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r.pe (일반/어두운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2-15 17:45:47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현대 한글의 모든 글자
,
,
,
,
,

가나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오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요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유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으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유니코드 AC00
완성형
수록 여부
O
구성 +
두벌식
( QWERTY)
rk
세벌식 최종
(QWERTY)
kf
현행 로마자 표기법 ga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ka/ga
1. 개요2. 동음이의어3.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자음 과 모음 로 이루어진 글자.

오늘날 쓰이는 한글 자모의 순서가 훈몽자회에 맞춰져 있으므로 자음의 첫 낱자는 'ㄱ'이고 모음의 첫 낱자는 'ㅏ'이다. 따라서 이 둘을 조합한 '가'가 첫 번째 글자가 된다. 마지막 글자는 ''. 이러한 한글의 순서를 가나다순이라고 한다.

2. 동음이의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둘러보기

파일:漢.svg 파일:漢_White.svg 한국 한자음 빈도
[1~10위]
32 27 25 20 19
[11~106위]
18 17 16 15 14 13 12 11 10 9 8 7 6
[107~308위]
5 4 3 2
[309~407위]
1
[1~10위] [11~106위] [107~308위] [309~407위]
* 위 숫자는 해당 음절에 배당된 교육용 한자 수이다.

[1] 家價可加假歌街伽暇 佳架嘉稼賈駕茄苛迦 柯袈嫁哥訶呵跏軻枷 珂痂 [2] 家價可加假歌街暇佳架 [3] 당시 일상에서 가장 중요한 동물들의 이름을 딴 것이다. 이 후 윷놀이의 유래가 됐다는 게 유력한 가설이다. [4] 참고로, 부여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고구려 역시 지방을 중앙과 동서남북 4방위로 나누어 소노부, 계루부 등 5부 귀족들이 독자적으로 다스리게 했다. 나중엔 중앙집권화에 따라 단순한 행정구역으로 변모하게 되지만. [5] 정위는 고대 중국의 관직으로, 구경(九卿)의 하나이며 진나라 때 처음 생겨나 형벌과 법률을 관장하였다. [6] 사람들이 많이 모인 곳에서 죄인의 목을 베고 그 시체를 길거리에 버리던 형벌. [7] 선제(전한)의 여섯째 연호. 기원전 53년에서 기원전 50년까지 4년 동안 사용했다. [8] 중산 군수. [9] 수정위의 '수(守)'는 수습직으로 임명되었음을 말한다. (다시 말해, 수정위 = 수습 정위)