三)」 4권 「신라 4권 (新羅 四)」 5권 「신라 5권 (新羅 五)」
내물 · 실성 · 눌지 · 자비 · 소지 지대로 · 원종 · 김삼맥종 · 김사륜 · 김백정 김덕만 · 김승만 · 김춘추
6-7권 「신라 6-7권 (新羅 六-七)」 8권 「신라 8권 (新羅 八)」 9권 「신라 9권 (新羅 九)」
김법민 김정명 · 김이홍 · 김융기 김승경 · 김헌영 · 김건영 · 김양상
10권 「신라 10권 (新羅 十)」 11권 「신라 11권 (新羅 十一)」
김경신 · 김준옹 · 김청명 · 김언승 · 김수종 · 김제융 · 김명 · 김우징 김경응 · 김의정 · 김응렴 · 김정 · 김황 · 김만
12권 「신라 12권 (新羅 十二)」 13권 「고구려 1권 (高句麗 一)」 14권 「고구려 2권 (高句麗 二)」
김요 · 박경휘 · 박승영 · 박위응 · 김부 고주몽 · 고유리 고무휼 · 고색주 · 고해우
15권 「고구려 3권 (高句麗 三)」 16권 「고구려 4권 (高句麗 四)」 17권 「고구려 5권 (高句麗 五)」
고궁 · 고수성 고백고 · 고남무 · 고연우 고우위거 · 고연불 · 고약로 · 고상부 · 고을불
18권 「고구려 6권 (高句麗 六)」 19권 「고구려 7권 (高句麗 七)」 20권 「고구려 8권 (高句麗 八)」
고사유 · 고구부 · 고이련 · 고담덕 · 고거련 고나운 · 고흥안 · 고보연 · 고평성 · 고양성 고원 · 고건무
21-22권 「고구려 9-10권 (高句麗 九-十)」 23권 「백제 1권 (百濟 一)」
고장 부여온조 · 부여다루 · 부여기루 · 부여개루 · 부여초고
24권 「백제 2권 (百濟 二)」
부여구수 · 부여사반 · 부여고이 · 부여책계 · 부여분서 · 부여비류 · 부여계 · 부여구 · 부여수 · 부여침류
25권 「백제 3권 (百濟 三)」
부여진사 · 부여아신 · 부여전지 · 부여구이신 · 부여비유 · 부여경사
26권 「백제 4권 (百濟 四)」 27권 「백제 5권 (百濟 五)」 28권 「백제 6권 (百濟 六)」
부여문주 · 부여삼근 · 부여모대 · 부여사마 · 부여명농 부여창 · 부여계 · 부여선 · 부여장 부여의자
금석문 및 문헌기록상 신라 최초로 성씨를 사용한 왕은 진흥왕임
* 29~31권까지 연표
* 32~40권까지 잡지
}}}}}}}}}}}}
{{{#!folding [ 열전(列傳) ]
}}} ||

《삼국사기》 <동성왕 본기>
一年冬十一月 동성왕이 즉위하다
四年春一月 진로를 병관 좌평으로 임명하여 군사에 관한 일을 맡기다
四年秋九月 말갈이 한산성을 습격하다
四年冬十月 큰 눈이 내리다
五年 한산성으로 행차하여 군사와 백성을 위무하다
五年夏四月 웅진 북쪽에서 신성한 사슴을 사냥하다.
五年春二月 남제에 사절을 파견하다
六年秋七月 남제에 파견하는 사절의 통행을 고구려가 차단하다
七年夏五月 신라에 사신을 보내 예방하다
八年春二月 백가를 위사 좌평에 임명하다
八年春三月 사절을 남제에 보내 조공하다
八年秋七月 궁실을 중수하고 우두성을 쌓다
八年冬十月 대궐 남쪽에서 군대를 사열하다
十年 침입하다
十一年 두 이삭이 합쳐진 벼를 바치다
十一年冬十月 천지신명에 제사지내다
十一年冬十一月 남당에서 군신들과 잔치를 벌이다
十二年秋七月 사현성과 이산성을 쌓다
十二年秋九月 연돌을 달솔에 임명하다
十二年冬十一月 겨울에 물이 얼지 않다
十三年夏六月 웅천의 물이 불어 민가가 피해를 입다
十三年秋七月 백성이 굶주려 신라로 도망한 무리가 일어나다
十四年春三月 3월에 눈이 내리다
十四年夏四月 큰 바람이 불어 나무가 뽑히다
十四年冬十月 우명곡에서 사냥하다
十五年春三月 신라와 혼인 관계를 맺다[27]
十六年秋七月 군사를 보내 신라를 구원하다
十七年夏五月一日 일식이 일어나다
十七年秋八月 신라군이 구원하여 고구려가 물러나다
十九年夏五月 연돌을 병관좌평으로 임명하다
十九年夏六月 큰 비가 내려 백성들의 가옥이 유실되다
二十年 웅진교를 가설하다
二十年秋七月 사정성을 축조하고 한솔 비타를 보내 지키게 하다
二十年秋八月 왕이 무진주로 행차하여 탐라의 사죄를 받다
二十一年 백성이 굶주려 고구려로 도망한 무리가 일어나다
二十一年冬十月 전염병이 크게 돌다
二十二年 대궐 동쪽에 임류각을 세우다
二十二年夏四月 우두성에서 사냥하다
二十二年夏五月 임류각에서 잔치를 베풀다
二十三年春一月 서울에서 노파가 여우로 둔갑하여 사라지다
二十三年春三月 서리가 내려 보리를 해치다
二十三年夏五月 여름부터 가을까지 비가 내리지 않다
二十三年秋七月 탄현에 목책을 세워 신라의 침입을 대비하다
二十三年秋八月 가림성을 축조하여 백가로 하여금 지키게 하다
二十三年冬十月 사비 동쪽 벌판에서 사냥하다
二十三年冬十一月 백가가 자객을 보내 동성왕을 죽이다

기록이 상당히 많다. 재위 기간으로 비교하면 의자왕보다도 많을 정도. 백제에서 온조왕, 무왕 다음으로 기록이 많이 남아 있는 군주다.

6. 기타

7. 대중매체에서의 동성왕

8. 관련 문서

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0px" <tablebordercolor=#008080> 파일:백제 군기.svg 동성왕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8080><colcolor=#fbe673,#f9d537> 생애 및 활동 <colbgcolor=#fff,#1f2023> 백제-북위 전쟁
관련 장소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 공주 송산리 6호분
설화 서동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16b6b, #008080 20%, #008080 80%, #016b6b); color: #fbe673;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동명성왕
비류국
비류왕
덕좌왕
장남
13대
근초고왕
12대
계왕
14대
근구수왕
부여신제
19대
구이신왕
부여주
순타태자
26대
성왕
(?)
부여법사
28대
혜왕
(?)
아좌태자
29대
법왕
30대
무왕
부여교기
32대
풍왕
부여선광
부여문사 부여문선 부여덕장
부여사
부여창성
[범례]
실재 혈통 기준
세로선(│) 부자, 부녀, 사위관계
가로선(─) 형제, 자매관계
}}}}}}}}}


[1] 《일본서기》 479년 4월조에 따르면 삼근왕이 사망할 당시 동성왕은 '유년(幼年)'의 나이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廿三年夏四月 百濟文斤王薨 天王 以昆支王五子中 第二末多王 幼年聰明 勅喚內裏 親撫頭面 誡勅慇懃 使王其國 仍賜兵器 幷遣筑紫國軍士五百人 衛送於國 是爲東城王 그래서 학계에서는 동성왕이 재위 8년(486년) 당시 나이를 18세가 된 것으로 추정되므로 동성왕이 468년에 출생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 [2] 남제서》, 《 양서》에서도 모대라 써있다. [3] 삼국유사》. [4] 일본서기》. 훈은 '마타'. [5] 부여사마(?) [6] 신라 이벌찬 비지의 딸. 왕족이었으므로 김씨일 가능성이 높다. [7] 아들이 아닌 무령왕이 둘째 아들이라고 했는데 이 기록을 보면 동성왕은 첫째 아들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다만 이 기록은 동성왕-무령왕 관계의 경우처럼 실제 부자 관계가 아닐 경우에 첫째 아들이 아닌 둘째 아들이라고 의도적으로 기록하던 패턴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그렇게 보면 아들의 유무 자체를 알 수 없어진다. [8] 삼국사기》의 기록. 이것을 신뢰한다면 무령왕은 부여곤지의 손자에 해당한다. 하지만 《일본서기》에 의하면 무령왕은 개로왕의 아들로서 동성왕의 사촌이거나 부여곤지의 아들로서 동성왕의 이복형에 해당한다. 그리고 무령왕릉 발굴 결과, 무령왕이 동성왕과 삼근왕보다 나이가 많은 것으로 밝혀져 일단 《삼국사기》의 기록이 사실과 다름이 확실시되었다. [9] 상기한 둘은 모두 《일본서기》에 백제에서 왜국으로 파견된 사신들로 나오는데, 동성자(東城子) 부분이 둘의 이름에서 겹치므로 "동성왕의 아들"이라고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있다. # [10] 마찬가지로 동성(東城)은 동성왕을 뜻한다고 볼 경우. 아들인지는 알 수 없다. [11] 摩牟는 摩帝의 오기로 보기도 한다. [12] 帝의 옛 음은 '뎨'. 황뎨 '뎨'. 즉 마뎨, 말다, 모대는 음이 통한다. [13] 선화공주처럼 공주까지는 아니더라도 비지는 진골 이상 신분이므로 김씨 왕족일 가능성이 높다. [14] 《삼국사기》에는 그냥 죽었다고 나와 있지만, 현재 학계에서는 정황상 진씨 세력에 의해 시해당한 것으로 보고 있다. [15] 2024년 현재 중국의 국가 주석 시진핑이 바로 이 케이스이다. 시진핑이 주석에 오르기 전까지는 조용하고 자기 색을 드러내지 않는 인물로 알려져 있었고, 이에 중국공산당의 각 계파가 합의해서 시진핑을 올렸는데 시진핑은 야심이 엄청 큰 사람이었다. 시진핑은 주석 자리에 오르자마자 자신을 올려준 태자당 상하이방부터 대거 숙청에 나서며 절대 권력을 틀어쥐었다. [16] 다만 전라도 동부의 섬진강 유역은 백제의 혼란기를 틈타 대가야가 수중에 넣는데 성공했다. 동성왕 이전의 백제는 너무 정신없는 혼란기였기 때문에 이때까지는 가야의 영역 침범을 크게 문제삼지 않았던 듯하고 가야와의 우호 관계도 계속 이어졌다. 이 지역을 백제가 되찾으려는 시도는 이후 무령왕 대부터 본격화되어 끝내 이 지역에서 대가야를 몰아내고 전라도 전체에 관한 영유권을 확보하게 된다. [17] 애초에 문주왕 때에도 한강에서 완전히 물러난 것은 아니라는 설도 있다. 하지만 동성왕 이전 백제 사정을 고려하면 물러났느냐를 떠나서 관리할 여력 자체가 부족했다. [18] 이 과정에서 2,000여 명의 백성들이 적국인 고구려로 도망가는 일까지 벌어졌다. [19] 웅진시대의 공주 [20] 무령왕의 뒤를 이은 성왕 시기에 사비로 천도할 때 준비 기간이 짧았다고 추정되기도 하는데, 이는 동성왕 시기부터 이미 준비하고 있었을 것으로 파악된다. 이에 따르면 동성왕이 죽기 직전에 사비 서원에 간 것은 단순한 사냥이 아니었다는 의견이 꽤 있는 편이다. [21] 오늘날 충청남도 부여군 성흥산성. [22] 마한계 귀족 세력들인 사씨(沙氏), 연씨(燕氏), 백씨(苩氏) 등의 세력이 강해졌다는 추정이다. [23] 남래(南來)귀족 세력 해씨(解氏)와 진씨(眞氏). 백제 초창기부터 함께한 근본있는 가문이다. [24] 대성팔족중 상당수는 공주와 충남 일대를 본거지로 두는 신진 귀족 세력이며 4-5세기 무렵부터 삼국사기, 일본서기 등에 등장하는 마한계인 사씨, 연씨, 백씨가 있다. 그리고 그들과 대척점에 있는 남래(南來)귀족 세력 해씨(解氏)와 진씨(眞氏) 또한 대성팔족으로 이들은 온조의 십제 시절부터 온조와 동행한 세력으로 추정하며 한강일대의 경제권을 장악한 호족으로 파악된다. 다만 여기서 진씨는 온조를 따라 북쪽에서 내려온 것보다는 보통 한강 일대에서 온조 세력에게 연합해 지배층에 오른 마한 토착세력 출신으로 추정한다. 고고학적 발굴 결과 백제 초창기부터 분구묘 계통으로 대표되는 현지세력을 지배층으로 수용해 연합한 게 확인되기 때문이다. [25] 비록 신라왕의 친딸인 고귀한 공주의 신분은 아니지만 이찬이라는 높은 신라 관등을 감안하면 비지 역시 신라 왕과 아주 밀접한 고위 종친일 가능성이 높다. 동성왕이나 소지 마립간에게 결혼 적령기의 딸이 없었기 때문에 종친의 딸을 대신 시집보낸 것으로 보이며 이런 사례는 시대와 지역을 막론하고 자주 있었다. [26] 한국사 연대기 > 고대 > 동성왕 [27] 신라 측 기록과 관등이 다른데, 딸의 출자가 명확하게 기록된 것을 보아 신라 측 기록을 우선시한다. 따라서 비지의 관등은 이찬. 참고로 이 사건은 백제 측에서 그 유명한 서동요로 전래되었을 가능성이 높은데 해당 문서 참조. [28] 참조문헌: 노중국 교수의 《백제의 성씨와 귀족가문의 출자》, <<대구사학>> 89, 2007.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