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23 04:44:09

의령 남씨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개국공신
{{{#!wiki style="margin: -5px -11px; padding: 5px 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392년 8월 20일 태조에 의해 책록
좌명개국공신 (1등)
김사형 남은 남재 배극렴
오몽을 이제 이지란 이화
장사길 정도전 정총 정탁
정희계 조박 조인옥 조준
김인찬 이방간 이방원 이방의 }}}
{{{#!wiki style="margin: -32px -1px -11px"
협찬개국공신 (2등)
정지 유창 윤호 이민도
황희석 정용수 조기 조반
조영규 조온 홍길민 조견
박포 장담
익대개국공신 (3등)
고여 김균 김로 손흥종
심효생 안경공 오사충 유원정
이근 이백유 이부 이서
이직 장지화 함부림 황거정
민여익 임언충 장사정 조영무
한상경 한충 }}}}}}}}}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 파일:남씨 종문.svg 조선 개국1등공신 가문
宜寧 南氏
의령 남씨
}}}
<colbgcolor=#000> 관향 경상남도 의령군
시조 남민(南敏)
중시조 남군보(南君甫)[1]
파조 충경공계(忠景公系) 충간공파(忠簡公派)[2]
남윤(南倫)[3] / 감사공파(監司公派)
남칭(南偁)[4] / 부정공파(副正公派)[5]
남구(南俅)[6] / 간성공파(杆城公派)[7]
남휴(南休)[8] / 별좌공파(別坐公派)
남의(南儀)[9] / 참판공파(參判公派)
충경공계(忠景公系)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10]
남준(南俊)[11] / 감찰공파(監察公派)[12]
남척(南倜)[13] / 목사공파(牧使公派)
남건(南健)[14] / 호군공파(護軍公派)
남급(南伋)[15] / 군수공파(郡守公派)
충경공계(忠景公系) 의산위공파(宜山尉公派)[16]
남빈(南份)[17] / 부사공파(府使公派)
남붕(南倗)[18] / 소간공이자붕파(昭簡公二子倗派)
강무공계열(剛武公系列)[19]
남경우(南景祐)[20] / 안호공파(安胡公派)
남경복(南景福)[21] / 판사공파(判事公派)
남경지(南景祉)[22] / 부정공파(副正公派)
남실(南實)[23] / 보문각제학공파(寶文閣提學公派)
사천백계열(沙川伯系列)[24]
남근(南瑾)[25] / 정랑공파(正郎公派)
남이(南珥)[26] / 목사공파(牧使公派)
남규(南珪)[27] / 사간공파(司諫公派)
남을경(南乙敬)[28] / 좌찬성공파(左贊成公派)
남천명(南天命)[29] / 시중공파(侍中公派)
양정공계열(良靖公系列)[30]
남상명(南尙明)[31] /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남상치(南尙治)[32] / 쌍청헌공파(雙淸軒公派)
집성촌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동[33]
경기도 가평군· 부천시· 성남시· 양주시· 용인시
강원특별자치도 홍천군
충청북도 청주시· 영동군· 음성군· 진천군
충청남도 논산시· 아산시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정읍시
전라남도 고흥군· 담양군· 순천시· 신안군· 여수시
경상북도 구미시· 상주시· 안동시· 영양군· 울진군· 청도군
경상남도 밀양시· 의령군· 진주시· 창녕군· 창원시· 하동군
황해도 연백군
평안남도 대동군
함경북도 경흥군· 부령군· 종성군
인구 162,729명(2015년)
130,179명(1985년)
링크 남씨대종회
1. 개요 및 역사2. 인구3. 분파4. 집성촌
4.1. 경기4.2. 강원4.3. 충청4.4. 전라4.5. 경상4.6. 북한
5. 인물
5.1. 조선시대 인물5.2. 조선 왕실의 인척5.3. 근·현대 인물
5.3.1. 22세 (종(鍾), 정(廷) 항렬)5.3.2. 23세 (연(淵), 희(熙) 항렬)5.3.3. 24세 (상(相) 항렬)5.3.4. 25세 (우(祐) 항렬)5.3.5. 26세 (기(基) 항렬)5.3.6. 27세 (현(鉉) 항렬)5.3.7. 28세 (택(擇), 윤(潤) 항렬)5.3.8. 세수 미상
6. 관련 항목

[clearfix]

1. 개요 및 역사

경상남도 의령군을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증보문헌비고에 의하면, 우리나라 남씨의 시조는 당나라 현종 이부상서를 지낸 김충(金忠)이다. 당 조정은 755년( 천보 14년) 안녹산의 난이 일어나자 낙양과 수도인 장안을 내주고 김충은 황제를 따라 옛날 촉한의 수도였던 성도로 파천하였다. 이후 김충은 왕명을 받아 군사원병을 청하러 일본에 사신으로 갔다가 돌아오는 길에 풍랑을 만나 신라 영해부에 정착하였는데 본국의 정세가 어지러워 신라 국왕에게 귀화를 요청하였다. 이에 경덕왕이 이러한 사실을 현종에게 알리자 “십생구사지신(十生九死之臣)을 신례(臣禮)로 부를 수 없으니 소원(所願)대로 하라”는 조서를 내렸다. 그 후 경덕왕은 그의 출생지가 당나라 여남(汝南)이라하여, 남씨(南氏) 성을 내리고 이름을 민(敏)으로 고쳐 부르게 하였으며 영양현(英陽縣)을 식읍으로 내렸다. 이로써 남씨(南氏)의 시조가 되었다.[34]

이후 남민(南敏)의 후손이자 고려 무신정권 때 대장군을 지낸 남진용(南鎭勇)에게는 세 아들이 있었는데, 이중 차남 남군보(南君甫)는 원간섭기인 고려 충렬왕 추밀원부사(樞密院副使)를 지냈으며, 이후 의령 남씨의 시조가 되었다고 하며, 그 밖에 장남 남홍보(南洪甫)는 도첨의찬성사(都僉議贊成事)를 지냈으며, 영양 남씨의 중시조가 되었고, 3남 남광보(南匡甫)는 고성 남씨(固城南氏)의 시조가 되었다고 한다.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영양, 의령, 고성의 토성으로 남씨가 기록되어 있어 적어도 고려 중후반기 부터는 해당 지역의 호족/향리가문 [35] 였음을 알 수 있다.

이후 남군보의 증손이자 여말선초에 밀직부사, 검교문하시중을 지낸 남을번(南乙蕃)과 그의 아들 남재 남은 조선 태조를 도와 조선 개국에 큰 공을 세워 개국공신에 녹훈되면서부터 중앙 정계의 중추에 진출하게 되었으며, 그 결과 조선시대 정승 6명[36], 대제학 6명[37][38], 판서 24명[39]을 배출했다. 그리고 종묘배향공신 4명[40]을 배출하였다. 사실상 개국공신[41] 가문들 중 조선후기까지 가장 오래 버틴 가문이라고 보면 되겠다. # 남이 장군, 남이흥 장군과 생육신 남효온, 숙종 영의정을 지낸 남구만 등도 의령 남씨이다.

의령 남씨는 당파적으로 크게 노론/소론/소북(小北)[42]으로 나뉘었다.

먼저, 노론의 감찰공파는 개국1등공신 남재의 손자로 세종 때 예문관의 직제학과 사간원의 차관인 지사간원사를 지낸 남간의 증손자인 남효의가 생육신인 남효온의 사촌동생이라는 이유로 한때 높은 벼슬에 오르지 못하다가 중종 때 대사헌·한성부판윤·형조판서를 지내면서 가문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남효의의 후손 중 남용익은 이조판서를 지내면서 서인세력의 중진으로 활약하였고, 그의 아들인 남정중은 노론의 중진인사인 김창집 김창협 조태채 등과 가깝게 교유하였으므로, 남정중은 노론에 속하였으나, 숙종 후기에 노론과 소론이 치열한 당파 싸움을 벌일 때에, 그는 가능한 한 중립을 지키려고 노력하였다. 이러한 가문적 배경이 남정중의 증손자인 영의정 남공철로 하여금 강경파인 노론 벽파가 아닌 시파를 선택하게 한 것 같다. 이후 남효의의 후손은 대제학을 4명이나 배출하고 안동 김씨와 혼맥관계를 맺으면서 노론 벽파 무리를 조정에서 쫓아내었고 노론 시파의 명문가로서 순조~ 철종 시기 최고의 경화사족·세도가문의 일원으로 승승장구하였다.

둘째로, 소론의 간성공파는 개국1등공신인 남재의 장손이자 남간의 형인 좌의정 남지의 후손인데 남구만이 서인의 온건파로써 윤증, 박세채, 나양좌 등과 함께 소론을 창당하였다. 이들도 역시 소론의 명문대가로서 잘 나간 것으로 보이나, 영조 이인좌의 난을 거쳐 나주괘서사건의 여파로 소론 자체가 크게 위축되었다. 흥선대원군 고종 시절 탕평책으로 남정철(후의 친일반민족행위자)의 집안을 크게 키워준 걸 보아, 소론의 명문가로서의 위세가 그때까지 남아있었던 것 같다.

셋째로, 소북(小北)의 부정공파는 역시 문종·단종 때 좌의정을 지낸 남지의 후손인데 소북의 영수인 남이공의 형 남이신의 후손이 크게 번창하였다. 소북은 이후에 근기남인으로 탈바꿈 하였는데 사색당파(북인 중 대북은 인조반정 때 멸문되었다. 따라서 실록에서 북인이라 함은 근기남인으로 전향한 소북을 가르킨다) 중 영남남인과 더불어 소수파에 속했다. 영조~정조기의 당상관 배출 인원 비율은 노론 81%, 소론 14%, 소북(근기남인) 4%, 영남남인 1%이었다. 소북(근기남인)이 비록 4%에 불과했지만 부정공파 가문이 판서를 8명이나 배출하면서 4%에 기여했고, 사실 따지고 보면 순조~ 철종때의 세도정치 시기에도 소북으로서 당상관을 배출한 명문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흥선대원군 시절 탕평책을 천명하면서 구한말의 남씨 인물들이 부정공파에서 많이 중용되었다.

한편 남을번의 동생인 남을진(南乙珍)은 고려 말 도당 회의에 참석하는 재신이자 중서문하성 재상 서열 3위에 해당하는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43]를 지내다가 조선이 개국하자 양주 남선굴(南仙窟)에 들어가 은거한 불사이군(신하는 두 임금을 섬기지 않는다)의 충신으로 숙종과 영조 년간에 서원에 배향되었고, 1841년(헌종 7) 남을진의 신도비를 세우면서 풍양조씨의 우의정 조인영이 비문을 짓기도 하였다.

또한, 남군보의 또다른 후손 남효원(南孝元)은 조선 중종 때 충청도 수군절도사를 지냈으며, 의령 남씨의 한 파를 이루었다고 증보문헌비고에서 전한다.

남군보의 후손으로서 조선시대 봉군(封君)된 사람은 다음과 같다.
● 남재 - 태종 때 영의정에 올랐으며,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에 봉해졌다.
● 남은 - 태조 때 삼사좌복야(三司左僕射)에 올랐으며, 의성부원군(宜城府院君)에 봉해졌다.
● 남지 - 세종 때 우의정, 문종/단종 때 좌의정을 지냈으며 의성군(宜城君)에 봉해졌다.
● 남휘(南暉) - 태종의 4녀 정선공주와 혼인하여 부마가 되어 의산군(宜山君)에 봉해졌다.
● 남치원(南致元) - 남재의 5대손으로 성종의 서4녀 경순옹주(慶順翁主)와 혼인하여 부마로서 의성위(宜城尉)에 봉해졌다.
● 남섭원(南燮元) - 남재의 5대손으로 성종의 서9녀 휘정옹주(徽靜翁主)와 혼인하여 부마로서 의천위(宜川尉)에 봉해졌다.
● 남찰(南巀) - 남은의 5대손으로 선조 때 군자감첨정(軍資監僉正)에 올랐으며, 평난공신(平難功臣) #으로 의계군(宜溪君)에 봉해졌다.
남이흥(南以興) - 남재의 8대손으로 인조 때 평안도 병마절도사에 올랐으며, 진무공신(振武功臣)으로서 의춘군(宜春君)에 봉해졌다.
● 남이웅(南以雄) - 남재의 8대손으로 인조 때 좌의정에 올랐으며, 진무공신으로서 춘성부원군(春城府院君)에 봉해졌다.
● 남두북(南斗北) - 남재의 9대손으로 보사공신(保社功臣)으로서 의풍군(宜豊君)에 봉해졌다.
● 남연년 - 양정공 남좌시의 후손으로 청주영장을 지냈고 이인좌의 난을 진압하다가 전사하였다. 충장공 시호를 받았고 숭선군에 추봉되었다.
별록 고려시절(양정공파 계열)
남효윤: 남군보의 아들로 조의대부 신호위대장군을 지내고 봉익대부 판도판서, 선력좌리공신에 추증되고 의산군에 봉해졌다.
남훈: 남효윤의 아들로 봉익대부 밀직부사 판도판서를 지내고 익조공신 중대광에 증직되고 의춘군에 봉해졌다.
남대번: 남훈의 아들로 첨의부 좌정승[44]을 지내고 시호는 충질공, 장함부원군에 봉해졌다. 시를 잘하였고 금을 다룰 줄 알았다.
남좌시[45]: 남대번의 아들로 정당문학, 진현관 대제학을 지내고 시호는 양정공, 의성군에 봉해졌다. 양정공파 파조.

2. 인구

2015년 인구주택총조사에 의하면, 의령 남씨는 162,729명으로 집계되었다.

다만, 2018년 12월 28일 조선일보 기사를 참조하면 잘못 기재된 성씨와 본관이 상당히 많다는 걸 알 수 있는데, 2015년 인구조사에서도 조사원 또는 담당 공무원의 실수로 잘못 집계된 본관들이 상당히 많다.

의령을 잘못 기재한 것으로 추정되는 본관들을 나열하면 다음과 같다.

● 의령(宜寧)의 의(宜)선(宣)으로 잘못 판독한 것으로 추정. 寧은 녕, 령, 영 등으로도 읽힘. - 선녕 1,583명, 선령 766명, 선영 2,452명
동남 방언의 영향으로 의령을 소리나는 대로 읽은 것을 본관에 집계한 것으로 추정. - 어령 19명, 어룡 6명, 어영 15명, 을녕 75명, 을량 12명, 을령 43명, 을영 106명
● 의령의 령(寧)을 잘못 기재한 것으로 추정. - 의녕 7,955명, 의룡 14명, 의영 1,206명
● 의령의 고려 때 이름 의춘(宜春) - 의춘 56명
● 성씨 남(南)의 한자를 잘못 기재 - 의령 남(男)씨 7명

※ 이들 본관을 의령 남씨에 합산하여 집계하면 총 177,044명이다. 남씨의 본관이 대개 의령, 영양, 고성, 남원 등 4개가 있는 것으로 보는 반면 2015년 통계에는 139개의 본관이 나타났으므로 잘못 집계된 의령 남씨의 숫자는 훨씬 더 많을 수도 있을 것이다.

3. 분파

의령남씨(宜寧南氏)는 크게 충경공파(忠景公派), 강무공파(剛武公派), 보문각제학공파(寶文閣提學公派), 사천백공파(沙川伯公派), 좌찬성공파(左贊成公派), 시중공파(侍中公派), 양정공파(良靖公派)로 나뉜다.

충경공파(忠景公派) - 파조는 좌명개국공신 1등(佐命開國功臣 一等, 1392)이자 태종 때 영의정(領議政)을 지낸 의령부원군(宜寧府院君) 남재(南在)강무공파(剛武公派) - 파조는 좌명개국공신 1등(佐命開國功臣 一等, 1392)이자 태조 때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 참찬문하부사(參贊門下府事), 삼사좌복야(三司左僕射)를 지낸 의성부원군(宜城府院君) 남은(南誾)[49]
보문각제학공파(寶文閣提學公派) - 파조는 태종/세종 때 집현전학사(集賢殿學士), 보문각제학(寶文閣提學)을 지낸 남실(南實)

사천백공파(沙川伯公派) - 파조는 공양왕 때 문하평리(門下評理)를 지낸 남을진(南乙珍)[51][52]
좌찬성공파(左贊成公派) - 파조는 의정부 좌찬성(종1품)을 지낸 남을경(南乙敬)

시중공파(侍中公派) - 파조는 문하시중(門下侍中)을 지낸 남천명(南天命)

양정공파(良靖公派) - 파조는 우왕 때 정당문학(政堂文學), 진현관대제학(進賢館大提學)을 지낸 남좌시(南佐時)[54]

4. 집성촌

4.1. 경기

4.2. 강원

4.3. 충청

4.4. 전라

4.5. 경상

4.6. 북한

5. 인물

5.1. 조선시대 인물

5.2. 조선 왕실의 인척

5.3. 근·현대 인물

신분과 직위를 넘어서 나열하며, 특정 인물의 강조 표기를 금지한다.
나무위키에 문서가 없는 사람은 기재를 금지한다.

5.3.1. 22세 (종(鍾), 정(廷) 항렬)

5.3.2. 23세 (연(淵), 희(熙) 항렬)

5.3.3. 24세 (상(相) 항렬)

5.3.4. 25세 (우(祐) 항렬)

5.3.5. 26세 (기(基) 항렬)

5.3.6. 27세 (현(鉉) 항렬)

5.3.7. 28세 (택(擇), 윤(潤) 항렬)

5.3.8. 세수 미상

6. 관련 항목



[1] 영양 남씨 밀직공파의 파조이기도 하다. [2] 파조는 영의정 충경공(忠景公) 남재(南在)의 장남인 남경문(南景文)의 장남 남지(南智). [3] 좌의정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장남. [4] 좌의정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차남. [5] 부정공파(副正公派) 15세이자 효종 때 경상감사(慶尙監司)를 지낸 남훤(南翧)공의 아들 7명이 모두 영달하였고 그의 자손에서 현관(顯官)이 많이 나와 판서(判書)만 8명으로, 남훤의 호를 따서 창명공파(滄溟公派)로 일컬어졌다. [6] 좌의정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3남. [7] 숙종 때 영의정을 지낸 문충공(文忠公) 남구만이 간성공파이다. 남구만 가문의 혼인 관계를 살펴 보면 노론과 소론의 주요 인물들이 두루 망라되어 있어 소론의 영수로서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직제학공파(直提學公派)의 감찰공파(監察公派)와는 달리 주로 소론의 길을 걸었다고 볼 수 있겠다. [8] 좌의정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4남. [9] 좌의정 충간공(忠簡公) 남지(南智)의 5남. [10] 파조는 영의정 충경공(忠景公) 남재(南在)의 장남인 남경문(南景文)의 차남 남간(南簡). [11] 예문직제학 증 대사헌 남간(南簡)의 장남. [12] 현달한 인물로는 생육신 남효온, 숙종 때 이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낸 남용익(南龍翼), 영조 때 형조판서와 대제학을 지낸 남유용(南有容), 순조 때 영의정과 대제학을 지낸 남공철(南公轍), 철종 때 이조판서 겸 대제학을 지낸 남병철(南秉哲), 철종 때 이조판서와 좌참찬을 지낸 남병길(南秉吉) 등이 있다. 대제학공파 충간공파(忠簡公派)의 간성공파(杆城公派)와는 달리 정치적으로 노론 → 노론 시파의 길을 걸었으며 순조와 헌종의 국구 김조순, 김조근 일가 그리고 김좌근과 혼맥관계를 맺었다. [13] 예문직제학 증 대사헌 남간(南簡)의 차남. [14] 예문직제학 증 대사헌 남간(南簡)의 3남. [15] 예문직제학 증 대사헌 남간(南簡)의 4남. [16] 파조는 영의정 충경공(忠景公) 남재(南在)의 장남인 남경문(南景文)의 3남 남휘(南暉). [17] 의산위 소간공(昭簡公) 남휘(南暉)의 장남. [18] 의산위 소간공(昭簡公) 남휘(南暉)의 차남. [19] 검교 문하시중 경렬공(敬烈公) 남을번(南乙蕃)의 차남인 남은(南誾)이 파조이다. [20] 삼사좌복야 증 영의정 강무공(剛武公) 남은(南誾)의 차남. [21] 삼사좌복야 증 영의정 강무공(剛武公) 남은(南誾)의 3남. [22] 삼사좌복야 증 영의정 강무공(剛武公) 남은(南誾)의 4남. [23] 검교 문하시중 경렬공(敬烈公) 남을번(南乙蕃)의 3남. 남재(南在)의 둘째 동생. 여담으로 막내동생인 4남 우상절제사 남지(南贄)는 증손대에서 절손되었다. [24] 지영광군사 남천로(南天老)의 차남인 남을진(南乙珍)이 파조이다. [25] 문하평리 사천백(沙川伯) 남을진(南乙珍)의 장남. [26] 문하평리 사천백(沙川伯) 남을진(南乙珍)의 차남. [27] 문하평리 사천백(沙川伯) 남을진(南乙珍)의 3남. [28] 지영광군사 남천로(南天老)의 3남. 남을번(南乙蕃)의 막내 동생. [29] 풍저창사 남익지(南益胝)의 차남. 남천로(南天老)의 동생. [30] 첨의부 좌정승 남대번(南大蕃)의 장남인 남좌시(南佐時)가 파조이다. [31] 정당문학 양정공(良靖公) 남좌시(南佐時)의 장남인 남심(南深)의 장남. [32] 정당문학 양정공(良靖公) 남좌시(南佐時)의 장남인 남심(南深)의 3남. [33] 자하동(백운동)의 현재의 지명은 청운동이다. 조선 후기 영·정조 시기에 형조참의를 지낸 유한준(1732~1811)은 문집인 <자저>에 이런 글을 남겼다. “서울의 북쪽은 사대부로서 세거하는 자들이 많았는데, 청풍계에 세거한 안동 김씨, 자하동(백운동)에 세거한 의령 남씨, 옥류동에 세거한 기계 유씨가 가장 오래 됐다.” 하지만 현재의 지명은 전부 다른데 당시 청풍계는 현재의 서울 종로구 청운동 남쪽, 자하동(백운동)은 청운동 북쪽, 옥류동은 옥인동을 말한다. 조선의 청풍계와 자하동(백운동)은 합해져 현재 청운동이 됐고, 옥류동은 인왕동(수성동)과 합해져 옥인동이 됐다. ‘붉은 노을 속에 잠긴 마을’이라는 뜻의 자하동(紫霞洞)은 본래 고려의 수도였던 개성의 자하동과 같은 이름으로 불렸다. 조선 후기 남공철 가문이 자하동(백운동)에서 세거하였다. [34] 철종 때 이조판서를 지낸 남병철의 묘지명 중 일부를 발췌 [35] 고려시대의 향리는 조선과 달리 지역세력가를 일컬는 말이다 [36] 1위 전주이씨 22명 2위 동래정씨 16명 3위 안동김씨(신) 15명 4위 청송심씨 13명 5위 청주한씨 12명 6위 파평윤씨 11명, 여흥민씨 11명 8위 대구서씨 9명, 연안이씨 9명 10위 안동권씨 8명, 경주이씨 8명, 청풍김씨 8명, 문화류씨 8명, 양주조씨 8명 15위 남양홍씨(당) 7명, 평산신씨 7명, 덕수이씨 7명, 풍양조씨 7명, 반남박씨 7명 20위 의령남씨 6명, 연안김씨 6명, 해평윤씨 6명, 경주김씨 6명 24위 창녕성씨 5명, 광주이씨 5명, 풍산홍씨 5명, 광산김씨 5명, 진주강씨 5명, 양천허씨 5명, 연일정씨 5명 [37] 문형(文衡)이라고도 한다. 조선시대 홍문관(弘文館), 예문관(藝文館)의 최고 책임자로 정2품직이며 전임직(專任職)이 아니라 타관이 겸임하는 겸직이다. 관직은 둘이지만 실제로는 한 사람이 두 관서(官署)의 대제학(大提學)을 겸하는 것이 상례였으며, 국가의 모든 문한(文翰)을 장악하여 사령(辭令), 과거시험(科擧試驗) 등을 통괄하고 학문과 관계되는 제반 일을 관장하였다. 대제학(大提學)은 정2품의 관계이지만 학문과 도덕이 뛰어나고 가문에도 하자가 없는 석학(碩學), 석유(碩儒)만이 오를 수 있는 지위로서 정승 3명과도 바꾸지 않는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학자와 인격자로서의 최고 지위라 할 수 있어 본인은 물론 일문의 큰 명예로 여겼다. 대제학 후보 선정은 전임 대제학이 후보자를 천거하면 이를 3정승, 좌우찬성, 좌우참찬, 육조판서가 모여 다수결로 정하게 된다. 대제학의 임기는 본인 의사에 따라 결정하며 종신직이었다. 이와 같은 위상으로 볼 때 관직 중에서 최고의 꽃이라 말할 수 있다. 또한 온 나라의 학문을 바르게 평가하는 저울이라는 뜻으로 문형(文衡)이라고 평가되기도 한 대제학은 학문의 권위가 높다고만 해서 오를 수 있는 관직이 아니었다. 원칙적으로 문과의 대과 급제자이면서도 임금의 특명을 받아 문신들이 공부하던 호당(湖堂) 출신만 가능하였고, 또한 문형(文衡)의 별칭을 얻을 수 있는 사람은 한정되어 있었는데, 반드시 홍문관대제학(弘文館大提學)과 예문관대제학(藝文館大提學) 및 성균관대사성(成均館大司成), 지성균관사(知成均館事)등 나라 전체의 학문 관련 3가지 최고 직위를 모두 겸직하는 경우에 한하였다. [38] 1위 연안이씨 7명, 광산김씨 7명, 전주이씨 7명 4위 대구서씨 6명, 의령남씨 6명, 안동김씨(신) 6명 7위 덕수이씨 5명 8위 풍양조씨 4명 9위 해주오씨 3명, 경주이씨 3명, 청풍김씨 3명, 안동권씨 3명, 고령신씨 3명, 연일정씨 3명, 해평윤씨 3명, 양주조씨 3명, 풍산홍씨 3명, 여흥민씨 3명 [39] 1위 연안이씨 45명 2위 안동김씨(신) 35명 3위 여흥민씨 33명 4위 대구서씨 29명 5위 청송심씨 28명 6위 풍양조씨 27명, 경주이씨 27명 8위 반남박씨 25명 9위 의령남씨 24명 10위 동래정씨 19명 11위 청주한씨 18명, 파평윤씨 18명 (전주 이씨 제외) [40] 1위 안동김씨(신) 6명 2위 안동권씨 5명, 풍양조씨 5명 4위 의령남씨 4명, 여흥민씨 4명 6위 광산김씨 3명, 평산신씨 3명, 동래정씨 3명, 청풍김씨 3명 10위 연안이씨 2명, 연안김씨 2명, 한양조씨 2명, 진주하씨 2명, 경주이씨 2명, 청주한씨 2명 (전주 이씨 제외) [41] 정도전의 봉화정씨, 조준의 평양조씨 등 [42] 근기남인이라고도 불린다. [43] 문하시중 -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문하찬성사) - 참지정사(참지문하부사) 순서 [44] 고려사 등에는 기록이 없다. 아들인 남좌시가 현달하여 추증된 것으로 보인다. [45] 위의 양정공파 계열 인물들 중 유일하게 고려사에 기록이 있다. # 고려사에는 첨서밀직, 강릉도부원수, 정당상의 등을 역임하고, 의성군에 봉해졌다고 기록되어 있다. [46] 세종의 3남인 안평대군과 사돈관계이다. [47] 여담으로 젊은시절 영양남씨 목사공파의 파조인 남회(南薈) 등과 함께 동주계를 만들었다. 동주계는 태종 16년(1416년) 함께 과거를 준비한 11명의 성균관 유생들이 서울에서 영남으로 내려오면서 서로 우의와 선비 정신을 갈고 닦기 위한 모임이었다. [48] 세조 때 최연소 병조판서를 지낸 남이(南怡)의 할아버지이다. [49] 사후 영의정에 추증 [50] 1457년(세조 3) 2월 20일 의성군(宜城君)에 봉작 [51] 평소 정몽주· 길재 등과 교유하였고 형제인 남을번(남재·남은의 아버지), 남을경과는 달리 조선 건국에 참여하지 않았다. 조선 건국 후 이성계의 부름을 피하고자  감악산에 은거하였다. [52] 1369년(고려 공민왕 18)에 도첨의부(都僉議府)가 문하부로 개편되면서 참지문하부사(參知門下府事)로 바뀌었다가, 1372년(고려 공민왕 21) 6월에 이르러 최종적으로 문하평리(門下評理)로 개칭되었다. [53] 손자가 중종대에 영의정을 역임한 남곤(南袞)이다. 또한 임사홍의 외할아버지이다. [54] 판군부사사(判軍府司事), 좌우위상호군(左右衛上護軍), 첨의부좌정승(僉議府左政丞)을 지낸 장함부원군(獐含府院君) 남대번(南大蕃)의 장남 [55] 독립유공자 남상순· 남병우· 남종우가 이 마을 출신이다. [56] 독립유공자 남경명이 이 마을 출신이다. [57] 독립유공자 남병희가 이 마을 출신이다. [58] 고려의 진사와 중국의 진사는 조선과 달리 과거시험(문과) 최종합격자(대과합격자)를 의미한다. [59] 하연이 영의정으로 있을 때 남지가 우의정으로서 함께 하였다. 하연은 1376년생으로 남지와는 약 20살 가까이 차이가 난다. [60] 할아버지인 남주헌은 남공철의 아버지인 남유용의 장증손이며, 남주헌의 2남이자 남병철의 아버지인 남구순이 남유용의 형인 남유상의 종가에 양자로 입적하였다. [61] 딸은 장인인 김조순의 손자이자  김좌근의 장남인 이조판서 김병기에게 출가하였다. [62] 대한제국 내부대신, 친청파( 수구당), 친일반민족행위자. [63] 보성전문학교 법과 교수 [64] 오클라호마 주립대학교 박사. 국민훈장 무궁화장이 추서되었다. [65] 윤석열 사단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