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반적인 '바'에 대한 내용은
바 문서, 독일의 전차에 대한 내용은
Bär
문서
참고하십시오.
M1918 BAR M1918 Browning Automatic Rifle M1918 브라우닝 자동소총 |
|||
|
|||
초기형 / M1918 | |||
|
|||
분대지원화기형 / M1918A1 | |||
|
|||
분대지원화기 개량형 / M1918A2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자동소총 분대지원화기 |
||
원산지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18년~ 1970년대 | ||
개발 | 존 브라우닝 | ||
개발년도 | 1917년 | ||
생산 |
콜트 매뉴팩쳐링 윈체스터 리피팅 암즈 마를린-록웰 코퍼레이션 뉴잉글랜드 소화기 공장 그 외 다수 |
||
생산년도 | 1918년~ 1945년 | ||
생산수 | 351,679정 (파생형 포함) | ||
사용국 |
[[미국| ]][[틀:국기| ]][[틀:국기| ]] 그 외 다수 |
||
사용된 전쟁 |
제1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 중일전쟁 국공내전 6.25 전쟁 베트남 전쟁 등 |
||
기종 | |||
파생형 |
M1918A1 M1918A2 M1922 모니터 경기관총 Mle 1930 wz.1928 그 외 다수 |
||
제원 | |||
탄약 | .30-06 스프링필드 | ||
급탄 |
20발들이 박스탄창 30발들이 박스탄창 40발들이 대공용 탄창 |
||
작동방식 |
가스 작동식 장행정 가스 피스톤 방식 틸팅 볼트 노리쇠 개방식 |
||
총열길이 | 610mm | ||
전장 | 1,214mm | ||
중량 |
7.25kg (M1918) 8.4kg (M1918A1) 8.8kg (M1918A2) |
||
발사속도 |
500~650RPM (M1918, M1918A1) 300~540RPM (저속모드, M1918A2) 500~650RPM (고속모드, M1918A2) |
||
탄속 | 860m/s | ||
유효사거리 | 1,372m (M1918A2) | ||
최대사거리 |
4,100m~4,600m (M1918) 4,500m (M1918A2) |
}}}}}}}}} |
[clearfix]
1. 개요
|
|
C&Rsenal의 리뷰 영상 | 작동 방식 영상 |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 때 미군이 운용한 자동소총이자 분대지원화기. 이 총도 M2 브라우닝 중기관총처럼 존 브라우닝의 작품이다. 그래서 이름도 브라우닝 자동소총. 도입 연도는 제식명과 같이 1918년이며 브라우닝이 살아있을 때 도입된 물건으로 1차대전부터 사용해왔다.[1] 2차대전 미군 보병무장 중에 1차대전이나 1차대전 직후에 개발된 물건이 많다. 예를 들어 M1919 브라우닝 이나 톰슨 기관단총.
미군은 약자 BAR을 '비에이알'로 읽는데, 이유는 "bar"라는 단어가 군사 용어로 '진격을 가로막다/방해하다.'로 쓰이기 때문이다.[2] 당시 야전 교범에도 "Bee-A-R"로 읽으라고 쓰여 있었다.[3]
2. 상세
브라우닝 자동소총은 분대지원화기의 선조격인 물건이다. 이 물건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기관총의 역사를 알 필요가 있다. 1차대전이 터지기 직전, 서구 열강들은 새로운 화기인 기관총의 등장에 주목하고 있었다. 하지만 맥심 기관총으로 대표되는 당시의 기관총은 너무 무거웠으므로[4] 1인 사격은 커녕 1인 도수 운반조차 사실상 불가능했고, 아군 참호를 넘어 적의 참호로 돌격하는 보병의 열을 따라 지원사격을 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1915년 독일군이 제작한 MG08/15와 1918년에 제작한 lMG08/18은 그 무게를 줄여 기동성을 향상시키려 하였으나 이마저도 무식한 무게로 인하여 본격적인 경기관총으로 운영하기는 역부족이었다. 특히 이전 모델인 MG08/15는 냉각수까지 휴대해야 했다. 이에 미국과 프랑스와 같은 국가들은 "기관총을 줄이는게 안 되면 소총을 늘려보자!"라는 개념으로 신무기를 개발하게 되는데, 이 물건이 바로 자동소총이다.[5] 대표적인 물건으로는 프랑스의 쇼샤와 이 항목의 BAR이 있다.[6] 기동하는 보병을 지원하며 사격해야 했기 때문에 자동소총과 함께 '돌격사격'이라는 개념이 생기게 된다. 그 당시 돌격사격의 개념은 대충 이렇다.
|
쇼샤의 서서쏴 자세를 취하는
루마니아군 병사. 1차대전 당시에는 M1918 브라우닝도 이런 방식으로 운용했다. |
따라서 BAR은 정밀한 조준사격이 기본적으로 요구되지 않았고[7], 기동하며 사격해야 했기에 가벼울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무거운 탄띠는 사용할 수 없었으며, 기본적으로 서서 허리에 낀채로 제한적인 제압사격이 요구되었으므로 양각대 또한 필요하지 않았다. 그리고 사용 탄종은 기본 소총과 같은 30-06 스프링필드탄을 사용해야 했다. 따라서 M1918 브라우닝은 우리가 잘 아는 대구경 자동소총, 통칭 전투소총같은 형태로 만들어지게 되었다. 하지만 곧 1차대전의 참호전에서 돌격사격이 큰 의미가 없다는 것을 알게 되면서 미군은 이 개념을 폐지하게 된다.
돌격사격용으로의 용도가 사라지고 BAR은 몇 차례 개량을 거치게 된다. 1939년에는 생산성을 높인 개량형인 A1이 등장하였다. 돌격중 화력을 제공하려던 초기 버전과 다르게 A1은 거치 사격을 위하여 양각대를 달았으며, 최소한의 조준사격을 위해 단각대를 단 버전도 있었다. 반자동 사격 기능이 추가되었고, 생산성 향상을 위해 핸드가드의 체커링을 제거하고 보다 단순한 디자인이 적용되었다.
이 BAR은 1940년에 한번 더 개량을 거치게 된다. 이 모델이 M1918A2로 본격적으로 미군 제식 분대지원화기로써 채택되어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사용되었다. A2버전은 돌격 사격 용도와 거치 사격 용도를 모두 충족하기 위해 반자동 사격 기능을 제거하고 분당 300~450발의 저속 사격과 분당 500~650발의 고속 사격의 사속변경 장치를 탑재하였다. 기존 BAR에 달려있던 M1917 엔필드의 가늠자를 교체하고, 편의를 위하여 양각대가 총구 끝으로 옮겨졌으며, 분대지원화기에 충실하도록 중총열을 장착하여 더 무거워졌다.
그래도 당시에는 자동화기 중에 가장 가벼운 무기 중 하나였다. 1차 세계대전만 하더라도 동일한 돌격 사격 용도로 사용된 쇼샤가 9.1 kg이였으며, 최초의 경기관총인 마드센 경기관총 또한 9 kg대였으나, BAR만 유일하게 탄창 포함 7.25 kg의 무게를 가졌다. 2차대전 중 사용된 영국의 브렌 경기관총도 Mk I 과 Mk II는 10 kg이 넘어갔고, 브렌의 배다른 형제라고 할 수 있는 일본의 99식 경기관총도 10 kg에 달하는 무게를 가졌다. 결정적으로 현대의 관점에서 사용되는 분대지원화기인 M249의 경우 빈총 무게가 7.5 kg, 200발 탄통 합산 10 kg 가까이 되므로 초기 BAR의 무게는 결코 무겁다고 하기 힘들다. 오히려 현대의 7.62 mm 다목적 기관총들은 빈 총 무게를 10 kg 내외로 유지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무거운 무게가 강조되는 것은 BAR이 최초 개발 당시엔, 그리고 2차 대전 중에도 총열 교체가 불가능한 등 여러 특징을 보면 사실상 자동소총이었기 때문이다.[8] 현대의 돌격소총이나 전투소총은 무거워봐야 4kg 내외를 유지하기 때문에 당시에도, 현대에도 자동소총인 BAR은 무거워보일 수밖에 없다.
하지만 그 중 M1918A2는 경기관총에 가깝게 개발된 무기이므로 아무데나 가서 BAR이 무거운 쇳덩이라는 말은 하지 말자. 실제 2차대전 당시 사용된 미군의 주력 총기들, 그중 M1 개런드의 경우 4~5kg 대, 톰슨 M1A1이 5kg 정도였다. 1950년대에 개발된 M14도 5.2kg의 무게를 가졌다. 사실 이 정도로 가벼워질 경우 당시 기술로는 .30-06 스프링필드 탄약을 연사하면서 나오는 반동을 제어하는 것이 어려웠다. 덕분에 위력이 살짝 떨어진 7.62 mm NATO를 사용하는 M14도 개발 과정 중 완전자동사격은 기능으로만 달아놓고 포기하다시피 했다.[9]
덕분에 M1918A2는 탄창을 끼운 전체 무게만 8.8 kg에 육박하는 쇳덩이가 돼버렸다. 여기까지만 해도 이미 대한민국의 성인남성이라면 대다수가 취급해 보았을 M16이나 K2 소총에 탄약을 가득 채우고 그것을 두 정 드는 것보다도 약간 더 무거운 정도다. 추가로 일반적인 BAR 사수는 9 kg 가까이 되는 자동소총에 전용 요대에 한 주머니에 탄창 2개씩 6주머니, 총 탄창 12개를 휴대하게 되는데, 그래봐야 240발에 불과하므로 추가로 같은 주머니 3개가 박혀있는 탄입대를 더 매게 된다. 결과적으로 BAR 사수는 기본으로 20 kg 정도의 군장을 지게 된다. 거기에 더해 부사수들까지 BAR 탄창을 지고 다녔으니 분대 전체의 짐덩어리였던 셈이다. 미 해병대의 한 자동소총 사수는 "난 B.A.R.에 자동소총 예비 탄창, 수류탄, 군장, 거기에 M1911에다 권총 예비 탄창까지 가지고 있었는데 무게가 40 kg 가까이 나갔다. 정말 무거웠다."하고 불평할 정도 빡센 체력단련을 하는 미 해병대원도 불평하는 판이니 6.25 전쟁 당시 영양 상태 등으로 상대적으로 체격이 작은 한국인은 상당히 불평이 많았다.[10][11] 당시 AR[12]로 참전한 목사의 증언에 의하면 이 총을 매고서 차렷자세로 서 있으니 넘어졌다고 한다.
|
M1918 브라우닝을 사격하는 미 해병대원 |
다만 총열을 바꿀 수 없다거나[14], 장탄수에 비해 사격 속도가 빨라서 탄창을 자주 갈아줘야 한다는 단점은 당시에도 부각되긴 했으나, BAR이 애초부터 경기관총을 대체할 물건이 아니었기에 생각만큼 큰 단점은 아니었다.
그래도 발군의 연사속도와 화력으로 6m 밖의 적군 2명을 연사를 퍼부어서 3초만에 모두 사살했다는 실전 사례도 있다.
|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의 미군 분대의 구성 화기 출처 |
2차대전 당시 BAR로 무장한 미군 분대는 나치 독일군 분대와 단순 1대 1로 비교할 수 없었다.[15][16] 개개인의 화력을 강화함으로써 기관총에 의존하는 독일군 분대보다 유연한 기동과 작전에 좀 더 중점을 두고 배치한 무기였다.[17] 그러나 미 육군의 구식 편제로 인해 유연한 기동과 작전이 어려웠고 이것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한 것이 미 해병대다. 미 해병대는 정글의 교전경험으로 육군과 다르게 13명의 소총분대를 각 4명으로 구성된 3개의 사격조와 1명의 분대장로 구성하고 각사격조당 1정씩 BAR을 배치했다. 그리고 전후에 미 육군이 미 해병대의 사격조 개념을 받아들이면서 분대를 9명으로 축소하고 사격조를 둘로 나눈 뒤 한 쪽은 화력을 투사하고 한 쪽은 우회기동을 하는 전술을 채택했다. 이 편제는 상황에 따라 기동조가 화력을 지원하고 화력조가 기동하는 유연한 대처능력이 중점이었다. 이는 현재에도 사격조와 다목적기관총(GPMG)보다 더 유연하게 사용가능한 분대지원화기(SAW)의 도입으로 이어진다.
따라서 이 총의 영향 덕분에 보병들이 죄다 자동소총을 들고 다니는 21세기에도 미군에서는 분대 내 M249 사수를 여전히 자동소총수(Automatic Rifleman)라고 부른다. 그리고 미군은 개런드와 BAR를 통합한 자동소총인 M14 소총을 제식 소총으로 채택해 전군에게 보급시켜 분대 자체의 화력을 증가시키길 기대했지만, 높은 반동과 BAR에서 보였던 짧은 지속화력, 긴 길이로 인한 휴대의 불편함, M14가 투입된 베트남 전쟁의 짧은 교전 거리 등으로 인해 채용된 지 고작 5년만에 M16 소총으로 교체되기 시작했다.
|
또한 혹한 지역에서의 문제가 부각되었는데, 혹한지역 전투를 겪어본 적이 없는 미군이라 혹한지역에서의 사용이 고려되지 않아 한국전쟁 중 UN군이 겨울에 북한에서 중국군을 상대할 때 장진호 전투같은 혹한기 전투에서 다른 미군 제식 무기들처럼 얼어붙어 자동사격을 하지 못하고 한 발씩 쏴야 했다는 이야기도 있다.
"그때 그곳에서 소대장님도 선임하사관, 향도 분대장님들 모두가 전사했거나 부상되었기에 그러니 남은 건 맨 이등병, 일등병이더군요. 그런데 가만히 보니 우리가 이 고지를 따야만 상관의 죽음에 보답할 것이고, 고지에는 적이 별로 없는 것 같아 내가 먼저 올라갈 테니 너희들도 따라오라 하니 모두 그러겠다 하길래 먼저 뛰어 올라갔습니다.
고지 꼭대기에 올라가 고지 너머를 보니 교통호 속에 방망이 수류탄을 들고 12-13명이 멍하니 나를 쳐다보고 있는 게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거기다 대고 에이알을 두 탄창 쏘아 모조리 죽였습니다. 뒤돌아보니 아무도 날 따라온 사람이 없길래 다시 뒤를 보고 빨리 오라 했는데 아무도 움직이지 않고, 그러는 동안 옆에 있는 고지에서 기관총알이 마구 날아오기에 좀 엎드렸다가 다시 일어나서 제자리에 돌아갔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거기에 있는 몇 사람이나마 나와 같이 가면 문제없이 고지를 딸 것 같아서 다시 똑같이 올라가자 하면서, 적이 나오면 내가 처치하겠다 하니 모두 또 알겠다고 하기에 또 고지에 뛰어 올라가니 후사면 교통호에 또 어디서 기어나오는지 7-8명이 있기에 한 탄창을 가지고 모조리 사살해 버렸습니다. 그러고는 앞과 똑같이 되어 버렸죠. 제자리에 돌아왔는데 조금 있으니 중대장의 철수라는 명령이 와서 모두 철수했습니다."
고지 꼭대기에 올라가 고지 너머를 보니 교통호 속에 방망이 수류탄을 들고 12-13명이 멍하니 나를 쳐다보고 있는 게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거기다 대고 에이알을 두 탄창 쏘아 모조리 죽였습니다. 뒤돌아보니 아무도 날 따라온 사람이 없길래 다시 뒤를 보고 빨리 오라 했는데 아무도 움직이지 않고, 그러는 동안 옆에 있는 고지에서 기관총알이 마구 날아오기에 좀 엎드렸다가 다시 일어나서 제자리에 돌아갔습니다.
아무리 생각해도 거기에 있는 몇 사람이나마 나와 같이 가면 문제없이 고지를 딸 것 같아서 다시 똑같이 올라가자 하면서, 적이 나오면 내가 처치하겠다 하니 모두 또 알겠다고 하기에 또 고지에 뛰어 올라가니 후사면 교통호에 또 어디서 기어나오는지 7-8명이 있기에 한 탄창을 가지고 모조리 사살해 버렸습니다. 그러고는 앞과 똑같이 되어 버렸죠. 제자리에 돌아왔는데 조금 있으니 중대장의 철수라는 명령이 와서 모두 철수했습니다."
1952년 12월 6.25 전쟁 당시 노리 고지 전투에서 1사단 소속 박관욱 일병이 이 총 한 자루를 들고 고지를 점령해 낸 적이 있다. 이 일로 '노리고지의 불사신'이라는 칭호를 받았는데, 그 광경을 지켜보던 한국군은 물론 미 제1 군단장(Paul W. Kendall 중장)은 이 광경을 보고 '내 군생활 30년 동안 저런 병사는 처음 본다. 저 병사는 초인이 분명하다.'라고 놀라기도 했고, 이 병사에게 미국 은성훈장을 수여받도록 조치했다. 재미있는 것은 여기서도 한국군 병사가 브라우닝 자동소총을 "에이알(AR, Automatic Rifle, 자동소총)"이라고 읽는 점이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전쟁기념관의 전사자 데이터에 따르면 박관욱 일병은 이후 임진강 전선에서 전사했다. 당시 계급은 이등중사 계급이었다.
전후에는 대략 196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M1919 브라우닝과 더불어 향토예비군의 중화기로 지급되기도 했다. 대한뉴스 제 1045호-전투 예비군에게 전투무기 장비 지급, 베트남에 파병되었던 국군의 경우 파병 초기에는 M1 개런드와 BAR 이 주병기였다가 전원 M16 소총으로 교체 지급될 때 M1919A6 기관총이나 M60 기관총이 아닌 M16 소총이 지급되어 소총수로 바뀌어 버렸는데 일부 BAR사수들은 가벼운 총 무게와 작은 5.56mm 탄의 위력이 부족하다고 생각되어 BAR을 계속 가지고 다니겠다고 고집을 피운 경우도 있다고 한다. 안정효 작가의 실화에 바탄을 둔 장편소설 하얀전쟁에 이런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우리나라가 M16A1 돌격소총을 라이센스 생산하게되면서 국군의 소총이 M16A1으로 바뀌게 되자 BAR 사수의 역할은 M249를 지급받았던 미군의 분대지원화기 사수와 달리 분대당 2명의 자화수(자동화기 사수)에게 인계되었으며 이들, 3번 , 7번 자동화기 사수들은 은 M16A1소총용 .M3 양각대와 추가의 탄약, 일부는 30발 탄창을 지급받았고, 반자동 사격이 주였던 다른 분대원들과 달리 소총을 양각대로 거치하고 완전자동사격을 하도록 하여 분대의 화력지원임무를 수행하게 하였다. 당시 분대원의 구성이 1번 분대장, 2번 소총수, 3번 자화수, 4번 유발수, 5번 소총수, 6번 소총수, 7번 자화수, 8번 유탄수, 9번 부분대장 + 10번 전시 동원예비군 식이었다. 당시 M60 기관총은 60mm 박격포와 함께 각 중대의 화기소대에 편성되어 있었고, 작전 시 사수 및 부사수, 탄약수로 이루어진 기관총반이 소총분대로 지원을 나가는 형식이었다. 나중에 5.56mm 탄을 쏘는 K3기관총이 도입되면서 화기소대 소속으로 중대를 지원하는 M60 기관총의 임무와 소총분대와 함께 기동하는 K3 경기관총의 분대지원화기임무가 분할되었으며, K3기관총의 소속이 소총분대가 되면서 7번, 8번 대원이 K3 기관총 사수, 부사수로 보직이 바뀌었다. 원래 구상은 미군처럼 분대당 분대지원화기 K3을 2정씩 배치하려고 했으나 예산에 의한 K3 공급량의 부족으로 인해 3번 자화수를 계속 유지하기로 했다고 한다.
또한 베트남 공화국군이 베트남 전쟁 당시 1968년 구정 공세 즈음까지도 지원화기로 사용하기도 했다. 구정 공세 이후에는 미국이 M60 기관총을 보급하면서 현역 사단들에서 밀려나지만 각 성장 휘하의 지방군과 의군에서는 1975년 사이공 함락 때까지 꾸준히 귀중한 자동화기로 썼다.
3. 파생형 및 개량형
3.1. M1918A1
|
3.2. M1918A2
|
|
|
hickok45의 리뷰 영상 | 1943년에 배포된 교육용 동영상 |
3.3. M1922
|
3.4. 콜트 모니터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3.5. FN Mle 1930
M1930 Mle 1930 모델 1930 |
|||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자동소총 경기관총 |
||
원산지 |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30년~ 1967년 | ||
생산 | FN 에르스탈 | ||
생산년도 | 1930년~ 1967년 | ||
사용국 |
[[벨기에| ]][[틀:국기| ]][[틀:국기| ]] [[틀:깃발| ]][[틀:깃발| ]][[중화민국 국민정부| ]] [[칠레| ]][[틀:국기| ]][[틀:국기| ]] |
||
사용된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 ||
기종 | |||
원형 | M1918 브라우닝 | ||
파생형 |
모델 D 모델 DA1 |
||
세부사항 | |||
탄약 |
7.65×53mm 벨기에 마우저 7.62×51mm NATO (모델 D) |
||
급탄 | 2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
가스 작동식 틸팅 볼트 오픈 볼트 |
||
총열길이 | 500mm | ||
전장 | 1,143mm | ||
중량 | 9.2kg | ||
발사속도 |
400RPM(저속모드) 700RPM(고속모드) |
||
탄속 | 732m/s | ||
유효사거리 | 792m | }}}}}}}}}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BAR의 유럽 생산을 이 FN사가 담당하고 있었기 때문에 최초에 만든 1925년 모델이 유럽형 BAR의 원조라고 보면 된다. FN사는 기존 BAR의 구조에 Vz.26에 적용된 체코슬로바키아식 총열교환구조를 참고하여, 이걸 개량하는 식으로 FN MAG로 이어지는 벨기에식 총열교환구조를 정립한다.[18] 벨기에군은 이 신형 기관총을 1930년 FN Mle 1930라는 제식명으로 채용한다. FN Mle 1930은 기존의 .30-06 스프링필드탄에서 벨기에에서 사용하던 7.65x53mm 벨지엄 마우저탄으로 변경한다. 또한 원활한 사격을 위하여 미군에서는 1940년에서야 M1918A2에 적용된 사속 변경기능을 먼저 적용했고[19] 권총손잡이와 신속 교환식 총열을 적용하여 본격적인 경기관총으로 탈바꿈시킨다. 하지만 1940년 독일군이 벨기에를 점령하게 되면서 전부 독일군의 준제식화기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사용탄약이 달라 독일군 내에서도 그리 많이 사용되지는 않았고 대부분 2선으로 돌려진다.
그 외에도 중일전쟁이 한창일 때 중화민국군도 다량을 구입했고 독일에서 구입한 총기와 호환이 되도록 사용탄약을 7.92×57mm 마우저탄으로 바꿔서 사용했다.
Forgotten Weapons의 모델 D 리뷰 영상(상) 룩셈부르크군 사양 모델 D 사격 영상(중) Mle DA1 리뷰 영상(하) |
3.6. Kg m/21 계열
Kg m/21 Kulsprutegevär m/21 21년식 기관소총 |
|||
|
|||
초기형 m/21 | |||
|
|||
개량형 m/37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자동소총 경기관총 |
||
원산지 |
[[스웨덴| ]][[틀:국기| ]][[틀:국기|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23년~ 1980년대 | ||
생산 | 칼 구스타프 조병창 | ||
생산년도 | 1923년~ 1949년 | ||
사용국 |
[[스웨덴| ]][[틀:국기| ]][[틀:국기| ]] |
||
사용된 전쟁 | 제2차 세계 대전 | ||
기종 | |||
원형 | M1918 브라우닝 | ||
파생형 | m/37 | ||
세부사항 | |||
탄약 | 6.5×55mm m/94 스웨디시 마우저 | ||
급탄 | 2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
가스 작동식 틸팅 볼트 오픈 볼트 |
||
총열길이 | 610mm | ||
전장 | 1,168mm | ||
중량 | 9.5kg | ||
발사속도 | 500RPM | ||
탄속 | 747m/s | ||
최대사거리 | 1,371m | }}}}}}}}}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후에 FN사는 1930년과 1935년 기존의 단점을 보완할 몇 차례의 개량을 하는데, BAR의 고질적인 단점이었던 총열 교체의 불가능한 것을 중심으로 개량되었으며, 냉각핀을 설치하여 과열을 막으려했다. 또한 Mle 1930의 구조를 참고하여 기존 총열에 운반손잡이를 달고 회전식 총열 분리구조를 적용하였다. 스웨덴군은 1937년에 별로 효과가 없었던 냉각핀을 삭제하고 총열 교환 기능과 신형 소염기만을 장착한 Kg m/37모델을 정식으로 도입하게 된다. 남아있던 m/21 모델들도 유사한 개량을 받았고, 이 모델들은 Kg m/21-37이라 불렸다. 이 총들은 FN MAG이 도입되기 전까지 스웨덴군에서 현역으로 사용되었다.
스웨덴의 칼 구스타프 조병창은 시험적으로 벨트 급탄식의 BAR도 제작했는데 기존의 급탄부를 개조하여 탄창 삽입구 쪽으로 벨트급탄장치를 설치한 물건이었다. 하지만 테스트용으로만 제작되었으며 FN MAG의 도입으로 나가리되었다.
[clearfix]
3.7. Wz.28
Rkm wz. 1928 Ręczny karabin maszynowy wz. 28 모델 28 경기관총 |
|||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종류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자동소총 경기관총 |
||
원산지 | [[틀:깃발| | ]][[틀:깃발| ]][[폴란드 제2공화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이력 | ||
<colbgcolor=#c7c7c7,#353535><colcolor=#000,#fff> 역사 | <colbgcolor=#ffffff,#121212><colcolor=#000,#fff> 1930년~ 1945년 | ||
개발년도 | 1928년 | ||
생산 |
VIS FN 에르스탈 |
||
생산년도 | 1930년~ 1939년 | ||
생산수 | 24,000정 | ||
사용국 |
[[틀:깃발| [[스페인 제2공화국| ]][[틀:국기| ]][[틀:국기| ]] [[나치 독일| ]][[틀:국기| ]][[틀:국기| ]] [[소련| ]][[틀:국기| ]][[틀:국기| ]] [[나치 독일| ]][[틀:국기| ]][[틀:국기| ]] [[틀:깃발| ]][[틀:깃발| ]][[그리스 왕국| ]] [[틀:깃발| ]][[틀:깃발| ]][[중화민국 국민정부| ]] |
]][[틀:깃발| ]][[폴란드 제2공화국| ]]||
사용된 전쟁 |
스페인 내전 제2차 세계 대전 |
||
기종 | |||
원형 | M1918 브라우닝 | ||
파생형 | wz.37 | ||
세부사항 | |||
탄약 | 7.92×57mm 마우저 | ||
급탄 | 20발들이 박스탄창 | ||
작동방식 |
가스 작동식 틸팅 볼트 오픈 볼트 |
||
총열길이 | 610mm | ||
전장 | 1,110mm | ||
중량 | 9kg | ||
발사속도 | 600RPM | ||
탄속 | 853m/s | }}}}}}}}}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및 사격 영상 |
여기에 얽힌 재밌는 일화가 하나 있는데, 당시 주문이 폭주하던 FN 사는 폴란드에게 자신들이 생산한 BAR 대신 미국산 오리지널 BAR을 주었다. 답답했던 폴란드는 그냥 우리가 만들겠다며 라이선스 생산을 위한 설계도를 요구했는데, FN 사가 보내준 설계도는 미국 단위계인 인치로 표기된 설계도였다. 이걸 다시 미터법으로 변환하고 이런저런 개량을 하는등 FN 사의 병크로 인해 폴란드는 약 6개월 가량을 날렸다. 결국 양측은 서로 고소로 대응하며 법정싸움까지 벌였다.
설계 과정에서 탄약을 기존 독일 제국에서 사용하던 7.92x57mm 탄약을 사용하기로 결정하였는데, 이는 대전후 남아있던 독일 생산분을 흡수할 목적과, 주변 적국이 사용하던 탄을 사용함으로써 노획 가능성을 열어 보급에 차질이 없도록 함에 있었다. 따라서 폴란드군은 기존 BAR에 양각대를 부착하고, 높은 명중률을 위하여 총열길이를 늘리고 가늠자와 개머리판을 개량하였으며 권총 손잡이를 부착하여 사용성을 향상시키는데 중점을 두고 개량하여 사용했다. 기존 BAR보다 오히려 무게는 줄었으며, 2차대전 초까지 10,000정 이상이 주문, 생산되어 폴란드군에 납품되었고 그리스와 중화민국을 상대로 수출에도 성공하였다.[20] 그리고 1939년 독일의 폴란드 침공때 독일군을 상대로 불을 뿜었다. 하지만 중과부적으로 폴란드군은 패전하였고 나라가 다시 공중분해되면서 이 총은 독일군이 노획하여 유용하게 사용하였다. 독일군이 사용한 BAR이라 하면 대체로 이 총을 말한다. 비록 국가는 없어졌지만, 많은 폴란드인들은 저항활동을 지속했고, 이 총 또한 그들의 손에 의해서 사용되었다.
[clearfix]
3.8. Cook Automatic Rifle
|
그러나 아쉽게도 미군에서 채택되지 않았다.
3.9. HCAR
|
|
Forgotten Weapons의 리뷰 영상 | 래리 빅커스의 소개 및 사격 영상 |
|
이 회사는 BAR을 클로즈드 볼트 방식으로 개량하기도 했다. |
4. 민간에서의 사용
1차 세계대전이 마무리되자 끝내주는 화력을 가진 BAR을 마피아들이 내버려 둘 리가 없었다. 상당수의 마피아들은 BAR을 입수하여 자기 입맛에 맞게 개량해 사용하였는데, 대표적인 물건이 아래의 것이다.
|
보니 앤 클라이드로 유명한 '클라이드 체스트넛 배로'가 썼던 버전. 총신을 짧게 잘라내고 사용했다고 한다. |
5. 미디어
자세한 내용은 M1918 브라우닝/대중매체 문서 참고하십시오.6. 에어소프트건
- A&K
-
AGM
독자 구조이며, 무게가 꽤 나간다. 그리고 M14 탄창과 호환성은 없는걸로 나온다.
7. 기타
- 이와 비슷한 물건으로 스위스 SIG 사의 SIG KE7이 있다. 이쪽도 나름 2차대전 내에서 활약하였으나, 참여한 전장이 하필 2차대전 내에서 인지도가 처참한 중일전쟁이다.[21]
- 개발자 존 브라우닝의 아들인 발 브라우닝(Val Browning)은 1차대전 때, 이 총을 처음 지급받은 사단에 배속되어 1차대전에 참전했다. 최종 계급은 중위. BAR를 들고 있는 발 브라우닝의 사진
- 사실 FN MAG는 길게 보면 브라우닝 BAR의 후계라 할 수 있다. BAR과 그 개량형을 여럿 생산해본 FN사에서 탄띠급탄 기관총의 요구가 생기자, 내부 구조는 BAR을 위아래를 뒤집고, 총열 교환 방식은 BAR의 개량형인 Mle 1930을 채용해서, 푸시-스루식 탄띠 급탄을 붙여서 만든 것이기 때문이다.
- 미얀마 소수민족 무장단체 연합인 형제동맹 측에서 아직 현역으로 쓰이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애초에 각종 구시대 무기가 원래 굴러다니던 곳이라 이상한 것은 아니긴 하다. #
8. 둘러보기
브루투스 작전 당시의 미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브루투스 작전 2506여단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903A1, M1903A4 | |||
M1 Garand, M1941, M1 Carbine, M1A1 Carbine | |||||
M1918A2, M2 Carbine | |||||
기관단총 | M1A1, M3A1 | ||||
권총 |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41, M1919A4, M1919A6, M2HB | |||
대전차화기 | M9A1, M18, M20 | ||||
화염방사기 | M2 | ||||
박격포 | M2, M29, M30 | ||||
수류탄 | Mk.2 | ||||
냉병기 | 총검 | OSS Stiletto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미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스페인 내전기의 공화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스페인 내전 스페인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마우저 M1893, 베테를리 M1870/87, 그라 M1874, 크로파첵 M1886, 르벨 M1886, 베르티에 M1907/15, 만리허 M1886, 만리허 M1888, Gew88, M1891/30, Vz.24, Wz.29, 로스 Mk.III, 리-엔필드, M1917 엔필드, 30년식 소총, 35년식 소총, 38식 소총 | ||
레버액션 소총 | M92 "엘 티그레", 윈체스터 M1895 | ||||
기관단총 | MP28, EMP35, 라보라 M1938, KP/-31, PPD-38 | ||||
권총 | 베르크만 M1903, 베르크만 M1908, 아스트라 400, 아스트라 900, C96, M1895, 캄포 히로 | ||||
기관총 | M1895, PM M1910/30, 호치키스 M1914, 호치키스 M1922, 쇼샤, 루이스 경기관총, KE7, Wz.30, M1918 브라우닝, 맥심-토카레프, DP-28, DT-2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페인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LM Mk.II, SMLE No. III, No. 4 Mk.I, Ross Mk.III, M1917 Enfield | ||
반자동소총 | M1 Carbine | ||||
레버액션 소총 | Winchester M1894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II, Mk.III, Mk.V, M50 Reising | ||||
산탄총 | M1897, M37 | ||||
권총 | Webley Mk.VI, Browning Hi-Power, M1911A1, S&W Victory Model, S&W Triple Lock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Lewis Mk.III Mk.IV, Bren Mk.III Mk.IV, Browning M1918, M1941 Johnson | ||
중기관총 | Vickers Mk.I, Browning M1917, Browning M1919, Mk.II | ||||
대전차화기 | Boys Mk.I, Mk.II, PIAT, M9 | ||||
화염방사기 | Flamethrower, Portable, No.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 Inch Mortar, Ordnance SBML 3 Inch Mortar | ||||
유탄 | Mills No.36M,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프랑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le 1874, Mle 1886, Mle 1916, Mle M1907/15 M34, MAS-36 | ||
반자동소총 | Mle 1917, RSC Mle 1918, MAS-40, MAS-44 | ||||
기관단총 | MAS-38, EMP35, M1928 | ||||
권총 | MAS 1873, Mle 1892, 92 Espagnol, M1907, 루비 권총, Mle 1914, MAB Mle D, Mle 1935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09, CSRG 1915, Mle 1918 B.A.R., Mle 1922, Mle 1926, FM 24/29 | ||
중기관총 | Mle 1907, Mle 1914, Mle 1930, Mle 1922, Mle 1933, MAC 31, MAC 34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 | ||||
박격포 | Mle 27/31, Mle 1935 | ||||
유탄 | F1, OF-37, DF-3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벨기에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colbgcolor=#1b2631>
제2차 세계 대전 벨기에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1b2631> 볼트액션 소총 | 마우저 M1889/36, M24, M35, 리-엔필드, M91/30 | |||
기관단총 | MP28 | ||||
권총 | M1895, M1900, M1903, M1910, M1922, 루비 권총,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1b2631> 경기관총 | 루이스 경기관총, MG08/15, M1918 브라우닝, M1915/27, FN M1930 | ||
중기관총 | M1895/14, M1914, MG08, 빅커스 기관총, M1917 브라우닝 | ||||
대전차화기 | PIAT | ||||
박격포 | 오드넌스 2인치 박격포,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벨기에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스웨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Gevär m/96, Gevär m/38, Gevär m/41, Karbin m/94, Gevär m/39, m/40 | ||
반자동소총 | Ag m/42 | ||||
기관단총 | MP18, Kpist m/37-39, Kpist m/39, Kpist m/40 | ||||
권총 | m/87, m/07, m/40 | ||||
지원화기 | 기관총 | Kg m/1914, Kg m/21, Kg m/37, Kg m/40, Ksp m/14, Ksp m/36, Ksp m/42 | |||
대전차화기 | Pvg m/21, 14mm pst kiv/37, Pvg m/42, Pskott m/45 | ||||
화염방사기 | Esp m/41 | ||||
박격포 | GrK m/4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le 1886/93, Mle 1907/15, Kb wz.98, Kb wz.98a, Kbk wz.29, Kbk wz.91, Kbk wz.98, 리-엔필드W | |||
반자동소총 | Kbsp wz.38M, SVT-40E | |||||
기관단총 | Pm wz.39, MP18W, 스텐 기관단총W, 톰슨 기관단총W, PPSh-41E, PPS-43E | |||||
권총 | Wz.30, Wz.32, Wz.35 Vis, TT-33E, 루비,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Rkm wz.28, 루이스 경기관총W, 브렌 경기관총W, DP-28E | ||||
중기관총 | Ckm wz.25, Ckm wz.30, Ckm wz.32, wz.1910E | |||||
대전차화기 | Kb ppanc wz.35, PIATW | |||||
박격포 | Granatnik wz.36,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유탄 | wz.33 | |||||
※윗첨자W:
자유 폴란드군/폴란드 서부군 ※ 윗첨자E: 폴란드 인민군/폴란드 동부군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폴란드 국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제2차 세계 대전 폴란드 국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le 1886/93, Mle 1907/15, Kb wz.98, Kb wz.98a, Kbk wz.29, Vz.24, Kar98k, Kbk wz.91, Kbk wz.98 | ||
자동소총 | StG44 | ||||
기관단총 | MP28, 스텐 기관단총, 브위스카비차, 베호비에츠, 톰슨 기관단총, M42, 호로즈마노프, PPSh-41, PPS-43, MP40 | ||||
권총 | Wz.30, Wz.32, Wz.35 Vis, M1911A1, TT-33, C96, P08, 마우저 HSc, P38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Rkm wz.28, 브렌 경기관총, DP-28 | |||
중기관총 | MG08/15, Ckm wz.30, MG34, MG42 | ||||
대전차화기 | PIAT, 판처파우스트 | ||||
화염방사기 | K형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50mm RM-38/40 | ||||
유탄 | wz.33, 시도로프카, M24, N39, M43, M3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폴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오스트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전간기 ~
제2차 세계 대전 오스트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895 | |||
기관단총 | MP34, MP38 | ||||
권총 | C96, Roth-Steyr M1907, M1912, Dreyse M1907, P08, M10, P38 | ||||
지원화기 | 기관총 | MG M.07/12, MG30, M1918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오스트리아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핀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겨울전쟁 및 제2차 세계 대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ff,#393b42> M/91, M/27, M/39, M/94, M/96, Kar98k, M/38 | ||
반자동소총 | M/38, M/40 | ||||
자동소총 | 표도로프 자동소총, AVT-40, AVS-36 | ||||
기관단총 | KP/-31, M/20, MKMO, MP28, M/41, M/42, M/43, M/44 | ||||
권총 | M/03, M/1910, M/19, M/35, M/15, M/34, L-35, M/23, 아스트라 400, M/39, M/96, P08, M/1895, TT-33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26, M/21, M/15, M/20, DP-28 | |||
중기관총 | M/09-21, M/32-33, MG08, M/14, 빅커스 Mk.I, ShKAS, DS-39 | ||||
대전차화기 | kiv M/37, L-39, kiv M/38, kiv M/18-S, 판처파우스트, 라케텐판처뷕세 | ||||
화염방사기 | M/40, M/41-R | ||||
유탄 | M24, 몰로토프 칵테일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핀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네덜란드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e86722>
2차 세계대전 네덜란드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e86722> 소총 | <colbgcolor=#e86722> 볼트액션 소총 | M.95, 리-엔필드, Vz.24 | |||
반자동소총 | M1941 존슨 소총K,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K, MP28K, 스텐 기관단총K, 오웬 기관단총K | |||||
권총 | M1903, M1910/22, 하이파워, C96K, M.73, M.91K, P08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20, 브렌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K | |||
중기관총 | M.8, M.18, M.25 | |||||
대전차화기 | PIAT, M1, S-18/1100 | |||||
박격포 | 3인치 스토크스 박격포 | |||||
유탄 | Mk.2 수류탄K | |||||
※ 윗첨자K : 네덜란드령 동인도군에서 사용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네덜란드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노르웨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2차 세계대전 노르웨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1894, m/96, Kar98k, vz. 24, SMLE | ||
반자동소총 | Ag m/42 | |||
권총 | M1911, M1914, M/1893, P07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14, M/22, Louis Mk.I, M1918 | ||
중기관총 | M1914, M1917, M/2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노르웨이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룩셈부르크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룩셈부르크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a1de> 개인화기 | <colbgcolor=#00a1de> 볼트액션 소총 | M/96, Gew98, Kar98k, 리-엔필드, P14, 로스 소총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M1A1 톰슨 | ||||
권총 | 웨블리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0a1de> 경기관총 | 브렌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G08, 빅커스 기관총, M1919 브라우닝 | ||||
대전차화기 | 보이스 대전차 소총, M1 바주카, PIAT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룩셈부르크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브라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009c3b>
2차 세계대전 브라질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bgcolor=#009c3b> 볼트액션 소총 | M1908, M1903, Vz.24, Vz.33, FN M24 | |||
반자동소총 | M1 카빈 | ||||
기관단총 | MP18, 톰슨 기관단총, M50, M3 | ||||
산탄총 | M1897, Auto-5, M37 | ||||
권총 | P08, M1911, M1917, 브라우닝 하이파워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009c3b> 경기관총 | 마드센 경기관총, M1909, M1918 | ||
중기관총 | MG08, M1914, M1917, M1919, M2 | ||||
대전차화기 | M1, M18 |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
유탄 |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브라질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 대전기의 태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제2차 세계 대전 태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45식 소총, 66식 소총, 99식 소총,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카빈 | ||||
기관단총 | MP18, 100식 기관단총 | ||||
권총 | 남부 권총, M1911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66식 경기관총, M1918 브라우닝,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92식 중기관총, M1917 브라우닝, 빅커스 기관총 | ||||
대전차화기 | 97식 자동포 | ||||
박격포 | 10식 척탄통 | ||||
유탄 | 91식 파쇄 수류탄, 10식 파쇄 수류탄, 97식 파쇄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태국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제2차 세계대전기의 필리핀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bgcolor=#FFFFFF>
2차 세계대전 필리핀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볼트액션 소총 | M1899, M1893, 30년식 소총, 38식 소총, 99식 소총, M1903, P14, M1917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42, M3 | ||||
산탄총 | M1897, M1912, Auto-5 | ||||
권총 | 26년식 권총, 남부 권총, M1911, M1917, 웨블리 리볼버 | ||||
지원화기 | 기관총 | <colbgcolor=#ff0000> 경기관총 | 11년식 경기관총, 96/99식 경기관총, M1918 | ||
중기관총 | M1895, 3년식 기관총, 92식 중기관총, M1917, M1919, M2 | ||||
대전차화기 | 바주카 | ||||
화염방사기 | M1, M1A1, M2 화염방사기 | ||||
유탄 | 91식 수류탄, 10식 수류탄, 97식 수류탄, Mk.2 | ||||
박격포 | M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필리핀군의 운용장비 | 대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캐나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캐나다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12169>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SMLE No.4 Mk.I, C3, C3A1 | ||
반자동소총 | C1, C1A1 | ||||
자동소총 | C7, C7A1 | ||||
기관단총 | M1928A1, M1A1, Sten Mk II, C1 SMG | ||||
권총 | Webley Mk IV, Colt "New Service", FN M1910, M1911A1, S&W Victory Model, Inglis Hi-Power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BAR, Bren, C2A1 SAW, C9 LMG | ||
다목적기관총 | C5 GPMG, C6 GPMG | ||||
중기관총 | Vickers Mk I, M2 HMG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M72 | ||||
미사일발사기 | Blowpipe, Javelin | ||||
무반동총 | M40A2, M2 | ||||
박격포 | Ordnance SBML 2-inch mortar, C3, Ordnance ML 3-inch mortar, M19 | ||||
폭발물 | 수류탄 | No.36M, V40, M61, C13 | |||
화학탄 | M7A3 | ||||
폭약 | Bangalore torpedo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캐나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오스트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오스트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Kar98k, SSG 69, M1903, Gewehr Lee-enfield, G44 | |||
반자동소총 | Gewehr M1, Karabiner M1 | |||||
자동소총 | StG58, StG77 | |||||
기관단총 | MP40, MPi-69, MPi-81, AUG Para, M3A1, PPSh-41 | |||||
산탄총 | M870 | |||||
권총 | P38, P80,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 |||
다목적 기관총 | MG42, MG74, MG-A4 | |||||
중기관총 | üsMG M2 | |||||
박격포 | M2 | |||||
대전차화기 | PAR 66/79, RBS 56, M40 | |||||
박격포 | M6C-210, mGrW82, sGrW86 | |||||
냉병기 | 총검 | KCB-7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오스트리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이탈리아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이탈리아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91/38, SMLE No. 4 Mk I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BM59, AR70/223, AR-10, M16A1 | |||||
기관단총 |
MAB 38/44, MAB 38/49,
LF-57,
M12,
Socimi 821,
|
|||||
산탄총 | RS-202, SPAS-12 | |||||
권총 | M1934, M1935, M1951, 92S, 92SB, 92FS, 93R, P1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브렌 경기관총,
|
|||
중기관총 | M37, M38, M1919A4, M1919A6, MG42/59, M2HB | |||||
유탄발사기 | M7, GLF-40, M203 | |||||
대전차화기 | M20A1, RL-83, M40, BGM-71 TOW, 브레다 폴고레 | |||||
맨패즈 | FIM-92A | |||||
화염방사기 | M41, T148 | |||||
박격포 | M62 | |||||
지뢰 | VS-DAFM 7 | |||||
유탄 | M35, OD82, Mk.2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이탈리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튀르키예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튀르키예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E30A17>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Gew88/05, 마우저 M1938, Kar98k,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2 카빈, G1, G3A3, G3A4, HK33, M16A1, M16A2, CAR-15 | ||||
기관단총 | 스텐 기관단총, 톰슨 M1928A1, M1A1, M3A1, MP5 | ||||
산탄총 | M1912 | ||||
권총 |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브렌 경기관총, FN 미니미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G3, M60 | ||||
중기관총 | MG08, M1917A1, M2HB | ||||
유탄발사기 | M79, HK69, HK79, M203, Mk.19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 ||||
박격포 | M2, M19, M29, M30 | ||||
폭발물 | 수류탄 | Mk.2, Mk.3, M26, M67 | |||
화학탄 | M14, M18 | ||||
지뢰 | M14, M16, M18A1, M19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튀르키예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그리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냉전기 그리스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004C98>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만리허-쇠나우어 M1903,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FN FAL, G3A3, M16A1 | ||||
기관단총 | 스텐 Mk.II, M1928A1, M1A1, M3A1, MP5 | ||||
권총 | M1911A1, P7M8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브렌 Mk.III, M1918A2, FN FALO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G3, HK11, FN MAG, M60 | ||||
중기관총 | 빅커스 기관총, M2HB | ||||
유탄발사기 | M79, HK69, M203 | ||||
대전차화기 | M20, M72, M40 | ||||
박격포 | M1, E44 | ||||
유탄 | Mk.2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그리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스웨덴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냉전기 스웨덴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colbgcolor=#004b87> 볼트액션 소총 | Gevär m/96, Karbin m/94, Gevär m/38, Gevär m/41, Gevär m/41B, Karbin m/40 | ||
반자동소총 | AG m/42, AG m/42B | ||||
자동소총 |
AK4, AK4B,
AK5, AK5B, AK5C,
|
||||
기관단총 | MP18, Kpist m/37, Kpist m/39, Kpist m/40, Kpist m/45, m/45B, m/45C | ||||
권총 | m/39, m/40, Pist 88 | ||||
지원화기 | <colbgcolor=#ffcd00> 기관총 | 경기관총 | Kg m/37, Kg m/40, Ksp 90 | ||
중기관총 | Ksp m/39, Ksp m/41, Ksp 58, Ksp 58B, Tksp 12,7 mm | ||||
유탄발사기 | M203, Grsp 40 mm | ||||
대전차화기 | Raketgevär 46, Grg m/48, Pskott m/68, Pskott m/86, Pvpj 1110, RBS 56 | ||||
박격포 | m/84 | ||||
맨패즈 | RBS 69, RBS 70 | ||||
화염방사기 | Esp m/41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스웨덴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냉전기의 파나마군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letter-spacing: -1px"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파나마 방위군(1952~1989) Fuerzas de Defensa de Panamá |
||||
개인화기 | 권총 | M10-2, 콜트 오피셜 폴리스, M1911A1, 하이파워, TEC-9 | |||
기관단총 | M1928A1, M3A1, M50, UZI, MAC-10 | ||||
산탄총 | M870 | ||||
소총 | 자동소총 | M2 카빈, AK-47, AKM, M16A1, T65, FAL, MPi-KMS-72 | |||
반자동소총 | 브레다 PG, M1 개런드, M1 카빈, M21 SWS, SVD | ||||
볼트액션 소총 | M1893, M1903, M1917 엔필드, M24 | ||||
지원화기 | <colbgcolor=#072357> 기관총 | <colbgcolor=#072357> 경기관총 | M1918A2, MG42, MAG, M60 | ||
중기관총 | M1917A1, M1919A4, M2 브라우닝, ZB-53 | ||||
유탄 발사기 | M79, M203, HK69 | ||||
대전차 화기 | 무반동포 | 52식 무반동포, M67 | |||
대전차 로켓 | RPG-2, RPG-7, RPG-18, M20A1B1, LRAC F1 | ||||
박격포 | M2, M29, M30, MO-120-RT | ||||
유탄 | Mk.2, RGD-5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파나마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냉전기의 자위대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냉전기 자위대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호와 골든베어, 호와 M1500 | |||
반자동소총 | 7.62mm 소총 M1, 7.62mm M1 기병총 | |||||
자동소총 | 64식 소총, 89식 소총 | |||||
기관단총 |
|
|||||
권총 |
남부 권총,
|
|||||
조명총 | 53식 신호권총 | |||||
지원화기 | 기관총 |
|
||||
대전차화기 | 64식 대전차유도탄, 79식 대전차유도탄, 87식 대전차유도탄, 로켓 발사통 M9, 89mm 로켓 발사통 M20, M20 무반동포, M4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M72 LAW, 84mm 무반동포 | |||||
화염방사기 | 휴대용 방사기 | |||||
맨패즈 | FIM-92 스팅어 | |||||
박격포 | M2 60mm 박격포, 64식 81mm 박격포, M2 107mm 박격포 | |||||
유탄 | Mk2, Mk3A2, AN-M14/TH3 소이 수류탄, M31 총류탄 | |||||
냉병기 | 총검 | M1 총검, 64식 총검, 89식 다용도 총검 | ||||
※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자위대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6.25 전쟁기의 대한민국 군경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한국전쟁 시기 대한민국 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38식 소총, 44식 기병총, 99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1918A2, M2 카빈 | |||||
기관단총 | M3 기관단총, 톰슨 기관단총 | |||||
권총 | M1911A1, M1917, M10 | |||||
지원화기 | 기관총 | 92식 중기관총, M1917A1, M1919A4/A6, M2 중기관총 | ||||
대전차화기 | M9, M20 로켓발사기, 57mm 무반동총, 75mm 무반동총 | |||||
화염방사기 | M2 화염방사기 | |||||
박격포 | M1 81mm 박격포, M2 60mm 박격포 | |||||
유탄 | Mk.2 수류탄, MK3A2 수류탄, M7 총류탄발사기 | |||||
냉병기 | 군도 | 구군도, 신군도, 경찰도, 30년식 총검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한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기의 프랑스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제1차 인도차이나 전쟁 프랑스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f2023> Mle 1886, Mle 1934, MAS-36, 리-엔필드, 스프링필드 M1903, M1917 엔필드, Kar98k | ||
반자동소총 | MAS-49, 게베어 43,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 ||||
자동소총 | StG44, M2 카빈 | ||||
기관단총 | MAS-38, MAT-49, 스텐 기관단총, MP40, 톰슨 M1A1, M/50 | ||||
권총 | Mle 1892, Mle D, Mle 1935, Mle 1950, 브라우닝 하이파워, HSc,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le 1922, Mle 1926, FM 24/29, M1918 브라우닝 | ||
중기관총 | Mle 1914, MAC 1934, AAT Mle 52, M1919A4, M1919A6, M2 | ||||
무반동포 | M18 | ||||
로켓발사기 | PIAT, M9, M20 | ||||
화염방사기 | M2, LFP 54 | ||||
박격포 | 브랑 M27/31, 브랑 M1935, M1, M2 | ||||
유탄 | F1, OF-37, DF-3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프랑스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베트남전기의 베트남 공화국군(월남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colcolor=#373a3c>
베트남 전쟁 베트남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colcolor=#373a3c> 소총 | <colcolor=#373a3c>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393b42> MAS-36, 38식 소총, 스프링필드 M1903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M1A1 카빈, M14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 XM16E1, M16A1, CAR-15, XM177 | |||||
기관단총 | M45, UZI, S&W M76, M3A1, M-50, MAS-38, MAT-49, MP40, M1928A1, M1A1 | |||||
권총 | M1911, 콜트 디텍티브 스페셜, M1917, S&W M10 | |||||
산탄총 | 이사카 M37, 레밍턴 M31, 윈체스터 M21, 스티븐스 M77E | |||||
지원화기 | 기관총 | M60, M1918, FM 24/29, M1917, M1919, M37, M73, M2 | ||||
유탄발사기 | M7, M8, M79, M203 | |||||
대전차화기 | M9, M20, M18 무반동포, M20 무반동포, M67 무반동포, XM26, M72 LAW | |||||
화염방사기 | M9A1-7, XM202 | |||||
박격포 | M2, 브랑 M27/31, M1, M29 | |||||
폭발물 | 수류탄 | OF-37, DF-37, M26, Mk.2 | ||||
지뢰 | M14, M15, M16, M18/M18A1 클레이모어 | |||||
냉병기 | 총검 | M1905, M1, M6, M7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베트남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히론 전투 당시의 쿠바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히론 전투 쿠바군의 보병장비 |
||||
<colbgcolor=#CE1126> 개인화기 | <colbgcolor=#CE1126> 소총 | <colbgcolor=#CE1126>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1896, M1903, 모신나강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Vz.57 | ||||
자동소총 | FAL, AK-47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PPSh-41, PPS-43, Vz.23, Vz.25 | ||||
권총 | 아스트라 600,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M1918A2, DP-28, RP-46, 브렌 경기관총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1919A6, Vz.26, MAG-58 | ||||
중기관총 | M1917A1, ZB-53, DShK | ||||
대전차화기 | M1 | ||||
유탄 | F1 수류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쿠바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캄보디아 내전기의 크메르 공화국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캄보디아 내전 크메르 공화국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볼트액션 소총 | <colbgcolor=#fefefe,#191919> MAS-36, M1903, 리-엔필드 |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L1A1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A1, XM177, G3 | ||||
기관단총 | MAT-49, M1A1, M3A1 | ||||
산탄총 | M37 | ||||
권총 | M1911A1, M10, M1917, Mk.22, L9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경기관총 | FM 24/29, M1918A2, 브렌 경기관총 | ||
다목적기관총 | M1919A4, M1919A6, M60 | ||||
중기관총 | M1917A1, M2HB | ||||
유탄발사기 | M79, M203 | ||||
대전차로켓 | M72, M202 | ||||
무반동총 | M20, M40, M67 | ||||
박격포 | 브랑 M27/31, M19, M29, M2, M30 | ||||
유탄 | 수류탄 | Mk.2, M61, M67 | |||
연막탄 | M18, M34 | ||||
지뢰 | M18A1, M16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 캄보디아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5.18 민주화운동 당시의 시민군 보병장비 |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px -11px" |
5.18 민주화운동 시민군의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2 카빈, M16A1 | ||||
산탄총 | 윈체스터 1200 | ||||
권총 | M1911A1 | ||||
지원화기 | 기관총 | M1918A2 BAR, MG30 기관총, M60 기관총, MG50 중기관총 | |||
유탄발사기 | M203 유탄발사기 | ||||
폭발물 | 수류탄 | 화염병, Mk.2 수류탄, Mk.3 수류탄, K75 수류탄 | |||
화학탄 | M7최루탄, M18 연막탄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한국군의 운용장비 | 냉전기 보병장비 |
}}} }}}}}} |
현대 자위대 보병장비 둘러보기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현대의 자위대 보병장비 | |||||
개인화기 | 소총 | 돌격소총 | <colbgcolor=white,#191919> 64식 소총, 89식 소총, 20식 소총, M4A1, HK416 | |||
저격소총 | 64식 소총, 대인저격총, M24A2, TRG-42 | |||||
기관단총 | 미네베아 PM-9, MP5F/A5, 4.6mm 기관단총(B) MP7 | |||||
산탄총 | H&K FP6, 레밍턴 870 윌슨 컴뱃, 베넬리 M3T | |||||
권총 | 미네베아 9mm 권총, 9mm 권총 SFP9, USP, P226, 53식 신호권총 | |||||
수류탄 | M67, Mk3A2, AN-M14/TH3 소이 수류탄, MK-1 조명수류탄, 최루탄 2형, 섬관발음탄, 연막 수류탄 | |||||
지원화기 | 기관총 | 62식 기관총/74식 차재 기관총, M240B, 5.56mm 기관총 MINIMI, 12.7mm 중기관총 M2 | ||||
총류탄 | M31 대전차소총척탄, 06식 소총척탄 | |||||
유탄발사기 | M203A2, GLX-160, 96식 자동척탄총, Mk.19 고속유탄기관총 | |||||
대전차탄 | 휴대형 | 84mm 무반동포, 84mm 무반동포(B), 110mm 개인휴대용대전차탄, 01식 경대전차유도탄 | ||||
설치형 | 64식 대전차유도탄, 79식 대전차유도탄, 87식 대전차유도탄 | |||||
박격포 | 60mm 박격포(B), 81mm 박격포 L16, 120mm 박격포 RT | |||||
견인포 | 155mm 유탄포 FH70, 105mm 유탄포 M2A2 / 58식 | |||||
맨패즈 | 91식 지대공유도탄 | |||||
지뢰 | 92식 대전차 지뢰, FFV-013 | |||||
의장용 화기 | 신 의장소총 |
}}} {{{#!wiki style="margin-top: -30px; margin-bottom: -10px; letter-spacing: -0.9px; font-size: 0.82em" |
※둘러보기: 자위대의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보병장비 둘러보기 | ||||
{{{#!folding 【펼치기 · 감추기】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Frente Sandinista de Liberación Nacional |
|||
개인화기 | 소총 | 반자동소총 | M1 개런드, M1 카빈 | |
자동소총 | M16A1, FN FAL, AKM, 갈릴, FN CAL, M2 카빈, M14 소총 | |||
저격소총 | SVD | |||
기관단총 | 톰슨 기관단총, M3 기관단총, UZI, M45 기관단총, M953, S&W M76 | |||
산탄총 | M870, Auto-5 | |||
권총 | M1917 리볼버, 브라우닝 하이파워, M1911A1 | |||
지원화기 | 경기관총 | M1918 브라우닝, FN MAG, MG42, M1941 존슨 경기관총, RPD, DP-28, PKM | ||
중기관총 | M1919 브라우닝, M2 브라우닝 중기관총 | |||
유탄발사기 | HK69 | |||
대전차화기 | RPG-7 | |||
※둘러보기 : 산디니스타 민족해방전선 운용장비 | 현대 보병장비 | }}} |
보병장비 둘러보기 | |||
근대 (~1914) | 대전기 (1914~1945) | 냉전기 (1945~1991) | 현대전 (1992~) |
콜트 매뉴팩처링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000A32> 콜트 매뉴팩처링의 제품 라인업 | ||
리볼버 | <colbgcolor=#000A32> 전장식 | 패터슨 · 워커 · M1848 · M1849 · M1851 · M1855 · M1860 · M1861 | |
고정 실린더 | M1871-72 · M1873 · 뉴 라인 · M1877 · M1878 | ||
스윙아웃 실린더 | M1889 · M1892 · 뉴 서비스 ( M1917) · 오피서 매치 · 폴리스 포지티브 · 오피셜 폴리스 · 디텍티브 스페셜 · 코브라 · 트루퍼 · 파이슨 · 다이아몬드백 · 킹코브라 · 아나콘다 | ||
자동권총 | M1900 · M1903 포켓 해머 · M1903 포켓 해머리스 · M1905 · M1911 ( OHWS · 더블이글 · M45A1) · 우즈맨 · SSP · 올 아메리칸 2000 · Z40 | ||
기관단총 | 9mm 기관단총 · MARS | ||
기관권총 | SCAMP | ||
산탄총 | M1878 · 디펜더 | ||
소총 | AR-15 | M16 ( M16A1 · M16A2 · M16A3 · M16A4) · CAR-15 · XM177 · GAU-5 · M231 · ACR · C7 · C8 · M733 · M4 · Mk.18 · IAR · CM901 · C20 | |
기타 | 리볼버 소총 · 버제스 · 라이트닝 소총 · 베르단 I · R80 · GUU-4/P · C19 | ||
기관총 | M1895 · CMG · Mk.12 | ||
유탄발사기 | XM148 | ||
탄환 | .45 Long Colt · .25 ACP · .32 ACP · .380 ACP · .38 ACP · .45 ACP | ||
관련 인물: 새뮤얼 콜트 |
FN 에르스탈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펼치기 · 접기】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iki style="word-break:keep-all;" |
<colbgcolor=#203063> FN 에르스탈의 제품 라인업 | ||
권총 | M1900 · M1903 · M1905 · M1910 · 베이비 브라우닝 · 브라우닝 하이파워 · 바라쿠다 · Five-seveN · FNP ( FNX · FNS) · 509 | ||
기관단총 / PDW | P90 | ||
산탄총 | Auto-5 | ||
소총 | <colbgcolor=#203063> 볼트액션 / 펌프액션 | M24 · 트럼본 · 발리스타 · PBR · SPR · TSR | |
반자동 | M1949 · FNAR · SCAR-SSR | ||
자동 | M1930 · FAL · CAL · FNC · M16 ( M16A2 · M16A3 · M16A4) · M4 · F2000 · SCAR ( SCAR-H) | ||
기관총 | M2 · MAG ( M240) · 미니미 ( M249 · Mk.46 · Mk.48) · EVOLYS | ||
라이엇 건 / 유탄발사기 | 303 · EGLM | ||
탄환 | 5.56×45mm SS109 · 5.7×28mm |
[1]
정확히는 1918년 후반기의 연합군의 대규모 공세에서 투입될 예정이었다.
[2]
예를 들어서 차단 작전은 Barring Action이라고 한다.
[3]
원래 영문 약자 읽는 법은 문법상 한글자씩 읽어야 한다. 그러나 그렇게 읽으면 매우 길어지기에 편의상, 또는 관습적으로, 서로 무언의 합의가 있거나 다수가 그렇게 읽으면 통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NASA는 ‘나사’라고 발음하지 아무도 ‘엔 에이 에스 에이’라고 발음하지 않는다. 다른 예를 보면 CIA(Central Intelligence Agency)는 발음할 수 있는 단어임에도 아무도 ‘키아’라고 발음하지 않는다. KIA(Killed In Action)도 마찬가지. 그러나 MIA(Missing In Action)은 ‘미아’라고도 발음한다. 즉 이러한 약자 발음은
미국인 맘대로거나 혼동의 여지가 있는지 없는지에 따른 것으로 그 외에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다.
영어도 우리말과는 개념이 다르지만 나름의 눈치로 파악하는 언어라고 말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는 것.
[4]
당장 맥심 기관총도 총 그 자체의 무게만 30kg에 육박했으며, 거기에 냉각수와 탄약까지 휴대해야 했다. 이 무게를 군에서
MG50을 총열 달고 들어보는 것과 유사하다.
[5]
영국은 충분히 들고 다니고 운용할 수 있는
루이스 경기관총을 사용하고 있어서 걱정이 덜한 편이었다. 실제로 적국인 독일을 포함한 각국의 병사들도 루이스건을 탐내서 노획 1순위였다고 한다.
[6]
브렌 경기관총의 원조인
Vz.26은 훨씬 뒤의 물건이다. 일반적으로 쇼샤와 BAR까지를 자동소총으로 보고 Vz.26부터는 경기관총으로 분류한다. Vz.26 등은 애초에 기관총 용도로 설계된 것이기 때문이다.
[7]
하지만 반자동 사격 기능이 존재했고, 정밀 사격이 요구되는 볼트액션 소총인
M1917 엔필드의 가늠자를 사용했다.
[8]
상술했듯 실제로 1차대전 당시에는 전투소총과 비슷하게 운용하기도 했다.
[9]
반면 BAR은 그 묵직한 무게 덕분에 반동 흡수 면에서는 유리한 점이 있었다.
[10]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이, 어디까지나 서양인과 비교해서라는 것이다.
[11]
하지만 미국의 경제대공황 때 자랐거나 태어나서 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에 참전했던 미군들도 자랄 때 먹을 것이 부족하여 끼니를 거르는 것은 기본이고, 겨우 오이 샌드위치 정도나 먹고 커서 영양 섭취가 부실했기에 키 170cm 대 초반의 병사들이 많았다. 당시 한국군은 단백질이 부족한 미곡 위주의 식단이었기 때문에 키 160cm 대의 병사들이 많기는 했지만 학교에 가려면 몇십리를 걸어야 했고, 농사를 짓다 온 상당 수의 병사들은 요즈음의 병사들 못지 않게 체력이 좋았다. 북진 때 차량이 부족해 완전군장을 하고 걸어가던 육군 1사단이 차량을 타고 가던 미군보다 먼저 평양에 입성한 것이 그 예이다. 그래서 BAR 운용이 크게 어렵지는 않았다.
[12]
Automatic Rifleman(자동소총수)라는 뜻으로, 국군은 미군의 영향으로 BAR 사수를 이렇게 불렀다. 자세한 내용은 후술.
[13]
BAR이 AR/경기관총이라 큰 문제는 아니긴 하지만, 양각대든 뭐든 총열에 달리면 그 무게로 총열이 미세하게 휘게 만들어 정밀 사격 명중률에 악영향을 준다.
[14]
해외 개량형인 벨기에의 FN Mle 1930이나 스웨덴의 m/37은 총열 교체가 가능하다. 다만 이놈들은 본격적인 경기관총 개념이 등장하던 시기에 나온 물건이다.
[15]
일단 9명으로 이루어진 Gruppe는
MG34나
MG42를 운용하는 경기관총조에 사수와 부사수, 기관단총으로 무장한 분대장 3명이 편제되었고 나머지 6명은 전부 볼트액션 소총을 들고 있었다.
[16]
물론 이론상 그렇게 편제되었다는 것이고 실제로는 만성 물자 부족에 시달리던 독일군의 상황상 대부분의 분대장들은 안타깝게도 기관단총을 들고 싸울 수 없었다. 반자동 소총은 엄두도 못냈거니와 일선 S급 부대에서나 저 편제대로 무기가 보급되는 것이 현실이었고, 대부분의 독일 분대장들은 노획한 적군 기관단총을 쓰거나 분대원들처럼 Kar98k를 들고 싸웠다. 결국 사실상 독일 분대의 화력은 MG42가 모두 담당했다고 주장해도 무방하다.
[17]
BAR을 경기관총으로 대체하는 방안은 거부되었는데, 첫째는 사격과 기동을 동시에 하기 힘들며, 둘째는 경기관총에 부사수를 꼭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분대의 유연성이 떨어지는 문제로 거부되었다.
[18]
Vz.26의 경우 레버를 올려서 총열을 분리하지만, Mle 1930의 경우 고정쇠를 누르는 방식으로 총열을 분리한다. MAG와는 달리 고정쇠의 위치가 반대다.
[19]
항간에는 이 기능을 스프링필드 조병창에서 다시 A2형에 적용시켰다고도 한다.
[20]
1944년
창더 탈환전을 촬영한 영상에 Wz.28로 추정되는 경기관총을 사격하는 국부군의 모습이 등장한다.
영상, 37초 경
[21]
중일전쟁은 대체로 일본군의 잔학도 면에서 자주 부각되지 전술, 전략적 연구성 및 관련된 국제적 인지도는 소위 연합군의 사생아' 소리 듣는
이탈리아 전선만도 못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