答 대답 답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竹, 6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2획
|
||||
중학교
|
준7급
|
||||||
-
|
|||||||
일본어 음독
|
トウ
|
||||||
일본어 훈독
|
こた-える, こた-え, いら-える
|
||||||
-
|
|||||||
표준 중국어
|
dā, dá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答은 '대답 답'이라는 한자로, '답(答)하다', '대답(對答)하다', '해답(解答)'을 뜻한다.2. 상세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 ||
한국어 | 훈 | <colbgcolor=#fff,#1f2023>대답 |
음 | 답 | |
중국어 | 표준어 | dā, dá |
광동어 | daap3 | |
객가어 | tap | |
민북어 | dă | |
민동어 | dák | |
민남어 | tap[文] / tah[白] | |
오어 | taq (T4) | |
일본어 | 음독 | トウ |
훈독 | こた-える, こた-え, いら-える | |
베트남어 | đáp |
유니코드에는 U+7B54에 배당되어 있으며, 창힐수입법으로는 HOMR(竹人一口)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竹(대 죽)과 소리를 나타내는 合(합할 합)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종이가 없던 때에는 대나무에 글을 써 답했다는 데에서 '답하다'를 뜻하게 되었다.
'답하다', '답' 등 1자 한자어로도 쓰인다. '답'이라는 발음이 踏(밟을 답), 畓(논 답) 외에 그다지 흔치 않아서 '답'이라는 글자가 答에 대응하는 일이 꽤 많은 편이다.
3. 용례
3.1. 단어
- 답(答)
- 답례(答 禮)
- 답문(答 問)
- 답방(答 訪)
- 답배(答 拜/答 盃)
- 답변(答 辯)
- 답보(答 報)
- 답사(答 謝/答 辭)
- 답신(答 信/答 申)
- 답안(答 案)
- 답장(答 狀)
- 대답( 對答)
- 동문서답( 東 問 西答)
- 명림답부( 明 臨答 夫)
- 문답( 問答)
- 강상문답( 江 上 問答)
- 교리문답( 敎 理 問答)
- 문답법( 問答 法)
- 문답식( 問答 式)
- 문답조( 問答 調)
- 문답판( 問答 板)
- 선문답( 禪 問答)
- 천사문답( 天 師 問答)
- 힐문답( 詰 問答)
- 문답( 文答)
- 보답( 報答)
- 서답형( 書答 型)
- 오답( 誤答)
- 응답( 應答)
- 정답( 正答)
- 직답( 直答)
- 필답( 筆答)
- 합답형( 合答 形)
- 해답( 解答)
- 화답( 和答)
- 회답( 回答)
3.2. 고사성어/ 숙어
- 난의문답( 難 疑 問答)
- 문동답서(問 東 答 西)
- 동문서답( 東 問 西答)
- 묵묵부답( 默 默 不答)
- 문답무용( 問答 無 用)
- 우문현답( 愚 問 賢答)
- 일문일답( 一問 一 答)
- 자문자답( 自 問 自答)
- 필문필답( 筆 問 筆答)
3.3. 인명
3.4. 지명
3.5. 창작물
- 경세문답( 警 世 問答)
- 공당문답( 公 堂 問答)
- 공사문답록( 公 私 問答 錄)
- 관서문답록( 關 西 問答 錄)
- 농포문답( 農 圃 問答)
- 대학동자문답( 大 學 童 子 問答)
- 동호문답( 東 湖 問答)
- 명재의례문답( 明 齋 疑 禮 問答)
- 목동문답가( 牧 童 問答 歌)
- 몽중노소문답가( 夢 中 老 少 問答 歌)
- 몽중문답가( 夢 中 問答 歌)
- 불사문답( 佛 事 問答)
- 사례문답( 四 禮 問答)
- 사서답문( 四 書答 問)
- 소학문답( 小 學 問答)
- 수월도량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 水 月 道 場 空 花 佛 事 如 幻 賓 主 夢 中 問答)[3]
- 어제경세문답( 御 製 警 世 問答)
- 정초문답( 正 草 問答)
- 칠사문답( 七 事 問答)
- 통감답문( 通 鑑答 問)
- 화엄경문의요결문답( 華 嚴 經 文 義 要 決 問答)
- 황강문답( 黃 江 問答)
- この恋の解を答えなさい( 이 사랑의 해를 구하시오)
3.6. 기타
4. 상대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 䶀(북소리 답/합)
- 荅(좀콩 답)
- 𦊪[⿱网合](새그물 압/갑)
- 𦊭[⿱𠔿合](그물 엄)
- 𣆗[⿱日合](쪼일 잡)
- 䆟(맞을 합, 오목할 압)
- 峇(산모양 합, 소리 갑)
- 㝓(합할 합/갑)
- 䨐(흡족할 흡)[5]
- 𱍛[⿱不合]
- 𠷡
- 𫬳[⿱⿰禾哀合]
- 𤚻[⿱牪合]
- 𦷌[⿱花合]
- 𣛋[⿱桝合]
- 𬔂[⿱稤合]
- 𦊴[⿱罒合]
- 𮋁[⿱羽合]
- 𧫈[⿱䚴合]
- 𩭆[⿱髟合]
- 𮯚[⿱龍合]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 𦗧[⿰耳答](귀 답)
- 譗(말조리없을 답)
- 𤺥(부스럼 답)
- 𠢡[⿰答力](부지런할 답)
- 𧝡[⿰衤答](옷해질 답)[6]
- 𩞰[⿰𩙿答](음식이름 답)
- 㙮(장소 답, 탑 탑)
- 㯚(탑라나무 답)
- 𤡿[⿰答犬](법 려)
- 𠍹[⿰亻答](엇갈릴 잡, 저지당할 답)
- 劄(찌를 차)
- 㲮(담요 탑)
- 𨅞[⿰𧾷答](뛸 탑)[7]
- 㗳(잊은모양 탑)
- 𩍈[⿰革答](종고소리 탑)[8]
- 撘(탈 탑)[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