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2 22:56:14

부령군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e40001>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16px -11px;"
도인민위
청진시
김책시 회령시 }}}
경성군 길주군 명간군 명천군
무산군 부령군 경원군 어랑군
연사군 온성군 경흥군 화대군
}}}}}}}}}


富寧郡 / Puryŏng County
부령군
富寧郡 / Puryŏng County
국가 북한
광복 당시 면적 1,900km²
현재 면적 790km²
광역시도 함경북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 8면
시간대 UTC+9

1. 개요2. 기후3. 인근 행정구역4. 교통편5. 북한 기준 행정구역6.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6.1. 행정 구역의 변화
7. 출신인물

1. 개요

함경북도의 군. 면적 790km².

군명의 유래는 부거(富居 : 현 부거역 인근)와 이 지역에 설치되었던 6진 중 하나인 영북진(寧北鎭)에서 하나씩 딴 것.

고려 말기에 복속된 지역이다. 조선시대에는 1398년에 석막이라 칭하고 경성도호부 치하에 두었다. 1417년에 석막에 속한 곳인 부거를 경원도호부의 치소로 하였으며, 1432년에는 부거에 영북진을 설치하였다. 이후 1434년에 경원도호부 치소는 훗날의 경원군으로, 영북진은 훗날의 종성군으로 모두 이전하고 부거현을 설치하였다. 1449년에 부거현을 없애고 일부 주민을 석막으로 이주시킨 후 굴포 이서, 무산령 이남, 황절파 이북의 땅을 묶어 부령도호부로 삼았다. 이때 해안지역과 내륙지역이 산맥으로 이격된 형태의 영역이 만들어졌다. 대동여지도가 만들어질 시기에는 이미 광복 당시의 군청소재지와 같은 위치에 읍치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청진시(수성, 송평, 나남 일대는 제외)도 원래 이 부령군의 땅이었다. 1910년 부령군 전체가 청진부로 승격되었다가, 1914년 일제의 행정구역 개편 당시 청진부의 영역을 개항장 일대로 축소시키고, 잔여지역을 다시 부령군으로 분리시켰다.

일제 시대에는 거의 1,900㎢에 이를 정도로 엄청나게 큰 군이었다. 현 홍천군이나, 제주도 전체보다 조금 큰 면적. 심지어 그 때는 바다에 접해 있기까지 했다. 그런데 1952년에 대대적으로 행정구역을 개편하면서 여기 잘리고 저기 잘리고 하면서 크기가 풍선에서 바람 빠지듯 크게 줄어든 것. 그나마도 청진시 부령구역으로 들어갔다 나왔다를 반복하다가 현재로 굳어진 것이다. 거의 7년 주기로 왔다갔다했다.

바다에 접해 있던 청암면, 연천면, 부거면, 삼해면, 관해면을 모조리 청진시 청암구역에 넘겨 주면서, 크기가 매우 줄어들었다.[1] 이 때문에 군 면적의 절반 이상이 결딴났으며, 그나마 남은 3개의 면 중 서상면의 절반이 또다시 무산군에 이관되는 바람에 현재의 부령군은 그다지 별볼일 없는 군으로 전락해 버렸다. 행정구역도 1읍 3구 5리로 타 군에 비해서 매우 초라한 수준. 비슷한 크기의 김책시는 22동 22리인 것을 감안해 보면... 청진시가 청진직할시로 승격될 당시 함께 편입된 적도 있다. 아래 사항에 설명되어 있지만, 군역의 상당수가 청진시에 이관된 것으로 보아 통일 이후 청진시[2]와 엮여 광역시로 승격될 수도 있다(청진광역시 부령군).

여담으로 6.25 전쟁 당시 수도기계화보병사단이 여기까지 진격했다는 기록이 있다. 당시 해당 사단이 진격한 곳이 부령역 부거역을 잇는 선까지였다.[3] 여하간 그야말로 통일을 눈앞에 두었는데(실제로 중국과 직결되는 남양역까지 불과 130km) 중국군의 공세 때문에 장진호 전투 개시와 함께 후퇴해야 했던 뼈아픈 역사도 가지고 있는 곳. 그리고 제3보병사단 소속 진백골연대도 이들과 같이 전투를 벌였으나 후퇴 과정에서 6중대가 연대의 후퇴를 돕기위해서 지연전을 펼치다가 끝내 전멸당하고 말았다.

2. 기후

기후대는 냉대기후에 속하고 연교차가 큰 대륙성 기후이다. 최한월인 1월의 평균기온은 -9.1℃로 위도(북위 42도)에 비해선[4] 꽤 추운 편이지만 그래도 인접한 회령시보다는 3℃ 정도 무산군보다는 4℃ 정도 더 높다. 과거 육진 지역 중에서는 가장 따뜻한 곳이라 할 수 있다. 부령군이 회령시나 무산군보다 더 따뜻한 이유는 마천령산맥과 함경산맥 동쪽에 있어서 두 산맥이 북서풍을 막아주기 때문이다. 다만 동해의 영향을 받는 청진시보다는 추운 편이다.

최난월인 8월의 평균기온은 21.1℃로 주변 지역들과 비슷하다. 연교차가 30.2℃로 꽤 큰 편이지만 그래도 회령시 온성군 등과 비교하면 작은 편이다. 연 평균기온은 6.7℃로 과거 육진 지역 중에서는 가장 높은 편이다. 강수량은 620mm로 매우 적지만 주변 지역에 비해선 약 50mm정도 많은 편이다.

3. 인근 행정구역

회 령 시
무산군 부령군 청진시
청 진 시

함경북도 소속

4. 교통편

철도 함북선   석막역  장흥역  형제역  부령역  고무산역 석봉역  창평역 
무산선   고무산역  서상역  무수역  폐무산역 차령역
도로 81번 국도   무산군 - 무수로동자구 - 고무산로동자구
83번 국도   온성군 - 회령시 - 창평리 - 고무산로동자구 - 부령읍 - 형제리 - 금강리 -
 석막로동자구 - 청진시

5. 북한 기준 행정구역

1읍 3구 5리로 이루어져 있다.
부령군의 행정구역
 부령읍
로동자구  고무산구무수구 석막구 
 금강리 사하리 창평리 최현리 형제리

6.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 <tablebordercolor=#9c2131> }}}
{{{#!wiki style="color: #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or: #181818"
<colbgcolor=#9c2131> 파일:청진시 상징.png
청진시
파일:함경북도 성진시 휘장.svg
성진시
파일:함경북도 나진시 CI.svg
나진시
파일:경성군 상징.png
경성군
파일:명천군 상징.png
명천군
파일:길주군 상징.png
길주군
파일:학성군 상징.png
학성군
파일:함경북도 부령군 휘장.svg
부령군
파일:함경북도 무산군 휘장.svg
무산군
파일:회령군 상징.png
회령군
파일:종성군 상징.png
종성군
파일:경흥군 상징.png
경흥군
파일:함경북도 경원군 휘장.svg
경원군
파일:온성군 상징.png
온성군
명목상 도청소재지 : 청진시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 <tablebordercolor=#E7941A><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7941A>
군청
부령면
서상면 석막면
청암면 연천면 부거면 삼해면 관해면
}}}}}}}}} ||
함경북도 미수복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 -5px -10px; display: inline-table"
<tablebordercolor=#ffffff,#1f2023><tablebgcolor=#ffffff,#1f2023>
파일:함경북도 부령군 휘장.svg
부령군
富寧郡
Puryŏng County
}}}
<colbgcolor=#E7941A><colcolor=#ffffff> 군청 소재지 부령면 부령동
상위 행정구역 함경북도
하위 행정구역 8
면적 1,900km²
인구 58,532명[5]
인구밀도 30.80/㎢
명예군수 이경성
명예면장 8석
홈페이지 이북5도위원회 부령군 소개
파일:함경북도 부령군 군기.svg

파일:부령군.jpg

6.1. 행정 구역의 변화

기록 순서는 구 시/군 - 구 읍/면 - 현재의 읍/동/리/로동자구 (구 동/리) 순서.

7. 출신인물


[1] 단 삼해면과 관해면은 처음에는 라진시에 넘겨주었다. 이 중 관해면 락산동을 제외한 나머지가 훗날 라진시에서 청암구역으로 이관된 것. [2] 사실 1914년 분리, 1960년 편입 1985년 재분리 이런식으로 반복되었기 때문에, 역사성을 따져 청진시와 도농통합될 가능성이 높다. [3] 다만 당시에는 청진청년역에서 라진역까지 이어지는 선로가 부설되지 않았기 때문에 부거역이 있지는 않았다. [4] 부령군의 위도는 북위 42°03'55"로 이탈리아 로마보다 약간 더 높다. [5] 1944년 인구총조사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