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30 19:59:46

1. 순우리말
1.1. 치, 도량형1.2. -치, 생선1.3. 기타
2. 한자
2.1. 치(), 성벽을 이루는 구조물2.2. -치(), 잘 못하는 사람2.3. 그 밖에
3. 외국어
3.1. qi/ㄑㄧ, 중국어3.2. /チ, 가나3.3. C 이탈리아어식 명칭3.4. 마작 용어
4. 인명
4.1. Chi, 동인웹툰 그림 테일즈의 등장인물4.2. 치짱,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꽃매듭의 반짝임 코오리 치카게의 별칭4.3. 치, 일본 애니메이션 치즈 스위트홈의 주인공 고양이4.4. 구 유고슬라비아인의 인명
5. 작품

1. 순우리말

1.1. 치, 도량형

척관법에서 쓰이는 길이 단위의 하나. 차원은 [math(\sf L)]이다. 한자어로는 촌()이라고 한다. 보통 한 ()의 1/10이며 대략 3.03cm 정도이다. 미국에서 쓰는 1 인치(2.54cm)보다 약간 길다. 상당히 짧은 길이이기 때문에 '짧다', '조금도 없다'의 의미로의 숙어가 좀 있다. 완전무결함을 나타내는 '한 치의 ~~도 없다', "는 짧긴 하지만 혀를 통해 가능한 의 힘은 대단하다"라는 뜻의 '세 치 혀' 등이 그 예이다.[1]

한치꼴뚜기라고도 불리는 한치는 이 단위에서 유래한 말로 말 그대로 다리가 한 치밖에 안 된다는 뜻을 갖고 있다. 아래 '-치'와는 관련이 없다.

1.2. -치, 생선

생선을 나타내는 접미사이다. 중세 국어에선 '-티'였는데[2] 근대 국어 시기 구개음화를 거쳐 '-치'가 되었다. 생선을 나타내는 한자 접미사 '-'()와 함께 생선 이름을 양분하고 있다. ' 넙치- 광어'처럼 둘 다 쓰이는 것도 있다.

이름에 '-치'가 들어가는 생선은 하급 생선으로 여겨 제사상이나 차례상에 올리지 않는다고 한다. 근데 얘들 중 일부는 현대에 와서 고급 생선으로 치게 된 경우도 있고, 특정 조리 방법이나 특정 부위만큼은 고급으로 치는 경우도 있다. 값이 뛴 갈치라던지 손님 접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하는 돔배기라던지 오래전부터 진미로 여겨지는 상어 지느러미 같은 것.

'치'가 어류를 가리키는 순우리말이었을 가능성도 생각되고 있다.

1.3. 기타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로써 치가 사용되기도 한다.

일부 지역에서는 모퉁이 또는 끝단부를 '치' 라고 한다. 가령 선박의 '타'를 '치'라고도 한다.

어패류의 촉수를 '치' 라고도 부른다.

2. 한자

2.1. 치(), 성벽을 이루는 구조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건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치(), 잘 못하는 사람

접미사로, 앞말에 붙어 해당 행동을 유난히 잘 하지 못하는 사람을 가리킨다. 일본에서는 분야에 상관없이 '-おんち(音痴, 음치)를 붙인다.

2.3. 그 밖에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교육용 한자에서 '치'라 읽는 글자는 아래 6자이다.
그밖에 치열하다(熾烈)/대치(大熾)의 (성할 치), 사치(奢侈)의 (사치할 치), 치밀하다(緻密)의 (밸 치), 기치(旗幟)의 (기 치), 치정(癡情)/ 치한(癡漢)/ 치매(癡呆)의 [3](어리석을 치)는 1급 한자, 유치원(幼稚園)/ 치어(稚魚)/치졸하다(稚拙)의 준3급 한자이다.

3. 외국어

3.1. qi/ㄑㄧ, 중국어

<colbgcolor=#DDDDDD,#383B40> 1성(qī) () () () ()
2성(qí) () ()
3성(qǐ) () () ()
4성(qì) () ()
중국어 상용한자 2500자 중 '치'(qi/ㄑㄧ)로 읽는 글자는 위 22자이다. 현대 중국 한자음의 구개음화로 인해 한국 한자음으로는 주로 ''에 대응된다(16자).

자기 유도방식 무선충전 국제표준규격 Qi(/气)의 중국 음에서 유래했다.

영어 기준으로는 마찬가지로 '치'로 적을 듯한 ci, chi는 ''가 된다.

3.2. /チ, 가나

히라가나는 知의 초서에서, 가타카나는 千에서 따온 글자이다.

국제음성기호로 표기하면 [t͡ɕi], 헵번식 로마자 표기법으로 표기하면 chi가 된다.

문서를 참고하면 일본 상용한자 중 음독이 '치'인 글자는 , , , () , , , , , , , (치)로 12자이다. 한국 한자음으로는 모두 지 혹은 치이다. 여타 치경음 계열 한자음에서는 한국 한자음에서만 구개음화가 일어나는 현상이 보이곤 하나[4] 고모음 앞에서는 한국 한자음, 일본 한자음 모두 구개음화가 일어나 이러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3.3. C 이탈리아어식 명칭

C 문서 참고.

3.4. 마작 용어

마작에서 같은 종류의 수패로 연속되는 수 3개를 모아서 만든 조합을 '슌쯔'라고 하는데, 자신의 앞 차례 사람이 버린 패와 내 패를 합쳐서 슌쯔를 만들 수 있을 때, '치'를 외치며 슌쯔를 만들 수 있다. 치를 하여 슌쯔로 만든 패는 따로 빼두어야 한다.

원래는 중국어 吃(chī, 츠)인데 일본에서 '치'라고 발음하면서 '치'로 많이 알려졌다.

4. 인명

4.1. Chi, 동인웹툰 그림 테일즈의 등장인물

파일:external/vignette3.wikia.nocookie.net/Darkblossom.png

Chi

그림 테일즈 3부에 첫등장한다.

사무라이 잭의 메인 악역인 아쿠의 딸이자 후계자. 미미를 무진장 좋아하는데 그야말로 백합 얀데레. 능력이 아직 완전하게 발현하지 못해서 에게 화를 낼때 총을 사용했으나 후에 부하인 데몽고에게 화가 나서 날뛰는 도중에 도중에 아쿠의 변신능력이 발현했다. 연락이 되지 않는 미미를 찾기 위해 중간에 한번 더 각성하게 되기도 한다.

땅에 끌릴 정도로 긴 머리카락, 머리색, 그리고 머리결이 굉장히 좋다는 묘사 등 블로섬과 굉장히 비슷하기 때문에 무슨 관계가 있는 건지 독자들의 의문을 사고 있는 중. 심지어 옷과 사용하던 총, 주변 물건들까지 전부 블로섬의 상징색인 분홍색인지라 더욱 의혹을 증폭시키고 있다. 치의 이름과 아쿠의 딸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기 전까지 흑화 블로섬이라고 부르던 팬들이 있었을 정도.

블로섬의 딸이다, 블로섬의 클론이다 등의 의견이 오고갔지만 확답이 나오지 않은 상태였는데...

2013년 10월 29일에 올라온 페이지에서 '그'의 사무실에 자신의 분신을 보냈는데 거기에 걸려있는 블로섬의 사진을 바라보던 중, 미미가 블로섬을 죽일 때의 광경을 블로섬의 시점에서 보는 모습이 나왔다. 다시말해 치가 블로섬 본인일지도 모른다는 떡밥이 나온 것이다.

이걸 보고 얼마 지나지 않아 자신이 미미를 죽여야 된다며 성에 자신을 대신할 분신을 만들어 두고[5] 몰래 떠났다.

흥분할때는 일본어를 쓰는 등 작가의 왜색적인 성향이 듬뿍 들어가있는 캐릭터다. 아쿠가 안아 줄 때 야다라고 하는건 좀 그렇다... 대식가 속성도 있는데, 일반적으로 한 무리의 사람이 먹을 식사량을 한 끼로 먹는 수준. 최근 연재분에선 한 여관의 모든 메뉴2인분을 시켜 혼자 먹으려 하고있다.

사무라이 잭 시즌 5에서 아쿠의 이라는 인물들이 등장한다.

4.2. 치짱, 유우키 유우나는 용사다 꽃매듭의 반짝임 코오리 치카게의 별칭

노기 소노코가 치카게를 부르때 '치짱'이라고 한다.

4.3. 치, 일본 애니메이션 치즈 스위트홈의 주인공 고양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치즈 스위트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치.jpg
제목 '치즈 스위트홈'부터가 '치'의('s) 스위트홈이라는 뜻이다.

4.4. 유고슬라비아인의 인명

구 유고슬라비아 사람들의 대부분의 이름이 '치'로 끝난다. 크로아티아나 세르비아 국가대표 축구 선수 명단을 보면 안다. 모드리치, 라키티치, 만주키치, 페리시치 등 성은 달라도 전부 치로 끝난다. 동유럽계 축구선수가 많은 호주에서도 국가대표팀 선수들 중 '-치'로 끝나는 이름이 많다.

5. 작품

5.1. 지. -지구의 운동에 대하여-, 일본 만화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지. -지구의 운동에 대하여-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地의 일본 한자음에서 따와 원제는 ''(치)이다. 한국에서는 地의 한국 한자음을 따라 '지'로 정발되었다.


[1] 미국에서도 '1 인치 떨어져 있다' 등의 비슷한 숙어가 있다. [2] 가모티>가물치, 멸티>멸치, 등 [3] 는 이 글자의 속자이다. [4] 이에 따라 天과 千은 한국 한자음은 둘 다 ''이지만 일본 한자음은 てん, せん으로 차이가 난다. [5] 근데 이 장면이 모르고 보면 할복 하는 걸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