숫자 한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零/ 〇( 영) | 一( 일) | 二( 이) | 三( 삼) | 四( 사) |
零 | 壹 | 貳 | 參 | 肆 | |
五( 오) | 六( 육) | 七( 칠) | 八( 팔) | 九( 구) | |
伍 | 陸 | 漆 | 捌 | 玖 | |
十( 십) | 廿( 이십) | 卅( 삼십) | 卌( 사십) | 百( 백) | |
拾 | 念 | - | - | 佰 | |
皕1( 이백) | 千( 천) | 萬( 만) | 億( 억) | 兆( 조) | |
- | 仟 | - | - | - | |
京( 경) | 垓( 해) | 秭( 자) | 穰( 양) | 溝( 구) | |
- | - | - | - | - | |
澗( 간) | 正( 정) | 載( 재) | 極( 극) | ||
- | - | - | - | ||
※회색 칸 안의 한자는
갖은자이다. 1 다만 이백 벽의 경우 후저우의 건축물인 '비쑹루(皕宋樓, 벽송루)'를 제외하고는 용례가 일절 없다. |
십진수 Decimal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큰 수 | 작은 수 | ||||||
일(
一/
壹) (100) |
십(
十/
拾) (101) |
백(
百/
伯/
陌) (102) |
천(
千/
仟/
阡) (103) |
<colbgcolor=#d3d3d3,#000>
푼/분(
分) (10-1) |
<colbgcolor=#d3d3d3,#000>
리(
厘) (10-2) |
<colbgcolor=#d3d3d3,#000>
모(
毛)/
호(
毫) (10-3) |
<colbgcolor=#d3d3d3,#000>
사(
絲) (10-4) |
|
만(
萬) (104) |
십만(十萬) (105) |
백만(百萬) (106) |
천만(千萬) (107) |
홀(
忽) (10-5) |
미(
微) (10-6) |
섬(
纖) (10-7) |
사(
沙) (10-8) |
|
억(
億) (108) |
십억(十億) (109) |
백억(百億) (1010) |
천억(千億) (1011) |
진(
塵) (10-9) |
애(
埃) (10-10) |
묘(
渺) (10-11) |
막(
漠) (10-12) |
|
조(
兆) (1012) |
경(
京) (1016) |
해(
垓) (1020) |
자(
秭) (1024) |
모호 (10-13) |
준순 (10-14) |
수유 (10-15) |
순식 (10-16) |
|
양(
壤/
穰) (1028) |
구(
溝) (1032) |
간(
澗) (1036) |
정(
正) (1040) |
탄지 (10-17) |
찰나 (10-18) |
육덕 (10-19) |
허공 (10-20) |
|
재(
載) (1044) |
극(
極) (1048) |
항하사 (1052) |
아승기 (1056) |
청정 (10-21) |
아라야 (10-22) |
아마라 (10-23) |
열반적정 (10-24) |
|
나유타 (1060) |
불가사의 (1064) |
무량대수 (1068) |
... |
|||||
구골 (10100) |
구골플렉스 ([math(10^{10^{100}})]) |
구골플렉시안(10구골플렉스) |
正 바를 정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止, 1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5획
|
||||
중학교
|
|||||||
-
|
|||||||
일본어 음독
|
セイ, ショウ
|
||||||
일본어 훈독
|
ただ-しい, ただ-す, まさ
|
||||||
-
|
|||||||
표준 중국어
|
zhēng, zhè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正은 '바를 정'이라는 한자로, '한가운데', '올바르다', '정직하다', '표준', '순수하다' 등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바르다 | |
음 | 정 | ||
중국어 | 표준어 | zhèng | <colbgcolor=#fff,#1f2023>zhēng |
광동어 | zing3[文] / zeng3[白] | zing1 | |
객가어 | chṳn[文] / chang[白] | châng | |
민북어 | cia̿ng | ciáng | |
민동어 | céng[文] / ciáng[白] | cĭng[文] / ciăng[白] | |
민남어 | chèng[文] / chiàⁿ[白] | chiaⁿ | |
오어 | tsen (T2) | tsen (T1) | |
일본어 | 음독 | セイ, ショウ | |
훈독 | ただ-しい, ただ-す, まさ | ||
베트남어 | chính, chánh | chinh |
유니코드 U+6B63에 배정되어 있다.
갑골문에서는 丁(고무래 정)의 옛 모양인 囗와 발을 나타내는 止(그칠 지)로 이루어져 있는데 丁(고무래 정)은 소리를 나타내고 止(그칠 지)는 뜻을 나타낸다. 따라서 正은 형성자이다. 후에 소전체로 오면서 囗 모양이 一 자로 단순화되었다. 사실 이 글자는 征(칠 정)의 본자며 본래 뜻은 '나아가다', ' 원정을 가다', '공격하다' 등이었으나 '바르다'라는 뜻으로 파생 내지 가차되었다.
이 글자는 다음자로서, '바르다'를 비롯한 일반적인 뜻을 나타낼 때는 거성으로, 正月에서는 평성으로 읽는다.
조선 시대에서는 관리의 품계 앞에 正(바를 정)과 從(좇을 종)을 붙여서 위아래를 나눴다. 같은 1품일 경우 정1품이 종1품보다 높다.
갓머리(宀)를 붙이면 정할 정(定)이 되며 쓰임새가 비슷하므로 헷갈리지 말자.
짝 필(疋)과 비슷하게 생겨서 헷갈릴 수 있다. 바를 정은 이름대로(?) 곧바른 모양이지만, 짝 필은 장식(?)이 붙어 있다.
큰 수의 단위로 쓰이기도 하는데, 10의 40제곱을 의미한다.
3. 용례
3.1. 단어
- 개정( 改正)
- 개정안(改正 案)
- 경정( 更正)
- 공정( 公正)
- 교정( 矯正/ 校正)
- 구정( 舊正)
- 단정( 端正)
- 부정( 不正)
- 사정( 司正/ 邪正)
- 수정( 修正)
- 시정( 是正)
- 신정( 新正)
- 신정론( 神正 論)
- 엄정( 嚴正)
- 자정( 子正)
- 적정( 適正)
- 정(正) - 조선 시대 18품계의 절반(나머진 '종')
- 정곡(正 鵠)
- 정과(正 果)
- 모든 정다각형(正 多 角 形)과 정다면체(正多 面 體), 정다포체(正多 胞 體)
- 정삼각형(正 三角形), 정사각형(正 四角形), 정오각형(正 五角形), 정육각형(正 六角形), 정칠각형(正 七角形), 정팔각형(正 八角形) ···
- 정사면체(正 四面體), 정육면체(正 六面體), 정팔면체(正 八面體), 정십이면체(正 十 二面體), 정이십면체(正 二 十面體)
- 정오포체(正 五胞體), 정팔포체(正 八胞體), 정십육포체(正 十 六胞體), 정이십사포체(正 二 十 四胞體), 정백이십포체(正 百 二 十胞體), 정육백포체(正 六 百胞體)
- 정축체(正 軸體)
- 정답(正 答)
- 정당(正 當)
- 정도(正 道)
- 정면(正 面)
- 정문(正 門)
- 정반대(正 反 對)
- 정사(正 史)
- 정색(正 色)
- 정상(正 常)
- 정식(正 式)
- 정월(正 月)
- 정오(正 午)
- 정의(正 義)
- 정일(正 日)
- 정장(正 裝)
- 정전(正 典)
- 정정( 訂正)
- 정직(正 直)
- 정체(正 體)
- 정초(正 初)
- 정통(正 統)
- 정품(正 品)
- 정확(正 確)
- 진정( 眞正)
- 훈민정음( 訓 民正 音)
3.2. 고사성어/ 숙어
- 부정부패 ( 不正 腐 敗)
- 사필귀정 ( 事 必 歸正)
- 공명정대 ( 公 明正 大)
- 교왕가정 ( 矯 枉 過正)
- 정정당당 (正正 堂 堂) : 정당은 마땅할 당(當)이며 정정당당에서는 집 당(堂)이라는 것에 주의하자.
3.3. 인명
- 가토 기요마사( 加 藤 淸正)
- 강정호( 姜正 浩)
- 김세정( 金 世正)
- 김정은( 金正 恩)
- 김정호( 金正 浩)
- 박정권( 朴正 權)
- 박정태( 朴正 泰)
- 박정희( 朴正 熙)
- 백정현( 白正 鉉)
- 쇼겐지 요코(正 源 司 陽 子)
- 심정수( 沈正 洙)
- 양정모( 梁正 模)
- 이정훈( 李正 勳)
- 박정수( 朴正 洙)
- 장정석( 張正 錫)
- 조정( 曹正)
- 황석정( 黃 石正)
- 황정음( 黃正 音)
- 히비키 세이고( 響 木 正 剛)
3.4. 지명
3.5. 창작물
3.6. 기타
- 공정거래위원회( 公正 去 來 委 員 會)
- 마사무네(正 宗)
- 야민정음( 野 民正 音)
- 정로환(正 露 丸)
- 정변(正 變)
- 정의봉(正 義 棒)
- 정종(사케)(正 宗)
- 정진정명(正 真正 銘)
4. 유의자
5. 상대자
6. 모양이 비슷한 한자
7. 여담
-
획수가 딱 5획이어서 십진법에 익숙한 사람들에게 제격이기도 하고, 정확히 직각으로 가로, 세로로 돼 있어서 보기도 쓰기도 편하기 때문에 한자문화권에서 수를 셀 때 기호로 사용된다. 학교 반장/회장 등이나 사회에서의 각종 대표자 선거, 수상자 선정 등 투표 개표용으로 많이 쓰는 글자가 正이다. 글자 자체의 뜻도 뜻이라 '바른', '엄정한', '공정한' 선거/투표라는 의미와도 통하니 더욱 좋다. 문제집을 몇 번 풀었다고 표시할 때 쓰기도 한다. 영미권에서는 톨리 마크스(tally marks)라고 불리는 막대기. 작대기 5개짜리 기호를 사용한다.[11] 그 외에도 비슷하게 수를 표시하는 용도로 사용하는 기호들을 모두 '톨리 마크스'라고 부르고, 正 자 또한 '중국식 톨리 마크스'라고 한다.
- 철권 시리즈의 모쿠진 등짝에 正자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