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자 한자어
1.1. 포( 砲), 화포
자세한 내용은 화포 문서 참고하십시오.탄을 멀리 튀겨내는 무기를 총칭하는 말. 투석기 혹은 화약을 쓰는 화포를 말한다.
참고로 한국과 중국에서 글자의 활용이 조금 다르다. 우리나라에서는 투석기와 화포에 砲를, 중국에서는 화포에 炮(대포, 통째로 구울 포)를 쓴다. 한국에서도 고문헌에서는 종종 구별하여 炮를 쓸 때가 있다.
중국 샹치의 포는 이 글자를 쓴다. 한국의 장기에서는 包라고 쓴다.
1.2. 포( 脯), 말린 고기
자세한 내용은 포(음식) 문서 참고하십시오.얇게 저미거나 눌러서 양념한 뒤 말린 고기. 대표적으로 육포, 쥐포 등이 있다.
이 단어에서 의미가 확장되어 식재료 등 무언가를 얇게 저며내는 것을 "포를 뜬다"라고 일컫기도 한다.
2. 한자
한국 한자음 빈도 |
[11~106위] 부18 주17 계 조 지16 소 우15 고 비 위 제14 호13 서 연 자 적 전12 공 단 모 시 원 재11 가 방 선 성 신 오 의 진 화10 간 관 리 반 양 영 인 천9 강 개 거 교 대 동 무 미 배 복 순 역 이 초 한8 각 견 량 련 망 매 보 분 석 아 여 증 창 축 파 포 현7 감 과 근 금 명 박 봉 세 속 숙 식 안 종 청 취 치 침 편 폐 하 항 해 형 환6
|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
교육용 한자에서 '포'로 읽는 글자는 다음 7자이다. 성부로 包 혹은 甫가 들어간 글자가 많다.
-
布 (베 포)
삼실이나 무명실, 명주실로 짠 피륙. 순우리말로는 ' 베'라고 하며, 베로 지은 옷을 포의(布衣)라 한다. - 抱 (안을 포)
-
包 (쌀 포)
일정한 양의 무언가를 담기 위해 직물을 이용해 만든 자루. 부대(負袋)라고도 한다.
단독으로는 인삼, 담배 등을 싼 단위로도 쓰인다. 조제약의 1회 투약분도 1포라고 한다. - 捕 (사로잡을 포)
-
浦 (물가 포)
배가 드나드는 개의 어귀를 포구라고 하는데 이를 줄인 말이다. 지명뒤에 포가 붙으면 그곳은 포구였다는 뜻이다. 서울 영등포, 인천 제물포, 제주 서귀포, 경남 삼천포 등이 그러한 곳이다.
다만 굳이 나루터가 있지 않았어도 물가면 무조건 포라고 부르는 경우가 있는데, 반포동이 바로 그런 경우다. 이는 한강이 서리서리 굽이쳐 흐른다고 해서 '서릿개'라고 불렀다가 그 '- 개'를 浦로 음차한 것이다. - 胞 (태보 포)
- 飽 (배부를 포)
그밖에 아래와 같은 것이 있다.
-
袍 (도포 포)
한복의 겉옷. 저고리 위에 입는 긴 옷으로 현대 의복의 코트에 해당하며, 두루마기, 도포 등이 대표적인 포 형태의 복식이다. 복식학적으로 특정 한복을 포라고 칭할 경우 조선 이전의 고대 한복의 겉옷을 두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많다. -
鋪 (가게 포)
가게를 뜻하는 한자 접사로, 전당포· 점포· 노포 등이 있다.
3. 외국어
3.1. 포(four), 영어
숫자 4를 뜻하는 영어 단어.3.2. 퍼(phở), 베트남어
자세한 내용은 퍼(국수) 문서 참고하십시오.베트남 쌀국수, 월남국수라고도 불리는 베트남에서 유명한 쌀국수 요리를 지칭하는 단어. 베트남어 발음은 ' 퍼'이지만 영어식 발음의 영향인지 '포'로 아는 사람들이 많다.
3.3. 포(pō), 마오리어/ 사모아어/ 타히티어/ 하와이어
마오리어/ 사모아어/ 타히티어/ 하와이어로 밤을 뜻한다.4. 은어/용어
4.1. -포(捕), 야구 포수의 약칭
인터넷 야구 팬들 사이에서 쓰는 어휘. 단독으로는 안 쓰이고, 선수의 성이나 별명 등의 뒤에 붙여 접미사처럼 쓰인다. (예 : 신포, 현포)4.2. 포, 판타지 마스터즈의 카드
자세한 내용은 포(판타지 마스터즈) 문서 참고하십시오.4.3. 포, 클로저스의 강화/튜닝 기기
자세한 내용은 클로저스/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4.4. PO, 플레이오프(PlayOff)의 약자
자세한 내용은 플레이오프 문서 참고하십시오.4.5. 포, 던전앤파이터의 버퍼 각성기를 싸잡아 이르는 용어
자세한 내용은 크루세이더(던전 앤 파이터)/남자/스킬 문서의
아포칼립스
부분을
참고하십시오.최초의 버퍼인 남성 크루세이더의 각성기인 아포칼립스의 준말에서 유래했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