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광역시 및 경상남도 양산시의 시외버스 회사에 대한 내용은 경남고속뉴부산관광 문서 참고하십시오.
용인시 시내버스 회사 | ||||
경남여객 | 경기고속공공 | 대원고속공공 | 대원버스공공 | 평택버스공공 |
용인시 마을버스 회사 목록 경기도 시내버스 회사 목록 |
용인시 마을버스 회사 | |||
경남여객· 동백운수· 마북운수 | |||
구성운수·죽전운수·연원운수·한비운수 | |||
상현운수 | 수성교통 | 승진여객 | 용인교통 |
용인시 시내버스 회사 목록 |
합자회사 경남여객 合資會社 京南旅客 Kyoengnam Bus LP. |
|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신기로 170 (舊 남동) |
대표이사 | 남경훈[1] |
설립일자 | 1959년 5월 1일 |
업종 | 시내버스 및 시외버스 운송업 |
보유대수 | 506대[2] |
홈페이지 |
경남여객 시외버스 시외버스 8366 |
경남여객 시내버스 용인 버스 10 |
1. 개요
용인시를 연고로 하는 시외, 시내버스 회사. 이름만 보면 경상남도의 줄임말인 경남(慶南)이 연상될 수 있지만, 사실 경상남도가 아니라 서울과 경기도의 남부(京南)[3]라는 뜻이다. 이름이 비슷한 경남고속은 진짜 경상남도 면허 회사이다. 간혹 오너 집안의 성씨와 엮어서 경기도의 남씨 회사라는 의미로 지었다는 설도 있으나 진실은 저 너머에. 다만 한자가 같고 남씨 일가가 경영하던 용남고속은 진짜로 용인의 남씨 회사라는 의미가 맞다. 그 외에도 경남아너스빌로 유명한 건설회사 경남기업의 경남, 레모나로 유명한 제약회사 경남제약의 경남 등과 한자가 같기는 하지만 이 버스회사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다.참고로 주식회사가 아닌 합자회사이다. 사실 합자회사 자체가 대한민국에서 비중이 낮은 형태이며 그나마 동호인들에게 많이 알려진 버스 회사로는 신일여객, 명진여객, 신동아교통, 인천스마트 정도. 합자회사는 회사의 채무에 대한 경영진의 책임 범위가 주식회사보다 넓다(무한+유한)는 게 특징이다.[4]
현재는 용인시를 근거지로 두고 있지만 원래 수원시에서 기반을 닦은 회사이다. 경남여객의 창립자는 남경필 전 경기도지사의 조부인 남상학 씨인데, 남상학씨는 1929년에 "수원-신갈-풍덕천"간 노선을 운행하는 용인자동차부를 설립하여 운수업을 시작했고 현재의 법인은 1959년에 경남여객이라는 이름으로 설립했다. 이후 남상학의 아들이자 남경필의 아버지인 남평우 씨가 1970년에 대표이사가 되어 경남여객과 경인일보[5]에만 집중하던 중 정계에 입문했다. 2001년부터는 남경필 전 지사의 동생인 남경훈 씨가 대표이사로 재직하여 3대에 걸쳐 회사를 경영하고 있다. 2017년 1월 1일부터 3년간 용인공용버스터미널의 운영을 맡게 되었고, 동시에 전세버스에 진출했다가 현재는 전부 철수했다.
2017년에 마을버스 업체인 마북운수를 인수했다. 마북운수 기업보고서 상 경남여객 남경훈 대표가 이 회사의 대표를 겸직하고 있으며 마북운수의 기사모집공고에도 경남여객 계열사로 표시하고 있다. 사실상 경남여객이 마을버스 사업을 포기한 상황[6]이었다가, 그러던 차에 마을버스 업체를 인수한 거라 상당히 변화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용인시의 토착 업체이니만큼 용인시의 마을버스 회사들을 인수해가면서 사업을 확장하려는 가능성이 크다. 그리고 추가로 용인시 마을버스 업체인 동백운수와 과거 자신의 노선으로 마을버스를 운영했던 강남여객도 인수했다. 그리고 강남여객은 2019년 동백운수로 흡수되었다.
2. 역사
- 1959년 설립
- 1964년 서울-수원 직행버스 면허 취득
- 1974년 수원시 시내버스 면허 취득
- 1976년 용인시 시내버스 면허 취득
- 1988년 백성운수 분리
- 2000년 경일여객의 용인 시내 및 완행노선을 인수하여 자회사인 성산교통을 설립
- 2003년 성산교통 통합
- 2007년 기존의 사명인 경남여객자동차공사에서 경남여객으로 변경
- 2013년 본사 사옥 신축 및 차고지 준공
- 2017년 동백운수, 마북운수, 강남여객 인수
- 2019년 강남여객을 동백운수에 흡수
2.1. 역대 대표이사
- 1대 남상학 (1959 ~ 1962)
- 2대 남정우 (1962 ~ 1964)
- 3대 남찬우 (1964 ~ 1970)
- 4대 남평우 (1970 ~ 1990)
- 5대 홍성오 (1990 ~ 2001)[7]
- 6대 남경훈 (2001 ~ 현재)
2.2. 오너 일가
- 남상학 (1899 ~ 1962) 제1대 사장 / 류양순 (1905 ~ ?)
- 1남 남정우 (1922 ~ 1969) 제2대 사장
- 1남 남기준 (1946 ~ 2018)
- 2남 남성우 (1929 ~)
- 1남 남기보 (1957 ~)
- 3남 남평우 (1937 ~ 1998) 제4대 사장, 국회의원 / 김민정 (1941 ~)
- 4남 남백우 (1937 ~ 1969)
- 5남 남석우 (1949 ~ 2005) / 양혜자 (1953 ~)
- 6남 남윤우 (1949 ~)
- 7남 남준우 (1952 ~)
제3대 사장이었던 남찬우(1923 ~)는 남상학의 조카이자 남평우의 사촌형이었다.
3. 노선망
시외버스 노선은 일부 노선을 제외하면 모두 용인공용버스터미널에서 출발한다. 특이점은 고속버스 노선에 공동 배차하고 있다는 점. '용인~부산.서부산' 노선을 대원고속과 함께 운행하며 '용인~군산'노선을 중앙고속과 함께 운행했다가 경남여객 단독으로 운행했다. 2010년대에 들어서면서 서울고속의 '고양~충주' 노선 같이 시외버스 업체들이 고속버스 신설에 공동 배차로 참여하는 경우가 늘고 있다. 경남여객은 그러한 경우의 원조라고 볼 수 있다. 최근에는 '용인~경주.포항' 노선을 개통하며 영남행 노선을 더 신설했다.[8]용인시 최초의 시내버스 회사라 시내버스의 노선망 역시 굉장히 넓다. 다만 대체적인 노선망은 처인구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기흥구로 한정시켜도 동백지구 일대 정도만이 주요 노선을 운영 중이고, 나머지 기흥구의 경우는 경유지의 성격으로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전 구 본사와 가까운 수지구는 일부 노선을 빼면 아예 진출조차 하지 않고 있으며 KD 운송그룹이 상당수 노선을 운영하고 있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보자면, 수지구와 기흥구 지역은 IMF 이전에 삼성여객, 수원여객의 주무대였고, 경기교통 노선도 몇몇 있었다. 그러다 삼성여객과 경기교통이 부도난 이후에 경남여객이 이들 노선 몇개를 인수했으나, 상당수 노선을 KD 운송그룹에 양도했다. 이를 통해 KD 운송그룹이 용인시에 본격적으로 진출하여 규모를 키운다. 대표적인 예시로 1998년에 IMF가 불어온 관계로 65번, 550번 등을 KD 운송그룹에게 넘겨준 것이 된다. 옆 동네 수원여객이 KD 운송그룹의 이름만 들어도 치를 떠는 상황인데 비해 경남여객은 앞의 사례처럼 KD와 노선을 교환하기도 한다. KD의 빗자루질 노선 중 하나인 대원고속의 65번은 상술한 대로 경남여객이 대원고속으로 양도한 노선이다. 그리고 흥덕지구를 지나는 직행좌석버스 노선을 공동 배차하기도 했고,[9] 에버랜드 내에서는 아예 차고지를 같이 쓴다. KD의 1113번 기사가 에버랜드에서 강변역으로 가는데 이 회사의 5700번이나 5002번을 타고 강남역에서 2호선타는게 빠르다며 그걸 타라고 말하기도 한다. 또한 KD의 본진인 광주시에 20번 등의 자사 시내버스로 대놓고 다닌다. 또한 일부 지역에서는 KD 기사들과 경남여객 기사들이 같은 회사인냥 서로 손 인사를 하기도 한다.[10]
무엇보다도 그렇게 여기저기 발을 넓히는 KD 운송그룹이 유난히 진출을 하지 않는 지역이 바로 경남여객 노선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지역이다.[11] 2021년에 그러한 경향이 뚜렷하게 보이는 편인데 경남여객이 운영하던 5000번대 직행좌석버스의 공공버스 입찰에 KD가 하나도 참여하지 않았고, 그렇게 광역급행버스 노선에 투자를 많이 하는 KD가 동백지구에서 신설되는 M4455에도 역시 참여하지 않았다. 또한 한숲시티에서 출발하는 4101번 입찰에도 역시 KD는 들어가질 않았다. 한마디로 KD 운송그룹이 경남여객이 중심을 이루고 있는 지역은 철저하게 선을 그으며 진출하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여러모로 KD 운송그룹과 경남여객 사이에는 용인시 지역의 노선망을 두고 서로의 범위는 침범하지 않기로 하지 않았나란 추측을 할 수 있는 모습들이 보이는 편이다. 한마디로 따지자면 경남여객은 KD 운송그룹에 속해있지만 않을 뿐 KD 운송그룹의 우호 회사에 속해있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3.1. 고속버스
전 노선 용인 출발. 부산(노포동, 사상)행 노선은 전환고속 노선이 아니라 2007년과 2014년에 노선을 개설하면서 같이 참여한 격이다. 군산행 노선도 원래 동양고속이 운행했던 노선을 인수한 것이므로 이 또한 전환고속이 아니다. 공동, 단독배차하는 모든 노선에 전부 티머니 E-Pass가 지원된다.- 용인 ~ 신갈 ~ 낙동강 의성/구미 휴게소 ~ 부산(노포동)[12]
-
용인 ~ 신갈 ~ 선산 휴게소 ~ 부산(사상) -
용인 ~ 신갈 ~ 정안알밤 휴게소 ~ 군산(고속)[운행중단][14]
3.2. 공항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8165 | 용인터미널 | 명지대입구 - 시청·용인대역 - 동백월드메르디앙.동백경남아너스빌 - 어정역 - 강남대역 - 신갈역 - 구성역 - 보정역 - 죽전역 - 풍덕고교사거리 - 광교마을 - 수원광교박물관 - 영동고속도로 - 서해안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부천터미널소풍 | 김포국제공항 | 60~75 |
8852 | 동백월드메르디앙.동백경남아너스빌 - 어정역 - 강남대역 - 신갈역 - 구성역 - 보정역 - 죽전역 - 풍덕고교사거리 - 광교마을 - 수원광교박물관 - 영동고속도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인천대교 - 인천공항T1 | 인천공항T2 | 10~60 | |
8866 | 양지물류센터 | 양지농협 - 한국민속촌 - 신갈오거리 - 삼성삼거리 - 수원컨벤션센터 - 광교중앙역 환승센터 - 영동고속도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인천대교 - 인천공항T1 | 인천공항T2 | 1일 4회 |
8877 | 한국민속촌 | 신갈오거리 - 삼성삼거리 - 수원컨벤션센터 - 광교중앙역 환승센터 - 영동고속도로 - 제3경인고속화도로 - 인천대교 - 인천공항T1 | 인천공항T2 |
1일 주간 13회 심야 2회 |
3.3. 시외버스
3.3.1. 위치조회가 가능한 시외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8211 | 용인터미널 | 영동고속도로 - 문막 | 원주터미널 | 1일 12회 |
8218 | 수원터미널 | 우만주공 - 영동고속도로 - 문막 | 원주터미널 | 1일 16회 |
8326 | 용인터미널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동탄역 - 경부고속도로 - 논산천안고속도로 - 정안세종로 - 정부세종청사 - 세종터미널 | 유성터미널 | 1일 4회 |
8342 | 명지대입구 - 시청·용인대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천안터미널 | 아산터미널 | 1일 2회 | |
8343 | 명지대입구 - 시청·용인대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천안터미널 | 1일 16회 | |
8366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대전복합터미널 | 30~90 | |
8423 | 수원터미널 | 아주대학교 - 영통입구 - 청현마을 - 경부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이천터미널 - 영동고속도로 - 여주대학교 | 여주터미널 | 1일 8회 |
8424 | 아주대학교 - 영통입구 - 청현마을 - 경부고속도로 - 영동고속도로 - 오천리 | 이천터미널 | 1일 2회 | |
8839 | 에버랜드 | 용인터미널 - 명지대입구 - 시청·용인대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 - 범계역 - 경수대로 - 제2경인고속도로 | 인천터미널 | 1일 3회 |
8862 | 용인터미널 - 명지대입구 - 시청·용인대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영통입구 - 아주대학교 -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 - 영동고속도로 - 제2경인고속도로 | 인천터미널 | 1일 3회 |
3.3.2. 위치조회가 불가능한 시외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8201 | 용인터미널 | 영동고속도로 | 강릉터미널 | 1일 4회 |
8210 | 수원터미널 | 우만주공 - 영동고속도로 | 강릉터미널 | 1일 12회 |
3.4. 시내버스
3.4.1. 광역급행버스
<rowcolor=#00b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M4455 | 초당역 | 동백역 - 호수마을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남부터미널 → 예술의전당 → 방배역 → 내방역 → 서초역 → 교대역 → 경부고속도로 | 교대역 | 15~40 |
3.4.2. 광역콜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광역콜버스 | 마평주공아파트 | 용인서울병원 - 덕영고등학교 - 단사마을 - 상유곡 - 유림동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서초구청 → 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 양재역 | 1일 8회 |
3.4.3. 직행좌석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4101 | 한숲시티 | 남곡사거리 - 송전터미널 - 천리농협 - 남북대로 - 신중부대로 써니밸리 - 한국민속촌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학병원 - 남대문세무서 → 서울시청 → 신한은행본점 → 숭례문 → 명동입구 → 남대문세무서 | 숭례문 | 15~35 |
5000A ♿ | 초당역 | 성산마을 - 동백고등학교 - 호수마을 - 어정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학병원 - 남대문세무서 → 조계사 → 세종문화회관 → 신한은행본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숭례문 → 명동입구 → 남대문세무서 | 서울역 | 10~20 |
5000B ♿ | 명지대 | 시청·용인대역 - 용인미르스타디움 - 초당역 - 성산마을 - 동백고등학교 - 호수마을 - 어정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학병원 - 남대문세무서 → 조계사 → 세종문화회관 → 신한은행본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숭례문 → 명동입구 → 남대문세무서 | 서울역 | 10~20 |
5001A ♿ | 남동차고지 | 태성중·고교 - 용인터미널 - 처인구청 - 시청·용인대역 - 효자고개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10~19 |
5001B ♿ | 남동차고지 | 태성중·고교 - 용인터미널 - 처인구청 - 시청·용인대역 - 효자고개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10~19 |
5001-1A | 명지대 | 시청·용인대역 - 용인대학교 - 효자고개 - 한국민속촌 - 상갈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15~30 |
5001-1B | 명지대 | 시청·용인대역 - 용인대학교 - 효자고개 - 한국민속촌 - 상갈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15~30 |
5002A ♿ | 남동차고지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용인터미널 - 유림동 - 둔전역 - 포곡읍행정복지센터 - 전대·에버랜드역 - (← 에버랜드 ←)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13~15 |
5002B ♿ | 남동차고지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용인터미널 - 유림동 - 둔전역 - 포곡읍행정복지센터 - 전대·에버랜드역 - 에버랜드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13~15 |
5003A ♿ | 남동차고지 | 남동구미마을 - 보보스타운 - 동진마을 - 명지대앞 - 시청·용인대역 - 용인미르스타디움 - 초당역 - 성산마을 - 동백고등학교 - 호수마을 - 어정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양재역 → 강남역 → 신논현역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8~20 |
5003B ♿ | 남동차고지 | 남동구미마을 - 보보스타운 - 동진마을 - 명지대앞 - 시청·용인대역 - 용인미르스타디움 - 초당역 - 성산마을 - 동백고등학교 - 호수마을 - 어정역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강남역 → 양재역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경부고속도로 | 신논현역 | 8~20 |
5005 ♿ | 명지대 | 동진마을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용인터미널 - 처인구청 - 시청·용인대역 - 효자고개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학병원 - 남대문세무서 → 조계사 → 세종문화회관 → 신한은행본점 → 서울역버스환승센터 → 숭례문 → 명동입구 → 남대문세무서 | 서울역 | 11~18 |
5600 | 명지대 | 동진마을 - 태성중·고교 - 용인터미널 - 처인구청 - 시청·용인대역 - 효자고개 - 강남대역 - 기흥역 - 신갈오거리 - 경부고속도로 - 화랑공원 - 판교제2테크노밸리 - 고등동우체국 - 세곡동사거리 - 수서역 - 가락시장 - 잠실역 | 강변역 | 15~30 |
5700A | 명지대 | 동진마을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용인터미널 - 유림동 - 둔전역 - 포곡읍행정복지센터 - 전대·에버랜드역 - (← 에버랜드 ←)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화랑공원 - 판교제2테크노밸리 - 고등동우체국 - 세곡동사거리 - 수서역 - 가락시장 - 잠실역 | 강변역 | 30~35 |
5700B | 명지대 | 동진마을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용인터미널 - 유림동 - 둔전역 - 포곡읍행정복지센터 - 전대·에버랜드역 - 에버랜드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화랑공원 - 판교제2테크노밸리 - 고등동우체국 - 세곡동사거리 - 수서역 - 가락시장 - 잠실역 | 강변역 | 35~45 |
3.4.3.1. 프리미엄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P9201 | 한숲시티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시민의숲.양재꽃시장 - 양재역 - 뱅뱅사거리 | 강남역 | 1일 2회 |
P9211 | 마북동 | 신창.LG아파트 - 교동초등학교 - 마북동행정복지센터 - 용인서울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순천향대학병원 - 남대문세무서 → 서울시청 → 숭례문 → 명동입구 → 남대문세무서 | 숭례문 | 1일 2회 |
P9241 | 한숲시티 | 영동고속도로 - 경부고속도로 - 화랑공원 - 삼평교 | 판교제2테크노밸리 | 1일 2회 |
3.4.4. 일반버스
용인시 버스 목록 참조. 용인시 관내 모든 일반시내버스, 공영버스를 운행하고 있다.3.5. 마을버스
<rowcolor=#fff>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배차간격 |
5 | 용인터미널 | 용인예술과학대학교 - 마평주공아파트 - 서울병원 - 고진역 - 덕영고등학교 - 용인시장 - 처인구청 - 김량장역 - 명지대역 - 용인시청 - 삼가역 - 용인미르스타디움 - 초당역 - 동백역 | 용인세브란스병원 | 25~35 |
5-3 | 용인터미널 | 용인중앙시장역 → 유림동행정복지센터 → 버드실 → 마성3리 → 지장실 → 새말 → 용인시청 → 명지대역 → 김량장역 → 용인중앙시장역 | 용인터미널 | 1일 1회 |
5-4 | 용인터미널 | 용인중앙시장역 → 김량장역 → 명지대역 → 용인시청 → 새말 → 지장실 → 마성3리 → 버드실 → 유림동행정복지센터 → 용인중앙시장역 | 용인터미널 | 1일 1회 |
201 | 삼배울 | 이동테크노밸리 - 신창 - 천리농협 - 천리 - 천리농협 - 적동 | 염티골 | 1일 11회 |
4. 차량
- 예전에는 대부분의 차량을 자일대우버스로 출고했다. 상당수가 디젤 차량이었으며, 일부 노선에 한해 천연가스버스가 투입되기도 했다. 초기엔 66번과 820번에 가스차량이 들어갔는데, 두 노선 모두 회차지 근처에 가스충전소가 있었기 때문이다. 66번은 수원역 인근에서 가스충전이 가능했고, 820번은 모란역까지 갈 때는 사송공영차고지에서 가스충전을 할 수 있었다. 66번은 820번이 디젤차량을 뽑을 때에도 계속 가스차로 신차를 출고할 수 있었던게 이 때문이다.
- 2000년대 초중반부터 본격적으로 현대버스를 뽑기 시작했으며 2007년에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와 더불어 현대 저상버스를 출고해 820번에 고정 투입했다. 이후 현대자동차와 자일대우버스의 천연가스버스를 동시에 출고하기 시작했다. 이전에 2007년부터 직행좌석버스에도 현대자동차를 슬슬 투입하기 시작했으며, 용인시 최초로 저상버스를 820번에 투입할 때도 현대차로 뽑았다.
- 2011년에 남동공영차고지가 들어서고 2011년 말에 가스충전소가 완공되자 매우 공격적으로 가스차를 투입하기 시작했다. 주로 명지대, 용인터미널, 에버랜드 기점 노선들에 투입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직행좌석버스는 2014년 이후 한동안 디젤 버스만 출고했다. 아무래도 직행좌석버스 배차간격도 상당히 긴 축에 속하는데, 가스 충전으로 배차간격이 더 벌어질 수 있으며 2015~2016년 사이에 천연가스버스 보조금이 한동안 끊겼기 때문이다. 일반시내버스의 경우 10번을 제외하면 디젤차량을 뽑지 않았으며, 다른 노선은 꾸준히 천연가스버스로 출고하는 중이다.
- 천연가스버스를 투입하는 차종에 나름대로 한때 법칙을 두었는데, 대형차는 현대자동차를 출고하고 중형차는 자일대우버스를 출고하는 것. 하지만 NEW BS090 초기형의 쓴맛을 봤는지 2014년부터 중형차에도 아예 그린시티를 출고했다가 2017년에 자일대우버스의 천연가스버스를 소수를 출고했다.
- 2015년에도 93번, 670번에 그린시티를 투입했으니 이젠 완전히 현대자동차로 전향하는 듯 했으나 2015년과 2016년에 걸쳐 대우 NEW BS110 7대를 출고했다. 관계자 말로는 자일대우버스가 차값이 싸고 힘이 좋아 출고했다고 한다. 하지만 대우 저상의 쓴맛을 봤는지 2018~2020년까지 현대 저상만 뽑았다. 8852번에도 유니버스가 아닌 그랜버드가 신차로 투입되었다. 하지만 대부분 차량은 현대자동차로 채우고 있다. 이후 2016년 12월에 대우 NEW BS090 디젤 차량을 출고한 것을 보면 어쩌다가 한 번씩 자일대우버스를 출고한다고 보는 것이 맞다. 경남여객에서 대우차가 주력인 노선은 95번, 10-2번[15] 정도다.[16]
- 2층버스는 MAN 2층버스만 출고하다가,[17] 2023년 1월 25일에 업체 최초로 일렉시티 2층버스 11대를 출고한 후 2층버스의 연료가 전기로 의무화됨에 따라 일렉시티 2층버스만 출고한다. 기존에 있던 MAN 2층버스는 1월부터 순차적으로 조기폐차를 진행한다.
- 현재 시외부의 경우 유니버스와 그랜버드를 혼용하여 출고한다. 주로 일반은 SD급으로, 우등은 HD급 차량으로 출고해 왔으며[18], 타 시외버스 업체들과 달리 유니버스 럭셔리가 아닌 프라임을 주력으로 출고해왔다. 그러나 2024년 11월부터 그랜버드 선샤인 일반 차량을 도입하면서[19] 차급이 아예 올라가버렸다![20]
- 2019년 5월 말에 전국 노선버스 최초이자 경기도 차적 노선버스 최초로 버튼시동 스마트키가 적용된 오토 차량을 출고했다.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이며, 8852번에 도입되었다.[21]
- 2020년 5월에 5001-1번 기존 차량 대차분으로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럭셔리 14대를 출고했다. 그 중 13대만 5001-1번에 투입되었고, 1대는 결국 취소되어 몇달간 방치되다가 11월에 강화교통이 가져가면서 재도색 및 44인승 개조를 거쳐 800번에 투입되었다.
- 2021년 하반기부터 직행좌석버스 노선들이 경기도 공공버스에 편입됨에 따라 공공버스 사양의 유니버스 프라임도 도입하고 있다.
- 2023년 8월부터 계열사 동백운수를 시작으로 BYD eBus-12를 대량 출고하였으며, 10번, 66번을 비롯한 여러 노선들에 투입하였다.
- 2024년 4월 기아 뉴 그랜버드 슈퍼프리미엄 선샤인을 처음으로 출고하였다. 8165번에 처음 투입되었고 이후 타 노선들에도 골고루 투입하고 있다
- 자동변속기 차량의 비율을 꾸준히 높이고 있는 업체이다. 2층버스 및 공항선을 시작으로 저상버스 및 전기버스의 출고 비율이 높아지면서 자연스럽게 증가하고 있으며, 2022년부터는 카운티에도 자동변속기를 적용하고 있다.
5. 이야깃거리
- 용인시 버스 목록에서 경남여객의 시내버스 노선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런데 대부분의 버스가 사실상 경남여객 운행 버스다.[22]를 기점으로 하는 일부 KD 운송그룹 버스들은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의 희한한 행정구역 때문에 광주시 오포1동을 걸쳐 간다. 나머지 용인에 돌아다니는 KD 운송그룹 버스들은 1개 노선을 제외하고 죄다 아웃광주 노선이라 광주시를 0.0001mm도 밟지 않는다[23]
- 2017년 6월 말 동양고속 출신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3대(일반 1, 우등 2)를 중고로 들어왔으며 '군산~용인' 노선에서 운행했었다. E-Pass 장비도 그대로 들여와 E-Pass의 사용도 가능했었다.
- 차량을 대차할 때 조기대차하거나 9년만 쓰고 칼대차하는 회사들 중 하나이다. 2020년대 이후 이 경향이 더 심해졌다.
-
협진여객 못지 않게
난폭운전으로 악명이 높았다. 시내버스는 무정차 통과, 승차거부, 불친절, 신호위반,[24] 과속에다 극단적으로는 타 기사와 승객에게 욕설(!)을 하는 사례까지 있었다. 하지만
용인시 공공버스 제도와 1일 2교대제를 포함한 용인시 준공영제,
경기도 공공버스 시행 이후로는 난폭운전 사례가 조금씩 줄고 있고, 친절도 면에서도 많이 개선되었다.
서울버스도 특정 업체에서 불친절, 난폭운전에 대한 민원이 심하다.
- 직행좌석버스의 기본 속도제한은 97km/h지만, 고속도로에서 관성으로 100km/h를 넘기는 모습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일반시내버스의 속도도 상당한데 이는 효자고개, 마평동 이후 구간과 유림동 부근에서 특히 심하다.
- 속도가 높은 업체답게 이 회사의 2층버스는 KD 운송그룹과는 달리 리밋 제한이 90km/h로 되어 있다. 다만 이 차이점은 KD 운송그룹은 리밋이 80km/h 볼보버스를 출고하거나 일렉시티 이층버스를 출고해도 80km/h에 리밋을 걸어놓지만, 경남여객은 기본 리밋이 좀 더 높은 MAN 버스와 현대 일렉시티 이층버스를 출고하고 순정 리밋인 90km/h로 걸어서 생긴 차이점이다. 물론 두 버스 모두 고속도로의 제한속도인 100~110km/h에 도달하지 못해 시내를 제외한 고속도로에서는 확실히 느린 것이 느껴진다.[25]
- 2019년 5월에 있었던 버스 파업 관련해서 언론에 공개된 곳이 바로 업체의 직행좌석버스 중심지인 명지대 영업소였다. 이후 22년 파업 때도 몇몇 기사에 한번 더 등장했다.
- 홈페이지 내 고객게시판은 로그인 후 이용해야 한다.[28] 홈페이지 리뉴얼 이후에도 이건 바뀌지 않았으니 민원을 넣을 일이 있다면 차라리 시청에다 민원을 넣는 것도 괜찮은 방법이다.
- 구 홈페이지의 배너에 노선 운행지 지자체와 한국공항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의 로고를 붙여 놓았는데, 여주시의 경우 여주군 시절 로고를 그대로 쓰고 있고, 개정을 거의 안 했는지 일부 운행지 로고는 아예 없었다.
- 코로나19의 영향으로 공항버스 노선들 및 일부 시외버스 노선이 크게 감차되거나 운행중단되는 등의 피해를 입었지만, 시내버스 노선들의 감차를 최소화하는 모습을 보인 덕에 주력 시내버스 노선들 및 직행좌석버스 노선들은 공공버스 전환 이전에도 안정적인 배차간격을 유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여파가 뒤늦게 찾아왔는지 회사의 사정이 좋지 않다는 기사가 올라오기도 했고,[30] 2022년 이후부터는 승무사원 부족 문제가 심화되면서 감차 및 운행중단 노선들의 운행횟수 복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31] 그나마 시내부는 공공관리제가 시행되면서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고 있지만 시외부는 아직 갈 길이 멀다...
- 8326(용인-세종, 유성)과 8852 (용인-광교-인천공항)은 버스타고 사이트에서 예매 가능하다. #
- 5005번은 출퇴근 시간이 아닐 때에도 만석이 찍히곤 하는데 2층버스가 2대밖에 다니지 않아[32] 입석금지에 큰 타격을 받는 노선이라 2층 버스를 넣어달라는 불만이 많다. 중요한 사실은 5005번이 5000번대 시리즈 중에서 가장 인기가 많다. #
- 전기버스를 보급하면서 이 회사의 뉴슈퍼에어로시티 F/L 차량 일부를 부안여객[33], 새천안교통, 삼안여객, 한성교통, 유진버스, 강원여객, 태창운수, 대한고속, 안전여객, 대도여객 등지로 매각했다. 특히 팔아치운 차량이 모두 고상이다보니 22-1번에만 이 회사의 4대뿐인 고상버스가 전부 다닌다. 물론 고상버스를 다 팔아버린데에는 저상버스 확대 도입 목적도 있지만, 저상버스를 부득이하게 도입할 수 없는 지역에 고상버스를 배분하기 위한 목적도 있어 보인다.
- 전기버스 도입 및 용인시 공공버스 전환 이후 전면의 노선번호 표기를 작은 스티커 하나로 표기하거나 아예 표기하지 않는다. 때문에 LED가 어둡거나 아예 꺼져있는 경우 버스를 식별하기 어렵다.
5.1. 비판 및 사건사고, 문제점
- 저상버스가 거의 없었다. 이로 인해 기사까지 나왔을 정도였다.[34] 이 점은 용인시의 가스충전소 문제도 있고 기타 등등의 사유도 있겠지만 인구가 100만이 넘어간 용인시에 저상버스가 7대밖에 없었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 게다가 용인시에는 아직 읍면 마을도 많고, 이 읍면 마을이 죄다 고령 인구이다. 당장 22-1번만 해도, 왕복 2차선 시골길에 주 이용객이 60대 이상이다. 다만 사측에서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했는지 2015년부터 조금씩 저상버스를 투입하고 있으며, 2017년 2층버스의 도입이 시작된 이후로 저상버스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전기 저상버스 투입도 2022년에 들어서부터 적극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2023년 하반기에 BYD 전기 저상버스로 운행차량을 대량 교체하여 1대[35]를 제외한 모든 정규 대형차량이 저상버스가 되었으며, 예비차량 역시 저상버스가 더 많아졌다.
- 직행좌석버스로 운용하는 유니버스 엘레강스, 럭셔리의 좌석 배치가 별로 좋지 못했다. 2016년 초 5001, 5001-1번부터 시작하여 5005, 5600, 5700번에 있는 모든 유니버스 엘레강스 전중문형 CNG 41인승의 중문쇄정을 완료했다. 게다가 KD, 경진여객[36]이 45인승으로 개조할 때 이 회사는 49인승으로 개조했다.[37][38] 하지만 평바닥이어서 휠하우스가 그대로 돌출되어 있어 휠하우스가 있는 좌석은 다리를 구부려야 할 정도이며,[39] 또한 개조할 때 맨앞 좌석 위치를 조정하지 않은 차량도 있는데 이런 차량은 좌석간격이 순정 49인승보다 극도로 비좁다. 물론 해당 노선들이 배차간격이 길고 매일 만석을 채울 만큼 수요가 터져나간다. 49인승 출고에는 여론이 갈리는데, '4명이라도 더 앉아갈 기회를 주는 것이 다행이다'는 쪽이 있고, '겨우 4명 더 앉히려고 좌석간격을 좁게 만들어야 하는가?'라는 쪽이 있다. 다만, 경남여객이 경기도 공공버스 사업에 참여한 이후 규정에 의해 전문형 44인승 차량만 출고하고 있어 중문쇄정 49인승 차량을 우선으로 대차하고 있는 상황이다.
- 난폭운전도 상당한 편이다. 대부분의 일반시내 노선들은 그나마 나아졌으나 광역버스와 시외, 공항버스는 여전히 심하다.
- 승무사원을 혹사시키기로 악명이 높았다. 식사시간 포함 30분 휴식, 만근도 16~17일까지 하는 등, 타 업체와 비교하면 많이 열악했다. 수원시의 수원여객, 용남고속은 근무환경이 개선되어 만근 13일이다. 이 때문에 일부 기사는 KD 운송그룹으로 이직하는 등 회사 인력이랑 근무환경이 열약하기로 유명했으나 2019년 10월부터 만근 감소와 배차 감축으로 근무환경이 어느정도 개선되었다..만 2020년 이후에도 복격일제 근무 등의 사례가 나오기도 한다.
- 술에 취해 잠든 여성 승객을 경찰에 인계하지 않고 자신의 승용차로 옮겨 태워 모텔로 데려간 버스 기사가 경찰에 입건되었다. # 회사 이름은 나오지 않았지만 백암종점에 오는 시내버스 업체는 경남여객 뿐이다. 경찰은 해당 버스기사에 대해 구속영장을 신청했으나 증거인멸및 도주우려가 없다는 이유로 기각되었고, 해당 버스기사는 불구속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되었다. #
6. 영업소
- 남동 본사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신기로 170 (남동 476-9) - 경남여객, 동백운수 본사[40]
- 노선 : 20, 5002, 경남여객, 동백운수 전 노선 주박
- 우만동영업소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창룡대로 224 (우만동 산 2)[41]
- 노선 : 10, 10-2, 10-5, 55, 경남여객 수원 발 노선 주박
- 용인터미널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중부대로 1486 (김량장동 23-1) - 경남여객 운영
- 노선 : 용인터미널 착발 마을버스(5번대), 시내버스 및 시외버스
- 명지대영업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명지로 116 (남동 555)
- 노선 : 820, 5000B, 5001, 5001-1, 5003B, 5005, 5600, 5700
- 에버랜드영업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에버랜드로 199 (전대리 310)[42] - KD 운송그룹과 공유[43]
- 노선 : 66, 66-4, 670
- 중동영업소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중동 1035-6
- 노선 : 5000A, 5003A, M4455
- 백암영업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석실로 80 (가좌리 469-3)
- 노선 : 10, 공영버스(백암, 원삼)
- 마을버스차고지 :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신정로 323 (보정동 1019-386)
- 노선 : 마북운수 전 노선
7. 면허 체계
- 경기 78 아 10##, 15##, 16##, 8###[C], 95##호[C] - 시내
- 경기 78 아 11##, 12##, 13##호, 14##호 - 직행좌석[46]
- 경기 78 아 61##, 62##호 - 시외, 공항
- 경기 78 사 80##호 - 전세
- 1996년 면허 체계 개정 이전 : 경기 5 자 22##
8. 보유차량
8.1. 현재 보유차량
8.1.1. 현대자동차
- 현대 뉴 카운티 디젤
- 현대 카운티 뉴 브리즈 디젤
- 현대 그린시티 디젤
- 현대 그린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초저상 천연가스버스
- 현대 일렉시티 전기버스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디젤
- 현대 유니버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 프라임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라임 디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디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노블 디젤
- 현대 일렉시티 이층버스 전기버스
8.1.2. BYD
8.1.3. MAN
8.1.4. 자일대우버스
8.1.5. KGM커머셜
8.1.6. 기아
8.2. 과거 보유차량
8.2.1. 현대자동차
- 현대 카운티 디젤
- 현대 E-카운티 디젤
- 현대 에어로타운 디젤
- 현대 글로벌900 천연가스버스
- 현대 RB600 디젤
- 현대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S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SL 디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도시형버스 L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슈퍼 에어로시티 디젤
- 현대 저상 뉴 슈퍼 에어로시티 천연가스버스
- 현대 에어로 600 디젤
-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D 디젤
-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 디젤
- 현대 에어로 스페이스 LS 천연가스버스
- 현대 에어로 익스프레스 LDX 디젤
- 현대 에어로 하이스페이스 디젤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엘레강스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디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스페이스 럭셔리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라임 디젤
- 현대 뉴 프리미엄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프라임 천연가스버스
- 현대 유니버스 익스프레스 노블 디젤
8.2.2. 자일대우버스
- 대우 BM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디젤
- 대우 BS090 로얄미디 천연가스버스
- 대우 NEW BS090 디젤
- 대우 NEW BS090 천연가스버스
- 새한 BD50DL 디젤
- 새한 BD098 디젤
- 대우 BF101(Q) 디젤
- 대우 BS106 하이파워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S106 로얄시티 천연가스버스
- 대우 BS106L 로얄시티 디젤
- 대우 BC211M 로얄하이시티 디젤
- 대우 BV101 디젤
- 대우 BV113 디젤
- 새한 BU110 디젤
- 대우 BH115Q 디젤
- 대우 BH115H 로얄익스프레스 디젤
- 대우 BH115E 로얄이코노미 디젤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 디젤
- 대우 BH116 로얄럭셔리 II 디젤
- 대우 BH120H 로얄슈퍼 디젤
8.2.3. 기아
9. 둘러보기
경남여객 계열사 | ||
경남여객 | 마북운수 | 동백운수 |
경기도의 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내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경기고속2 | 경기버스 | 경기상운 | |||
경기여객2 | 경기운수 | 대원고속1 | ||||
대원버스 | 대원운수 | 명진여객 | ||||
이천시내버스 | 진명여객2 | 평안운수 | ||||
평택버스 | 화성여객 | 가평교통 | ||||
김포운수 | 선진버스 | 선진상운 | ||||
선진시내버스 | 연천교통 | 파주여객 | ||||
포천교통 | 포천상운 | 경진여객 | ||||
남양여객 | 소신여객 | 수원여객 | ||||
용남고속 | 제부여객 | 화성운수 | ||||
경원여객 | 써클라인 | 시흥교통2 | ||||
태화상운 | 경남여객2 | 고양교통 | ||||
과천여객 | 군포여객 | 금강고속 | ||||
기흥여객2 | 뉴부일교통 |
|
||||
대덕운수 | 대명운수 | 대양운수 | ||||
더버스 | 도원교통 | 동부고속1 | ||||
명성 | 백마운수 | 백성운수 | ||||
보영운수 | 부천버스 | 산본여객 | ||||
삼경운수 | 삼영운수 | 서울여객 | ||||
성광운수 | 성일운수 | 성남시내버스 | ||||
성우운수 | 신성교통 | 신성여객 | ||||
신일여객 | 양주교통2 | 오산교통2 | ||||
와부버스2 | 용남고속버스라인 | 의왕교통2 | ||||
청우운수 | 태산운수2 | 태현교통 | ||||
평택운수 | 평택여객 | 학의운수 | ||||
협진여객 | 화영운수2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시외버스 회사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경기고속 | 대원고속1 | 선진고속 | |||
경기공항리무진 | 경남여객 | 경일여객 | ||||
금강고속 |
|
동부고속1 | ||||
동양고속1 | 삼화고속1 | 용남고속버스라인 | ||||
중앙고속1 | 한일고속1 |
범례 1: 전국고속버스운송사업조합 회원사 2: 마을버스 겸업 업체 |
|||
<rowcolor=#fff> KD 운송그룹 계열사 | 선진그룹 계열사 | K1 모빌리티 그룹 계열사 | 경원여객 계열사 |
경기도 광주시 진입 버스 회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KD 운송그룹 계열사 | |||||||||||
경기고속[광]
대원고속[광]
|
||||||||||||
비 KD 운송그룹 계열 버스 회사 | ||||||||||||
[광] : 광주시 면허인 회사 |
[1]
경기도지사를 지냈던 전직 정치인
남경필의 동생이다.
[2]
전국버스운송사업조합 기준
[3]
일제강점기 '경남철도주식회사'에서 경남이라는 단어가 쓰인 바 있다. 그러나 앞서 말했듯 경상남도와 헷갈리는 일이 많다보니, 경기남부의 두 글자 축약 표현은 기남(畿南)이 더 자주 쓰인다. 경기북부도 마찬가지로 경북(京北)보다 기북(畿北)이라는 표현을 더 자주 쓰고.
[4]
사실 70년대에는 채무에 대해 경영진이 무한 책임을 지는
합명회사였다. 초창기의 경남여객은 현재보다 더 가족기업에 가까웠기 때문.
[5]
인천 지역과 수원 지역 신문이 합쳐서 만든 신문, 1980년부터 경인일보의 감사, 이사로 재직했다.
[6]
대표적으로 80번과 810번 노선. 이 둘을 마을버스 업체에 매각하여 현재는
5번 하나만 남았다.
[7]
유일하게 오너 일가가 아닌 대표이사
[8]
현재는 폐선했다.
[9]
이 노선들은 전부 KD로 양도했다.
5007번 참조. 대신 공동 배차하던 용인-신갈-대전 시외버스의 KD 지분이 경남여객으로 넘어갔다.
[10]
다만 경쟁을 하는 노선도 일부 존재하는데, 수원역행 노선이 이에 해당한다.
[11]
KD의 용인시 주 영업지역은 수지구, 기흥구 서부와 구성동, 처인구 모현읍과 포곡읍이다.
[12]
E-Pass 실시로 인하여 잔여 거리 및 예상 도착 시간은 고속버스티머니 앱이나 티머니 GO 앱에서 조회 가능함.
[운행중단]
[14]
동양고속으로 부터 인수.
중앙고속 철수 후 단독 운행 노선이다.
[15]
개통 이후 대우차량만 투입된 유일한 노선이었으나 2019년 8월 그린시티를 투입하며 기록이 깨져버렸다.
[16]
현재는 대우 중형차량은 모두 대차되었고 820, 22번, 예비차로 종종 나오는 저상이 전부이다.
[17]
MAN 트럭버스 코리아 본사와 수리센터가 용인시 기흥구에 있어 수리가 용이하기 때문.
[18]
다만 이 규칙이 무조건 적용되진 않았다. 고속버스 노선의 경우 등급을 가리지 않고 HD급을 들여왔었고, 2011년까지는 공항선에도 SD급 차량을 출고하기도 했다.
[19]
8839번/
8862번,
8218번,
8424번 등에 투입되었다.
[20]
공항선을 제외하면 차급을 내린
한양고속,
충남고속,
용남고속버스라인 등의 업체와 비교하면 확실히 돋보이는 행보.
[21]
동시에 그랜버드 썬샤인 오토 차량도 도입했다.
[22]
덤으로 이 회사는 마을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마을버스 회사도 인수해서 운영 중에 있다. 물론 예외는 존재한다.
60번/
660번/
1113번은 광주시내를 관통하며,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와 오산리은 예외. 이쪽은 오산리로 갈때 오포읍을 경유하지 않고 직진해서 그런 거 없다.
[23]
현재는
경기도 공공버스로 인해 기점지 면허로 대부분 변경되면서 아웃광주가 대폭으로 줄었다.
[24]
특히 강남대역 용인방향(예를들어 10번 백암방향, 66시리즈 용인시내 + 에버랜드방향)이 제일 심하다. 특히 그쪽은 빨간불인데도 사람이 없으면 쌩까고 간다! 다른 곳도 있지만 특히 처인구 구간이 제일 잦다. 대신 신갈, 용인시 이외 구간(서울, 성남, 수원 등등)만 신호를 그나마 잘 지키는 편이다.
[25]
경남여객답게 당연히 리밋에 근접한 속도를 내지만 고속도로 버스전용차로 앞에
KD 운송그룹의 차가 없을 경우 같은 경남여객 소속 유니버스의 속도를 보고 마치 자신이
KD 운송그룹의 차를 타고 있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26]
108km/h 리밋이 대부분이다.
중앙고속과 비슷하다.
[27]
R8343을 타보면 천안에서 수원신갈IC까지 30분 컷이다.
[28]
그래도 문의 시 답변은 잘 해주는 편이다.
[29]
혹시나 수지구를 가려고 서울에서 버스를 탔는데 M4101이 아닌 그냥 경기광역 4101을 탔다면 신갈오거리에서 내려 55번을 타거나 금화마을 입구에서 내려 상갈역으로 간 후 지하철 환승을 하면 되니 당황하진 말자.
[30]
'용인 코로나 장기화→버스 멈춰 경남여객 수백억대 빚'이라는 뉴스가 올라왔다. 코로나와 유가 폭등으로 인해 회사가 많이 어려운 것으로 보인다.
#
[31]
공항선 대표노선인
8852번의 경우 2024년 기준으로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반을 겨우 넘는 운행횟수를 보여주고 있고, 2019년 통합 운행횟수 일 52회를 자랑하던
인천행
노선들은 여파를 제대로 맞고 2023년 10월 이후 일 6회로 연명하고 있다.
[32]
1141, 1142호
[33]
[34]
용인시 장애인·노약자 홀대…저상버스 도입 최하 (2013.06.19, 연합뉴스)
[35]
22-1번에서 운행 중. 원래 3대였다가 2대가 예비차량으로 격하되었다.
[36]
용남고속 운행 당시 개조.
[37]
현재 중문쇄정 차량들은 전부 대차됐다.
[38]
비슷한 사례로
경진여객의 유니버스 프라임이 있다. 이건 자체적으로 53인승으로 뽑았는데 민원폭탄,
언론에 고발되고
버스 동호인도 신랄하게 비판해 49인승으로 개조했다.
[39]
전문형 49인승 차량에 갱웨이가 높게 적용되어 있는 이유가 휠하우스 때문.
[40]
경남여객의 용인터미널, 본사 소속 차량은 이곳에서 충전하며, 동백운수 본사로 등록되어 있어 동백운수도 이 곳을 사용한다.
[41]
수원시 경유 노선과 처인구를 경유하지 않는 노선들의 주박지이며, 경남여객 모든 차량의 중정비창이다. 남동 본사나 직행좌석버스들도 심하게 파손이 되었을 경우 이 곳으로 오며, 신차 작업도 우만동에서 해결한다.
[42]
과거에는 에버랜드 정문 주차장 근처에 위치하고 있었으나, 에버랜드가 모든 버스 업체를 밖으로 내쫓으면서 2011년 2월에 전대.에버랜드역 근처로 이전해왔다. 그러다가 2020년 4월 에버랜드 교통 개선 사업으로 인해 노선버스터미널과 함께 영업소도 정문 근처로 다시 돌아왔다. 구내에 CNG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43]
다만 KD의 경우에는 인근에 용인시내영업소라고 차고지가 따로 있으며, 평시에만 사용한다.
[C]
용인시 마을/공영버스 주 면허로 다른 마을버스 회사들과 함께 사용한다.
[C]
[46]
일부 면허는 KD 운송그룹(
대원버스)에도 있다. 과거 1001, 2002, 2002-1번을 매각할 때 차량도 같이 넘어갔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