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0 12:10:10

콩글리시/목록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콩글리시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발음 차이로 인한 사례는 제외하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ffffff,#1f2023><bgcolor=#ffffff,#1f2023><(> 토론 - 발음 차이로 인한 사례는 제외하기
토론 - 합의사항2
토론 - 합의사항3
토론 - 합의사항4
토론 - 합의사항5
토론 - 합의사항6
토론 - 합의사항7
토론 - 합의사항8
토론 - 합의사항9
토론 - 합의사항10
토론 - 합의사항11
토론 - 합의사항12
토론 - 합의사항13
토론 - 합의사항14
토론 - 합의사항15
토론 - 합의사항16
토론 - 합의사항17
토론 - 합의사항18
토론 - 합의사항19
토론 - 합의사항20
토론 - 합의사항21
토론 - 합의사항22
토론 - 합의사항23
토론 - 합의사항24
토론 - 합의사항25
토론 - 합의사항26
토론 - 합의사항27
토론 - 합의사항28
토론 - 합의사항29
토론 - 합의사항30
토론 - 합의사항31
토론 - 합의사항32
토론 - 합의사항33
토론 - 합의사항34
토론 - 합의사항35
토론 - 합의사항36
토론 - 합의사항37
토론 - 합의사항38
토론 - 합의사항39
토론 - 합의사항40
토론 - 합의사항41
토론 - 합의사항42
토론 - 합의사항43
토론 - 합의사항44
토론 - 합의사항45
토론 - 합의사항46
토론 - 합의사항47
토론 - 합의사항48
토론 - 합의사항49
토론 - 합의사항50
||


1. 읽기 전에2. 목록
2.1. 게임2.2. 경제2.3. 건물2.4. 대중문화2.5. 음식2.6. 교통/자동차2.7. 전자/전기2.8. 스포츠2.9. 문구류2.10. 패션 및 뷰티, 의상2.11. 기타
3. 관련 문서

1. 읽기 전에

콩글리시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표준 발음에 가깝게 쓴다고 해도 실제 발음과 괴리감이 있을 수 있다. 때문에 이 문서에는 단순 발음 차이로 인한 구분은 기록하지 않고 있다.

한국어의 자모음과 영어의 자모음은 일대일 대응되지 않는다. 심지어 영어의 자음 음소 하나가 한국어의 자음+모음으로 변환되는 때가 있다. /ʃ/가 그런데, 영어에서는 개별 음소이지만 한국어에서는 ㅅ+ㅠ 혹은 ㅅ+ㅣ로 대응된다.

또 다른 예로 영어의 전설 중모음 /æ/ 와 /ɛ/ 역시 한글 모음 중 딱 맞아떨어지는 게 없다. 영국식 영어는 물론 미국식 영어에서도 /æ/는ㅐ[ɛ]와ㅏ[a]의 중간 발음이다. 그러나 외래어 표기법에서는 영어의 /ɛ/ 와 구별하기 위해 ㅐ로 탕쳐 버린다. 전설 평순 근저 모음인 /æ/는 ㅐ보다 입을 더 벌려서 내는 발음이다. 관련 링크

2. 목록

2.1. 게임

2.2. 경제

2.3. 건물

2.4. 대중문화

2.5. 음식

2.6. 교통/자동차

2.7. 전자/전기

2.8. 스포츠

2.9. 문구류

2.10. 패션 및 뷰티, 의상

2.11. 기타

3. 관련 문서



[1] 한국에서도 이런 용례로 쓰는 예로 아시안 게임(Asian games)이 있다. [2] 같은 이유로 위키백과에서는 게임과 비디오 게임을 엄격히 구분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예] 라인관리 → wave management [4] 실제로는 퀸투플(미), 퀸튜플(영)처럼 발음하기 때문에 이것도 아닌거 같지만 아마 u를 자연스레'ㅓ'로 발음한 것 같다. [5] 심지어 콩글리시이다 [6] 비슷한 예로 단어 cook과 cooker가 있다. cooker라고 하면 cook(요리하다)에 -er이 붙어 "요리하는 사람" 즉 "요리사"로 오인할 수 있지만, 실제는 요리하는 사람이 아닌 "요리 도구" 라는 의미로 쓰이며, cook은 동사(요리하다)와 명사(요리사) 의미 모두를 커버한다. [7] 전략게임에서 빌드오더 처럼 사용되듯이, RPG에서 육성을 캐릭터 빌딩이라고 하는데, 효율적인 육성 순서를 build order, build priority라고 표현한다. [남] 남성 한정 [중] 성중립적 표현 [10] 단 영국 한정으로 Customer Service와 비슷한 용례로 쓰이기도 한다. [11] 당연히 권리상 보장되는 범위여야 한다. 그 이상을 요구하면 어느나라든 진상에 해당한다. [12] 영국식 스펠링은 cheque [13] 미국에서도 한국처럼 은행의 직불카드 서비스와 카드사의 체크카드 서비스가 별도로 탄생했다. 그러나 시스템이 자리 잡는 과정에서 미국 은행들은 카드사의 체크카드 거래를 은행의 직불카드 거래로 뭉뚱그렸고, 그래서 사실상 체크카드와 직불카드의 구분이 무의미해졌다. [14] 한국의 패스트푸드 체인 맘스터치, 카페 브랜드 투썸플레이스 또한 영미권 원어민 입장에서는 성적인 뉘앙스로 해석될 수 있는 모호한 단어라는 지적을 받곤 한다. 사실 이런 일은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종종 일어나는 일이긴 하다. 학교에서 영어를 가르칠 때 단어나 문장에 숨어 있는 애매모호한 뉘앙스까진 가르쳐 주지 않다 보니 일어나는 해프닝. [15] 여기에 빗대서 온실가스(Greenhouse gas)와 온실 효과(Greenhouse effect)라는 단어들이 탄생했다. [16] 루이지 맨션이 그 맨션이다. [17] 그루피는 1960년대 중후반 영미권에서 태동한 열혈 록 밴드 빠순이들을 가리키는 속어이다. 정확히는 록 밴드 멤버들을 쫓아다니며 호텔이나 차 등지에서 록스타들과 성관계까지 맺는 열혈 여성 팬을 지칭한다. 말이 열혈 여성 팬이지 그냥 빠순이 맞다. [18] 현대 영미권에서는 "group sound(s)"를 일본의 록 밴드를 가리키는 고유 명사급 단어로 이해한다.( 영문위키 Group sounds 문서) [19] 애초에 오버하다를 번역하더라도 do over처럼 do 뒤에 오는것으로 보인다. over의 경우는 부사나 전치사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무슨 뜻인지 이해하기가 어렵다. [20] 의외로 과한 연기를 말하는 오버액팅이라는 표현은 콩글리시가 아닌데, 실제로 연기하는 상황에서 쓰이기 때문이다. [21] '컨셉'으로 자주 불린다. [22] 외래어 특징상 멋있지 않아서일 가능성이 높다. [23] 소비자로서 이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대부분의 프로그램의 용례는 이쪽을 따를 것이다. [24] 실제로 방송 편성을 영어로 broadcast programming이라고 한다. [25] 영어로는 rap이기 때문에 당연히 글자로 써있으면 헷갈릴 염려는 없다 [26] 상표의 보통명사화. 일본에서는 이런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 [27] soft라고 해서 탄산이 없는 음료를 의미한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반대로 탄산음료를 의미하는 경우가 더 많다. 청량음료라는 용어와 비슷한 용례. 반대로 알코올이 함유된 음료를 hard drink라고 한다. [28] 사실 탄산음료를 지칭하는 용어는 영미권에서도 지역마다 다르다 [29] 실제로 왜 이걸 섞을 생각을 못했지 라는 말이 굉장히 많이 돈다. [30] 이 때문에 한국에서는 사과주인 써머스비 사이다는 사이다라는 이름이 붙어 있음에도 맥주 코너에서 찾아야 한다. [31] 사실 이것은 식품법상 유지방 함량이 일정 수준 이상이 되어야 아이스크림으로 칭할 수 있게 되어있지만, 민간에선 잘 지켜지지 않으며 어차피 시원한 것을 찾을 때 먹으니 소비자도 귀찮아서 아이스크림으로 통칭하는 느낌이 강하다. [32] 역시 상표의 보통명사화로 인해 유지방이 없는 얼음과자의 대표명칭처럼 되었다. [33] 삼강 하-드라는 상표의 보통명사화에 해당한다. [34] 반대말인 소프트 아이스크림(soft serve)은 편의점같은 곳에서 볼 수 있는 기계에서 공기를 다량 함유하며 부드러운 채로 제공되는 아이스크림을 의미한다. 한국이랑 거의 비슷한 용법인 셈. [35] 얼음물은 ice water이다. 얼음과 물이 화학적으로 같은 성분이기 때문. 번외로는 상술한 ice cream이나 ice pop정도. 그러나 이들은 음료가 아니다. [예2] 아이스티 → iced tea, 아이스 아메리카노 → iced americano [37] 물론 아메리카노나 라떼 같은 모음이나 유성음으로 시작하는 경우 t의 발음을 살려주어야 한다. [38] 생과일주스가 아니라서 drink라고 표현한다. [39] 추가적으론 cherryade, orangeade정도. 지역에 따라 에이드로 먹는 음료의 범위가 다르지만, 어느 지역에서나 인정받는 것은 lemonade라고 보면 된다. [40] 물론 점포에 따라 펄프나 실제 과즙을 추가해서 만들기는 한다. 하지만 원가 절감을 위해 디스펜서 등으로 제공하는 에이드의 경우 사이다에 과일향 첨가 형태가 일반적이다. [41] 참고로 탄산이 들어가는지 역시도 지역에 따라 다르다. 영국에서는 탄산, 그것도 굉장히 사이다와 비슷한 음료를 의미하지만, 미국에서는 탄산을 첨가하지 않는다. 즉 탄산의 유무 때문에 콩글리시라고 하는 것은 아니다. [42] 누가 맥주 앞에서 뜸을 들이는가! 그냥 "Cheers!"를 외치고 잔을 기울이자. [43] 여기서 파생되어 단편 만화를 One-shot 라고도 한다. [44] 초코칩 쿠키 한정으로 Choc chip cookies가 보편화되어 있지만 이 외에는 Choc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 [45] 영어 모국어 사이에선 ㅡ와 ㅓ, 특히 ㅕ발음을 가장 힘들어한다. 또한 한국어를 영어식으로 읽을 경우 모음의 변화가 해괴해지는 경우가 굉장히 많기 때문에 로마자 번역은 특히 더욱 혼란스럽게 된다. [46] 위에서의 그 식단이다. [47] 여기선 동명사로 활용된다. [48] heavy cream [49] 참고로 휘핑 크림이라고 따로 표기하는 이유는, 잘 저어지기 때문도 있는데 보통 유지방 함량이 높아야 잘 저어지기 때문에 제품명에 whipping이 들어있다면 지방이 35%정도 함유된 더 진한 생크림이라 생각하면 된다. 앞에 heavy가 붙어있다면 40%수준의 굉장히 진한 생크림이므로 생크림의 모양이 굉장히 오래 유지되고 피크가 견고하다. [50]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OSH) 또는 Work Health and Safety (WHS) [51] 명사로는 휴식, 간격, 흠 등의 뜻을 가지고 있다. [52] 사람 이름's garage 하는 식으로 쓰인다. [영] Tyre [영] Tyre [55] 같은 이유로, 코나미의 게임 핸들 챔프가 북미에 수출됐을 때 '스티어링 챔프'로 제목이 바뀌었다. [56] wheel이 바퀴이기 때문에 어찌보면 납득이 가는 영어표현이다. [57] 최근들어 특정 상품의 영향인지 해당 단어 사용이 급격히 증가했다. 이어폰이라고 하면 바로 못 알아 들을 수 있을 정도이다. [58] 이야혼(イヤホン)이라고 한다. [59] 어원을 생각하고 아래 설명들을 보면 아주 빠르고 정확하게 직관적인 이해가 가능할 것이다. [60] concentric은 동심원으로 된 것을 의미하는데, 일본에 수입된 첫 파워 플러그가 해당 형태의 제품이었던 것이 지금까지 콘센트라는 용어로 남아 사용되는 것이 유력한 설이다. 콘센트의 유래는 허가, 동의를 의미하는 영어 단어 consent가 아니며, concentric라는 단어를 concent로 줄이지도 않는다. [61] 영문 위키백과에도 Closed-circuit television이라는 제목의 문서가 있다. [62] 원단어 ceremony의 현지 발음은 '세머니'에 가깝기 때문에 당시에 만약 '세머니'라고 발음했다면 단어 뜻은 말할 것도 없고 발음부터가 엉터리인 셈이다. [63] 네임펜이라는 뜻의 목적으로 보아 이름을 적기 위해 사용되었을 텐데, 유성인 경우가 더 지속성에 도움이 될 것이다. [64] 마르면 지워진다는 이름이 굉장히 직관적인데, 우리가 화이트보드에 사용하는 보드마카(Whiteboard marker)가 바로 이 제품이다. [65] 한국에서 머리핀이라 부르는 것 중에 대부분은 사실 헤어 클립으로, barrette(미) 혹은 hair slide(영) 등의 명칭으로 불린다 [66] 이 물체의 이름을 뭐라고 하는지 모르는 사람이 엄청 많다 [67] 칠하거나 꾸미는 게 아닌 관리의 의미로만 사용될 때 [68] 상당히 후덜덜한 표현인데, 더러운 런닝 차림에 대낮부터 술에 취해 돈도 안 벌고 허구한 날 아내나 패는 그런 인생 막장 백수들의 스테레오타입에서 유래한 표현이다. 아마 한국인들도 상당히 무리 없이 이미지가 떠오를 것이다 미드 같은 영상 매체에서도 종종 찾아볼 수 있다. [69] 역시 콩글리시이다. 영어로는 flasher라고 하며 바바리가 일본식 발음인 것에 대비되 재플리시가 아닌 케이스이다. 역수출 [70] 여담으로 저 without의 경우 영어권에서 w/o로 줄여쓰기도 한다. with는 w/로 쓴다. [71] 반창고를 개발한 회사 이름. 상표의 보통명사화이다 [72] 그러나 기업간의 계약서 등 공식 자리의 서명을 제외하면 영어권 문화 사람들이라도 유명인들 팬 사인회 등에서는 사인이라고 하면 대부분 동일하게 알아듣는다. [73] 주거 혜택을 받는 세입자가 법위반에 연루되거나 실제로 주거하지 않을시 퇴거시킨다는 뜻. [74] 보통 줄여서 STaaS라고 표현한다. [75] 've 생략 [76] 이 경우 Hwaiting처럼 로마자 표기로 의미를 구분하기도 한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