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2 05:22:02

도량형


<colbgcolor=#000> 과학 연구 · 실험
Scientific Research · Experiment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000,#fff> 배경 과학적 방법
기반 수학( 미적분학 · 선형대수학 · 미분방정식) · 통계학( 수리통계학 · 추론통계학 · 기술통계학)
연구· 탐구 논증( 귀납법 · 연역법 · 유추(내삽법 · 외삽법)) · 이론( 법칙 · 공리 · 증명 · 정의 · 근거이론 · 이론적 조망) · 가설 · 복잡계( 창발) · 모형화(수학적 모형화) · 관측 · 자료 수집 · 교차검증 · 오컴의 면도날 · 일반화
연구방법론 합리주의 · 경험주의 · 환원주의 · 복잡계 연구방법론 · 재현성( 연구노트)
통계적 방법 혼동행렬 · 회귀 분석 · 메타 분석 · 주성분 분석 · 추론통계학(모형( 구조방정식) · 통계적 검정 ·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 통계의 함정 · 신뢰도와 타당도)
측정· 물리량 물리량( 물리 상수 · 무차원량) · 차원( 차원분석) · 측도 · 단위(단위계( SI 단위계 · 자연 단위계) · 단위 변환) · 계측기구 · 오차( 불확도 · 유효숫자 · 과학적 기수법)
실험 실험설계 · 정성실험과 정량실험 · 실험군과 대조군 · 변인(독립 변인 · 조작 변인 · 종속 변인 · 변인 통제) · 모의 실험( 수치해석) · 맹검법 · 사고실험 · 인체실험 · 임상시험 · 실험 기구
연구윤리 뉘른베르크 강령 · 헬싱키 선언 · 연구투명성 · 연구 동의서 · 연구부정행위 · 표절( 표절검사서비스) · 편향 · 문헌오염 · 자기교정성 · 연구윤리위원회
논문· 과학 공동체 소논문 · 리포트 · 논문제출자격시험 · 연구계획서 · 형식( 초록 · 인용( 양식 · 참고문헌) · 감사의 글) · 저자 · 학회 · 세미나 · 학술대회 · 동료평가 · 지표 · 학술 데이터베이스 · 게재 철회 · 학제간 연구
철학 관련 정보 · 연구방법론 관련 정보 · 수학 관련 정보 · 자연과학 관련 정보 · 물리학 관련 정보 · 통계 관련 정보 · 사회과학 조사연구방법론 }}}}}}}}}


1. 개요2. 단위 변환3. 목록
3.1. 특수 단위
3.1.1. 속력3.1.2. 컴퓨터3.1.3. 각도3.1.4. 진동수/각속도3.1.5. 입자 수
3.1.5.1. 일상적, 관습적 단위3.1.5.2. 전산 정보 단위
3.1.6. 농도3.1.7. 밀도3.1.8. 소리의 크기
4. 역사적 도량형
4.1. 길이4.2. 시간
5. 가상의 도량형
5.1. 길이5.2. 넓이5.3. 부피5.4. 질량5.5. 화폐5.6. 에너지(폭발력)5.7. 인구5.8. 기타 단위
6. 둘러보기

1. 개요

[1] / Standard unit

물리량을 측정하기 위한 표준 단위를 정의하는 개념. 단위계, 도량법이라고도 한다.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경제 활동, 조세 행정 등에 있어 도량형의 엄밀한 정의와 체계 일원화(통일)는 매우 중시되었다. 진시황의 업적으로 늘 '중국의 도량형 통일'이 언급되는 것도 이 때문이다. 영미 단위계 SI 단위로 양분되어있어 혼란을 빚은 사례로는 화성 기후 궤도선 실패 사례, 김리 글라이더 등의 예가 있다.[2]

전통적으로 도량형은 그것을 정의하는 원기(原器)가 있었는데, 그게 무엇이냐에 따라 그 도량형의 신뢰성에 큰 영향을 미쳤다. 그래서 과학이 발전할수록 인간이 측정하기에 불변한다고 생각되는 것으로 조금씩 그 기준을 대체해 왔고, 현재 세계적으로 널리 쓰이는 도량형 SI 단위는 2018년 kg의 재정의를 마지막으로 물리적 원기를 모두 폐기하고 물리 상수로 대체하였다. 이외에도 영미 단위계( 제국, 미국), 척관법 등이 쓰인다.

한국의 경우 대한제국 시절 광무개혁을 통해 미터법 도입을 추진했고, 이후 일제강점기 미군정, 6.25 전쟁 등 수많은 변화들을 겪으며 한동안 SI 단위·척관법·야드파운드법이 혼용되다가 도량형 통일 정책에 의해 현재는 SI 단위를 표준으로 한다. 특히 거래나 제증명 등에서는 SI 단위(미터, 킬로그램 등)만 사용할 수 있고 야드파운드법이나 척관법 등은 인정하지 않는다. 단 SI 단위와 비법정 단위를 일러두기 식으로 쓰는 것은 가능하다(계량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2조 제1호[3][4])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800px-Metric_system.png

이 지도에서 빨간색으로 표시된 미국, 라이베리아, 미얀마를 제외하고 전부 SI 단위를 쓴다.[5][6]

2. 단위 변환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단위 변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단위를 바꾸는 방법이다. 선형사상 차원분석에 기반한다.

3. 목록

다음은 각 물리량에 대응하는 단위 목록이다. 주의할 점은 대문자/소문자를 바꿔서 쓰면 안 된다. 엉뚱한 뜻으로 바뀔 수도 있다.[7]
물리량
( 차원)
SI 단위 영미 단위계 척관법 관용 및 특수단위
길이
([math(\sf L)])
m th
point
pica
in/ ft/ yd
link/ rod/ ch/ fur
ftm
cable
mi/ nmi
lea




au
ly
pc
Å
xu
fm
[math(l_{rm P})]
넓이
([math(\sf L^2)])
m2, cm2[8] Perch
Rood
Acre
Section
twp


段步
町步
b
ha
마지기
필지
부피
([math(\sf L^3)])
m3, cm3 gal
bsh
bbl



cc
t
L

모금
큰술
작은술
질량
([math(\sf M)])
kg gr
oz
lb



Carat
t
[math({rm eV}/c^2)][9]
Da[10]
M
M
M
[math(m_{rm P})]
물질량
([math(\sf N)])
mol[11]
무게/[12]
([math(\sf MLT^{-2})])
N(=kg⋅m⋅s-2) dyn
kgf
kgw
kg중
에너지// 열량
([math(\sf ML^2T^{-2})])
J(=kg⋅m2⋅s-2)
erg(=g·cm2·s-2)
BTU eV
cal
Wh
일률
([math(\sf ML^2T^{-3})])
W(= kg⋅m2⋅s-3) hp
USRT
RT
시간
([math(\sf T)])
s // 나절
/// 분기// 세기
[math(t_{rm P})]
온도
([math(\sf\Theta)])
K
[math(T_{rm P})]

([math(\sf1)])
rad °//
바퀴
입체각
([math(\sf1)])
sr [math(deg^2)]
주파수
([math(\sf T^{-1})])
Hz(= s-1)
전류
([math(\sf I)])
A
전하량
([math(\sf TI)])
C(= A⋅s) Ah
전압
([math(\sf ML^2T^{-3}I^{-1})])
V(= kg⋅m2⋅s-3⋅A-1)
전기 저항
([math(\sf ML^2T^{-3}I^{-2})])
Ω(= kg⋅m2⋅s-3⋅A-2)
전기 전도도
([math(\sf M^{-1}L^{-2}T^3I^2)])
(= s3⋅A2⋅kg-1⋅m-2)
인덕턴스
([math(\sf ML^2T^{-2}I^{-2})])
H(= kg⋅m2⋅s-2⋅A-2)
캐피시턴스
([math(\sf M^{-1}L^{-2}T^4I^2)])
F(= A2⋅s4⋅kg-1⋅m-2)
자기선속
([math(\sf ML^2T^{-2}I^{-1})])
Wb(=kg⋅m2⋅s-2⋅A-1)
자기선속의 밀도
([math(\sf MT^{-2}I^{-1})])
T(= kg⋅s-2⋅A-1)
광도
([math(\sf J)])
cd
광선속
([math(\sf J)])
lm(= cd⋅sr)
면적당 광도
([math(\sf JL^{-2})])
nit(= cd⋅m-2)
면적당 광선속
([math(\sf JL^{-2})])
lx(= cd⋅sr⋅m-2)
초당 붕괴하는 원자 수
([math(\sf T^{-1})])
Bq(= s-1)
조사선량
([math(\sf M^{-1}TI)])
C⋅kg-1 R
방사선 흡수량
([math(\sf L^{-2}T^{-2})])
Sv(= m2⋅s-2)
Gy(= m2⋅s-2)
압력
([math(\sf ML^{-1}T^2)])
Pa(= kg⋅m-1⋅s2) psi[13]
pdl
bar
atm
Torr
mmHg
촉매 활성도
([math(\sf NT^{-1})])
kat(= mol⋅s-1) U
섬유질량밀도
([math(\sf ML^{-1})])
D, den(= kg⋅m-1)

3.1. 특수 단위

3.1.1. 속력

3.1.2. 컴퓨터

3.1.3. 각도

3.1.4. 진동수/각속도

3.1.5. 입자 수

3.1.5.1. 일상적, 관습적 단위
3.1.5.2. 전산 정보 단위

3.1.6. 농도

3.1.7. 밀도

3.1.8. 소리의 크기

4. 역사적 도량형

현재는 공식적으로 통용되지 않고, 문헌 기록(사료, 문학작품, 성서 등)으로 남은 도량형.

4.1. 길이

4.2. 시간

5. 가상의 도량형

크기를 쉽게 비교하기 위해 실존하는 것을 단위로 쓰기도 한다. UBD, 바나나, 런동님처럼 적인 의미인 것도 있고, 축구장이나 여의도처럼 사실상 보통명사, 준 단위화된 것도 있다.

5.1. 길이

5.2. 넓이

5.3. 부피

5.4. 질량

5.5. 화폐

5.6. 에너지(폭발력)

5.7. 인구

5.8. 기타 단위

6. 둘러보기

<colbgcolor=#ddd,#000> SI 접두어
배수 명칭 기호 <colbgcolor=#ddd,#000> 배수 명칭 기호
[math(10^1)] 데카 [math(\rm da)] [math(10^{-1})] 데시 [math(\rm d)]
[math(10^2)] 헥토 [math(\rm h)] [math(10^{-2})] 센티 [math(\rm c)]
[math(10^3)] 킬로 [math(\rm k)] [math(10^{-3})] 밀리 [math(\rm m)]
[math(10^6)] 메가 [math(\rm M)] [math(10^{-6})] 마이크로 [math(\textμ)]
[math(10^9)] 기가 [math(\rm G)] [math(10^{-9})] 나노 [math(\rm n)]
[math(10^{12})] 테라 [math(\rm T)] [math(10^{-12})] 피코 [math(\rm p)]
[math(10^{15})] 페타 [math(\rm P)] [math(10^{-15})] 펨토 [math(\rm f)]
[math(10^{18})] 엑사 [math(\rm E)] [math(10^{-18})] 아토 [math(\rm a)]
[math(10^{21})] 제타 [math(\rm Z)] [math(10^{-21})] 젭토 [math(\rm z)]
[math(10^{24})] 요타 [math(\rm Y)] [math(10^{-24})] 욕토 [math(\rm y)]
[math(10^{27})] 론나 [math(\rm R)] [math(10^{-27})] 론토 [math(\rm r)]
[math(10^{30})] 퀘타 [math(\rm Q)] [math(10^{-30})] 퀙토 [math(\rm q)]

[1] 각각 길이(자, ), 부피(되, ), 무게(저울, )를 의미한다. [2] 단, 항공에선 주류가 미국 단위계라 역으로 미터법을 쓰는 비표준 국가인 중국이나 러시아 영공에서 킬로미터 단위에 맞춘 고도로 재조정을 해야해서 연료가 낭비되거나 혼란을 빚는다. [3] 제2조(비법정단위의 표시 등) 「계량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6조제3항에서 "산업통상자원부령으로 정하는 표시요건을 만족하는 경우"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를 말한다.
1. 비법정단위 사용을 일러두기로 표시하는 경우
[4] 예 : 쇠고기 1근(600g) [5] 다만 루이지애나에서는 SI 단위도 쓴다. [6] 미국의 기술력과 영향력이 강한 하늘에서는 역으로 독립국가연합 소속 국가, 중국의 영공을 제외한 전세계의 하늘이 미국 단위계를 쓴다. [7] 예를 들자면, 1/1,000를 뜻하는 m(Milli)을 M으로 쓴다면 100만이라는 뜻의 Mega가 된다. [8] SI 단위 중 유도 단위라 불린다. [9] 주로 입자의 질량을 표기할 때 사용한다. [10] [math(\rm u)] 혹은 [math(\rm amu)]로 나타내는 원자 질량 단위와 같은 단위로 바닥 상태에서 정지해있는 자유로운 탄소-12의 질량의 [math(\dfrac1{12})]로 정의된다. 수치만 봤을 때 아보가드로 수의 역수와 거의 같다. [11] 이 단위는 사실상 입자의 개수를 세는 단위 차원이 [math(\sf1)]일 것 같지만 특이하게도 [math(\sf N)]이라는 별개의 차원으로 취급한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조. [12] 무게는 질량과는 다른 개념으로, 해당 물체가 지니고 있는 중력의 크기를 의미한다. 즉, 힘의 단위와 같다. [13] Pounds per Square Inch [14] 초속으로 환산하면 0.51444… m/s [15] 빛은 통과하는 매질에 따라 그 속력이 달라지는데, 물에서는 초속 약 25만 km, 다이아몬드의 경우에는 초속 약 12만 5천 km까지 떨어진다. 다만 미터의 정의 자체가 광속으로 정의되기 때문에, 미터 정의를 거꾸로 생각하면 쉽다. [16] 음악 파일을 피치값 조정으로 2배수로 끌어올리면 정확하게 한 옥타브를 올린 것과 같기 때문에 붙은 명칭이다. [17] 대한민국에서 판매되는 거의 모든 담배는 한 갑에 20개비이므로, 담배 한 보루는 200개비이다. [18] 양자컴퓨터용 기본 연산 단위. 국내 학계는 양자 비트로 쓰기도 한다. [19] 소리는 압력의 변화이기에 압력의 단위를 사용하여 표기가 가능하다. 하지만 dBSPL보다 일반적이지는 않다. [20] 사람이 느낄 수 있는 최소 음량을 0 dB로 두고 측정한 단위. 보통 소리 크기 관련해서 데시벨 이야기가 나오면 dBSPL을 이야기 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21] 음향기기가 견딜 수 있는 최대 음량을 0 dB로 두고 측정한 단위. 0 dB를 초과할 경우 클리핑이 발생한다. [22] 라인 단자의 기준 전압 0 VU로 두고 측정한 단위. [23] 개신교 개역 성경에서는 '규빗'으로 표기. [24] 양자컴퓨터에서 쓰이는 전산 정보 단위인 qubit과는 전혀 다른 단위다. 사실 발음도 같아서 라틴 문자 스펠링으로 구별해야 한다. [25] 혼동할 수 있는 도량형으로 cube feet이 있다. 말 그대로 입방(세제곱) 피트. 당연히 다른 말이다. [26] 이는 표트르 대제 때 도랑형을 통일하면서 야드파운드법과의 호환을 고려하여 야드파운드법에 일정한 비율로 대응하도록 길이를 정했기 때문이다. [27] 예시로 아리의 혼령질주가 툴팁 표시기준 450이며 개발자피셜 티모미터 기준 3티모미터이다. [28] 실제 패치노트 등 툴팁에서 사용될정도로 빈번히 사용되는 단위이다. [29] 마크와 고츠는 미터법으로 환산하면 정수로 떨어지지 않는데, 성인 남자의 체격과 얼추 비슷하다. 즉 피트와 마찬가지로 신체를 기반으로 한 도량형. [30] 그냥 줄여서 17만 명 정도라고 생각하면 된다. [31] 그 외에도 UBD2 과 UBD/UBD2등이 있다. [32] 딱 하나 안 붙여도 되는 단위가 있는데, 축전기의 용량을 나타내는 F(패럿)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